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6860A - 수위변화 대응형 부유식 차단막 시스템 - Google Patents

수위변화 대응형 부유식 차단막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6860A
KR20230046860A KR1020210130396A KR20210130396A KR20230046860A KR 20230046860 A KR20230046860 A KR 20230046860A KR 1020210130396 A KR1020210130396 A KR 1020210130396A KR 20210130396 A KR20210130396 A KR 20210130396A KR 20230046860 A KR20230046860 A KR 202300468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ating
water level
barrier system
responds
level chang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0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6730B1 (ko
Inventor
박성민
김규원
강효동
옥수열
원종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어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어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어시스
Priority to KR1020210130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6730B1/ko
Publication of KR20230046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68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6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67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8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 E02B15/0814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with underwater curt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0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8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 E02B15/0857Buoyancy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52Submerged foundations, i.e. submerged in open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61Production methods for working under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수위변화 대응형 부유식 차단막 시스템은, 수위변화 대응형 부유식 차단막 시스템(10)으로서, 하천이나 해양의 미리 정해진 영역에서 부유가능하도록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부유체 구조물(50a,50b) 및 부유체 구조물(50a,50b)에 끝단부가 연결되고 하천이나 해양에서 부유하는 쓰레기를 차단하기 위한 차단막(1101)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수위변화 대응형 부유식 차단막 시스템{FLOATING BARRIER SYSTEM ABLE TO RESPOND TO CHANGES OF WATER LEVEL}
본 발명은 부유식 차단막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부유식 차단막과 고정 지지구조물 간의 연결방식을 개선시킴으로써, 차단막 시스템의 위치변화와 하천이나 해양의 수위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여, 부유쓰레기의 차단 효율을 크게 개선시키고 환경하중(wind, wave, current)에 견디는 성능을 최대한 발현 가능하도록 하는 수위변화 대응형 부유식 차단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차단막 시스템은 수질오염의 예방과 해양생태계 보호를 목적으로 해양으로 유입하는 부유쓰레기를 하천이나 해양에서 차단하기 위해서 개발 및 보급된 것이다. 즉, 차단막 시스템은 육상쓰레기에 기인하는 연안역의 해양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된 것으로, 통상적으로는 차단막, 계류시스템, 차단막과 지지구조물로 구성된다.
그런데, 기존의 부유쓰레기 차단막은 고정 지지구조물에 단순 연결하여 설치되기 때문에, 수위의 변화에 대응하지 못하여 차단막의 형태가 시시각각으로 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부유쓰레기 차단막은 장기간 하천이나 해양(해상)에 설치되는 구조물인데, 하천이나 해상의 수위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지 못할 경우에는 차단막의 역할을 수행할 수 없으며 구조물에 과도한 피로하중이 발생하여 구조물의 수명이 단축될 수 있다. 또한, 수위변화 시 차단막의 끝단부에 과도한 장력이 발생하여 차단막의 뒤틀림이나 변형이 유발될 수 있고, 조차가 큰 해역과 수위 변화가 심한 하천에는 적용이 불가능하다. 게다가, 고정 지지구조물의 고정부와 차단막 끝단부 사이에 이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부유쓰레기의 효율적인 차단 역시 불가능하다.
그리고, 기존 부유쓰레기 차단 시설의 경우에는 차단막 자체에 개발이 집중되어 실제 현장에 적용하기 위한 연결부의 설계는 전무한 실정이다. 예를 들면, 일반적으로 차단막을 고정 지지구조물에 로프로 묶어 두는 수준에서 부유쓰레기 차단 시설이 설치되고 있는 수준에 불과하다.
이러한 문제들로 인해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혹은 설치되는 부유쓰레기 차단 구조물들은 환경 하중(wind, wave, current)에 견디는 성능이 현저히 낮아서 구조물 전체의 파손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부유쓰레기 차단막으로 하여금 수위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형태로 고정 지지구조물에 연결함으로써 수위변화 시 부유쓰레기 차단막의 끝단부에 가해지는 장력을 효과적으로 수렴할 수 있고 부유쓰레기 차단막의 단부를 고정 지지구조물에 일체로 연결함으로써 부유쓰레기를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부유식 차단막 시스템의 개발 필요성이 대두하였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00527호, (계류플랫폼모듈, 해상 부유쓰레기 차단장치 및 해상 부유쓰레기 차단방법, 2019.10.01. 공고)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43564호, (부유상태 전환이 가능한 차단막 연결 플랫폼 및 이를 포함하는 해양 부유쓰레기 차단장치, 2021.04.22. 공고)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부유식 차단막과 고정 지지구조물 간의 연결방식을 개선시킴으로써, 차단막 시스템의 위치변화와 하천이나 해양의 수위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여, 부유쓰레기의 차단 효율을 크게 개선시키고 환경하중(wind, wave, current)에 견디는 성능을 최대한 발현 가능하도록 하는 수위변화 대응형 부유식 차단막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변화 대응형 부유식 차단막 시스템은, 수위변화 대응형 부유식 차단막 시스템(10)으로서, 하천이나 해양의 미리 정해진 영역에서 부유가능하도록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부유체 구조물(50a,50b) 및 상기 부유체 구조물(50a,50b)에 끝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하천이나 해양에서 부유하는 쓰레기를 차단하기 위한 차단막(1101)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부유체 구조물(50a,50b)은, 상기 하천이나 해양의 바닥에 설치되는 지지부(401), 상기 차단막(1101)에 발생하는 하중을 견디면서, 상기 하중을 상기 지지부(401)에 전달하는 구조부(101), 상기 구조부(101)의 무게와 상기 차단막(1101) 끝단부의 무게를 지지하며 부력을 제공하는 부유체(201), 및 상기 구조부(101)와 상기 차단막(1101)을 연결하는 연결부(30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401)는, 모노파일, 석션 파일, 중력식 파일, 원형 강관, H빔, 및 중력식 앵커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401)의 상부에는, 상기 지지부(401)의 상단을 보호하는 말뚝 두부 캡(403)이 더 설치되고, 상기 지지부(401)에서 상기 말뚝 두부 캡(403)의 아래 위치와, 상기 부유체(201)의 아래 위치에 각각 소정 간격을 두고 스토퍼(402)가 상하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402)는, 상기 지지부(401)에 고정되는 고정부재(402-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조부(101)는 상기 지지부(401)보다 큰 치수로 구성되며, 상기 구조부(101)의 상단에는 상기 구조부(101)와 상기 지지부(401) 사이의 공간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물질 유입 차단장치(10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조부(101)는 상기 차단막(1101)에 발생하는 하중을 상기 지지부(401)로 전달하기 위한 구조부재(1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유체(201)의 내부에는, 상기 부유체(201)의 손상시 침몰 방지를 위한 격벽이 형성되고, 상기 격벽의 내부에는 충진재가 채워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301)는 한 쌍의 판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조부(101)의 일측 방사상 외부로 연장된 플랜지부(101a)의 양면에 쌍을 이루어 배치되되, 상기 연결부(301)와 상기 플랜지부(101a)는 연결부재(302)에 의해 결합 고정되고, 일측이 상기 플랜지부(101a)에 결합 고정된 상기 연결부들(301)의 타측 사이에는 상기 차단막(1101)의 일단부가 삽입하여 배치되되, 상기 연결부(301)와 상기 차단막(1101)의 일단부는 상기 연결부재(302)에 의해서 결합 고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개발된 차단막 시스템에서는, 부유식 차단막과 고정 지지구조물 간의 연결방식을 개선시킴으로써, 차단막 시스템의 위치변화와 하천이나 해양의 수위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여, 부유쓰레기의 차단 효율을 크게 개선시키고 환경하중(wind, wave, current)에 견디는 성능을 최대한 발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차단막을 고정 구조물에 연결하는 연결부의 피로성능을 개선시키고 나아가 구조물 전체의 설계 수명을 늘려 차단막 시스템 전체의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차단막과 끝단부의 불연속 지점을 최소화함으로써 목표 차단 지역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과도하게 발생하는 차단막 하중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차단막 시스템 전체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단막 시스템은 다양한 설치 조건에 적용이 가능하고, 수위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함으로써 부유쓰레기 차단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위변화 대응형 부유식 차단막 시스템의 설치상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부유체 구조물과 차단막의 일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부유체 구조물과 차단막의 등각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부유체 구조물과 차단막의 연결부위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A" 부분 확대도이다.
하천 및 해양에 떠다니는 부유쓰레기를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부유쓰레기 차단 시스템이 설치되는 하천 및 해양은 수위가 시시각각 변하므로 차단막이 수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수위에 따라 능동적으로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차단막 끝에 위치하여 차단막 및 파일 또는 앵커 등과 연결되며 차단막 시스템의 위치변화와 수위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부유체 구조물을 포함하는 수위변화 대응형 부유식 차단막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위변화 대응형 부유식 차단막 시스템은 수위변화에 대응이 가능하여 수위변화에도 원활하게 부유쓰레기를 차집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첨부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위변화 대응형 부유식 차단막 시스템(1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위변화 대응형 부유식 차단막 시스템(10)이 해상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부유식 차단막 시스템(10)은 하천이나 해양의 부유쓰레기를 안전하고 안정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장치이다. 부유식 차단막 시스템(10)은 해상의 미리 정해진 영역(구역)에서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이격되어 쌍으로 배치되는 부유체 구조물(50a,50b)과, 부유체 구조물(50a,50b)에 양단부가 일체로 연결되고 부유체 구조물(50a,50b) 사이에 연장되어 해상에서 부유하는 쓰레기를 차단하기 위한 차단막(1101)을 포함한다. 차단막(1101)은 부유쓰레기를 차단하기 위한 막형태의 구조물로서, 고무판이나 그물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부유쓰레기는 하천이나 해양에 부유해서 이동하는 쓰레기로서, 유체력과 함께 차단막에 하중을 발생시키는 요소라 할 수 있다.
첨부도면 도 2 및 도 3에는 부유체 구조물(50a,50b)중 하나와 차단막(1101)의 일부분이 도시되어 있다. 설명의 편의상 도 2 및 도 3의 부유체 구조물은 제1 부유체 구조물(50a)로 나타낸다. 부유체 구조물(50a,50b)중 다른 하나인 제2 부유체 구조물(50b)(도 1 참조)은 제1 부유체 구조물(50a)과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제2 부유체 구조물(50b)에 대한 설명은 제1 부유체 구조물(50a)에 대한 설명으로 갈음하기로 한다.
또한, 첨부도면 도 1에는 부유체 구조물(50a,50b)이 쌍으로 배치되어 부유체 구조물(50a,50b) 각각에 연결부(301)를 통해 차단막(1101)과 구조부(101)를 연결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부유체 구조물들(50a,50b) 어느 하나의 부유체 구조물에만 연결부(301)를 적용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제1 부유체 구조물(50a)은 하천이나 해양의 바닥에 설치되는 지지부(401), 차단막(1101)에서 발생하는 하중을 견디면서 해당 하중을 지지부(401)에 전달하는 구조부(101), 구조부(101)의 무게와 차단막(1101) 끝단부의 무게를 지지하며 부력을 제공하는 부유체(201), 및 구조부(101)와 차단막(1101)을 연결하는 연결부(301)를 포함한다.
지지부(401)는 부유쓰레기 차단막 시스템(10) 전체에 걸리는 하중을 지반으로 전달하여 차단막 시스템(10) 전체를 지탱시켜 주는 지지 구조물이다. 지지부(401)는 그 하단부가 하천이나 해양의 바닥에 삽입하여 고정 설치되는 모노파일, 석션 파일, 중력식 파일, 원형 강관, H빔 등 다양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지지부(401)가 하천이나 해양의 바닥에 삽입하여 고정 설치되는 별도의 앵커와 계류선을 통해 연결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부(401)는 그 지지 위치에 따라 지지 방식이 달라질 수 있으며, 고정식 지지부와 부유식 지지부로 구분할 수 있다. 일예로 고정식 지지부는 지지 구조물이 일부 지반에 매립 또는 기반 시설(방파제, 암벽 등)에 연결되어 차단막 시스템(10)에 작용하는 하중을 최종적으로 받아주는 구조물을 의미하며, 말뚝(원형 강관, H빔 등), 중력식 앵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식 지지부가 기반 시설(방파제, 암벽 등)에 연결되는 경우에는 앵커 볼트와 같은 체결 장비가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부유식 지지부는 SPM(Single Point Mooring)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형태는 설치장소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부유식 지지부는 본 출원인의 출원되어 등록된 특허(계류플랫폼모듈, 해상 부유쓰레기 차단장치 및 해상 부유쓰레기 차단방법, 2019.10.01. 공고)에 개시된 내용에 기반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지지부(401)의 상단부에는 위치 표시등(404)이 설치되는데, 위치 표시등(404)은 해양이나 하천 바닥에 설치되는 지지부(401)의 위치를 가시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표시등, 레이더 반사판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지지부(401)에서 위치 표시등(404)의 아래 위치에는 말뚝 두부(頭部) 캡(403)이 배치되는데, 말뚝 두부 캡(403)은 지지부(401)의 상단을 보호함과 아울러, 상부 데크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캡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지지부(401)에서 말뚝 두부 캡(403)의 아래 위치와, 부유체(201)의 아래 위치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된 위치에 스토퍼(402)가 각각 설치된다. 스토퍼(402)는 예상치 못한 과도한 수위변화로 인해 부유체(201)와 구조부(101)가 지지부(401)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이다. 스토퍼(402)는 부유체(201)와 구조부(101)가 지지부(401)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형태 또는 구성이라면 다양한 형태 또는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부(401)에서 말뚝 두부 캡(403)의 아래 위치와, 부유체(201)의 아래 위치에 각각 소정 간격 즉, 부유체(201)와 구조부(101)가 지지부(401) 상에서 수위변화에 따라 이동 가능한 설정 간격을 두고 스토퍼(402)를 상하로 배치할 수 있으며, 스토퍼(402)는 지지부(401)에 고정되는 고정부재(402-1)와,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402-2)를 매개로 부유체(201)와 구조부(101)의 이동을 제한하는 충격흡수부재(40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고정부재(402-1) 및 충격흡수부재(402-3)은 일반적인 스틸이나, 부식 방지를 위해 스테인레스 스틸이 적용될 수 있고,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HDPE(High Density PolyEthylene)나 기타 고강도 재질의 부재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402-1)가 지지부(401)에 고정되는 지지력을 확보하기 위해 추가의 보강부재(402-4)를 더 설치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부유쓰레기 차단 시스템은 해당 시스템이 설치되는 하천 및/또는 해양의 수위변화에 따라 능동적으로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다음, 구조부(101)는 부유쓰레기에 의해 차단막(1101)에 작용하는 하중을 연결부(301)를 통해서 지지부(401)로 전달하기 위한 구조체이다. 이러한 구조부(101)의 형태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나, 투입자재의 최소화 및 효율화를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타원형의 판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구조해석 등을 통해 최적의 형태로 설계될 수 있다. 구조부(101)의 재질은 일반적인 스틸이나, 부식 방지를 위해 스테인레스 스틸이 적용될 수 있다. 또는, 설치되는 장소 등의 특성에 따라 HDPE나 기타 고강도 재질의 부재도 적용될 수 있다.
구조부(101)는 차단막(1101)에 작용하는 하중을 지지부(401)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조부(101)는 원통형의 지지부(401)에 결합될 수 있도록 원통형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구조부(101)는 지지부(401)의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구조부(101)는 지지부(401)를 따라 상하로의 움직임을 자유롭게 하기 위해 지지부(401)의 형상보다 큰 치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조부(101)의 상단에는 구조부(101)와 지지부(401)의 사이 공간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물질 유입 차단장치(103)가 설치될 수 있다.
구조부(101)가 지지부(401)를 따라 상하로 움직이기 위해서는 지지부(401)와 구조부(101) 사이에 일정 간격이 존재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간격으로 인해 이물질이 유입되는 경우 구조부(101)의 상하 수직 운동에 제약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물질 유입 차단장치(103)를 추가로 설치하여 지지부(401)와 구조부(101)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다. 이물질 유입 차단장치(103)는 고무판 또는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을 사용하여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물질 유입 차단장치(103)는 지지부(401)의 표면 상에 들러붙은 이물질 예를 들면, 따개비 등을 스크래핑하는 스크래퍼로서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구조부(101)의 구조부재(102)는 차단막(1101)에 작용하는 하중을 지지부(401)로 원활히 전달하기 위한 수평부재로서 타원형으로 구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구조해석 등을 통해 최적의 형태로 설계될 수 있다. 차단막(1101)의 무게로 인하여 구조부(101)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균형유지시스템(104)이 구조부(101)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균형유지시스템(104)은 카운터 웨이트로서 차단막(1101)이 연결되는 측의 하중과 동일 또는 유사한 하중을 반대측으로 전달하여 균형을 유지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구조해석 등을 통해 균형유지가 가능한 최적의 형상 또는 형태로 설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부유체(201)는 연결부(301)의 능동적인 움직임을 위한 부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부유체(201)가 구조부(101)의 자중(自重)과 차단막(1101) 끝단부의 자중(自重)을 견디며 수면 위에 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부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부유체(201)는 스틸, 스테인레스스틸, HDPE, FRP(Fiber Reinforced Plastics) 등 다양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부력을 제공할 수 있는 재질이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부유체(201)는 하천이나 바다에서 장기간 사용되기 때문에 부식 및 해양 부착생물 성장(marine growth)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므로, 부유체(201)의 표면에는 방청도료 및 방오도료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부유체(201)는 구조부(101)의 외측에 형성되되 원통형, 사각 박스형 등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설치되는 환경에 따라 그 형태가 달라질 수 있다. 부유체(201)는 수위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수직방향 운동은 자유 구속 조건으로 제작될 수 있다.
부유체(201)는 손상시 침몰 방지를 위하여 내부에 격벽(도시되지 않음)이 존재하고, 부유체(201)의 외부에는 충격 방지를 위한 펜더를 포함한다. 격벽(도시되지 않음)은 부유체(201)의 일부 손상 시 침몰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격벽(도시되지 않음)의 내부를 충진재(폴리우레탄, 스티로폼 등)로 채워서 파손 시에도 부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및 도 5는 제1 부유체 구조물(50a)과 차단막(1101)의 연결부위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연결부(301)는 제1 부유체 구조물(50a)의 구조부(101)와 차단막(1101)의 일단부를 연결한다. 연결부(301)는 구조부(101)와 결합된 형태로서 차단막(1101)에 작용하는 하중을 구조부(101)로 전달하는 중간부재 역할을 수행한다. 연결부(301)는 판 형태, 빔 형태(사각형, 원형 등) 또는 패드아이 형태로 구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부(301)는 판 형태로 이루어진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형태로 이루어진 연결부(301)는 구조부(101)의 일측 방사상 외부로 연장된 플랜지부(101a)의 양면에 쌍을 이루어 배치된다. 이때, 연결부(301)와 플랜지부(101a)는 별도의 연결부재(302)에 의해서 일체로 체결되는데, 연결부재(302)는 샤클(shackle) 또는 볼트, 너트 등과 같은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일측이 플랜지부(101a)에 일체로 결합 고정된 연결부들(301)의 타측 사이에는 차단막(1101)의 일단부가 삽입하여 배치되고, 이렇게 배치된 상태에서 연결부(301)와 차단막(1101)의 일단부는 연결부재(302)에 의해서 일체로 체결된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차단막 시스템은 수위변화가 큰 하천이나, 조차가 큰 해역에 적용이 가능하며, 부유쓰레기 차단막으로 하여금 수위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형태로 고정 지지구조물에 연결함으로써 수위변화 시 부유쓰레기 차단막의 끝단부에 가해지는 장력을 효과적으로 전달 및 분산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유쓰레기 차단막의 단부를 고정 지지구조물에 일체로 연결함으로써 부유쓰레기를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부유식 차단막 시스템 50a,50b : 부유체 구조물
101 : 구조부 102 : 구조부재
103 : 이물질 유입 차단장치 104 : 균형유지시스템
201 : 부유체 301 : 연결부
302 : 연결부재 401 : 지지부
402 : 스토퍼 403 : 말뚝 두부 캡
404 : 위치표시등

Claims (9)

  1. 수위변화 대응형 부유식 차단막 시스템(10)으로서,
    하천이나 해양의 미리 정해진 영역에서 부유가능하도록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부유체 구조물(50a,50b); 및
    상기 부유체 구조물(50a,50b)에 끝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하천이나 해양에서 부유하는 쓰레기를 차단하기 위한 차단막(1101)을 포함하는,
    수위변화 대응형 부유식 차단막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체 구조물(50a,50b)은,
    상기 하천이나 해양의 바닥에 설치되는 지지부(401),
    상기 차단막(1101)에 발생하는 하중을 견디면서, 상기 하중을 상기 지지부(401)에 전달하는 구조부(101),
    상기 구조부(101)의 무게와 상기 차단막(1101) 끝단부의 무게를 지지하며 부력을 제공하는 부유체(201), 및
    상기 구조부(101)와 상기 차단막(1101)을 연결하는 연결부(301)를 포함하는,
    수위변화 대응형 부유식 차단막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401)는,
    모노파일, 석션 파일, 중력식 파일, 원형 강관, H빔, 및 중력식 앵커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수위변화 대응형 부유식 차단막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401)의 상부에는, 상기 지지부(401)의 상단을 보호하는 말뚝 두부 캡(403)이 더 설치되고,
    상기 지지부(401)에서 상기 말뚝 두부 캡(403)의 아래 위치와, 상기 부유체(201)의 아래 위치에 각각 소정 간격을 두고 스토퍼(402)가 상하로 배치되는,
    수위변화 대응형 부유식 차단막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402)는,
    상기 지지부(401)에 고정되는 고정부재(402-1)를 포함하는,
    수위변화 대응형 부유식 차단막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부(101)는 상기 지지부(401)보다 큰 치수로 구성되며,
    상기 구조부(101)의 상단에는 상기 구조부(101)와 상기 지지부(401) 사이의 공간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물질 유입 차단장치(103)가 더 구비되는,
    수위변화 대응형 부유식 차단막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부(101)는 상기 차단막(1101)에 발생하는 하중을 상기 지지부(401)로 전달하기 위한 구조부재(102)를 더 포함하는,
    수위변화 대응형 부유식 차단막 시스템.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체(201)의 내부에는, 상기 부유체(201)의 손상시 침몰 방지를 위한 격벽이 형성되고, 상기 격벽의 내부에는 충진재가 채워지는,
    수위변화 대응형 부유식 차단막 시스템.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301)는 한 쌍의 판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조부(101)의 일측 방사상 외부로 연장된 플랜지부(101a)의 양면에 쌍을 이루어 배치되되, 상기 연결부(301)와 상기 플랜지부(101a)는 연결부재(302)에 의해 결합 고정되고,
    일측이 상기 플랜지부(101a)에 결합 고정된 상기 연결부들(301)의 타측 사이에는 상기 차단막(1101)의 일단부가 삽입하여 배치되되, 상기 연결부(301)와 상기 차단막(1101)의 일단부는 상기 연결부재(302)에 의해서 결합 고정되는,
    수위변화 대응형 부유식 차단막 시스템.
KR1020210130396A 2021-09-30 2021-09-30 수위변화 대응형 부유식 차단막 시스템 KR1026067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0396A KR102606730B1 (ko) 2021-09-30 2021-09-30 수위변화 대응형 부유식 차단막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0396A KR102606730B1 (ko) 2021-09-30 2021-09-30 수위변화 대응형 부유식 차단막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6860A true KR20230046860A (ko) 2023-04-06
KR102606730B1 KR102606730B1 (ko) 2023-11-29

Family

ID=85917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0396A KR102606730B1 (ko) 2021-09-30 2021-09-30 수위변화 대응형 부유식 차단막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67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143559A1 (en) * 2020-01-29 2023-05-11 All In On Green Aps Garbage Collection Apparatus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0527A (ko) 1998-06-01 2000-01-15 김영환 자동차 에이브이 시스템의 모니터 각도 조절장치
KR101328633B1 (ko) * 2013-06-14 2013-11-14 이현화 파도 충격으로부터 파손 방지가 되는 오탁방지막
KR20140126022A (ko) * 2013-04-22 2014-10-30 김은숙 수상구조물의 계류장치
KR20150003126U (ko) * 2014-02-10 2015-08-19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부유성 오염물질 차단장치
KR101642763B1 (ko) * 2015-10-26 2016-07-26 조준호 부양식 기둥 구조물
KR102085562B1 (ko) * 2019-08-29 2020-04-24 서봉주 부력을 이용한 그물 설치구조물
KR102243564B1 (ko) 2019-09-18 2021-04-22 주식회사 포어시스 부유상태 전환이 가능한 차단막 연결 플랫폼 및 이를 포함하는 해양 부유쓰레기 차단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0527A (ko) 1998-06-01 2000-01-15 김영환 자동차 에이브이 시스템의 모니터 각도 조절장치
KR20140126022A (ko) * 2013-04-22 2014-10-30 김은숙 수상구조물의 계류장치
KR101328633B1 (ko) * 2013-06-14 2013-11-14 이현화 파도 충격으로부터 파손 방지가 되는 오탁방지막
KR20150003126U (ko) * 2014-02-10 2015-08-19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부유성 오염물질 차단장치
KR101642763B1 (ko) * 2015-10-26 2016-07-26 조준호 부양식 기둥 구조물
KR102085562B1 (ko) * 2019-08-29 2020-04-24 서봉주 부력을 이용한 그물 설치구조물
KR102243564B1 (ko) 2019-09-18 2021-04-22 주식회사 포어시스 부유상태 전환이 가능한 차단막 연결 플랫폼 및 이를 포함하는 해양 부유쓰레기 차단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143559A1 (en) * 2020-01-29 2023-05-11 All In On Green Aps Garbage Collection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6730B1 (ko) 2023-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22650B2 (en) Multi-purpose rotational barrier unit
US4813815A (en) Buoyant, elastically tethered articulated marine platform
CN202023174U (zh) 组合板柔性浮式防波堤
US5827011A (en) Wave suppression system
JP2012518728A (ja) 耐侵食システム
US20090080981A1 (en) Wave attenuation system
KR20230046860A (ko) 수위변화 대응형 부유식 차단막 시스템
KR101006982B1 (ko) 진자형 가두리 양식 시설물
US4098086A (en) Breakwater
US4642000A (en) Anchoring system for concrete floating pier
JP5067703B1 (ja) 海上浮揚式消波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海波減衰システム
KR102284699B1 (ko) 해상 태양광 발전장치의 가드 펜스
CN111893946A (zh) 一种移动式防浪码头
CN115923998A (zh) 一种漂浮系统的系泊设备以及漂浮式风机系统
JP4283085B2 (ja) レベル自動調整式浮体装置
KR102253127B1 (ko) 다기능 부유체
KR100562063B1 (ko) 표면에 다공이 형성된 부표와 수직유연막을 이용한 잠재형부유식 방파제
KR102501451B1 (ko) 일체형 해양 태양광 발전 장치
JPH0415778Y2 (ko)
Budiman Construction challenge of submerged floating tunnel in indonesia
JPH0660611U (ja) 浮桟橋
KR102606363B1 (ko) 항만 개보수 공사와 해상 준설 및 매립을 위한 오탁확산방지 가시설
JPS60144408A (ja) 船舶侵入防護施設
KR100562064B1 (ko) 부유식 방파제
CN211735247U (zh) 一种具有安全性的混合式浮防波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