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9143B1 - 일회용 기저귀 - Google Patents

일회용 기저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9143B1
KR101309143B1 KR1020127015844A KR20127015844A KR101309143B1 KR 101309143 B1 KR101309143 B1 KR 101309143B1 KR 1020127015844 A KR1020127015844 A KR 1020127015844A KR 20127015844 A KR20127015844 A KR 20127015844A KR 101309143 B1 KR101309143 B1 KR 1013091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ghtening
tape
disposable diaper
base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5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4802A (ko
Inventor
모토코 니시다
유키 하세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리브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리브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리브도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20084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48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9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91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622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 A61F13/5633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open type diaper
    • A61F13/5644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open type diaper having more than one pair of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62Mechanical fastening means, ; Fabric strip fastener elements, e.g. hook and loo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62Mechanical fastening means, ; Fabric strip fastener elements, e.g. hook and loop
    • A61F13/622Fabric strip fastener elements, e.g. hook and loop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일회용 기저귀의 좌측 및 우측 모두에 제공되는 제 1 조임 테이프들 및 제 2 조임 테이프들의 각각은 상호 간에 이격된 제 1 조임부 및 제 2 조임부를 갖는다. 날씬한 착용자에 일회용 기저귀를 착용시킬 때, 제 2 조임 테이프는 제 1 조임 테이프에 걸쳐 놓여 지도록 몸체부의 부착부 상에서 조여진다. 제 2 조임 테이프에서, 중간 영역이 제 1 조임부와 제 2 조임부 사이에 제공되기에, 조임부들의 전체 면적은 감소될 수 있다. 제 1 조임부의 외측 엣지와 제 2 조임부의 내측 엣지 사이의 거리는 제 1 조임 테이프에서 중간 영역에서 테이프 베이스의 폭보다 크게 제조되기에, 제 2 조임 테이프는 손쉽게 조여질 수 있다.

Description

일회용 기저귀{DISPOSABLE DIAPER}
본 발명은 일회용 기저귀에 관한 것이다.
일회용 기저귀를 착용하도록 착용자의 전측에 위치된 부분과 후측에 위치된 부분이 조임 테이프들에 의해 착용자의 허리둘레 주위에서 조여지는 오픈-타입(테이프-타입) 일회용 기저귀가 종래에는 착용자로부터의 배설물을 수용하는 일회용 기저귀들의 하나로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공보 10-28703호(문헌 1)에서, 후측부의 좌측부 및 우측부에서 후면 시트 상에 부착된 한 쌍의 조임 테이프들이 전측부에서 후면 시트 상에 제공된 랜딩 테이프(landing tape)에 조여지는 일회용 기저귀가 개시된다. 기계적 패스너(mechanical fastener)에서 복수 개의 볼록 부재들은 각 조임 테이프의 테이프 몸체 상에서 좌-우 방향으로 배열되고, 이런 볼록 부재들은 기계적 패스너에서 볼록 부재인 랜딩 테이프에 대해 풀리도록 조여진다.
일본 특허 공개 공보 2004-344514호(문헌 2)에서 개시된 일회용 기저귀에서, 후크 부재(hook member)들은 후측 허리 영역의 좌측 및 우측에 제공되는 한 쌍의 엉덩이 날개(rear wing)들 상에 제공되고, 후크 부재는 전측 허리 영역의 외측 표면 상에 제공된 루프 부재(loop member)에 대해 풀리도록 조여진다. 일회용 기저귀에서, 후크 부재들은 상호 간에 분리되는 복수 개의 후크 어셈블리들로 구성된다.
일본 특허 공개 공보 2008-67831호(문헌 3)에서, 2개의 테이프-형 패스너들이 상-하 방향으로 상호 간에 이격되도록 흡수성 제품 몸체에서 후측 허리부의 좌측부 및 우측부의 각각에 위치된 일회용 흡수성 제품이 개시된다. 전측 허리부의 외측 표면 상에 제공된 루프 패스너의 루프 부재와 맞물리는 하나의 후크 부재는 각각의 테이프-형 패스너의 내측 표면 상에 제공되고, 후크 부재와 맞물릴 수 있는 루프 부재는 테이프-형 패스너의 외측 표면 상에 제공된다.
문헌 3에서, 좌측부 및 우측부의 각각에서, 상부 테이프-형 패스너의 후크 부재는 전측 허리부 상의 루프 패스너의 루프 부재와 맞물리고, 하부 테이프-형 패스너의 후크 부재는 상부 테이프-형 패스너의 외측 표면 상에 제공된 루프 부재와 맞물리며, 이에 따라 흡수성 제품이 착용자의 몸매에 맞도록 착용자에 착용된다는 것이 제안된다. 또한, 좌측부 및 우측부 중 일측부 상에 제공된 테이프-형 패스너들의 후크 부재들은 루프 패스너의 루프 부재와 맞물리고, 타측부 상에 제공된 테이프-형 패스너들의 후크 부재들은 일측부 상의 테이프-형 패스너들의 외측 표면 상에 제공된 루프 부재들과 맞물리며, 이에 따라 흡수성 제품이 착용자의 몸매에 맞도록 착용자에 착용된다는 것이 제안된다.
문헌 1의 일회용 기저귀에서, 날씬한 착용자 등에 일회용 기저귀를 착용시킬 때 전측부 상에 조임 테이프를 조이는 방법이 고려되지 않는다(동일한 것이 문헌 2에 적용됨). 문헌 3에서, 착용자의 몸매에 따라 하나의 테이프-형 패스너를 다른 테이프-형 패스너에 조이는 것이 제안된다. 하지만, 각각의 테이프-형 패스너의 외측 표면 상에 루프 부재를 제공하고 내측 표면 상에, 루프 부재와 맞물리는, 후크 부재를 제공하는 필요가 존재하기 때문에, 흡수성 제품의 제조는 복잡하고 흡수성 제품에 사용되는 후크 부재들의 양은 증가된다.
본 발명은 일회용 기저귀로 의도된다. 조임부(fastening part)들의 전체 면적이 감소되는 동시에, 전측부 상에서, 조임 테이프(fastening tape)들을 조이는 데에 있어 다른 조임 테이프 상에 놓여지는, 조임 테이프를 손쉽게 조이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는: 길이 방향을 따라 순서대로 배열된 전측부, 가랑이부 및 후측부를 갖는 시트-형 몸체부; 및 후측부의 양측부들에 부착되고, 전측부의 외측 표면에 조여져 양측부들을 전측부의 양측부들과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부들을 포함하되; 한 쌍의 연결부들의 각각은 좌-우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2개의 조임 테이프들을 포함하고, 2개의 조임 테이프들은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며, 2개의 조임 테이프들의 각각은: 밴드-형 테이프 베이스(tape base); 길이 방향으로 테이프 베이스를 가로질러 놓여 있도록 테이프 베이스의 내측 표면 상에 제공되고, 전측부의 외측 표면에 대해 스스로를 조일 수 있는 제 1 조임부; 및 길이 방향으로 테이프 베이스를 가로질러 놓여 있도록 테이프 베이스의 내측 표면에 제공되며, 제 1 조임부로부터 몸체부를 향하여 이격되고 전측부의 외측 표면에 대해 스스로를 조일 수 있는 제 2 조임부를 포함하고; 하나의 조임 테이프에서 다른 엣지들보다 몸체부에 더 근접한 제 2 조임부의 엣지와 다른 엣지들보다 테이프 베이스의 팁에 더 근접한 제 1 조임부의 엣지 사이의 거리는 다른 하나의 조임 테이프에서 제 1 조임부와 제 2 조임부 사이의 위치에서 테이프 베이스의 폭보다 더 크다.
본 발명에서, 조임부들의 전체 면적이 감소되면서, 전측부 상에서, 조임 테이프를 조이는 데에 있어 다른 하나의 조임 테이프 상에 놓여지는, 조임 테이프를 손쉽게 조이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라, 좌-우 방향으로, 하나의 조임 테이프에서, 제 1 조임부와 제 2 조임부 사이에서 영역의 길이는 다른 하나의 조임 테이프에서의 위치에서 테이프 베이스의 폭의 25% 이상이다. 따라서, 하나의 조임 테이프가 다른 하나의 조임 테이프 상에 놓여져 전측부 상에서 조여질 때 조임부(의 일부)가 하나의 조임 테이프를 조이는 데에 사용되지 않을 가능성이 더 많은 부분 상에 제공되는 것을 어느 정도까지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 바람직하게는, 좌-우 방향으로, 하나의 조임 테이프에서, 제 1 조임부와 제 2 조임부 사이의 영역의 길이는 다른 하나의 조임 테이프에서의 위치에서 테이프 베이스의 폭 이상이다. 따라서, 조임 테이프들이 다른 조임 테이프 상에 놓여 있는 하나의 조임 테이프로 조여질 때, 하나의 조임 테이프에서 제 1 조임부 및 제 2 조임부의 각각의 적어도 일 부분이 전측부 상에 더 손쉽게 조여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라, 각각 조임 테이프의 폭은 테이프 베이스의 팁(tip)을 향하여 점차 감소한다. 따라서, 따라서, 조임 테이프들이 조여질 때, 다른 하나의 조임 테이프보다 나중에 조여지는 하나의 조임 테이프의 제 1 조임부는 다른 하나의 조임 테이프를 회피하면서 전측부 상에 손쉽게 조여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양상에 따라, 2개의 조임 테이프들의 2개의 테이프 베이스들은 한 쌍의 연결부들의 각각에서 하나의 시트의 부분들이고, 2개의 테이프 베이스들은 몸체부 근처에 위치된 하나의 시트의 연결부를 통해 상호 간에 연속적이며, 2개의 조임 테이프들의 제 2 조임부들은 좌-우 방향에 대하여, 하나의 시트에서 연결부의 외측에 놓여 있다. 따라서, 2개의 조임 테이프들의 루트부(root portion)들의 강성이 지나치게 큰 것을 방지하고 루트부들에서 2개의 조임 테이프들을 손쉽게 변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라, 제 1 조임부 및 제 2 조임부의 위치는 2개의 조임 테이프들의 각각에서 테이프 베이스의 외측 표면 측에서 식별가능하고, 다른 하나의 조임 테이프보다 나중에 전측부에 조여진 하나의 조임 테이프의 제 1 조임부 및 제 2 조임부는 다른 하나의 조임 테이프와 지나치게 겹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런 및 다른 목적, 특성, 양상 및 장점들은 도면들과 함께 취해질 때 본 발명의 하기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의 평면도이다.
도 2는 일회용 기저귀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일회용 기저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연결부의 부근을 도시하는 확대도이다.
도 5는 일회용 기저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연결부 부근을 도시하는 확대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1)의 평면도이고, 도 1은 일회용 기저귀(1)가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다. 일회용 기저귀(1)는 착용될 때 착용자의 전측 상에 위치된 부분 및 후측 상에 위치된 부분이 좌측 연결부 및 우측 연결부(4) 모두에 의해 착용자의 허리선 주위에서 조여지는 오픈-타입(테이프-타입) 일회용 기저귀이고, 일회용 기저귀(1)는 착용자로부터의 배설물을 수용한다. 도 1은 일회용 기저귀(1)의 표면을 도시하고, 이는 일회용 기저귀(1)가 착용될 때 착용자와 접촉한다(즉, 표면은 착용자를 마주하는 것이다).
도 2는 일회용 기저귀(1)가 길이 방향(즉, 도 1에서 상-하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평면으로 단면도로 만들어진 도 1에서 선 Ⅱ-Ⅱ을 따라 취해진 일회용 기저귀(1)의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회용 기저귀(1)는 대략 시트-형 몸체부(2), 및 몸체부(2)의 양측부들 상에 위치되고(즉, 측부들은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좌-우 방향으로 몸체부(2)의 양측에 위치된다) 길이 방향으로 몸체부(2)의 거의 전체 길이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한 쌍의 측부 시트(3)들을 갖는다.
도 1에서 몸체부(2)의 상측부(201)는 착용자의 전측부(복부측)(의 피부) 상에 위치되는 것이고, 도 1에서 하측부(203)는 착용자의 후측부 상에 위치되는 것이다. 하기의 설명에서, 상측부(201) 및 하측부(203)는 각각 "전측부(front part)(201)" 및 "후측부(back part)(203)"라 각각 불리고, 전측부(201)와 후측부(203) 사이의 위치에서 착용자의 가랑이 영역을 마주하는 부분(202)은 "가랑이부(crotch part)(202)"라 불린다. 가랑이부(202)는 전측부(201) 및 후측부(203)와 함께 연속적이다. 일회용 기저귀(1)에서, 몸체부(2)는 길이 방향으로 순서대로 배열된 전측부(201), 가랑이부(202) 및 후측부(203)를 갖고, 전측부(201) 및 후측부(203)의 폭은 가랑이부(202)의 폭보다 크다.
일회용 기저귀(1)는 후측부(203)의 양측부들에 부착된 한 쌍의 연결부(4)들을 더 갖는다. 착용자에 일회용 기저귀(1)를 착용시킬 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연결부(4)들은 몸체부(2)의 전측부(201) 및 후측부(203)가 각각, 착용자의 전측과 후측에 접촉하도록 이루어진 상태에서 전측부(201)의 외측 표면(즉, 외측 표면은 착용자와 접촉하는 표면과 상이하다) 상에 제공된 부착부(26)(한 쌍의 연결부(4)들에 의해 조여지는 부분) 상에 조여진다(부착된다). 따라서, 후측부(203)의 양측부들은 전측부(201)의 양측부들과 연결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2)는 액체-투과성 상면 시트(21), 발수성 또는 액체-불투과성 후면 시트(23) 및 상면 시트(21)와 후면 시트(23) 사이에 위치된 흡수성 코어(22)를 갖는다. 도 2에서, 일회용 기저귀(1)의 개별적인 구성요소들은 도시의 편의를 위하여 두께 방향으로 상호 간에 약간 이격되도록 도시된다. 흡수성 코어(22)의 윤곽은 도면의 손쉬운 이해를 위하여 도 1에서 두꺼운 파선에 의해 도시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측부(201)와 후측부(203)의 각각에서 흡수성 코어(22)의 폭은 가랑이부(202)에서보다 크다. 다시 말해서, 흡수성 코어(22)는 소위 모래 시계의 형태로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부착부(26)는 평면도에서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흡수성 코어(22)와 겹치도록 후면 시트(23)의 외측 표면 상에 결합된다(즉, 외측 표면은 흡수성 코어(22)를 마주하는 표면과 상이하다). 부착부(26)는 핫 멜트 접착제(hot melt adhesive) 등으로 후면 시트(23) 상에 결합되는 후크 및 루프 패스너(표면 패스너)의 루프 부재이고, 부착부(26)는 후면 시트(23) 상에 결합된 표면과 상이한 베이스 시트의 표면 상에 제공된 미세 루프 구조물 및 수지(resin) 등으로 구성된 베이스 시트를 갖는다. 미세 루프 구조물은 다수의 미세 루프 요소들의 그룹을 의미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 시트(21)는 핫 멜트 접착제로 흡수성 코어(22) 주위의 영역에서 후면 시트(23)에 결합된다. 좌-우 방향으로 각각의 측부 시트(3)의 외측부는 핫 멜트 접착제로, 좌-우 방향으로 측부 엣지의 부근에서 상면 시트(21)의 부분 상에 결합되고 상면 시트(21)로 덮이지 않는 후면 시트(23)의 부분들 상에 결합되며, 외측부는 길이 방향으로 측부 시트(3)의 전체 길이를 가로질러 놓여 있다. 측부 시트(3)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 부재(32a) 및 측부 시트 몸체(31)를 갖고, 탄성 부재(32a)는 측부 시트 몸체(31)의 자유 엣지에 결합되며, 이는 핫 멜트 접착제를 갖는, 좌-우 방향으로의 내측 엣지부이다.
길이 방향으로, 도 1에 도시된 몸체부(2)의 양 종단부들에서, 좌-우 방향으로 각각의 측부 시트(3)의 내측부(즉, 내측부는 좌-우 방향에 대하여, 다른 부분보다 몸체부(2)의 중심축에 더 근접한 부분이다)는 핫 멜트 접착제로 상면 시트(21)의 착용자의 측부 표면 상에 결합된다. 몸체부(2)의 가랑이부(202)에서, 길이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2개의 탄성 부재(32b)들은 핫 멜트 접착제로 좌-우 방향으로 측부 시트(3)의 외측 엣지의 부근에서의 부분에 결합되고, 2개의 탄성 부재(32b)들은 측부 시트(3)와 후면 시트(23) 사이에 위치된다. 폴리올레핀 핫 멜트 접착제, 고무 핫 멜트 접착제, 비닐 아세테이트 핫 멜트 접착제 등이 상기의 핫 멜트 접착제로서 사용된다. 상면 시트(21)와 후면 시트(23)의 결합, 및 측부 시트(3)와 상면 시트(21)의 결합은 열 결합(열 융합 결합), 초음파 결합 등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각각의 측부 시트(3)들에서, 길이 방향으로 양 종단부들 사이에 위치된 측부 시트 몸체(31)의 내측부(313)(즉, 내측부(313)는 길이 방향으로 중심점이다)는 상면 시트(21)(및 다른 구성요소들)에 결합되지 않는다. 탄성 부재(32a)의 수축으로 인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부(313)는 착용자를 향하여 기립하여 착용자의 사타구니의 부근과 접촉하는 측벽부(소위 기립-개더(standing-gather))가 된다. 탄성 부재(32b)의 수축에 의해, 측부 시트(3) 및 후면 시트(23)는 착용자를 향하여 내측으로 기립하여 다리 개더들을 형성하고, 일회용 기저귀(1)가 착용될 때 착용자의 사타구니의 부근과 타이트하게(tightly) 접촉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3개의 탄성 부재(25)들은 길이 방향으로 몸체부(2)의 양 종단부들의 각각에 제공되고, 3개의 탄성 부재(25)들은 상면 시트(21)와 후면 시트(23) 사이에 위치된다. 일회용 기저귀(1)에서, 탄성 부재(25)들이 스트레칭된(streched) 상태에서 상면 시트(21)와 후면 시트(23)에 결합된 탄성 부재(25)들(즉, 상면 시트(21)와 후면 시트(23)에 결합된 스트레칭된 탄성 부재(25)들)은 허리 개더들을 형성하도록 수축하고, 이에 따라 일회용 기저귀(1)가 착용될 때 몸체부(2)는 착용자의 허리와 타이트하게 접촉한다. 일회용 기저귀(1)에서, 몸체부(2)는 탄성 부재들(32a, 32b) 및 탄성 부재(25)들에 의해 착용자와 타이트하게 접촉하고, 이에 따라 소변 등이 착용자의 허리 및 다리들 주위의 갭들을 통해 누설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면 시트(21)는 액체-투과성 시트 재료이고, 상면 시트(21)는 즉시 착용자로부터의 배설물의 수분을 받고, 흡수부(22)로 수분을 이동시킨다. 예를 들어, 상면 시트(21)는 친수성 처리가 계면활성제로 표면 상에서 수행된 소수성 섬유(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또는 나일론)로 제조된 액체-투과성 부직포 직물이고, 예를 들어, 포인트-본딩 부직포 직물, 에어-투과성 부직포 직물, 스펀레이스 부직포 직물 또는 스펀본드 부직포 직물이 부직포 직물로서 사용된다. 친수성 섬유들 예를 들어 셀룰로오스, 레이온 또는 면으로 제조된 부직포 직물이 상면 시트(21)로서 사용될 수 있다.
흡수성 코어(22)는 티슈 페이퍼(tissue paper), 액체-투과성 부직포 직물 등에서 친수성 섬유들, 예를 들어 부순 펄프 섬유들 또는 셀룰로오스 섬유 및 초 흡수성 재료, 예를 들어 과립형 초 흡수성 폴리머들(예를 들어, SAP(초 흡수성 폴리머(Super Absorbent Polymer)) 또는 초 흡수성 섬유들의 혼합물을 포장함으로써 형성되고, 흡수성 코어(22)는 상면 시트(21)를 통과하는 수분을 신속하게 흡수하고 유지한다. 친수성 섬유들을 포장하는 티슈 페이퍼, 액체 투과성 부직포 직물 등은 핫 멜트 접착제로 흡수성 재료 및 친수성 섬유에 결합되어 친수성 섬유들의 변형 및 흡수성 재료의 낙하(falling)(특히, 수분의 흡수 이후의 낙하)를 방지한다. 본 구체예에서, 흡수성 코어(22)는 펄프 섬유들 및 SAP를 포함한다.
소수성 섬유들로 제조된 발수성 또는 액체-불투과성 부직포 직물(예를 들어, 스펀본드 부직포 직물, 멜트블론 부직포 직물 또는 SMS(스펀본드-멜트블론-스펀본드) 부직포 직물), 발수성 또는 액체-불투과성 플라스틱 필름, 또는 플라스틱 필름 및 부직포 직물의 라미네이팅되는 시트는 후면 시트(23)로서 사용된다. 후면 시트(23)는 후면 시트(23)에 이르러 왔던 배설물 등의 수분이 몸체부(2)의 외부측으로 누설하는 것을 방지한다. 플라스틱 필름이 후면 시트(23)에 사용되는 경우에, 흡수성 제품(1)에서 땀에 젖음을 방지하고 착용자에게 편안한 감촉을 제공하는 관점으로부터, 투과성(통기성)을 갖는 플라스틱 필름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소수성 섬유들로 제조된 발수성 또는 액체-불투과성 부직포 직물(예를 들어, 스펀본드 부직포 직물, 멜트블론 부직포 직물 또는 SMS 부직포 직물)이 측부 시트 몸체(31)로서 사용된다.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실, 스트립-형 폴리우레탄 필름, 실-형 또는 스트립-형 천연 고무 등이 탄성 부재들(32a, 32b, 25)로서 사용된다. 본 구체예에서, 폴리우레탄 실은 각각의 탄성 부재로서 사용된다.
도 4는 한 쌍의 연결부(4)들 중 하나의 연결부(4)의 부근을 도시하는 확대도이다. 다른 하나의 연결부(4)의 구조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다. 한 쌍의 연결부(4)들의 각각은 각각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고 몸체부(2)의 길이 방향(즉, 길이 방향은 도 1과 도 4에서 상-하 방향이고, 이하에서는 "몸체 길이 방향(main body longitudinal direction)"이라 불린다)으로 배열되는 2개의 조임 테이프(41)들, 및, 좌-우 방향으로 조임 테이프(41)들의 내측에 위치된 대략적인 직사각형 일반 베이스(42)(즉, 일반 베이스(42)는 몸체부(2) 근처에 위치된다)를 갖는다. 2개의 조임 테이프(41)들은 동일한 구조 및 형상을 갖고, 좌-우 방향으로 각각의 조임 테이프(41)의 길이는 좌-우 방향으로, 일반 베이스(42)의 부분의 길이보다 더 길고, 부분은 몸체부(2)로 덮이지 않는다.
각각의 연결부(4)에서, 2개의 조임 테이프(41)들의 각각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밴드-형(테이프-형) 테이프 베이스(413), 및 몸체 길이 방향으로 테이프 베이스(413)를 가로질러 놓여 있도록 테이프 베이스(413)의 하나의 주 표면(414)(즉, 일 표면(414)은 도 4에 나타난 표면이다) 상에 제공된 제 1 조임부(411) 및 제 2 조임부(412)를 갖는다. 도 4에서, 해칭선들은 도면의 손쉬운 이해를 위하여 제 1 조임부(411) 및 제 2 조임부(412)의 각각에 도시된다. 착용자에 일회용 기저귀(1)를 착용시킬 때, 테이프 베이스(413)의 주 표면(414)은 몸체부(2)의 전측부(201)(도 3을 참조)를 마주한다. 이하에서, 이는 "내측 표면(inner surface)(414)"이라 불린다. 테이프 베이스(413)의 내측 표면(414)에서, 제 2 조임부(412)는 몸체부(2)를 향하여 제 1 조임부(411)로부터 이격되어 위치되고, 중간 영역(415)은 이들 사이에 놓여 있다.
제 1 조임부(411) 및 제 2 조임부(412)의 각각은 후크 및 루프 패스너의 후크 부재이고, 후크 부재는 몸체부(2)에서 전측부(201)의 외측 표면 상에 제공된 부착부(26)(도 3을 참조)에 대해 스스로를 조일 수 있으며, 이는 핫 멜트 접착제 등으로 테이프 베이스(413)의 내측 표면(414) 상에 결합된다. 제 1 조임부(411) 및 제 2 조임부(412)의 각각은 베이스 시트의 다른 하나의 표면이 테이프 베이스(413) 상에 결합된 베이스 시트의 하나의 표면 상에 제공된 미세 후크 구조물 및 수지 등으로 형성된 베이스 시트를 갖는다. 제 1 조임부(411) 및 제 2 조임부(412)의 각각 상에 제공된 미세 후크 구조물은 다수의 미세 후크 요소들의 그룹이고, 부착부(26)의 미세 루프 구조물 및 미세 후크 구조물은 상호 간에 맞물리는 것이다(즉, 제 1 조임부(411) 및 제 2 조임부(412)의 각각은 부착부(26)에 대해 스스로를 조일 수 있다).
각각의 연결부(4)에서, 일반 베이스(42) 및 2개의 조임 테이프(41)들의 2개의 테이프 베이스(413)들은 수지 등으로 형성된 하나의 연결 시트(40)의 부분들이고, 2개의 테이프 베이스(413)들의 각각은 일반 베이스(42)로부터 (몸체부(2)로부터 이격된 방향을 향하여) 좌-우 방향으로 외측으로 돌출한다. (또한 연결 시트(40)의 내측 종단부인) 일반 베이스(42)의 내측 종단부는 그 위에 결합되도록 몸체부(2)의 후면 시트(23)와 측부 시트(3) 사이에 위치되고, 내측 종단부 이외에 일반 베이스(42)의 부분들은 몸체부(2)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외측으로 돌출한다.
다시 말해서, 2개의 테이프 베이스(413)들은 하나의 연결 시트(40)의 부분들이고, 몸체부(2) 근처에 위치된 하나의 연결 시트(40)의 연결부를 통해 상호 간에 연속적이며, 연결 시트(40)에서 2개의 테이프 베이스(413)들의 연결부인 일반 베이스(42)는 몸체부(2)의 측부 엣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한다(일반 베이스(42)는 측부 엣지를 벗어난다). 만약 상면 시트(21)의 외측 엣지(도 2 참조)가 상대적으로 후면 시트(23)의 외측 엣지 근처에 위치된다면, 일반 베이스(42)의 내측 종단부는 후면 시트(23)와 상면 시트(21) 사이에 결합될 수 있다.
각각의 연결부(4)에서, 2개의 조임 테이프(41)들의 각각의 폭(즉, 폭은 도 4에서 상-하 방향인 몸체 길이 방향에서 테이프 베이스(413)의 길이이다)은 테이프 베이스(413)의 팁인 좌-우 방향에서 외측 종단을 향하여 점차 감소한다. 각각의 조임 테이프(41)에서, 제 1 조임부(411) 및 제 2 조임부(412)의 각각은 폭 방향(폭 방향은 몸체 길이 방향과 동일하고, 이하에서는 "테이프 폭 방향(tape width direction)"이라 불린다)으로 테이프 베이스(413)의 전체 폭을 가로질러 놓여 있도록 테이프 베이스(413) 상에 제공된다. 제 2 조임부(412)는 좌-우 방향으로 일반 베이스(42)의 외측 엣지(421)의 외측에 위치되고, 제 2 조임부(412)는 일반 베이스(42)로부터 이격된다.
이하에서는, 일반 베이스(42)의 외측 엣지(421)와 다른 엣지들보다 몸체부(2)에 더 근접한 제 2 조임부(412)의 내측 엣지(4122) 사이에 놓여 있는 테이프 베이스(413)의 부분은 "내측 영역(inside area)(416)"이라 불린다. 제 1 조임부(411)의 외측 엣지(4111)(외측 엣지(4111)는 다른 엣지들보다 테이프 베이스(413)의 팁에 더 근접한 엣지이다)의 외측에 놓여 있는 테이프 베이스(413)의 부분은 "외측 영역(outside area)(417)"이라 불린다. 상기의 후크 부재는 중간 영역(415), 내측 영역(416) 및 외측 영역(417) 상에 제공되지 않는다.
각각의 조임 테이프(41)에서, 좌-우 방향으로, 제 2 조임부(412)의 내측 엣지(4122)와 제 1 조임부(411)의 외측 엣지(4111) 사이의 거리(L1)는 제 1 조임부(411)와 제 2 조임부(412) 사이의 영역인 중간 영역(415)에서 테이프 폭 방향으로, 테이프 베이스(413)의 폭(W1)보다 크다(본 구체예에서, 테이프 베이스(413)의 폭은 좌-우 방향으로 중간 영역(415)의 중간에서의 폭이다). 바람직하게는, 좌-우 방향으로, 중간 영역(415)의 길이(L2)(즉, 길이(L2)는 좌-우 방향으로, 제 2 조임부(412)의 외측 엣지(4121)와 제 1 조임부(411)의 내측 엣지(4112) 사이의 거리이다)는 중간 영역(415)에서 테이프 베이스(413)의 폭(W1)의 25% 이상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중간 영역(415)의 길이(L2)는 W1 이상이다.
상기와 같이, 2개의 조임 테이프(41)들이 각각의 연결부(4)에서 동일한 구조 및 형상을 갖기에, 하나의 조임 테이프(41)에서의 L1은 다른 하나의 조임 테이프(41)에서의 W1보다 크고, 더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조임 테이프(41)에서의 L2는 다른 하나의 조임 테이프(41)에서의 W1의 25% 이상이다(더 바람직하게는 W1 이상이다). 본 구체예에서, 개별적인 조임 테이프(41)들에서 L2는 W1과 동일하다. 각각의 조임 테이프(41)에서의 L1는 L2의 약 160%이고, 좌-우 방향으로, 제 1 조임부(411) 및 제 2 조임부(412)의 각각의 길이(폭)은 L2의 약 30%이다.
각각의 연결부(4)에서, 연결 시트(40)는 백색 수지 재료로 형성되고, 제 1 조임부(411)들 및 제 2 조임부(412)들은 백색 이외의 유색의 수지 재료로 형성된다. 따라서, 2개의 조임 테이프(41)들의 각각에서, 제 1 조임부(411) 및 제 2 조임부(412)의 시각적 식별이 테이프 베이스(413)의 내측 표면(414)의 측부에서 손쉽게 되고, 제 1 조임부(411) 및 제 2 조임부(412)의 위치는 베이스(413)의 테이프의 외측 표면 측에서 테이프 베이스(413)를 통해 시각적으로 식별가능하다(가시적이다).
일회용 기저귀(1)에서, 각각의 조임 테이프(41)가 좌-우 방향으로 상호 간에 이격된 제 1 조임부(411) 및 제 2 조임부(412)에 의해 부착부(26)(도 3을 참조) 상에 조여지기에, 조임 테이프(41)는 (운동을 따르는) 착용자의 운동에 따라 손쉽게 변형될 수 있다. 결과로서, 조임 테이프(41)가 착용자의 운동 등으로 인해 부착부(26)로부터 박리하는 것(peel-off)을 방지한다.
각각의 연결부(4)에서 몸체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2개의 조임 테이프(41)들로부터, 착용자의 몸매 등과 비교하여 일회용 기저귀(1)가 큰 경우에(예를 들어, 일반적인 착용자와 비교하여 날씬한(마른) 착용자에 일회용 기저귀(1)를 착용시킬 때), 하나의 조임 테이프(41)는 부착부(26)에 조여지고, 이어서 다른 하나의 조임 테이프(41)는 하나의 조임 테이프(41)에 걸쳐 놓여 지도록 부착부(26) 상에서 조여진다. 본 구체예에서, 각각의 연결부(4)에서 도 5의 상부측 상에 위치된 조임 테이프(이하에서는, "제 1 조임 테이프(fastening tape)(41a)"라 불린다)는 하측으로 경사진 팁으로 부착부(26) 상에 조여지고, 이어서 도 5의 하부측 상에 위치된 조임 테이프(이하에서는, "제 2 조임 테이프(41b)"라 불린다)는 제 2 조임 테이프(41b)가 제 1 조임 테이프(41a) 상에 놓여 있는 상태에서 상측으로 경사진 팁으로 부착부(26) 상에 조여진다. 따라서, 길이 방향으로 몸체부(2)의 양 종단부들에서, 전측부(201) 및 후측부(203)는 착용자의 허리에 맞고, 몸체부의 양측 종단들은 착용자의 사타구니의 부근에 맞다.
도 6은 한 쌍의 연결부(4)들의 하나의 연결부(4)의 부근을 도시하는 확대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조임 테이프(41a) 및 제 1 조임 테이프(41a)와 겹치는 제 2 조임 테이프(41b)는 부착부(26) 상에 상호 간에 거의 직교하게 교차한다. 즉, 제 1 조임 테이프(41a) 및 제 2 조임 테이프(41b)는 제 1 조임 테이프(41a)의 중심선(419a)과 제 2 조임 테이프(41b)의 중심선(419b)(중심선들(419a, 419b)은 조임 테이프가 조여지지 않는 상태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다) 사이에서 형성된 각도(TH)가 대략 90도가 되도록 상호 간에 교차한다. 제 1 조임 테이프(41a)의 중간 영역(415)은 제 제 2 조임 테이프(41b)의 중간 영역(415)과 겹치고, 제 2 조임 테이프(41b)에서 중간 영역(415)의 양측에 위치된 제 1 조임부(411) 및 제 2 조임부(412)는 (즉, 제 1 조임 테이프(41a)를 걸쳐 가로지도록) 테이프 폭 방향으로 제 1 조임 테이프(41a)의 양측에서 부착부(26) 상에 조여진다. 도 6에서, 해칭선들은 도면의 손쉬운 이해를 위하여 제 1 조임부(411) 및 제 2 조임부(412)의 각각에 도시된다.
착용자에 일회용 기저귀(1)를 착용시킬 때 일회용 기저귀(1)를 손쉽게 취급하거나, 일회용 기저귀(1)를 손쉽게 제조하기 위하여, 제 1 조임 테이프(41a) 및 제 2 조임 테이프(41b)의 각각의 길이는 일회용 기저귀(1)에서 특정한 값으로 한정된다(즉, 길이는 값 이하로 이루어진다). 결과로서, 상부 한도는 각각의 조임 테이프에서 제 1 조임부(411)의 외측 엣지(4111)와 제 2 조임부(412)의 내측 엣지(4122) 사이의 거리(L1)(도 4를 참조)에 대하여 설정된다. 연결부(4)에서, 후크 부재가 결합되지 않는 중간 영역(415)이 조임 테이프들을 조이는 데에 있어 제 1 조임 테이프(41a) 상에 놓여지는(와 겹쳐지는) 제 2 조임 테이프(41b)에서 제 1 조임부(411) 및 제 2 조임부(412) 사이에 제공되기에, 조임부들(즉, 제1 조임부(411) 및 제 2 조임부(412))의 전체 면적은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일회용 기저귀(1)의 제조 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제 2 조임 테이프(41b)에서 제 1 조임부(411)의 외측 엣지(4111)와 제 2 조임부(412)의 내측 엣지(4122) 사이의 거리(L1)는 제 1 조임 테이프(41a)에서 중간 영역(415)에서 테이프 베이스(413)의 폭(W1)(도 4 참조)보다 크게 제조된다. 따라서, 제 1 조임 테이프(41a)와 제 2 조임 테이프(41b)가 제 1 조임 테이프(41a) 상에 놓여 있는 제 2 조임 테이프(41b)로 조여질 때, 제 2 조임 테이프(41b)에서 제 1 조임부(411)와 제 2 조임부(412)의 각각의 적어도 일 부분이 제 1 조임 테이프(41a)와의 겹침 없이 전측부(201)의 부착부(26) 상에 손쉽게 조여질 수 있다. 결과로서, 일회용 기저귀(1)는 착용자에 맞도록 제조될 수 있다.
일회용 기저귀(1)에서, 후크 부재가 결합되지 않는 중간 영역(415)이 제 2 조임 테이프(41b)에 동일한 방식으로 제 1 조임 테이프(41)에서 제 1 조임부(411)와 제 2 조임부(412) 사이에 제공되기에, 제 1 조임부(411) 및 제 2 조임부(412)의 전체 면적이 감소될 수 있다. 착용자에 일회용 기저귀(1)를 착용시킬 때 제 2 조임 테이프(41b)가 부착부(26) 상에 조여지고 이어서 부착부(26) 상에 조여지도록 제 1 조임 테이프(41a)가 제 2 조임 테이프(41b) 상에 놓여 있는 경우에, 제 1 조임 테이프(41a)에서 제 1 조임부(411) 및 제 2 조임부(412)의 각각의 적어도 일부분은 제 2 조임 테이프(41b)와의 겹침이 없이 부착부(26) 상에 손쉽게 조여질 수 있다.
일회용 기저귀(1)에서, 바람직하게는 제 1 조임부(411)의 외측 엣지(4111)의 상부 종단과 제 2 조임부(412)의 내측 엣지(4122)의 하부 종단 사이의 거리는 각각의 조임 테이프(41)에서 중간 영역(415)에서의 폭(W1) 이상이다. 따라서, 조임 테이프(41)들을 조이는 데에 있어 다른 하나의 조임 테이프(41) 상에 놓여 지는(겹쳐지는), 조임 테이프(41)에서 제 1 조임부(411) 및 제 2 조임부(412)의 각각의 적어도 일 부분은 더 손쉽게 전측부(201)의 부착부(26) 상에 조여질 수 있다.
연결부(4)에서, 제 2 조임 테이프(41b)의 중간 영역(415)의 길이(L2)(도 4를 참조)는 제 1 조임 테이프(41a)의 중간 영역(415)의 폭(W1) 이상으로 제조된다. 따라서, 제 2 조임 테이프(41b)가 부착부(26) 상에 조여지도록 제 1 조임 테이프(41a) 상에 놓여질 때, 조임부(의 일부)가 제 2 조임 테이프(41b)(즉, 제 1 조임 테이프(41a) 상에 놓여지는 부분)를 조이는 데에 사용되지 않을 가능성이 더 많은 부분 상에 제공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조임부들의 전체 면적은 더 감소될 수 있다. 게다가, 제 1 조임 테이프(41a)의 중간 영역(415)의 길이(L2)는 제 2 조임 테이프(41b)의 중간 영역(415)의 폭(W2) 이상으로 제조된다. 따라서, 제 1 조임 테이프(41b)가 부착부(26) 상에 조여지도록 제 2 조임 테이프(41b) 상에 놓여질 때, 조임부(의 일부)가 제 1 조임 테이프(41a)(즉, 제 2 조임 테이프(41b) 상에 놓여지는 부분)를 조이는 데에 사용되지 않을 가능성이 더 많은 부분(즉, 부분은 적은 사용될 기회를 갖는다) 상에 제공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조임부들의 전체 면적은 더 감소될 수 있다.
일회용 기저귀(1)에서, 제 1 조임부(411)의 내측 엣지(4112)의 상부 종단과 제 2 조임부(412)의 외측 엣지(4121)의 하부 종단 사이의 거리는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조임 테이프(41)에서 중간 영역(415)의 폭(W1) 이상이다. 따라서, (즉, 조임 테이프(41)들이 겹침 방식으로 조여질 때) 조임부(의 일부)가 조임 테이프(41)들을 조이는 데에 다른 하나의 조임 테이프 상에 놓여 지도록 하나의 조임 테이프(41) 상에 조이는 데에 사용되지 않을 가능성이 더 많은 부분 상에 제공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조임부들의 전체 면적은 더 감소될 수 있다.
조임 테이프들이 연결부(4)에서 겹침 방식으로 조여질 때, 제 1 조임 테이프(41a)의 중심선(419a)과 제 2 조임 테이프(41b)의 중심선(419b) 사이에서 형성된 각도(TH)는 반드시 대략 90도로 한정되지 않고, 제 1 조임 테이프(41a)와 제 2 조임 테이프(41b)는 각도(TH)(즉, 각각, 중심선(419a)과 중심선(419b)의 교차로부터 제 1 조임 테이프(41a)의 팁 및 제 2 조임 테이프(41b)의 팁까지 존재하는 중심선(419a)의 부분과 중심선(419b)의 부분 사이에 형성된 각도)는 예를 들어, 30도 이상이고, 90도 이하이다.
연결부(4)에서, 만약 제 2 조임 테이프(41b)의 중간 영역(415)의 길이(L2)가 제 1 조임 테이프(41a)의 중간 영역(415)의 폭(W1)의 25% 이상으로 제조된다면, 각도(TH)가 일반적인 조임 작용에서의 범위 내에서 존재하는 조건 하에서 제 2 조임 테이프(41b)가 부착부(26) 상에 조여지도록 제 1 조임 테이프(41a) 상에 놓여질 때 조임부(의 일부)가 제 2 조임 테이프(41b)를 조이는 데에 사용되지 않을 가능성이 더 많은 부분 상에, 어느 정도까지, 제공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조임부들의 전체 면적이 감소될 수 있다.
제 1 조임 테이프(41a)의 중간 영역(415)의 길이(L2)가 제 2 조임 테이프(41b)의 중간 영역(415)의 폭(W1)의 25% 이상으로 제조되는 경우에, 각도(TH)가 일반적인 조임 작용에서의 범위 내에서 존재하는 조건 하에서 제 1 조임 테이프(41a)가 부착부(26) 상에 조여지도록 제 2 조임 테이프(41b) 상에 놓여질 때 조임부(의 일부)가 제 1 조임 테이프(41a)를 조이는 데에 사용되지 않을 가능성이 더 많은 부분 상에 제공되는 것을 더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결과로서 조임부들의 전체 면적이 더 감소될 수 있다.
연결부(4)에서, 제 1 조임 테이프(41a) 및 제 2 조임 테이프(42b)의 각각의 폭은 테이프 베이스(413)의 팁을 향하여 점차 감소한다(즉, 위치의 폭은 위치가 테이프 베이스(413)의 팁에 더 근접하게 되기에 더 좁아지게 된다). 따라서, 조임 테이프들이 조여질 때, 다른 하나의 조임 테이프보다 나중에 조여지는 하나의 조임 테이프의 제 1 조임부(411)(즉, 하나의 조임 테이프는 부착부(26) 상에 조여지도록 다른 하나의 조임 테이프 상에 놓여진다)는 (다른 하나의 조임 테이프보다 먼저 조여지는) 다른 하나의 조임 테이프를 회피하면서 부착부(26) 상에 손쉽게 조여질 수 있다. 결과로서, 나중에 부착부(26) 상에 조여지는 하나의 조임 테이프의 팁 부분은 견고하게 부착부(26) 상에 조여질 수 있다.
연결부(4)에서, 제 1 조임 테이프(41a) 및 제 2 조임 테이프(41b)의 2개의 테이프 베이스(413)들은 하나의 연결 시트(40)의 부분들이고 몸체부(2) 근처에 위치된 연결 시트(40)의 일반 베이스(42)를 통해 상호 간에 연속적이며, 제 1 조임 테이프(41a) 및 제 2 조임 테이프(41b)의 제 2 조임부(412)들은 좌-우 방향에 대하여, 연결 시트(40)의 일반 베이스(42)의 외측에 놓여 있다. 따라서, 제 1 조임 테이프(41a) 및 제 2 조임 테이프(41b)의 루트부(root portion)들(즉, 루트부들은 일반 베이스(42)와 제 2 조임부(412)들 사이에 존재한다)의 강성이 과도하게 큰 것(지나치게 큰 것)을 방지하고 루트부들에서 제 1 조임 테이프(41a) 및 제 2 조임 테이프(41b)를 손쉽게 변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결과로서, 제 1 조임 테이프(41a) 및 제 2 조임 테이프(41b)는 겹침 방식으로 손쉽게 조여질 수 있다. 게다가, 일반 베이스(42)가 몸체부(2)의 측부 엣지로부터 외측으로(측면으로) 돌출하기에, 제 1 조임 테이프(41a) 및 제 2 조임 테이프(41b)는 일반 베이스(42)를 변형시킴으로써 상호 간에 근접하도록 손쉽게 제조될 수 있다. 결과로서, 겹침 방식으로 제 1 조임 테이프(41a) 및 제 2 조임 테이프(41b)의 조임은 더 손쉽게 수행될 수 있다.
더욱이, 제 1 조임부(411) 및 제 2 조임부(412)의 위치들은 제 1 조임 테이프(41a) 및 제 2 조임 테이프(41b)의 각각에 테이프 베이스(413)의 외측 표면 측에서 식별가능하다. 따라서, 제 1 조임 테이프(41a) 및 제 2 조임 테이프(41b)가 겹침 방식으로 조여질 때, 2개의 조임 테이프들의 중간 영역(415)의 겹침 면적은 손쉽게 증가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다른 하나의 조임 테이프보다 나중에 부착부(26) 상에 조여지는 조임 테이프의 제 1 조임부(411) 및 제 2 조임부(412)는 다른 하나의 조임 테이프와 함께 광범위하게 겹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결과로서, 나중에 부착부(26) 상에 조여진 조임 테이프는 견고하게 부착부(26) 상에 조여질 수 있다.
상기의 일회용 기저귀(1)에서, 부착부(26)에 대한 제 1 조임부(411)의, 단위 면적당, 조임 강도는 각각의 조임 테이프에서 부착부(26)에 대한 제 2 조임부(412)의, 단위 면적당, 조임 강도와 동일하고, 좌-우 방향으로 제 1 조임부(411)의 폭은 좌-우 방향으로 제 2 조임부(412)의 폭과 동일하다. 따라서, 제 1 조임부(411) 및 제 2 조임부(412)는 하나의 긴 후크 부재와 함께 형성될 수 있고, 연결부(4)의 제조는 단순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의 다른 실시예에서, 부착부(26)에 대한 제 1 조임부(411)의 조임 강도는 부착부(26)에 대한 제 2 조임부(412)의 조임 강도보다 크다(높다). 일회용 기저귀에서, 일 방향으로 조임 테이프를 박리하는 힘이 조임 테이프의 테이프 베이스(413)가 착용자의 의복 등에 부착되는 경우에 적용될 때, 테이프 베이스(413)의 팁에 더 근접한 제 1 조임부(411)는 종종 제 2 조임부(412)보다 큰 힘으로 적용된다. 따라서, 부착부(26)에 대한 제 1 조임부(411)의 조임 강도는 상기에 설명된 바와 같이 제 2 조임부(412)의 조임 강도보다 크게 제조되고, 이에 따라 조임 테이프의 의도하지 않는 박리가 억제될 수 있다.
부착부(26)에 대한 제 1 조임부(411)의 조임 강도와 부착부(26)에 대한 제 2 조임부(412)의 조임 강도 사이의 차이는 예를 들어, 제 2 조임부(412)의 면적보다 큰 제 1 조임부(411)의 면적을 제조함으로써, 또는 제 1 조임부(411)로서 후크 부재를 사용하고, 후크 부재가 제 2 조임부(412)의 단위 면적당 조임 강도보다 부착부(26)에 대해 단위 면적당 더 강한 조임 강도를 가짐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들이 상기에 설명되어 왔더라도, 본 발명은 상기의 설명된 바람직한 구체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나, 다양한 변형을 허용한다.
예를 들어, 각각의 조임 테이프(41)에서 제 1 조임부(411) 및 제 2 조임부(412)의 각각이 후크 및 루프 패스너의 루프 부재이고 몸체부(2)의 전측부(201) 상에 제공된 부착부(26)가 후크 및 루프 패스너의 후크 부재인 경우가 존재할 수 있다. 각각의 조임 테이프(41)에서, 미세 후크 구조물 또는 미세 루프 구조물은 테이프 베이스(413)의 내측 표면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어 제 1 조임부(411) 또는 제 2 조임부(412)일 수 있다. 몸체부(2)에서, 미세 후크 구조물 또는 미세 루프 구조물은 전측부(201)의 외측 표면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어 부착부(26)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호 간에 맞물리는 미세 루프 구조물 및 미세 후크 구조물 중 하나는 몸체부(2)의 전측부(201) 상에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일회용 기저귀(1)에서 각각의 조임 테이프(41)의 제 1 조임부(411) 및 제 2 조임부(412)의 각각에 형성된다. 따라서, 조임 테이프(41)들은 견고하게 조임부(26) 상에 조여질 수 있다. 게다가, 미세 후크 구조물은 제 1 조임부(411) 및 제 2 조임부(412) 상에 형성되고, 미세 루프 구조물은 부착부(26) 상에 형성되며, 이에 따라, 일회용 기저귀(1)를 제조하고 착용할 때, 상대적으로 큰 면적을 갖는 부착부(26)는 일회용 기저귀(1)를 손쉽게 제조하고 착용하도록, 일회용 기저귀(1) 등의 다른 부분에 부착시키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일회용 기저귀(1)에서, 미세 후크 구조물 또는 미세 루프 구조물은 각각의 조임 테이프(41)의 제 1 조임부(411) 및 제 2 조임부(412) 상에 반드시 형성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 1 조임 테이프(411) 및 제 2 조임 테이프(412)가 부직포 직물로 제조된 테이프 베이스(413) 상에 접착 재료로 형성된 접착 레이어들이고, 접착부(26)가 접착 레이어들이 부착시킬 수 있는 플라스틱 필름인 경우가 존재할 수 있다.
각각의 조임 테이프(41)에서, 제 1 조임부(411) 및 제 2 조임부(412)의 위치는 예를 들어, 테이프 베이스(413)의 외측 표면 상에, 제 1 조임부(411) 및 제 2 조임부(412)의 위치를 나타내는, 프린팅 마크(printing mark)에 의해, 테이프 베이스(413)의 외측 표면 측에 식별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일반 베이스(42)는 각각의 연결부(4)에 반드시 제공되지 않고, 2개의 조임 테이프(41)들의 각각에서 테이프 베이스(413)의 종단은 직접 몸체부(2)에 결합될 수 있다. 각각의 조임 테이프(41)의 폭은 예를 들어, 좌-우 방향으로 테이프 베이스(413)의 전체 길이를 거의 가로질러 일정할 수 있다.
발명이 도시되고 상세하게 설명되어 왔던 반면에, 앞서 말한 설명은 모든 양상에서 예시적이고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창안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1 일회용 기저귀
2 몸체부
4 연결부
26 부착부
40 연결 시트
41 조임 테이프
41a 제 1 조임 테이프
41b 제 2 조임 테이프
201 전측부
202 가랑이부
203 후측부
411 제 1 조임부
412 제 2 조임부
413 테이프 베이스
414 내측 표면
4111 외측 엣지
4122 내측 엣지
L1 거리
L2 길이
W1 폭

Claims (9)

  1. 길이 방향을 따라 순서대로 배열된 전측부, 가랑이부 및 후측부를 갖는 시트-형 몸체부; 및
    상기 후측부의 양측부들에 부착되고, 상기 전측부의 외측 표면에 조여져 상기 양측부들을 상기 전측부의 양측부와 연결시키는 한 쌍의 연결부들을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연결부들의 각각은 좌-우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2개의 조임테이프들을 포함하고, 상기 2개의 조임 테이프들은 상기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며,
    상기 2개의 조임 테이프들의 각각은:
    밴드-형 테이프 베이스;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테이프 베이스를 가로질러 놓여 있도록 상기 테이프 베이스의 내측 표면 상에 제공되고, 상기 전측부의 상기 외측 표면에 대해 스스로를 조일 수 있는 제 1 조임부; 및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테이프 베이스를 가로질러 놓여 있도록 상기 테이프 베이스의 상기 내측 표면 상에 제공되며, 상기 몸체부를 향하여 상기 제 1 조임부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전측부의 상기 외측 표면에 대해 스스로를 조일 수 있는 제 2 조임부를 포함하고,
    하나의 조임 테이프에서 다른 엣지들보다 상기 몸체부에 더 근접한 상기 제 2 조임부의 엣지와 다른 엣지들보다 상기 테이프 베이스의 팁에 더 근접한 상기 제 1 조임부의 엣지 사이의 거리는 다른 하나의 조임 테이프에서 상기 제 1 조임부 및 상기 제 2 조임부 사이의 위치에서 상기 테이프 베이스의 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기저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방향으로, 상기 하나의 조임 테이프에서 상기 제 1 조임부와 상기 제 2 조임부 사이의 영역의 길이는 상기 다른 하나의 조임 테이프에서의 상기 위치에서 상기 테이프 베이스의 상기 폭의 2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기저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방향으로, 상기 하나의 조임 테이프에서 상기 제 1 조임부와 상기 제 2 조임부 사이의 상기 영역의 상기 길이는 상기 다른 하나의 조임 테이프에서의 상기 위치에서 상기 테이프 베이스의 상기 폭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기저귀.
  4.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조임 테이프의 폭은 상기 테이프 베이스의 팁을 향하여 점차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기저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측부에 대한 상기 제 1 조임부의 조임 강도는 상기 제 2 조임부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기저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조임 테이프들의 2 개의 테이프 베이스들은 상기 한 쌍의 연결부들의 각각에서 하나의 시트의 부분들이고, 상기 2개의 테이프 베이스들은 상기 몸체부 근처에 위치된 상기 하나의 시트의 연결부를 통해 상호 간에 연속적이며,
    상기 2개의 조임 테이프들의 제 2 조임부들은 상기 좌-우 방향에 대하여, 상기 하나의 시트에서 상기 연결부의 외측에 놓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기저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조임 테이프들의 2개의 테이프 베이스들은 상기 한 쌍의 연결부들의 각각에서 하나의 시트의 부분들이고, 상기 2개의 테이프 베이스들은 상기 몸체부 근처에 위치된 상기 하나의 시트의 연결부를 통해 상호 간에 연속적이며,
    상기 하나의 시트에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몸체부의 측부 엣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기저귀.
  8. 제 1 항에 있어서,
    상호 간에 맞물리는 미세 루프 구조물 및 미세 후크 구조물 중 하나는 상기 몸체부의 상기 전측부 상에 제공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제 1 조임부 및 상기 제 2 조임부의 각각 상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기저귀.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조임부 및 상기 제 2 조임부의 위치는 상기 2개의 조임 테이프들의 각각에서 상기 테이프 베이스의 외측 표면 측에서 식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기저귀.
KR1020127015844A 2010-01-25 2011-01-13 일회용 기저귀 KR1013091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13136 2010-01-25
JP2010013136A JP5378247B2 (ja) 2010-01-25 2010-01-25 使い捨ておむつ
PCT/JP2011/000147 WO2011089871A1 (en) 2010-01-25 2011-01-13 Disposable diap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4802A KR20120084802A (ko) 2012-07-30
KR101309143B1 true KR101309143B1 (ko) 2013-09-17

Family

ID=43827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5844A KR101309143B1 (ko) 2010-01-25 2011-01-13 일회용 기저귀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8945080B2 (ko)
EP (1) EP2528572B1 (ko)
JP (1) JP5378247B2 (ko)
KR (1) KR101309143B1 (ko)
CN (1) CN102811688B (ko)
AU (1) AU2011208310B2 (ko)
CA (1) CA2787095C (ko)
DK (1) DK2528572T3 (ko)
ES (1) ES2441382T3 (ko)
HK (1) HK1175683A1 (ko)
MX (1) MX2012007912A (ko)
MY (1) MY153333A (ko)
PL (1) PL2528572T3 (ko)
SG (1) SG182623A1 (ko)
TW (1) TWI459934B (ko)
WO (1) WO20110898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32835B2 (ja) * 2012-04-19 2017-05-24 株式会社瑞光 使い捨て着用物品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6059949B2 (ja) * 2012-10-24 2017-01-11 花王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6754543B2 (ja) * 2016-09-29 2020-09-16 大王製紙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USD882769S1 (en) * 2017-06-23 2020-04-28 Secure Personal Care Products LLC Adult diaper
JP6517381B1 (ja) * 2018-01-16 2019-05-22 大王製紙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7336929B2 (ja) * 2019-09-17 2023-09-01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使い捨ておむつ
JP7029511B1 (ja) 2020-10-29 2022-03-03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止着テープおよび止着テープを備えた使い捨ておむ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0506A (ja) 2003-11-28 2005-06-23 Daio Paper Corp 使い捨て紙おむつ
JP2007143633A (ja) 2005-11-24 2007-06-14 Oji Nepia Kk 使い捨ておむつ
JP2009061157A (ja) 2007-09-07 2009-03-26 Daio Paper Corp 止着式使い捨ておむつ
WO2009123253A1 (en) 2008-03-31 2009-10-08 Livedo Corporation Fastening tape and disposable diaper having the same,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therefor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94698B2 (en) 1994-12-28 2006-02-0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Flexible mechanical fastening tab
MX9705267A (es) 1995-01-14 1997-10-31 Minnesota Mining & Mfg Sistema de cinta de cierre prelaminada, compuesta.
JP3170435B2 (ja) * 1995-08-02 2001-05-2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3611678B2 (ja) 1996-07-18 2005-01-19 花王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3652691B2 (ja) 2003-05-23 2005-05-2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開放型の使い捨ておむつ
JP5027466B2 (ja) 2006-09-13 2012-09-19 白十字株式会社 使い捨て吸収性物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0506A (ja) 2003-11-28 2005-06-23 Daio Paper Corp 使い捨て紙おむつ
JP2007143633A (ja) 2005-11-24 2007-06-14 Oji Nepia Kk 使い捨ておむつ
JP2009061157A (ja) 2007-09-07 2009-03-26 Daio Paper Corp 止着式使い捨ておむつ
WO2009123253A1 (en) 2008-03-31 2009-10-08 Livedo Corporation Fastening tape and disposable diaper having the same,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811688A (zh) 2012-12-05
SG182623A1 (en) 2012-08-30
CA2787095A1 (en) 2011-07-28
US20120289924A1 (en) 2012-11-15
TWI459934B (zh) 2014-11-11
TW201138733A (en) 2011-11-16
ES2441382T3 (es) 2014-02-04
JP2011147711A (ja) 2011-08-04
AU2011208310B2 (en) 2013-04-04
EP2528572A1 (en) 2012-12-05
CN102811688B (zh) 2014-07-02
MX2012007912A (es) 2012-08-15
WO2011089871A1 (en) 2011-07-28
DK2528572T3 (da) 2013-12-09
KR20120084802A (ko) 2012-07-30
MY153333A (en) 2015-01-29
CA2787095C (en) 2014-02-11
EP2528572B1 (en) 2013-11-13
PL2528572T3 (pl) 2014-03-31
JP5378247B2 (ja) 2013-12-25
HK1175683A1 (en) 2013-07-12
US8945080B2 (en) 2015-02-03
AU2011208310A1 (en) 2012-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4683B1 (ko) 흡수성 물품
KR101309143B1 (ko) 일회용 기저귀
EP3089720B1 (en) Absorbent article having a fastening system
US20150216743A1 (en) Absorbent Article Having a Fastening System with Improved Flexibility
JP5511587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5520620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4528753B2 (ja) 紙おむつ
JP5647461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5643026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5715865B2 (ja) 紙おむつ
JP6185266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5525286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5498761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5999906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5599502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5476016B2 (ja) 吸収性物品
JP6389421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2005270346A (ja) 吸収性物品
JP6208598B2 (ja) 吸収性物品
JP6185265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2005270347A (ja) 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