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7026A - 코킹장치 - Google Patents

코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7026A
KR20230157026A KR1020220056469A KR20220056469A KR20230157026A KR 20230157026 A KR20230157026 A KR 20230157026A KR 1020220056469 A KR1020220056469 A KR 1020220056469A KR 20220056469 A KR20220056469 A KR 20220056469A KR 20230157026 A KR20230157026 A KR 202301570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nch
caulking
workpiece
uni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6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기용
이석호
Original Assignee
유한책임회사 세봉
류기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책임회사 세봉, 류기용 filed Critical 유한책임회사 세봉
Priority to KR1020220056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7026A/ko
Publication of KR20230157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702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9/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 B21D39/04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of tubes with tubes; of tubes with r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03Positio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 B21D43/04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 B21D43/10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by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4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장비 내부에서 발생한 동력을 풀리와 벨트를 통해 동기화하여, 서로 다른 방향에서 피작업물을 에워싸고 동시에 같은 힘으로 피작업물을 코킹하는 코킹장치가 개시된다. 이러한 코킹장치는 플레이트, 동력전달부, 모터부, 펀치장치 및 로딩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코킹장치에 의하면, 상기 펀치장치 간 힘의 불균형이 생기지 않아 장비의 내구도가 크게 향상되므로 장비 유지 및 보수비용이 적게 들어 고효율로 장비 운용을 할 수 있다.

Description

코킹장치{Caulking device}
본 발명은 코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서로 다른 방향에서 같은 힘으로 피작업물을 동시에 코킹하는 코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핸들의 회전력을 바퀴에 전달하여 차량의 진행방향을 변환시키도록 연결되는 샤프트는 30여개의 부품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샤프트는, 자동차 운행 시, 자동차 바퀴와 굴곡진 노면 간에 발생하는 충돌에 따라 충돌 접촉면의 조향 축 방향으로 압축되는 변형을 흡수하며, 핸들의 회전력에 따라 자동차 바퀴가 회전할 수 있도록 기능하는 볼부시 베어링을 포함한다. 다만, 이러한 샤프트 내 불부시 베어링만의 기계적 결합은 외부 힘에 의하여 그 결합이 쉽게 분리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그러므로 샤프트 및 베어링을 고정할 수 있도록 캡을 두고, 외부장치를 이용하여 캡을 코킹하여 부품 상호간 기계적 결합을 돕는 것이다.
이처럼 피작업물을 코킹하는 외부장치를 코킹장치라고 한다.
코킹장치는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기계적 결합을 위해 큰 힘이 들어가므로, 장비 자체의 동기화를 통해 정확한 코킹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면, 장비 내에서 힘의 불균형으로 장비의 파손을 도출할 위험이 크다.
현재의 코킹장치는 공압실린더 또는 유압실린더를 이용하여 피작업물을 코킹한다.
공압실린더를 이용한 코킹장치의 경우에는 대기중의 공기를 이용하여 동력을 전달받아 빠른 속도로 장비운용이 가능하나, 정밀도가 떨어져서 장비의 파손이 잦고 힘이 약해 큰 힘이 들어가는 코킹장치에는 적합하지 않았다.
유압실린더를 이용한 코킹장치는 공압실린더에 비해 정밀도가 높고 힘의 세기도 공압실린더에 비해 뛰어나 공압실린더로 운용되는 코킹장치에 비해 효율적인 운용이 가능하며 보다 나은 장비의 내구도를 가지므로 유지 및 보수에 장점을 가진다.
다만, 이러한 유압실린더의 경우라도, 일반적으로 다른 유압 유니트와 함께 구성되어야 하므로 다른 액츄에이터에 비해 차지하는 공간이 크다는 단점이 존재하고, 기름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화재의 위험이 존재하며, 높은 운용비용을 요한다는 단점이 있다. 더욱이, 기계 동작의 정확한 동기화에 대한 어려움이 여전히 존재하고, 큰 힘이 필요한 코킹 장치에 있어서 부정확한 동기화 동작에 따른 코킹 장치의 장비 파손 문제가 여전히 발생하고 있다.
그에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피작업물을 코킹 시, 장비의 정밀한 동기화를 통해 장비의 내구도를 높여 보다 적은 비용으로 운용될 수 있는 고효율의 코킹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의한 코킹장치는 플레이트, 로딩부, 펀치장치, 모터부 및 동력전달부를 포함한다. 상기 로딩부는 상기 플레이트의 중앙에 피작업물을 로딩 및 고정시킨다. 상기 펀치장치는 복수 개이며,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에서 상기 로딩부에 로딩된 피작업물을 중심으로 하여 에워싸도록 배치되고, 서로 다른 방향에서 같은 힘으로 동시에 피작업물을 코킹한다. 상기 모터부는 상기 플레이트의 하면에 위치하여 동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펀치장치에 상기 모터부에서 발생한 동력을 전달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크랭크축, 제1 풀리부, 제2 풀리부 및 벨트를 포함한다. 상기 크랭크축은 상기 모터부에서 발생한 동력을 상기 펀치장치에 직접 전달한다. 상기 제1 풀리부는 상기 플레이트 하면에서 상기 크랭크축을 회전시키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 풀리부는 상기 플레이트 하면에서 상기 모터부가 발생시키는 동력에 대응하여 회전 운동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벨트는 상기 모터부, 상기 제1 풀리부 및 상기 제2 풀리부를 동기화하여 동시에 구동하도록 연결시킨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크랭크축은 무게 중심축과 회전 중심축이 상이한 편심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면에서 상기 펀치장치의 직선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레일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펀치장치는 펀치지지부, 직선운동가이드부, 펀치 및 펀치고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펀치지지부는 상기 크랭크축의 편심 구조를 이용하여, 상기 크랭크축의 회전운동을 상기 펀치장치의 직선운동으로 변환할 수 있도록 상기 크랭크축을 가이드 하는 레이스 트랙 타원형의 홀이 형성된다. 상기 직선운동가이드부는 상기 펀치지지부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펀치장치가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직선운동을 하도록 유도한다. 상기 펀치는 상기 펀치지지부 단부에 결착되어 피작업물을 코킹한다. 상기 펀치고정부는 상기 펀치를 상기 펀치지지부 단부에 결착하도록 형성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펀치는 코킹부 및 펀치조절부를 포함한다. 상기 코킹부는 피작업물을 코킹하기 위해 일끝단이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펀치조절부는 상기 펀치가 상기 펀치지지부 단부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로딩부는 제1 그리퍼, 제2 그리퍼, 제3 그리퍼, 감지부 및 로딩자석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그리퍼는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에서 피작업물을 고정시킨다. 상기 제2 그리퍼는 상기 플레이트의 하면에서 피작업물을 고정시킨다. 상기 감지부는 상기 로딩부에 피작업물의 로딩을 확인하여 피작업물의 코킹준비가 되었는지 감지한다. 상기 제3 그리퍼는 상기 로딩부에 로딩된 피작업물의 코킹 정합성 및 상기 제1 그리퍼와 상기 제2 그리퍼의 정상동작여부를 체크한다. 상기 로딩자석은 상기 제1 그리퍼 및 제2 그리퍼의 피작업물이 로딩되는 영역에 형성되어 피작업물을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감지부는 로딩감지센서, 펀치감지센서, 로딩감지스프링 및 코킹준비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로딩감지센서는 상기 제1 그리퍼 및 상기 제2 그리퍼의 피작업물이 로딩되는 영역에 설치되어 피작업물의 로딩여부를 감지한다. 상기 펀치감지센서는 상기 플레이트 상면에서 상기 펀치의 정상여부를 감지한다. 상기 로딩감지스프링은 상기 플레이트 상면에서 상기 로딩부의 하중을 받도록 형성되고, 상기 로딩부에 피작업물이 로딩되는 경우, 피작업물의 하중을 받아 압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코킹준비센서는 상기 제2 그리퍼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로딩감지스프링의 압축을 인지하여 피작업물의 코킹 준비가 완료됨을 감지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펀치조절부는 조절스크류, 스크류고정볼트 및 펀치고정볼트를 포함한다. 상기 조절스크류는 상기 펀치지지부에 결착되는 상기 펀치의 깊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스크류고정볼트는 상기 조절스크류에 의해 조정된 깊이대로 상기 펀치의 길이를 고정한다. 상기 펀치고정볼트는 상기 펀치를 상기 펀치지지부에 고정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1 풀리부, 상기 제2 풀리부 및 상기 벨트는 서로 맞물리도록 복수 개의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의한 상기 플레이트는, 위에서 언급한 어느 하나에 대하여 상기 로딩부에 피작업물이 로딩될 수 있도록, 상기 플레이트의 일측면에서 상기 로딩부에 피작업물이 로딩되는 상기 플레이트의 중앙까지 오목한 홈 형태로 절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에서 상기 펀치장치의 일측면과 일정거리 떨어져 형성되고, 상기 펀치장치의 코킹정상동작을 감지하는 코킹센서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플레이트 하면에서 상기 모터부, 상기 동력전달부, 상기 펀치장치 및 상기 로딩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코킹장치에 의하면, 상기 모터부, 상기 제1 풀리부, 상기 제2 풀리부 및 상기 벨트의 동시구동으로 상기 복수 개의 펀치장치에 동기화를 실현시켜 피작업물에 동시 코킹이 가능하므로, 상기 복수 개의 펀치장치 간 힘의 차이로 인한 장비파손 우려를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기름을 이용한 유압실린더 코킹장치에 비해, 상기 모터부에서 발생한 동력에 따른 상기 제1 풀리부 및 상기 제2 풀리부와 상기 벨트의 맞물림에 의한 전동 구동이므로, 높은 안정성과 지속적인 추력을 가져 장비 유지 및 보수에 드는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상기 플레이트 상면에서 바라본 코킹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상기 플레이트 하면에서 바라본 코킹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도시된 코킹장치의 구성요소 중 펀치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도시된 상기 펀치장치의 구성요소 중 펀치의 분해도이다.
도 5는 도 1에서 도시된 코킹장치의 구성요소인 로딩부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 부호를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과장하여 도시한 것일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A와 B가'연결된다', '결합된다'라는 의미는 A와 B가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결합하는 것 이외에 다른 구성요소 C가 A와 B 사이에 포함되어 A와 B가 연결되거나 결합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방법 발명에 대한 특허청구범위에서, 각 단계가 명확하게 순서에 구속되지 않는 한, 각 단계들은 그 순서가 서로 바뀔 수도 있다.
또한, 각 실시예들에서 개별적으로 설명된 구성들은, 다른 실시예들에서 적용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상기 플레이트 상면에서 바라본 코킹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상기 플레이트 하면에서 바라본 코킹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2를 참조하면, 코킹장치는 플레이트(1000), 로딩부(5000), 펀치장치(4000), 모터부(3000) 및 동력전달부(2000)를 포함한다. 상기 로딩부(5000)는 상기 플레이트(1000)의 중앙에 피작업물을 로딩 및 고정시킨다. 상기 펀치장치(4000)는 복수 개이며, 상기 플레이트(1000)의 상면에서 상기 로딩부(5000)에 로딩된 피작업물을 중심으로 하여 에워싸도록 배치되고, 서로 다른 방향에서 같은 힘으로 동시에 피작업물을 코킹한다. 상기 모터부(3000)는 상기 플레이트(1000)의 하면에 위치하여 동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동력전달부(2000)는 상기 펀치장치(4000)에 상기 모터부(3000)에서 발생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2000)는 크랭크축(2100), 제1 풀리부(2200), 제2 풀리부(2300) 및 벨트(2400)를 포함한다. 상기 크랭크축(2100)은 상기 모터부(3000)에서 발생한 동력을 상기 펀치장치(4000)에 직접 전달한다. 상기 제1 풀리부(2200)는 상기 플레이트(1000) 하면에서 상기 크랭크축(2100)을 회전시키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 풀리부(2300)는 상기 플레이트(1000) 하면에서 상기 모터부(3000)가 발생시키는 동력에 대응하여 회전 운동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벨트는 상기 모터부(3000), 상기 제1 풀리부(2200) 및 상기 제2 풀리부(2300)를 동기화하여 동시에 구동하도록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 크랭크축(2100)은 무게 중심축과 회전 중심축이 상이한 편심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나 특별히 그 모양을 한정할 것은 아니다.
상기 플레이트(1000)는 상기 플레이트(1000) 상면에서 상기 펀치장치(4000)의 직선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레일(11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서 도시된 코킹장치의 구성요소 중 펀치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펀치장치(4000)는 펀치지지부(4100), 직선운동가이드부(4200), 펀치(4400) 및 펀치고정부(4300)를 포함한다. 상기 펀치지지부(4100)는 상기 크랭크축(2100)의 편심 구조를 이용하여, 상기 크랭크축(2100)의 회전운동을 상기 펀치장치(4000)의 직선운동으로 변환할 수 있도록 상기 크랭크축(2100)을 가이드 하는 레이스 트랙 타원형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홀의 모양은 레이스 트랙 타원형에 한정할 것은 아니다. 상기 직선운동가이드부(4200)는 상기 펀치지지부(4100)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펀치장치(4000)가 상기 가이드레일(1100)을 따라 직선운동을 하도록 유도한다. 상기 펀치(4400)는 상기 펀치지지부(4100) 단부에 결착되어 피작업물을 코킹한다. 상기 펀치고정부(4300)는 상기 펀치(4400)를 상기 펀치지지부(4100) 단부에 결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서 도시된 상기 펀치장치의 구성요소 중 펀치의 분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펀치(4400)는 코킹부(4410) 및 펀치조절부(4420)를 포함한다. 상기 코킹부(4410)는 피작업물을 코킹하기 위해 일끝단이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러한 모양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펀치조절부(4420)는 상기 펀치(4400)가 상기 펀치지지부(4100) 단부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서 도시된 코킹장치의 구성요소인 로딩부의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로딩부(5000)는 제1 그리퍼(5100), 제2 그리퍼(5200), 제3 그리퍼(5300), 감지부(5400) 및 로딩자석(550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그리퍼(5100)는 상기 플레이트(1000)의 상면에서 피작업물을 고정시킨다. 상기 제2 그리퍼(5200)는 상기 플레이트(1000)의 하면에서 피작업물을 고정시킨다. 상기 감지부(5400)는 상기 로딩부(5000)에 피작업물의 로딩을 확인하여 피작업물의 코킹준비가 되었는지 감지한다. 상기 제3 그리퍼(5300)는 상기 로딩부(5000)에 로딩된 피작업물의 코킹 정합성 및 상기 제1 그리퍼(5100)와 상기 제2 그리퍼(5200)의 정상동작여부를 체크한다. 상기 로딩자석(5500)은 상기 제1 그리퍼(5100) 및 제2 그리퍼(5200)의 피작업물이 로딩되는 영역에 형성되어 피작업물을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지부(5400)는 로딩감지센서(5410), 펀치감지센서(5420), 로딩감지스프링(5430) 및 코킹준비센서(5440)를 포함한다. 상기 로딩감지센서(5410)는 상기 제1 그리퍼(5100) 및 상기 제2 그리퍼(5200)의 피작업물이 로딩되는 영역에 설치되어 피작업물의 로딩여부를 감지한다. 상기 펀치감지센서(5420)는 상기 플레이트(1000) 상면에서 상기 펀치(4400)의 정상여부를 감지한다. 상기 로딩감지스프링(5430)은 상기 플레이트(1000) 상면에서 상기 로딩부(5000)의 하중을 받도록 형성되고, 상기 로딩부(5000)에 피작업물이 로딩되는 경우, 피작업물의 하중을 받아 압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코킹준비센서(5440)는 상기 제2 그리퍼(5200)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로딩감지스프링(5430)의 압축을 인지하여 피작업물의 코킹 준비가 완료됨을 감지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펀치조절부(4420)는 조절스크류(4421), 스크류고정볼트(4422) 및 펀치고정볼트(4423)를 포함한다. 상기 조절스크류(4421)는 상기 펀치지지부(4100)에 결착되는 상기 펀치의(4400) 깊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스크류고정볼트(4422)는 상기 조절스크류(4421)에 의해 조정된 깊이대로 상기 펀치(4400)의 길이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펀치고정볼트(4423)는 상기 펀치(4400)를 상기 펀치지지부(4100)에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발명을 통해, 피작업물이 코킹되는 깊이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으며, 상기 펀치감지센서(5420)에 의해 펀치(4400)의 파손이 감지되면 작동을 중단하고 상기 펀치(4400)의 보수 및 교체를 위한 자유로운 탈부착이 가능하다. 이로써 잦은 파손이 일어나는 상기 펀치(4400)의 교체만 있으면 장비의 운용이 가능한 바, 상기 펀치장치(4000)의 수리 및 교체에 요구되는 비용과 시간을 큰 폭으로 줄일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1 풀리부(2200), 상기 제2 풀리부(2300) 및 상기 벨트(2400)는 서로 맞물리도록 복수 개의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로써, 기존의 유압실린더로 구동하는 코킹장치에 비해 백래쉬 현상이 줄어들어 장비의 유지 및 보수에 보다 적은 비용과 시간이 들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플레이트(1000)는, 위에서 언급한 어느 하나에 대하여 상기 로딩부(5000)에 피작업물이 로딩될 수 있도록, 상기 플레이트(1000)의 일측면에서 상기 로딩부(5000)에 피작업물이 로딩되는 상기 플레이트(1000)의 중앙까지 오목한 홈 형태로 절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만, 그 절개된 부분의 모양은 오목한 홈 형태로 한정할 것은 아니고 다양한 모양의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1000)의 상면에서 상기 펀치장치(4000)의 일측면과 일정거리 떨어져 형성되고, 상기 펀치장치(4000)의 코킹정상동작을 감지하는 코킹센서(60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만, 그 코킹센서(6000)는 정상동작을 하는 범위 내에서 어느 곳이든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상기 플레이트(1000) 하면에서 상기 모터부(3000), 상기 동력전달부(2000), 상기 펀치장치(4000) 및 상기 로딩부(5000)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코킹장치에 의하면, 상기 모터부(3000), 상기 제1 풀리부(2200), 상기 제2 풀리부(2300) 및 벨트(2400)의 동시구동으로 상기 복수 개의 펀치장치(4000)에 동기화를 실현시켜 동시 코킹이 가능하므로, 상기 복수 개의 펀치장치(4000) 간 힘의 차이로 인한 장비파손 우려를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풀리부(2200) 및 상기 제2 풀리부(2300)와 벨트(2400)의 맞물림에 의한 구동이므로 공압실린더나 유압실린더로 구동하는 코킹장치에 비해 운용비용이 적게 들며, 백래쉬 현상을 최소화하여 장비 유지 및 보수에 드는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0 플레이트
1100 가이드레일 2000 동력전달부
2100 크랭크축 2200 제1 풀리부
2300 제2 풀리부 2400 벨트
3000 모터부 4000 펀치장치
4100 펀치지지부 4200 직선운동가이드부
4300 펀치고정부 4400 펀치
4410 코킹부 4420 펀치조절부
4421 조절스크류 4422 스크류고정볼트
4423 펀치고정볼트 5000 로딩부
5100 제1 그리퍼 5200 제2 그리퍼
5300 제3 그리퍼 5400 감지부
5410 로딩감지센서 5420 펀치감지센서
5430 로딩감지스프링 5440 코킹준비센서
5500 로딩자석 6000 코킹센서

Claims (13)

  1.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중앙에 피작업물을 로딩 및 고정시키는 로딩부;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에서 상기 로딩부에 로딩된 피작업물을 중심으로 하여 에워싸도록 배치되고, 서로 다른 방향에서 같은 힘으로 동시에 피작업물을 코킹하는 복수 개의 펀치장치;
    상기 플레이트의 하면에 위치하여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부; 및
    상기 펀치장치에 상기 모터부에서 발생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을 포함하는 코킹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모터부에서 발생한 동력을 상기 펀치장치에 직접 전달하는 크랭크축;
    상기 플레이트 하면에서 상기 크랭크축을 회전시키도록 형성된 제1 풀리부;
    상기 플레이트 하면에서 상기 모터부가 발생시키는 동력에 대응하여 회전 운동하도록 형성된 제2 풀리부; 및
    상기 모터부, 제1 풀리부 및 제2 풀리부를 동기화하여 동시에 구동하도록 연결시키는 벨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킹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축은,
    상기 크랭크축의 무게 중심축과 회전 중심축이 상이한 편심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킹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에서 상기 펀치장치의 직선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레일을 더 포함하는 코킹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펀치장치는,
    상기 크랭크축의 편심 구조를 이용하여, 상기 크랭크축의 회전운동을 상기 펀치장치의 직선운동으로 변환할 수 있도록 상기 크랭크축을 가이드 하는 레이스 트랙 타원형의 홀이 형성된 펀치지지부;
    상기 펀치지지부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펀치장치가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직선운동을 하도록 유도하는 직선운동가이드부;
    상기 펀치지지부 단부에 결착되어 피작업물을 코킹하는 펀치; 및
    상기 펀치를 상기 펀치지지부 단부에 결착하도록 형성된 펀치고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킹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펀치는,
    피작업물을 코킹하기 위해 일끝단이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된 코킹부; 및
    상기 펀치가 상기 펀치지지부 단부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펀치조절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킹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부는,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에서 피작업물을 고정시키는 제1 그리퍼;
    상기 플레이트의 하면에서 피작업물을 고정시키는 제2 그리퍼;
    상기 로딩부에 피작업물의 로딩 확인하여 피작업물의 코킹준비가 되었는지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로딩부에 로딩된 피작업물의 코킹 정합성 및 상기 제1 그리퍼와 제2 그리퍼의 정상동작여부를 체크하는 제3 그리퍼; 및
    상기 제1 그리퍼 및 제2 그리퍼의 피작업물이 로딩되는 영역에 형성되어 피작업물을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딩자석;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킹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제1 그리퍼 및 제2 그리퍼의 피작업물이 로딩되는 영역에 설치되어 피작업물의 로딩 여부를 감지하는 로딩감지센서;
    상기 플레이트 상면에서 상기 펀치의 정상여부를 감지하는 펀치감지센서;
    상기 플레이트 상면에서 상기 로딩부의 하중을 받도록 형성되고, 상기 로딩부에 피작업물이 로딩되는 경우, 피작업물의 하중을 받아 압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딩감지스프링; 및
    상기 제2 그리퍼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로딩감지스프링의 압축을 인지하여 피작업물의 코킹 준비가 완료됨을 감지하는 코킹준비센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킹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펀치조절부는,
    상기 펀치지지부에 결착되는 상기 펀치의 깊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 조절스크류;
    상기 조절스크류에 의해 조정된 깊이대로 상기 펀치의 길이를 고정하는 스크류고정볼트;
    상기 펀치를 상기 펀치지지부에 고정하는 펀치고정볼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킹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풀리부, 제2 풀리부 및 벨트는,
    서로 맞물리도록 복수 개의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킹장치
  11. 제1 항 내지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로딩부에 피작업물이 로딩될 수 있도록, 상기 플레이트의 일측면에서 상기 로딩부에 피작업물이 로딩되는 상기 플레이트의 중앙까지 오목한 홈 형태로 절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킹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에서 상기 펀치장치의 일측면과 일정거리 떨어져 형성되고, 상기 펀치장치의 코킹정상동작을 감지하는 코킹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킹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하면에서 상기 모터부, 동력전달부, 펀치장치 및 로딩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킹장치.
KR1020220056469A 2022-05-09 2022-05-09 코킹장치 KR202301570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6469A KR20230157026A (ko) 2022-05-09 2022-05-09 코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6469A KR20230157026A (ko) 2022-05-09 2022-05-09 코킹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7026A true KR20230157026A (ko) 2023-11-16

Family

ID=88964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6469A KR20230157026A (ko) 2022-05-09 2022-05-09 코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702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15557B2 (en) Electric cylinder system
US9046444B2 (en) Tire testing device
CN103696365B (zh) 一种斜拉桥缆索机器人
US8757017B2 (en) Linear movement device with omega drive
KR101910889B1 (ko) 로봇 관절 구동기
CN111232243B (zh) 一种载荷加载装置
KR101302208B1 (ko) 레일방식의 주행장치
EP1821000A2 (en) Friction drive unit
CN110657988B (zh) 一种轴承轴向试验机构
KR20130138817A (ko) 전동 실린더 및 전동 실린더 시스템
US20140035443A1 (en) Electric cylinder and electric cylinder system
KR100955530B1 (ko) 클린타입 테이블 실린더 직선로봇
KR20230157026A (ko) 코킹장치
JP5375772B2 (ja) 材料試験機の軸心調整装置
CN115371989B (zh) 一种联轴器转子可变支承刚度模拟结构
TWI438351B (zh) 運動裝置
KR101309982B1 (ko)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및 엘리베이터의 권상기의 제조방법
KR20090132525A (ko) 구형 모자부가 구비된 러핑 실린더 베어링을 포함하는 크레인
KR101361367B1 (ko)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브레이크 장치
KR102337179B1 (ko) 물품 반송 장치
JP4858629B2 (ja) ボールねじ装置の中間サポート
US6915881B2 (en) Linear drive
US20060278182A1 (en) Connection assembly for converting between reciprocal and rotary motion
KR102244867B1 (ko) 탑바디와 고정 가이드레일의 클리어런스 방지용 예압모듈이 구비된 이송장치
JP2001099260A (ja) ボールねじ装置の中間サポ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