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8841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8841B1
KR101308841B1 KR1020110125059A KR20110125059A KR101308841B1 KR 101308841 B1 KR101308841 B1 KR 101308841B1 KR 1020110125059 A KR1020110125059 A KR 1020110125059A KR 20110125059 A KR20110125059 A KR 20110125059A KR 101308841 B1 KR101308841 B1 KR 1013088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cam
housing
amount
bending de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5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8422A (ko
Inventor
다카시 기요오카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20058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84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8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88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레버가 휨 변형된 경우에도, 레버를 하우징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캠부(64)의 걸어 맞춤 볼록부(64g)는, 레버(60)의 휨 변형에 의해 발생하는 당해 캠부(64)의 위치 어긋남량에 따라, 돌출량이 상이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특허 문헌 1은, FPC나 FFC 등의 케이블에 형성된 도체에 접촉하는 콘택트와, 당해 콘택트를 수용하는 하우징과, 당해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는 레버를 갖는 커넥터를 개시하고 있다.
일본국 특허 공개 2007-258054호 공보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는, 레버가 휨 변형된 경우에, 레버의 하우징으로의 부착이 곤란하게 될 우려가 있었다. 특히,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콘택트가 병렬되어 있는 다심 커넥터에서는, 레버가 가늘고 긴 형상을 갖고 있기 때문에, 레버의 휨 변형에 의해 레버와 하우징의 연결부에 발생하는 어긋남이 비교적 커져, 레버의 하우징으로의 부착이 더욱 곤란하게 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레버가 휨 변형된 경우에도, 레버를 하우징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양태는, 시트형상 케이블에 접속되는 복수의 콘택트와, 상기 복수의 콘택트를 제1의 방향으로 병렬하여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레버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콘택트는, 상기 제1의 방향과 직교하는 제2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아암부를 갖고 있고, 이 아암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벽과 함께 상기 제2의 방향의 한쪽으로 개구하는 레버 수용부를 이루고 있고, 상기 레버는, 상기 레버 수용부에 삽입되고, 상기 레버와 함께 회동하여 상기 아암부를 가압하는 복수의 캠부를 갖고 있고, 이 캠부는, 상기 레버 수용부의 개구 근방에서 상기 아암부의 일부와 간섭하도록 형성된 볼록부를 구비하고 있고, 이 캠부의 볼록부는, 상기 레버의 휨 변형에 의해 발생하는 당해 캠부의 위치 어긋남량에 따라, 돌출량이 상이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다.
본 발명에 의하면, 레버가 휨 변형된 경우에도, 레버를 하우징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커넥터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를 나타낸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커넥터의 레버가 열림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커넥터의 레버가 회동 도중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커넥터의 레버가 닫힘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커넥터의 레버가 빠짐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레버가 휨 변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a)가 휨 변형된 형태 및 휨 변형에 의해 발생하는 캠부의 위치 어긋남량을 나타낸 도면이며, (b)는, (a)의 A-A선 단면도이며, (c)는, (a)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레버가 다른 형태로 휨 변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a)가 휨 변형의 형태 및 휨 변형에 의해 발생하는 캠부의 위치 어긋남량을 나타낸 도면이며, (b)는, (a)의 C-C선 단면도이며, (c)는, (a)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레버가 또한 다른 형태로 휨 변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a)가 휨 변형의 형태 및 휨 변형에 의해 발생하는 캠부의 위치 어긋남량을 나타낸 도면이며, (b)는, (a)의 E-E선 및 G-G선 단면도이며, (c)는, (a)의 F-F선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레버를 하우징에 부착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을 적용하지 않는 경우의, 휨 변형에 의해 발생하는 캠부의 위치 어긋남량이 큰 부위에서의 오버랩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레버 삽입 탈락 방향(콘택트의 스프링 아암부의 연장 방향)을 전후 방향(X), 하우징의 길이 방향(콘택트의 병설 방향)을 폭방향(Y), 하우징의 두께 방향(전후 방향(X) 및 폭방향(Y)에 직교하는 방향)을 상하 방향(Z)으로 하여 설명한다. 또, 각 도면 중, FR(레버를 이탈할 때에 레버를 이동시키는 방향)을 전방, RR(레버를 삽입할 때에 레버를 이동시키는 방향)을 후방, UP(하우징에 장착한 레버가 상부에 위치하도록 커넥터를 배치한 상태에서의 상방)를 상방으로서 규정한다. 또한, 이러한 방향은, 각부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편의상, 규정한 것이며, 실제 커넥터의 부착 자세에는 관련이 없다.
도 1∼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1)는, FPC나 FFC 등의 표면 및 이면을 갖는 시트형상의 케이블(2)이 삽입되는 절연성의 하우징(30)을 구비하고 있다. 케이블(2)의 삽입 단부(2a)(도 2∼도 4 참조)에는, 도체(2b)가 폭방향(Y)으로 소정의 등 피치로 복수 노출되어 있다. 하우징(30)에는, 케이블(2)의 복수의 도체(2b)에 각각 도통 접속되는 도전성의 콘택트(40)가, 폭방향(Y)(제1의 방향)으로 소정의 등 피치로 복수 병렬돼 수용되어 있다. 또, 하우징(30)에는, 절연성의 레버(60)가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하우징(30)은, 합성 수지 등의 절연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이 하우징(30)의 후부에는, 케이블(2)을 후방으로부터 삽입하는 주머니 형상의 케이블 수입부(31)가 상하 방향(Z)의 대략 중간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 케이블 수입부(31)는, 천정벽부(32)와, 천정벽부(32)에 대략 평행하게 이격하여 대향하는 저벽부(33)와, 천정벽부(32) 및 저벽부(33)의 폭방향(Y) 양단부를 연결하는 양 측벽부(34)로 이루어져 있고, 후방으로 개구하고 있다.
또, 하우징(30)의 전부의 폭방향(Y) 양단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벽부(34)의 전부를 구성하는 전측벽부(34a)가 형성되어 있다. 전측벽부(34a)의 하단부는, 저벽부(33)의 전부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30)의 전부에는, 후술하는 콘택트(40)의 스프링 아암부(47)(아암부)와, 이 스프링 아암부(47)에 대략 평행하게 상하 방향(Z)으로 이격하여 대향하는 저벽부(33)(하우징의 내벽)에 의해 이루어지고, 전방으로 개구한 레버 수용부(35)가 형성되어 있다. 이 레버 수용부(35)에는, 레버(60)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레버(60)는, 하우징(30)의 레버 수용부(35)에 장착 가능한 판형상의 부재이며, 이 레버(60)도 합성 수지 등의 절연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또, 레버(60)의 본체(레버(60)의 상부)는, 레버(60)를 개폐 조작(회동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62)로 되어 있다.
또, 레버(60)는, 도 2∼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블(2)을 하우징(30)에삽입할 수 있는 열림 위치(도 2에 나타낸 상태)와, 하우징(30)에 삽입한 케이블(2)을 콘택트(40) 사이에 끼우는 닫힘 위치(도 4에 나타낸 상태) 사이에서, 폭방향(Y)에 평행한 축 둘레로 회동할 수 있도록, 하우징(30)에 부착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닫힘 위치는, 열림 위치로부터 대략 90°전방으로 회전한 위치로 했다.
그리고, 레버(60)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에는, 레버(60)는 하우징(30)의 레버 수용부(35)로부터 기립 자세로 세워진다(도 2 참조). 이 때, 하우징(30)의 케이블 수입부(31)에 케이블(2)을 삽입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레버(60)의 조작부(62)의 일측면(레버(60)가 열림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후측면)에는, 경사부(62a)와 평탄부(62b)에서 단차가 형성되어 있고, 레버(60)를 열림 방향으로 회동시켰을 때에, 평탄부(62b)가 레버 수용부(35)의 내측면(34b)에 맞닿음으로써, 레버(60)의 열림 방향으로의 회동이 규제되도록 하고 있다.
한편, 레버(60)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에는, 당해 레버(60)는 대략 수평 자세로 되어 하우징(30)의 레버 수용부(35)에 수용되고, 케이블 수입부(31) 내에 삽입한 케이블(2)을 콘택트(40) 사이에 끼우도록 되어 있다(도 4 참조).
콘택트(40)는, 하우징(30)의 폭방향(Y)으로 복수 병렬돼 수용되어 있다. 이러한 콘택트(40)는, 얇은 판자 금속을 펀칭 가공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또, 콘택트(40)는, 전방으로부터 하우징(30)에 삽입되어 고정 유지된다(도 2∼도 4 참조). 하우징(30)에는, 복수의 콘택트(40)를 각각 수용하는 수용부(36)가, 하우징(30)을 전후 방향(X)으로 관통하도록 복수 설치되어 있다. 각 수용부(36)는, 전후 방향(X)으로 연장되는 종벽부(37)에 의해 칸막이 되어 있다.
그리고, 종벽부(37)의 후부에는, 도 2∼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방으로 개구하는 절결(37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케이블(2)의 케이블 수입부(31)로의 삽입을 허용하고 있다. 또, 절결(37a)의 안쪽에 형성된 내벽면(37b)에 의해, 케이블(2)의 전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고 있다.
또, 종벽부(37)의 전부에서는, 그 전측상부의 구형 영역이 절결되어 있다. 그리고, 종벽부(37)의 전부에는, 전방에 면하는 전측면(37c)과, 전측면(37c)의 하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전상면(37d)이 형성되어 있다. 전상면(37d)은, 상술한 저벽부(33)의 일부를 구성하여, 레버 수용부(35)를 이루고 있다.
콘택트(40)는, 도 2∼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30)의 저벽부(33) 근방에서, 전후 방향(X)(제2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봉형상의 고정측 콘택트부(41)와, 천정벽부(32) 근방에서, 전후 방향(X)으로 연장되고, 고정측 콘택트부(41)와 상하 방향(Z)으로 이격하여 대향하는 봉형상의 가동측 콘택트부(42)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고정측 콘택트부(41) 및 가동측 콘택트부(42)는, 각각의 전후 방향(X)의 중간부들이 연결 스프링부(43)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콘택트(40) 전체에서 대략 H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고정측 콘택트부(41)는, 저벽부(33)를 따라 전후 방향(X) 후측으로 연장되는 고정측 접촉부(44)와, 고정측 접촉부(44)의 전단으로부터 저벽부(33)를 따라 전후 방향(X) 전측으로 연장되는 단자 아암부(45)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고정측 접촉부(44)의 선단부에는, 상방(삽입한 케이블(2))을 향해 돌출된 고정측 접점부(44a)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고정측 접점부(44a)가 케이블(2)의 도체(2b)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또, 단자 아암부(45)의 선단부에는, 하향으로 돌출된 스토퍼(45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스토퍼(45a)가, 콘택트(40)의 수용부(36)로의 삽입시에 있어서의 콘택트(40)의 하우징(30)에 대한 최대 삽입량을 규제하고 있다. 또, 이 스토퍼(45a)는, 커넥터(1)를 회로 기판(6)에 실장시킬 때의 표면 실장용 납땜부를 겸하고 있으며, 그 하단은, 하우징(30)의 저벽부(33)의 저면보다도 하방을 향해 약간 돌출되어 있다.
또, 단자 아암부(45)의 선단부에는, 종벽부(37)의 전상면(37d)보다도 상방으로 돌출된 대략 산형의 돌기부(45b)가 설치되어 있으며, 열림 위치에 있는 레버(60)가 전후 방향(X) 전방으로 이동(평행이동)했을 때에, 레버(60)의 전면 하단부가 돌기부(45b)에 맞닿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돌기부(45b)는, 레버(60)가 레버 수용부(35)로부터 빠져 나가 버리는 것을 억제하는 스토퍼로서 기능하는 것이다.
또, 가동측 콘택트부(42)는, 하우징(30)의 천정벽부(32)를 따라 전후 방향(X) 후측으로 연장되는 가동측 접촉부(46)와, 가동측 접촉부(46)의 전단으로부터 천정벽부(32)를 따라 전후 방향(X) 전측으로 연장되는 스프링 아암부(47)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가동측 콘택트부(42)에는, 상측 중앙부에 돌기부(42a)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가동측 접촉부(46)의 선단부에는, 하방(삽입한 케이블(2))을 향해 돌출된 가동측 접점부(46a)가 형성되어 있고, 케이블(2)이, 도 2∼도 4에 나타낸 방향과 반대로 뒤집혀 삽입된 경우에, 이 가동측 접점부(46a)가 케이블(2)의 도체(2b)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즉, 도 2∼도 4에서는, 도체(2b)가 고정측 접점부(44a)와 접촉하도록 케이블(2)이 삽입되어 있는데, 케이블(2)을 뒤집어 삽입하여, 도체(2b)가 가동측 접점부(46a)와 접촉하도록 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레버(60)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는, 고정측 접점부(44a)와 가동측 접점부(46a) 사이의 거리가, 케이블(2)의 두께와 거의 동일하게 되도록 하고 있다(도 2 참조). 그리고, 케이블(2)을 삽입하지 않은 상태에서 레버(60)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는, 고정측 접점부(44a)와 가동측 접점부(46a) 사이의 거리가, 케이블(2)의 두께보다도 작아지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레버(60)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는, 케이블(2)을 하우징(30)에 삽입할 수 있고, 레버(60)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는, 고정측 접점부(44a)와 가동측 접점부(46a)가 케이블(2)을 가압하고, 콘택트(40)가 케이블(2)을 사이에 끼우게 된다.
또, 스프링 아암부(47)의 하면에 있어서의, 후술하는 레버(60)의 캠부(64)에 대향하는 부위에는, 당해 캠부(64)가 슬라이딩하는 대략 원호형상의 캠면(47a)이 형성되어 있다. 이 캠면(47a)의 전측에 있어서의 레버 수용부(35)의 전방 개구 근방에는, 당해 캠면(47a)에 연속 설치되어 캠부(64)와 슬라이딩 가능한 전단면(47b)과, 당해 전단면(47b)에 연속 설치된 수평면(47c)을 갖는 걸어 맞춤 볼록부(47d)(아암부의 일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콘택트(40)는, 레버(60)가 열림 위치에 있는 상태일 때, 가동측 콘택트부(42)의 돌기부(42a)만이 천정벽부(32)에 접촉하고, 스프링 아암부(47)의 상면과 천정벽부(32)의 하면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도록, 하우징(30)의 수용부(36) 내에 압입되고, 하우징(30)에 걸려 있다. 가동측 접촉부(46)의 전체 길이와 스프링 아암부(47)의 후측 대략 반분은, 천정벽부(32)에 의해 덮여 있다. 그리고, 돌기부(42a)와 천정벽부(32)가 맞닿음으로써, 돌기부(42a)의 저벽부(33)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있다.
또, 연결 스프링부(43)는, 스프링성을 갖고 있어, 탄성적으로 휨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연결 스프링부(43)는, 상방을 향할수록 후방으로 경사진 상태로 고정측 콘택트부(41) 및 가동측 콘택트부(42)를 연결하고 있다. 그리고, 스프링 아암부(47)의 전단과 단자 아암부(45)의 전단이 상대적으로 벌어지는 방향(서로 이격하는 방향)으로 스프링 아암부(47)를 휨 변형시켰을 때에는, 연결 스프링부(43)가 탄성적으로 휨 변형하여, 가동측 콘택트부(42)의 가동측 접촉부(46)와 고정측 콘택트부(41)의 고정측 접촉부(44)의 간격이 작아지도록 하고 있다.
또, 레버(60)의 일단부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콘택트(40)에 각각 설치한 스프링 아암부(47)에 대응하도록, 관통공(6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관통공(63)에 근접하는 위치(레버(60)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 관통공(63)의 하측)에는, 레버 수용부(35)에 삽입되어, 레버(60)의 회동에 수반하여 회동함으로써, 스프링 아암부(47)에 설치한 캠면(47a)에 슬라이딩하여, 스프링 아암부(47)를 상방으로 가압하는 복수의 캠부(64)가 형성되어 있다(도 2∼도 4 참조).
캠부(64)는, 대략 원주형상의 원형부(64a)와, 당해 원형부(64a)에 연속 설치된 대략 직방체형상의 방형부(64b)를 구비하고 있고, 폭방향(Y)으로 수직인 단면에서 대략 열쇠구멍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캠부(64)는, 원통형상의 표면을 갖는 회동 받침면(64c)과, 원통형상의 표면을 갖는 접촉면(64d)을 구비하고 있다. 회동 받침면(64c)은, 종벽부(37)의 전상면(37d)과 슬라이딩하여, 레버(60)를 개폐 방향으로 회동시킬 때에 회동 지점이 된다. 접촉면(64d)은, 레버(60)의 회동에 의해 콘택트(40)의 스프링 아암부(47)의 캠면(47a)과 슬라이딩한다.
또한, 캠부(64)에는, 회동 받침면(64c)과 접촉면(64d)을 접속하는 제1의 면(64e)과, 레버(60)를 전폐 상태로 했을 때에, 종벽부(37)의 전상면(37d)에 맞닿는 제2의 면(64f)을 구비하고 있다. 제1의 면(64e)과 제2의 면(64f)은 예각을 이루고 있다.
캠부(64)는, 레버(60)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버 수용부(35) 내에서 횡방향(전후 방향(X))으로 가늘고 길게 배치되고, 스프링 아암부(47)와 저벽부(33)의 한쪽 또는 양쪽으로부터 이격한 상태가 된다. 레버(60)를 닫힘 방향(도 3의 화살표A의 닫힘 방향)으로 회동시켰을 때는, 캠부(64)가 올라가도록 회동하는 도중에, 캠부(64)의 상하 방향(Z)의 치수(회동 받침면(64c)의 하단으로부터 접촉면(64d)의 최상부까지의 높이)가, 스프링 아암부(47)와 단자 아암부(45)의 간격(스프링 아암부(47)의 캠면(47a)의 최상부와 종벽부(37)의 전상면(37d)의 간격)보다도 크게 되도록 하고 있다.
즉, 레버(60)를 닫힘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당해 레버(60)의 회동에 수반하여 캠부(64)가 회동 받침면(64c)을 회동 지점으로 하여 회동한다. 그리고, 레버(60)의 닫힘 방향으로의 회동 도중에, 접촉면(64d)이 스프링 아암부(47)의 캠면(47a)에 맞닿고, 캠면(47a)과 슬라이딩한다. 또한, 레버(60)를 닫힘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캠부(64)는, 접촉면(64d)을 캠면(47a)에 슬라이딩시키면서 회동하고, 스프링 아암부(47)의 선단과 단자 아암부(45)의 선단의 간격이 상대적으로 벌어지도록(스프링 아암부(47)의 선단과 단자 아암부(45)의 선단이 서로 이격하도록), 스프링 아암부(47)를 상방으로 가압하여, 스프링 아암부(47)를 탄성적으로 휨 변형시킨다. 레버(60)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에는, 캠부(64)는, 캠부(64)의 폭방향(Y)에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접촉면(64d)의 꼭대기부 및 제2의 면(64f))를 각각 스프링 아암부(47)의 캠면(47a)과 종벽부(37)의 전상면(37d)에 맞닿게 하고, 스프링 아암부(47)와 저벽부(33) 사이에 개재함으로써, 스프링 아암부(47)를 밀어 올린 상태로 유지한다.
그리고, 스프링 아암부(47)의 휨 변형에 수반하여, 연결 스프링부(43)가 탄성적으로 휨 변형됨으로써, 콘택트(40)는, 가동측 콘택트부(42)의 가동측 접촉부(46)나 고정측 콘택트부(41)의 고정측 접촉부(44)의 간격이 작아지도록 탄성적으로 휨 변형된다. 이에 의해, 가동측 접점부(46a)가 고정측 접점부(44a) 방향으로 이동하고, 가동측 접점부(46a)와 고정측 접점부(44a)를 케이블(2)에 압접시킨 상태로, 케이블(2)과 콘택트(40)가 도통 접속된다. 이와 같이, 캠부(64)는, 콘택트(40)를 케이블(2)에 압접시키기 위한 가압력을, 콘택트(40)에 부가하도록 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캠부(64)의 원형부(64a)에 있어서의 관통공(63)에 대향하는 부위에는, 도 2∼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프링 아암부(47)의 걸어 맞춤 볼록부(47d)에 걸어 맞추는 걸어 맞춤 볼록부(64g)(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걸어 맞춤 볼록부(64g)는, 접촉면(64d)과, 당해 접촉면(64d)에 접속된, 걸어 맞춤 볼록부(47d)의 전단면(47b)에 접촉 가능한 측면(64h)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단면(47b)과 측면(64h)이 맞닿음으로써, 걸어 맞춤 볼록부(47d)와 걸어 맞춤 볼록부(64g)를 걸어 맞추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레버(60)의 개폐 조작시나 비사용 상태(케이블(2)을 삽입하고 있지 않은 상태)일 때 등에, 열림 상태의 레버(60)에 전방으로의 하중이 걸리고,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버(60)가 열림 위치 상태에서 전방 또는 상방으로 이동하고(레버(60)가 콘택트(40)에 대해 빠지는 방향으로 상대 이동), 캠부(64)가 돌기부(45b)에 타고 올라가 버린 경우, 걸어 맞춤 볼록부(47d)와 걸어 맞춤 볼록부(64g)가 걸어 맞춰져, 레버(60)가 하우징(30)으로부터 빠져 버리는 것을 억제한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수지 성형품은, 수지 재료의 수축률의 이방성 등에 기인하는 휨 변형을 일으키기 쉽다. 특히, 하우징의 길이 방향(폭방향(Y))으로 다수의 콘택트가 병렬되어 있는 다심 커넥터에서는, 레버(60)는, 폭방향(Y)의 길이가 큰 가늘고 긴 형상으로 되기 때문에, 휨 변형량이 비교적 커진다. 이 때문에, 레버(60)의 휨 변형에 의해 레버(60)와 하우징(30)의 연결부에 발생하는 어긋남(오버랩 부분)은, 보다 커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캠부(64)의 걸어 맞춤 볼록부(64g)는, 도 6∼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버(60)의 휨 변형에 의해 발생하는 당해 캠부(64)의 위치 어긋남량에 따라, 돌출량이 상이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캠부(64)의 걸어 맞춤 볼록부(64g)는, 레버(60)의 휨 변형에 의해 발생하는 캠부(64)의 위치 어긋남량이 클수록, 돌출량이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위치 어긋남량이란, 레버(60)의 길이 방향(폭방향(Y))에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의 캠부(64)의 기준 위치로부터의 어긋남량을 의미한다. 기준 위치란, 레버(60)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의 캠부(64)의 설계상의 위치(레버(60)에 휨 변형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의 위치)이다. 레버(60)에 휨 변형이 발생한 경우의 기준 위치는, 예를 들면, 복수의 캠부(64)를, 레버(60)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일 평면 상에 투영한 경우에, 그 투영이, 당해 평면 상에 투영한 레버(60)의 회동 지점(P)(또는 열림 위치에 있을 때의 레버(60)의 저면)에 가장 가까워지는 캠부(64)의 위치로서 정할 수 있다. 또, 돌출량은, 캠부(64)의 외주면 상에 있어서의 걸어 맞춤 볼록부(64g)의 높이이며, 예를 들면, 레버(60)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의, 원형부(64a)의 중심축(O)으로부터 걸어 맞춤 볼록부(64g)가 가장 돌출된 개소까지의 길이(거리)이다.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낸 레버(60)에서는, 레버(60)의 길이 방향 중앙부(전체 길이의 1/2길이의 위치)가 도면 중에서 상방(열림 상태에 있는 레버(60)의 상방)으로 만곡하는(당해 중앙부가 도면 중에서 상방으로 위치하도록 만곡하는) 휨 변형이 발생했다. 이 휨 변형의 양태에서는, 캠부(64)의 위치 어긋남량이,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버(60)의 길이 방향 중앙부 근방에서 최대가 된다. 즉, 이러한 레버(60)에서는,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버(60)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서의 캠부(64)가 당해 레버(60)의 회동 지점(P)에 가장 가까워진다. 이 때문에, 레버(60)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서의 캠부(64)의 위치가 기준 위치가 되고, 레버(60)의 길이 방향 중앙부에서의 캠부(64)의 위치가,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장 기준 위치로부터 어긋나게 된다. 또한, (c)의 일점쇄선은, 레버(60)의 B-B단면 상에 투영한 레버(60)의 A-A단면의 외형선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휨 변형을 수반하는 레버(60)에서는, 길이 방향 중앙부에서의 걸어 맞춤 볼록부(64g)가, 길이 방향 양단부에서의 걸어 맞춤 볼록부(64g)보다도, 돌출량이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나, 레버(60)가, 도 6에 나타낸 휨 변형과는 역의 방향으로 휜 경우, 즉, 레버(60)의 휨 변형에 의해 발생하는 캠부(64)의 위치 어긋남량이, 레버(60)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서 최대가 된 경우는, 길이 방향 중앙부에서의 걸어 맞춤 볼록부(64g)가, 길이 방향 양단부에서의 걸어 맞춤 볼록부(64g)보다도, 돌출량이 커지도록 형성된다.
또,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낸 레버(60)에서는, 레버(60)의 길이 방향 중앙부(전체 길이의 1/2길이의 위치)보다 길이 방향 한쪽(도면 중 좌측)이 도면 중에서 상방(열림 상태에 있는 레버(60)의 상방)으로 만곡하고(당해 한쪽의 영역에 있어서의 중앙부(전체 길이의 1/4길이의 위치)가 도면 중에서 상방에 위치하도록 만곡하고), 길이 방향(도면 중 우측)이 도면 중에서 하방(열림 상태에 있는 레버(60)의 하방)으로 만곡하는(당해 다른쪽의 영역에서의 중앙부(전체 길이의 3/4길이의 위치)가 도면 중에서 하방에 위치하도록 만곡하는) 휨 변형이 발생했다. 이 휨 변형의 양태에서는, 캠부(64)의 위치 어긋남량이,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버(60)의 길이 방향 중앙부보다 길이 방향 한쪽의 영역에서의 길이 방향 중앙부(전체 길이의 1/4길이의 위치) 근방에서 최대가 되고, 길이 방향 다른쪽의 영역에서의 길이 방향 중앙부(전체 길이의 3/4길이의 위치) 근방에서 최소가 된다. 즉, 이러한 레버(60)에서는,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버(60)의 길이 방향 중앙부보다 길이 방향 다른쪽(도면 중 우측)의 영역의 길이 방향 중앙부(전체 길이의 3/4길이의 위치) 근방에서의 캠부(64)가 당해 레버(60)의 회동 지점(P)에 가장 가까워진다. 이 때문에, 당해 부위에서의 캠부(64)의 위치가 기준 위치가 되고, 레버(60)의 길이 방향 중앙부보다 길이 방향 한쪽(도면 중 좌측)의 영역의 길이 방향 중앙부(전체 길이의 1/4길이의 위치) 근방에서의 캠부(64)의 위치가,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장 기준 위치로부터 어긋나게 된다. 또한, (b)의 일점쇄선은, 레버(60)의 C-C단면 상에 투영한 레버(60)의 D-D단면의 외형선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휨 변형을 수반하는 레버(60)에서는, 길이 방향 중앙부보다도 길이 방향 한쪽에서의 걸어 맞춤 볼록부(64g)가, 길이 방향 중앙부보다도 길이 방향 다른쪽에서의 걸어 맞춤 볼록부(64g)보다도, 돌출량이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나, 레버(60)가, 도 7에 나타낸 휨 변형과는 역의 방향으로 휜 경우, 즉, 레버(60)의 휨 변형에 의해 발생하는 캠부(64)의 위치 어긋남량이, 레버(60)의 길이 방향 중앙부보다도 길이 방향 다른쪽(도면 중 우측)에서 최대가 된 경우는, 길이 방향 한쪽에서의 걸어 맞춤 볼록부(64g)가, 길이 방향 다른쪽에서의 걸어 맞춤 볼록부(64g)보다도, 돌출량이 커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낸 레버(60)에서는, 레버(60)의 길이 방향 중앙부(전체 길이의 1/2길이의 위치)가 도면 중에서 하방(열림 상태에 있는 레버(60)의 하방)으로 만곡하고(당해 중앙부가 도면 중에서 하방에 위치하도록 만곡하고), 당해 중앙부보다 길이 방향 한쪽 및 다른쪽의 영역에서의 길이 방향 중앙부(전체 길이의 1/4길이 및 3/4길이의 위치)가 도면 중에서 상방(열림 상태에 있는 레버(60)의 상방)으로 만곡하는(당해 부위가 도면 중에서 상방에 위치하도록 만곡하는) 휨 변형이 발생했다. 이 휨 변형의 양태에서는, 캠부(64)의 위치 어긋남량이,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버(60)의 길이 방향 중앙부(전체 길이의 1/2길이의 위치)보다 길이 방향 한쪽 및 다른쪽의 영역에서의 길이 방향 중앙부(전체 길이의 1/4길이 및 3/4길이의 위치) 근방에서 극대가 되고, 레버(60)의 길이 방향 중앙부(전체 길이의 1/2길이의 위치) 근방 또는 길이 방향 양단부 근방에서 극소가 된다. 즉, 이러한 레버(60)에서는,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버(60)의 길이 방향 중앙부(전체 길이의 1/2길이의 위치) 근방 또는 길이 방향 양단부 근방에서의 캠부(64)가 당해 레버(60)의 회동 지점(P)에 가장 가까워진다. 이 때문에, 당해 부위에서의 캠부(64)의 위치가 기준 위치가 되고, 레버(60)의 길이 방향 중앙부(전체 길이의 1/2길이의 위치)보다 길이 방향 한쪽 및 다른쪽의 영역의 길이 방향 중앙부(전체 길이의 1/4길이 및 3/4길이의 위치) 근방에서의 캠부(64)의 위치가,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장 기준 위치로부터 어긋나게 된다. 또한, (c)의 일점쇄선은, 레버(60)의 F-F단면 상에 투영한 레버(60)의 E-E단면 또는 G-G단면의 외형선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휨 변형을 수반하는 레버(60)에서는, 길이 방향 중앙부(전체 길이의 1/2길이의 위치) 및 양단부에서의 걸어 맞춤 볼록부(64g)가, 당해 길이 방향 중앙부 및 양단부 사이에 끼워진 영역에서의 걸어 맞춤 볼록부(64g)보다도, 돌출량이 커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나, 레버(60)가, 도 8에 나타낸 휨 변형과는 역의 방향으로 휜 경우, 즉, 레버(60)의 휨 변형에 의해 발생하는 캠부(64)의 위치 어긋남량이, 레버(60)의 길이 방향 중앙부(전체 길이의 1/2길이의 위치) 및 양단부에서 극대가 된 경우는, 길이 방향 중앙부(전체 길이의 1/2길이의 위치) 및 양단부에서의 걸어 맞춤 볼록부(64g)가, 당해 길이 방향 중앙부 및 양단부 사이에 끼워진 영역에서의 걸어 맞춤 볼록부(64g)보다도, 돌출량이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또, 레버(60)의 걸어 맞춤 볼록부(64g)는, 레버(6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단계적으로 돌출량이 변화하도록 형성되어도 된다. 즉, 레버(60)를 길이 방향을 따라, 캠부(64)의 위치 어긋남량이 극대가 되는 영역과 그 이외의 영역, 2개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영역마다 걸어 맞춤 볼록부(64g)의 돌출량을 설정(각 영역내에서의 걸어 맞춤 볼록부(64g)의 돌출량은 일정하게 되도록 설정)함은 물론, 캠부(64)의 위치 어긋남량에 따라, 레버(60)를 길이 방향을 따라, 3 이상의 영역으로 구분하여(예를 들면, 캠부(64)의 위치 어긋남량이 극대가 되는 영역과, 극소가 되는 영역과, 이들 영역에 개재하는 영역으로 구분), 각각의 영역마다 걸어 맞춤 볼록부(64g)의 돌출량을 설정(각 영역 내에서의 걸어 맞춤 볼록부(64g)의 돌출량은 일정하게 되도록 설정)해도 된다.
또한, 레버(60)의 휨 변형은, 수지 재료의 성형 수축률의 이방성 등에 기인하는 것이며, 그 휨 변형의 방향·크기(레버(60)의 어느 부위가 어느 방향으로 어느 정도, 설계상의 위치에서 어긋나는지) 등은, 레버(60)의 형상(길이, 폭, 두께, 그들의 비, 표면에 형성되는 요철, 구멍 등의 형상, 개수, 배치 등)으로부터 예측할 수 있다. 또, 휨 변형의 방향·크기 등을 예측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에도, 레버(60)의 형상이 동일하면 휨 변형의 양태·정도도 동일하기 때문에, 실제로 성형한 레버(60)의 외형을 계측함으로써, 동일 종류의 레버(60)에서의 캠부(64)의 위치 어긋남량을 구할 수 있다.
<레버의 부착>
상기 구성의 레버(60)의 하우징(30)으로의 부착은, 이하와 같이 하여 행해진다.
우선, 도 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버(60)를, 조작부(62)를 상측(캠부(64)를 하측)으로 한 자세로, 하우징(30)의 레버 수용부(35)에 전측으로부터 접근시킨다.
그리고,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버(60)의 관통공(63)에 스프링 아암부(47)의 전단을 삽입 통과시킴과 더불어, 스프링 아암부(47)의 걸어 맞춤 볼록부(47d)와 단자 아암부(45)의 돌기부(45b) 사이에 형성되는 레버 수용부(35)의 개구로부터, 캠부(64)를 삽입시킨다. 이 때, 캠부(64)를 스프링 아암부(47)의 전단에 맞닿게 하여 스프링 아암부(47)를 탄성적으로 휨 변형시키면서, 걸어 맞춤 볼록부(47d)와 걸어 맞춤 볼록부(64g)의 오버랩 부분의 분만큼, 스프링 아암부(47)의 전단을 상방으로 밀어 올려, 캠부(64)를 레버 수용부(35)에 삽입한다.
이에 의해, 도 9(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버(60)가, 하우징(30)의 레버 수용부(35)에 개폐(회동) 가능하게 부착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캠부(64)의 걸어 맞춤 볼록부(64g)는, 레버(60)의 휨 변형에 의해 발생하는 당해 캠부(64)의 위치 어긋남량에 따라, 돌출량이 상이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캠부(64)의 걸어 맞춤 볼록부(64g)는, 레버(60)의 휨 변형에 의해 발생하는 캠부(64)의 위치 어긋남량이 클수록, 돌출량이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레버(60)에 휨 변형이 발생해도,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버(60)에서의 캠부(64)의 위치 어긋남량이 큰 부위에서, 걸어 맞춤 볼록부(47d)와 걸어 맞춤 볼록부(64g)의 오버랩 부분이 과대하게 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당해 부위가, 캠부(64)를 레버 수용부(35)의 개구로부터 삽입시킬 때, 삽입의 장해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레버(60)에 휨 변형이 발생한 경우에도, 레버(60)의 하우징(30)으로의 장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캠부(64)의 걸어 맞춤 볼록부(64g)의 돌출량은, 레버(60)의 길이 전체에 걸쳐 균일하지 않고, 레버(60)의 휨 변형에 의해 발생하는 캠부(64)의 위치 어긋남량에 따라 상이한 것으로 되어 있다. 즉, 레버(60)의 휨 변형에 의해 발생하는 캠부(64)의 위치 어긋남량이 비교적 작은 부위에서는, 걸어 맞춤 볼록부(64g)의 돌출량이 비교적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캠부(64)를 레버 수용부(35)에 삽입한 열림 상태의 레버(60)에 전방으로의 하중이 걸리고, 레버(60)가 열림 위치 상태인 채 전방 또는 상방으로 평행이동 하고, 캠부(64)가 돌기부(45b)를 타고 올라가 버린 경우에도, 휨 변형에 의해 발생한 캠부(64)의 위치 어긋남량이 작은 부위에서의 걸어 맞춤 볼록부(64g)가, 대응하는 걸어 맞춤 볼록부(47d)와 걸어 맞춰져, 레버(60)가 하우징(30)으로부터 빠져 버리는 것을 억제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레버(60)에 휨 변형이 발생한 경우에, 레버(60)의 하우징(30)으로의 장착을 용이하게 하면서, 레버(60)가 하우징(30)으로부터 빠져 버리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레버 개폐>
다음에, 레버(60)가 닫힐 때의 콘택트(40)의 동작을 도 2∼도 4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우선, 케이블(2)을 하우징(30) 내에 삽입한다. 그리고, 케이블(2)을 하우징(30) 내에 삽입한 상태로, 레버(60)를 열림 방향(도 3 및 도 4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접촉면(64d)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프링 아암부(47)의 캠면(47a)에 맞닿아, 캠면(47a)과 슬라이딩한다. 또한, 레버(60)를 닫힘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캠부(64)는, 접촉면(64d)과 캠면(47a)을 슬라이딩시키면서 회동하고, 콘택트(40)의 스프링 아암부(47)의 선단과 단자 아암부(45)의 선단의 간격이 상대적으로 벌어지도록, 스프링 아암부(47)를 탄성적으로 휨 변형시킨다.
그리고, 스프링 아암부(47)의 휨 변형에 수반하여, 연결 스프링부(43)가 탄성적으로 휨 변형된다. 이와 같이, 스프링 아암부(47) 및 연결 스프링부(43)를 휘게 함으로써, 콘택트(40)는, 가동측 콘택트부(42)의 가동측 접촉부(46)와 고정측 콘택트부(41)의 고정측 접촉부(44)의 간격(가동측 접점부(46a)와 고정측 접점부(44a)의 거리)이 작아지도록 탄성적으로 휨 변형된다. 즉, 가동측 접점부(46a)가 고정측 접점부(44a)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케이블(2)은, 가동측 접점부(46a)와 고정측 접점부(44a)가 압접된 상태로, 콘택트(40)에 도통 접속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했는데, 상기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기재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은, 이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기 실시형태에서 개시한 구체적인 기술 사항에 한정하지 않으며, 그로부터 용이하게 도출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변형, 변경, 대체 기술 등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레버(60)가 기립 자세에 있을 때를 열림 위치로 했으나, 레버의 개폐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레버가 기립 자세에 있을 때를 닫힘 위치로 해도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캠부(64)의 걸어 맞춤 볼록부(64g)를, 접촉면(64d)과 측면(64h)으로 형성했으나, 걸어 맞춤 볼록부의 형상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캠부(64)의 방형부(64b)에 있어서의 관통공(63)에 대향하는 면에 형성된 돌기 등, 레버 수용부(35)의 개구 근방에서, 스프링 아암부(47)의 일부에 간섭하는 것이면, 어떠한 형상이어도 된다. 하우징이나 레버, 캠부, 그 외 세부 형상, 크기, 레이아웃 등도, 사양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한 양태는, 시트형상 케이블에 접속되는 복수의 콘택트와, 상기 복수의 콘택트를 제1의 방향으로 병렬하여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레버를 구비하고 있고, 전기 콘택트는, 상기 제1의 방향과 직교하는 제2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아암부를 갖고 있으며, 이 아암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벽과 함께 상기 제2의 방향의 한쪽에 개구하는 레버 수용부를 이루고 있고, 상기 레버는, 상기 레버 수용부에 삽입되고, 상기 레버와 함께 회동하여 상기 아암부를 가압하는 복수의 캠부를 갖고 있고, 이 캠부는, 상기 레버 수용부의 개구 근방에서 상기 아암부의 일부와 간섭하도록 형성된 볼록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캠부의 볼록부는, 상기 레버의 휨 변형에 의해 발생하는 당해 캠부의 위치 어긋남량에 따라, 돌출량이 상이하도록 형성된 커넥터이다.
이 커넥터에 의하면, 캠부의 볼록부는, 레버의 휨 변형에 의해 발생하는 캠부의 위치 어긋남량이 클수록, 돌출량이 작아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레버에 휨 변형이 발생해도, 캠부의 위치 어긋남량이 큰 부위에서의, 아암부와 볼록부의 오버랩 부분이 과대하게 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당해 부위가, 캠부를 레버 수용부의 개구로부터 삽입시킬 때에, 삽입의 장해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에 의하면, 레버에 휨 변형이 발생한 경우에도, 레버의 하우징으로의 장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캠부의 볼록부는, 레버의 휨 변형에 의해 발생하는 캠부의 위치 어긋남량이 비교적 작은 부위에서, 돌출량이 비교적 커지도록 형성할 수 있으므로, 레버에 대해, 캠부가 레버 수용부로부터 빠지는 방향으로 하중이 걸린 경우에도, 캠부의 위치 어긋남량이 작은 부위에서의 볼록부가, 대응하는 아암부와 간섭하여, 레버가 하우징으로부터 빠져 버리는 것을 억제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에 의하면, 레버에 휨 변형이 발생한 경우에도, 레버의 하우징으로의 장착을 용이하게 하면서, 레버가 하우징으로부터 빠져 버리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에서는, 상기 레버의 상기 제1의 방향 중앙부에서의 상기 캠부의 볼록부가, 상기 레버의 상기 제1의 방향 양단부에서의 상기 캠부의 볼록부보다도, 돌출량이 크거나 또는 작아지도록 형성해도 된다. 이렇게 하면, 레버의 제1의 방향 중앙부에서의 캠부의 위치 어긋남량이 가장 커지는 휨 변형 또는 그와 역방향의 휨 변형이 발생한 경우에도, 레버의 하우징으로의 장착을 용이하게 하면서, 레버가 하우징으로부터 빠져 버리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커넥터에서는, 상기 레버의 상기 제1의 방향 중앙부보다도 상기 제1의 방향 한쪽에서의 상기 캠부의 볼록부가, 상기 레버의 상기 제1의 방향 중앙부보다도 상기 제1의 방향 다른쪽에서의 상기 캠부의 볼록부보다도, 돌출량이 크거나 또는 작아지도록 형성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레버의 제1의 방향 중앙부보다 한쪽의 영역에서의 캠부의 위치 어긋남량이 가장 커지는 휨 변형 또는 그와 역방향의 휨 변형이 발생한 경우에도, 레버의 하우징으로의 장착을 용이하게 하면서, 레버가 하우징으로부터 빠져 버리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커넥터에서는, 상기 레버의 상기 제1의 방향 중앙부 및 양단부에서의 상기 캠부의 볼록부가, 상기 제1의 방향 중앙부 및 양단부 사이에 끼워진 영역에서의 상기 캠부의 볼록부보다도, 돌출량이 크거나 또는 작아지도록 형성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레버의 제1의 방향 중앙부 및 양단부에서의 캠부의 위치 어긋남량이, 당해 제1의 방향 중앙부 및 양단부 사이에 끼워진 영역에서의 캠부의 위치 어긋남량보다도 커지는 휨 변형 또는 그와 역방향의 휨 변형이 발생한 경우에도, 레버의 하우징으로의 장착을 용이하게 하면서, 레버가 하우징로부터 빠져 버리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에서는, 상기 캠부의 볼록부는, 상기 제1의 방향을 따라 단계적으로 돌출량이 변화하도록 형성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레버의 캠부의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어, 커넥터의 제작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1 : 커넥터
2 : 케이블
30 : 하우징
35 : 레버 수용부
40 : 콘택트
41 : 고정측 콘택트부
42 : 가동측 콘택트부
47 : 스프링 아암부
47d : 걸어 맞춤 볼록부
60 : 레버
64 : 캠부
64a : 원형부
64b : 방형부
64d : 접촉면
64g : 걸어 맞춤 볼록부

Claims (6)

  1. 시트형상 케이블에 접속되는 복수의 콘택트와,
    상기 복수의 콘택트를 제1의 방향으로 병렬하여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레버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콘택트는, 상기 제1의 방향과 직교하는 제2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아암부를 갖고 있고,
    상기 아암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벽과 함께 상기 제2의 방향의 한쪽으로 개구하는 레버 수용부를 이루고 있고,
    상기 레버는, 상기 레버 수용부에 삽입되어, 상기 레버와 함께 회동하여 상기 아암부를 가압하는 복수의 캠부를 갖고 있고,
    상기 캠부는, 상기 레버 수용부의 개구 근방에서 상기 아암부의 일부와 간섭하도록, 상기 캠부의 외주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볼록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캠부는, 상기 레버의 성형 후의 휨 변형에 의하여 위치 어긋남이 생기고,
    상기 캠부의 위치 어긋남량에 따라, 상기 캠부의 볼록부는, 상기 외주면에서의 돌출량이 상이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캠부의 볼록부는, 상기 레버의 휨 변형에 의해 발생하는 당해 캠부의 위치 어긋남량이 클수록, 돌출량이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상기 제1의 방향 중앙부에서의 상기 캠부의 볼록부는, 상기 레버의 상기 제1의 방향 양단부에서의 상기 캠부의 볼록부보다도, 돌출량이 크거나 또는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상기 제1의 방향 중앙부보다도 상기 제1의 방향 한쪽에서의 상기 캠부의 볼록부는, 상기 레버의 상기 제1의 방향 중앙부보다도 상기 제1의 방향 다른쪽에서의 상기 캠부의 볼록부보다도, 돌출량이 크거나 또는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상기 제1의 방향 중앙부 및 양단부에서의 상기 캠부의 볼록부는, 상기 제1의 방향 중앙부 및 양단부 사이에 끼워진 영역에서의 상기 캠부의 볼록부보다도, 돌출량이 크거나 또는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캠부의 볼록부는, 상기 제1의 방향을 따라 단계적으로 돌출량이 변화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110125059A 2010-11-29 2011-11-28 커넥터 KR1013088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65162 2010-11-29
JP2010265162A JP5555143B2 (ja) 2010-11-29 2010-11-29 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8422A KR20120058422A (ko) 2012-06-07
KR101308841B1 true KR101308841B1 (ko) 2013-09-13

Family

ID=46414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5059A KR101308841B1 (ko) 2010-11-29 2011-11-28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555143B2 (ko)
KR (1) KR101308841B1 (ko)
CN (1) CN102570165B (ko)
TW (1) TWI460930B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9757A (ko) * 2005-05-24 2008-01-29 다이이치 덴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KR20080086824A (ko) * 2007-03-23 2008-09-26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전기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4661A (ja) * 1997-01-29 1998-08-11 Sumitomo Wiring Syst Ltd シート状導電路用コネクタ
US7044773B2 (en) * 2002-08-01 2006-05-16 Ddk Ltd. Connector
JP3656125B2 (ja) * 2002-11-06 2005-06-08 Smk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板状電線接続用コネクタ
JP4731311B2 (ja) * 2005-12-27 2011-07-20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カム構造及び該カム構造を使用するコネクタ
JP4576349B2 (ja) * 2006-03-24 2010-11-0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9757A (ko) * 2005-05-24 2008-01-29 다이이치 덴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KR20080086824A (ko) * 2007-03-23 2008-09-26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전기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570165B (zh) 2014-08-06
JP2012119082A (ja) 2012-06-21
JP5555143B2 (ja) 2014-07-23
TWI460930B (zh) 2014-11-11
KR20120058422A (ko) 2012-06-07
TW201230521A (en) 2012-07-16
CN102570165A (zh) 2012-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75948B2 (en) Connector
JP3124505U (ja) Fpc用電気コネクタ
US7604499B2 (en) Electrical connector
US20120231637A1 (en) Board-to-board connector
KR102012843B1 (ko) 커넥터 단자 어셈블리
US20070254534A1 (en) Electrical connector
US20040248447A1 (en) Connector
JP2015511379A (ja) 電気コネクタ接触端子
US8267709B2 (en) FPC connector
JP2007324029A (ja) 電気接続用端子及びこれを用いたコネクタ
US20110104938A1 (en) Fpc u-shaped nail
KR20110113146A (ko) 커넥터
US8529302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flat conductor
US7950952B2 (en) FPC connector with rotating latch
JP4707610B2 (ja) ケーブル用コネクタ
CN109478746B (zh) 连接器
US20060281353A1 (en) Connector
US9190757B2 (en) Connector, connector assembly, and cable for use in the connector assembly
KR101308841B1 (ko) 커넥터
US8876544B2 (en) Connector having rotatable actuation lever which can lock a connection between a mating connector and the connector when actuated
KR20110113147A (ko) 커넥터
JP4951085B2 (ja) コネクタ
KR100591116B1 (ko) 전기 커넥터
JP5993755B2 (ja) 電気コネクタ
JP4398914B2 (ja) ケーブル用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