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5527B1 - 앵커 장력 유지 장치가 구비된 부잔교 - Google Patents

앵커 장력 유지 장치가 구비된 부잔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5527B1
KR101675527B1 KR1020160042519A KR20160042519A KR101675527B1 KR 101675527 B1 KR101675527 B1 KR 101675527B1 KR 1020160042519 A KR1020160042519 A KR 1020160042519A KR 20160042519 A KR20160042519 A KR 20160042519A KR 101675527 B1 KR101675527 B1 KR 1016755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pulley
pulling wire
bobbin
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2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태
이경환
손준식
김헌우
전주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블루오션테크
재단법인 중소조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블루오션테크, 재단법인 중소조선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블루오션테크
Priority to KR1020160042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55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5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55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14Floating bridges, e.g. pontoon b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16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using win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0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40Control devices
    • B66D1/48Control devices automatic
    • B66D1/50Control devices automatic for maintaining predetermined rope, cable, or chain tension, e.g. in ropes or cables for towing craft, in chains for anchors; Warping or mooring winch-cable tension control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24Bridges or similar structures, based on land or on a fixed structure and designed to give access to ships or other floating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앵커 장력 유지 장치가 구비된 부잔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위 변화가 변하더라도 부잔교의 부체를 해저에 고정시키는 앵커 체인에 가해지는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부잔교 부체의 전후좌우 이동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부체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앵커 장력 유지 장치가 구비된 부잔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앵커 장력 유지 장치가 구비된 부잔교는, 부체와 해저 바닥에 고정된 앵커를 연결하는 앵커연결 체인의 장력을 유지시키기 위한 앵커 장력 유지 장치가 구비된 부잔교에 있어서, 상기 앵커 장력 유지 장치는, 일단이 인양부에 연결되어 당겨지는 당김 와이어와, 움직도르레와 상기 부체에 고정된 고정도르레가 구비되어, 상기 당김 와이어가 상기 움직도르레를 거쳐 움직도르레와 고정도르레의 풀리 사이를 왕복하게 감겨 타단이 상기 움직도르레 또는 고정도르레에 고정되고, 상기 앵커연결 체인이 상기 움직도르레에 연결되는 풀리윈치 수단이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앵커 장력 유지 장치가 구비된 부잔교{PONTOON HAVING DEVICE FOR MAINTAINING TENSION OF ANCHOR}
본 발명은 앵커 장력 유지 장치가 구비된 부잔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위 변화가 변하더라도 부잔교의 부체를 해저에 고정시키는 앵커 체인에 가해지는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부잔교 부체의 전후좌우 이동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부체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앵커 장력 유지 장치가 구비된 부잔교에 관한 것이다.
부잔교는 부체를 물에 띄우고 그 위에 철근콘크리트나 강판 및 목재 등을 바닥에 깔아 여객의 승하선 및 화물의 적양에 편하도록 만든 구조물로서 부체를 해저에 체인이나 와이어로프로 고정시키고 잔교로 부체와 부두와 연결한 구조물이다.
이러한 부잔교는 주로 조석 간만의 차이가 큰 곳에서 많이 이용되며, 공비가 싸고, 이설이 용이하며, 수심이 깊은 곳이나 간만의 차가 큰 곳에서는 유리하다.
도 1, 도 2a 및 도 2b는 일반적인 종래의 부잔교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의 부잔교는 일반적으로 수상에 부유된 부체(1)가 잔교(2)로 육상 부두(F)에 연결된다.
상기 부체(1)는 그 전단은 부두연결 체인(3)으로 육상부두(F)와 연결되고, 그 후단은 앵커연결 체인(4)으로 해저면에 고정된 앵커(4a)와 연결되어 해상에 정박된다. 상기 부두연결 체인(3) 및 앵커연결 체인(4)은 각각 한 쌍이 구비되어 좌우 균형을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자형으로 교차되어 부체(1)에 연결된다.
통상 상기 부체(1)는 조수간만차가 큰 해상에서 잔교(2)로 육상부두(F)와 연결되게 설치되기 때문에 조석 간만의 변화에 따라 부체(1)가 상하로 높이가 달라지는 과정에서 잔교(2)가 부체(1)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부체(1)와 육상부두(F) 간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상기 부두연결 체인(3) 및 앵커연결 체인(4)은 통상 중량이 무겁게 하여 느슨하게 처지게 설치되어 체인 무게에 의한 장력이 부두연결 체인(3) 및 앵커연결 체인(4)에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부두연결 체인(3) 및 앵커연결 체인(4)이 연결된 상태에서 조석 간만에 의해 부체(1)가 상하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앵커연결 체인(4)의 일부는 해저면에 놓이고 들리는 정도가 달라져 앵커연결 체인(4)의 무게 변화로 이에 걸리는 장력이 변화하는 문제를 갖는다. 도 2a 및 도 2b는 간만의 차에 의해 부체(1)의 높이가 변화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 2a는 만조시의 상태를 도 2b는 간조시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수위가 변화하더라도 부두연결 체인(3)은 만조시의 처진 길이(L11)과 간조시의 처진 길이(L12)의 변화가 없어 이에 걸리는 장력에는 변화가 없다. 이에 반하여, 만조시와 같이 수위가 상승하면 앵커연결 체인(4)은 해저면에서 들려 수중에서 처진 길이(L21)이가 길어지고, 간조시와 같이 수위가 하강하면 앵커연결 체인(4)는 해저 바닥에 놓이는 부분이 증가하게 됨으로써 수중에서 처진 길이(L22)가 짧아져 체인의 무게에 의해 발생되는 장력의 변화가 상기 앵커연결 체인(4)에 발생된다. 상기와 같은 장력의 변화는 상기 앵커연결 체인(4)이 부체(1)를 후방으로 잡아당기는 힘의 변화를 의미하며 결과적으로 간조시에 상기 부체(1)가 부두(F)를 향하는 방향(A)으로 당겨져 이동되고 반대의 경우가 발생되는 등 조석 간만에 의해 상기 부체(1)가 전후방으로 이동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아울러, 상기 앵커연결 체인(4)에 걸리는 장력의 변화가 좌우에 불균형적으로 발생되는 경우 부체(1)에 가해지는 힘의 불균형으로 부체(1)가 좌우로 틀어지거나 기울어지는 문제가 발생된다.
상기와 같은 부체(1)의 전후좌우 방향 이동 및 회전, 부체(1)의 기울어짐이 지속적으로 반복되는 경우 잔교(2)가 부체(1)에 연결된 부위에 손상이 진행되고, 잔교(2)에 비틀림이 가해지면서 결과적으로 잔교의 파손을 불러온다.
상기와 같은 수위변화에 따라 변화하는 정박 와이어의 장력 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62683호에는 수위의 변화에 따라 부유체를 정박시키기 위한 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소형 선박을 위한 접안시설용 부유체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접안시설'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와이어가 팽팽하게 당겨지도록 함으로써 장력을 유지하는 방식이어서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체인의 무게로 장력을 발생시키는 통상의 부잔교 등에 적용하기 곤란한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62683호 : 소형 선박을 위한 접안시설용 부유체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접안시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인식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위 변화가 변하더라도 부체를 해저에 고정시키는 앵커 체인에 가해지는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부체의 전후좌우 이동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부체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앵커 장력 유지 장치가 구비된 부잔교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앵커 장력 유지 장치가 구비된 부잔교는, 부체와 해저 바닥에 고정된 앵커를 연결하는 앵커연결 체인의 장력을 유지시키기 위한 앵커 장력 유지 장치가 구비된 부잔교에 있어서, 상기 앵커 장력 유지 장치는, 일단이 부두에 구비된 인양부에 연결되어 당겨지는 당김 와이어와, 움직도르레와 상기 부체에 고정된 고정도르레가 구비되어, 상기 당김 와이어가 상기 움직도르레를 거쳐 움직도르레와 고정도르레의 풀리 사이를 왕복하게 감겨 타단이 상기 움직도르레 또는 고정도르레에 고정되고, 상기 앵커연결 체인이 상기 움직도르레에 연결되는 풀리윈치 수단이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앵커 장력 유지 장치가 구비된 부잔교는, 상기 당김 와이어는, 일단이 인양부에 연결된 제1 당김 와이어와, 상기 풀리윈치 수단에 감기는 제2 당김 와이어로 구성되고, 제1 보빈과 제2 보빈이 일체로 회전되게 구비되고, 상기 제1 보빈에 상기 제1 당김 와이어가 감기고 풀리게 연결되며, 상기 제1 당김 와이어가 제1 보빈에 감기는 경우 상기 제2 당김 와이어가 상기 제2 보빈에서 풀리고 상기 제1 당김 와이어가 제1 보빈에서 풀리는 경우 상기 제2 당김 와이어가 상기 제2 보빈에 감기게 상기 제2 당김 와이어가 상기 제2 보빈에 연결된 중계 풀리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앵커 장력 유지 장치가 구비된 부잔교는, 상기 중계 풀리는 제2 보빈의 직경이 상기 제1 보빈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앵커 장력 유지 장치가 구비된 부잔교는, 상기 부체에는 부체의 좌우 각각에서 부체의 길이방향으로 보호 공간이 길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도르레, 움직도르레 및 당김 와이어는 상기 보호 공간 내부에 수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앵커 장력 유지 장치가 구비된 부잔교는, 상기 부체에는 부체의 좌우 각각에서 부체의 길이방향으로 보호 공간이 길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도르레, 움직도르레, 당김 와이어 및 중계 풀리는 상기 보호 공간 내부에 수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앵커 장력 유지 장치가 구비된 부잔교는, 상기 보호 공간의 전방 입구 및 후방 입구 각각에는 가이드롤러가 설치되고, 상기 당김 와이어는 상기 보호 공간 전방 입구에 설치된 상기 가이드롤러에 지지되어 상기 보호 공간 전방 입구에서 인출되어 상기 인양부에 연결되며, 상기 앵커연결 체인 또는 상기 앵커연결 체인에 연결된 연결 와이어는 상기 보호 공간 후방 입구에 설치된 상기 가이드롤러에 지지되어 상기 보호 공간 후방 입구에서 인출되어 상기 앵커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앵커 장력 유지 장치가 구비된 부잔교는 수위 변화가 변하더라도 부체를 해저에 고정시키는 앵커 체인에 가해지는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부체의 전후좌우 이동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부체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부잔교에 체인이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2a 및 도 2b는 종래의 부잔교에서 수위 변화에 따른 체인의 길이 변화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앵커 장력 유지 장치가 구비된 부잔교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앵커 장력 유지 장치가 구비된 부잔교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앵커 장력 유지 장치가 구비된 부잔교에서 앵커 장력 유지 장치를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앵커 장력 유지 장치가 구비된 부잔교를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앵커 장력 유지 장치가 구비된 부잔교를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앵커 장력 유지 장치가 구비된 부잔교에서 앵커 장력 유지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상세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앵커 장력 유지 장치가 구비된 부잔교에서 중계 풀리의 작동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앵커 장력 유지 장치가 구비된 부잔교에서 장력 관계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앵커 장력 유지 장치가 구비된 부잔교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앵커 장력 유지 장치가 구비된 부잔교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앵커 장력 유지 장치가 구비된 부잔교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앵커 장력 유지 장치가 구비된 부잔교에서 앵커 장력 유지 장치를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앵커 장력 유지 장치가 구비된 부잔교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앵커 장력 유지 장치가 구비된 부잔교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앵커 장력 유지 장치가 구비된 부잔교에서 앵커 장력 유지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상세 평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앵커 장력 유지 장치가 구비된 부잔교에서 중계 풀리의 작동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앵커 장력 유지 장치가 구비된 부잔교에서 장력 관계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앵커 장력 유지 장치가 구비된 부잔교는 수상에 부유된 부체(1)가 잔교(2)로 육상 부두(F)에 연결되며, 상기 부체(1)는 그 전단은 부두연결 체인(3)으로 육상부두(F)와 연결되고, 그 후단은 앵커연결 체인(4)으로 해저면에 고정된 앵커(4a)와 연결되어 해상에 정박된다. 상기 부두연결 체인(3) 및 앵커연결 체인(4)은 각각 한 쌍이 구비되어 좌우 균형을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자형으로 교차되어 부체(1)에 연결된다. 상기 부체(1)는 저부(1a)가 수면에 떠서 부력을 발생시키고, 상부가 갑판(1b)으로 덮힌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은 조수간만차에 의해 부체(1)가 상승하는 경우 상기 앵커연결 체인(4)을 느슨하게 하고, 상기 부체(1)가 하강하는 경우 상기 앵커연결 체인(4)을 잡아당겨 팽팽하게 함으로써 상기 앵커연결 체인(4)이 해저 바닥에서 들려진 앵커연결 체인(4)의 부분의 변화를 최소화시켜 앵커연결 체인(4)의 무게에 의한 장력 변화를 최소화시켜 장력을 유지시키기 위한 장력 유지 장치(1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력 유지 장치(10)는 중계 풀리(11), 움직도르레(12), 고정도르레(13), 보호 공간(14), 가이드롤러(15,16), 제1 및 제2 당김 와이어(W1,W2) 및 연결 와이어(W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중계 풀리(11)는 상기 부체(1)의 상하 승강에 의해 부두(F)와 같은 육상이나 별도의 윈치와 같은 인양수단에 연결된 제1 당김 와이어(W1)의 당겨지고 늘어나는 길이의 변화를 상기 제2 당김 와이어(W2)의 당겨지고 늘어나는 길이 변화로 전환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부체(1)의 전방 좌우 각각에 고정적으로 설치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중계 풀리(11)에는 직경이 작은 제1 보빈(111)과, 직경이 큰 제2 보빈(112)이 나란하게 배열되어 일체로 회전되게 구비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제1 보빈(111)에는 상기 제1 당김 와이어(W1)가 감기고 풀리게 연결되며, 상기 제2 보빈(112)에는 상기 제2 당김 와이어(W2)가 감기고 풀리게 연결된다. 도 9는 상기 제1 당김 와이어(W1)이 부두(F)를 인양부로 하여 연결되어 상기 중계 풀리(11)에 상기 제1 당김 와이어(W1) 및 제2 당김 와이어(W2)가 감긴 구조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간조시에 상기 부체(1)가 하강하는 경우에는 상기 부체(1)가 부두(F)에서 멀어지기 때문에 육상으로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상기 부두(F)에 연결된 제1 당김 와이어(W1)는 상기 부두(F)에 의해 당겨지게 되어 도 9의 (a)부분에 도시된 바와 상기 제1 보빈(111)에서 풀려(B11) 길이가 길어 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1 당김 와이어(W1)가 제1 보빈(111)에서 풀리는(B11) 경우 상기 제2 당김 와이어(W2)는 상기 제2 보빈(112)에 감기게(B21) 상기 제2 보빈(112)에 연결된다. 한편, 만조시에 상기 부체(1)가 상승하는 경우에는 상기 부체(1)는 부두(F)에 가까워지기 때문에 상기 부두(F)에 연결된 제1 당김 와이어(W1)는 느슨해지게 이완되고, 그에따라 도 9의 (b)부분에 도시된 바와 상기 제1 보빈(111)에서 감기면서(B12) 길이가 짧아 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1 당김 와이어(W1)가 제1 보빈(111)에 감기는(B12) 경우 상기 제2 당김 와이어(W2)는 상기 제2 보빈(112)에서 풀리게 된다(B22). 결과적으로 상기 제1 당김 와이어(W1) 및 제2 당김 와이어(W2)는 제2 당김 와이어(W2)에 연결된 움직도르레(12)를 잡아당기게 되는데, 제1 보빈(111) 및 제2 보빈(112)의 직경차로 상기 제1 당김 와이어(W1)와 제2 당김 와이어(W2)가 잡아 당겨지는 길이 및 와이어에 걸리는 장력에 변화가 발생된다. 도 8을 참조하면, 도면에는 상기 제1 보빈(111)의 반경(r1)과 제2 보빈(112)의 반경(r2)의 비가 r1:r2=1:2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와 같은 반경비를 갖는 경우 상기 중계 풀리(11)의 중계에 의해 제2 당김 와이어(W2)는 제1 당김 와이어(W1)의 당겨지거나 풀어지는 길이의 2배만큼 당겨지고 풀리게 되고, 제2 당김 와이어(W2)에 걸리는 장력(T2)는 제1 당김 와이어(W1)에 걸리는 장력(T1)의 0.5배가 된다. 즉, r2 = 2*r1, T2 = 0.5*T1인 관계가 성립한다.
상기 제1 당김 와이어(W1) 일단이 인양부(도면에 미도시)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중계 풀리(11)의 제1 보빈(111)에 연결되어 상기 부체(111)의 승하강시 상기 제1 보빈(111)에 감기고 풀리게 된다. 상기 인양부는 상기 부체(1)의 하강으로 앵커연결 체인(4)이 느슨해지게 이완되면 상기 제1 당김 와이어(W1)를 당기고, 반대로 상기 부체(1)의 상승으로 상기 앵커연결 체인(4)이 팽팽하게 잡아당겨지면 상기 제1 당김 와이어(W1)를 이완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도면에는 상기 인양부로 간만에 의해 전혀 고도(높이)가 변하지 않는 육상 부두(F)가 인양부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상기 제1 당김 와이어(W1)이 연결되어 상기 부체(1)의 승강에 따라 상기 제1 당김 와이어(W1)가 팽팽해지거나 느슨해지게 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당김 와이어(W1)가 윈치와 같은 별도의 인양수단에 연결되게 구성되어 질 수 있다.
상기 제2 당김 와이어(W2)는 일단이 상기 중계 풀리11)의 제2 보빈(112)에 연결되어 상기 제2 보빈(112)에 감기고 풀리게 된다.
한편, 도면에는 상기 제1 당김 와이어(W1)와 제2 당김 와이어(W2)가 중계 풀리(11)에 의해 장력이 T1에서 T2로 변환되게 구성되어 있으나, 장력의 변화가 필요없는 경우에는 상기 제1 당김 와이어(W1)와 제2 당김 와이어(W2)는 중계 풀리(11)를 통하지 않고 직접 연결되어 질 수 있다(또는 제1 당김 와이어와 제2 당김 와이어는 일체로 연결되어 질 수 있다).
상기 움직도르레(12) 및 고정도르레(13)로 구성된 풀리윈치 수단은 상기 제2 당김 와이어(W2)가 감겨 상기 제2 당김 와이어(W2)의 장력(T2)을 증가시켜 움직도르레(12)에 연결된 앵커연결 체인(4)에 가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 10은 제2 당김 와이어(W1)가 움직도르레(12) 및 고정도르레(13)에 감긴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인데,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중계 풀리(2)에 일단이 연결된 제2 당김 와이어(W2)는 상기 부체(1)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상기 부체(1)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움직도르레(12)의 도르레 풀리(121) 중 하나에 1회 감기고 다시 부체(1)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부체(1)에 고정된 고정도르레(13)의 도르레 풀리(131)에 1회 감긴 다음, 다시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움직도르레(12)의 도르레 풀리(121) 중 다른 하나에 2회차 감긴 다음 다시 후방으로 연장되어 타단이 상기 고정도르레(13)에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2 당김 와이어(W2)의 장력(T2) 변화(또는 길이 변화)에 따라 상기 움직도르레(12)는 상기 부체(1)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되게 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움직도르레(12)의 연결부(122)에 연결된 앵커연결 체인(4)를 잡아당기거나 늘어지게 이완시킨다. 상기 고정도르레(13)는 상기 제2 당김 와이어(W2)의 방향을 전환하도록 고정부(132)가 상기 부체(1)에 고정된다. 상기 제2 당김 와이어(W2)에는 T2로 동일한 장력이 걸리기 때문에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움직도르레(12)에 제2 당김 와이어(W2)가 2회 감긴 경우에는 상기 움직도르레(12)에는 T2의 4배에 해당되는 힘이 가해지게 되고 결과적으로 상기 움직도르레(12)에 연결된 앵커연결 체인(4)에는 T2의 4배에 해당되는 장력(T3)가 걸리게 된다. 이를 수식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T3 = 4*T2 = 4*(0.5*T1) = 2*T1
한편, 도면에는 상기 움직도르레(12)에 제2 당김 와이어(W2)가 2회 감긴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감긴 횟수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상기 앵커연결 체인(4)이 곧바로 상기 움직도르레(12)에 연결되지 않고 연결 와이어(W3)의 일단이 상기 움직도르레(12)의 연결부(122)에 연결되고 그 타단이 상기 앵커연결 체인(4)에 연결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연결 와이어(W3)는 필요에 따라 삭제되어 질 수 있는 구성이다.
상기 부체(1)의 전방에는 상기 제1 당김 와이어(W1)에 걸린 장력 T1과 상기 부두연결 체인(3)에 걸린 장력 T4의 합력(T1+T4)이 가해져 상기 부체(1)를 전방으로 잡아당기게 되고, 상기 부체(1)의 후방에 연결된 앵커연결 체인(4)에 걸린 장력 T3에 의해 상기 부체(1)가 후방으로 잡아당겨지면서 평형을 이루게 된다. 즉, 하기 식에 의한 힘의 평형이 이루어지게 된다.
T1+T4(부체를 전방으로 잡아당기는 장력의 합) = T3 = 2*T1(부체를 후방으로 잡아당기는 장력)
상기에서 알 수 있듯이 간조시 상기 부체(1)가 하강되는 경우 상기 제1 당김 와이어(W1)는 상기 부두(F)에 의해 잡아당겨져 상기 중계 풀리(11)에서 풀리면서 상기 제2 당김 와이어(W2)가 상기 앵커연결 체인(4)을 잡아당기고, 반대로 만조시 상기 부체(1)가 상승되는 경우 상기 제1 당김 와이어(W1)는 느슨해지면서 상기 중계 풀리(11)에 감기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제2 당김 와이어(W2)가 상기 앵커연결 체인(4)를 놓아줌으로써 상기 앵커연결 체인(4)가 이완된다. 이에 따라 상기 앵커연결 체인(4)이 수중에서 처진 길이가 일정하게 유지되게 되며 결과적으로 앵커연결 체인(4)에 걸리는 장력 T3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상기와 같이 앵커연결 체인(4)에 장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부체(1)의 하강시 상기 제1 당김 와이어(W1)가 제1 보빈(111)에서 풀림으로써 상기 제2 당김 와이어(W2)가 제2 보빈(112)에 감겨 상기 제2 당김 와이어(W2)가 당겨지면서 그에 따라 상기 움직도르레(12)가 당겨지게 된다. 상기 제2 당김 와이어(W2)가 움직도르레(12)를 잡아 당기는 것은 제2 당김 와이어(W2)가 앵커연결 체인(4)을 잡아당기는 것을 의미한다. 즉, 간조시에는 상기 부체(1)의 하강으로 상기 앵커연결 체인(4)의 해저 바닥에 놓여지는 부분이 증가하면서 상기 앵커연결 체인(4)의 수중에서 처진 길이가 감소하게 되지만, 그 감소된 처진 길이는 상기 움직도르레(12)가 앵커연결 체인(4)을 잡아당김으로써 반대로 증가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앵커연결 체인(4)의 수중에서 처진 길이가 일정하게 유지되게 된다.
반대로, 상기 부체(1)의 상승시 상기 제1 당김 와이어(W1)가 제1 보빈(111)에 감김으로써 상기 제2 당김 와이어(W2)가 제2 보빈(112)에서 풀리면서 상기 제2 당김 와이어(W2)가 길어지게 되면서 그에 따라 상기 움직도르레(12)가 후방으로 이동되게 된다. 상기 움직도르레(12)가 후방으로 이동되는 것은 상기 앵커연결 체인(4)이 느슨하게 이완되는 것을 의미한다. 즉, 만조시에는 상기 부체(1)의 상승으로 상기 앵커연결 체인(4)의 해저 바닥에 놓여지는 부분이 감소하면서 상기 앵커연결 체인(4)의 수중에서 처진 길이가 증가하게 되지만, 그 증가된 처진 길이는 상기 움직도르레(12)가 앵커연결 체인(4)을 풀어줌으로써 반대로 감소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앵커연결 체인(4)의 수중에서 처진 길이가 일정하게 유지되게 된다.
상기 보호 공간(14)은 중계 풀리(11), 고정도르레(12), 움직도르레(13) 및 당김 와이어(W1,W2)가 수용되어 보호되기 위한 구성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보호 공간(14)은 상기 부체(1)의 갑판(1b)의 하부 좌우 각각에 배치되며, 상기 부체(1)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중계 풀리(11), 고정도르레(12), 움직도르레(13) 및 당김 와이어(W1,W2)는 상기 보호 공간(14) 내부에 수용된다.
상기 가이드롤러(15,16)는 상기 보호 공간(14)의 전방 입구 및 후방 입구 각각에 설치되어 각각 제1 당김 와이어(W1)와 연결 와이어(W3)의 방향이 전환되게 지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당김 와이어(W1)는 상기 보호 공간(14) 전방 입구에 설치된 상기 가이드롤러(15)에 지지되어 상기 보호 공간(14) 전방 입구에서 인출되어 인양부인 상기 부두(F)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앵커연결 체인(4)을 움직도르레(12)로 연결하는 연결 와이어(W3)은 상기 보호 공간(14) 후방 입구에 설치된 상기 가이드롤러(16)에 지지되어 상기 보호 공간(14) 후방 입구에서 인출되어 상기 앵커연결 체인(4)에 연결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장력 유지 장치가 구비된 부잔교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F 부두
1 부체
1a 부구
1b 갑판
2 잔교
3 부두연결 체인
4 앵커연결 체인
4a 앵커
10 앵커 장력 유지 장치
11 중계 풀리
111 제1 보빈
112 제2 보빈
12 움직도르레
121 도르레 풀리
122 연결부
13 고정도르레
131 도르레 풀리
132 고정부
14 보호 공간
15,16 가이드 롤러
W1,W2 제1 및 제2 당김 와이어
W3 연결 와이어

Claims (6)

  1. 부체와 해저 바닥에 고정된 앵커를 연결하는 앵커연결 체인의 장력을 유지시키기 위한 앵커 장력 유지 장치가 구비된 부잔교에 있어서,
    상기 앵커 장력 유지 장치는, 일단이 부두에 구비된 인양부에 연결되어 당겨지는 당김 와이어와, 움직도르레와 상기 부체에 고정된 고정도르레가 구비되어, 상기 당김 와이어가 상기 움직도르레를 거쳐 움직도르레와 고정도르레의 풀리 사이를 왕복하게 감겨 타단이 상기 움직도르레 또는 고정도르레에 고정되고, 상기 앵커연결 체인이 상기 움직도르레에 연결되는 풀리윈치 수단이 포함되고,
    상기 당김 와이어는, 일단이 인양부에 연결된 제1 당김 와이어와, 상기 풀리윈치 수단에 감기는 제2 당김 와이어로 구성되며,
    제1 보빈과 제2 보빈이 일체로 회전되게 구비되고, 상기 제1 보빈에 상기 제1 당김 와이어가 감기고 풀리게 연결되며, 상기 제1 당김 와이어가 제1 보빈에 감기는 경우 상기 제2 당김 와이어가 상기 제2 보빈에서 풀리고 상기 제1 당김 와이어가 제1 보빈에서 풀리는 경우 상기 제2 당김 와이어가 상기 제2 보빈에 감기게 상기 제2 당김 와이어가 상기 제2 보빈에 연결된 중계 풀리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장력 유지 장치가 구비된 부잔교.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풀리는 제2 보빈의 직경이 상기 제1 보빈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장력 유지 장치가 구비된 부잔교.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체에는 부체의 좌우 각각에서 부체의 길이방향으로 보호 공간이 길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도르레, 움직도르레 및 당김 와이어는 상기 보호 공간 내부에 수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장력 유지 장치가 구비된 부잔교.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체에는 부체의 좌우 각각에서 부체의 길이방향으로 보호 공간이 길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도르레, 움직도르레, 당김 와이어 및 중계 풀리는 상기 보호 공간 내부에 수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장력 유지 장치가 구비된 부잔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공간의 전방 입구 및 후방 입구 각각에는 가이드롤러가 설치되고,
    상기 당김 와이어는 상기 보호 공간 전방 입구에 설치된 상기 가이드롤러에 지지되어 상기 보호 공간 전방 입구에서 인출되어 상기 인양부에 연결되며,
    상기 앵커연결 체인 또는 상기 앵커연결 체인에 연결된 연결 와이어는 상기 보호 공간 후방 입구에 설치된 상기 가이드롤러에 지지되어 상기 보호 공간 후방 입구에서 인출되어 상기 앵커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장력 유지 장치가 구비된 부잔교.
KR1020160042519A 2016-04-06 2016-04-06 앵커 장력 유지 장치가 구비된 부잔교 KR1016755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2519A KR101675527B1 (ko) 2016-04-06 2016-04-06 앵커 장력 유지 장치가 구비된 부잔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2519A KR101675527B1 (ko) 2016-04-06 2016-04-06 앵커 장력 유지 장치가 구비된 부잔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5527B1 true KR101675527B1 (ko) 2016-11-11

Family

ID=57527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2519A KR101675527B1 (ko) 2016-04-06 2016-04-06 앵커 장력 유지 장치가 구비된 부잔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552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3365B1 (ko) 2016-04-06 2017-07-31 주식회사 블루오션테크 앵커 장력 유지 장치
CN108425316A (zh) * 2018-05-24 2018-08-21 广州船舶及海洋工程设计研究院(中国船舶工业集团公司第六0五研究院) 岸线边通道装置
CN110239670A (zh) * 2019-06-11 2019-09-17 中国能源建设集团广东省电力设计研究院有限公司 登船系统
CN113152365A (zh) * 2021-04-08 2021-07-23 华东桐柏抽水蓄能发电有限责任公司 一种浮动式蓄能电站水库码头
KR102340132B1 (ko) 2021-04-01 2021-12-17 강석주 설치가 간편하고 안전성이 개선된 부잔교
RU216539U1 (ru) * 2021-12-13 2023-02-14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казенное воен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ВОЕННАЯ АКАДЕМИЯ МАТЕРИАЛЬНО-ТЕХНИЧЕСКОГО ОБЕСПЕЧЕНИЯ имени генерала армии А.В. Хрулева" Министерства обороны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Понтон наплавного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го моста для сброса мостовых паромов при наземной сборке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2683A (ko) 2011-12-05 2013-06-13 이종목 소형 선박을 위한 접안시설용 부유체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접안시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2683A (ko) 2011-12-05 2013-06-13 이종목 소형 선박을 위한 접안시설용 부유체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접안시설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3365B1 (ko) 2016-04-06 2017-07-31 주식회사 블루오션테크 앵커 장력 유지 장치
CN108425316A (zh) * 2018-05-24 2018-08-21 广州船舶及海洋工程设计研究院(中国船舶工业集团公司第六0五研究院) 岸线边通道装置
CN110239670A (zh) * 2019-06-11 2019-09-17 中国能源建设集团广东省电力设计研究院有限公司 登船系统
KR102340132B1 (ko) 2021-04-01 2021-12-17 강석주 설치가 간편하고 안전성이 개선된 부잔교
CN113152365A (zh) * 2021-04-08 2021-07-23 华东桐柏抽水蓄能发电有限责任公司 一种浮动式蓄能电站水库码头
RU216539U1 (ru) * 2021-12-13 2023-02-14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казенное воен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ВОЕННАЯ АКАДЕМИЯ МАТЕРИАЛЬНО-ТЕХНИЧЕСКОГО ОБЕСПЕЧЕНИЯ имени генерала армии А.В. Хрулева" Министерства обороны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Понтон наплавного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го моста для сброса мостовых паромов при наземной сборк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5527B1 (ko) 앵커 장력 유지 장치가 구비된 부잔교
US4155673A (en) Floating structure
JP2021514892A (ja) ケーブル推進船に使用されるケーブルのための可変比重及び直径ケーブル及び/又は外力の使用による海底ケーブル制御
JPH07163265A (ja) 養殖設備
KR101763365B1 (ko) 앵커 장력 유지 장치
JPH0218192A (ja) 水上浮体構造物の固定方法
KR101793231B1 (ko) 파력저항이 저감된 이동형 수상 구조물
KR20200053961A (ko) 펜더 대빗 장치
KR102640051B1 (ko) 부유식 구조물의 펜더 이동 장치
KR920002160B1 (ko) 도달 양륙지점에서 해저케이블 단부를 해안으로 견인하는 방법
JPH0325136B2 (ko)
CN111566003B (zh) 防护件吊架装置
JP2000064318A (ja) 沈埋函の沈設方法
JPH09509114A (ja) 係留手段
US3209545A (en) Off-shore triangular ship mooring structure
KR20150104734A (ko) 도르래를 이용한 선박 계류장치
JPS61115794A (ja) フロ−トオンフロ−トオフ船
JP3238184B2 (ja) 浮沈装置
SU1014787A1 (ru) Плавучий причал
KR102505044B1 (ko) 수상 부유체를 연결하는 케이블의 계류장력을 유지하기 위한 블록형 앵커 장치
JPS621283Y2 (ko)
CN112678116B (zh) 适用于大水位变化的系泊装置
KR20140111060A (ko) 부유식 도크 시스템
KR102537987B1 (ko) 부력 계류식 부유식 구조물
SU485912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под воду объект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