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8820B1 - 면역 및 항바이러스 활성이 우수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GB-LP1 유산균 균주 및 이의 발효 방법 - Google Patents

면역 및 항바이러스 활성이 우수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GB-LP1 유산균 균주 및 이의 발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8820B1
KR101418820B1 KR1020120088360A KR20120088360A KR101418820B1 KR 101418820 B1 KR101418820 B1 KR 101418820B1 KR 1020120088360 A KR1020120088360 A KR 1020120088360A KR 20120088360 A KR20120088360 A KR 20120088360A KR 101418820 B1 KR101418820 B1 KR 1014188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ctic acid
fermentation
strain
acid bacteria
f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8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2506A (ko
Inventor
이찬호
강정선
유선종
조경진
김재영
류정진
Original Assignee
(주)진바이오텍
주식회사 다원케미칼
동아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진바이오텍, 주식회사 다원케미칼, 동아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진바이오텍
Priority to KR1020120088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8820B1/ko
Publication of KR20140022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25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8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88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2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by fermentation of natural products, e.g. of vegetable material, animal waste material or bioma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A23K10/18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of live microorganism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5Bacterial is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225Lactobacillus
    • C12R2001/25Lactobacillus plantarum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Physiology (AREA)
  • Vir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면역 및 항바이러스 활성이 우수한 유산균 균주 및 이의 발효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면역 및 항바이러스 활성이 우수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GB-LP1(KCCM 11258P) 유산균 균주, 상기 유산균 균주를 혐기 조건에서 발효하는 유산균 균주의 발효방법, 및 이로부터 획득한 유산균 발효물을 포함하는 사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면역 및 항바이러스 활성이 우수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GB-LP1 유산균 균주 및 이의 발효 방법{Lactobacillus plantarum GB-LP1 strain having improved immunological activity and anti-virus activity, and fermentation process thereof}
본 발명은 면역 및 항바이러스 활성이 우수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GB-LP1 유산균 균주 및 이의 발효 방법에 관한 것으로, 면역 및 항바이러스 활성이 우수한 유산균 균주를 획득하고, 이를 발효 배양하여, 유산균 발효물을 포함하는 사료 등의 제조를 통해 가축의 생산성 및 면역 활성의 개선 효과를 획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생체에는 외부에서 침입하는 이물질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생체방어장치가 형성되어 있다. 입을 통하여 외부에서 병원성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 이물질이 침입하였을 때 이를 방어하는 장치로는 장에서 분비되는 항체인 IgA가 존재한다. IgA는 외부의 이물질과 결합하여 이들의 침입 효과를 중화시키는 기능을 한다. 또한 IgA는 혈액에서도 이러한 기능을 한다.
일반적으로 특정한 질병을 예방하기 위하여 예방 주사를 접종하여 병원균에 대한 항체를 미리 생산하도록 하여 면역력을 강화시키기도 한다. 이와 같이 외부의 병원성 이물질에 대한 방어 기능을 위한 항체의 생산은 대단히 중요하다.
특히 가축의 경우 항생제 사용 규제의 강화에 따라 항생제를 대체할 수 있는 물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어린 가축은 이유, 사료의 변화 등으로 인한 장 내 세균총의 변화에 따른 병원성 또는 바이러스성 설사, 각종 질병에 대한 방어 능력 감소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대안적인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면역 조절 작용을 갖는 식품 소재로서 유산균 또는 유산균을 함유하는 유제품이 시판되고 있으며, 이러한 유산균으로는 락토바실러스 속, 락토코쿠스 속, 스트렙토코쿠스 속, 페디오코쿠스 속, 엔테로코쿠스 속 등에 속하는 종을 들 수 있다.
나아가, 유산균은 발효 산업의 대표적 미생물로서, 유산균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는 내산성, 내담즙산성 및 유해 미생물 억제 활성을 갖는 유산균에 의해서 주로 수행되었다.
이에 본 발명의 한 측면은 면역 및 항바이러스 활성이 우수한 신규 유산균 균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유산균의 면역 및 항바이러스 활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유산균 균주의 발효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가축의 면역 및 항바이러스 활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유산균 발효물을 포함하는 사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견지에 의하면, 면역 및 항바이러스 활성이 우수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GB-LP1(KCCM 11258P) 유산균 균주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의하면, 상기 유산균 균주를 혐기 조건에서 고체 발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면역 및 항바이러스 활성이 우수한 유산균 균주의 발효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균주는 배지에 104 내지 105 CFU/g의 양으로 종균 접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효는 수분 함량이 40~50 중량(weight/weight)%로 조절된 배지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효는 30~40 ℃의 온도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효는 대두박과 소맥피의 혼합 배지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대두박과 소맥피는 2 : 8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견지에 의하면, 상기 발효 방법을 통해 획득한 유산균 발효물을 포함하는 사료가 제공된다.
상기 사료는 육계 사료, 양돈 사료 또는 축우 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면역 및 항바이러스 활성이 우수한 신규의 유산균 균주를 획득할 수 있으며, 나아가 면역 및 항바이러스 활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본 발명의 발효 공정에 의해 획득한 유산균 발효물을 이용하는 경우, 이러한 유산균 발효물을 포함하는 사료 등의 제조를 통해 가축의 생산성 및 면역 활성의 개선 효과를 획득할 수 있다.
도 1은 균주 별 TNF-α 발현양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균주 별 IL-10 및 IL-12 발현양을 나타낸 것이다.
도 3(a)는 실험 전 MDCK 세포를 나타낸 것이고, 도 3(b)는 MDCK 세포 및 바이러스를 접종한 경우의 세포병변효과(cytopathogenic effect-CPE)를 나타낸 것이며, 도 3(c)는 MDCK 세포 및 바이러스에 유산균 균체 성분(pLTA)을 추가한 경우의 세포병변효과(cytopathogenic effect-CPE)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호기 발효 조건에서, 배지 수분 함량, 발효 온도 및 종균 접종량에 따른 균주의 발효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혐기 발효 조건에서, 배지 수분 함량, 발효 온도, 및 종균 접종량에 따른 균주의 발효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발효 시간 별 유산균의 성장 및 pH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면역 및 항바이러스 활성이 우수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GB-LP1(KCCM 11258P) 유산균 균주가 제공된다.
상기 본 발명의 유산균 균주를 획득하기 위해, 먼저 TNF-α의 발현양이 많은 균주를 기준으로 하여 1차로 16개 균주를 선별한 후, 나아가 그 중 IL-10 및 IL-12의 발현양을 측정하여 이들의 발현양이 많은 균주를 최종 선별하였다.
도 1 에는 이들 대상 균주의 TNF-α 발현양을 나타내었고, 도 2에는 IL-10 및 IL-12의 발현양을 나타내었다.
TNF-α의 발현양을 고려한 1차 선별 및 IL-10 및 IL-12 발현양을 고려한 2차 선별 결과, 실험 대상 균주 중 24번 균주인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GB-LP1이 최종 선발되었으며, 이를 한국 미생물 보존센터(KCCM)에 수탁번호 KCCM 11258P로서 기탁하였다.
나아가, 본 발명의 유산균 균주는 우수한 항바이러스 활성을 가지며,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바이러스만 접종한 도 3(b)에 비하여, 유산균 균체 성분(pLTA)과 바이러스를 함께 MDCK 세포 단층에 첨가한 도 3(c)의 경우에는 세포 병변이 일어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상기와 같이 최종적으로 선발된 본 발명의 유산균 균주를 "본 발명의 유산균 균주" 또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GB-LP1"이라 한다. 본 발명의 유산균 균주는 면역 및 항바이러스 활성이 우수하므로 이의 발효물을 이용하여 가축의 사료를 제조하는 경우 가축의 면역 및 항바이러스 활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우수한 가공 사료를 획득할 수 있다.
도 4 및 5에서 각 표면적은 실험 조건에 따른 발효물의 균 수를 나타내는 것으로, 표면적의 색이 붉은색일수록 높은 균 수를 나타내며, 푸른색에 가까울수록 상대적으로 낮은 균 수를 나타내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도 4 및 5에서 도시된 붉은색 영역은 9.4 log(cfu/g)을 나타내고, 노란색 영역은 9.2 log(cfu/g)을 나타내며, 연두색 영역은 9.0 log(cfu/g), 녹색 영역은 8.8 log(cfu/g), 푸른색 영역은 8.6 log(cfu/g), 그리고 남색 영역은 8.4 log(cfu/g)을 각각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의 유산균 균주는 혐기 조건에서 고체 발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4 및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혐기 발효의 경우 발효 특성이 보다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혐기 발효의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유산균 균주는 발효 시 배지에 104 내지 105 CFU/g의 양으로 종균 접종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종균 접종 양이 104 CFU/g 미만인 경우에는 본 배양에서 유도기(lag phase)가 길어져서 생산 순환율(cycle)의 관점에서 비효율적이고 오염의 확률도 높아지는 문제가 있으며, 105 CFU/g를 초과하는 과량의 접종은 비효율적인 문제가 있다. 나아가 도 5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약 105 CFU/g의 양으로 종균 접종하는 경우 발효 특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본 발명의 유산균 균주는 도 5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발효 시 수분 함량이 40~50 중량(weight/weight)%로 조절된 배지에서 수행되는 경우 발효 특성이 우수하며, 수분 함량이 43~47 중량%인 경우가 보다 바람직하다.
배지의 수분 함량이 40 중량 % 미만인 경우 발효 중 수분의 증발에 따라 발효의 조기 종료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며, 배지의 수분 함량이 5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대량 생산 시 원료의 이송 중에 막힘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실험실 내 실험의 결과에 의하면 수분 함량이 높은 구간이 유리한 것으로 나타나지만 이러한 범위의 수분 함량을 적용하는 경우 대량 생산 시 원료 이송의 막힘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최대 수분 함량으로써 43~47 중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산균 균주의 발효는 30~40 ℃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경우 발효 특성이 우수하며, 30~35℃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경우 발효 특성이 보다 바람직하다. 발효 온도가 30 ℃미만인 경우에는 발효 시간이 길어져서 생산 순환율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으며, 발효 온도가 4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분리 균주의 생장이 낮아지고 바실러스류의 오염에 따른 이취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유산균 균주의 발효는 특히 대두박과 소맥피의 혼합 배지를 이용하여 수행하는 경우 발효 특성이 바람직하였으며, 이와 같은 혼합 배지는 대량 발효에도 적합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상기 대두박과 소맥피는 약 2 : 8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유산균 균주 및 이의 발효 방법을 통해 유산균 발효물을 획득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유산균 발효물을 사료에 이용하는 경우 면역 및 항바이러스 활성이 개선됨에 따라 가축의 생산성 및 면역 활성의 개선 효과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사료는 육계 사료, 양돈 사료 또는 축우사료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면역활성이 증가된 유산균 균주의 선발
(1) 실험 재료 및 방법
THP-1 셀(cells)에 하기 표 1의 각 선발 유산균 5μg/ml, 및 LPS(Lipopolysaccharide) 100ng/ml을 4 시간 동안 각각 처리한 후, 배양액으로부터 ELSIA 방법을 통하여 TNF-α의 발현양을 측정하였다.
TNF-α 발현양을 많이 억제하는 균주를 기준으로 하여 1차로 16개 균주를 선별한 후, 나아가 그 중 IL-10 및 IL-12의 발현양을 측정하여 이들의 발현양을 많이 억제하는 균주들을 향후 실험에 사용할 균주로서 최종 선별하였다.
(2) 실험 결과
하기 표 1에는 실험에 사용된 선발 균주의 목록을 나타내었으며, 도 1 에는 이들 균주의 TNF-α 발현양을 나타내었고, 도 2에는 이들 균주의 IL-10 및 IL-12의 발현양을 나타내었다.
No 균주명 No 균주명 No 균주명
1 Lb. casei LC910 11 Lb. acidophilus MK-07 21 Lb. plantarum D3
2 Lb. casei LC911 12 B. infantis Bb-12 22 Lb. plantarum 55
3 Lb. casei LC107 13 B. longum MK-G7 23 Lb. plantarum K5
4 Lb. casei E5 14 B. longum BB536 24 Lb. plantarum GB-LP1
5 Lb. rhamnosus GG 15 B. longum BL730 25 Lb. sakei L10
6 Lb. rhamnosus D4 16 Lb. paracasei KW 26 Lb. sakei L11
7 Lb. delbreukii GB-LD7 17 Lb. paracasei B2 27 Lb. sakei GB-LS1
8 Lb. acidophilus NCFM 18 Lb. paracasei B3 28 Lb. sakei E5
9 Lb. acidophilus La5 19 Lb. paracasei B4 29 Lb. sakei C39
10 Lb. acidophilus La14 20 Lb. plantarum GB-LP2
TNF-α의 발현양을 고려한 1차 선별 후, 최종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IL-10 및 IL-12 발현양을 고려하여 균주 #24인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GB-LP1을 최종 선발하였으며, 이를 한국 미생물 보존센터(KCCM)에 수탁번호 KCCM 11258P로서 기탁하였다.
2. 선발 균주의 항바이러스 효과 확인
(1) 실험 재료 및 방법
MDCK 세포 및 조류 인플루엔자(Avian Influenza(H9N2)) 바이러스를 한국국제대학교에서 분양받아 본 실험에 사용하였다. 본 실험에서 사용된 유산균은 상기 1.에서 선발된 면역활성이 우수한 유산균 균주인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GB-LP1을 이용하였다. 실험에서 사용된 유산균 균체 성분(pLTA)은 유산균 균주를 소니케이션(Sonication)으로 파쇄하여 획득한 것이다.
먼저, MDCK 세포를 DMEM 배지(10% FBS,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포함)가 함유된 T25 플라스크에 접종하여 37oC 5% CO2 인큐베이터에서 2-3일간 배양하여 실험용 스턱(stock)을 만들었다. 그 후 96 웰 플레이트(well plate)에 4 x 103 cells/well 되도록 MDCK 세포를 접종하고 2일간 배양하였다. 그 결과 형성된 단층(monolayer)에 H9N2 바이러스 및 유산균 균체 성분을 첨가하여 세포병변효과(cytopathogenic effect-CPE)를 관찰하였다.
(2) 실험결과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으며, 도 3(a)는 실험 개시 전 MDCK 세포를 나타낸 것이고, 도 3(b)는 MDCK 세포 및 바이러스를 접종한 경우의 결과를 나타낸 것이며, 도 3(c)는 MDCK 세포 및 바이러스에 유산균 균체 성분(pLTA)을 추가한 경우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바이러스만 접종한 도 3(b)의 경우 많은 MDCK 세포들에 병변이 일어나서 세포의 형태가 이상해지거나 세포가 사멸하였지만, 유산균 균체 성분(pLTA)과 바이러스를 함께 MDCK 세포 단층에 첨가한 도 3(c)의 경우에는 세포 병변이 일어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선발된 유산균 균주의 고체발효 공정
(1) 선발된 균주의 고체발효 조건 설정
선발된 균주에 대한 최적의 고체 발효 조건을 설정하였다. 발효 방식, 배지 수분 함량, 발효 온도, 및 종균 접종량에 따른 최적 범위를 결정하기 위해, 선발된 균주를 호기 발효 및 혐기 발효 조건에서, 종균 접종량 103 내지 105 CFU/g 범위, 수분 함량 40 내지 60 중량% 범위에서, 그리고 발효 온도 30 내지 40℃ 범위에서 발효 특성을 확인하였다.
각 조건에서 획득한 결과를 하기 표 2 및 3에 나타내었다. 표 2는 호기 발효 조건에서 발효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며, 표 3은 혐기 발효 조건에서 발효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호기 발효
접종량(CFU/g) 배양온도(℃) 수분 함량(w/w%) pH 최종 유산균(log CFU/g)
105 30 40 5.19 9.0912
105 30 50 5.07 9.1819
105 30 60 4.73 9.3957
105 35 40 5.68 9.1112
105 35 50 4.7 9.2899
105 35 60 4.66 9.3213
105 40 40 5.41 8.9893
105 40 50 4.59 9.0253
105 40 60 4.62 9.0492
104 30 40 5.42 9.0138
104 30 50 5.03 9.1823
104 30 60 5.01 9.2055
104 35 40 5.3 8.9451
104 35 50 4.79 9.1892
104 35 60 4.86 9.1938
104 40 40 5.86 8.9324
104 40 50 5.51 9.099
104 40 60 4.65 9.0994
103 30 40 5.88 8.6532
103 30 50 5.49 8.8325
103 30 60 5.02 8.9542
103 35 40 5.94 8.6335
103 35 50 5.63 8.8325
103 35 60 5.05 8.9542
103 40 40 5.85 8.5798
103 40 50 5.48 8.7482
103 40 60 5.32 8.9031
혐기 발효
접종량(CFU/g) 배양온도(℃) 수분 함량(w/w%) pH 최종 유산균(log CFU/g)
105 30 40 5.11 8.9395
105 30 50 4.95 9
105 30 60 4.74 9.0607
105 35 40 4.88 8.9542
105 35 50 4.38 9.0414
105 35 60 4.27 9.301
105 40 40 5.11 8.7482
105 40 50 5.14 8.6021
105 40 60 5.28 8.7924
104 30 40 5.1 8.9542
104 30 50 4.93 9.2553
104 30 60 4.28 9.6021
104 35 40 4.43 8.7782
104 35 50 4.26 9.1461
104 35 60 4.34 9.4472
104 40 40 5.25 8.3802
104 40 50 5.15 8.301
104 40 60 5.41 8.716
103 30 40 5.26 8.0792
103 30 50 4.64 8.2041
103 30 60 4.81 8.6532
103 35 40 5.14 8.2553
103 35 50 4.64 8.6435
103 35 60 4.24 9
103 40 40 5.24 8.2553
103 40 50 5.05 8.5563
103 40 60 5.4 8.301
상기 표 2의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고, 상기 표 3의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4 및 5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선발된 균주는 호기 조건 보다 혐기 발효 조건에서 발효 특성이 우수하였고, 종균 접종량 104 내지 105 CFU/g 범위, 수분 함량 40 내지 50 중량% 범위, 그리고 발효 온도 30 내지 40℃ 범위 내에서 가장 우수한 발효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설정된 조건에서의 시제품 생산
상기 3.(1)에서 결정된 최적의 발효 조건을 기준으로 사양 시험용 샘플을 제조하였다. 발효 조건은 원료 배지로서 대두박과 소맥피 혼합 배지(2 : 8 비율) 300~3,000kg을 초기 수분함량 45 중량%로 보정한 후, 121 ℃에서 30분간 멸균한 후, 종균을 105 CFU/g이 되게 접종하고, 30 ℃에서 48시간 동안 혐기 발효를 진행하여 시제품 제조를 완료하였으며, 시제품의 분석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항 목 분석결과
유산균 균수 (CFU/g) 1.41 (± 0.22) x 109
수분함량 (중량%) 4.81 ± 0.50
pH 3.86 ± 0.12
프로피온산(ppm) 3,737.8 ± 349.6
아세트산(ppm) 3,502.6 ± 31.3
락트산(ppm) 63,900 ± 280.28
한편, 이때 발효 시간 별 유산균의 성장 및 pH 변화를 도 6에 나타내었다.
4. 육계 사료 내 유산균 발효물 첨가의 효과
1 일령 육계 로스(Ross) 종 병아리를 공시하여 무첨가 대조구(Negative control)에 10,500수, 본 발명의 유산균 발효물 0.1% 첨가구(T1)에 11,000 수, 본 발명의 유산균 발효물 0.2% 첨가구(T2)에 10,500수씩, 총 32,000수를 공시하여 총 31일간 사양 시험을 수행하였다. 총 31일간의 육계 사양 시험을 통해 유산균 발효물이 육계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항 목 대조구(Control) T1 T2
입추수 10,500 11,000 10,500
출하수 9,172 10,528 9,828
육성율 (%) 87.4 95.7 93.6
폐사율 (%) 12.6 4.3 6.4
종료체중 (kg) 16,033 16,709 16,033
평균체중 (kg) 1.527 1.519 1.527
사료섭취량 (kg) 26,580 24,870 23,890
사료요구율 1.66 1.49 1.49
생산지수 260 282 277
본 발명의 유산균 발효물을 첨가한 처리구 모두에서 대조구보다 육성율 및 폐사율에서 약 8% 수준의 월등히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한편, 사료 요구율에서 유산균 발효물 처리구 모두에서 무첨가 대조구보다 좋은 성적을 나타내었으며, 생산 지수 또한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를 종합하여 생산성을 종합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생산 지수에서 무첨가 대조구보다 유산균 발효물 첨가구 모두에서 약 8% 이상 개선되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미생물보존센터 KCCM11258P 20120220

Claims (9)

  1. 삭제
  2. 면역 및 항바이러스 활성이 우수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GB-LP1(KCCM 11258P) 유산균 균주를 혐기 조건의, 수분 함량이 40~50 중량%로 조절된 배지에서 고체 발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발효는 대두박과 소맥피의 혼합 배지에서 수행되는 면역 및 항바이러스 활성이 우수한 유산균 균주의 발효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는 배지에 104 내지 105 CFU/g의 양으로 종균 접종되는 면역 및 항바이러스 활성이 우수한 유산균 균주의 발효방법.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는 30~40℃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면역 및 항바이러스 활성이 우수한 유산균 균주의 발효방법.
  6. 삭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두박과 소맥피는 2 : 8의 비율로 혼합되는 면역 및 항바이러스 활성이 우수한 유산균 균주의 발효방법.
  8. 제2항, 제3항, 제5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발효 방법을 통해 획득한 유산균 발효물을 포함하는 사료.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료는 육계 사료, 양돈 사료 또는 축우 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KR1020120088360A 2012-08-13 2012-08-13 면역 및 항바이러스 활성이 우수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GB-LP1 유산균 균주 및 이의 발효 방법 KR1014188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8360A KR101418820B1 (ko) 2012-08-13 2012-08-13 면역 및 항바이러스 활성이 우수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GB-LP1 유산균 균주 및 이의 발효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8360A KR101418820B1 (ko) 2012-08-13 2012-08-13 면역 및 항바이러스 활성이 우수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GB-LP1 유산균 균주 및 이의 발효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2506A KR20140022506A (ko) 2014-02-25
KR101418820B1 true KR101418820B1 (ko) 2014-07-17

Family

ID=50268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8360A KR101418820B1 (ko) 2012-08-13 2012-08-13 면역 및 항바이러스 활성이 우수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GB-LP1 유산균 균주 및 이의 발효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882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1653A (ko) 2017-07-25 2019-02-07 주식회사 콧데 항바이러스 효과를 가지는 신규 유산균 및 이의 조성물
KR20220006142A (ko) 2020-07-07 2022-01-17 김부진 비단풀 락토바실러스 발효수를 이용한 화장료조성물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64000A1 (ko) 2014-10-22 2016-04-28 주식회사 프로바이오닉 항바이러스 및 항병원성세균 활성을 가진 락토바실러스 프란타륨 Probio 090 및 이의 생산물
KR20180084258A (ko) * 2017-01-16 2018-07-25 (주)천호바이오 계피추출물 및 유산균을 함유하는 면역 증강용 조성물
US11186815B2 (en) 2017-06-14 2021-11-30 Nutraferma, Inc. Methods of using Lactobacillus plantarum strains for protecting animals from pathogenic bacterial infection
KR20190127156A (ko) 2018-05-03 2019-11-13 씨제이제일제당 (주) 항바이러스 및 면역조절 효능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cjlp17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CN115124209B (zh) * 2022-07-28 2023-09-15 同济大学 一种利用抗病毒药物促进污泥产甲烷的方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46020호(2011.05.04.) *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64416호(2012.06.19.)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1653A (ko) 2017-07-25 2019-02-07 주식회사 콧데 항바이러스 효과를 가지는 신규 유산균 및 이의 조성물
KR20220006142A (ko) 2020-07-07 2022-01-17 김부진 비단풀 락토바실러스 발효수를 이용한 화장료조성물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2506A (ko) 2014-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8820B1 (ko) 면역 및 항바이러스 활성이 우수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GB-LP1 유산균 균주 및 이의 발효 방법
KR100808910B1 (ko) 항균 및 항바이러스 효과를 가진 신규한 유산균 및 이를포함하는 조성물
CN102597216A (zh) 新型植物乳杆菌及其组合物
CN113170842B (zh) 一种防治家禽坏死性肠炎的复合微生态制剂及其应用
CN104293716A (zh) 一种用大型真菌菌液(质)制备高效益生菌制剂的方法
EP2059585A2 (en) Probiotic microorganisms for the reduction of manure odor
CN102597215A (zh) 新型植物乳杆菌及含该植物乳杆菌的组合物
CN115052610B (zh) 包含植物乳杆菌kc3菌株的药物组合物、保健功能食品及其用途
KR102089212B1 (ko) 복합미생물 제제를 포함하는 식품 및 이 식품의 제조방법
TWI702914B (zh) 新穎芽孢枯草桿菌菌株及使用其製備發酵大豆產物的方法
KR101379404B1 (ko) 황금 발효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및 면역 증강 조성물
KR101311192B1 (ko) 꿀벌의 전염병 예방 및 치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한 꿀벌용 영양조성물
Aazami et al. Characterization of some potentially probiotic Lactobacillus strains isolated from Iranian native chickens
CN105132321A (zh) 一种屎肠球菌及其高密度固态发酵的培养基及方法
KR101873682B1 (ko) 면역 증강 효과를 갖는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에시도필러스 (Lactobacillus acidophilus) KNU-02 균주 및 이의 용도
CN114292795B (zh) 乳酸杆菌益生菌CGMCC No.1.13855及在制备降脂药物中的应用
WO2010001509A1 (ja) イムノグロブリンa誘導能の高い新規乳酸菌
KR101230813B1 (ko) 사프로레그니아 속 미생물에 대한 생물학적 방제용 프로바이오틱스
KR101702499B1 (ko) 신규한 유산균, 진균 및 세균을 포함하는 사료첨가용 조성물
KR101396842B1 (ko) 오미자 발효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및 면역 증강 조성물
JP5893772B1 (ja) 乳酸菌及び発酵物の製造方法
JP2005021156A (ja) 乳酸菌、乳酸発酵生成物、飼料
KR102327307B1 (ko) 베타-글루쿠로니다제 분비 활성을 가진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균주, 이를 이용한 황금 발효물 및 사료 첨가제
CN114533768B (zh) 乳酸杆菌益生菌CGMCC No.1.13855在制备糖尿病治疗药物中的应用
KR20100076540A (ko) 식물성 배지, 식물성 부형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식물성유산균 발효 분말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