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0719B1 - 직화 가열이 가능한 내열성 분청 다기(茶器)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직화 가열이 가능한 내열성 분청 다기(茶器)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0719B1
KR101310719B1 KR1020110077523A KR20110077523A KR101310719B1 KR 101310719 B1 KR101310719 B1 KR 101310719B1 KR 1020110077523 A KR1020110077523 A KR 1020110077523A KR 20110077523 A KR20110077523 A KR 20110077523A KR 101310719 B1 KR101310719 B1 KR 1013107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material
weight
parts
color
r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7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5501A (ko
Inventor
김영길
Original Assignee
김영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길 filed Critical 김영길
Priority to KR1020110077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0719B1/ko
Publication of KR20130015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55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0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07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24Manufacture of porcelain or white war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01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 C04B35/1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aluminium 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01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 C04B35/14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6Preparing or treating the powder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preparing or treating macroscopic reinforcing agents for ceramic products, e.g. fibres; mechanical aspects section B
    • C04B35/62605Treating the starting powders individually or as mixtures
    • C04B35/6261M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04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oating or applying engobing layers
    • B28B11/044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oating or applying engobing layers with glaze or engobe or enamel or varnish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4Burning or sintering process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원은 다기 제조에 사용되는 소지원료가 소성 전 원석의 색상이 백색으로 제공되는 활석과 소성 전 원석의 색상이 핑크색인 고령토와, 소성 전 원석의 색상이 아이보리색인 도석과 소성 전 원석의 색상이 연갈색인 점토와 소성 전 원석의 색상이 황갈색인 황토를 적당한 배합비로 혼합하여 분청 색상을 나타내고, 상기 원료 소지로 제공되는 다기(茶器)가 내열성(耐熱性)을 확보하여 직화가 가능한 다기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원에서 제공되는 분청 다기(茶器)는 소성 전 원석의 색상이 백색으로 제공되는 활석 36±1 중량부와 소성 전 원석의 색상이 핑크색인 고령토 20±1 중량부를 건식혼합하여 1340~1360℃ 범위로 소성시킨 소성원료를 얻는 제조공정(1)과,
소성 전 원석의 색상이 아이보리색인 도석 10±1 중량부와 소성 전 원석의 색상이 연갈색인 점토 30±1 중량부와 소성전 원석의 색상이 황갈색인 황토 5±1 중량부를 혼합하여 비 소성원료를 얻는 제조공정(2)와,
상기 제조공정(1)에서 얻은 소성원료 55±1 중량부와 제조공정(2)에서 얻은 비소성원료 45±1 중량부를 혼합하여 100중량부를 이루고 이를 습식으로 혼합분쇄한 후 80~100메쉬(mesh)체로 걸러진 내용물을 탈수하여 다기소지 원료조성물을 이루어서 내열성을 확보하는 다기류에 관한 기술이다

Description

직화 가열이 가능한 내열성 분청 다기(茶器)의 제조방법{The manufacturing method of earthenwave bowl enabling direct heating}
본원은 전기나 화기(火氣)로 직화가 가능한 내열성 분청 다기를 얻기 위한 분청 다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활석과 고령토를 건식혼합 후 고온에서 소성하여 1차적으로 구운원료(1)을 얻고, 도석과 점토와 황토를 혼합한 비 소성원료(2)를 얻으며, 상기의 구운원료(1)과 비소성원료(2)를 혼합하여 습식분쇄를 실시하여 분청 다기의 혼합원료(3) 소지를 이용하여 직화가 가능한 내열성 분청 다기를 얻고자 하는 기술사상의 발명이다.
또한 본원은 각각의 특정색상을 갖는 활석과 고령토, 도석, 점토, 황토 등을 얻기 위해 특정 배합비로 조성하여 원하는 색상을 1차적으로 구현하고 또한 이들을 특정의 배합비와 가공공정을 거쳐 내열성을 확보하는 소지를 얻고 이를 이용하여 초벌구이 유약도포 재벌구이 등의 공정을 거침으로 풍부한 색상과 질감으로 내열성을 확보하는 분청 다기를 얻고자 하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다기(茶器)란 차를 담는 용기로서 처음엔 토기로 된 다기로 시작하여 구리등의 금속제로 된 것이나 아름다운 청자나 상감을 지닌 다기가 제공되어 왔으며 오늘날에는 유기제품과 도자기로 된 것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대부분 뚜껑이 있는 잔 모양이며 잔 받침을 갖는 구조로 제공되고 있다.
도자기를 얻기 위한 원료물질로서 소지는 일반적으로 도기점토, 석기점토, 자기점토로 분류되며, 특히 소지는 소성 전 강도가 약하고 건조 수축률이 높은 특성을 갖는다.
도자기와 관련하여 소지에 관한 종래 기술로는 공개특허 1996-0010579(공개일자 1996.04.20) '내열 도자기 소지 및 이를 이용한 내열도자기의 제조방법'과 등록특허 10-0279142(공고일자 2001.04.02) '도자기의 입체 무늬 형성용 소지 조성물' 등이 있으며, 상기 공개특허 1996-0010579의 경우에는 내열 충격성이 우수한 도자기 제조에 필요한 도자기 소지를 제공하고, 상기 등록특허 10-0279142의 경우에는 도자기의 표면에 입체무늬를 형성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소지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상기 특허들은 내열 충격성, 입체 무늬 형성과 같은 특수목적에 따른 소지를 구성하고 있으나 도자기 제작에 따른 유약처리에 의해 풍부한 질감과 색상을 표현하기에 부적합한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다기(茶器)류는 내열성(耐熱性)을 확보하지 못하여 직접 불이나 가열수단을 갖지 못하고 1차적으로 커피포트나 다른 가열수단에 의해 끓인 물을 다기(茶器)에 넣어 차를 달여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본원 발명자는 경기도로부터 명장의 칭호를 부여받은 사람으로서, 본원의 기술사상으로부터 새롭게 제공되는 분청 다기제품의 원료소지를 이용하여 외관이 미려하고, 동양적인 작품성을 구현할 수 있는 분청 다기 원료소지의 비법을 도예인들에게 제공하고, 국내 도예가들의 손재주를 이용하여 실용성과 미적 요소를 동시에 갖춘 한국 전통공예품으로 육성시켜 앞으로 한국을 찾는 외국인들에게 꼭 구입하고 싶은 대한민국의 명품으로 분청 다기제품을 수출상품화 할 수 있는 길을 열고자 하는 과제를 갖고 시작된 발명이다.
본원은 다기 제조에 사용되는 소지원료가 소성 전 원석의 색상이 백색으로 제공되는 활석과 소성 전 원석의 색상이 핑크색인 고령토와, 소성 전 원석의 색상이 아이보리색인 도석과 소성 전 원석의 색상이 연갈색인 점토와 소성 전 원석의 색상이 황갈색인 황토를 적당한 배합비로 혼합하여 아름다운 분청 색상을 나타냄과 동시에, 상기 원료소지를 적절하게 배합하여 내열성(耐熱性)을 갖는 다기(茶器)를 제공하여 직화가 가능한 분청 다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또한 본원에서 제공되는 분청 다기 제품의 성형작업 시 성형품의 유입구를 4각형 내지 8각형 중에서 선택되는 다각형으로 성형시켜 심미감을 높인 분청 다기(茶器) 제품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본원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직화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분청 다기(茶器)를 얻기 위한 제조방법으로, 백색의 활석과 핑크색의 고령토를 건식혼합 후 고온에서 소성하여 1차적으로 구운 원료(1)을 얻고, 아이보리색의 도석과 연갈색의 점토와 황갈색의 황토를 혼합하여 비 소성원료(2)를 얻으며, 상기의 구운 원료(1)과 비 소성원료(2)를 혼합하고 습식 분쇄하여 일정입도 크기로 습식 혼합원료(3)를 얻어서 다기소지 원료로 조성하는 경우 풍부한 질감과 아름다운 색상을 표현할 수 있는 분청 다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원의 기술사상에서는 소성 전 원석의 색상이 백색으로 제공되는 활석을 얻기 위한 수단으로서, SiO2 65.0±2.0 wt%, Al2O3 0.4±0.1 wt%, Fe2O3 0.4±0.1 wt%, MgO 32.0±1.0 wt%, CaO 1.0±0.2 wt% 조성에 가열감량 3.0±0.5 wt% 범위에서 100wt% 조성을 이루는 경우 소성 전 원석의 색상이 백색으로 제공되는 활석을 얻어 이용하고자 하는 기술사상을 갖는다.
또한 본원은 소성 전 원석의 색상이 연핑크 색상으로 제공되는 고령토를 얻기 위한 수단으로서, SiO2 46.5±2.0 wt%, Al2O3 35.5±1.0 wt%, Fe2O3 2.5±0.3 wt%, CaO 0.7±0.2 wt%, K2O 0.8±0.2 wt%, Na2O 0.3±0.1 wt%, TiO2 0.3±0.1 wt%, 조성에 가열감량 13.5±0.5 wt% 범위에서 100wt% 조성을 이루는 경우 소성 전 원석의 색상이 핑크색인 고령토를 얻어 이용하고자 하는 기술사상을 갖는다.
본원에서는 소성 전 원석의 아이보리 색상으로 제공되는 도석을 얻기 위한 수단으로서, SiO2 83.0±2.0 wt%, Al2O3 13.5±0.1 wt%, Fe2O3 0.2±0.1 wt%, MgO 0.2±0.1 wt%, K2O 1.2±0.2 wt% 조성에 가열감량 2.0±0.5 wt% 범위에서 100wt% 조성을 이루며 소성 전 원석의 색상이 아이보리색인 도석을 얻어 이용하고자 하는 기술사상을 갖는다.
본원은 소성 전 원석의 색상이 연갈색으로 제공되는 점토를 얻기 위한 수단으로서, SiO2 50.0±2.0 wt%, Al2O3 30.2±1.0 wt%, Fe2O3 2.2±0.1 wt%, MgO 0.9±0.1 wt%, Na2O 1.0±0.1 wt%, K2O 0.7±0.1 wt%, TiO2 0.3±0.1 wt%, MnO 0.3±0.1 wt% 조성에 가열감량 12.5±0.5 wt% 범위에서 100wt% 조성을 이루며 소성 전 원석의 색상이 연갈색인 점토를 얻어 이용하고자 하는 기술사상을 갖는다.
본원은 소성 전 원석의 색상이 황갈색으로 제공되는 황토를 얻기 위한 수단으로서, SiO2 44.0±2.0 wt%, Al2O3 31.2±1.0 wt%, Fe2O3 8.3±0.1 wt%, MgO 0.5±0.1 wt%, CaO 0.2±0.1 wt%, K2O 0.4±0.1 wt%, TiO2 1.4±0.2 wt% 조성에 가열감량 14.0±0.5 wt% 범위에서 100wt% 조성을 이루며 소성 전 원석의 색상이 연갈색인 황토를 얻어 이용하고자 하는 기술사상을 갖는다.
본원은 분청 다기(茶器)의 제조방법에서, 소성 전 원석의 색상이 백색으로 제공되는 활석 36±1 중량부와, 소성 전 원석의 색상이 핑크색인 고령토 20±1 중량부를 건식혼합하여 1340~1360℃ 범위로 소성시켜 소성된 구운 원료 55±1 중량부의 1차 조성물을 얻어 이용하게 되는바, 2차 조성물과 다르게 1차 조성물을 고온에서 소성시키는 공정을 채택하는 것은 백색을 나타내는 활석과 핑크색을 나타내는 고령토가 2차 조성물과 결합력이 극히 약하여 쉽게 분해되는 성질을 나타내므로 2차 조성물과 배합되기 이전에 2가지 조성을 활석 36±1 : 고령토 20±1 중량비로 혼합하고 1340~1360℃ 범위에서 소성시켜 사용하는 경우 결합을 저해하는 요소들이 제거되는 특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꼭 필요한 공정이라 할 수 있다.
본원에서 적용되는 2차 조성물은 소성 전 원석의 색상이 아이보리색인 도석 10±1 중량부와, 소성 전 원석의 색상이 연갈색인 점토 30±1 중량부와, 소성전 원석의 색상이 황갈색인 황토 5±1 중량부를 혼합하여 45±1 중량부의 2차 조성물을 얻어 이용하게 되는바, 1차 조성물로 구운 원료 55±1 중량부와 2차 조성물 45±1 중량부가 혼합되어 100% 원료물을 이루어 습식분쇄를 실시하여 사용하게 된다.
습식혼합분쇄는 볼밀이 20~30% 내장된 분쇄기에 상기 혼합된 원료와 혼합된 원료량의 1/3 ~ 1/4 정도의 물을 넣고 회전시키는 수단으로 6~ 8시간 습식분쇄공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분쇄공정이 완료된 후 80~100메쉬(mesh)체로 걸러진 내용물을 탈수하여 다기소지 원료소지를 얻고 이를 이용하여 다기용으로 성형 및 정형을 실시하고, 초벌구이를 실시하게 되며 외부의 먼지를 털어 낸 후 성형품의 표면에 유약을 입히는 유약 처리단계와 및 재벌구이 단계를 거쳐 분청 다기(茶器)를 얻는 경우 아름다운 분청 색상을 나타냄과 동시에 내열성(耐熱性)을 갖는 다기(茶器)를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하여 완성된 발명이다.
본원의 기술사상으로부터 제공되는 다기는 내구성 및 색상감이 뛰어나 미려함을 제공하여 다도(茶道, teaism)를 즐기는 사람들에게 찻잎 따기에서 달여 마시기까지 몸과 마음을 수련하는데 상쾌함과 신선함을 추가해 줄 수 있고, 다도를 모르는 일반인에게도 삶의 여유를 찾으면서 다도를 배우고자 하는 의욕을 제공하는 효과가 기대된다.
본원 발명자는 경기도 명장의 칭호를 받은 사람으로서, 본원의 기술사상으로부터 제공되는 다기제품이 외관이 미려하고, 다기 자체를 통해 동양적인 작품성을 구현할 수 있는 원료소지를 개발하여 심미감을 높이는 가공공정을 적용함으로써 실용성과 미적 요소를 동시에 갖춘 공예품으로 앞으로 한국을 찾는 외국인에게 꼭 구입하고 싶은 대한민국의 명품 수출상품으로 상업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도 1 : 본원의 내열성 분청 다기를 얻기 위한 제조공정도.
도 2 : 본원의 기술사상으로 제공되는 내열성 분청 다기의 예시도.
도 3 : 본원에서 제공되는 내열성 분청 다기의 변형 적용예시도.
도 4 : 본원 출원인이 경기도로부터 받은 도자기 분야 명장증.
이하 본원의 기술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발명의 실시예를 겸하여 본원 기술사상의 구현양태를 제시하여 설명하고자 하는바, 본 출원의 명세서나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며, 본원의 보호범위는 발명의 기술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할 것이며, 또한 본원의 실시예에 제시되는 상한이나 하한을 나타내는 숫자는 본원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베스트모드를 제시한 것에 불과할 뿐이고 본원의 기술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나 본원에서 제시되는 수치의 상한이나 하한을 벗어나는 경우 분청의 아름다운 색상이 훼손되고 내열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나타낼 수 있을 것이다.
본원의 기술사상은 백색의 활석과 핑크색의 고령토를 건식혼합 후 고온에서 소성하여 1차적으로 소성원료를 얻는 제조공정(1)과, 아이보리색의 도석과 연갈색의 점토와 황갈색의 황토를 특정배합비로 혼합하여 비 소성원료를 얻는 제조공정(2)와 제조공정(1)에서 얻은 소성원료와 제조공정(2)에서 얻은 비소성원료 를 혼합하여 100중량부를 이루고 이를 습식으로 혼합분쇄하여 일정입도 크기로 걸러진 내용물을 탈수하여 다기소지 원료를 얻는 제조공정(3)과 상기 다기소지 원료를 이용하여 성형 및 정형단계, 초벌구이 단계, 유약도포 단계, 재벌구이 단계 등을 실시하는 제조공정(4)을 포함하여 직화 가열이 가능한 내열성 분청 다기(茶器)를 얻고자 하는 발명이다.
본원에서 제공되는 분청 다기(茶器)는 풍부한 질감과 아름다운 색상을 표현할 수 있음과 동시에 내열성(耐熱性)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는 원료의 구성성분에 따른 색상과 특정의 배합비율에 따라 목적의 달성 여부가 판가름 될 수 있는바, 이하에서는 본원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본재료로 각각의 원료를 준비하는 공정부터 도 1에 제시된 제조공정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백색의 활석(11) 제조 실시예
먼저 소성 전 원석의 색상이 백색으로 제공되는 활석을 얻기 위한 수단으로, SiO2 12.84 ㎏, Al2O3 0.072 ㎏, Fe2O3 0.076 ㎏, MgO 6.42 ㎏, CaO 0.174 ㎏의 조성으로 배합하여 백색으로 제공되는 활석(제1원료)을 얻었다.
핑크색의 고령토(12) 제조 실시예
소성 전 원석의 색상이 핑크색상으로 제공되는 고령토를 얻기 위한 수단으로, SiO2 9.3 ㎏, Al2O3 7.08 ㎏, Fe2O3 0.486 ㎏, CaO 0.132 ㎏, K2O 0.168 ㎏, Na2O 0.052 ㎏, TiO2 0.062 ㎏의 조성으로 배합하여 핑크색인 고령토(제2원료)를 얻었다.
아이보리색 도석(21) 제조 실시예
소성 전 원석의 색상이 아이보리색으로 제공되는 도석을 얻기 위한 수단으로, SiO2 16.66 ㎏, Al2O3 2.66 ㎏, Fe2O3 0.028 ㎏, MgO 0.032 ㎏, K2O 0.24 ㎏의 조성으로 배합하여 아이보리색인 도석(제3원료)을 얻었다.
연갈색 점토(22) 제조 실시예
소성 전 원석의 색상이 연갈색으로 제공되는 점토를 얻기 위한 수단으로, SiO2 9.94 ㎏, Al2O3 6.044 ㎏, Fe2O3 0.43 ㎏, MgO 0.18 ㎏%, Na2O 0.196 ㎏, K2O 0.14 ㎏, TiO2 0.052 ㎏, MnO 0.05 ㎏의 조성으로 배합하여 연갈색인 점토(제4원료)를 얻었다.
황갈색의 황토(23) 제조 실시예
소성 전 원석의 색상이 황갈색으로 제공되는 황토를 얻기 위한 수단으로, SiO2 8.82 ㎏, Al2O3 6.24 ㎏, Fe2O3 1.66 ㎏, MgO 0.1 ㎏, CaO 0.04 ㎏, K2O 0.08 ㎏, TiO2 0.28 ㎏의 조성으로 배합하여 황갈색의 황토(제5원료)를 얻었다.
제 1 제조공정(소성원료 제조 : 13) 실시예
상기 배합비율로 제공된 활석(제1원료)과 고령토(제2원료)를 특정 배합비율로 활석 36±1 중량부 : 고령토 20±1 중량부 비율로 혼합하여 고온에서 소성시키는 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는바, 더욱 구체적으로 활석(제1원료) 10.8 ㎏과 고령토(제2원료) 6.0 ㎏을 건식혼합하여 1340~1360℃ 범위로 소성시켜 소성감량 후 16.5 ㎏를 얻어 이용하는 수단으로 제조공정(1)이 적용되었다.
제 2 제조공정(비 소성원료 제조 :24) 실시예
상기 배합비율로 제공된 도석(제3원료)과 점토(제4원료)와 황토(제5원료)를 특정 배합비율로 도석 10±1 중량부 : 점토 30±1 중량부와 황토 5±1 중량부 비율로 혼합하여 비 소성원료를 얻을 수 있는바, 상기의 도석(제3원료) 3.0 ㎏과 점토(제4원료) 9.0 ㎏과 황토(제5원료) 1.5 ㎏을 혼합하여 비 소성원료 13.5 ㎏을 얻어 이용하는 수단으로 제조공정(2)가 적용되었다.
제 3 제조공정(다기소지 원료 제조 : 30) 실시예
상기의 제조공정(1)에서 얻은 소성원료 55±1 중량부와 제조공정(2)에서 얻은 비소성원료 45±1 중량부를 혼합하여 100중량부를 이루고 이를 습식으로 혼합분쇄한 후 일정입도 크기의 체로 걸러진 내용물을 탈수하여 다기소지 원료를 얻는 제조공정인바, 상기의 제 1제조공정에서 얻은 소성원료 11.0 ㎏과 제조공정(2)에서 얻은 비 소성원료 9.0 ㎏을 혼합하여 20 ㎏을 이루고 볼-밀 용적율이 20%되는 습식분쇄기에 상기 원료 20 ㎏과 물 10ℓ를 넣고 8시간 혼합분쇄한 후 80~100메쉬(mesh) 망체로 걸러진 내용물을 필터프레스로 탈수하여 다기소지 원료 15 ㎏을 얻었다.
제 4 제조공정(다기 제조 : 40) 실시예
상기 다기소지 원료를 이용하여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 및 정형을 실시하고, 초벌구이, 유약 처리단계와 재벌구이 단계 등을 거쳐 다기를 얻을 수 있는바, 본원에서는 차를 다리는 주전자 형태의 다기로 도 2에 제시되는 손잡이와 차 유입부 및 주수부, 뚜껑부를 갖는 다기로 성형 및 정형을 실시하고(41), 880±30℃ 범위에서 초벌구이를 실시(42) 한 후 먼지를 털어 내고, 표면에 유약을 입히는 유약 처리단계(43)에 사용되는 유약은 재 30~50 중량부에 물토 50~70중량부 비율로 배합되는 유약이 사용될 수 있는바, 예를 들면 감나무를 태운 재 3 ㎏에 물토(돌이 삭아서 이루어진 흙) 7 ㎏의 배합비로 이루어진 유약을 입히고 재벌 불 온도가 9시간 내지 12시간 사이에 1260±5℃ 범위를 유지하면서 재벌을 실시하는 단계(44)를 거쳐 도 2에 제시되는 분청다기제품(50)을 얻었다.
도 2는 본원의 기술사상으로부터 제공되는 분청 다기 제품을 주전자형 분청다기로 가상하여 적용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의 제 3 제조공정까지를 거쳐 얻어진 다기소지 원료를 이용하여 차나 정종을 담아 항상 따뜻한 최상의 조건에서 음용 할 수 있도록 분청 다기 주전자로 제공될 수 있는바, 도 2a에서는 주전자형 분청다기(50)가 다기를 지지하는 받침대(60)를 갖고 받침대 안쪽에 알콜 램프(80)를 이용하여 주전자형 분청 다기(50)의 바닥부를 가열하는 적용양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2b에서는 도 2a의 분청 다기 제품 구성을 더욱 명확히 보여주기 위해 분해 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에 제시되는 주전자형 분청다기는 몸체(50) 내부로 차나 주류를 수용할 수 있는 소정크기의 수용부(51)를 갖고 상부의 일부가 개방되어 차나 주류가 유입되는 유입부(52)를 가지며, 본체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된 손잡이(53)와 소정의 크기로 그 내부가 비어있으며 양단부가 개방되어 상기 본체의 타측과 일체로 형성되어 수용부 내부의 차나 주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부(54) 및 상기 본체의 유입부를 밀폐하는 뚜껑(55)을 갖는 구조의 다기주전자 본체(50)로 제공되고, 본체의 유입부(52)를 통하여 찻잎 등을 주입하기 위한 스텐레스 망(60)과 망체의 상단이 걸림턱(61)을 갖고 유입부의 돌출부(52a) 상단에 걸림턱(61)이 재치되는 구조를 이루고 그 상부로 뚜껑(55)이 덮여질 수 있는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상기의 다기 제품 본체(50) 저부로는 받침대(70)를 갖고 받침대는 4개의 받침축(71)을 갖고 받침대의 상부에는 다기주전자의 바닥부가 안치되기 위한 분청다기 수용홈(72)을 가지며, 받침대의 4개의 받침축(71) 내부 안쪽으로 알콜 램프(80)가 켜져서 은은한 불꽃으로 다기주전자의 바닥부를 가열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는바, 따라서 본원에서 제공되는 주전자형 분청다기는 내열성을 확보할 수 있음에 따라 전기나 가스램프나, 알콜이나 촛불이나 제한 없이 언제 어디서든지 지속적으로 가열되어 차를 마시기 원할 때 언제든지 따뜻한 조건에서 시음할 수 있는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3은 본원의 기술사상으로 제공되는 분청 다기 제품의 심미감을 높이기 위한 수단으로 분청 다기 제품의 유입부에 돌출부를 갖도록 제공되고, 돌출부가 4각형~12각형 중에서 선택되어 제공될 수 있음을 나타내고자 한 것으로, 도 2에 제시되었던 다기 제품에서는 원형돌출부(52a)를 갖는 구조였으나, 도 3a에서는 분청 다기제품의 유입부 돌출부가 4각 형상의 돌출부(52b)로 제공됨에 따라 이에 상응하여 뚜껑(55)의 저부도 4각 형상으로 제공됨을 나타낸 것이고, 도 3b는 분청 다기 제품의 유입부 돌출부가 6각 형상의 돌출부(52c)로 제공됨에 따라 이에 상응하여 뚜껑(55)의 저부도 6각 형상으로 제공됨을 나타낸 것이며, 도 3c에서는 분청 다기 제품의 유입부 돌출부(52a)가 8각 형상의 돌출부(52d)로 제공됨에 따라 이에 상응하여 뚜껑(55)의 저부도 8각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기타 본원에서 제공되는 기술사상은 내열성을 확보하고 분청 다기의 아름다운 색상을 얻는 소지원료가 소성 전 원석의 색상이 백색으로 제공되는 활석과 소성 전 원석의 색상이 핑크색인 고령토와, 소성 전 원석의 색상이 아이보리색인 도석과 소성 전 원석의 색상이 연갈색인 점토와 소성 전 원석의 색상이 황갈색인 황토를 적당한 배합비로 혼합하여 분청 색상을 나타내고, 상기 원료 소지로 제공되는 다기(茶器)가 내열성(耐熱性)을 확보하여 직화가 가능한 다기류로 제공되는 모든 분야에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원 출원인이 경기도로부터 받은 도자기 분야 명장증을 수여 받고 인터뷰때 촬용된 사진도이다.
50 : 분청다기 몸체 51 : 수용부
52 : 유입부 53 : 손잡이
54 : 배출부 55 : 뚜껑
60 : 스텐레스 망 61 : 걸림턱
70 : 받침대 71 : 받침축
72 : 분청다기 수용홈 80 : 알콜 램프

Claims (4)

  1. 직화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분청 다기(茶器)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SiO2 65.0±2.0 wt%, Al2O3 0.4±0.1 wt%, Fe2O3 0.4±0.1 wt%, MgO 32.0±1.0 wt%, CaO 1.0±0.2 wt% 조성에 가열감량 3.0±0.5 wt% 범위에서 100wt% 조성을 이루며 소성 전 원석의 색상이 백색으로 제공되는 활석(제1원료)을 얻고,
    SiO2 46.5±2.0 wt%, Al2O3 35.5±1.0 wt%, Fe2O3 2.5±0.3 wt%, CaO 0.7±0.2 wt%, K2O 0.8±0.2 wt%, Na2O 0.3±0.1 wt%, TiO2 0.3±0.1 wt% 조성에 가열감량 13.5±0.5 wt% 범위에서 100wt% 조성을 이루며 소성 전 원석의 색상이 연핑크색인 고령토(제2원료)를 얻고, 상기 활석(제1원료) 36±1 중량부와 고령토(제2원료) 20±1 중량부를 건식혼합하여 1340~1360℃ 범위로 소성시킨 소성원료를 얻는 제조공정(1)과,
    SiO2 83.0±2.0 wt%, Al2O3 13.5±0.1 wt%, Fe2O3 0.2±0.1 wt%, MgO 0.2±0.1 wt%, K2O 1.2±0.2 wt% 조성에 가열감량 2.0±0.5 wt% 범위에서 100wt% 조성을 이루며 소성 전 원석의 색상이 아이보리색인 도석(제3원료)을 얻고,
    SiO2 50.0±2.0 wt%, Al2O3 30.2±1.0 wt%, Fe2O3 2.2±0.1 wt%, MgO 0.9±0.1 wt%, Na2O 1.0±0.1 wt%, K2O 0.7±0.1 wt%, TiO2 0.3±0.1 wt%, MnO 0.3±0.1 wt% 조성에 가열감량 12.5±0.5 wt% 범위에서 100wt% 조성을 이루며 소성 전 원석의 색상이 연갈색인 점토(제4원료)를 얻으며,
    SiO2 44.0±2.0 wt%, Al2O3 31.2±1.0 wt%, Fe2O3 8.3±0.1 wt%, MgO 0.5±0.1 wt%, CaO 0.2±0.1 wt%, K2O 0.4±0.1 wt%, TiO2 1.4±0.2 wt% 조성에 가열감량 14.0±0.5 wt% 범위에서 100wt% 조성을 이루며 소성전 원석의 색상이 황갈색인 황토(제5원료)를 얻고, 상기의 도석(제3원료) 10±1 중량부와 점토(제4원료) 30±1 중량부와 황토(제5원료) 5±1 중량부를 혼합하여 비 소성원료를 얻는 제조공정(2)와,
    상기 제조공정(1)에서 얻은 소성원료 55±1 중량부와 제조공정(2)에서 얻은 비 소성원료 45±1 중량부를 혼합하여 100중량부를 이루고 이를 습식으로 혼합분쇄한 후 80~100메쉬(mesh)체로 걸러진 내용물을 탈수하여 다기소지 원료를 얻는 제조공정(3)과
    상기 다기소지 원료를 이용하여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 및 정형을 실시하고, 880±30℃ 범위에서 초벌을 실시하고 다기 표면에 유약을 입히는 유약 처리단계와 재벌불 온도가 9시간 내지 12시간 사이에 1260±5℃ 범위에서 재벌을 실시하는 제조공정(4)을 포함하여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청 다기(茶器)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제조공정(4)에서 사용되는 유약은 재 30~50 중량부에 물토 50~70중량부 비율로 배합되는 유약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청 다기(茶器)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제조공정(4)의 성형작업 시 성형품의 유입구를 4각형 내지 8각형 중에서 선택되는 다각형으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청 다기(茶器)의 제조방법.
  4. 직화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분청 다기(茶器)에 있어서,
    SiO2 65.0±2.0 wt%, Al2O3 0.4±0.1 wt%, Fe2O3 0.4±0.1 wt%, MgO 32.0±1.0 wt%, CaO 1.0±0.2 wt% 조성에 가열감량 3.0±0.5 wt% 범위에서 100wt% 조성을 이루며 소성 전 원석의 색상이 백색으로 제공되는 활석(제1원료) 36±1 중량부와, SiO2 46.5±2.0 wt%, Al2O3 35.5±1.0 wt%, Fe2O3 2.5±0.3 wt%, CaO 0.7±0.2 wt%, K2O 0.8±0.2 wt%, Na2O 0.3±0.1 wt%, TiO2 0.3±0.1 wt% 조성에 가열감량 13.5±0.5 wt% 범위에서 100wt% 조성을 이루며 소성 전 원석의 색상이 연핑크색인 고령토(제2원료) 20±1 중량부를 건식혼합하여 1340~1360℃ 범위로 소성시킨 소성원료를 얻고,
    SiO2 83.0±2.0 wt%, Al2O3 13.5±0.1 wt%, Fe2O3 0.2±0.1 wt%, MgO 0.2±0.1 wt%, K2O 1.2±0.2 wt% 조성에 가열감량 2.0±0.5 wt% 범위에서 100wt% 조성을 이루며 소성 전 원석의 색상이 아이보리색인 도석(제3원료) 10±1 중량부와, SiO2 50.0±2.0 wt%, Al2O3 30.2±1.0 wt%, Fe2O3 2.2±0.1 wt%, MgO 0.9±0.1 wt%, Na2O 1.0±0.1 wt%, K2O 0.7±0.1 wt%, TiO2 0.3±0.1 wt%, MnO 0.3±0.1 wt% 조성에 가열감량 12.5±0.5 wt% 범위에서 100wt% 조성을 이루며 소성 전 원석의 색상이 연갈색인 점토(제4원료) 30±1 중량부와, SiO2 44.0±2.0 wt%, Al2O3 31.2±1.0 wt%, Fe2O3 8.3±0.1 wt%, MgO 0.5±0.1 wt%, CaO 0.2±0.1 wt%, K2O 0.4±0.1 wt%, TiO2 1.4±0.2 wt% 조성에 가열감량 14.0±0.5 wt% 범위에서 100wt% 조성을 이루며 소성전 원석의 색상이 황갈색인 황토(제5원료) 5±1 중량부를 얻어서 도석(제3원료)과 점토(제4원료)와 황토(제5원료)를 혼합하여 비 소성원료를 얻으며,
    상기의 소성원료 55±1 중량부와 비소성원료 45±1 중량부를 혼합하여 100중량부를 이루고 이를 습식으로 혼합분쇄한 후 80~100메쉬(mesh)체로 걸러진 내용물을 탈수하여 다기소지 원료를 얻어서 원하는 다기형상으로 성형 및 정형을 실시하고, 880±30℃ 범위에서 초벌을 실시하고 다기 표면에 유약을 입히는 유약 처리단계와 재벌불 온도가 9시간 내지 12시간 사이에 1260±5℃ 범위에서 재벌을 실시하여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청 다기(茶器).
KR1020110077523A 2011-08-03 2011-08-03 직화 가열이 가능한 내열성 분청 다기(茶器)의 제조방법 KR1013107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7523A KR101310719B1 (ko) 2011-08-03 2011-08-03 직화 가열이 가능한 내열성 분청 다기(茶器)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7523A KR101310719B1 (ko) 2011-08-03 2011-08-03 직화 가열이 가능한 내열성 분청 다기(茶器)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5501A KR20130015501A (ko) 2013-02-14
KR101310719B1 true KR101310719B1 (ko) 2013-09-25

Family

ID=47895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7523A KR101310719B1 (ko) 2011-08-03 2011-08-03 직화 가열이 가능한 내열성 분청 다기(茶器)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07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4445B1 (ko) * 2013-05-06 2013-09-05 (주)젠한국 인덕션 겸용 직화 내열자기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0211B1 (ko) 1996-11-16 1999-09-01 구본주 견운모를 사용한 도자기 식기류의 제조방법
KR20000073829A (ko) * 1999-05-14 2000-12-05 정화영 내열 도자기제 음식물 조리용 용기 제조방법 및 그 용기
KR100478947B1 (ko) 2004-09-24 2005-03-29 김용호 자기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자기 성형물
KR100924213B1 (ko) 2007-11-12 2009-10-29 유한회사 토야 고강도 내열자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0211B1 (ko) 1996-11-16 1999-09-01 구본주 견운모를 사용한 도자기 식기류의 제조방법
KR20000073829A (ko) * 1999-05-14 2000-12-05 정화영 내열 도자기제 음식물 조리용 용기 제조방법 및 그 용기
KR100478947B1 (ko) 2004-09-24 2005-03-29 김용호 자기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자기 성형물
KR100924213B1 (ko) 2007-11-12 2009-10-29 유한회사 토야 고강도 내열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5501A (ko) 2013-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058476B (zh) 汝瓷包装容器防渗漏釉料、釉浆及其制备方法
CN104030733B (zh) 宋官月白哥窑瓷器及其制备方法
CN104211445A (zh) 龙泉青瓷铁釉及用该釉制作青瓷铁釉产品的方法
KR101275348B1 (ko) 녹청자용 유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녹청자의 제조방법
KR101801172B1 (ko) 흑점을 형성하는 청자용 유약 조성물의 제조방법
CN106673606A (zh) 一种负离子釉料、坯料、其制备方法和应用
CN104860652A (zh) 一种烧制建水紫陶的新方法
CN107010922B (zh) 窑变釉紫砂精陶器的制备方法
CN103626521A (zh) 适宜发色的熔块及颜色釉瓷制品、制备方法
KR101310719B1 (ko) 직화 가열이 가능한 내열성 분청 다기(茶器)의 제조방법
CN105294069A (zh) 一种酱色土陶的制备方法
CN100453009C (zh) 铁瓷陶瓷西餐具及其制备方法
CN102311256A (zh) 一种保健木鱼紫砂茶具
KR200466160Y1 (ko) 직화 가열이 가능한 내열성 다기주전자
KR100603885B1 (ko) 성형용 황토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3373846A (zh) 麦饭石烧结器皿及制造工艺
KR101749624B1 (ko) 황토가 함유된 식기용 경질도자기 소지 제조방법
KR20030017722A (ko) 도자기 조리용기의 제조방법
KR101106364B1 (ko) 뚝배기용 소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뚝배기의 제조방법
KR101958144B1 (ko) 도예토 또는 점토를 이용한 3중 벽면체 기능성 도자기 제조방법
Anbarasu et al. Types of Earthenwares and its Uses
CN110282962A (zh) 一种玉石装饰的陶瓷制品及其制备工艺
KR102443477B1 (ko) 내구성 및 수율이 개선된 무광 도자기 그릇의 제조 방법
CN104355599A (zh) 一种灰砂陶的坯料配方及其制作方法
CN106145884A (zh) 一种陶瓷的生产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