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9982B1 -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및 엘리베이터의 권상기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및 엘리베이터의 권상기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09982B1 KR101309982B1 KR1020127022040A KR20127022040A KR101309982B1 KR 101309982 B1 KR101309982 B1 KR 101309982B1 KR 1020127022040 A KR1020127022040 A KR 1020127022040A KR 20127022040 A KR20127022040 A KR 20127022040A KR 101309982 B1 KR101309982 B1 KR 10130998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aft
- motor shaft
- motor
- mounting
- ho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43—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actuated by rotating motor; Details, e.g. ventil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8—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 Transmission And Conversion Of Sensor Element Output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의 권상기에 있어서, 모터축의 단부에 대해서 착탈 가능한 커플링 샤프트는 보스부와, 모터축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보스부로부터 돌출하는 회전검출기 장착용 축부를 가지고 있다. 회전검출기 장착용 축부에는 회전검출기가 장착되어 있다. 장착부재에는 회전검출기 장착용 축부가 통과되는 관통구멍이 마련되어 있다. 관통구멍의 내주면은 모터축에 가까워질수록 관통구멍의 내경이 연속적으로 커지도록 모터축의 축선에 대해서 경사지는 경사가압면으로 되어 있다. 보스부에는 커플링 샤프트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환상으로 형성되며, 또한 모터축에 가까워질수록 보스부의 외경이 연속적으로 커지도록 커플링 샤프트의 축선에 대해서 경사지는 경사받이면이 마련되어 있다. 경사가압면은 장착부재가 모터축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변위됨으로써 경사받이면에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칸을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및 엘리베이터의 권상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모터축의 회전위치를 검출하기 위해서, 모터축의 단부에 커플링 샤프트(coupling shaft)를 장착하고, 이 커플링 샤프트에 로터리 엔코더를 장착한 로터리 엔코더의 장착구조가 제안되고 있다. 커플링 샤프트에는 모터축의 단부가 삽입되는 끼워맞춤구멍이 마련되어 있다. 커플링 샤프트는 모터축의 단부가 커플링 샤프트의 끼워맞춤구멍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모터축에 장착된다. 또, 커플링 샤프트에는 커플링 샤프트 밖으로부터 삽입구멍 내로 관통하는 나사구멍이 마련되어 있다. 커플링 샤프트는 나사구멍에 나사결합된 멈춤나사에 의해 모터축에 고정된다(특허문헌 1 참조).
종래, 엘리베이터의 운전의 제어방식을 개선하기 위해서, 엘리베이터의 개수(改修)공사시에, 기존의 권상기에 엔코더를 장착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종래의 로터리 엔코더의 장착구조에서는, 권상기로부터 돌출하는 모터축 부분의 길이가 극단적으로 짧은 경우, 커플링 샤프트의 끼워맞춤구멍에 모터축의 단부를 삽입할 수 없게 되어 버려, 커플링 샤프트를 모터축에 장착할 수 없게 되어 버린다. 이것에 의해, 기존의 권상기를 엔코더가 부착된 권상기로 만들 수 없게 되어 버린다.
또, 커플링 샤프트를 모터축의 단부에 단지 볼트로 고정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커플링 샤프트의 축선을 모터축의 축선에 일치시키는 조정작업(중심내기(centering) 작업)에 시간이 들어 버려, 기존의 권상기를 엔코더가 부착된 권상기로 만드는데 시간이 들어 버린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제조를 보다 확실하고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및 엘리베이터의 권상기의 제조방법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권상기는, 모터본체와, 모터본체에 의해 회전되는 모터축을 가지는 모터, 보스부와, 모터축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보스부로부터 돌출하는 회전검출기 장착용 축부를 가지고, 모터축의 단부에 대해서 착탈 가능한 커플링 샤프트, 회전검출기 장착용 축부가 통과되는 관통구멍이 마련된 장착부재 및 회전검출기 장착용 축부에 장착된 회전검출기를 구비하고, 관통구멍의 내주면은 모터축에 가까워질수록 관통구멍의 내경이 연속적으로 커지도록 모터축의 축선에 대해서 경사지는 경사가압면으로 이루어지며, 보스부에는 커플링 샤프트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환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모터축에 가까워질수록 보스부의 외경이 연속적으로 커지도록 커플링 샤프트의 축선에 대해서 경사지는 경사받이면이 마련되어 있으며, 경사가압면은 장착부재가 모터축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변위됨으로써 경사받이면에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권상기의 제조방법은, 보스부와 모터축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보스부로부터 돌출하는 회전검출기 장착용 축부를 가지는 커플링 샤프트를, 모터축의 축선에 수직인 방향으로의 커플링 샤프트의 변위가 허용되도록 모터축의 단부에 장착하는 축 가(假)고정(shaft temporary fastening)공정, 중심선을 가지고 중심선에 대해서 경사지는 경사가압면을 내주면으로 하는 관통구멍이 마련된 장착부재를, 관통구멍에 회전검출기 장착용 축부를 통과시킨 상태로 배치하는 장착부재 배치공정, 모터축 및 커플링 샤프트를 회전시킨 상태에서, 보스부에 마련된 환상의 경사받이면에 경사가압면을 접촉시키면서 모터축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장착부재를 가압함으로써, 커플링 샤프트의 위치를 모터축에 대하여 동축(同軸)으로 조정하는 위치조정공정, 위치조정공정 후, 커플링 샤프트를 모터축에 고정하는 축고정공정 및 축고정공정 후, 회전검출기를 회전검출기 장착용 축부에 장착하는 회전검출기 장착공정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권상기에서는, 모터축의 축선에 대해서 경사지는 경사가압면을 내주면으로 하는 관통구멍이 장착부재에 마련되고, 커플링 샤프트의 축선에 대해서 경사지는 환상의 경사받이면이 커플링 샤프트의 보스부에 마련되어 있으며, 장착부재가 모터축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변위됨으로써 경사가압면이 경사받이면에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경사가압면을 경사받이면에 접촉시키면서 모터축 및 커플링 샤프트를 회전시킴으로써, 모터축의 단부에 장착한 커플링 샤프트의 위치를 모터축과 동축이 되는 위치로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커플링 샤프트의 축선을 모터축의 축선에 일치시키는 조정작업(중심내기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모터축의 단부가 커플링 샤프트의 끼워맞춤구멍에 끼워지는 구조로 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모터축의 돌출부분이 극단적으로 짧은 경우라도, 모터축의 단부에 커플링 샤프트를 장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것으로부터, 권상기의 제조를 보다 확실하고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권상기의 제조방법에서는, 커플링 샤프트를 모터축의 단부에 가고정한 후, 모터축 및 커플링 샤프트를 회전시킨 상태에서, 경사받이면에 경사가압면을 접촉시키면서 장착부재를 가압함으로써, 커플링 샤프트의 위치를 모터축에 대하여 동축으로 조정하므로, 중심내기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커플링 샤프트를 모터축에 가고정한 상태에서 커플링 샤프트의 위치를 조정하므로, 모터축의 단부가 커플링 샤프트의 끼워맞춤구멍에 끼워지는 구조로 할 필요가 없어져, 모터축의 돌출부분이 극단적으로 짧은 경우라도, 모터축의 단부에 커플링 샤프트를 장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것으로부터, 권상기의 제조를 보다 확실하고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권상기 본체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커플링 샤프트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장착판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V-V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장착판의 경사가압면이 보스부의 경사받이면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권상기 본체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커플링 샤프트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장착판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V-V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장착판의 경사가압면이 보스부의 경사받이면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서, 승강로(1)의 상부에는 기계실(2)이 마련되어 있다. 기계실(2) 내에는, 권상기 본체(3)와 권상기 본체(3)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쉬브(4)를 가지는 권상기(구동장치)(5)와, 구동쉬브(4)로부터 떨어져 배치된 디플렉팅 쉬브(6)와,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장치(7)를 가지고 있다.
구동쉬브(4) 및 디플렉팅 쉬브(6)에는 메인로프(8)가 감겨 있다. 메인로프(8)에는 승강로(1) 내를 승강 가능한 엘리베이터칸(9) 및 균형추(10)가 매달려 있다. 엘리베이터칸(9) 및 균형추(10)는 구동쉬브(4)의 회전에 의해 승강로(1) 내를 승강한다.
또한, 승강로(1)의 저부(피트)에는 엘리베이터칸(9)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엘리베이터칸 완충기(11)와, 균형추(10)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균형추 완충기(12)가 마련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 완충기(11)는 엘리베이터칸(9)의 충돌을 받았을 때에 엘리베이터칸(9)에 주어지는 충격을 완화시킨다. 균형추 완충기(12)는 균형추(10)의 충돌을 받았을 때에 균형추(10)에 주어지는 충격을 완화시킨다.
도 2는 도 1의 권상기 본체(3)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권상기 본체(3)는 모터본체(13)와 모터본체(13)에 의해 회전되는 모터축(14)을 가지는 모터(15)와, 모터축(14)에 장착된 커플링 샤프트(16)와, 커플링 샤프트(16)에 장착된 엔코더(회전검출기)(17)와, 엔코더(17)를 유지하는 유지장치(18)를 가지고 있다. 즉, 권상기(5)는 기존의 권상기에 커플링 샤프트(16)를 통하여 엔코더(17)가 장착된 엔코더가 부착된 권상기이다.
구동쉬브(4)(도 1)는 모터축(14)의 전단부(일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구동쉬브(4)는 모터축(14)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모터축(14)과 일체로 회전된다.
커플링 샤프트(16)는 모터축(14)의 후단부(타단부)에 한 쌍의 볼트(19)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커플링 샤프트(16)는 모터축(14)의 단부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커플링 샤프트(16)는 커플링 샤프트(16)의 축선을 모터축(14)의 축선에 일치시킨 상태로 모터축(14)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커플링 샤프트(16)는 모터축(14)의 후단부의 단면에 맞닿아진 판 모양의 커플링 샤프트 장착부(20)와, 커플링 샤프트 장착부(20)에 마련된 보스부(21)와, 모터축(14)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보스부(21)로부터 돌출하는 회전검출기 장착용 축부(22)를 가지고 있다. 커플링 샤프트 장착부(20), 보스부(21) 및 회전검출기 장착용 축부(22)는 커플링 샤프트(16)의 축선과 동축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도 3은 도 2의 커플링 샤프트(16)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이다. 커플링 샤프트 장착부(20)에는 볼트(19)가 통과되는 한 쌍의 볼트 통과구멍(23)이 마련되어 있다. 각 볼트 통과구멍(23)의 위치는 커플링 샤프트(16)의 축선에 관해서 대칭 위치로 되어 있다.
모터축(14)의 후단부의 단면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트(19)가 나사결합되는 한 쌍의 나사구멍(24)이 볼트 통과구멍(23)의 위치에 맞추어서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각 나사구멍(24)의 위치는 모터축(14)의 축선에 관해서 대칭 위치로 되어 있다. 각 나사구멍(24)은 모터축(14)의 축선에 따른 방향이 깊이방향이 되도록 모터축(14)의 후단부에 마련되어 있다. 커플링 샤프트(16)는 볼트 통과구멍(23)을 통과한 볼트(19)가 각 나사구멍(24)에 나사결합되어 체결됨으로써, 모터축(14)에 고정되어 있다.
볼트 통과구멍(23)의 내경은 볼트(19)의 나사 부분의 외경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따라서, 각 나사구멍(24)에 나사결합된 볼트(19)가 느슨해져 있는 상태에서는, 모터축(14)의 축선에 수직인 방향으로의 커플링 샤프트(16)의 변위가 볼트 통과구멍(23)의 내경의 범위 내에서 허용된다.
보스부(21)는 커플링 샤프트 장착부(20)로부터 보아 모터축(14)과 반대 측에 배치되어 있다. 보스부(21)의 외경은 커플링 샤프트 장착부(20)의 외경보다도 작게 되어 있다. 보스부(21)의 회전검출기 장착용 축부(22) 측의 부분에는 커플링 샤프트(16)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환상으로 형성된 경사받이면(25)이 마련되어 있다. 경사받이면(25)은 모터축(14)에 가까워질수록 보스부(21)의 외경이 연속적으로 커지도록 커플링 샤프트(16)의 축선에 대해서 경사지는 원환(圓環) 모양의 경사면이다. 이 예에서는, 경사받이면(25)의 폭치수(경사받이면(25)의 경사방향에 따른 경사받이면(25)의 치수)가 2㎜로 되어 있다.
회전검출기 장착용 축부(22)의 외경은 보스부(21)의 외경보다도 작게 되어 있다. 회전검출기 장착용 축부(22)의 선단부(보스부(21)로부터 떨어진 측의 단부)에는 나사부(22a)가 마련되어 있다. 또, 회전검출기 장착용 축부(22)의 중간부에는 커플링 샤프트(16)의 축선에 따른 키 홈(26)이 마련되어 있다.
엔코더(17)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검출기 장착용 축부(22)와 일체로 회전되는 회전부(27)와, 회전부(27)을 둘러싸는 환상의 고정부(28)를 가지고 있다. 고정부(28)는 회전부(27)의 회전에 따른 신호를 발생한다. 고정부(28)로부터의 신호는 신호선(43)을 통하여 제어장치(7)(도 1)로 보내진다. 제어장치(7)는 엔코더(17)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제어한다.
키 홈(26)에는 회전검출기 장착용 축부(22)에 대한 회전부(27)의 위치의 어긋남을 방지하는 키(29)가 끼워져 있다. 고정부(28)는 유지장치(18)에 유지되어 있다. 따라서, 모터본체(13)에 대한 고정부(28)의 회전은 유지장치(18)에 의해서 억제되고 있다. 나사부(22a)에는 엔코더(17)가 회전검출기 장착용 축부(22)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베어링용 너트(30)가 나사결합되어 있다.
유지장치(18)는 회전검출기 장착용 축부(22)가 통과되는 관통구멍(31)이 마련된 장착판(장착부재)(32)과, 모터본체(13)에 마련되고, 장착판(32)을 지지하는 지지장치(33)와, 장착판(32)에 마련되고, 고정부(28)에 접속된 탄성체인 한 쌍의 판스프링(접속부재)(34)을 가지고 있다.
장착판(32)은 관통구멍(31)에 회전검출기 장착용 축부(22)를 통과시킨 상태로 지지장치(33)에 지지되어 있다. 또, 장착판(32)은 관통구멍(31)의 중심선을 모터축(14)의 축선과 일치시켜 지지장치(33)에 의해 모터본체(13)에 고정되어 있다. 장착판(32)은 커플링 샤프트(16)로부터 떨어져 지지장치(33)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여기서, 도 4는 도 2의 장착판(32)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또, 도 5는 도 4의 V-V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장착판(32)의 외형은 정방형(正方形)으로 이루어지며, 관통구멍(31)의 단면 형상은 원형으로 되어 있다. 관통구멍(31)의 내주면은 모터축(14)에 가까워질수록 관통구멍(31)의 내경이 연속적으로 커지도록 관통구멍(31)의 중심선(즉, 모터축(14)의 축선)에 대해서 경사지는 경사가압면(35)으로 되어 있다. 관통구멍(31)의 중심선에 대한 경사가압면(35)의 경사각도는 커플링 샤프트(16)의 축선에 대한 경사받이면(25)의 경사각도와 동일하게 되어 있다. 경사가압면(35)의 폭치수(경사가압면(35)의 경사방향에 따른 경사가압면(35)의 치수)는 경사받이면(25)의 폭치수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관통구멍(31)의 내경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사가압면(35)의 모터축(14)에 가까운 쪽의 단부의 위치에서 최대가 되고, 장착판(32)의 모터축(14)으로부터 떨어진 측의 단부의 위치에서 최소가 되고 있다. 보스부(21)의 외경은 경사받이면(25)의 모터축(14)에 가까운 쪽의 단부의 위치에서 최대가 되며, 경사받이면(25)의 모터축(14)으로부터 떨어진 측의 단부의 위치에서 최소가 되고 있다. 관통구멍(31)의 최소 내경은 보스부(21)의 최소 외경보다도 작게 되어 있고, 관통구멍(31)의 최대 내경은 보스부(21)의 최대 외경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지지장치(33)는 모터본체(13)에 각각 장착된 복수(이 예에서는, 4개)의 스터드(stud)(나사봉)(36)와, 각 스터드(36)에 나사결합되고, 장착판(32)을 각 스터드(36)에 유지하는 복수의 너트(37)를 가지고 있다.
각 스터드(36)는 모터본체(13)에 마련된 복수(이 예에서는, 4개)의 나사구멍(38)에 나사결합됨으로써 모터본체(13)에 장착되어 있다. 또, 각 스터드(36)는 모터축(14)의 축선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각 스터드(36)는 모터축(14)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둘레방향에 대해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장착판(32)에는 각 스터드(36)가 각각 통과되는 복수(이 예에서는, 4개)의 스터드 안내구멍(39)이 마련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스터드 안내구멍(39)이 장착판(32)의 네 모서리에 마련되어 있다. 각 스터드 안내구멍(39)의 내경은 스터드(36)의 외경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따라서, 스터드(36)는 스터드 안내구멍(39)에 느슨하게 통과되고 있다. 장착판(32)은 각 스터드(36)에 2개씩 나사결합된 너트(37)에 끼워진 상태로 각 스터드(36)에 유지되어 있다. 따라서, 각 스터드(36)에 대한 각 너트(37)의 나사결합량의 조정에 의해, 모터축(14)의 축선방향에 대한 모터축(14)에 대한 장착판(32)의 위치가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각 판스프링(34)의 일단부는 나사(40)에 의해 장착판(32)에 접속되고, 각 판스프링(34)의 타단부는 나사(41)에 의해 고정부(28)에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고정부(28)는 판스프링(34)에 의해 탄성적으로 유지되어 있다. 또한, 장착판(32)에는 나사(40)가 나사결합되는 복수의 나사구멍(42)(도 4)이 마련되고, 고정부(28)에는 나사(41)가 나사결합되는 복수의 나사구멍(도시생략)이 마련되어 있다.
다음으로, 모터본체(13) 및 모터축(14)을 가지는 기존의 권상기에 엔코더(17)를 장착하여 엔코더가 부착된 권상기를 제조하는 작업의 순서에 대해서 설명한다. 엔코더(17)를 기존의 권상기에 장착할 때는, 우선, 회전검출기 장착용 축부(22)를 모터축(14) 측과는 반대방향을 향하여 커플링 샤프트(16)를 모터축(14)의 단면에 볼트(19)로 느슨하게 고정한다. 즉, 커플링 샤프트(16)를 모터축(14)에 가고정한다. 이것에 의해, 모터축(14)의 축선에 수직인 방향으로의 커플링 샤프트(16)의 변위가 허용된 상태에서, 커플링 샤프트(16)가 모터축(14)의 단부에 장착된다(축 가고정공정).
이 후, 모터본체(13)에 각 스터드(36)를 장착한다. 이 후, 커플링 샤프트(16)보다도 모터축(14)으로부터 떨어진 측으로부터 장착판(32)을 커플링 샤프트(16)에 접근시키고, 관통구멍(31)에 회전검출기 장착용 축부(22)를 통과시킨다. 이 후, 모터축(14)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장착판(32)을 변위시키면서, 각 스터드(36)를 각 스터드 안내구멍(38)으로 통과시키고, 관통구멍(31)에 회전검출기 장착용 축부(22)를 통과시킨 상태로 장착판(32)을 배치한다. 이 때, 장착판(32)은 커플링 샤프트(16)로부터 떨어뜨려 둔다(장착부재 배치공정).
이 후, 모터(15)를 구동시킴으로써 모터축(14) 및 커플링 샤프트(16)를 회전시킨다. 이 때, 커플링 샤프트(16)의 축선이 모터축(14)의 축선으로부터 어긋나 있는 경우, 모터축(14)은 그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되지만, 커플링 샤프트(16)는 편심에 의해 진동하면서 회전된다.
여기서, 도 6은 도 2의 장착판(32)의 경사가압면(35)이 보스부(21)의 경사받이면(25)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이다. 이 후, 모터축(14) 및 커플링 샤프트(16)를 회전시킨 상태에서, 경사받이면(25)에 경사가압면(35)을 접촉시키면서, 모터축(14)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장착판(32)을 가압한다. 이 때, 커플링 샤프트(16)의 진동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장착판(32)을 옮기면서, 모터축(14)의 축선에 수직인 방향에 대한 커플링 샤프트(16)의 위치를 조정한다. 이것에 의해, 커플링 샤프트(16)의 위치가 모터축(14)에 대해서 동축으로 조정된다(위치조정공정).
이 후, 모터축(14) 및 커플링 샤프트(16)의 회전을 정지한 후, 각 볼트(19)를 조이는 것에 의해, 커플링 샤프트(16)를 모터축(14)에 고정한다(축고정공정).
이 후, 모터축(14)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커플링 샤프트(16)를 변위시켜 각 스터드(36)로부터 장착판(32)을 일단 떼어낸다. 이 후, 스터드(36)에 한쪽의 너트(37)를 나사결합한 후, 스터드 안내구멍(39)으로 스터드(36)를 재차 통과시켜, 스터드(36)에 다른 쪽의 너트(37)를 나사결합한다. 이 후, 스터드(36)에 대한 각 너트(37)의 나사결합량을 조정하면서, 장착판(32)의 위치를 조정한다. 이 후, 장착판(32)을 너트(37) 사이에서 조이는 것에 의해, 커플링 샤프트(16)로부터 떨어진 소정의 위치에 장착판(32)을 고정한다(장착판 고정공정).
이 후, 키 홈(26)에 키(29)를 끼운 후, 엔코더(17)를 회전검출기 장착용 축부(22)에 장착한다. 이 때, 엔코더(17)가 커플링 샤프트(16)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베어링용 너트(30)를 나사부(22a)에 나사결합한다. 또, 엔코더(17)의 고정부(28)가 회전하지 않도록 판스프링(34)을 장착판(32) 및 고정부(28) 사이에 접속한다(회전검출기 장착공정). 이것에 의해, 엔코더가 부착된 권상기(5)가 완성된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권상기(5)에서는, 모터축(14)의 축선에 대해서 경사지는 경사가압면(35)을 내주면으로 하는 관통구멍(31)이 장착판(32)에 마련되고, 커플링 샤프트(16)의 축선에 대해서 경사지는 환상의 경사받이면(25)이 커플링 샤프트(16)의 보스부(21)에 마련되어 있으며, 장착판(32)이 모터축(14)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변위됨으로써 경사가압면(35)이 경사받이면(25)에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경사가압면(35)을 경사받이면(25)에 접촉시키면서 모터축(14) 및 커플링 샤프트(16)를 회전시킴으로써, 모터축(14)의 단부에 장착한 커플링 샤프트(16)의 위치를 모터축(14)과 동축이 되는 위치로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커플링 샤프트(16)의 축선을 모터축(14)의 축선에 일치시키는 조정작업(중심내기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모터축(14)의 단부가 커플링 샤프트(16)의 끼워맞춤구멍에 끼워지는 구조로 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모터축(14)의 돌출부분이 극단적으로 짧은 경우라도, 모터축(14)의 단부에 커플링 샤프트(16)를 장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것으로부터, 권상기(5)의 제조를 보다 확실하고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장착판(32)은 회전검출기 장착용 축부(22)를 관통구멍(31)으로 통과시킨 상태에서 지지장치(33)에 의해 고정되고, 엔코더(17)의 고정부(28)의 회전을 방지하는 판스프링(34)이 장착판(32)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중심내기 작업을 위해서 뿐만이 아니라, 고정부(28)의 회전을 방지하는 판스프링(34)의 장착을 위해서도 장착판(32)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부품점수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 경사가압면(35)의 폭치수는 경사받이면(25)의 폭치수보다도 크게 되어 있으므로, 경사가압면(35)을 경사받이면(25)에 쉽게 접촉시킬 수 있어, 중심내기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권상기(5)의 제조방법에서는, 커플링 샤프트(16)를 모터축(14)의 단부에 가고정한 후, 모터축(14) 및 커플링 샤프트(16)를 회전시킨 상태에서, 경사받이면(25)에 경사가압면(35)을 접촉시키면서 장착판(32)을 가압함으로써, 커플링 샤프트(16)의 위치를 모터축(14)에 대해서 동축으로 조정하므로, 중심내기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커플링 샤프트(16)를 모터축(14)에 가고정한 상태에서 커플링 샤프트(16)의 위치를 조정하므로, 모터축(14)의 단부가 커플링 샤프트(16)의 끼워맞춤구멍에 끼워지는 구조로 할 필요가 없어져, 모터축(14)의 돌출부분이 극단적으로 짧은 경우라도, 모터축(14)의 단부에 커플링 샤프트(16)를 장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것으로부터, 권상기(5)의 제조를 보다 확실하고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경사받이면(25) 및 경사가압면(35)의 각각의 표면처리는 행해지지 않지만, 미끄러지기 쉽게 하는 처리(마찰계수를 저감시키는 처리)를 경사받이면(25) 및 경사가압면(35)의 각각에 행해도 된다. 예를 들면 테플론(Teflon)(등록상표)(폴리 테트라 플루오르 에틸렌)을 코팅하는 처리나 윤활제를 도포하는 처리 등을 경사받이면(25) 및 경사가압면(35)의 각각에 행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서로 접촉하는 경사가압면(35) 및 경사받이면(25)을 미끄러지기 쉽게 할 수 있어, 중심내기 작업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중심내기 작업에 이용되는 장착판(32)이 판스프링(34)의 장착에도 이용되고 있지만, 중심내기 작업에만 장착판(32)을 이용하여 판스프링(34)의 장착을 위한 부재는 장착판(32)과 별개의 부재(판스프링(34)을 장착하기 위한 전용부재)로 하여도 된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경사가압면(35)의 폭치수가 경사받이면(25)의 폭치수보다도 크게 되어 있지만, 모터축(14)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의 장착판(32)의 변위에 의해 경사가압면(35)이 경사받이면(25)에 접촉 가능하면, 경사가압면(35)의 폭치수가 경사받이면(25)의 폭치수보다도 작아도 되고, 경사가압면(35) 및 경사받이면(25)의 각각의 폭치수가 동일해도 된다.
Claims (5)
- 모터본체와, 상기 모터본체에 의해 회전되는 모터축을 가지는 모터,
보스부와, 상기 모터축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보스부로부터 돌출하는 회전검출기 장착용 축부를 가지고, 상기 모터축의 단부에 대해서 착탈 가능한 커플링 샤프트(coupling shaft),
상기 회전검출기 장착용 축부가 통과되는 관통구멍이 마련된 장착부재, 및
상기 회전검출기 장착용 축부에 장착된 회전검출기를 구비하며,
상기 관통구멍의 내주면은 상기 모터축에 가까워질수록 상기 관통구멍의 내경이 연속적으로 커지도록 상기 모터축의 축선에 대해서 경사지는 경사가압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스부에는 상기 커플링 샤프트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환상(環狀)으로 형성되며, 또한 상기 모터축에 가까워질수록 상기 보스부의 외경이 연속적으로 커지도록 상기 커플링 샤프트의 축선에 대해서 경사지는 경사받이면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경사가압면은 상기 장착부재가 상기 모터축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변위됨으로써 상기 경사받이면에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검출기 장착용 축부를 상기 관통구멍에 통과시킨 상태에서, 상기 모터본체에 대한 상기 장착부재의 위치를 고정하는 지지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회전검출기는 상기 회전검출기 장착용 축부와 일체로 회전되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를 둘러싸는 환상의 고정부를 가지며,
상기 장착부재에는 상기 고정부의 회전을 방지하는 접속부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사가압면의 폭치수는 상기 경사받이면의 폭치수보다도 크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사가압면 및 상기 경사받이면에는 마찰계수를 저감시키는 처리가 행하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 보스부와 모터축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보스부로부터 돌출하는 회전검출기 장착용 축부를 가지는 커플링 샤프트를, 상기 모터축의 축선에 수직인 방향으로의 상기 커플링 샤프트의 변위가 허용되도록 상기 모터축의 단부에 장착하는 축 가(假)고정(shaft temporary fastening)공정,
중심선을 가지고 상기 중심선에 대해서 경사지는 경사가압면을 내주면으로 하는 관통구멍이 마련된 장착부재를, 상기 관통구멍에 상기 회전검출기 장착용 축부를 통과시킨 상태로 배치하는 장착부재 배치공정,
상기 모터축 및 상기 커플링 샤프트를 회전시킨 상태에서, 상기 보스부에 마련된 환상의 경사받이면에 상기 경사가압면을 접촉시키면서 상기 모터축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상기 장착부재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커플링 샤프트의 위치를 상기 모터축에 대하여 동축(同軸)으로 조정하는 위치조정공정,
상기 위치조정공정 후, 상기 커플링 샤프트를 상기 모터축에 고정하는 축고정공정, 및
상기 축고정공정 후, 회전검출기를 상기 회전검출기 장착용 축부에 장착하는 회전검출기 장착공정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권상기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JP2010/051778 WO2011096079A1 (ja) | 2010-02-08 | 2010-02-08 | エレベータの巻上機、及びエレベータの巻上機の製造方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12823A KR20120112823A (ko) | 2012-10-11 |
KR101309982B1 true KR101309982B1 (ko) | 2013-09-17 |
Family
ID=44355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7022040A KR101309982B1 (ko) | 2010-02-08 | 2010-02-08 |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및 엘리베이터의 권상기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9090435B2 (ko) |
EP (1) | EP2535305B1 (ko) |
JP (1) | JP5300990B2 (ko) |
KR (1) | KR101309982B1 (ko) |
CN (1) | CN102781808B (ko) |
WO (1) | WO2011096079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737908B2 (en) * | 2016-11-22 | 2020-08-11 | Otis Elevator Company | Method and kit for retrofitting elevator machines with thrust bearing, and retrofitted elevator machine |
CN108061539B (zh) * | 2017-12-15 | 2020-09-29 | 浙江捷众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汽车零部件加工用同轴度检测设备 |
US10942043B2 (en) * | 2019-07-25 | 2021-03-09 | Paccar Inc | Encoder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112965A (ja) * | 2004-10-15 | 2006-04-27 |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 中空軸形ロータリエンコーダの取付構造 |
JP2006176325A (ja) * | 2004-12-24 | 2006-07-06 | Toshiba Elevator Co Ltd | エレベータの制御リニューアルにおける速度検出器取付構造 |
JP2007139458A (ja) * | 2005-11-15 | 2007-06-07 | Aisin Seiki Co Ltd | 回転角検出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365964A (en) * | 1980-10-29 | 1982-12-28 | Reliance Electric Company | Combination coupling and sheave |
US4355785A (en) * | 1981-02-23 | 1982-10-26 | Westinghouse Electric Corp. | Electrically driven sheave |
FI82434C (fi) * | 1988-07-07 | 1991-03-11 | Kone Oy | Hissmaskineri. |
US5223679A (en) * | 1990-09-26 | 1993-06-29 | Otis Elevator Company | Elevator drive motor to encoder connection having a flexible rod and a bellows coupling |
US5433294A (en) * | 1994-05-18 | 1995-07-18 | Delaware Capital Formation, Inc. | Geared elevator system |
US7500543B2 (en) * | 2000-01-24 | 2009-03-10 | Doran Paul J | Sheave with taper lock coupler |
US7243759B2 (en) * | 2000-01-24 | 2007-07-17 | Doran Paul J | Tapered coupler for coupling a motor to a hoist machine |
US6398521B1 (en) * | 2001-01-30 | 2002-06-04 | Sta-Rite Industries, Inc. | Adapter for motor and fluid pump |
US20030121731A1 (en) * | 2002-01-03 | 2003-07-03 | The Torrington Company | Integrated speed sensor for elevator application |
JP4468071B2 (ja) | 2004-05-24 | 2010-05-26 |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 エンコーダ取り付け方法および治具 |
JP4365345B2 (ja) * | 2004-10-20 | 2009-11-18 | 三菱電機株式会社 | 巻上機及びその据付方法 |
DE202005006379U1 (de) * | 2005-04-21 | 2006-08-24 | Hengstler Gmbh | Hohlwellen-Drehgeber mit Motorwellen-Schutzkappe |
JP4925089B2 (ja) | 2005-12-14 | 2012-04-25 | 三菱電機株式会社 | エレベーターのギアレス巻上機 |
US8471194B2 (en) * | 2006-04-21 | 2013-06-25 | Flowserve Management Company | Rotary encoder for diagnosing problems with rotary equipment |
US7728583B2 (en) * | 2006-07-06 | 2010-06-01 | General Electric Company | Apparatus for monitoring rotary machines |
-
2010
- 2010-02-08 KR KR1020127022040A patent/KR10130998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0-02-08 CN CN201080063285.3A patent/CN102781808B/zh active Active
- 2010-02-08 WO PCT/JP2010/051778 patent/WO2011096079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0-02-08 US US13/522,437 patent/US9090435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0-02-08 JP JP2011552628A patent/JP5300990B2/ja active Active
- 2010-02-08 EP EP10845213.7A patent/EP2535305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112965A (ja) * | 2004-10-15 | 2006-04-27 |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 中空軸形ロータリエンコーダの取付構造 |
JP2006176325A (ja) * | 2004-12-24 | 2006-07-06 | Toshiba Elevator Co Ltd | エレベータの制御リニューアルにおける速度検出器取付構造 |
JP2007139458A (ja) * | 2005-11-15 | 2007-06-07 | Aisin Seiki Co Ltd | 回転角検出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1096079A1 (ja) | 2011-08-11 |
EP2535305A4 (en) | 2015-12-09 |
EP2535305A1 (en) | 2012-12-19 |
US9090435B2 (en) | 2015-07-28 |
JP5300990B2 (ja) | 2013-09-25 |
CN102781808A (zh) | 2012-11-14 |
KR20120112823A (ko) | 2012-10-11 |
CN102781808B (zh) | 2014-12-10 |
JPWO2011096079A1 (ja) | 2013-06-10 |
US20120292135A1 (en) | 2012-11-22 |
EP2535305B1 (en) | 2016-08-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91868B1 (ko) |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조절 가능한 베어링 | |
CN1226178C (zh) | 升降机和采用该升降机的电梯系统 | |
KR101309982B1 (ko) |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및 엘리베이터의 권상기의 제조방법 | |
KR101737258B1 (ko) | 브레이크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 |
KR20180021120A (ko) |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및 엘리베이터 | |
US20220097572A1 (en) | Electric rotation device for automobile seat | |
US6689002B1 (en) | Tensioning device in rotating movement transmission by belts, chains or cables | |
JP5460867B2 (ja) | エレベータの改修工事用装置 | |
KR101361367B1 (ko) |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브레이크 장치 | |
JP5627796B2 (ja) | エレベータのかご室の手すり装置 | |
KR20190125316A (ko) | 블랭킷 모듈을 핵융합로 진공 용기에 고정하기 위한 장치 | |
KR101219210B1 (ko) |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브레이크장치 | |
CN110065871B (zh) | 滑轮装置及滑轮主体的更换方法 | |
WO2021070362A1 (ja) |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の巻上機調整装置及び巻上機据付方法 | |
CN107464771B (zh) | 一种连接装置和升降机构 | |
KR101519637B1 (ko) | 진동롤러 헤밍장치 | |
JP4597658B2 (ja) | エレベータの制御リニューアルにおける速度検出器取付構造 | |
CN116986015B (zh) | 一种舵机检测装置 | |
CN221072309U (zh) | 一种钢箱梁桥面提升用支撑装置 | |
KR100418788B1 (ko) | 로봇 엥커링 플레이트 구조 | |
KR20230157026A (ko) | 코킹장치 | |
JP2017067148A (ja) | 電磁ブレーキ装置及びエレベータ装置 | |
JPH0593697U (ja) | プレス機のモータ取付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