KR101311192B1 - 꿀벌의 전염병 예방 및 치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한 꿀벌용 영양조성물 - Google Patents

꿀벌의 전염병 예방 및 치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한 꿀벌용 영양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1192B1
KR101311192B1 KR1020110066392A KR20110066392A KR101311192B1 KR 101311192 B1 KR101311192 B1 KR 101311192B1 KR 1020110066392 A KR1020110066392 A KR 1020110066392A KR 20110066392 A KR20110066392 A KR 20110066392A KR 101311192 B1 KR101311192 B1 KR 1013111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ctobacillus
bees
bee
honey
infectious diseas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6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5052A (ko
Inventor
임병훈
기희진
성윤희
조성숙
Original Assignee
바이오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오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바이오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6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1192B1/ko
Publication of KR20130005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0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1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11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61K35/747Lactobacilli, e.g. L. acidophilus or L. brevi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225Lactobacillus
    • C12R2001/25Lactobacillus plantaru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꿀벌의 전염병 예방 및 치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한 꿀벌용 영양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꿀벌의 식량은 화분과 꿀에 의존하는데 인간에 의해 사육되는 꿀벌은 인간에게 꿀을 제공하고 꿀을 대신하여 설탕에 의해 조제된 사양액을 식량으로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것은 꿀벌 자체의 면역체계를 떨어트려 사양액을 먹일 때부터 전염병에 매우 취약한 상태가 되어 이 시기부터 부저병,석고병, 낭충봉아 부패병 등의 꿀벌 전염성 질병이 만연하게 된다.
꿀벌 사양농가에서는 이를 제어하기 위해 항생제를 꿀벌에 사용하게 되며, 이러한 항생제의 처리로 불가피하게 일부의 항생제가 잔류하게 된다. 이러한 항생제의 잔류로 인한 문제는 이미 잘 알려져 있고, 자칫 천연 식품인 벌꿀에 대한 불신을 초래할 수 도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천연 스테비아 식물체의 추출액으로 구성된 배지에 꿀벌 전염병의 억제 활성이 강한 유산균을 선별 접종후 발효처리한 새로운 꿀벌 발효액을 개발하였다.
본 발명은 이렇게 발효처리된 스테비아 발효액을 꿀벌 사양액에 소량 첨가하여 주어 꿀벌의 천연적인 면역력을 획기적으로 증강시켜주어 부저병, 석고병등의 치명적 질병에 강한 내성을 갖도록 하였다.
본 발명은 특히 이러한 면역력이 천연에 존재하는 유산균을 이용하면서 이들이 갖는 항균활성으로 인하여 유해한 항생물질의 사용을 하지 않게 되어 생산된 벌꿀이 친환경적인 제품으로 인정받게 되며, 특히 원인모를 각종 질병으로 인한 벌꿀의 소멸을 근본적으로 차단하게 되었다.

Description

꿀벌의 전염병 예방 및 치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한 꿀벌용 영양조성물{Production method of the Lactobacilus spp. using the medium, and method of cure of herny bee's diseases}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속 균의 배양배지, 이를 이용한 균의 생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꿀벌의 전염병 예방 및 치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테비아 추출액을 배지로 활용하여 락토바실러스속 균중 인간의 모유에서 유래된 락토바실러스 루테리(Lactobacillus reuteri)균과 한국의 김치에서 유래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부크네리(Lactobacillus buchneri) 균을 스테이바식물체 추출물에 배양하여 꿀벌의 전염병예방 및 치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한 발효조성물을 꿀벌 사양액에 영양조성물로 도입하여 꿀벌 사양영양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꿀벌은 진화없이 생존한 가장 오래된 곤충중에 하나로 집단생활을 하는 곤충이다. 이들 꿀벌은 벌꿀,화분,로얄제리,프로폴리스 등을 자연으로부터 채취하여 이를 종족 번식과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물질로 사용하여 왔다. 인간에 의해 사양되는 꿀벌은 인간에게 꿀을 제공하고 인간은 설탕과 물을 1:1로 희석한 사양액을 조제하여 꿀벌의 먹이로 제공하게 된다. 그러나 벌꿀에 여러 가지 미량영양소와 비타민 등의 성분이 포함되어 있는 반면, 사양액은 당분 이외에는 어떠한 영양소도 함유되어 있지 않아 꿀벌의 면역력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며, 이는 벌꿀 생산량이나 화분활동에도 좋지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꿀벌이 살지 못하면 인간도 결국 살수 없다’는 과학자들의 주장은 어제 오늘의 이야기가 아니다. 우리나라의 경우를 예로 들면 경남 함양지역을 비롯한 거창지역 등 우리나라 전역에서 꿀벌이 떼죽음하는 기현상이 나타나 농가 피해가 확산되고 있다. 예전 우리나라 꿀벌의 질병은 대략 봉충이 썩어가는 미국 부저병, 유럽 부저병, 꿀벌의 유충이 석회를 뿌린 것 같이 허옇게 굳어 있는 석고병, 노제마, 마비병 등이 주축으로, 다소의 피해를 내기도 했지만 양봉원 등을 통해 구입하는 약을 투여할 경우 대부분 간단하게 치료됐다.
그러나 최근 꿀벌의 질병은 유별나 질병에 대체로 강한 것으로 알려진 토종벌도 떼죽음 하는 등 그 피해가 심각할 정도다.
지리산 자락 731곳의 꿀 생산농가 2만1179군의 토종벌이 현재 질병에 감염돼 고전 중이며 거창 400여 양봉농가와 함양 57개 농가의 양봉은 40% 정도가 이미 폐사한 상태다. ‘국립과학검역원 꿀벌질병관리센터’는 이 병은 극동아시아형 ‘꿀벌 낭충봉아 부패병’이라고 밝히고 올해 전국적으로 확산 돼 토종벌과 양봉에까지 큰 피해를 줄 것으로 보고 있다. 이 병의 증상은 애벌레가 물에 젖은 솜처럼 붕괴돼 있는데 감염된 애벌레 한 마리는 성봉 10만 마리를 감염시킬 수 있는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꿀벌질병관리센터’는 급히 현장으로 전체 꿀벌 농가를 대상으로 약제 공급 및 치료법을 교육하는 등 꿀벌의 질병관리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
이러한 심각한 벌꿀의 질병발생에 대하여 위와 같이 각종 화학합성에 의한 치료제를 도입하여 치료하고 있으나 근본적으로 해결되지 못하고 점차 확산되어가는 추세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한 일부 양봉가들은 가능한한 사양액에 현미식초를 첨가하던가 혹은 다른 효소발효물을 첨가하여 양봉의 자연적인 건강성을 회복하여 주려는 노력들이 시도되고 있으며, 일부에서는 이러한 것이 효과를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도가 발효처리된 효모들을 일반 개인이 소량임의로 생산하여 사용함에 있어 노력이 상당히 소요됨에도 발효가 잘못될 경우 오히려 피해가 늘어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개인적인 발효추출물의 추가 섭식으로 인한 꿀벌의 면역력개선에 따른 효과를 기대하고자 유산균을 배양하여 첨가하는 방식도 일부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유산균의 종류가 무수히 많으며, 이들이 모두 꿀벌에 좋은 효과를 보이는 것은 아니며, 특히 발효조에서는 적절히 생존하였지만 실제 식이용으로 공급하여준 경우 활성을 그대로 유지한 채 공급되지 못한 경우가 많아 실제적으로 효과가 원하는 정도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일부 공업적 배지로 당밀을 주요원료로 한 경우에 초기에 생균의 수가 폭발적인 증가는 가능하지만 생균을 장기적으로 유지하여 공급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즉, 초기에 대량으로 공급하는 것에 머물고 장기적으로 활성상태를 유지하면서 공급이 되지 못하는 단점이 기대한 만큼 효과를 거두지 못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양봉용으로 공급되어지는 사양액을 개량하여 꿀벌자체의 면역성을 증진시켜 주고자 한다.
본 발명은 특히 스테비아의 잎이나 줄기에 저칼로리의 단 맛 성분이 포함되어 있어 다이어트 감미료에 이용됨은 물론이고 다양한 유기 혹은 무기질의 영양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섭취시 자연면역력을 증강시키는 동시에 식감도 크게 개선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이 스테비아 식물체를 꿀벌이 섭취하기 용이한 형태로 발효처리하여 꿀벌 사양액의 첨가물로 이용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특히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균(이하 락토바실러스균이라 한다)은 인간이 섭취할 경우 헬리코박터파일로리균 살균효과와 장내 유효미생물을 활성화 할 수 있는 유산균의 한 종류로서 가축의 건강증진제와 토양미생물제제 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 락토바실러스의 살균력에 의하여 항생제와 유사한 살균효과로 항생제투여 대신으로 사용시 항생제 사용을 억제할 수 있다는 점을 이용하여 꿀벌 사양액용 첨가제로 이용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러한 락토바실러스균은 자체적인 배양배지로 대개의 경우 우유에서 유래된 성분을 사용하게 되므로 상대적으로 대량 생산에 여러가지 제약이 있어 가격이 높아져서 일반 가축이나 사료용 등으로 이용하기 어려웠다.
락토바실러스균의 대량 배양에 있어 우유와 같은 고가의 배지를 이용하지 않고 스테비아 식물체에서 추출한 성분을 배지로 이용하여 대량의 락토바실러스균 배양이 가능하게 하였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락토바실러스속 균중 꿀벌의 질병에 대한 항균효과가 탁월한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균과 같은 균주를 대량으로 배양가능하게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꿀벌에 발생되는 질병이 꿀벌 사양액을 통한 감염을 차단하기 위위하여 상기한 대량배양된 락토바실러스 배양액을 꿀벌 사양액에 이용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스테비아 추출물을 원료배지로 이용하여 락토바실러스균을 대단위 배양가능하게 하였다. 이렇게 대단위로 배양되어진 스테비아 추출물을 기존의 꿀벌 사양액에 일정비율로 첨가하여 다양한 스테비아 추출물 발효에 의한 영양성과 항균성이 개선된 꿀벌사양액을 개발하였다.
본 발명은 특히 대량 배양에 있어 경제성이 크게 낮았던 단점을 스테비아 추출물의 이용으로 인하여 락토바실러스 배양을 저렴하게 생산할 수 있게 하였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한 것을 미국식 부저병으로 알려진Paenibacillus larvae subsp. pulvifaciens (KCTC no. 3563)균을 L. reuteri 균주를 배양한 스테비아 추출액을 1% 첨가 수준부터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수준의 항균활성이 관찰되었다.
항균시험예 2.석고병 원인균인 Trichosporonoides megachiliensis 균에 대한 항균시험
50% 첨가 수준부터 항균활성이 하기의 표 1과 같이 육안으로 확인되었다.

Figure 112011051363723-pat00001

Lactobacillus reuteri Lactobacillus plantarum Lactobacillus buchneri
그림1. 발효유산균별 부저병 원인균에 대한 항균활성.
사양액에 대한 시험예1.
사양액(설탕물)10리터당 발효된 스테비아 추출물을 125ml을 넣어 실제 꿀벌에 적용시험을 한 결과 사양액만 먹인 군과 비교하였을 전체 개체수,질병개체수,꿀 생산량 등을 조사한 결과 아래와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또한 부저병 원인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부저병 병반이 비슷한 벌통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루테리에 의해 발효된 스테비아 발효액이 포함된 사양액을 급이하고 물 4리터당 락토바실러스 루테리에 의해 발효된 스테비아 발효액 500ml을 희석한 처리군과 대조군간의 차이를 검토한 결과 표2와 같았다. 그리고 이들의 150일후까지 개체수에 대한 측정결과는 표 3과 같다.
구분 시험시작일 50일후 100일후 150일후 비고
대조군 36 250 286 564
처리군 36 18 0 0
구분 시험시작일 50일후 100일후 150일후 비고
대조군 11580 12156 12015 12856
처리군 11586 14025 14858 15825
시험조건 : 상기한 시험은 본 발명의 L. 루테리를 접종배양한 것을 설탕 1kg당 물 1리터에 혼합한 사약액에 첨가하여 먹이로 공급하였음.
위 표에 나오듯이 처리군의 경우 100일정도 경과후에 극적인 대조를 보이며, 개체수에 있어서도 현저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본 발명은 첨가물이 포함될 수 있는 스테비아 추출물로 구성된 락토바실러스 속 균 배양용 배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에서 락토바실러스 속 균은 락토바실러스 루테리(Lactobacillus reutrei)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양용 배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의한 배양액을 꿀벌 전염병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안하기 위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꿀벌 전염병 중 부저병과 석고병을 예방 치료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첨가물이 포함될 수 있는 스테비아 추출물로 구성된 락토바실러스 속균 배양용 배지를 포함한다.
상기 스테비아 추출물은 스테비아 잎 등의 건조공정, 분쇄공정, 추출공정 및 농축공정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건조공정은 스테비아 식물을 충분히 기른 후 그 스테비아식물의 잎 및 줄기부분을 선별하여 채취하고, 채취된 잎 및 줄기부분을 자연건조 또는 강제건조를 시키는 단계이다. 채취된 잎 및 줄기부분을 자연건조 시킬 수도 있으나 신속하고 채취된 잎 및 줄기부분을 균일하게 건조시키기 위하여 건조기를 이용한 강제건조 시키는 것이 좋다. 통상 75±15℃에서 식물체의 수분함량이 15%이하로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조는 15%이하로 할 수 도 있으나 건조에 필요한 시간과 에너지소모에 비하여 수율은 그다지 차이가 없다. 다만 15%이상이 될 경우에는 수분함량에 의하여 추출수율이 낮아지므로 추후 농축공정에서 불리하다.
건조된 스테비아 잎 및 줄기를 후공정인 추출공정시 스테비아 잎 및 줄기에 포함된 유효성분이 더욱 효과적으로 추출되도록 소정의 크기로 분쇄하는 분쇄공정을 거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쇄는 추출후에 망체로 고상입자를 분리할 경우에 망체에 적절하게 걸러지는 정도로 한다. 미세할 수록 추출이 용이하지만 그만큼 고상물의 필터에 노력이 들어 가며, 반면에 입경이 클수록 추출효율이 낮아진다.
추출공정은 추출용기에 투입되는 스테비아 잎 및 줄기는 사용용도에 따라 잎만을 추출하거나 스테비아 줄기만을 이용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할 수도 있고, 또한 스테비아 잎과 줄기를 적정량 혼합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할 수도 있다. 스테비아의 잎은 줄기에 비하여 유효성분이 많고 추출이 용이하지만 가격이 비싸지므로 전체의 중량을 기준으로 할 경우, 잎이 20 내지 40%정도로 조절하여 준다. 잎의 함량이 20%보다 적게 될 경우에는 가격은 싸지지만 추출에 장시간이 걸리면서 추출효율이 낮아지며, 40%보다 많은 경우에는 추출효율은 높지만 가격이 높아지게 된다. 이러한 추출용 스테비아 식물체의 비율을 크게 중요한 것이 아니며 생산현장의 상황에 맞추어 적절히 조절하여 줄 수 있다.
상기 분쇄물로부터 유효성분을 보다 효과적으로 추출하기 위하여 물 또는 물이나 알코올 등과 혼합된 용매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또한 대기압이상의 압력 하의 진공상태에서 상기 분쇄물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대기압이상의 압력 하에서 상기 분쇄물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할 경우에는 분쇄물이 담겨진 물 등의 끓는점이 낮아짐에 따라, 효과적으로 분쇄물에 함유된 유효성분을 추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추출온도는 용매가 순수한 물일 경우에는 비등점에 가깝게 가열하며, 알콜과 물의 혼합용매일 경우에는 알콜의 휘발성을 억제하기 위하여 알콜의 종류와 혼합농도에 맞추어 적절히 낮추어 사용한다.
농축공정은 스테비아 식물조직으로부터 유효성분이 추출된 추출액을 농축하는 공정으로서, 상기 추출액을 농축조에 옮겨 담고 농축조를 대기압이하의 상태로 만든 후 55℃~62℃로 열을 가하여 9 내지 12 시간 동안 농축할 수 있다. 이때 농축조의 추출액을 교반하면서 농축조에 열을 가하여 농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농축조의 내주면에 스테비아의 유효성분이 눌어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농축조 내의 분위기를 진공 상태에서 농축조에 열을 가하여 추출액을 농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농축조의 내의 압력을 대기압이하로 할 경우 추출액의 끓는점이 대기압인 경우의 끓는점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음으로써 적은 에너지가 소비되고 추출액의 유효성분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고 농축에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농축시에 농축조의 기압을 상압으로 유지할 경우에는 농축시간을 2배이상 연장하여야 한다. 농축은 수분함량이 90 내지 75%이하로 될 때 까지 진행한다.
스테비아 발효액을 얻기 위하여 락토바실러스 균을 접종한후 상기 스테비아 농축액을 온도 20℃ 내지 30℃ 상태에서 3 내지 5일 동안 발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3일이하로 발효시에는 필요한 유산균의 생균수가 충분치 못하며, 5일이상 발효시에는 필요한 생균의 개체수 증가가 미미하여 효율성이 크게 떨어진다.
상기한 스테비아 추출하여 실온으로 수일간 숙성 시킨 숙성액에 미리 배양한 효모균과 락토바실러스 속균 배양액 10ℓ를 농축액에 접종하여 발효를 촉진하고 온도 20℃ 내지 30℃ 상태에서 (3~5)일 동안 발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효모균은 전체 접종 균량의 (0.2~0.4)%가 바람직하다.
또한, 용도에 따라 적합한 균주를 선발하여 배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가능한균주는 락토바실러스 부크네리(Lacillus buchneri), 락토바실러스 비피도박테리움 (lactobcillus bifidobacterium),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lactobacillus ruteri)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actobacillus plantarum ) 등이 사용가능하다.
또한, 상기 배양 시에 그 용도에 따라 유기산,유기산의 칼슘염, 아스코르빈산염 과 같은 유기산이나 그들의 금속염 혹은 아연 과 같은 무기질 미량원소등 다양한 성분을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한 스테비아 추출물과 유산균의 발효물을 꿀벌의 먹이로 사용되는 사양액에 첨가하여 꿀벌에 치명적인 전염병 예방 및 치료에 적용하는 사양액조성물도 개발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생산된 락토바실러스 속균의 배양액을 꿀벌 전염병중 세균에 기인하는 질병인 부저병과 곰팡이에서 기인하는 석고병의 예방과 치료를 위하여 먹이로 섭취하게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 예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실시예 1]
건조된 스테비아를 얻기 위하여 스테비아 레바우디아나 베르토니 식물의 잎 및 줄기부분을 선별하여 채취하고, 채취된 잎 및 줄기부분을 건조기를 이용하여 80℃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하였다. 건조공정에 의하여 건조된 스테비아 잎 및 줄기를 소정의 크기로 분쇄하였다. 그런 다음 분쇄된 잎과 줄기를 중량을 기준으로 3:7의 비율로 혼합하고 일정한 단위 (대개 6kg 단위)로 부직포에 담아 18포를 물 1050ℓ가 담긴 추출용기에 넣은 후 104℃로 가열하여 스테비아 잎 및 줄기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였다.
스테비아 식물조직으로부터 유효성분이 추출된 추출액을 0.7기압으로 9시간 동안 60℃의 온도의 농축조에서 수분함량 85%이하가 될 때까지 농축하여 농축액 200리터를 얻었다.
상기 농축액 200리터를 30℃로 유지되어지는 발효조에서 Lactobacillus reuteri균주 배양액 10ℓ 을 접종하여 3일 동안 발효시켜 목적한 스테비아 발효액을 제조하였다.
[제조 실시예2]
상기한 제조실시예1과 동일한 공정으로 하되 발효를 4일동안 하여 목적한 스테비아 발효액을 제조하였다.
[제조 실시예3]
상기한 제조실시예1과 동일한 공정으로 하되 5일동안 발효처리하여 목적한 스테비아 발효액을 제조하였다.
[제조 실시예4]
상기한 제조실시예1과 동일한 공정으로 하되 L.루테리균주와 함께 사카로미세스 엑시구스를 0.1 %첨가하여 발효처리하였다.
[제조 실시예5]
상기한 제조실시예1과 동일한 공정으로 하되 L.루테리균주와 함께 사카로미세스 불데리를 0.5 %첨가하여 발효처리하였다.
[제조 실시예6]
상기한 제조실시예1과 동일한 공정으로 하되 L.루테리균주와 함께 사카로미세스 투리센시스를 1.0 %첨가하여 발효처리하였다.
[제조 실시예7]
상기한 제조실시예1과 동일한 공정으로 하되 L.루테리균주와 함께 사카로미세스 바르네티를 0.8 %첨가하여 발효처리하였다.
[제조 실시예8]
상기한 제조실시예1과 동일한 공정으로 하되 L.루테리균주와 함께 캔디다 후밀리스를 0.6 %첨가하여 발효처리하였다.
[제조 실시예9]
상기한 제조실시예1과 동일한 공정으로 하되 L.부크네리균주를 접종하여 발효처리하여 목적한 발효액을 얻었다.
[제조 실시예10]
상기한 제조실시예1과 동일한 공정으로 하되 L.비피도 박테리움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처리하여 목적한 발효액을 얻었다.
[제조 실시예11]
상기한 제조실시예1과 동일한 공정을 하되 L.누테리 균주를 접종하여 목적한 발효액을 얻었다.
[제조 실시예12]
상기한 제조실시예 1과 동일한 공정으로 하되 L. 플란타룸 균주를 접종하여 목적한 발효액을 얻었다.
[비교실시예1]
상기한 제조실시예1과 동일한 공정으로 하되 스테비아추출농축액의 농축액의 농도를 75%로 하여 발효처리하였다.
[비교실시예2]
상기한 제조실시예1과 동일한 공정으로 하되 스테비아 추출농축액의 농축액의 농도를 95%로 하여 발효처리하였다.
[비교실시예3]
상기한 제조실시예1과 동일한 공정으로 하되 발효조에서 L. 루테리 균주 배양액을 5ℓ로 하여 발효처리하였다.
[비교실시예4]
상기한 제조실시예1과 동일한 공정으로 하되 발효조에서 발효조에서 Lactobacillus reuteri균주 배양액 15ℓ를 접종하여 발효처리하였다.
[비교실시예5]
상기한 제조실시예 1과 동일한 공정으로 하되 발효조에서 Lactobacillus reuteri균주 대신에 L.부크네리(L. buchneri)를 접종하여 발효처리하였다.
[비교실시예6]
상기한 제조실시예1과 동일한 공정으로 하되 발효조에서 L.비피도박테리움(L.bifidobacterium)를 접종하여 발효처리하였다.
[비교실시예7]
상기한 제조실시예1과 동일한 공정으로 하되 발효조에서 L.플란타룸(L.plantarum)를 접종하여 발효처리하였다.
상기한 제조 실시예와 비교실시예로 제조한 것에 대한 생균의 활성 유지기간의 변화는 표 4 그리고 5와 같으며, 항균활성은 표 6 그리고 7과 같다.
제조 실시예
1 2 3 4 5 6 7 8 9 10 11
spec 1.0×106 1.0×106 1.0×106 1.0×106 1.0×106 1.0×106 1.0×106 1.0×106 1.0×106 1.0×104 1.0×106
생균수 2.3×108 1.3×107 3.3×108 1.0×106 2.0×108 1.5×107 1.1×108 2.3×108 1.5×107
활성유지기간(월) 12 10 6 8 12 12 11 10 10 9 10
비교실시예
spec 1 2 3 4 5 6 7
생균수 1.0×106 1.0×106 1.0×106 1.0×106 1.0×106 1.0×106 1.0×106
활성유지기간(월) 11 10 11 12 11 10 12

1 2 3 4 5 6 7 8 9 10 11
부저병 +++ +++ +++ +++ +++ +++ +++ +++ +++ +++ +++
석고병 +++ ++ ++ ++ ++ ++ ++ ++ ++ ++ ++
비교실시예
1 2 3 4 5 6 7
부저병 +++ +++ ++ +++ ++ ++ ++
석고병 ++ ++ ++ ++
항균활성의 강도 : 매우 효과적(90%활성) +++
효과적 (50%활성) ++
효과 (30%활성) +
효과 없음 (10%이하활성) ―

Claims (9)

  1. 락토바실러스속 균에 의한 스테비아 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꿀벌의 전염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락토바실러스속 균은 락토바실러스 류테리(Lactobacillus Leuteri), 락토바실러스 부크네리(L. buchneri), 락토바실러스 비피도박테리움(L.bifidobacterium), 락토바실러스 누테리(L.nuteri) 및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plantarum)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꿀벌의 전염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락토바실러스속 균과 함께 사카로미세스 엑시구스, 사카로미세스 불데리, 사카로미세스 투리센시스, 사카로미세스 바르네티, 및 칸디다 휴밀리스로 이뤄지는 군에서 선택된 1이상을 추가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꿀벌의 전염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꿀벌의 전염병은 부저병 또는 석고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꿀벌의 전염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5. 제1항에 따른 꿀벌의 전염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전체 꿀벌 사양액의 부피를 기준으로 1 내지 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꿀벌 사양액.
  6. 제1항에 따른 꿀벌의 전염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또는 제5항에 따른 꿀벌 사양액을 꿀벌에 처리하여 꿀벌의 전염병을 예방 및 치료하는 방법.
  7. 건조된 스테비아 잎 또는 줄기를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이 혼합된 용매로 추출하는 단계; 및
    스테비아 추출물에 락토바실러스속 균을 접종하여 발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꿀벌의 전염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스테비아 추출물의 발효 전에 스테비아 추출물의 농도가 50% 이상이 되도록 농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꿀벌의 전염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제조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락토바실러스속 균은 스테비아 농축물의 부피를 기준으로 0.5-1% 접종하여 발효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꿀벌의 전염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제조방법.
KR1020110066392A 2011-07-05 2011-07-05 꿀벌의 전염병 예방 및 치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한 꿀벌용 영양조성물 KR1013111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6392A KR101311192B1 (ko) 2011-07-05 2011-07-05 꿀벌의 전염병 예방 및 치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한 꿀벌용 영양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6392A KR101311192B1 (ko) 2011-07-05 2011-07-05 꿀벌의 전염병 예방 및 치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한 꿀벌용 영양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052A KR20130005052A (ko) 2013-01-15
KR101311192B1 true KR101311192B1 (ko) 2013-09-26

Family

ID=47836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6392A KR101311192B1 (ko) 2011-07-05 2011-07-05 꿀벌의 전염병 예방 및 치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한 꿀벌용 영양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119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64795B2 (en) 2015-06-23 2019-04-23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Streptomyces badius SP6C4 strain having antimicirobial activity against insect pathogen or strawberry fungal disease pathogen isolated from strawberry pollen and uses thereof
KR20200072289A (ko) 2018-12-12 2020-06-22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꿀벌 기능성 당액 사료 조성물
KR20210036897A (ko) 2018-12-12 2021-04-05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꿀벌 기능성 당액 사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35628B (zh) * 2014-01-24 2016-05-11 刘兴华 一种治疗蜜蜂白垩病的药物及其制备方法
CN104127505B (zh) * 2014-07-06 2016-08-31 湖北天吉蜜业科技有限公司 一种治疗蜜蜂白垩病的白垩净颗粒冲剂中成药及生产工艺
CN105861400B (zh) * 2016-06-17 2019-05-31 江苏省农业科学院 一种格氏乳球菌和生物防腐保鲜剂及其应用
CN109321479B (zh) * 2018-11-27 2021-06-04 宜宾五粮液股份有限公司 耐酸酿酒酵母及其用途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5654B1 (ko) * 2006-02-07 2007-08-02 한국스테비아(주) 락토바실러스속 균의 배양 배지 및 이를 이용한 균의생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5654B1 (ko) * 2006-02-07 2007-08-02 한국스테비아(주) 락토바실러스속 균의 배양 배지 및 이를 이용한 균의생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64795B2 (en) 2015-06-23 2019-04-23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Streptomyces badius SP6C4 strain having antimicirobial activity against insect pathogen or strawberry fungal disease pathogen isolated from strawberry pollen and uses thereof
KR20200072289A (ko) 2018-12-12 2020-06-22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꿀벌 기능성 당액 사료 조성물
KR20210036897A (ko) 2018-12-12 2021-04-05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꿀벌 기능성 당액 사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052A (ko) 2013-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1192B1 (ko) 꿀벌의 전염병 예방 및 치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한 꿀벌용 영양조성물
CN103330057B (zh) 一种有效提高饲料利用率的复合饲料添加剂及其制备
KR20140120343A (ko) 새우사료 첨가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0787247B (zh) 一种防治畜禽腹泻的中药微生态制剂及其制备方法
CN108633625B (zh) 以杏鲍菇菌糠为主要原料制备双孢菇栽培基的方法
KR101384915B1 (ko) 유산균이 함유된 양봉 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CN101658252B (zh) 养殖刺参用饲料生物添加剂
KR101418820B1 (ko) 면역 및 항바이러스 활성이 우수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GB-LP1 유산균 균주 및 이의 발효 방법
KR20150024629A (ko) 약초박을 함유하는 버섯재배용 배지 및 이의 제조방법
CN105132321A (zh) 一种屎肠球菌及其高密度固态发酵的培养基及方法
CN114208948A (zh) 一种用于饲料添加剂的脂质体及其制备方法
CN115287202A (zh) 一株马克斯克鲁维酵母菌及其在制备功能性饲料方面的应用
CN113616715B (zh) 治疗仔猪腹泻及改善其肠道菌群的发酵中药口服液
KR101426501B1 (ko) 쇠비름 및 미강을 함유하는 발효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N103553809A (zh) 茶林多酶体菌肥及制造方法
KR100951273B1 (ko) 가축설사 억제제로써 죽엽추출물을 함유하는 미생물활성액 사료첨가제 제조방법
KR100862649B1 (ko) 기능성 김과 그의 제조방법
KR20180013473A (ko) 프로바이오틱 활성을 갖는 신규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dk128 균주 및 이를 이용한 동물 면역증강용 천년초 발효유의 제조방법
CN108002877B (zh) 一种利用艾渣栽培平菇的培养基及其栽培方法
CN104738092A (zh) 一种防治黄萎病的复合制剂及其制备方法、使用方法
KR102166789B1 (ko) 내산성, 내열성의 유산균 돌연변이 균주 및 상기 균주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배양 조성물
KR101012555B1 (ko) 기능성 발효 대추 제조방법 및 그의 발효 대추
KR102230056B1 (ko)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사육 방법
KR20120077691A (ko) 미부화 폐란을 이용한 코디세핀 생산방법
KR101284727B1 (ko) 효소를 이용한 꿀벌용 발효화분 배합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