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3564B1 - 부유상태 전환이 가능한 차단막 연결 플랫폼 및 이를 포함하는 해양 부유쓰레기 차단장치 - Google Patents

부유상태 전환이 가능한 차단막 연결 플랫폼 및 이를 포함하는 해양 부유쓰레기 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3564B1
KR102243564B1 KR1020190114675A KR20190114675A KR102243564B1 KR 102243564 B1 KR102243564 B1 KR 102243564B1 KR 1020190114675 A KR1020190114675 A KR 1020190114675A KR 20190114675 A KR20190114675 A KR 20190114675A KR 102243564 B1 KR102243564 B1 KR 1022435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ed air
ballast
main body
floating
mar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4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3217A (ko
Inventor
강효동
원종화
박성민
강수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어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어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어시스
Priority to KR1020190114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3564B1/ko
Publication of KR20210033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32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3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35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8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 E02B15/0814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with underwater curt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0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8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 E02B15/0857Buoyancy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leaning Or Clearing Of The Surface Of Open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유상태 전환이 가능한 차단막 연결 플랫폼 및 이를 포함하는 해양 부유쓰레기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해양 부유쓰레기 차단장치는 해양 내 특정 감지영역에 부유하는 쓰레기의 존재유무를 감지하는 감지장치; 상기 감지장치를 통해 생성된 해양 부유쓰레기의 존재유무에 대한 감지정보를 기반으로 해수면상의 부유상태가 전환되는 복수의 차단막 연결 플랫폼; 및 상기 복수의 차단막 연결 플랫폼이 해수면으로 부상할 시, 상기 복수의 차단막 연결 플랫폼 중 상호 인접한 차단막 연결 플랫폼 사이에 연결되어 해양 부유쓰레기의 확산을 차단하는 차단막;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부유상태 전환이 가능한 차단막 연결 플랫폼 및 이를 포함하는 해양 부유쓰레기 차단장치 {BLOCKING SCREEN CONNECTION PLATFORM HAVING FLOAT STATE SWITCHING FUNCTION AND FLOATING GARBAGE BLOCK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부유상태 전환이 가능한 차단막 연결 플랫폼 및 이를 포함하는 해양 부유쓰레기 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해양에는 하천을 통해 유입되거나 해양에 직접적으로 버려져 부유하고 있는 쓰레기가 점점 급증하고 있으며, 이러한 해양 부유쓰레기는 해양 생태계에 악영향을 끼치고 있다.
이에 따라, 해양 부유쓰레기를 차집하여 제거하기 위해 해양 내 특정 영역에 걸쳐 차단막을 설치하는 시도가 국내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나 종래의 해양 부유쓰레기 차단막은 단순히 수평식 붐대에 그물망을 연결하는 구조로 구현되어 기능성에 많은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예를 들어, 해양 부유쓰레기 차단막의 설치 환경에 따른 파력, 조력, 풍하중과 같은 환경요인들에 대해 충분히 고려가 이루어지지 못해 쉽게 유실되거나 파손되어 해양 부유쓰레기의 차집기능을 수행하지 못함은 물론이고 2차 폐기물을 양산하여 오히려 해양 부유쓰레기를 늘리고 해양 오염의 원인으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의 해소를 위해 본 출원인은 선행문헌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18904호의 "계류플랫폼모듈, 해상 부유쓰레기 차단장치 및 해상 부유쓰레기 차단방법"을 통해 해양환경을 고려한 반영구적인 해양 부유쓰레기 차단 장치에 대한 기술을 제시한 바 있다.
이에 더 나아가, 본 출원인은 종래 해양 부유쓰레기 차단막이 고정 설치됨에 따라 해양 환경요인에 더욱 많은 영향을 받아 이를 견디기에 충분한 내구성 및 설치 고정력의 제공이 요구되었던 점과 방대한 설치 공간으로 인한 해수면 점유 영역이 선박의 운항을 방해하거나 이동의 제한을 줌에 따라 해수면 점유도를 최소화 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었던 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해양 부유쓰레기가 발생할 경우에 한해 적극적으로 쓰레기의 확산을 차단하고 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차단막을 제공하고, 그 외에는 해수면을 점유하지 않아 선박의 운항을 방해 혹은 제한하지 않도록 하는 해양 부유쓰레기 차단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해양 부유쓰레기 차단장치가 설치 위치로부터 해양 환경요인에 영향을 받아 쉽게 이탈되거나 파손되지 않고 견고하게 충분한 내구성 및 설치 고정력을 갖출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해양 부유쓰레기 차단장치는, 해양 내 특정 감지영역에 부유하는 쓰레기의 존재유무를 감지하는 감지장치; 상기 감지장치를 통해 생성된 해양 부유쓰레기의 존재유무에 대한 감지정보를 기반으로 해수면상의 부유상태가 전환되는 복수의 차단막 연결 플랫폼; 및 상기 복수의 차단막 연결 플랫폼이 해수면으로 부상할 시, 상기 복수의 차단막 연결 플랫폼 중 상호 인접한 차단막 연결 플랫폼 사이에 연결되어 해양 부유쓰레기의 확산을 차단하는 차단막;을 포함하며, 상기 차단막 연결 플랫폼은, 측면에 상기 차단막 연결을 위한 제1연결부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는 본체; 해저 지반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본체와 연결되어 상기 본체를 기 설정된 해양 영역 내에서 계류시키는 계류 유닛; 상기 본체 내부에 수용 설치되며, 상기 본체의 부력을 조절하여 상기 본체의 부유 상태를 전환시키는 밸러스트(Ballast) 유닛; 상기 감지장치로부터 생성된 해양 부유쓰레기의 존재유무에 대한 감지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유닛; 및 상기 통신 유닛을 통해 수신되는 감지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밸러스트 유닛의 동작상태를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계류 유닛은, 해저 지반에 고정 설치되는 복수의 계류용 앵커; 상기 계류용 앵커와 상기 본체를 연결하는 복수의 계류선; 및 상기 계류선 일측에 연결되며, 소정의 부력을 갖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중 부이(Buoy);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측면에 상기 계류선 연결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연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밸러스트 유닛은, 실린더 형태로 마련되어 내부에 소정의 압축공기를 저장하는 압축공기 저장기; 상기 압축공기 저장기와 공기 이동관을 통해 연결되며, 내부에 평형수(Ballast Water)가 저장되며, 내부에 저장되는 평형수가 상기 본체 외부로 배출되거나 상기 본체 외부로부터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평형수 이동관이 일측에 연결된 밸러스트 탱크; 상기 공기 이동관 일측에 연결되어 압력을 가해 상기 압축공기 저장기로부터 압축공기를 상기 밸러스트 탱크로 배출하거나 상기 압축공기 저장기로 압축공기를 상기 밸러스트 탱크로부터 유입시키는 압축공기 펌프; 상기 압축공기 펌프와 상기 밸러스트 탱크 사이의 상기 공기 이동관 일측에 설치되어, 배관의 개폐를 조절하는 압축공기 밸브; 및 상기 평형수 이동관 일측에 설치되어, 배관의 개폐를 조절하는 평형수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러스트 유닛은, 물에 비해 높은 비중을 갖춘 재질의 구조체로 마련되어, 상기 본체의 하부 내측에 수용 설치되는 영구 밸러스트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 유닛은, 상기 감지장치와 무선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감지장치로부터 해양 부유쓰레기의 존재유무에 대한 감지정보를 수신하고, 소정의 부력을 갖춘 부이(Buoy)형태로 마련되는 통신용 부이; 및 상기 통신용 부이와 상기 제어 유닛을 전선을 통해 연결하여 상기 통신용 부이를 통해 수신된 감지정보를 상기 제어유닛으로 전달하기 위한 유선통신망을 형성하는 통신용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통신 유닛을 통해 수신된 감지정보가 해양 내 특정 감지영역에 해양 부유쓰레기가 존재함을 감지한 정보일 경우, 상기 압축공기 펌프, 압축공기 밸브 및 평형수 밸브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밸러스트 탱크 내 평형수가 상기 압축공기 저장기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공기 이동관을 통해 이동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평형수 이동관을 통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본체의 부유상태가 해수면상에 부상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통신 유닛을 통해 수신된 감지정보가 해양 내 특정 감지영역에 해양 부유쓰레기가 존재하지 않음을 감지한 정보일 경우, 상기 압축공기 펌프, 압축공기 밸브 및 평형수 밸브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밸러스트 탱크 내 압축공기가 상기 공기 이동관을 통해 상기 압축공기 저장기로 회수되어 상기 평형수 이동관을 통해 외부로부터 평형수가 상기 밸러스트 탱크 내부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본체의 부유상태가 해저 지반으로 침식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단막 연결 플랫폼은, 해저 지반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본체의 부유상태가 해저 지반으로 침식되어 가라앉을 경우 안착되어 수평방향으로 이동이 제한될 수 있도록 상부에 개방된 안착 슬롯을 구비한 파킹(Parking) 부재; 및 상기 본체 하면에 돌출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본체의 부유상태가 해저 지반으로 침식되어 가라앉을 경우 상기 파킹 부재의 안착 슬롯에 안착되는 파킹 구조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또 다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부유상태 전환이 가능한 차단막 연결 플랫폼은, 해양 내 특정 감지영역에 부유하는 쓰레기의 존재유무를 감지하는 감지장치를 통해 생성된 해양 부유쓰레기의 존재유무에 대한 감지정보를 기반으로 해수면상의 부유상태가 전환되는 차단막 연결 플랫폼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 연결 플랫폼 복수개가 해수면으로 부상할 시, 상호 인접한 상기 차단막 연결 플랫폼 사이에 연결되어 해양 부유쓰레기의 확산을 차단하는 차단막의 연결을 위한 제1연결부를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는 본체; 해저 지반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본체와 연결되어 상기 본체를 기 설정된 해양 영역 내에서 계류시키는 계류 유닛; 상기 본체 내부에 수용 설치되며, 상기 본체의 부력을 조절하여 상기 본체의 부유 상태를 전환시키는 밸러스트(Ballast) 유닛; 상기 감지장치로부터 생성된 해양 부유쓰레기의 존재유무에 대한 감지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유닛; 및 상기 통신 유닛을 통해 수신되는 감지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밸러스트 유닛의 동작상태를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계류 유닛은, 해저 지반에 고정 설치되는 복수의 계류용 앵커; 상기 계류용 앵커와 상기 본체를 연결하는 복수의 계류선; 및 상기 계류선 일측에 연결되며, 소정의 부력을 갖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중 부이(Buoy);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측면에 상기 계류선 연결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연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러스트 유닛은, 린더 형태로 마련되어 내부에 소정의 압축공기를 저장하는 압축공기 저장기; 상기 압축공기 저장기와 공기 이동관을 통해 연결되며, 내부에 평형수(Ballast Water)가 저장되며, 내부에 저장되는 평형수가 상기 본체 외부로 배출되거나 상기 본체 외부로부터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평형수 이동관이 일측에 연결된 밸러스트 탱크; 상기 공기 이동관 일측에 연결되어 압력을 가해 상기 압축공기 저장기로부터 압축공기를 상기 밸러스트 탱크로 배출하거나 상기 압축공기 저장기로 압축공기를 상기 밸러스트 탱크로부터 유입시키는 압축공기 펌프; 상기 압축공기 펌프와 상기 밸러스트 탱크 사이의 상기 공기 이동관 일측에 설치되어, 배관의 개폐를 조절하는 압축공기 밸브; 상기 평형수 이동관 일측에 설치되어, 배관의 개폐를 조절하는 평형수 밸브; 및 물에 비해 높은 비중을 갖춘 재질의 구조체로 마련되어, 상기 본체의 하부 내측에 수용 설치되는 영구 밸러스트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통신 유닛은, 상기 감지장치와 무선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감지장치로부터 해양 부유쓰레기의 존재유무에 대한 감지정보를 수신하고, 소정의 부력을 갖춘 부이(Buoy)형태로 마련되는 통신용 부이; 및 상기 통신용 부이와 상기 제어 유닛을 전선을 통해 연결하여 상기 통신용 부이를 통해 수신된 감지정보를 상기 제어유닛으로 전달하기 위한 유선통신망을 형성하는 통신용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통신 유닛을 통해 수신된 감지정보가 해양 내 특정 감지영역에 해양 부유쓰레기가 존재함을 감지한 정보일 경우, 상기 압축공기 펌프, 압축공기 밸브 및 평형수 밸브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밸러스트 탱크 내 평형수가 상기 압축공기 저장기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공기 이동관을 통해 이동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평형수 이동관을 통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본체의 부유상태가 해수면상에 부상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통신 유닛을 통해 수신된 감지정보가 해양 내 특정 감지영역에 해양 부유쓰레기가 존재하지 않음을 감지한 정보일 경우, 상기 압축공기 펌프, 압축공기 밸브 및 평형수 밸브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밸러스트 탱크 내 압축공기가 상기 공기 이동관을 통해 상기 압축공기 저장기로 회수되어 상기 평형수 이동관을 통해 외부로부터 평형수가 상기 밸러스트 탱크 내부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본체의 부유상태가 해저 지반으로 침식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단막 연결 플랫폼은, 해저 지반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본체의 부유상태가 해저 지반으로 침식되어 가라앉을 경우 안착되어 수평방향으로 이동이 제한될 수 있도록 상부에 개방된 안착 슬롯을 구비한 파킹(Parking) 부재; 및 상기 본체 하면에 돌출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본체의 부유상태가 해저 지반으로 침식되어 가라앉을 경우 상기 파킹 부재의 안착 슬롯에 안착되는 파킹 구조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차단막 연결 플랫폼이 해양 부유 쓰레기 발생 시에만 해수면으로 부상하여 차단막의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필요한 경우에 한해 적극적으로 쓰레기의 확산을 차단하고 쉽게 제거할 수 있다.
둘째, 차단막 연결 플랫폼이 해양 부유 쓰레기 발생 시에만 해수면으로 부상하여 차단막의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그 외에는 해저 지반으로 침식하여 안착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설치 장소 주변의 해수면 점유시간을 최소화하고, 궁극적으로 선박의 이동을 방해하거나 제한하는 경우를 최소화할 수 있다.
셋째, 차단막 연결 플랫폼이 우수한 내구성 및 설치 고정력을 갖춘 구성 및 구조로 마련되어 부유상태에 관계없이 해수면상에 부상하여 있을 때 와 해저 지반에 침식되어 안착되어 있을 때 모두 해양 환경요인에 의한 이탈 및 파손의 문제가 최소화 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해양 부유쓰레기 차단장치 내 차단막 연결 플랫폼의 구조 및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해양 부유쓰레기 차단장치 내 차단막 연결 플랫폼의 부유상태가 해수면상으로 부상할 시의 작동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해양 부유쓰레기 차단장치 내 차단막 연결 플랫폼의 부유상태가 해저 지반으로 침강할 시의 작동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해양 부유쓰레기 차단장치의 설치 및 해양 부유쓰레기 차단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된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해양 부유쓰레기 차단장치의 구성요소에 관한 설명>
도1 내지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해양 부유쓰레기 차단장치(1000)는 해양 특정 감지영역 내에 해양 부유쓰레기(10)가 발생했을 시에만 해양 부유쓰레기 차단막이 설치되고, 그 외에는 해수면을 점유하지 않고 해저에 안착되어 대기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춘 장치로서, 이를 위해 차단막 연결 플랫폼(100); 감지장치(200); 및 차단막(300);를 포함한다.
감지장치(200)는 육지 측에 설치되어 해양 내 특정 감지영역에 부유하는 쓰레기(10)의 존재유무를 감지하는 장치로서, 레이더를 통해 감지를 수행하거나 인공위성으로부터 제공받은 항공 이미지를 활용하여 쓰레기의 발생을 감지할 수도 있다.
실시에 따라서는 영상 이미지 분석 혹은 해양 내 특정 성분을 감지하는 센서 모듈로 구현되어, 아래 설명될 차단막 연결 플랫폼(100) 내부에 내장 설치되도록 마련될 수 도 있다.
차단막 연결 플랫폼(100)은 감지장치(200)를 통해 생성된 해양 부유쓰레기(10)의 존재유무에 대한 감지정보를 기반으로 해수면상의 부유상태가 전환되는 플랫폼 모듈로서, 적어도 2개 이상의 복수 개로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차단막 연결 플랫폼(100)은 관리자에 의해 기 설정된 해양 영역 내에서 계류하도록 설치되어, 감지정보에 따라 부력의 변화를 조절하여 부유상태를 해수면으로 부상시키거나, 해저 지반으로 침강시켜 안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각각의 기 설정된 해양 영역 내에 계류하도록 설치된 복수의 차단막 연결 플랫폼(100)은 해양 부유쓰레기(10)의 발생 시, 해양 부유쓰레기(10)의 이동 및 확산을 차단하기 위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인접한 차단막 연결 플랫폼(100) 사이에 차단막(300)을 설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차단막(300)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차단막 연결 플랫폼(100)이 해수면으로 부상할 시, 복수의 차단막 연결 플랫폼(100) 중 상호 인접한 차단막 연결 플랫폼(100) 사이에 연결되어 해양 부유쓰레기(10)의 확산을 차단하는 막 부재로, 와이어 프레임에 연결된 스틸 와이어 또는 메쉬 등의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실시에 따라 해수면으로 부상한 복수의 차단막 연결 플랫폼(100) 상측과 복수의 차단막 연결 플랫폼(100) 중 상호 인접한 차단막 연결 플랫폼(100) 사이에 연결된 차단막(300) 상측으로부터 결합되어 차단 구조의 강성을 높이기 위한 차단막 지지대(400)가 도4와 같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차단막 지지대(400)는 차단막(300)에 의해 차단되는 해양 부유쓰레기(10) 및 다양한 환경요인에 의해 차단막(300)에 작용되는 하중을 고려하여, 차단막(300)의 무게를 지지하여 강성을 높이고, 자중에 의한 차단막(300)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다.
이를 통해, 복수의 차단막 연결 플랫폼(100)과 이들 사이에 연결된 차단막(300)이 형성하는 차단 구조는 차단막 지지대(400)로 인해 외력에 기인한 수직방향 운동성을 최소화한 구조를 갖추게 된다.
앞 서 설명한, 차단막 연결 플랫폼(100)은 구체적으로 본체(110), 계류 유닛(120), 밸러스트 유닛(130), 통신 유닛(140), 제어 유닛(150), 파킹 구조체(160), GPS 모듈(170), 촬영 모듈(180), 파킹 부재(190)를 포함한다.
우선, 본체(110)는 차단막 연결 플랫폼(100)의 기본적인 부유상태 전환 대상이 되는 하우징으로서, 측면에 차단막(300) 연결을 위한 제1연결부(111)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한다.
따라서 상호 인접한 차단막 연결 플랫폼(100) 사이에 설치되는 차단막(300)의 양측은 일측에 위치한 차단막 연결 플랫폼(100)의 본체(110) 외주면에 형성된 제1연결부(111)와 타측에 위치한 차단막 연결 플랫폼(100)의 본체(110) 외주면에 형성된 제1연결부(111)에 각각 연결된다.
아울러, 본체(110)의 측면에는 추후 설명될 계류선(Mooring) 연결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연결부(112)를 구비한다.
여기서, 본체(11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측면의 높이를 기준으로 제1연결부(111)가 제2연결부(112)에 비해 상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차단막(300)은 본체(110)의 상측에서 연결되어 펼쳐지고 계류 유닛(120)은 본체(110)의 하측에서 연결되어 아래쪽으로 고정력을 제공하여 일정 범위 내에서 본체(110)가 안정적으로 계류하며 설치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체(110)의 내부에는 밸러스트 유닛(130), 통신 유닛(140), 제어 유닛(150), GPS 모듈(170) 및 촬영 모듈(180)이 수용 설치되며, 실시에 따라서 특정 구성을 외측으로 노출되어 연결 설치될 수도 있다.
아울러, 본체(110)의 하부에는 본체(110)의 부력 조절을 통한 해저 지반으로의 침강 시 추후 설명될 파킹 부재(190)에 안정적 안착될 수 있도록 돌출된 파킹 구조체(160)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계류 유닛(120)은 해저 지반에 고정 설치되며, 본체(110)와 연결되어 본체(110)를 기 설정된 해양 영역 내에서 계류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계류용 앵커(121), 계류선(122) 및 수중 부이(123)를 포함한다.
이러한 계류 유닛(120)은 차단막 연결 플랫폼(100)의 설치에 있어 가장 우선적으로 설치되어야 하는 구성으로, 우선 차단막 연결 플랫폼(100)을 설치하고자하는 지점을 중심으로 계류용 앵커(121)가 둘러싸도록 연결한 뒤, 계류선(122) 및 수중 부이(123)를 본체(110)에 연결하게 된다.
여기서, 계류용 앵커(121)는 복수 개로 마련되며, 해저 지반에 고정 설치되어 중력식 앵커로서, 차단막 연결 플랫폼(100)을 설치하고자하는 지점을 중심으로 해저 지반에 고정 설치된 계류용 앵커(121) 각각은 계류선(122)을 통해 본체(110)의 측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연결부(112)와 연결을 이룬다.
실시에 따라, 계류용 앵커(121)는 석션 앵커, 토페도 앵커, 드래그 앵커 등 다양하게 해저 지반의 상태를 고려하여 변형 설계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계류선(122) 각각에 작용 혹은 전달되는 표류력에 대한 계류 반력을 본체(110)에 전달한다.
아울러, 복수의 계류용 앵커(121) 각각을 본체(110)의 측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연결부(112)에 연결시키는 계류선(122) 각각의 일측에는 소정의 부력을 갖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중 부이(Buoy)(123)가 연결된다.
차단막 연결 플랫폼(100)의 본체(110) 외주면에 형성된 제1연결부(111)에 각각 연결된 차단막(300)에 해양 환경적 요인 혹은 해양 부유쓰레기(10)가 작용하여 일으키는 외부 하중은 복수의 계류용 앵커(121)에 전달될 수 있기 때문에 수중 부이(123)를 계류선(122) 각각의 일측에 설치하여 차단막(300)에 해양 환경적 요인 혹은 해양 부유쓰레기(10)가 작용하여 일으키는 외부 하중이 복수의 계류용 앵커(121)에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수중 부이(123)에 의해 해양 환경적 요인 혹은 해양 부유쓰레기(10)가 작용하여 일으키는 외부 하중에 의한 차단막(300)의 움직임은 복수의 계류용 앵커(121)에 영향을 거의 주지 않게 된다.
다음으로, 밸러스트(Ballast) 유닛(130)은 본체(110) 내부에 수용 설치되며, 본체(110)의 부력을 조절하여 본체(110)의 부유 상태를 전환시키는 구성으로, 이를 위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공기 저장기(131), 밸러스트 탱크(132), 압축공기 펌프(133), 압축공기 밸브(134), 평형수 이동관(135), 공기 이동관(136), 평형수 밸브(137), 영구 밸러스트 부재(138)를 포함한다.
여기서, 압축공기 저장기(131)는 실린더 형태로 마련되어 내부에 소정의 압축공기가 저장되는 저장공간이 마련된 압력 용기로서, 내압 및 외압을 모두 견딜 수 있도록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 내부 상측에 수용 설치된다.
또한, 압축공기 저장기(131) 아래로는 공기 이동관(136)을 통해 연결되며, 내부에 평형수(Ballast Water)가 저장되는 저장공간이 마련된 밸러스트 탱크(132)가 본체(110) 내부에 수용 설치된다.
따라서 압축공기 저장기(131) 내부에는 압축공기가 내장되어 있고, 밸러스트 탱크(132) 내부에는 평형수가 내장되어 있는 상태에서, 이들은 공기 이동관(136)을 통해 상호 연결된 상태이다.
아울러, 밸러스트 탱크(132)는 내부에 저장되는 평형수가 본체(110) 외부로 배출되거나 본체(110) 외부로부터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평형수 이동관(135)이 일측에 연결된다.
다시 말해, 밸러스트 탱크(132) 내부에 저장되는 평형수는 평형수 이동관(135)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거나 외부로부터 유입될 수 있으며, 이는 본체(110)의 부력을 달리 조절하여 부유 상태를 제어하게 한다.
또한, 공기 이동관(136) 일측에는 압력을 가해 압축공기 저장기(131)로부터 압축공기를 밸러스트 탱크(132)로 배출하거나 압축공기 저장기(131)로 압축공기를 밸러스트 탱크(132)로부터 유입 회수시키는 압축공기 펌프(133)가 연결된다.
아울러, 공기 이동관(136) 일측 중 압축공기 펌프(133)의 설치 위치와 밸러스트 탱크(132) 사이에는 배관의 개폐를 조절하여 공기 이동관(136)을 통한 압축공기 이동 유무 및 이동량을 조절할 수 있는 솔레노이드 밸브 타입의 압축공기 밸브(134)가 설치된다.
또한, 평형수 이동관(135) 일측에는 배관의 개폐를 조절하여 평형수 이동관(135)을 통한 평형수 이동 유무 및 이동량을 조절할 수 있는 솔레노이드 밸브 타입의 평형수 밸브(137)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본체(110)의 부력을 달리 조절하여 부유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압축공기 이동 및 평형수의 이동은 압축공기 펌프(133)의 작동 여부 및 작동 방향과 압축공기 밸브(134) 및 평형수 밸브(137)의 개폐상태 조절을 통해 이루어진다.
더욱 구체적으로 압축공기 펌프(133)의 작동 여부 및 작동 방향과 압축공기 밸브(134) 및 평형수 밸브(137)의 개폐상태 조절은 아래 설명될 제어 유닛(150)에 의해 제어된다.
더 나아가, 영구 밸러스트 부재(138)는 물에 비해 높은 비중을 갖춘 재질의 구조체로 마련되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의 하부 내측에 수용 설치되어 본체(110)의 무게중심을 낮춤으로써, 본체(110)의 정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설치된다.
여기서, 영구 밸러스트 부재(138)는 콘크리트, 철광석 등의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물에 비해 높은 비중을 갖춘 재질의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실시될 수 있다.
통신 유닛(140)은 감지장치(200)로부터 생성된 해양 부유쓰레기(10)의 존재유무에 대한 감지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기능을 갖춘 모듈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실시에 따라 본체(110)의 내부에 설치된 단독의 무선 통신장비로 마련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통신용 부이(141)와 통신용 케이블(142)을 포함하도록 실시된다.
이는 본체(110)가 해양 부유쓰레기(10)의 존재유무에 따라 부력을 달리하여 부유상태를 조절함으로써, 해수면상에 부상하여 위치할 수도 있지만 해저 지반 아래로 침식하여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도 분명 존재하기 때문에 해저 아래에서 무선 통신을 통해 정보, 신호 및 데이터 등 다양한 통신 대상의 송, 수신을 수행하는 것에 어려움이 존재하기 때문에 무선통신 환경과 유선통신 환경을 복합적으로 이용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통신용 부이(141)는 감지장치(200)와 무선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감지장치(200)로부터 해양 부유쓰레기(10)의 존재유무에 대한 감지정보를 수신하고, 소정의 부력을 갖춘 부이형 통신 모듈로서 본체(110)의 부유상태가 해수면상에 부상되어 있든, 해저 지면 아래로 침식되어 안착되어 있든 상관없이 해수면상 측에 가깝게 부유하거나 잠수되어 있어 안정적인 무선 통신 환경의 유지가 가능하다.
아울러, 통신용 케이블(142)은 앞 서 설명한 무선통신 기능을 유지하며 해수면상 측에 가깝게 부유하거나 잠수되어 있는 통신용 부이(141)와 제어 유닛(150)을 전선을 통해 연결하여 통신용 부이(141)를 통해 수신된 감지정보를 상기 제어유닛으로 전달하기 위한 유선통신망을 형성하는 케이블이다.
또한, 실시에 따라 통신용 부이(141)는 하나의 수중 부이(123)에 연결선(140c)을 통해 상호 연결되어 부력에 대한 상호 보완을 물론이고, 본체(110)와 통신용 부이(141)의 운동에 의한 인장력에 저항하기 위한 Tension Wire로의 기능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 유닛(150)은 통신 유닛(140)을 통해 수신되는 감지정보를 기반으로 밸러스트 유닛(130)의 동작상태를 제어하여 본체(110)의 부력이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본체(110)의 부유상태가 변화되도록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 유닛(150)은 감지정보 분석부(미도시)를 통해 감지장치(200)루부터 생성되어 통신 유닛(140)으로 수신되는 감지정보를 전달받아 정보의 내용을 분석하여 해양 내 특정 감지영역에 해양 부유쓰레기(10)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에 따라 제어 유닛(150)은 감지정보 분석부(미도시)를 통해 분석된 감지정보가 해양 내 특정 감지영역에 해양 부유쓰레기(10)가 존재함을 감지한 정보임을 판단할 경우, 본체 부상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압축공기 펌프(133), 압축공기 밸브(134) 및 평형수 밸브(137)의 동작을 제어하여, 밸러스트 탱크(132) 내 평형수가 압축공기 저장기(131)로부터 배출되어 공기 이동관(136)을 통해 이동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가압되어 평형수 이동관(135)을 통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의 부유상태가 해수면상에 부상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해수면상을 부상된 본체(110)의 측면으로 앞 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차단막(300)을 설치하여 감지된 해양 내 특정 감지영역에 흘러들어온 해양 부유쓰레기(10)가 더 이상 확산되지 않도록 이동을 차단시키고, 이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 유닛(150)은 감지정보 분석부(미도시)를 통해 분석된 감지정보가 해양 내 특정 감지영역에 해양 부유쓰레기(10)가 존재하지 않음을 감지한 정보임을 판단할 경우, 본체 침식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압축공기 펌프(133), 압축공기 밸브(134) 및 평형수 밸브(137)의 동작을 제어하여, 밸러스트 탱크(132) 내 압축공기가 공기 이동관(136)을 통해 압축공기 저장기(131)로 회수되어 압력 평형을 위해 평형수 이동관(135)을 통해 외부로부터 평형수가 밸러스트 탱크(132) 내부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의 부유상태가 해저 지반으로 침식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해저 지반으로 침식되어 가라앉은 본체(110)는 해수면상에 불필요하고 비효율적이던 점유 공간을 없애 선박의 자유로운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한다.
아울러, 해저 지반으로 침식되어 가라앉은 본체(110)는 해저 지반 근처에서 안정적으로 안착되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킹(Parking) 부재(190)에 끼워진다.
여기서, 파킹(Parking) 부재(190)는 해저 지반에 고정 설치되며, 본체(110)의 부유상태가 해저 지반으로 침식되어 가라앉을 경우 안착되어 수평방향으로 이동이 제한될 수 있도록 상부에 개방된 안착 슬롯을 구비한 파킹 플랫폼 부재이다.
이와 대응되어, 본체(110)의 하면에는 돌출형태로 마련되어, 본체(110)의 부유상태가 해저 지반으로 침식되어 가라앉을 경우 파킹 부재(190)의 안착 슬롯에 안착되는 라드 형태의 파킹 구조체(160)가 구비된다.
다시 말해, 본체(110)의 부유상태가 해저 지반으로 침식되어 가라앉음에 따라 본체(110) 하면의 파킹 구조체(160)는 파킹 부재(190)의 안착 슬롯으로 가이드되어 이동된 후 안착됨으로서 파킹 작업이 완료되게 된다.
더 나아가. 본체(110) 하면의 파킹 구조체(160) 주변으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완충부재(165)가 설치되어 파킹 구조체(160)가 파킹 부재(190)의 안착 슬롯에 안착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이 본체(110)에 과도하게 전달되지 않도록 완화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완충부재(165)는 스프링이나 댐퍼에서부터 소정의 탄성을 가진 재질의 구조체까지 완충 작용의 구현을 위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다음으로, GPS 모듈(170)은 본체(110)의 위처정보를 생성하는 모듈로서 주기적으로 신호를 생성하여 통신 유닛(140)을 통해 외부 관리 장치, 서보 혹은 관리자 단말 등으로 정보를 송신하여 차단막 연결 플랫폼(100)의 실기간 위치에 대한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촬영 모듈(180)은 본체(110)의 주변 환경을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생성하는 모듈로서 주기적 혹은 특정 신호 수신 또는 발생 시 생성되는 영상정보를 통신 유닛(140)을 통해 외부 관리 장치, 서보 혹은 관리자 단말 등으로 정보를 송신하여 차단막 연결 플랫폼(100)의 주변 상황을 영상으로 실시간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외에도 차단막 연결 플랫폼(100) 앞 서 설명한 세부 구성의 기능 수행에 요구되는 동작 전원을 저장하는 배터리 장치에서부터, 해당 동작 전원을 자가 발전을 통해 생성하여 배터리에 저장하거나 각 구성부로 공급하기 위한 전력 공급 모듈 또한 추가로 본체(110) 내부에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호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0 : 해양 부유쓰레기 차단장치
100 : 차단막 연결 플랫폼
110 : 본체
111 : 제1연결부 112 : 제2연결부
120 : 계류 유닛
121 : 계류용 앵커 122 : 계류선
123 : 수중 부이
130 : 밸러스트 유닛
131 : 압축공기 저장기 132 : 밸러스트 탱크
133 : 압축공기 펌프 134 : 압축공기 밸브
135 : 평형수 이동관 136 : 공기 이동관
137 : 평형수 밸브 138 : 영구 밸러스트 부재
140 : 통신 유닛
141 : 통신용 부이 142 : 통신용 케이블
140c : 연결선
150 : 제어유닛 160 : 파킹 구조체
165 : 완충 부재 170 : GPS 모듈
180 : 촬영모듈 190 : 파킹 부재
200 : 감지장치
300 : 차단막
400 : 차단막 지지대

Claims (14)

  1. 해양 내 특정 감지영역에 부유하는 쓰레기의 존재유무를 감지하는 감지장치;
    상기 감지장치를 통해 생성된 해양 부유쓰레기의 존재유무에 대한 감지정보를 기반으로 해수면상의 부유상태가 전환되는 복수의 차단막 연결 플랫폼; 및
    상기 복수의 차단막 연결 플랫폼이 해수면으로 부상할 시, 상기 복수의 차단막 연결 플랫폼 중 상호 인접한 차단막 연결 플랫폼 사이에 연결되어 해양 부유쓰레기의 확산을 차단하는 차단막;을 포함하며,
    상기 차단막 연결 플랫폼은,
    측면에 상기 차단막 연결을 위한 제1연결부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는 본체;
    해저 지반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본체와 연결되어 상기 본체를 기 설정된 해양 영역 내에서 계류시키는 계류 유닛;
    상기 본체 내부에 수용 설치되며, 상기 본체의 부력을 조절하여 상기 본체의 부유 상태를 전환시키는 밸러스트(Ballast) 유닛;
    상기 감지장치로부터 생성된 해양 부유쓰레기의 존재유무에 대한 감지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유닛; 및
    상기 통신 유닛을 통해 수신되는 감지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밸러스트 유닛의 동작상태를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밸러스트 유닛은,
    실린더 형태로 마련되어 내부에 소정의 압축공기를 저장하는 압축공기 저장기;
    상기 압축공기 저장기와 공기 이동관을 통해 연결되며, 내부에 평형수(Ballast Water)가 저장되며, 내부에 저장되는 평형수가 상기 본체 외부로 배출되거나 상기 본체 외부로부터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평형수 이동관이 일측에 연결된 밸러스트 탱크;
    상기 공기 이동관 일측에 연결되어 압력을 가해 상기 압축공기 저장기로부터 압축공기를 상기 밸러스트 탱크로 배출하거나 상기 압축공기 저장기로 압축공기를 상기 밸러스트 탱크로부터 유입시키는 압축공기 펌프;
    상기 압축공기 펌프와 상기 밸러스트 탱크 사이의 상기 공기 이동관 일측에 설치되어, 배관의 개폐를 조절하는 압축공기 밸브; 및
    상기 평형수 이동관 일측에 설치되어, 배관의 개폐를 조절하는 평형수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부유쓰레기 차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류 유닛은,
    해저 지반에 고정 설치되는 복수의 계류용 앵커;
    상기 계류용 앵커와 상기 본체를 연결하는 복수의 계류선; 및
    상기 계류선 일측에 연결되며, 소정의 부력을 갖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중 부이(Buoy);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측면에 상기 계류선 연결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연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부유쓰레기 차단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러스트 유닛은,
    물에 비해 높은 비중을 갖춘 재질의 구조체로 마련되어, 상기 본체의 하부 내측에 수용 설치되는 영구 밸러스트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부유쓰레기 차단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유닛은,
    상기 감지장치와 무선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감지장치로부터 해양 부유쓰레기의 존재유무에 대한 감지정보를 수신하고, 소정의 부력을 갖춘 부이(Buoy)형태로 마련되는 통신용 부이; 및
    상기 통신용 부이와 상기 제어 유닛을 전선을 통해 연결하여 상기 통신용 부이를 통해 수신된 감지정보를 상기 제어유닛으로 전달하기 위한 유선통신망을 형성하는 통신용 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부유쓰레기 차단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통신 유닛을 통해 수신된 감지정보가 해양 내 특정 감지영역에 해양 부유쓰레기가 존재함을 감지한 정보일 경우, 상기 압축공기 펌프, 압축공기 밸브 및 평형수 밸브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밸러스트 탱크 내 평형수가 상기 압축공기 저장기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공기 이동관을 통해 이동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평형수 이동관을 통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본체의 부유상태가 해수면상에 부상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부유쓰레기 차단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통신 유닛을 통해 수신된 감지정보가 해양 내 특정 감지영역에 해양 부유쓰레기가 존재하지 않음을 감지한 정보일 경우, 상기 압축공기 펌프, 압축공기 밸브 및 평형수 밸브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밸러스트 탱크 내 압축공기가 상기 공기 이동관을 통해 상기 압축공기 저장기로 회수되어 상기 평형수 이동관을 통해 외부로부터 평형수가 상기 밸러스트 탱크 내부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본체의 부유상태가 해저 지반으로 침식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부유쓰레기 차단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 연결 플랫폼은,
    해저 지반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본체의 부유상태가 해저 지반으로 침식되어 가라앉을 경우 안착되어 수평방향으로 이동이 제한될 수 있도록 상부에 개방된 안착 슬롯을 구비한 파킹(Parking) 부재; 및
    상기 본체 하면에 돌출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본체의 부유상태가 해저 지반으로 침식되어 가라앉을 경우 상기 파킹 부재의 안착 슬롯에 안착되는 파킹 구조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부유쓰레기 차단장치.
  9. 해양 내 특정 감지영역에 부유하는 쓰레기의 존재유무를 감지하는 감지장치를 통해 생성된 해양 부유쓰레기의 존재유무에 대한 감지정보를 기반으로 해수면상의 부유상태가 전환되는 차단막 연결 플랫폼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 연결 플랫폼 복수개가 해수면으로 부상할 시, 상호 인접한 상기 차단막 연결 플랫폼 사이에 연결되어 해양 부유쓰레기의 확산을 차단하는 차단막의 연결을 위한 제1연결부를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는 본체;
    해저 지반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본체와 연결되어 상기 본체를 기 설정된 해양 영역 내에서 계류시키는 계류 유닛;
    상기 본체 내부에 수용 설치되며, 상기 본체의 부력을 조절하여 상기 본체의 부유 상태를 전환시키는 밸러스트(Ballast) 유닛;
    상기 감지장치로부터 생성된 해양 부유쓰레기의 존재유무에 대한 감지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유닛; 및
    상기 통신 유닛을 통해 수신되는 감지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밸러스트 유닛의 동작상태를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밸러스트 유닛은,
    실린더 형태로 마련되어 내부에 소정의 압축공기를 저장하는 압축공기 저장기;
    상기 압축공기 저장기와 공기 이동관을 통해 연결되며, 내부에 평형수(Ballast Water)가 저장되며, 내부에 저장되는 평형수가 상기 본체 외부로 배출되거나 상기 본체 외부로부터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평형수 이동관이 일측에 연결된 밸러스트 탱크;
    상기 공기 이동관 일측에 연결되어 압력을 가해 상기 압축공기 저장기로부터 압축공기를 상기 밸러스트 탱크로 배출하거나 상기 압축공기 저장기로 압축공기를 상기 밸러스트 탱크로부터 유입시키는 압축공기 펌프;
    상기 압축공기 펌프와 상기 밸러스트 탱크 사이의 상기 공기 이동관 일측에 설치되어, 배관의 개폐를 조절하는 압축공기 밸브;
    상기 평형수 이동관 일측에 설치되어, 배관의 개폐를 조절하는 평형수 밸브; 및
    물에 비해 높은 비중을 갖춘 재질의 구조체로 마련되어, 상기 본체의 하부 내측에 수용 설치되는 영구 밸러스트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상태 전환이 가능한 차단막 연결 플랫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계류 유닛은,
    해저 지반에 고정 설치되는 복수의 계류용 앵커;
    상기 계류용 앵커와 상기 본체를 연결하는 복수의 계류선; 및
    상기 계류선 일측에 연결되며, 소정의 부력을 갖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중 부이(Buoy);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측면에 상기 계류선 연결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연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상태 전환이 가능한 차단막 연결 플랫폼.
  11. 삭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유닛은,
    상기 감지장치와 무선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감지장치로부터 해양 부유쓰레기의 존재유무에 대한 감지정보를 수신하고, 소정의 부력을 갖춘 부이(Buoy)형태로 마련되는 통신용 부이; 및
    상기 통신용 부이와 상기 제어 유닛을 전선을 통해 연결하여 상기 통신용 부이를 통해 수신된 감지정보를 상기 제어유닛으로 전달하기 위한 유선통신망을 형성하는 통신용 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상태 전환이 가능한 차단막 연결 플랫폼.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통신 유닛을 통해 수신된 감지정보가 해양 내 특정 감지영역에 해양 부유쓰레기가 존재함을 감지한 정보일 경우, 상기 압축공기 펌프, 압축공기 밸브 및 평형수 밸브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밸러스트 탱크 내 평형수가 상기 압축공기 저장기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공기 이동관을 통해 이동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평형수 이동관을 통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본체의 부유상태가 해수면상에 부상되도록 하며,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통신 유닛을 통해 수신된 감지정보가 해양 내 특정 감지영역에 해양 부유쓰레기가 존재하지 않음을 감지한 정보일 경우, 상기 압축공기 펌프, 압축공기 밸브 및 평형수 밸브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밸러스트 탱크 내 압축공기가 상기 공기 이동관을 통해 상기 압축공기 저장기로 회수되어 상기 평형수 이동관을 통해 외부로부터 평형수가 상기 밸러스트 탱크 내부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본체의 부유상태가 해저 지반으로 침식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상태 전환이 가능한 차단막 연결 플랫폼.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 연결 플랫폼은,
    해저 지반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본체의 부유상태가 해저 지반으로 침식되어 가라앉을 경우 안착되어 수평방향으로 이동이 제한될 수 있도록 상부에 개방된 안착 슬롯을 구비한 파킹(Parking) 부재; 및
    상기 본체 하면에 돌출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본체의 부유상태가 해저 지반으로 침식되어 가라앉을 경우 상기 파킹 부재의 안착 슬롯에 안착되는 파킹 구조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상태 전환이 가능한 차단막 연결 플랫폼.
KR1020190114675A 2019-09-18 2019-09-18 부유상태 전환이 가능한 차단막 연결 플랫폼 및 이를 포함하는 해양 부유쓰레기 차단장치 KR1022435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4675A KR102243564B1 (ko) 2019-09-18 2019-09-18 부유상태 전환이 가능한 차단막 연결 플랫폼 및 이를 포함하는 해양 부유쓰레기 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4675A KR102243564B1 (ko) 2019-09-18 2019-09-18 부유상태 전환이 가능한 차단막 연결 플랫폼 및 이를 포함하는 해양 부유쓰레기 차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3217A KR20210033217A (ko) 2021-03-26
KR102243564B1 true KR102243564B1 (ko) 2021-04-22

Family

ID=75259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4675A KR102243564B1 (ko) 2019-09-18 2019-09-18 부유상태 전환이 가능한 차단막 연결 플랫폼 및 이를 포함하는 해양 부유쓰레기 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356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6860A (ko) 2021-09-30 2023-04-06 주식회사 포어시스 수위변화 대응형 부유식 차단막 시스템
KR20240055194A (ko) 2022-10-19 2024-04-29 주식회사 포어시스 하천 부유쓰레기 수거용 장치 및 그 운용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32106A1 (en) * 2012-09-03 2014-03-06 Seacaptaur Ip Ltd Buoy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7484A (ko) * 2015-03-04 2016-09-19 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 해조류 양식장 승하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해조류 양식장
KR102000527B1 (ko) * 2017-08-16 2019-10-01 주식회사 포어시스 계류플랫폼모듈, 해상 부유쓰레기 차단장치 및 해상 부유쓰레기 차단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32106A1 (en) * 2012-09-03 2014-03-06 Seacaptaur Ip Ltd Buo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6860A (ko) 2021-09-30 2023-04-06 주식회사 포어시스 수위변화 대응형 부유식 차단막 시스템
KR20240055194A (ko) 2022-10-19 2024-04-29 주식회사 포어시스 하천 부유쓰레기 수거용 장치 및 그 운용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3217A (ko) 2021-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10399C (en) Tidal flow power generation
US7887254B2 (en) Wave attenuator and security barrier system-adjustor
KR102243564B1 (ko) 부유상태 전환이 가능한 차단막 연결 플랫폼 및 이를 포함하는 해양 부유쓰레기 차단장치
AU2009294382B2 (en) Method of locating a subsea structure for deployment
EP0880450A1 (en) System for loading ships at sea
EP3653482B1 (en) Subsurface marine battery pack
US20050058509A1 (en) Floating modular breakwater
KR102000527B1 (ko) 계류플랫폼모듈, 해상 부유쓰레기 차단장치 및 해상 부유쓰레기 차단방법
KR101310915B1 (ko) 소형 선박용 부유 타입 접안장치
WO2018148144A1 (en) Self-installing offshore platform
CN111377039A (zh) 自由站立式水下基站支持系统
KR101310918B1 (ko) 소형 선박을 위한 접안시설용 부유체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접안시설
GB2435083A (en) Buoyancy apparatus and method of use
CN115923998A (zh) 一种漂浮系统的系泊设备以及漂浮式风机系统
JP2006249914A (ja) 津波防波堤
JP2006249914A5 (ko)
JP3108761B2 (ja) 多段式係留杭
US20130074758A1 (en) Anchoring apparatus for wave energy converters
KR100452595B1 (ko) 해상의 하부 구조물 위에 해상 플랫폼을 충격 및 집중하중 없이 설치하는 방법
KR102606361B1 (ko) 조류 및 풍속에 대한 대처와 부착생물의 억제가 동시에가능한 오탁방지막
JP4628818B2 (ja) 浮沈式オイルフェンスの端部係留装置
JP2005207220A (ja) 津波防波堤
JP2002081048A (ja) 軟着底式海洋構造物
WO2013134815A1 (en) Submersible docking apparatus
KR20110005998A (ko) 가변형 해류투과식 부유방파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