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9332B1 - 플라스틱 사출물에 안테나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 및 그에의해 제조된 안테나 패턴을 포함하는 사출물 - Google Patents

플라스틱 사출물에 안테나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 및 그에의해 제조된 안테나 패턴을 포함하는 사출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9332B1
KR101309332B1 KR1020060077852A KR20060077852A KR101309332B1 KR 101309332 B1 KR101309332 B1 KR 101309332B1 KR 1020060077852 A KR1020060077852 A KR 1020060077852A KR 20060077852 A KR20060077852 A KR 20060077852A KR 101309332 B1 KR101309332 B1 KR 1013093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antenna pattern
antenna
laser
injection m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7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6139A (ko
Inventor
류병훈
성원모
박성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Priority to KR1020060077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9332B1/ko
Publication of KR20080016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61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9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93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8/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either liquid compounds or solutions of the coating forming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Contact plating
    • C23C18/02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either liquid compounds or solutions of the coating forming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Contact plating by thermal decomposition
    • C23C18/04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co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8/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either liquid compounds or solutions of the coating forming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Contact plating
    • C23C18/16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either liquid compounds or solutions of the coating forming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Contact plating by reduction or substitution, e.g. electroless plating
    • C23C18/1601Process or apparatus
    • C23C18/1633Process of electroless plating
    • C23C18/1655Process features
    • C23C18/1664Process features with additional means during the plating process
    • C23C18/1667Radiant energy, e.g. laser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8/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either liquid compounds or solutions of the coating forming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Contact plating
    • C23C18/16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either liquid compounds or solutions of the coating forming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Contact plating by reduction or substitution, e.g. electroless plating
    • C23C18/31Coating with metals
    • C23C18/38Coating with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8/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either liquid compounds or solutions of the coating forming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Contact plating
    • C23C18/54Contact plating, i.e. electroless electrochemical pl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3/00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 C25D3/02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from solutions
    • C25D3/38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from solutions of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3/00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 C25D3/02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from solutions
    • C25D3/48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from solutions of g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3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conductors
    • H01L21/76841Barrier, adhesion or liner layers
    • H01L21/76871Layers specifically deposited to enhance or enable the nucleation of further layers, i.e. seed layers
    • H01L21/76874Layers specifically deposited to enhance or enable the nucleation of further layers, i.e. seed layers for electroless pla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ly Coat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스틱 사출물에 정교하면서 간단히 제조될 수 있는 안테나 형성방법 및 안테나가 형성된 사출물을 개시한다. 안테나를 형성하기 위해서, 휠러 및 금속 성분을 포함하는 레이저-반응제와 베이스 폴리머를 혼합하며, 혼합된 재료를 이용하여 복합 폴리머로 구성된 플라스틱 사출물을 성형하고, 레이저를 이용하여 일정 패턴을 따라 플라스틱 사출물의 표면을 활성화하며, 플라스틱 사출물의 표면에 도금을 하여 안테나 패턴을 형성하고, 패턴 보호를 위해 안테나 패턴 및 그 주변을 코팅한다. 초점이 맞춰진 레이저를 이용하여 플라스틱 사출물에 미세하면서도 깨끗한 패턴을 형성할 수 있으며, 도금에 의해서 형성된 패턴을 코팅으로 보호하여 외부 환경 변화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Description

플라스틱 사출물에 안테나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안테나 패턴을 포함하는 사출물 {METHOD OF FORMING ANTENNA PATTERN ON PLASTIC MOLDING AND PLASTIC MOLDING COMPRISING ANTENNA PATTERN PRODUCED THEREBY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를 포함하는 사출물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복합 폴리머를 혼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복합 폴리머로부터 성형된 사출물의 표면을 레이저로 활성화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레이저로 활성화된 일정 패턴에 도금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안테나 패턴 상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사출물 120:안테나 패턴
112:접점 140:코팅층
본 발명은 안테나가 형성된 사출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플라스틱 사출에 의해서 형성된 사출물에 안테나 패턴을 정교하면서도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는 안테나 형성방법 및 그 안테나를 포함하는 사출물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과 같은 이동통신단말기에는 안테나가 사용되며, 안테나는 단말기 몸체의 외부 또는 내부에 장착되어 외부의 장치와 무선으로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가 있다. 종래에는 원활한 무선통신을 위해 안테나가 외부로 노출되거나 필요에 따라서는 안테나 길이를 늘였다가 줄일 수 있는 구조를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안테나와 관련된 기술이 개발되면서, 안테나는 외부로 노출되기 보다는 내부에 내장되고 있으며, 내부의 다른 부품에 영향 없이 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안테나 모듈은 안테나 패턴을 포함하며, 안테나 패턴은 안테나 모듈의 하우징에 일체로 장착된다. 안테나 패턴을 모듈 사출물에 일체로 장착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 방법이 사용될 수가 있다. 예를 들어, 사출물 및 안테나 패턴에 대응하도록 금속 시트를 재단한 후, 사출물에 재단된 금속 시트를 일체로 장착할 수 있다. 특히, 사출물이 평면이 아닌 3차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안테나 패턴을 사출물에 일체로 장착하는 것은 더욱 복잡하고 어려워진다.
이러한 과정에서 이중 사출(double-shot molding) 및 핫 스탬핑(hot stamping) 등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3차원 사출에 도전체인 안테나 패턴을 프레스 금형으로 제작할 수 있다.
종래와 같이, 안테나 패턴과 사출물을 별도로 성형하는 방법은 장시간의 개발 기간이 필요하며, 소규모 생산이나 시제품 제작이 어렵고, 설계 변경에 따른 과다한 비용의 지출, 소형화에 대한 제약 등 많은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사출물에 안테나 패턴을 간단하게 일체화할 수 있는 안테나 형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밀하면서도 미세한 구조의 안테나 패턴을 표현할 수 있으며, 3차원 형상을 갖는 사출물에 대응하여 안테나 패턴 역시 3차원으로 형성되는 안테나 형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개발시간이 짧으며, 소규모 생산이나 시제품 제작이 용이하고, 설계 변경이 있어도 간단하게 변경 내용을 적용할 수 있으며, 소형화를 구현할 수 있는 안테나 형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들과 관련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측면에 따르면, 안테나 형성방법은 특수한 복합 폴리머를 이용하여 사출물을 성형한 후 레이저 활성화 반응을 이용하여 원하는 표면에 소정의 안테나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안테나 형성방법은 중금속 착물로서 기능하는 베이스 폴리머, 지지 입자로서의 레 이저-반응제를 혼합하는 단계, 혼합된 재료를 이용하여 복합 폴리머로 구성된 플라스틱 사출물을 성형하는 단계, 레이저를 이용하여 일정 패턴을 따라 플라스틱 사출물의 표면을 활성화하는 단계 및 플라스틱 사출물의 표면에 도금을 하여 안테나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레이저-반응제는 휠러 및 금속 성분을 포함한다.
상기 안테나 형성방법에서, 레이저에 의해서 물리-화학적 반응이 유도되는 첨가제(additive)를 베이스 폴리머에 혼합하여 특수한 복합 폴리머를 구성하고, 이 복합 폴리머를 이용하여 원하는 사출물 또는 기타 플라스틱 성형물을 사출 성형한다. 베이스 폴리머에 혼합된 첨가제 또는 레이저-반응제에 의해서 레이저 빔에 노출된 부분은 금속 성분만 남게 되는 반응을 하게 되며, 남겨진 금속 성분은 차후에 도금에 적합한 조건을 형성할 수 있다. 무전해 동도금과 같은 도금 방법을 통해 레이저 빔에 노출된 부분에만 도금 과정을 진행할 수 있으며, 생산자는 원하는 안테나 패턴을 얻을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측면에 따른 안테나 형성방법은 안테나 패턴을 보호하기 위해, 안테나 패턴 및 그 주변을 보호 가능한 코팅층으로 코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호 가능한 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해 자외선(UV) 코팅과 같은 코팅 방법이 사용될 수가 있다.
상술한 안테나 형성방법에 따르면, 사출물 사출성형-레이저 활성화 반응-금속 도금의 방법을 통해서 간단하게 사출물에 안테나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중 사출이나 핫 스탬핑과 같은 복잡한 과정이 없기 때문에 준 비 과정이 간단하며, 도금이 가능한 모든 금속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용도에 따라 다양한 재료 선택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외부 스크래치나 온도 변화 등으로부터 안테나 패턴을 보호하기 위해 안테나 패턴 및 그 주변 상에 보호 가능한 코팅층을 형성할 수가 있으며, 제품에 요구되는 어떠한 환경 변화 조건에 유연하게 제 성능을 유지하게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측면에 따르면, 사출물은 휠러 및 금속 성분을 포함하는 레이저-반응제와 베이스 폴리머를 혼합하여 형성되는 복합 폴리머 성형물, 일정 패턴을 따라 이동하는 레이저에 의해서 복합 폴리머 성형물의 표면에 활성화된 패턴을 형성하고, 도금에 의해서 상기 활성화된 패턴 상에 선택적으로 형성된 안테나 패턴, 및 패턴 보호를 위해 상기 안테나 패턴 및 그 주변에 형성되는 코팅부를 구비한다. 레이저로 복합 폴리머 성형물의 표면을 부분적으로 활성화하여 활성화된 패턴을 형성할 수 있으며, 활성화된 패턴에 잔류하는 금속 시드를 매개로 안테나 패턴을 성장시킬 수가 있다. 상기 코팅부는 자외선 코팅액을 도포하고, 도포된 부분을 자외선에 노출시킴으써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를 포함하는 사출물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출물(100)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면을 보호하는 프론 트 하우징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사출물(100)의 내면에는 미세한 안테나 패턴(120)이 형성될 수가 있다. 안테나 패턴(120)은 사출물(100)의 내면에서 정면벽 및 측면벽에 걸쳐 형성되어 있으며, 서로 절곡된 양 벽면에 걸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3차원 구조를 이루고 있다.
안테나 패턴(120)은 금, 구리 또는 니켈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패턴의 단부에는 단말기 내부의 회로와 연결하기 위한 접점(12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안테나 패턴(120)을 보호하기 위해 안테나 패턴(120) 및 그 주변으로 자외선 코팅층(도 5의 도면부호140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자외선 코팅층(140)은 안테나 패턴(120) 중 접점 부분을 제외한 영역을 커버하고 있으며, 접점 영역은 단말기 내부 회로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내면을 향해 노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출물의 내면에 안테나 패턴이 형성되어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사출물의 외면은 물론 사출물의 내면 및 외면에 모두에 걸쳐 안테나 패턴이 형성될 수가 있다. 또한, 안테나 패턴은 간단 또는 복잡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사출물의 표면에서 미세한 패턴을 형성할 수도 있다. 안테나 패턴(120)은 도금으로 형성될 수 있는 여러 금속 성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종래에는 사출물의 내면에 3차원의 도전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이중사출(double-shot molding)이나 핫 스탬핑(hot stamping) 등의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그 제조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과정이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경제성 및 정밀성이 떨어진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사출물(100)에서는 안테나 패턴(120)이 도금에 의해 형성되며, 레이저 활성화(Laser activation) 및 무전해 도금을 통해 간단히 형성될 수가 있다. 또한, 패턴이 레이저에 의해서 형성되기 때문에 세밀한 패턴을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무엇보다도,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서 별도의 금형이나 마스크를 제작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 레이저 조사기의 이동경로와 관련한 프로그램 데이터를 간단히 변경함으로써 다양한 패턴 작업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시제품 제작이 용이하며, 다양한 패턴을 용이하게 형성하여 성능 검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사출물 및 안테나 패턴의 형성방법을 설명한다.
도 2는 복합 폴리머를 혼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복합 폴리머로부터 성형된 사출물의 표면을 레이저로 활성화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레이저로 활성화된 일정 패턴에 도금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안테나 패턴 상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도 2를 참조하면, 복합 폴리머를 형성하기 위한 혼합물(115)을 제공한다. 상기 혼합물(115)은 베이스 폴리머(112) 및 레이저-반응제를 이용하여 형성된다. 레이저 반응제는 휠러(113) 및 금속성분(114)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폴리머(112)로는 열가소성수지(thermoplastics)가 사용될 수 있으며, 플라스틱 사출성형이 가능한 여러 폴리머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반방향 족 폴리아미드(semi-aromatic polyamide; PA6/6T),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Thermoplastic ester; PBT, PET), 가교구조의 PBT(Crosslinked Polybutylenterephatalate), 액정 폴리머(Liquid Crystal Polymer), 폴리카보네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플라스틱 사출물에서 레이저-반응제는 중금속 핵(nuclei)을 포함하며, 이 중금속 핵은 사출물의 미소 다공질 표면에 있는 유기 중금속 착물의 해체(breakup)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중금속 핵은 미처리된 부분을 별도로 제거할 필요가 없이 바로 금속화 반응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플라스틱 사출물은 중금속 핵이 결합하는 미소 다공질 내지는 미소 요철성(microrough)의 지지입자를 함유하기 때문에, 증착된 금속 전도성 패스는 부착성이 우수하다. 예를 들어, 금속화 반응시, 구리가 기공 내로 성장함으로써 견고한 고착을 이룰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플라스틱 사출물에 형성된 전도성 라인은 최적의 부착성을 보장할 수 있다.
지지입자로는 전자기 UV 방사에 저항성이 있는 중금속 착물용 지지체를 사용할 수 있으며, 다르게는 지연입자로 발연 규산이나 에어로겔(aerogels)로 만들어지는 무기-광물성 지지입자를 사용할 수 있다. 지지입자는 휠러 및 금속 성분의 혼합물로서, BET 표면적이 200 ㎡/g 인 발열 규산 또는 에어로겔로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폴리머인 중금속 착물이 지지입자로 결합하는 것은 지지입자를 중금속 착물 용액에 흡수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조된 지지입 자는 플라스틱 성형물이 사출 성형되어 나올 중합체 물질 내로 혼합된다. 아니면, 중금속 착물과 함께 지지입자를 결합제, 특히 래커와 혼합하고 나서, 도포물로서 플라스틱 사출물에 도포할 수도 있다.
레이저-반응제는 휠러(113) 및 금속 성분(114)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유기금속(metallorganic)이나 중금속 성분이 사용될 수 있으며, 레이저에 의해서 물리-화학적 반응을 거쳐 금속 성분이 다른 원자 결합으로부터 분리되어 레이저가 통과한 부분에 잔류할 수 있다.
이때 베이스 폴리머로는 팔라듐 착물 또는 팔라듐을 함유하는 중금속 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알려진 바와 같이, 이들 중금속 착물은 미소 구조화(structuring)에 특히 적합하다. 또한, 착물을 가열하지 않고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작용 영역의 물질이 용융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그 결과, 분리된 중금속 핵을 갖는 영역의 모서리가 매우 정밀하고 날카로울 수 있으며, 금속화 구조물를 세실하고 정교하게 형성하는데에 매우 유리하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팔라듐 디아세테이트를 유기 착물화제와 반응시켜 팔라듐 착물을 만들 수 있다. 알려진 바와 같이, 팔라듐 착물 자체에 N, O, S 또는 P 와 같은 몇몇 리간드 원자를 갖는 매우 안정한 다관능성 킬레이트제를 사용할 수 있다. 다르게는 다관능성 킬레이트제는 히드록실기나 카르복실기와 같은 이온화기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레이저-반응제는 그 자체로 비도전성 및 비촉매성을 가지며, 폴리머 구조에서 양호한 용해성(solubility) 또는 분포성(distribution)을 갖는 것이 좋다. 또한, 내열성 및 내화학성을 가지는 것이 좋다.
베이스 폴리머(112)를 휠러(113) 및 금속성분(114)의 혼합물인 레이저-반응제와 혼합한 후, 복합 폴리머는 사출성형에 사용되기 전에 작은 알갱이(granule)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성분들이 혼합된 작은 알갱이들은 사출성형을 위한 금형에 진입하기 전후에 용융상태로 전환되어 성형에 사용될 수 있다.
사출성형에 의해서 사출물과 같은 3차원 성형물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들 성형물은 복합 폴리머 성형물(도1의 도면부호110 참조)로서 절곡된 구조 또는 굴곡된 부분을 가짐으로써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복합 폴리머 성형물(110) 전체가 복합 폴리머의 성분을 갖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사출물의 일부만 복합 폴리머 성분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복합 폴리머로 이루어진 부분과 일반 폴리머로 이루어진 부분은 조립하여 제공될 수 있으며, 다르게는 복합 폴리머로 이루어진 부분을 금형 내에 배치하고 일반 폴리머로 이중 사출을 하여 제공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초점을 맞춘 레이저를 이용하여 복합 폴리머 성형물(110) 의 내면에 패턴을 형성한다. 레이저(L)는 미리 프로그램된 패턴 경로를 따라 움직이며, 패턴의 형상 및 굵기에 따라 일정 구간을 반복하여 이동하거나 일정 경로를 따라 움직일 수 있다. 부분적으로 절곡되거나 돌출되어 3차원적으로 형성된 부분에 레이저가 통과할 때에는, 플라스틱 사출물을 잡고 있는 지지대를 플라스틱 사출물과 함께 회전시키거나 이동시켜 3차원으로 형성된 부분에 레이저가 효과적으로 조사되도록 할 수가 있다.
레이저로는 UV 레이저, 엑시머 레이저 또는 UV 방사체로부터의 전자기 방사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소 다공질 충전제 입자를 자유롭게 하고 중금속 핵을 분리하기 위해, 약 248nm의 파장을 갖는 KrF 엑시머 레이저가 사용될 수 있다.
레이저가 통과한 표면에서, 금속 성분과 연결된 원자결합은 해제되며, 주변 원자는 물리적 반응 또는 화학적 반응을 통해 금속 성분을 남긴 채 주변의 다른 성분과 반응할 수 있다. 일부는 증발할 수 있으며, 일부는 다른 원자와 결합하여 다른 분자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증발을 통해 표면의 일부 성분이 제거되며, 금속 성분(118)만 잔류할 수가 있다. 잔류한 금속 성분(118)은 레이저에 의해서 형성된 패턴의 표면 또는 그 표면 내부에 있으며 후술하는 도금의 시드층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플라스틱 사출물은 중금속 핵을 포함하는 레이저-반응제, 미소 기공 또는 미세 요철성의 휠러 및 중합체 매트릭스의 베이스 폴리머를 포함한다. 휠러는 사출물 표면에 가해진 UV 방사에 의해 자신을 분해되지 않기 때문에 베이스 폴리머 일부만 제거되고, 휠러는 노출되어 부착성을 제공하는 미소 기공의 이용 가능성은 더 한층 강화될 수 있다.
레이저에 의한 활성화에 의해서, 금속의 부착에 필요한 미소 기공 또는 미소 요철의 휠러가 노출될 수 있으며, 전도성 유기 중금속 착물의 분해에 의해 금속 시드에 필요한 중금속 핵이 노출될 수 있다.
비전도성 유기 중금속 착물이 미소 기공 또는 미세 요철성의 휠러에 결합 될 수 있다. 원하는 전도성 라인을 따라 전자기 UV 방사가 선택적으로 가해짐으로써 지지입자는 베이스 폴리머의 일부 제거에 의해 노출될 수 있으며, 비전도성 중금속 착물이 해체됨으로써 중금속 핵이 외부로 노출되어 화학적 환원에 의한 전도성 금속 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
화학적 환원에 의한 금속화 반응은 전자기 UV 방사 직후에 수행되는 것이 유리하다. UV 방사는 전도성 라인이 생성될 영역에 있는 중금속 착물의 해체를 유발함으로써, 중금속 핵을 분리할 수 있으며, 전도성 라인은 매우 정밀하면서도 예리한 윤곽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중금속 핵의 반응성이 높은 것은 필요한 두께로 정확한 금속화를 행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
레이저 활성화 반응에 의해서 중금속 핵을 포함하는 레이저-반응제(도2의 도면부호113, 114 참조)의 금속 성분이 일정 패턴에만 노출된다.
도 4를 참조하면, 패턴 내에 잔류하는 금속 성분(118)을 매개로 도금을 수행한다. 도금은 무전해 도금으로서 구리(Cu), 금(Au), 니켈(Ni)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 금속은 잔류하는 금속 성분(118)을 매개로 성장하여 안테나 패턴(120)을 형성한다. 안테나 패턴(120)은 외부의 회로와 연결되기 위한 접점(122)을 포함하며, 안테나 패턴은 접점(122)으로부터 연장 형성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안테나 패턴(120) 및 그 주변으로 코팅층(140)이 형성된다. 코팅층(140)은 외부 스크래치나 주변의 온도 변화 등으로부터 안테나 패턴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서, 패턴을 보호할 수 있는 다양한 코팅 재료를 이용할 수가 있다. 일반적으로 UV코팅액을 안테나 패턴(120) 상에 도포하고, 도포된 코팅액을 자외선에 노출시켜 경화시킬 수 있다. 코팅층(140)을 이용함으로써 안테나 패턴 및 그 주변을 보호할 수 있으며, 제품에 요구되는 내열성, 내화학성 등 기타 환경조건 변화에 대응하여 제 성능을 유지하게 할 수가 있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안테나 패턴(120) 중 접점(122)에 대응되는 부분은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노출된 접점(122)을 통해서 단말기 혹은 다른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형성방법에 따르면, 사출물에서 안테나 패턴은 도금에 의해 형성되며, 레이저 활성화(Laser activation) 및 무전해 도금을 통해 간단히 형성될 수가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은 복잡한 과정을 거칠 필요가 없으며, 3차원 표면이라도 패턴을 간단하게 형성할 수가 있다.
또한,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서 레이저를 사용하기 때문에 레이저의 해상도(resolution)에 대응하는 세밀한 패턴 형성이 가능하다. 또한,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서 별도의 금형이나 마스크를 제작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 프로그램 데이터를 간단히 변경함으로써 경로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다양한 패턴 작업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시제품 제작이 용이하며, 다양한 패턴을 용이하게 형성하여 성능 검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출물이 제품화되기 위해서 많은 극한 환경 조건에 대한 요구사항을 충족하여야 한다. 일 예로, 안테나 패턴은 스크래치에 대한 내성이 있어야 하 며, 온도 변화에 대한 내성도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안테나 패턴을 보호하기 위한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코팅층은 이러한 요구사항에 맞는 조건을 충족하도록 안테나 패턴을 보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휠러 및 금속 성분을 포함하는 레이저-반응제와 베이스 폴리머를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된 재료를 이용하여 복합 폴리머로 구성된 플라스틱 사출물을 성형하는 단계;
    레이저를 이용하여 일정 패턴을 따라 상기 플라스틱 사출물의 표면을 활성화하는 단계;
    상기 활성화된 플라스틱 사출물의 표면에 도금을 하여 안테나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패턴 보호를 위해 상기 안테나 패턴 및 그 주변을 코팅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패턴 및 그 주변을 코팅하는 단계는
    자외선 코팅액을 도포하고, 도포된 부분을 자외선에 노출시켜 코팅층을 경화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형성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사출물의 표면을 활성화하는 단계는
    상기 플라스틱 사출물의 표면에 상기 일정 패턴을 따라 금속 시드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안테나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형성된 금속 시드를 매개로 상기 안테나 패턴을 도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형성방법.
  3. 삭제
  4. 휠러 및 금속 성분을 포함하는 레이저-반응제와 베이스 폴리머를 포함하는 복합 폴리머 성형물;
    일정 패턴을 따라 이동하는 레이저에 의해서 상기 복합 폴리머 성형물의 표면에 활성화된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활성화된 패턴 상에 선택적으로 도금되어 형성된 안테나 패턴; 및
    패턴 보호를 위해 상기 안테나 패턴 및 그 주변에 형성되는 코팅부;
    를 구비하고,
    상기 코팅부는 자외선 코팅액을 도포하고, 도포된 부분을 자외선에 노출시켜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물.
  5. 삭제
KR1020060077852A 2006-08-17 2006-08-17 플라스틱 사출물에 안테나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 및 그에의해 제조된 안테나 패턴을 포함하는 사출물 KR1013093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7852A KR101309332B1 (ko) 2006-08-17 2006-08-17 플라스틱 사출물에 안테나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 및 그에의해 제조된 안테나 패턴을 포함하는 사출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7852A KR101309332B1 (ko) 2006-08-17 2006-08-17 플라스틱 사출물에 안테나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 및 그에의해 제조된 안테나 패턴을 포함하는 사출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6139A KR20080016139A (ko) 2008-02-21
KR101309332B1 true KR101309332B1 (ko) 2013-09-16

Family

ID=39384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7852A KR101309332B1 (ko) 2006-08-17 2006-08-17 플라스틱 사출물에 안테나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 및 그에의해 제조된 안테나 패턴을 포함하는 사출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93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0143A (ko) 2017-02-02 2018-08-10 주식회사 에스디티아이엔씨 레이저 마스크를 이용한 금속 패턴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2994B1 (ko) * 2013-07-12 2013-10-29 이현욱 인테나 제조방법
KR20150018368A (ko) 2013-08-09 2015-02-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자기파의 직접 조사에 의한 도전성 패턴 형성 방법과, 도전성 패턴을 갖는 수지 구조체
KR101367152B1 (ko) * 2013-09-16 2014-02-26 주식회사 다이나트론 인테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4667B1 (ko) 1997-07-22 2003-03-04 엘피케이에프 레이저 앤드 일렉트로닉스 악티엔게젤샤프트 비전도성 지지재상에 위치한 전도성 패스 구조물, 특히 미소 전도성 패스 구조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605569B1 (ko) 2003-12-13 2006-07-28 주식회사 삼한일렉트로닉스 사출제품의 후처리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4667B1 (ko) 1997-07-22 2003-03-04 엘피케이에프 레이저 앤드 일렉트로닉스 악티엔게젤샤프트 비전도성 지지재상에 위치한 전도성 패스 구조물, 특히 미소 전도성 패스 구조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605569B1 (ko) 2003-12-13 2006-07-28 주식회사 삼한일렉트로닉스 사출제품의 후처리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0143A (ko) 2017-02-02 2018-08-10 주식회사 에스디티아이엔씨 레이저 마스크를 이용한 금속 패턴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6139A (ko) 2008-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0514B1 (ko) 안테나 모듈, 이의 형성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단말기
KR100374667B1 (ko) 비전도성 지지재상에 위치한 전도성 패스 구조물, 특히 미소 전도성 패스 구조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309332B1 (ko) 플라스틱 사출물에 안테나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 및 그에의해 제조된 안테나 패턴을 포함하는 사출물
JP5902853B2 (ja) メッキ部品の製造方法
JP7146024B2 (ja) メッキ部品の製造方法
KR20040021614A (ko) 도체 트랙 구조물 및 그 구조물의 제조 방법
CN111979533B (zh) 镀覆部件的制造方法、镀覆部件、催化活性妨碍剂及无电解镀用复合材料
JP4465375B2 (ja) 金属膜パターン形成体の製造方法
KR101319119B1 (ko) 캐리어에 전도성 재료 구조물을 제공하는 방법
JP6616979B2 (ja) メッキ部品の製造方法
KR101507964B1 (ko) 무선기기용 안테나의 제조방법
TW201244398A (en) NFC antenna and a method of making the NFC antenna
JP2017226890A (ja) メッキ部品の製造方法
KR100976066B1 (ko) 칩 안테나 및 이의 제조 방법 그리고 안테나 어레이
CN202564533U (zh) 移动装置用的天线结构
CN102377011A (zh) 天线结构的制造方法
KR101541730B1 (ko) 전기회로를 구비한 플라스틱 사출품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562026B1 (ko) 금속분말입자를 포함한 전도성 잉크를 이용한 사출물의 금속패턴 제조방법
TWI423751B (zh) Method of manufacturing three - dimensional circuit
KR100945669B1 (ko) 안테나 어레이
JP7431014B2 (ja) 車載レーダー装置用レドーム
KR20140128539A (ko) 도전성 패턴 형성용 조성물, 이를 사용한 도전성 패턴 형성 방법과, 도전성 패턴을 갖는 수지 구조체
KR101583007B1 (ko) 합성수지의 금속 패턴 형성 방법
JP4848626B2 (ja) 回路成形品の製造方法
US20130019470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three-dimensional circu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