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0389B1 - 선박의 해양오염 방제 시스템 - Google Patents

선박의 해양오염 방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0389B1
KR101310389B1 KR1020110028403A KR20110028403A KR101310389B1 KR 101310389 B1 KR101310389 B1 KR 101310389B1 KR 1020110028403 A KR1020110028403 A KR 1020110028403A KR 20110028403 A KR20110028403 A KR 20110028403A KR 101310389 B1 KR101310389 B1 KR 1013103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oil
ship
seawater
marine pol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8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0510A (ko
Inventor
신현경
하광일
곽재수
Original Assignee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28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0389B1/ko
Publication of KR20120110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05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0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03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2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llecting pollution from open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12Heating; Coo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46Collection of oil using vessels, i.e. boats, barges
    • E02B15/047Collection of oil using vessels, i.e. boats, barges provided with an oil collecting boom arrang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hul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48Oil collectors moved over the water skimming the water surfa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55Heating or coo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20Controlling water pollution; Waste water treatment
    • Y02A20/204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sp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의 해양오염 방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선박의 내부에 설치되며 선박의 일측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오염된 해수를 비중차에 의해 오일 혼합물과 해수 혼합물로 분리하는 파이프 필터링 장치, 및 파이프 필터링 장치의 일측에 설치되며 파이프 필터링 장치에 의해 분리된 해수 혼합물을 가압하여 상부에 형성된 오일층을 추출하는 더블 코어 프레스 장치를 포함하는 선박의 해양오염 방제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해양오염 방제 시스템에 의하면, 해양오염 사고시 신속하고 효율적이며 친환경적으로 방제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선박의 해양오염 방제 시스템{MARINE OIL-SPILL RESPONSE SYSTEM OF SHIP}
본 발명은 방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 내에 설치되어 해양오염 사고시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해수와 오일(oil)을 분리하는 방제작업이 가능한 선박의 해양오염 방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해양은 우리의 삶의 터전이자 국가발전의 원동력이며, 차세대 미래 에너지이다. 하지만 해양오염 사고는 해양환경과 우리의 생활환경까지도 큰 피해를 주게 된다.
최근, 해양 교통 및 운송 수단의 대형화가 진행되면서 대형 선박이나 유조선 등의 충돌 사고 및 좌초 등으로 인해, 오일이 바다에 유출되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이때, 유출된 오일을 신속하고 깨끗하게 처리하기 위해 화학약품을 투하하여 오일을 휘발시키거나, 바다 밑으로 가라앉혀 연안으로 접근하지 못하게 하고 있으나, 오히려 바다 밑의 생태계를 파괴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기도 하고, 적절한 시간 내에 해상에서 오일을 충분히 제거하지 못한 경우, 오일이 연안을 오염시켜 이의 제거에 상당한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
해상에서 오일 제거가 충분히 진행되지 않는 이유는, 신속하게 대량으로 해수로부터 오일을 제거하기가 어려운 때문이며, 통상적으로는 오일 중화제를 살포하거나, 오일 흡입포를 해상에 던져 오일을 빨아들이고, 이를 다시 수거하여 별도로 처리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한다.
또는, 오일이 떠 있는 해상에 오일 펜스 등을 설치하여 오일을 모으고, 해수의 상부에 형성된 오일층을 선박에서 거둬들여서 별도의 유수분리기를 사용하여 오일을 제거하는 방식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오일 제거 방식에서 오일 흡입포를 사용하는 방식은 많은 작업인력을 필요로 하는 반면에, 그 효과는 미비하여 대형 해양오염 사고시에는 부적합한 방식이다.
그리고, 오일 중화제 살포방식은 대형사고 처리에는 유리하지만, 바다의 생태계 파괴를 초래하여 어장의 황폐화가 진행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오일 펜스에 오일을 모아 이를 흡입하는 방식은, 선박이 정지상태여야 하므로 방제작업중에는 오염의 확산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없고, 파도가 높으면 작업에 방해를 받아 오일 제거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종래의 방제작업 방식을 벗어난 새로운 개념의 해양오염 방제 시스템과 관련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선박 내부로 오염된 해수를 유입시켜 유수(油水)를 분리하고, 분리된 오일을 별도의 탱크에 저장함에 따라, 해양오염 사고시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해양오염 방제 시스템과 관련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별도의 화학약품을 사용하지 않고 해수와 오일의 비중차를 이용한 물리적 성질과 위치에너지 사용을 최대화하여 친환경적인 해양오염 방제 시스템과 관련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선박의 내부에 설치되며 선박의 일측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오염된 해수를 비중차에 의해 오일 혼합물과 해수 혼합물로 분리하는 파이프 필터링 장치, 및 파이프 필터링 장치의 일측에 설치되며 파이프 필터링 장치에 의해 분리된 해수 혼합물을 가압하여 상부에 형성된 오일층을 추출하는 더블 코어 프레스 장치를 포함하는 선박의 해양오염 방제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때, 파이프 필터링 장치의 다른 일측에 설치되며 파이프 필터링 장치에 의해 분리된 오일 혼합물을 가열하여 해수를 증발시키는 히팅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유입구의 일측에는 유입구를 개폐하는 수밀문이 설치되며, 수밀문에 의해 유입구의 개폐면적 조절이 가능하다.
이때, 수밀문은 파도의 높이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파이프 필터링 장치는, 유입구에 연결되고 칸막이에 의해 내부가 상하 2단으로 구획되는 제1파이프 필터와, 제1파이프 필터와 연결되고 쐐기형으로 세워진 상단이 서로 연결되는 제2파이프 필터를 포함한다.
이때, 칸막이의 일측에 소정 간격으로 절개부가 형성되고, 절개부의 일측 테두리에는 유입구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는 경사부가 형성된다.
이때, 제2파이프 필터는, 일측이 제1파이프 필터와 연결되고 칸막이에 의해 내부가 상하 2단으로 구획되는 쐐기형 파이프와, 쐐기형 파이프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 파이프를 포함한다.
또한, 더블 코어 프레스 장치는, 파이프 필터링 장치와 연결되어 해수 혼합물이 저장되는 저장조와, 저장조의 상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삿갓 형태의 가압커버를 포함하며, 가압커버의 상측에는 오일배출관이 연결되어, 가압커버의 하강시 가압커버의 중앙으로 유도된 오일층이 오일배출관을 통해 추출된다.
또한, 히팅 장치는, 파이프 필터링 장치와 연결되어 오일 혼합물이 유도되고 상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증기 배출구가 형성되는 지그재그 형상의 유도 파이프와, 유도 파이프의 일측에 설치되어 유도 파이프를 가열하는 가열수단을 포함한다.
이때, 가열수단은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하는 전열선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해양오염 방제 시스템에 의하면, 해양오염 사고 발생지점으로 신속히 이동하여 방제작업을 진행할 수 있으며, 선박의 이동중에도 방제작업이 가능하므로 오염의 확산방향에 따라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오일 펜스와 중화제 및 흡입포 등 별도의 기구나 소모품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인력과 장비의 낭비없이 경제적인 방제작업이 가능하고, 이들에 의한 2차 오염의 우려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해수와 오일의 비중차를 이용한 물리적 성질과 위치에너지 사용을 최대화함으로써 친환경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해양오염 방제 시스템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해양오염 방제 시스템의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밀문의 승강동작이 도시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파이프 필터의 사시도와 작동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파이프 필터의 사시도와 작동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더블 코어 프레스 장치의 사시도와 작동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히팅 장치의 사시도와 작동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해양오염 방제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해양오염 방제 시스템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해양오염 방제 시스템의 순서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해양오염 방제 시스템(10)은 선박(1)의 내부에 설치되며, 오일이 혼입되어 오염된 해수를 선박(1) 내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파이프로 유입시켜 해수와 오일의 비중차에 의해 유수분리하는 파이프 필터링 장치(20)와, 파이프 필터링 장치(20)를 거쳐 1차 유수분리된 해수를 저장조(31)에 저장한 후 가압하여 해수의 표면에 형성된 오일층을 압력에 의해 추출해내는 더블 코어 프레스 장치(30)를 포함한다.
또한, 파이프 필터링 장치(20)에서 1차 유수분리된 해수를 가열하여, 수증기의 형태로 해수를 분리하고, 나머지 오일은 별도의 저장탱크(50)로 배출하는 히팅 장치(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오염된 해수는 파이프 필터링 장치(20)를 거치면서 해수의 함유량이 오일의 함유량보다 많은 해수 혼합물(C)과, 오일의 함유량이 해수의 함유량보다 많은 오일 혼합물(D)로 1차 유수분리되며, 해수 혼합물(C)은 더블 코어 프레스 장치를 거치면서 2차 유수분리되고, 오일 혼합물(D)은 히팅 장치를 거치면서 2차 유수분리된다.
이하, 각각의 장치에 대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밀문의 승강동작이 도시된 개략도이다.
선박(1)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선박(1)의 흘수선 부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입구(2)가 형성되는데, 이 유입구(2)는 선박(1) 주변의 오염된 해수를 선박(1)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것이며, 예를 들어 지름 500mm의 원형 유입구(2)가 선박(1)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하여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유입구(2)를 통해서 오일과 해수가 함께 유입되는데, 가능한 한 오일의 유입량이 많도록 유입구(2)의 일측에 수밀문(3)을 설치하여 유입구(2)의 개폐면적을 조절하게 된다.
즉, 오일은 해수보다 밀도가 높기 때문에 해수와 섞이지 않고 해수 위에 뜨게 되며, 오염된 해수의 표면에는 오일층이 형성된다.
따라서, 오염된 해수를 유입시킬 때 가능한 한 해수의 상부층이 유입되도록 하여야 오일의 함유량이 많게 된다.
이에 따라, 유입구(2)의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수밀문(3)이 상승하여 유입구(2)를 폐쇄할 수 있게끔 설치함으로써, 수밀문(3)의 승강정도에 따라 유입구(2)의 개폐면적을 조절할 수 있고, 해수의 표면에 형성된 오일층의 두께를 고려하여 수밀문(3)을 개방함으로써, 가능한 한 많은 양의 오일이 유입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오염된 해수의 유입은 위치에너지 차이에 의해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펌프(미도시)의 작동에 의해 오염된 해수의 흡입이 이루어진다.
또한, 수밀문(3)의 승강은 유입구(2)의 일측에 설치되는 액츄에이터(미도시) 등에 의해 가능하며, 유입구(2)의 개폐면적은 미리 설정된 값에 따르거나,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3(a)는 수밀문(3)이 상승하여 유입구(2)를 완전히 폐쇄한 모습을 도시한 것이며, 도 3(b)는 오염된 해수의 오일층 보다 수밀문(3)의 상단이 약간 낮게 위치하도록 수밀문(3)을 하강시켜 유입구(2)의 상부 일부를 개방하고 오일층과 해수를 유입시키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이때, 해수의 오염정도와 범위를 고려하여 다수의 유입구(2) 중 일부만을 개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수밀문(3)의 일측에 부체(미도시)가 구비됨으로써, 파도의 일렁임에 따라 수밀문(3)이 자동으로 파도의 높이에 맞춰 승강하면서 오일층이 형성된 해수의 상부층만 유입되게끔 하는 것도 가능하다.
유입구(2)를 통해 선박(1)의 내부로 유입된 오염된 해수는 먼저, 파이프 필터링 장치(20)를 거치면서 해수와 오일의 비중차에 의해 1차 유수분리된다.
이때, 파이프 필터링 장치(20)는 일단이 유입구(2)에 연결되고 칸막이(211)에 의해 내부가 상하 2단으로 구획되는 제1파이프 필터(21)와, 일측이 제1파이프 필터(21)의 타단에 연결되고 쐐기형으로 세워진 상단이 서로 연결되는 제2파이프 필터(22)를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파이프 필터의 사시도와 작동상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파이프 필터(21)는 예를 들어 원형 파이프의 내부 중간부에 파이프의 길이방향으로 칸막이(211)가 형성되어 상단공간부와 하단공간부의 상하 2단으로 구획되는데, 칸막이(211)의 일측에는 상단과 하단이 연통되도록 소정 간격의 절개부(212)가 형성되고, 절개부(212)의 일측 테두리에는 유입구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는 경사부(213)가 형성된다.
이때, 경사부(213)는 칸막이(211)의 일측이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별도의 부재가 용접 등의 방법으로 절개부(212)의 일측 테두리에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1파이프 필터(21)는 하단공간부의 일단이 유입구(2)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1파이프 필터(21) 내부로 유입된 오염된 해수는 제1파이프 필터(21)의 하단공간부를 따라 유동하다가 경사부(213)를 만나게 되고, 오염된 해수 표면의 오일층이 경사부(213)를 통해 상단 공간부로 유도되어 상단 공간부를 따라 유동하게 되며, 오일층이 분리된 나머지 해수는 계속 하단 공간부를 따라 유동하게 되는 것이다.
즉, 경사부(213)는 오염된 해수 표면의 오일층을 용이하게 걷어내는 역할을 한다.
이때, 해수와 오일이 완벽하게 분리되는 것은 무리이고, 분리된 오일층에는 어느 정도의 해수가 함유된 상태이므로 이를 오일 혼합물(A)이라 지칭하기로 하며, 오일층이 분리되고 남은 해수에도 어느 정도의 오일이 함유된 상태이므로 이를 해수 혼합물(B)이라 지칭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파이프 필터의 사시도와 작동상태도이다.
제2파이프 필터(22)는 '∧' 형상의 쐐기형으로 세워진 쐐기형 파이프(221)와, 쐐기형 파이프(221)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 파이프(2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쐐기형 파이프(221)는 전술한 제1파이프 필터(21)와 같이 칸막이(211)에 의해 내부가 상하 2단으로 구획된다.
그리고, 쐐기형 파이프(221)의 하단에 제1파이프 필터(21)가 연결되어, 제1파이프 필터(21)의 상단 공간부를 따라 유동한 오일 혼합물(A)은 쐐기형 파이프(221)의 상단 공간부를 따라 상승하게 되고, 제1파이프 필터(21)의 하단 공간부를 따라 유동한 해수 혼합물(B)은 쐐기형 파이프(221)의 하단 공간부를 따라 상승하게 된다.
이때, 쐐기형 파이프(221)의 상단 공간부를 따라 상승한 오일 혼합물(A) 표면의 오일층은 쐐기형 파이프(221)의 상단에 연결된 연결 파이프(222)로 유입되면서 오일 혼합물(D)로 분리되고, 후술하는 히팅 장치(40)로 이송된다.
그리고, 상단 공간부에서 오일층이 분리되고 남은 나머지 해수 혼합물과, 쐐기형 파이프의 하단 공간부를 따라 상승한 해수 혼합물은 다시 하강한다.
이때, 쐐기형 파이프(221)와 연결 파이프(222)가 만나는 목(neck)부의 내측에는 걸림판(223)이 돌출 형성되며, 하강하는 해수 혼합물 상부의 오일층을 걷어내어 연결 파이프(222)로 유도한다.
한편, 다수의 쐐기형 파이프(221)가 하단이 서로 연결되어 연속 배치되므로, 하강한 해수 혼합물은 인접하는 다른 제2파이프 필터(22)를 통과하면서 다시 전술한 과정을 다수회 거친 후에, 해수 혼합물(C)로 분리되어 후술하는 더블 코어 프레스 장치(30)로 유입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더블 코어 프레스 장치의 사시도와 작동상태도이다.
전술한 파이프 필터링 장치(20)를 거치는 과정에서 오일과 해수를 완벽하게 분리해내는 것은 무리이며, 오염된 해수는 해수의 함유량이 오일의 함유량 보다 많은 해수 혼합물(C)과, 오일의 함유량이 해수의 함유량 보다 많은 오일 혼합물(D)로 1차 유수분리된다.
이때, 해수 혼합물(C)에 대하여 다시 2차 유수 분리를 실시하는 것이 더블 코어 프레스 장치(30)이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더블 코어 프레스 장치(30)는, 연결 파이프(222)로부터 해수 혼합물(C)이 유입되어 저장되는 저장조(31)와, 저장조(31)의 상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삿갓 형태의 가압커버(32)를 포함한다.
가압커버(32)의 상측에는 저장탱크(50)로 연결되는 오일배출관(321)이 설치되는데, 이때 저장탱크(50)는 선박(1)의 하부 즉, 더블 코어 프레스 장치(30)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압커버(32)는 테두리가 저장조(31)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승강실린더(322)에 의해 저장조(31)의 내주면을 따라 승강하게 되는데, 가압커버(32)는 삿갓형태이므로, 가압커버(32)의 하강시 저장조(31)에 저장된 해수 혼합물(C)의 상층부는 가압커버(32)의 중앙부로 밀려 들어오며, 해수 혼합물(C) 표면의 오일층(E)이 압력에 의해 오일배출관(321)을 따라 저장탱크(50)로 추출된다.
또한, 오일층이 추출되고 남은 나머지 혼합물(F)은, 저장조(31) 하부의 해수배출관(311)을 따라, 선박(1) 내에 설치된 유수분리기(60)로 이송되어 정수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히팅 장치의 사시도와 작동상태도이다.
전술한 파이프 필터링 장치(20)를 거치는 과정에서 분리된 오일 혼합물(D)에 대하여 다시 2차 유수 분리를 실시하는 것이 히팅 장치(40)이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히팅 장치(40)는, 쐐기형 파이프(221)로부터 오일 혼합물(D)이 유입되는 지그재그 형상의 유도 파이프(41)와, 유도 파이프(41)의 일측에 설치되어 유도 파이프(41)를 가열하는 가열수단(42)을 포함한다.
이때, 유도 파이프(41)는 열을 전달받을 수 있는 유효 단면적을 높이기 위해, 지그재그 형상의 파이프가 다층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유도 파이프(41)의 상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증기 배출구(411)가 형성된다.
또한, 가열수단(42)은 예를 들어 유도 파이프(41)의 하부에 전열선을 배치하여 전원공급에 의해 발열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해양오염 사고는 중유와 경유의 유출이 대부분인데, 중유의 끓는 점은 250℃ 이상이고, 경유의 끓는 점은 220℃ ~ 250℃ 이다. 이때, 물의 끓는 점은 100℃ 이므로, 가열수단이 100℃ 정도의 열을 유도 파이프(41)로 전달하게 되면, 수증기 배출구(411)를 통해 해수 혼합물의 수분이 증발되며, 나머지 오일은 저장탱크(50)로 이송되어 저장되는 것이다.
1 : 선박 2 : 유입구
3 : 수밀문
10 : 선박의 해양오염 방제 시스템
20 : 파이프 필터링 장치
21 : 제1파이프 필터 211 : 칸막이
212 : 절개부 213 : 경사부
22 : 제2파이프 필터 221 : 쐐기형 파이프
222 : 연결 파이프
30 : 더블 코어 프레스 장치
31 : 저장조 311 : 해수배출관
32 : 가압커버 321 : 오일배출관
322 : 승강실린더
40 : 히팅 장치
41 : 유도 파이프 411 : 수증기 배출구
42 : 가열수단
50 : 저장탱크
60 : 유수분리기

Claims (10)

  1. 선박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선박의 일측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오염된 해수를 비중차에 의해 오일 혼합물과 해수 혼합물로 분리하는 파이프 필터링 장치; 및
    상기 파이프 필터링 장치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파이프 필터링 장치에 의해 분리된 해수 혼합물을 가압하여 상부에 형성된 오일층을 추출하는 더블 코어 프레스 장치;를 포함하는 선박의 해양오염 방제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필터링 장치의 다른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파이프 필터링 장치에 의해 분리된 오일 혼합물을 가열하여 해수를 증발시키는 히팅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해양오염 방제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의 일측에는 상기 유입구를 개폐하는 수밀문이 설치되며, 상기 수밀문에 의해 상기 유입구의 개폐면적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해양오염 방제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수밀문은 부체를 구비하여 파도의 일렁임에 따라 파도의 높이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승강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해양오염 방제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필터링 장치는,
    상기 유입구에 연결되고 칸막이에 의해 내부가 상하 2단으로 구획되는 제1파이프 필터와, 상기 제1파이프 필터와 연결되고 쐐기형으로 세워진 상단이 서로 연결되는 제2파이프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해양오염 방제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의 일측에 소정 간격으로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의 일측 테두리에는 상기 유입구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는 경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해양오염 방제 시스템.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파이프 필터는,
    일측이 상기 제1파이프 필터와 연결되고 칸막이에 의해 내부가 상하 2단으로 구획되는 쐐기형 파이프와, 상기 쐐기형 파이프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 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해양오염 방제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더블 코어 프레스 장치는,
    상기 파이프 필터링 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해수 혼합물이 저장되는 저장조와, 상기 저장조의 상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삿갓 형태의 가압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커버의 상측에는 오일배출관이 연결되어, 상기 가압커버의 하강시 상기 가압커버의 중앙으로 유도된 오일층이 상기 오일배출관을 통해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해양오염 방제 시스템.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히팅 장치는,
    상기 파이프 필터링 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오일 혼합물이 유도되고 상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증기 배출구가 형성되는 지그재그 형상의 유도 파이프와, 상기 유도 파이프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유도 파이프를 가열하는 가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해양오염 방제 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가열수단은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하는 전열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해양오염 방제 시스템.
KR1020110028403A 2011-03-29 2011-03-29 선박의 해양오염 방제 시스템 KR1013103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8403A KR101310389B1 (ko) 2011-03-29 2011-03-29 선박의 해양오염 방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8403A KR101310389B1 (ko) 2011-03-29 2011-03-29 선박의 해양오염 방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0510A KR20120110510A (ko) 2012-10-10
KR101310389B1 true KR101310389B1 (ko) 2013-09-23

Family

ID=47281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8403A KR101310389B1 (ko) 2011-03-29 2011-03-29 선박의 해양오염 방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03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2132A (ko) 2015-06-02 2016-12-12 주식회사 오토켐코리아 기름 포집 로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46317B (zh) * 2015-07-31 2020-05-12 温州雨润环境治理工程有限公司 环保型油污处理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153A (ja) * 1994-06-22 1996-01-09 Hookosu Kk グリース回収用浮上分離槽
KR960009376B1 (ko) * 1993-12-09 1996-07-18 최승림 유성 오폐수 및 액상화학 폐기물의 분리 처리장치
KR0169216B1 (ko) * 1996-07-04 1999-01-15 허대몽 유수분리방법 및 그 장치
JP2001162106A (ja) 1999-12-07 2001-06-19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油水分離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9376B1 (ko) * 1993-12-09 1996-07-18 최승림 유성 오폐수 및 액상화학 폐기물의 분리 처리장치
JPH081153A (ja) * 1994-06-22 1996-01-09 Hookosu Kk グリース回収用浮上分離槽
KR0169216B1 (ko) * 1996-07-04 1999-01-15 허대몽 유수분리방법 및 그 장치
JP2001162106A (ja) 1999-12-07 2001-06-19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油水分離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2132A (ko) 2015-06-02 2016-12-12 주식회사 오토켐코리아 기름 포집 로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0510A (ko) 2012-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3723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ng fluids having different specific gravities, such as oil and water
CN202497742U (zh) 一种废碱液油水分离聚结器
CN100575271C (zh) 油污水船处理油污水的装置及其方法
CN108423897A (zh) 一种含油废水处理设备及工艺
JP5945151B2 (ja) 再生油製造装置及び再生油製造方法
CN201793449U (zh) 处理乳化油废水的组合电解设备
CN110078274A (zh) 一种一体化物理法油田水处理器
KR101310389B1 (ko) 선박의 해양오염 방제 시스템
CN103396830B (zh) 一种重污油脱水装置及方法
CN102226100A (zh) 一种高效原油脱盐/脱水方法及设备
CN201240878Y (zh) 一种船用油水分离装置
EP0739858A2 (en) Liquid separator and polishing filter thereof
JP2006131126A (ja) 海上流出物回収船
WO2012067408A9 (en) Apparatus for removing oil
KR102193640B1 (ko) 오수 처리 장치
JP5044746B2 (ja) 油水の分離方法
CN108441249B (zh) 一种油泥砂回收处理的节能环保设备
CN202387257U (zh) 油水分离装置
CN207391057U (zh) 一种聚结气浮高效除油设备
CN201524452U (zh) 乳化油自吸离心分离破乳处理机
CN202594829U (zh) 油田采出水超声波破乳除油设备
KR200372831Y1 (ko) 유수 분리기의 미세 오일 조합 유도 부상 메디아 장치
KR101556209B1 (ko) 오염수 처리장치
CN216513314U (zh) 一种机床油水分离系统
CN201923906U (zh) 注水井循环洗井污水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