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2763B1 - 부양식 기둥 구조물 - Google Patents

부양식 기둥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2763B1
KR101642763B1 KR1020150148779A KR20150148779A KR101642763B1 KR 101642763 B1 KR101642763 B1 KR 101642763B1 KR 1020150148779 A KR1020150148779 A KR 1020150148779A KR 20150148779 A KR20150148779 A KR 20150148779A KR 101642763 B1 KR101642763 B1 KR 1016427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umn
post
pillar
subordinate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8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준호
한서나
Original Assignee
조준호
한서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준호, 한서나 filed Critical 조준호
Priority to KR1020150148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27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2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27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14Floating bridges, e.g. pontoon b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 부양식 기둥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부양식 기둥 구조물은 하부가 개방된 통 형상의 제1 기둥부; 상기 제1 기둥부의 상단부에 형성된 스톱퍼; 상기 제1 기둥부의 상부를 덮는 캡부; 및 상기 제1 기둥부의 개방된 하부로 삽입되며 하부가 고정되는 제2 기둥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기둥부의 하부 내면에는 제1 완충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제2 기둥부의 상부에는 제2 완충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제1 기둥부가 상승 시에, 상기 제1 완충부재와 상기 제2 완충부재가 결합하여 상기 제1 기둥부가 상기 제2 기둥부로부터 이탈하는 것이 방지된다.

Description

부양식 기둥 구조물{FLOATING POST STRUCTURE}
본 발명은 부양식 기둥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양발판이 상하로 이동하는 경우 그에 따라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수면의 높이에 따라 높이가 조절될 수 있는 부양식 기둥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도가 높지 않은 지역에서는 수면의 높이에 따라 위아래로 자유롭게 움직이도록 하고, 사람이 타고 내리거나 하역 작업을 할 수 있도록 부잔교(floating pier, pontoon)가 설치되어 사용된다. 부잔교(부양발판, 폰툰)는 기둥 구조물(파일, pile)과 함께 설치되며, 기둥 구조물은 부잔교의 위치를 정하거나, 선박의 계류를 위해 무어링 로프(mooring rope)를 감을 수 있도록 배치된다. 기둥 구조물은 일반적으로 고정되어 설치되며, 그 높이는 해수면보다 더 높게 설치된다. 해저에서 수면까지를 고려하면, 기둥 구조물은 수십여 미터에 이르게 된다. 이러한 구조물은 조수간만의 차로 인해 부잔교의 높이가 변동하기 때문에, 해수면의 높이에 따라 부잔교의 높낮이가 변하더라도 기둥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이러한 기둥 구조물에 의하더라도 부잔교가 유실될 수 있는 경우가 존재한다. 백중사리(百中사리)는 해수면의 조차가 연중 최대로 높아지는 시기를 말한다. 달과 태양과 지구의 위치가 일직선상에 있으면서 달과 지구가 가장 가까운 거리(근지점, perigee)에 있을 때 발생되며, 그 시기는 음력 7월 15일(백중) 전후로 3~4일간 평소보다 바닷물의 높이가 최대로 높아지게 된다. 태풍, 폭풍, 지진, 화산폭발 등이 원인이 되어 바다의 큰 물결이 육지로 갑자기 넘쳐 들어오는 해일(海溢) 역시, 해수면의 높이가 급격히 높아지는 원인이 된다. 바닷물의 높이가 높아지면서 저지대가 침수되거나 제방이 유실될 수도 있으며 바닷물이 제방 위로 넘쳐흘러 논과 밭에 피해를 주는 경우가 생길 수 있고 이와 같이 해수면이 과도하게 높아지는 시기에는 기둥 구조물보다 높은 위치로 해수면이 상승하므로 부잔교가 기둥 구조물 보다 높은 위치로 이동하게 되며, 결국은 기둥 구조물로부터 이탈되어 유실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강이나 호수의 경우도, 홍수 등에 의하여 수위가 비정상적으로 높아질 수 있는데, 이 경우 역시 마찬가지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돛이 있는 선박 등의 계류시설은 수 개의 부잔교가 평행을 이루어 자동차의 주차라인과 같은 일정한 구획을 형성하는데, 선박이 계류시설에 정박하게 되는 경우 선박의 돛 등과 같은 구조물이 기둥 구조물에 부딪히지 않도록 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부양발판이 상하로 이동하는 경우 그에 따라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수면의 높이에 따라 높이가 조절될 수 있는 부양식 기둥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부양식 기둥 구조물은 하부가 개방된 통 형상의 제1 기둥부; 상기 제1 기둥부의 상단부에 형성된 스톱퍼; 상기 제1 기둥부의 상부를 덮는 캡부; 및 상기 제1 기둥부의 개방된 하부로 삽입되며 하부가 고정되는 제2 기둥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기둥부의 하부 내면에는 제1 완충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제2 기둥부의 상부에는 제2 완충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제1 기둥부가 상승 시에, 상기 제1 완충부재와 상기 제2 완충부재가 결합하여 상기 제1 기둥부가 상기 제2 기둥부로부터 이탈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캡부는 에어콕을 형성하고, 상기 제1 기둥부의 상부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완충부재 및 상기 제2 완충부재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탄성을 갖는 재질은 폴리아세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완충부재가 설치된 위치의 상기 제1 기둥부와 상기 제2 기둥부 사이에는 물이 통과할 수 있는 배수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완충부재는 링형상이고, 상기 배수공간은 상기 링형상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개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기둥부의 상면에는 상기 제2 기둥부와 상기 캡부와의 충돌 시에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제3 완충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캡부의 하면에는 상기 캡부와 상기 제2 기둥부와의 충돌 시에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제3 완충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기둥부는 견인고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견인고리는 상기 캡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기둥부의 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나사 홈을 형성하고, 상기 나사 홈을 통하여 볼트가 삽입되어 상기 제1 기둥부가 상기 제2 기둥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선박 도크 시스템은 하부가 개방된 통 형상의 제1 기둥부; 상기 제1 기둥부의 상부를 덮는 캡부; 및 상기 제1 기둥부의 개방된 하부로 삽입되며 하부가 고정되는 제2 기둥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기둥부의 하부 내면에는 제1 완충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제2 기둥부의 상부에는 제2 완충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제1 기둥부가 상승 시에, 상기 제1 완충부재와 상기 제2 완충부재가 결합하여 상기 제1 기둥부가 상기 제2 기둥부로부터 이탈하는 것이 방지되는 도크 구조물; 및 상기 캡부 보다 적은 반경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고리부 또는 관통부를 구비하는 부력을 갖는 부양발판을 포함하고, 상기 도크 구조물은 상기 고리부 또는 상기 관통부에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양식 기둥 구조물은, 선박의 정박 시에 사람이 타고 내리거나 하역 작업을 할 수 있는 부양발판이 상하로 이동하는 경우, 그에 따라 높이가 조절됨으로써 부양발판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양식 기둥 구조물은 수면 상에 돌출되는 부분이 높지 않아, 선박의 정박 시에 선박과 부딪힐 염려가 없어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폰툰(pontoon) 및 폰툰가이드 파일(pile)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양식 기둥 구조물의 제2 기둥부가 일부 생략된 단면의 제1 개념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양식 기둥 구조물의 제2 기둥부가 일부 생략된 단면의 제2 개념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양식 기둥 구조물을 상부에서 바라본 개념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부양식 기둥 구조물(1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종래의 폰툰(pontoon) 및 폰툰가이드 파일(pile)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종래의 선박 계류 시설에는 부양발판(폰툰)과 폰툰을 가이드하기 위한 파일이 설치된 모습을 볼 수 있고, 가이드파일은 단일의 기둥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양식 기둥 구조물(10)의 제2 기둥부(200)가 일부 생략된 단면의 개념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2 기둥부(200)는 수심을 고려하여 설치될 수 있다. 제2 기둥부(200)는 하단고정부(60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별도로 형성된 하단고정부(60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양식 기둥 구조물(10)은 하부가 개방된 통 형상의 제1 기둥부(100), 상기 제1 기둥부(100)의 상부를 덮는 캡부(300) 및 상기 제1 기둥부(100)의 개방된 하부로 삽입되며 하부가 고정되는 제2 기둥부(200)를 포함한다. 제2 기둥부(200)는 제1 기둥부(100)에 삽입되어 제1 기둥부(100)의 슬라이딩(sliding) 이동을 가이드 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부에 위치한 제1 기둥부(100)와 하부에 위치한 제2 기둥부(200)는 상호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제1 기둥부(100)가 제2 기둥부(200)의 상부를 둘러싼 구조로 형성된다. 제1 기둥부(100)의 외주면이 제2 기둥부(200)의 외주면을 감쌀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한데, 이는 토양 등이 물의 이동에 따라 제1 기둥부(100) 및 제2 기둥부(200) 사이에 층층이 쌓이게 되면 퇴적물로 인하여 제1 기둥부(100)의 이동이 저해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제1 기둥부(100)와 제2 기둥부(200)는 선박 등을 고정하기 위한 일정 강도 이상의 물질로 구성된다. 바닷물 등에 의한 녹(rust) 등을 방지하기 위한 스테인레스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동일한 기능의 소재라면 어느 것이라도 이용가능하다.
한편, 제1 및 제2 기둥부(100, 200)는 반복적인 상하 운동에 의해 상호 마찰에 의하여 손상이 일어날 수 있다. 구조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상호 이동시 필연적으로 일어날 수 있는 접촉의 경우 일정한 마찰력을 갖도록 하여 급격한 높이 변화가 일어나지 않도록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기둥부(100)에는 제1 완충부재(110)를 형성하고, 제2 기둥부(200)에는 제2 완충부재(210)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양식 기둥 구조물(10)은 조수 간만의 차가 매우 큰 경우 혹은 홍수 등 비정상적으로 수면이 높아지는 경우, 부양발판이 분리되어 소실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양식 기둥 구조물(10)은 부양발판의 상하 운동을 가이드 하도록 구성되므로, 부양발판의 부력에 의하여 상승 및 하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부양발판의 부력에 의하여 함께 제1 기둥부(100)가 함께 상승할 수 있도록 제1 기둥부(100)의 외주면에는 스톱퍼(500)가 형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양식 기둥 구조물(10)의 제2 기둥부(200)가 일부 생략된 단면의 제2 개념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제1 기둥부(100)의 외주면에 형성된 스톱퍼(500)는 제1 기둥부(100)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고 또는 제1 기둥부(100)의 외주면에만 형성된 돌기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부양발판이 수면의 상승에 따라 상승하더라도 제1 기둥부(100)의 상단부에 형성된 스톱퍼(500)에 의하여 제1 기둥부(100)가 부양발판과 함께 상승할 수 있게 된다. 스톱퍼(500)는 부양발판에 형성된 제1 기둥부(200)가 삽입될 수 있는 고리부 또는 관통부보다 넓은 외경을 갖는 범위에서 형성되어, 부양발판의 상승시 제1 기둥부(100)가 함께 부양할 수 있도록 한다. 스톱퍼(500)는 제1 기둥부(1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부양발판의 분리가 필요한 경우가 있을 수 있으므로, 제1 기둥부(100)의 내부로 인입되거나, 착탈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를 참고하면, 제1 기둥부(100)재와 부양발판이 상승하는 경우, 상기 제1 완충부재(110) 및 제2 완충부재(210)는 상호 걸림턱을 형성하므로 제2 기둥부(200)로부터 제1 기둥부(100)가 분리되어 소실되지 않게 된다. 제1 기둥부(100)는 부양발판의 하강에 따라, 함께 하강이 이루어지게 될 수 있고, 부양발판이 상승함에 따라 함께 상승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부양발판의 상승 및 하강 시에 제1 기둥부(100)의 높이가 함께 상승 및 하강하게 되므로, 제1 기둥부(100)의 수면 위로 위치한 부위가 스톱퍼(500)의 위치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선박이 돛을 구비하거나 선박의 외면에 돌출된 구조물이 존재하는 경우, 선박이 정박하기 위하여 부양발판에 접근시 선박의 돛 보다 높은 위치에 파일(pile)이 존재하게 되면 돛 등과 부딪혀 파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양식 기둥 구조물(10)에 의하면 제1 기둥부(100)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어 이러한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종래의 도크 구조물에 있어서 기둥부(파일)는 해저로부터 수면 위에 이르기까지 수십미터에 달하도록 구성된다. 파일의 길이는 수십여 미터에 이를 수 있고, 이를 바닥에 고정하기 위하여 그 길이에 상응하는 대형 장비가 동원되어야 한다. 또한, 파일의 길이를 일정 수준 이상으로 높이게 되는 경우 부양발판의 설치, 유지 및 보수 역시 용이하지 않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양식 기둥 구조물(10)은 종래의 파일보다 짧은 제2 기둥부(200)가 그에 상응하는 길이의 제1 기둥부(100)에 삽입되어 구성되므로, 종래 구조물보다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부양발판의 수리 혹은 교체가 필요한 경우, 제1 기둥부(100)만을 분리하면, 부양발판을 보다 쉽게 분리해 낼 수 있다.
한편, 제1 기둥부(100)는 부양발판 보다 높은 임의의 높이로 고정되어야 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제1 기둥부(100)는 선박의 무어링 로프 등을 고정하기 위한 용도 혹은 난간으로 이용될 수 있으므로, 적절한 높이로 조정되기 위함이다. 이 같은 목적을 위하여 제1 기둥부(100)의 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나사 홈을 형성하고, 상기 나사 홈을 통하여 볼트가 삽입되어 제1 기둥부(100)가 제2 기둥부(200)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나사 홈을 통하여 볼트가 삽입되어 마찰력을 증가시키면 제1 기둥부(100)를 임의의 높이로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 완충부재(110) 및 제2 완충부재(210)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완충부재는 제1 기둥과 제2 기둥 사이의 마찰에 따른 반복적인 충격이나 연속 진동의 환경에도 피로하지 않고 안정된 성능을 유지할 것이 요구된다. 폴리아세탈(POM : Polyacetal, Polyoxymethylene)은 흔히 아세탈이라고 불려지는 수지로서 호모폴리머와 코폴리머가 있으며 두 재료 모두 결정성이며 양호한 반복 충격이나 연속 진동 사용에도 피로하지 않고 안정된 성능을 보이고, -45℃~95℃의 범위에서 안정하여 내크리프성을 가지며, 낮은 마찰계수와 깔끔한 외관을 가진 강성재료에 해당한다. 특히, 각종의 기름이나 약품에 거의 변형을 일으키지 않는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완충부재(110, 210)로는 폴리아세탈 재질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캡부(300)는 제1 기둥부(100)의 분리 없이도 제1 기둥부의 내부의 청소, 수리 등 유지보수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제1 기둥부(100)의 상부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기둥부(100)는 제2 기둥부(200)와 결합시 내부에 일정한 공간(S)을 형성하게 된다. 제1 기둥부(100)와 제2 기둥부(200) 사이의 공간(S)가 완전 밀폐된 상태에 있게되면, 제1 기둥의 상하 운동이 이루어지기 어렵다. 이는 내부의 공기와 외부의 공기 사이의 이동이 원활하지 않기 때문으로, 공기의 출입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인입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공기의 인입이 일어나도록 상기 캡부(300)는 에어콕(310)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기둥부(100)의 높이를 임의로 조정하기 위해 혹은 높이 변화를 최소화하기 위해 에어콕(310)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는 별도의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기둥부(100)와 제2 기둥부(200) 사이의 유격으로 인해 수면 아래의 제1 완충부재(110)와 제2 완충부재(210) 사이의 공간에는 물이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물이 원활히 배출되지 않으면 내부의 물로 인해 제1 기둥부(100)의 하중이 증가할 수 있다. 제1 기둥부(100)의 하중이 증가하면, 부양발판이 상승할 경우 부양발판의 고리부 혹은 부양발판의 관통부에 지지되어 있는 제1 기둥부(100)의 스톱퍼(500)에 큰 하중이 걸리게 되므로 스톱퍼(500) 또는 부양발판이 파손될 염려가 존재한다. 즉, 제1 기둥부(100)와 제2 기둥부(200)는 수중에서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지므로, 제1 완충부재(110)에는 물이 통과할 수 있는 배수공간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완충부재(110)를 복수의 단편으로 구성하고 그 사이로 물이 통과할 수 있는 배수공간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배수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제1 완충부재(110)는 링형상의 단일부재로 형성되고, 링형상의 부재에 개구를 구비할 수 있다.
수위가 낮아지게 되어 부양발판이 낮은 위치로 이동하면, 제1 기둥부(100)가 하강하여 제2 기둥부(200)의 상면과 충돌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충격에 따른 캡부(300) 등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2 기둥부(200)의 상면에는 제2 기둥부(200)와 캡부(300)와의 충돌 시에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제3 완충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반대로, 제3 완충부재는 캡부(300)의 하면에 형성되어 캡부(300)와 제2 기둥부(200)와의 충돌 시에 충격을 완화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양식 기둥 구조물(10)을 상부에서 바라본 개념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제1 기둥부(100)의 상단부에 캡부(300)가 위치하고 그 위에 견인고리(400)가 형성되어 있다. 제1 기둥부(100)는 부양발판을 가이드하는 동시에, 선박의 계류를 위한 무어링 로프(mooring rope)가 고정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로프를 제1 기둥부(100)의 외주면에 둘러 고정할 수도 있으나, 별도의 로프를 고정시킬 수있는 견인고리(40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견인고리(400)는 캡부(3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견인고리(400)는 손잡이의 기능을 할 수 있으므로, 견인고리(400)에 의하여 보다 편리하게 제1 기둥부(100)를 임의의 높이로 들어올릴 수 있게 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 도크 시스템은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제1 기둥부(100), 상기 제1 기둥부(100)의 상단부에 형성된 스톱퍼, 캡부(300), 제2 기둥부(200) 등으로 이루어진 부양식 기둥 구조물(10)을 해저면에 고정시키고, 상기 도크 구조물은 스톱퍼(500) 보다 적은 반경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고리부 또는 관통부를 구비하는 부력을 갖는 부양발판에 삽입되어 부양발판을 가이드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 도크 시스템에 의할 경우, 수면이 급격히 높아지더라도 부양발판이 부양식 기둥 구조물(10)로부터 이탈하지 않게 됨으로써 부양발판의 유실을 막을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임의의 높이로 부양식 기둥 구조물(10)을 고정할 수 있게되어 돛이 걸려 파손되는 위험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부양식 기둥 구조물
100: 제1 기둥부 110: 제1 완충부재
200: 제2 기둥부 210: 제2 완충부재
300: 캡부 310: 에어콕
400: 견인고리
500: 스톱퍼
600: 하단고정부

Claims (12)

  1. 하부가 개방된 통 형상의 제1 기둥부;
    상기 제1 기둥부의 상단부에 형성된 스톱퍼;
    상기 제1 기둥부의 상부를 덮는 캡부; 및
    상기 제1 기둥부의 개방된 하부로 삽입되며 하부가 고정되는 제2 기둥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기둥부의 하부 내면에는 제1 완충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제2 기둥부의 상부에는 제2 완충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제1 기둥부가 상승 시에, 상기 제1 완충부재와 상기 제2 완충부재가 결합하여 상기 제1 기둥부가 상기 제2 기둥부로부터 이탈하는 것이 방지되고,
    상기 제1 완충부재가 설치된 위치의 상기 제1 기둥부와 상기 제2 기둥부 사이에는 물이 통과할 수 있는 배수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완충부재는 링형상이고, 상기 배수공간은 상기 링형상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개구로 이루어지는,
    부양식 기둥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는 에어콕을 형성하고, 상기 제1 기둥부의 상부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부양식 기둥 구조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완충부재 및 상기 제2 완충부재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부양식 기둥 구조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을 갖는 재질은 폴리아세탈을 포함하는,
    부양식 기둥 구조물.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둥부의 상면에는 상기 제2 기둥부와 상기 캡부와의 충돌 시에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제3 완충부재가 형성되는,
    부양식 기둥 구조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의 하면에는 상기 캡부와 상기 제2 기둥부와의 충돌 시에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제3 완충부재가 형성되는,
    부양식 기둥 구조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둥부는 견인고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견인고리는 상기 캡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부양식 기둥 구조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둥부의 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나사 홈을 형성하고,
    상기 나사 홈을 통하여 볼트가 삽입되어 상기 제1 기둥부가 상기 제2 기둥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부양식 기둥 구조물.
  12. 삭제
KR1020150148779A 2015-10-26 2015-10-26 부양식 기둥 구조물 KR1016427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8779A KR101642763B1 (ko) 2015-10-26 2015-10-26 부양식 기둥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8779A KR101642763B1 (ko) 2015-10-26 2015-10-26 부양식 기둥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2763B1 true KR101642763B1 (ko) 2016-07-26

Family

ID=56681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8779A KR101642763B1 (ko) 2015-10-26 2015-10-26 부양식 기둥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276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6806A (ko) * 2020-12-17 2022-06-24 김용채 부유식 수상구조물용 부상 및 하강 안내장치
KR20230046860A (ko) * 2021-09-30 2023-04-06 주식회사 포어시스 수위변화 대응형 부유식 차단막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84562A (en) * 1992-04-10 1993-02-09 Hallin Mark P Lake dock pole accessory system
JPH07132880A (ja) * 1993-11-12 1995-05-23 Sekisui Plastics Co Ltd 浮き桟橋及びその造設方法
US20090034045A1 (en) * 2007-08-01 2009-02-05 Premier Image Technology(China) Ltd. Projector with a lens barrier module
KR101003190B1 (ko) * 2010-07-14 2010-12-22 (주)신화마린 부력에 의해 높낮이가 자동 조절되는 수상시설물용 포스트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84562A (en) * 1992-04-10 1993-02-09 Hallin Mark P Lake dock pole accessory system
JPH07132880A (ja) * 1993-11-12 1995-05-23 Sekisui Plastics Co Ltd 浮き桟橋及びその造設方法
US20090034045A1 (en) * 2007-08-01 2009-02-05 Premier Image Technology(China) Ltd. Projector with a lens barrier module
KR101003190B1 (ko) * 2010-07-14 2010-12-22 (주)신화마린 부력에 의해 높낮이가 자동 조절되는 수상시설물용 포스트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6806A (ko) * 2020-12-17 2022-06-24 김용채 부유식 수상구조물용 부상 및 하강 안내장치
KR102422961B1 (ko) * 2020-12-17 2022-07-20 김용채 부유식 수상구조물용 부상 및 하강 안내장치
KR20230046860A (ko) * 2021-09-30 2023-04-06 주식회사 포어시스 수위변화 대응형 부유식 차단막 시스템
KR102606730B1 (ko) * 2021-09-30 2023-11-29 주식회사 포어시스 수위변화 대응형 부유식 차단막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45727B1 (ja) 消波装置
US11008720B2 (en) Floating dock piling height extension assembly and method
US3085404A (en) Breakwaters
US20090169302A1 (en) Hydrostatically operated variable height bulkhead
KR101605092B1 (ko) 진공 유동방지 장치를 구비한 부유체
JP2007077758A (ja) 水害対応免震建築物
RU2328589C2 (ru) Защи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глубоководного гибкого восходящего трубопровода
KR101642763B1 (ko) 부양식 기둥 구조물
KR101006982B1 (ko) 진자형 가두리 양식 시설물
KR101555362B1 (ko) 부유 구조물
KR101384115B1 (ko) 수상 계류 및 다목적 보호 장치
US8303212B2 (en) Boom mooring system
US7121221B2 (en) Floatable dock mooring article
KR101727011B1 (ko) 수위 변화에 대응하는 부유식 수상 시설물 조립체
KR101402763B1 (ko) 수상시설용 롤링피칭 감쇠장치
KR101793231B1 (ko) 파력저항이 저감된 이동형 수상 구조물
JP6133701B2 (ja) 浮体の係留装置
US10364003B2 (en) Hybrid fixed/floating marine structures
US7021230B1 (en) Floatable dock mooring article
KR102257051B1 (ko) 부유식 연락교
US5398633A (en) Tautline boat mooring system
KR101128394B1 (ko) 경사 부상식 수변 시설물 기반 구조물
KR102252154B1 (ko) 부유식 선박 계류장
KR102448003B1 (ko) 소파 및 수평 기능을 가지는 부잔교
KR102649081B1 (ko) 계류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