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0204B1 - 액즙기 사출물의 스프루우 - Google Patents

액즙기 사출물의 스프루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0204B1
KR101310204B1 KR1020110057462A KR20110057462A KR101310204B1 KR 101310204 B1 KR101310204 B1 KR 101310204B1 KR 1020110057462 A KR1020110057462 A KR 1020110057462A KR 20110057462 A KR20110057462 A KR 20110057462A KR 101310204 B1 KR101310204 B1 KR 1013102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ue
injection
juicer
groove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7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8134A (ko
Inventor
정규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원플라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원플라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원플라텍
Priority to KR10201100574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0204B1/ko
Publication of KR20120138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81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0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02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7Sprue channels ; Runner channels or runner nozzles
    • B29C45/2701Details not specific to hot or cold runner channels
    • B29C45/2703Means for controlling the runner flow, e.g. runner switches, adjustable runners or g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7Sprue channels ; Runner channels or runner nozzles
    • B29C45/2701Details not specific to hot or cold runner channels
    • B29C2045/2724Preventing stringing of the mould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발명은 액즙기 사출물의 스프루우에 관한 것으로, 액즙기 사출물의 스프루우에 있어서, 상기 사출물 스프루우(100)의 상부 단부에 거스러미 방지홈(130)이 형성되는 것으로, 본발명은 사출물 스프루우에 거스러미가 발생하지 않게 되어, 안전사고의 위험이 줄고 재료비가 절감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액즙기 사출물의 스프루우{injection sprue for juice extractor}
본 발명은 액즙기 사출물의 스프루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액즙기 뚜껑 사출에 있어서, 사출품과 함께 성형되는 스프루우의 상단에 합성수지제 거스러미에 대한 방지홈이 형성되는 액즙기 사출물의 스프루우에 관한 것이다.
건강한 생활을 위하여 가정에서 녹즙이나 주스를 직접 만들어 먹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으며, 이를 위하여 가정에서 간편하게 야채나 과일을 이용하여 즙을 낼 수 있도록 하는 장치들이 많이 개시되고 있다.
일례로서, 공개실용신안 20-2010-0008882호에 개시된 원액기(1){또는, 액즙기라고도 호칭한다}는 상측에서 음식물이 투입되도록 이루어지고, 일측에 센서발생부(11)가 구비된 뚜껑뭉치(10); 상단이 상기 뚜껑뭉치(10)의 하단에 밀착결합되도록 형성되고, 하단에는 외측으로 돌출형성된 즙배출구(21) 및 찌꺼기배출구(22)가 마련되며, 중앙에는 관통공(23a)이 형성된 하우징(20); 상측에 상기 하우징(20)이 놓이는 안착부(31)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31) 중앙에는 구동축(32)이 형성되며, 후방에는 상기 안착부(31) 일측에서 상방으로 연장형성된 몸통부(33)가 구비되며, 상기 몸통부(33) 상단에는 평평한 면이 형성되어 상기 센서발생부(11)로부터 작동가능 신호를 감지하는 센서감지부(34)가 마련되는 구동몸체(30); 상단은 상기 뚜겅뭉치에 의해 지지되고 하단은 상기 관통공(23a)을 통하여 상기 구동축(32)에 연결되는 회전축(41)과, 상기 회전축(41)의 둘레에 형성되는 스크류날(42)이 구비되어 투입되는 음식물을 눌러 짜도록 이루어지는 스크류뭉치(40); 상기 스크류뭉치(40)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측면을 통하여 즙이 배출되도록 이루어진 망드럼(50); 및 상기 하우징(20)과 망드럼(50) 사이에 장착되고, 상기 스크류뭉치(40)와 연동하여 회전하며, 상기 하우징(20)의 내벽 또는 상기 망드럼(50)의 외벽을 쓸어내리도록 이루어진 브러쉬뭉치(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센서발생부(11)가 상기 센서감지부(34) 상에 위치한 경우에는 상기 뚜껑뭉치(10)가 상기 하우징(20)에서 분리가 저지되고 작동이 가능하며, 상기 뚜껑뭉치(10)를 회전하여 상기 센서발생부(11)가 상기 센서감지부(34)의 감지 영역을 벗어난 경우에는 상기 뚜껑뭉치(10)의 분리가 가능하고 작동이 차단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뚜껑뭉치(10)는 본 고안인 원액기(1) 내부로 야채, 과일과 같은 대상물이 투입되는 부분이며 본 고안인 원액기(1)의 최상부를 구성한다. 상기 뚜껑뭉치(10)는 투입되는 대상물이 일정량씩 지속적으로 투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따라서 외부와 완전히 차단된 구조가 아니라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액즙기(또는 원액기)들은 액즙기 뚜껑 사출물을 성형하기 위해 제품금형을 제작하며, 상기 제품금형 내에 ABS용융수지를 주입한다. 그리고 제품금형 내에 용융수지를 주입하기 위한 스프루우 금형을 만들게 되며, 스프루우 금형은 제품금형 외부에 별개로 형성된다.
스프루우 금형은 용융수지가 주입되는 수직스프루우 금형부분과, 상기 수직스프루우와 제품금형을 연결되는 수평스프루우(혹은, ‘러너’라고 호칭한다) 금형부분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제품이 완성되고 나면 제품에 붙어서 같이 성형된 수평, 수직스프루우를 절단하여 버리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제품이 완성되고 나면 용융수지의 입구가 되는 수직스프루우의 끝단부위가 매끄럽게 성형되지 않고 용융수지가 수축하는 과정에서 실과 같이 늘어지는 거스러미 부분이 발생하며, 상기 거스러미 부분이 사출품 제품에 붙거나 주위의 기계 회전체 등에 말려들어가는 등 안전사고 위험이 발생하게 되며, 재료비가 상승되는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스프루우에 거스러미가 발생하지 않게 되어, 안전사고의 위험이 줄고 재료비가 절감되는 거스러미 방지홈이 형성된 액즙기 사출물의 스프루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발명은 액즙기 사출물의 스프루우에 관한 것으로, 액즙기 사출물의 스프루우에 있어서, 상기 사출물 스프루우(100)의 상부 단부에 거스러미 방지홈(13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발명은 사출물 스프루우에 거스러미가 발생하지 않게 되어, 안전사고의 위험이 줄고 재료비가 절감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액즙기 전체 사진
도 2는 액즙기 뚜껑 사출품 스프루우에 거스러미가 발생한 사진
도 3은 도 2의 확대사진
도 4는 액즙기 뚜껑 사출품 스프루우가 거스러미가 발생하지 않은 사진
도 5는 거스러미 방지홈 상세사진
도 6은 본발명 액즙기 뚜껑 금형 주입구 부분 외관사진
도 7은 본발명 액즙기 뚜껑 금형 주입구 부분에 삽입된 철판 사진
도 8은 종래 액즙기 사시도
본발명은 액즙기 사출물의 스프루우 관한 것으로, 액즙기 사출물의 스프루우에 있어서, 상기 사출물 스프루우(100)의 상부단부에 거스러미 방지홈(13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출물 스프루우(100)는 사출물 제품에 연결되는 수평스프루우(120)와 상기 수평스프루우(120)에 연결되는 수직스프루우(110)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직스프루우(110)의 상부 단부에 ‘│’형상의 거스러미 방지홈(13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거스러미 방지홈(130)의 하부방향으로의 깊이는 스프루우 전체 길이의 3~6%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사출물 제품은 액즙기 뚜껑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발명을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액즙기 전체 사진, 도 2는 액즙기 뚜껑 사출품 스프루우에 거스러미가 발생한 사진, 도 3은 도 2의 확대사진, 도 4는 액즙기 뚜껑 사출품 스프루우가 거스러미가 발생하지 않은 사진, 도 5는 거스러미 방지홈 상세사진, 도 6은 본발명 액즙기 뚜껑 금형 주입구 부분 외관사진, 도 7은 본발명 액즙기 뚜껑 금형 주입구 부분에 삽입된 철판 사진, 도 8은 종래 액즙기 사시도이다.
본발명은 액즙기 뚜껑 사출물 수직스프루우의 입구부분에 거스러미 방지홈을 형성하는 것이다. 액즙기 뚜껑 사출물을 제작하기 위한 금속재질의 제품금형 내부로 용융수지를 주입하기 위하여 같은 금속재질의 스프루우 금형을 만들게 된다.
상기 스프루우 금형은 제품금형 외부에 별개로 형성되며, 스프루우 금형은 용융수지가 주입되는 수직스프루우 부분과, 상기 수직스프루우와 제품금형을 연결하는 두 개의 수평스프루우 부분이 일체로 구성된다. 수직스프루우의 금형 형상은 수직봉 형상으로 스프루우 금형으로부터 스프루우가 이탈이 용이하게 상부의 지름이 하부의 지름보다 작게 제작한다.
그리고 상기 수직스프루우 상단에 ‘│’형상의 거스러미 방지홈을 형성한다. 수직스프루우의 단면이 원형이므로 거스러미 방지홈의 형상을 ‘│’형상으로 하는 경우, 나중 스프루우 금형 내의 용융수지가 굳게 되어 수축되는 과정에서, 가장 거스러미가 적게 발생하게 된다. 상기 수직스프루우 하부방향으로 형성되는 거스러미 방지홈의 깊이는 스프루우 전체 길이의 3~6%로 한다. 3% 미만일 경우에는 거스러미가 발생하기 쉬우며 6%를 초과하게 되면 스프루우를 통하여 용융수지가 제품금형 내부로 인입되는데 방해가 되기 쉽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수직스프루우의 상단에 거스러미 방지홈을 형성하기 위하여 수직스프루우 금형부분에서 용융수지의 주입구가 되는 수직스프루우 금형부분 입구부분(곧, ‘스프루우 부시’라고 호칭하기도 한다)에 철판을 심어서 수직스프루우 금형을 완성한다.
상기에서 수직스프루우 금형부분 입구부분에 철판을 심는 방법은 수직스프루우 금형 입구부분에 전기용접기로 전기아아크를 발생하여 ‘│’형상의 거스러미 방지홈부를 가공하고 상기 거스러미 방지홈부에 ‘│’형상의 철판을 억지결합으로 삽입하여 심게 된다.
따라서 본발명은 스프루우에 거스러미가 발생하지 않게 되어, 안전사고의 위험이 줄고 재료비가 절감된다.
100 : 스프루우 110 : 수직스프루우
120 : 수평스프루우 130 : 거스러미 방지홈
140 : 거스러미
200 : 액즙기 210 : 액즙기 뚜껑
220 : 액즙기 뚜껑 금형 230 : 철판

Claims (4)

  1. 액즙기 사출물 스프루우(100)의 상부단부에 거스러미 방지홈(130)이 형성되는 액즙기 사출물의 스프루우에 있어서,
    상기 액즙기 사출물 스프루우(100)는 사출물 제품에 연결되는 수평스프루우(120)와 상기 수평스프루우(120)에 연결되는 수직스프루우(110)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직스프루우(110)의 상부 단부에 ‘│’형상의 거스러미 방지홈(130)이 형성되며,
    상기 거스러미 방지홈(130)의 하부방향으로의 깊이는 스프루우 전체 길이의 3~6%이며,
    또한, 상기 수직스프루우(110)의 상단에 거스러미 방지홈(130)을 형성하기 위하여 수직스프루우(110) 금형부분에서 용융수지의 주입구가 되는 수직스프루우(110) 금형부분 입구부분에 철판을 심되,
    수직스프루우 금형 입구부분에 전기용접기로 전기아아크를 발생하여 ‘│’형상의 거스러미 방지홈부를 가공하고 상기 거스러미 방지홈부에 ‘│’형상의 철판을 억지결합으로 삽입하여 심어서 수직스프루우 금형을 완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즙기 사출물의 스프루우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10057462A 2011-06-14 2011-06-14 액즙기 사출물의 스프루우 KR1013102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7462A KR101310204B1 (ko) 2011-06-14 2011-06-14 액즙기 사출물의 스프루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7462A KR101310204B1 (ko) 2011-06-14 2011-06-14 액즙기 사출물의 스프루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8134A KR20120138134A (ko) 2012-12-24
KR101310204B1 true KR101310204B1 (ko) 2013-09-24

Family

ID=47905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7462A KR101310204B1 (ko) 2011-06-14 2011-06-14 액즙기 사출물의 스프루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020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9880B2 (ja) * 1993-12-21 2000-08-21 豊田合成株式会社 ホットランナーを用いる射出成形金型の糸引き防止装置
KR20050035322A (ko) * 2003-10-10 2005-04-1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플라스틱 금형의 탕구 분할장치
JP4294824B2 (ja) 2000-03-06 2009-07-1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射出成形用金型
KR20090009961U (ko) * 2008-03-28 2009-10-0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금형조립체의 스프루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9880B2 (ja) * 1993-12-21 2000-08-21 豊田合成株式会社 ホットランナーを用いる射出成形金型の糸引き防止装置
JP4294824B2 (ja) 2000-03-06 2009-07-1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射出成形用金型
KR20050035322A (ko) * 2003-10-10 2005-04-1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플라스틱 금형의 탕구 분할장치
KR20090009961U (ko) * 2008-03-28 2009-10-0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금형조립체의 스프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8134A (ko) 2012-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126506B (zh) 一种挤压式榨汁机构
CN103082974B (zh) 用于家用洗涤器具的水供应装置和家用洗涤器具
KR101310204B1 (ko) 액즙기 사출물의 스프루우
KR101204073B1 (ko) 가공 대상물의 다짐이 가능한 수직형 녹즙기
KR101214203B1 (ko) 수직형 녹즙기의 스크류
CN208192884U (zh) 一种烹饪器具
CN206230798U (zh) 一种注塑模具
CN214820341U (zh) 设有快速清理塑胶废料的注塑设备
CN211609219U (zh) 一种烹饪器具的上盖组件及其烹饪器具
CN110421795A (zh) 一种双面网纱胶鞋注塑成型模具及注塑成型方法
CN207808231U (zh) 一种游戏机塑胶面板的注塑模具
CN208807626U (zh) 一种用于自动挤饼机的制饼模具
CN204862552U (zh) 原汁机
CN101168279A (zh) 模具进料结构及其制作壳体的方法
CN106239839A (zh) 一种防拉丝浇口套
CN211888977U (zh) 便于操作的铸铁件生产用浇注装置
CN105167553B (zh) 原汁机
CN211609317U (zh) 一种烹饪器具的上盖组件
CN204278394U (zh) 一种化妆品用传动芯子注塑模具
TWM405398U (en) Structural improvement for storage basket for bicycle (motorcycle) (I)
CN209966039U (zh) 一种简易螺杆及其榨汁机
CN104543061B (zh) 一种心形紧压茶的成型模具
CN209518724U (zh) 一种工作稳定的立式螺杆挤压榨汁机
CN213721229U (zh) 一种杯盖
CN212422038U (zh) 一种侧面浇口热流道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