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0918B1 - 소형 선박을 위한 접안시설용 부유체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접안시설 - Google Patents

소형 선박을 위한 접안시설용 부유체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접안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0918B1
KR101310918B1 KR1020110129084A KR20110129084A KR101310918B1 KR 101310918 B1 KR101310918 B1 KR 101310918B1 KR 1020110129084 A KR1020110129084 A KR 1020110129084A KR 20110129084 A KR20110129084 A KR 20110129084A KR 101310918 B1 KR101310918 B1 KR 1013109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able
floating
eyepiece
water level
flo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9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2683A (ko
Inventor
이종목
권태규
Original Assignee
권태규
이종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태규, 이종목 filed Critical 권태규
Priority to KR1020110129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0918B1/ko
Priority to PCT/KR2012/010445 priority patent/WO2013085260A1/ko
Publication of KR20130062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26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0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09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2/02Buoys specially adapted for mooring a vess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0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2/04Fixations or other anchoring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62Constructions floating in operational condition, e.g. breakwaters or wave dissipating walls
    • E02B3/064Floating landing-st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sting Or Calibration Of Command Recording Device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형 선박용 접안시설용 부유체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접안시설에 관한 것으로, 바다, 호수, 하천 등지에서 수시로 변하는 조수 간만차 및 홍수시 수위차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면서 저렴한 비용으로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바다, 호수, 하천 등지의 수면에 부유하면서 선박의 측면을 접하여 지지해주는 부유체와; 상기 부유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케이블이 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력에 의해 상기 지지 케이블을 당겨서 관리하면서, 수위가 높아질 때 상기 부유체의 상승하는 힘에 의해 상기 지지 케이블이 당겨지면 상기 지지 케이블의 풀어짐을 허용하고 수위가 낮아져 상기 부유체가 하강할 때에는 풀어졌던 상기 지지 케이블을 회수하는 조절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소형 선박을 위한 접안시설용 부유체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접안시설{Floating body module for docking facilities and docking facilities with the same}
본 발명은 선박용 접안시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바다, 호수, 하천 등지에서 수시로 변하는 조수 간만차 및 홍수시 수위차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면서 저렴한 비용으로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접안시설용 부유체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접안시설에 관한 것이다.
글로벌화로 인해 전 세계는 서로간 무역을 통해서 이익을 창출하여 경제발전을 달성하고 있다. 특히나 한국은 천연자원이 부족하고 인구도 많지 않기 때문에 전 세계 나라들과의 무역이 없었다면 단기간에 지금과 같은 눈부신 경제성장을 달성할 수 없었을 것이다.
대부분의 수출입 물동량은 선박을 통한 바닷길로 이루어지고 있다고 할 수 있고, 대한민국에는 세계적인 항구들이 다수 형성되었다. 대표적으로 부산항, 인천항, 광양항 등이 있으며, 대규모 컨테이너선들이 항구에 접안하여 선적과 하역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도 1을 참조로 살펴볼 수 있듯이 점차 대형화되어가는 컨테이너선과 같은 선박들이 종류에 따라 항구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콘크리트를 기반으로 하는 전용부두(10)가 건설되었지만, 이러한 전용부두(10)에는 여객선이나 기타 작은 선박들은 접안할 수 없었다.
만약, 모든 선박들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부두(10)를 확장한다면 문제가 없겠지만 접안시설을 갖춘 부두(10)를 건설하기 위해서는 많은 부지를 확보해야 하고, 천문학적인 건설비용과 건설에 소요되는 장기간의 시간이 문제가 된다.
또한, 이러한 대규모 부두(10)를 건설함에 있어서는 갯벌의 훼손과 같은 환경문제를 야기하게 된다는 문제점도 있다. 즉, 새로운 부두(10)를 건설하기 위해서는 자연 상태의 해안선을 해치면서 수심이 낮은 곳을 매립하여 콘크리트로 이루어지는 배후시설이나 접안시설을 만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요트나 보트와 같은 소형 선박을 접안시킬 수 있는 장치 혹은 시설이 필요하였다. 특히 이러한 필요는 최근 국내 해양 레저 인구의 증가와 4대강 개발 등 정부의 정책지원에 힘입어 바다, 호수, 하천 등지에 소형 선박을 접안시키기 위한 접안시설 건설 관련 시장 규모가 빠르게 성장하면서 더욱 절실하였다.
하지만, 국내에서 건설 예정 중인 소형 접안시설에 요구되는 특성을 살펴보면 조수 간만차 및 홍수시 수위차(많게는 7-9m, 적게는 3-5m 이상이 발생)로 인하여 접안시설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파일링 공법을 통한 시공이 불가피한 상황이며 이에 따른 전체 건설비 규모가 외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을 수밖에 없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바다, 호수, 하천 등지에서 수시로 변하는 조수 간만차 및 홍수시 수위차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면서 저렴한 비용으로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소형 선박을 위한 접안시설용 부유체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접안시설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부유체 모듈은, 바다, 호수, 하천 등지의 수면에 부유하면서 선박의 측면을 접하여 지지해주는 부유체와; 상기 부유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케이블이 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력에 의해 상기 지지 케이블을 당겨서 관리하면서, 수위가 높아질 때 상기 부유체의 상승하는 힘에 의해 상기 지지 케이블이 당겨지면 상기 지지 케이블의 풀어짐을 허용하고 수위가 낮아져 상기 부유체가 하강할 때에는 풀어졌던 상기 지지 케이블을 회수하는 조절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조절체는, 상기 부유체 내부에서 고정 설치된 복수의 고정풀리와; 상기 고정풀리에 대하여 이격된 위치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고정풀리와 함께 상기 지지 케이블의 중간부위를 지그재그 형태로 경유되도록 지지하여 상기 고정풀리에 대하여 접근하면 상기 지지 케이블의 풀어짐을 허용하고 상기 고정풀리에 대하여 멀어지면 풀어졌던 상기 지지 케이블을 회수할 수 있도록 한 복수의 이동풀리와; 상기 이동풀리가 상기 고정풀리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경향을 갖도록 탄성지지하는 복수의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내부공간을 갖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일측부와 타측부에 진퇴 가능하도록 설치된 한 쌍의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이 양측에서 당겨질 때 그에 반하는 힘으로 작용하는 압축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유체는 상기 조절체가 내부에 설치되도록 설치공간을 갖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외측 하부에 결합되어 수면에 대한 부력을 제공하는 부유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유체의 케이싱 내부에는 상기 지지 케이블의 일단을 감거나 풀어주는 윈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유체에는 수위 측정을 위한 수위센서와, 상기 수위센서와 연동하여 측정 데이터를 제공받는 제어기와, 상기 제어기를 통해 데이터를 제공받고 이를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모듈이 포함된 모니터링 유닛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 유닛에는, 정박된 선박을 감지할 수 있도록 초음파를 발사하여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초음파를 수신하는 초음파센서와; 상기 초음파센서에 의해 감지된 선박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한 카메라가 더 구비되어 상기 제어기와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접안시설은, 상기 부유체 모듈에 더해 상기 지지 케이블의 타단을 수중 지면에 고정하는 고정체를 구비하되, 상기 고정체는, 내부가 중공인 원통형의 철재 몸체로 이루어지되, 하단부는 수중 지면에 용이하게 박힐 수 있도록 끝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원뿔형 박힘부로 형성되고, 상기 박힘부가 형성되기 시작하는 경계선에는 상하방향을 길이방향으로 하여 요입된 형태로 형성되되 그 내측면이 유선형으로 형성되어 박힘작업시 수중 지면과의 마찰을 감소시켜주는 수직 가이드홈이 상기 경계선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배치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체는 몸체 내부로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유입공이 형성되되 그 유입공에는 물의 유입과 함께 유입되려는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거름망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부유체 모듈은 바다, 호수, 하천 등지에서 수시로 변하는 조수 간만차 및 홍수시 수위차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면서 저렴한 비용으로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접안시설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위가 높아지면 지지 케이블의 풀어짐을 허용함에도 불구하고 지지 케이블을 지그재그 형태로 복수의 지점에서 탄성 지지하는 구성에 의해 상기 지지 케이블에 충분한 장력을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부유체 및 그에 정박된 선박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실린더와 한 쌍의 피스톤과, 압축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탄성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다른 부품들에 대한 간섭 없이 지지 케이블에 안정적으로 장력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 케이블에 대해 작용하는 조절체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부유체의 케이싱에 은폐되어 깔끔한 외관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모니터링 유닛을 구비하여 정박된 선박에 대한 정보와 수위 정보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으므로 유지 및 관리에 편리하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접안시설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접안시설용 부유체 모듈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부유체 모듈을 포함하는 접안시설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부유체 모듈을 포함하는 접안시설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부유체 모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내부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절체의 작용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변형실시예에 의한 부유체 모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내부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변형실시예에 의한 접안시설에서 변형된 고정체가 적용된 전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변형실시예에 의한 접안시설에서 변형된 고정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접안시설용 부유체 모듈의 사용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접안시설용 부유체 모듈(110)은 바다, 호수, 하천 등지에서 선박의 일측을 지지하여 안정적으로 정박시키기 위한 접안시설(100)에 적용된다.
본 발명에 의한 부유체 모듈(110)은 수면에 부유하는 가운데 수위 변화에 따라 지지 케이블(120)을 신축 가능하게 탄성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수위에 따라 높낮이가 능동적으로 조절되는 접안시설(100)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접한시설용 부유체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부유체 모듈을 포함하는 접안시설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부유체 모듈을 포함하는 접안시설의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부유체 모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내부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부유체 모듈(110)은 부유체(111,112)를 형성하는 케이싱(111) 및 부유물질(112)과, 조절체(113,114a,114b)를 형성하는 복수의 탄성부재(113), 고정풀리(114a), 이동풀리(114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아래에서는 상기 구성요소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부유체 모듈(11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케이싱(111)은 상기 조절체(113,114a,114b)가 내부에 설치되도록 설치공간을 구비하는 박스 형태의 구조체이다. 여기서 상기 케이싱(111)의 재질은 알루미늄과 같이 경량소재이면서 외형을 유지할 수 있는 강도를 지닌 것이면 좋다. 또한, 상기 케이싱(111)의 각 모서리 인근에는 지지 케이블(120)이 통과하는 관통공(111a)이 형성되고, 그 관통공(111a)의 둘레를 따라 끼워져서 지지 케이블(120)의 손상을 방지해주는 보호용 오링(111b)이 더 구비된다. 상기 보호용 오링(111b)은 지지 케이블(120)과의 마찰을 줄일 수 있도록 테프론과 같은 소재로 구비된다.
상기 부유물질(112)은 상기 케이싱(111)의 외측 하부에 결합되어 수면에 대한 부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부유물질(112)은 스티로폼이나 그와 같은 기능을 갖는 소재의 것이면 바람직하며 도시된 것처럼 작은 크기의 것으로 복수개 구비되거나 커다란 크기의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절체(113,114a,114b)는 상기 지지 케이블(120)이 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력에 의해 상기 지지 케이블(120)을 당겨서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나아가 상기 조절체(113,114a,114b)는 상기 지지 케이블(120)의 중간 부위를 지그재그 형태로 지지하여 여유 있는 양을 확보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수위가 높아질 때 상기 부유체(111,112)의 상승하는 힘에 의해 상기 지지 케이블(120)이 당겨지면 상기 지지 케이블(120)의 풀어짐을 허용하는 한편, 반대로 수위가 낮아져 상기 부유체(111,112)가 하강할 때에는 풀어졌던 상기 지지 케이블(120)을 회수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조절체(113,114a,114b)는, 복수의 고정풀리(114a)와, 복수의 이동풀리(114b)와, 복수의 탄성부재(113)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풀리(114a)는 상기 케이싱(111) 내부에서 일렬로 배치되어 고정 설치된다.
상기 이동풀리(114b)는 상기 고정풀리(114a)에 대하여 이격된 위치에 일렬로 배치되어 이동(고정풀리에 대하여 진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고정풀리(114a)와 함께 상기 지지 케이블(120)의 중간부위를 지그재그 형태로 경유시켜 지지한다. 이로써, 상기 이동풀리(114b)가 고정풀리(114a)에 대하여 접근하면 상기 지지 케이블(120)의 풀어짐이 허용되고, 상기 이동풀리(114b)가 고정풀리(114a)에 대하여 멀어지면 풀어졌던 상기 지지 케이블(120)이 회수된다.
상기 탄성부재(113)는 상기 이동풀리(114b)가 상기 고정풀리(114a)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경향을 갖도록 탄성지지한다.
이같은 구성에서 주목할 점은 상기 지지 케이블(120)이 지그재그 형태로 복수의 고정풀리(114a)와 이동풀리(114b)를 경유하도록 한 독특한 구성에 의하여 하나가 아닌 복수의 탄성부재(113)에 의해 장력을 부여받도록 하였다는 점이다. 이로써 상기 지지 케이블(120)에 대하여 복수의 탄성부재(113)가 작용하게 되어 충분한 장력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윈치(115)는 지지 케이블(120)의 일단을 감거나 풀어줄 수 있도록 상기 케이싱(111) 내부에 설치된다. 이는 시시각각 변할 수 있는 수위에 따라 지지 케이블(120)의 길이를 실시간 능동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용도보다는 초기 설치 및 세팅시 지지 케이블(120)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함이다. 이같은 초기 설치 및 세팅이 완료되면 상기 윈치(115)는 회전하지 않도록 구속되어 지지 케이블(120)의 일단을 고정한다.
전술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부유체 모듈(110)을 접안시설에 적용하게 되면, 상기 지지 케이블(120)이 상기 부유체 모듈(110)의 좌측과 우측으로 각각 구비되며, 일단은 상기 케이싱(111) 내부에 설치된 윈치(115)에 의해 말린 상태로 고정되고, 타단은 수중 지면까지 드리워져 고정체(130)에 의해 수중 지면에 고정 지지된다. 이로써 장력에 의해 상기 부유체(111,112)를 지지하여 균형을 잡아준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절체의 작용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 개념도이다.
이처럼 상기 조절체(113,114a,114b)가 상기 지지 케이블(120)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장력을 유지하면서도 부유체(111,112)의 승강에 따라 그 길이를 조절해주는 작용의 개념이 도 6에 잘 나타나 있다. 도 6의 (a)와 같이 수위가 낮아 부유체(111,112)가 하강하려는 경우에는 지지 케이블(120)의 장력이 약해져 느슨해질 수 있지만 상기 탄성부재(113)가 탄성력에 의해 수축되면서 이동풀리(114b)를 고정풀리(114a)에 반하는 방향으로 당겨준다. 이때 고정풀리(114a)에 대하여 이동풀리(114b)의 이격이 벌어지면서 균형을 이루게 된다. 이로써 자칫 느슨해질 수 있는 지지 케이블(120)에 장력이 부여되어 유지되면서 상기 부유체(111,112)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반면에 도 6의 (b)와 같이 수위가 높아 부유체(111,112)가 상승하려는 경우에는 상기 지지 케이블(120)의 강력해진 장력의 영향으로 인해 상기 탄성부재(113)가 탄성력에 반하여 신장되면서 고정풀리(114a) 방향으로 이동풀리(114b)의 이동을 허용하게 된다. 그러면 고정풀리(114a)에 대하여 이동풀리(114b)의 이격이 좁혀진 상태에서 새롭게 균형을 이루게 된다. 이로써 상기 부유체(111,112)에 대한 지지 케이블(120)의 장력은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가운데 부유체(111,112)의 상승이 이루어진다.
한편, 개념도인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탄성부재(113)가 단순한 형태의 인장스프링으로 구비되어도 기능적으로는 무방하나 윈드라스 형태의 모듈로 구비되는 것이 다른 부품과의 간섭을 회피하거나 안정성 및 설치의 용이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113)는 내부공간을 갖는 원통형의 실린더(113a)와, 상기 실린더(113a)의 내부공간을 따라 일측부와 타측부에 진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선단부화 후단부에 각각 디스크(113d)와 연결고리(113e)를 갖는 한 쌍의 피스톤(113c)과, 상기 피스톤(113c)이 양측에서 당겨질 때 그에 반하는 힘으로 작용하는 압축스프링(113b)으로 이루어진다.
이같이 윈드라스 형태로 구성된 탄성부재(113)는 단순히 코일 형태로 이루어진 인장스프링에 비하여 다른 부품들에 대한 간섭 없이 이동풀리(114b)를 탄성지지할 수 있으므로 지지 케이블(120)에 장력을 안정적으로 부여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상기 모니터링 유닛(150)은 상기 케이싱(111) 측벽 중 선박이 정박하는 쪽 측벽에 설치되어(도 5 참조) 관련 정보를 수집하고 외부에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니터링 유닛(150)은 초음파센서(151), 수위센서(152), 카메라(153), 제어기(154) 및 통신모듈(155)을 포함하여 하나의 패키지 형태로 이루어지며 아래에서는 이들 세부 구성요소들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초음파센서(151)는 정박된 선박을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초음파센서(151)는 발신부와 수신부를 구비하며, 정박된 선박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발신부가 초음파를 발신하고, 선박으로부터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초음파를 상기 수신부가 수신한다. 그리고 그 수신된 신호는 상기 제어기(154)로 전송한다.
상기 수위센서(152)는 부유체(111,112)가 부유하고 있는 수면의 수위를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같은 수위의 측정은 간단히 기압을 측정함으로써 가능하고 분석함으로써 가능하다. 단, 상기 수위센서(152)에 의해 측정된 값은 실제로는 수위가 아니라 수면에서 부유하고 있는 부유체(111,112)의 높이에 해당하므로 상기 부유체(111,112)에 해당하는 부분을 감하고 나면 수면의 수위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카메라(153)는 상기 초음파센서(151)에 의해 선박이 감지되면 제어기(154)의 명령을 받고 감지된 선박을 촬영하여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제어기(154)에 전송한다.
상기 제어기(154)는 상기 초음파센서(151), 수위센서(152) 및 카메라(153)와 연동하여 이들을 제어하면서 이들이 수집한 정보 혹은 데이터를 수신한다.
상기 통신모듈(155)은 상기 제어기(154)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받고 이를 외부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이처럼 상기 모니터링 유닛(150)인 구비되면 정박된 선박에 대한 실시간 정보와 수위 정보를 외부에서 전송받고 확인할 수 있으므로 유지 및 관리에 편리한 장점이 있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변형실시예에 의한 부유체 모듈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이같은 변형실시예는 배치방식의 변형에 대한 것이며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변형실시예에 의한 부유체 모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내부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변형실시예에서는 변형전 실시예와 비교하여 윈치(115)가 생략되고 고정풀리(114a), 이동풀리(114b), 탄성부재(113)에 이르는 배치가 케이싱(111)의 단방향으로 이루어졌던 것에서 장방향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같은 배치형태는 변형전과 비교하여 탄성부재(113)의 길이가 긴 것으로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지지 케이블(120)에 대하여 동일한 장력을 부여하는 경우 탄성부재(113)의 설치개수를 줄일 수 있으므로 보다 간단한 구성을 갖는다는 장점이 있다.
다음은, 본 발명에 의한 부유체 모듈을 적용한 접안시설을 구현할 때 고정체의 변형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변형실시예에 의한 접안시설에서 변형된 고정체가 적용된 전체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변형실시예에 의한 접안시설에서 변형된 고정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부유체 모듈(110)을 적용한 접안시설에서 지지 케이블(120)의 타단을 고정해주는 고정체(160)가 수중 지면에 단순 고정되는 콘크리트 블록 대신 수중 지면에 삽입 및 제거가 용이한 말뚝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체(160)는 내부가 중공인 원통형의 철재 몸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몸체에는 그 내부로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유입공(161)이 형성되어 구비된다. 이같은 유입공(161)이 구비되면 고정체(160)가 수중에 잠기는 초기부터 그 내부로 물이 유입되면서 고정체(160) 사용에 따른 부력의 발생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체(160) 사용으로 인한 부력으로 인해 부유체(111,112)에 대한 지지가 불안정해질 수 있는 염려가 전혀 없다. 만일, 상기 유입공(161)이 구비되지 않는다면 고정체(160)로 인해 많은 양의 물이 배제되면서 상당한 크기의 부력이 발생되고, 이로 인해 무시하기 어려운 불안정성이 부유체(111,112) 및 선박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한편, 상기 고정체(160)의 유입공(161)에는 물과 함께 유입되려는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거름망(163)이 설치된다. 상기 거름망(163)은 물에 대하여 내식성을 갖는 소재로 구비되고, 토사를 포함하여 미세한 이물질도 걸러낼 수 있는 정도로 가능하면 촘촘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거름망(163)은 상기 고정체(160)의 내부에 대응하여 밀착되게 삽입될 수 있고 후에 필터처럼 간단히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원통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고정체(160)의 하단부에는 수중 지면에 대하여 용이하게 박힐 수 있도록 끝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원뿔형 박힘부(160b)가 형성되는데, 상기 박힘부(160b)가 형성되기 시작하는 원주방향의 경계선(160c)에는 상하방향을 길이방향으로 하여 요입된 형태로 형성된 수직 가이드홈(165)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 가이드홈(165)은 상기 경계선(160c)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수직 가이드홈(165)은 그 내측면(165a)이 유선형 곡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수직 가이드홈(165)의 하단은 상기 박힘부(160b) 표면으로부터 급격히 요입된 형태의 단턱(165b)으로 형성된다.
이처럼 수직 가이드홈(165)이 구비되면, 고정체(160)의 본체부(160a)와 박힘부(160b) 사이에 각진 형태로 형성된 경계선(160c)의 대부분이 제거되고 대신 유선형 내측면(165a)으로 대체되기 때문에 상기 고정체(160)가 자중에 의하여 수중 지면에 박힐 때 발생되는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체(160)가 일단 수중 지면에 박히게 되면 상기 수직 가이드홈(165)의 하단에 형성된 단턱(165b)이 수중 지면의 토사를 잡아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그 박혀 있는 상태를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10 : 부유체 111 : 케이싱
111a : 관통공 111b : 보호용 오링
112 : 부유물질 113 : 탄성부재
114a : 고정풀리 114 b : 이동풀리
114c : 보조풀리 115 : 윈치
120,120a,120b : 지지 케이블 130,160 : 고정체
150 : 모니터링 유닛 151 : 초음파센서
152 : 수위센서 153 : 카메라
154 : 제어기 155 : 통신모듈

Claims (10)

  1. 바다, 호수, 하천 등지의 수면에 부유하면서 선박의 측면을 접하여 지지해주는 부유체와;
    상기 부유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케이블이 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력에 의해 상기 지지 케이블을 당겨서 관리하면서, 수위가 높아질 때 상기 부유체의 상승하는 힘에 의해 상기 지지 케이블이 당겨지면 상기 지지 케이블의 풀어짐을 허용하고 수위가 낮아져 상기 부유체가 하강할 때에는 풀어졌던 상기 지지 케이블을 회수하는 조절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조절체는, 상기 부유체 내부에서 고정 설치된 고정풀리와; 상기 고정풀리에 대하여 이격된 위치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지지 케이블의 중간부위가 경유되도록 지지하면서 상기 고정풀리에 대하여 접근하면 상기 지지 케이블의 풀어짐을 허용하고 상기 고정풀리에 대하여 멀어지면 풀어졌던 상기 지지 케이블을 회수할 수 있도록 한 이동풀리와; 상기 이동풀리가 상기 고정풀리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경향을 갖도록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안시설용 부유체 모듈.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내부공간을 갖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일측부와 타측부에 진퇴 가능하도록 설치된 한 쌍의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이 양측에서 당겨질 때 그에 반하는 힘으로 작용하는 압축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안시설용 부유체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체는 상기 조절체가 내부에 설치되도록 설치공간을 갖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외측 하부에 결합되어 수면에 대한 부력을 제공하는 부유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안시설용 부유체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체의 케이싱 내부에는 상기 지지 케이블의 일단을 감거나 풀어주는 윈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안시설용 부유체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체에는 수위 측정을 위한 수위센서와, 상기 수위센서와 연동하여 측정 데이터를 제공받는 제어기와, 상기 제어기를 통해 데이터를 제공받고 이를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모듈이 포함된 모니터링 유닛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안시설용 부유체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유닛에는, 정박된 선박을 감지할 수 있도록 초음파를 발사하여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초음파를 수신하는 초음파센서와; 상기 초음파센서에 의해 감지된 선박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한 카메라가 더 구비되어 상기 제어기와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안시설용 부유체 모듈.
  8. 제1항,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부유체 모듈을 포함하는 접안시설.
  9. 삭제
  10. 삭제
KR1020110129084A 2011-12-05 2011-12-05 소형 선박을 위한 접안시설용 부유체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접안시설 KR1013109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9084A KR101310918B1 (ko) 2011-12-05 2011-12-05 소형 선박을 위한 접안시설용 부유체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접안시설
PCT/KR2012/010445 WO2013085260A1 (ko) 2011-12-05 2012-12-05 소형 선박을 위한 접안시설용 부유체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접안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9084A KR101310918B1 (ko) 2011-12-05 2011-12-05 소형 선박을 위한 접안시설용 부유체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접안시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2683A KR20130062683A (ko) 2013-06-13
KR101310918B1 true KR101310918B1 (ko) 2013-09-25

Family

ID=48574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9084A KR101310918B1 (ko) 2011-12-05 2011-12-05 소형 선박을 위한 접안시설용 부유체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접안시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10918B1 (ko)
WO (1) WO201308526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9855A (ko) * 2015-03-13 2016-09-21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제어기 분리형의 선박용 자동 빌지펌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5527B1 (ko) 2016-04-06 2016-11-11 주식회사 블루오션테크 앵커 장력 유지 장치가 구비된 부잔교
CN114855694B (zh) * 2022-04-29 2023-10-03 中交第三航务工程勘察设计院有限公司 一种适应大潮差条件的码头浮式滚装设施及作业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9880A (ja) * 1992-09-17 1994-04-12 Tokyo Seiko Co Ltd 舟艇用スタートステーション装置
JPH09193885A (ja) * 1996-01-17 1997-07-29 Zeniya Kaiyo Service Kk 浮施設の係留装置
JPH09202291A (ja) * 1996-01-30 1997-08-05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浮体減揺装置
KR20090129003A (ko) * 2008-06-12 2009-12-1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중량체를 이용한 부유식 구조물 계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9880A (ja) * 1992-09-17 1994-04-12 Tokyo Seiko Co Ltd 舟艇用スタートステーション装置
JPH09193885A (ja) * 1996-01-17 1997-07-29 Zeniya Kaiyo Service Kk 浮施設の係留装置
JPH09202291A (ja) * 1996-01-30 1997-08-05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浮体減揺装置
KR20090129003A (ko) * 2008-06-12 2009-12-1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중량체를 이용한 부유식 구조물 계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9855A (ko) * 2015-03-13 2016-09-21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제어기 분리형의 선박용 자동 빌지펌프
KR101721593B1 (ko) * 2015-03-13 2017-03-30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제어기 분리형의 선박용 자동 빌지펌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2683A (ko) 2013-06-13
WO2013085260A1 (ko) 2013-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86406B2 (ja) 浮体式構造物及び浮体式構造物の設置方法
KR101310915B1 (ko) 소형 선박용 부유 타입 접안장치
RU2375247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озврата подводн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US9822757B2 (en) Underwater tethered telemetry platform
EP2585711B1 (en) Ocean wave energy system
CN103906988B (zh) 海洋屏障闸门
CA2900477C (en) Apparatus for mooring floater using submerged pontoon
KR101505725B1 (ko) 해양 부유 구조물의 자가 부력 조절장치
KR101310918B1 (ko) 소형 선박을 위한 접안시설용 부유체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접안시설
RU2328589C2 (ru) Защи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глубоководного гибкого восходящего трубопровода
KR20120091816A (ko) 부유체의 계류 안정화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US1097583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fficient water turbine operation
CA3161795A1 (en) Floating platform for supporting generators of power derived from the wind and/or waves and/or ocean currents
KR102243564B1 (ko) 부유상태 전환이 가능한 차단막 연결 플랫폼 및 이를 포함하는 해양 부유쓰레기 차단장치
KR20160119357A (ko) 앵커링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부유식 해양 구조물
RU2328403C2 (ru) Защи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гибкого восходящего трубопровода
JP2012051555A (ja) 海洋または潜水機械装置の回収用装置
KR100979145B1 (ko) 이동 및 위치 조정 가능한 부유식 안벽
KR101422502B1 (ko) 부유구조물 또는 선박의 계류설비
RU2446979C2 (ru) Морской гидрогеофизический комплекс
RU2344963C2 (ru) Способ швартовки судна к погружному турельному бую и способ установки системы защиты восходящего трубопровода на морском дне
KR101029653B1 (ko) 발라스트 탱크를 가지는 도크게이트 개폐방법 및 그도크게이트
KR101629849B1 (ko) 해저 계류기기 회수장치
JP6750324B2 (ja) 水底係留構成体
US11485454B1 (en) Apparatus and method to confirm anchor holding st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