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8490B1 - 수중모터펌프 - Google Patents

수중모터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8490B1
KR101308490B1 KR1020130042610A KR20130042610A KR101308490B1 KR 101308490 B1 KR101308490 B1 KR 101308490B1 KR 1020130042610 A KR1020130042610 A KR 1020130042610A KR 20130042610 A KR20130042610 A KR 20130042610A KR 101308490 B1 KR101308490 B1 KR 1013084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casing
unit
motor
casing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2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효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영진 엔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영진 엔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영진 엔테크
Priority to KR1020130042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84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8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84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5/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5/02Stopping of pumps, or operating valves, on occurrence of unwanted conditions
    • F04D15/0209Stopping of pumps, or operating valves, on occurrence of unwanted conditions responsive to a condition of the working fluid
    • F04D15/0218Stopping of pumps, or operating valves, on occurrence of unwanted conditions responsive to a condition of the working fluid the condition being a liquid level or a lack of liquid supply
    • F04D15/0236Lack of liquid level being detected by analysing the parameters of the electric drive, e.g. current or power consump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13/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04D13/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for submerged 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5/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5/0005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by us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5/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5/02Stopping of pumps, or operating valves, on occurrence of unwanted conditions
    • F04D15/0245Stopping of pumps, or operating valves, on occurrence of unwanted conditions responsive to a condition of the pump
    • F04D15/0254Stopping of pumps, or operating valves, on occurrence of unwanted conditions responsive to a condition of the pump the condition being speed or lo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07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0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445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1Kind or type liquid, i.e. in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60/00Function
    • F05D2260/60Fluid transf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5/00Rotary kinetic fluid motors or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Control Of 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의 수위변화에 따라 펌프의 작동이 제어될 수 있도록 한 수중모터펌프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하부 유입구 및 상기 유입구와 연결된 일측 배출구를 갖는 하부케이싱; 상기 하부케이싱의 상부에 결합된 상부케이싱; 상기 하부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된 임펠러; 상기 임펠러와 연결되도록 상기 상부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된 모터; 상기 하부케이싱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유량을 측정하는 센싱유닛; 및 상기 센싱유닛 및 상기 모터와 연결되어 센싱유닛으로부터 수신된 측정값에 따라 모터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컨트롤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센싱유닛이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유량을 측정하고, 컨트롤유닛이 센싱유닛으로부터 수신된 측정값에 따라 모터의 회전수를 제어하게 됨으로써, 수위변화와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양의 유체를 양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중모터펌프{Submersible motor pump}
본 발명은 수중모터펌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체의 수위변화에 따라 펌프의 작동이 제어될 수 있도록 한 수중모터펌프에 관한 것이다.
유체의 수위변화에 따라 펌프의 작동이 제어될 수 있도록 한 수중모터펌프에 관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06866호(2012.11.30.공고, 이하 '선행기술'이라고 함) "압력 스위치를 이용한 수중 펌프 장치"]가 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오수 및 폐수를 포함하는 유체에 침수시켜 사용하는 수중펌프 장치에 있어서,
배전제어반으로부터 급전선으로 제공되는 전력에 의해 동작하는 펌프모터;와
상기 펌프모터의 회전수를 조절하는 기어박스부;
상기 기어박스부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으로써 동작하는 펌프유닛;과
상기 펌프유닛에 연결되어 유체를 펌프로 인입시키는 임펠러 유닛; 및
상기 임펠러 유닛과 펌프유닛으로부터 펌핑된 유체를 배출하는 배수구를 구비하고,
수중 펌프의 일측에, 하방이 개방되고 상방이 밀폐되며 하방의 주변에 개구부를 더 구비한 챔버를 구비하고, 상기 챔버의 일측에 각기 다른 압력에 동작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압력 스위치를 설치하여 상기 압력 스위치의 작동 압력에 따라 수중 펌프의 동작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유체의 수위변화에 따라 펌프의 기동을 자동으로 동작시킬 뿐만 아니라, 수위별로 수중 펌프의 구동 속도가 선택되도록 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다.
상기 선행기술은 둘 이상의 압력 스위치를 설치하여 유체의 수위별로 수중 펌프의 구동 속도가 선택되도록 하고는 있으나,
상호 인접 배치된 두 압력 스위치의 사이에서 일어나는 수위변화에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없으며, 챔버 및 다수의 압력 스위치가 구비되어야 함으로써 장치가 복잡해지고 대형화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수중모터펌프가 설치되는 곳은 시야 확보가 어렵고, 바닥에 침전물이 퇴적 및 고착된 경우가 빈번한바, 수중모터펌프의 사용시 수중환경의 시야 확보와, 바닥에 퇴적 및 고착된 침전물의 분산, 분쇄를 위한 별도의 기술이 요구되는 바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수위변화에 즉각적으로 대응하여 항상 일정한 양의 유체를 양수할 수 있도록 하되, 이를 위한 장치가 더욱 간단하고 소형화될 수 있도록 한 수중모터펌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펌프 설치장소의 수중환경에 대한 시야 확보가 가능하고, 설치장소의 바닥에 퇴적 및 고착된 침전물을 분산 및 분쇄할 수 있도록 한 수중모터펌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수중모터펌프는,
하부 유입구 및 상기 유입구와 연결된 일측 배출구를 갖는 하부케이싱;
상기 하부케이싱의 상부에 결합된 상부케이싱;
상기 하부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된 임펠러;
상기 임펠러와 연결되도록 상기 상부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된 모터;
상기 하부케이싱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유량을 측정하는 센싱유닛; 및
상기 센싱유닛 및 상기 모터와 연결되어 센싱유닛으로부터 수신된 측정값에 따라 모터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컨트롤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수중모터펌프는 상기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싱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유체를 하방 분사하게 되는 분사유닛; 및
상기 하부케이싱 또는 상부케이싱에 설치되어 수중환경을 촬영하게 되는 카메라유닛;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수중모터펌프는,
센싱유닛이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유량을 측정하고, 컨트롤유닛이 센싱유닛으로부터 수신된 측정값에 따라 모터의 회전수를 제어하게 됨으로써, 수위변화와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양의 유체를 양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분사유닛이 설치됨에 따라 펌프 설치장소의 바닥에 퇴적 및 고착된 침전물의 분산 및 분쇄가 가능하고, 카메라유닛이 설치됨에 따라 수중환경에 대한 시야 확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수중모터펌프의 단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수중모터펌프의 다면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수중모터펌프는 크게 하부케이싱(100), 상부케이싱(200), 임펠러(300), 모터(400), 센싱유닛(500) 및 컨트롤유닛(600)으로 이루어진다.
하부케이싱(100)은 공지의 와류형 케이싱(spiral casing)으로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하부에 형성된 유입구(110) 및 이 유입구(110)와 연결되도록 일측에 형성된 배출구(120)를 갖는다.
유입구(110)는 하부케이싱(100)의 내측에서 하방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배출구(120)는 하부케이싱(100)의 내측에서 일측으로 연결된 후, 상방 개방되도록 절곡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케이싱(100)의 하측에는 방사상으로 배열된 다수의 개구부(131)를 갖는 받침대(130)가 설치된다.
받침대(130)는 하부케이싱(100)을 펌프 설치장소의 바닥에서 이격시킴으로써, 유체가 유입구(110)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게 한다.
상부케이싱(200)은 하부케이싱(100)의 상부에 결합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케이싱(200)의 상단부에는 펌프의 인양(引揚)시 윈치(winch)의 후크(hook) 또는 섀클(shackle)이 걸리게 되는 고리부(210)가 형성된다.
임펠러(300)는 하부케이싱(100)의 내부에 설치되며, 모터(400)에 의해 회전된다.
결국, 펌프 설치장소에 고여있던 유체는 임펠러(300)의 회전 동작에 의해 하부케이싱(100)의 유입구(110)를 통하여 흡입된 후, 배출구(120) 측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배출구(120) 측으로 배출되는 유체는 배출구(120)에 연결된 별도의 배관을 따라 이송되어 펌프 설치장소의 외부로 양수(揚水)된다.
모터(400)는 그 회전축이 임펠러(300)와 연결되도록 상부케이싱(200)의 내부에 설치된다.
모터(400)는 상부케이싱(200)에 의해 밀폐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모터(400)와 상부케이싱(200) 사이에는 공지의 메카니컬 씰(mechanical seal)이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센싱유닛(500)은 하부케이싱(100)에 설치되어 배출구(120)를 통해 배출되는 유량을 측정하게 된다.
센싱유닛(500)은 공지의 유량센서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센싱유닛(500)은 압축형 로드셀(load cell)로 이루어져 배출구(120)의 절곡된 부분에 설치된다. 그리고 이때 상기 압축형 로드셀은 그 압축 방향이 유체의 배출 방향과 수평하게 배치되는데, 이에 따라 센싱유닛(500)은 배출구(120)를 통해 배출되는 유량을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컨트롤유닛(600)은 센싱유닛(500) 및 모터(400)와 연결되어 센싱유닛(500)으로부터 수신된 측정값에 따라 모터(400)의 회전수를 제어하게 된다.
결국, 사용자가 컨트롤유닛(600)을 이용하여 희망하는 양수량(揚水量)을 설정하게 되면, 컨트롤유닛(600)은 설정된 기준값과 센싱유닛(500)으로부터 수신된 측정값을 비교하여 모터(400)의 회전수를 제어하게 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수중모터펌프는 펌프 설치장소의 수위가 변화하더라도 항상 일정한 양의 유체를 양수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참고로, '도 2'의 'A'는 해당부위의 확대도이며, '도 2'의 'B'는 해당부위의 저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수중모터펌프는 상기 제1실시예에 의한 수중모터펌프에 분사유닛(700) 및 카메라유닛(80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분사유닛(700)은 하부케이싱(100)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하부에 방사상으로 배열된 다수의 분사공(711)을 갖고, 하부케이싱(100)의 유입구(110) 외측에 배치된 링(ring) 형태의 분사파이프(710);
하부케이싱(100)의 배출구(120)와 분사파이프(710)를 연결하는 공급파이프(720); 및
공급파이프에 설치된 밸브(7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밸브(730)는 공지의 전자밸브로 이루어져 상기 컨트롤유닛(600)과 연결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컨트롤유닛(600)을 이용하여 밸브(730)를 조작함으로써 공급파이프(720)를 개폐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밸브(730)의 조작에 의하여 공급파이프(720)가 개방되면, 하부케이싱(100)의 배출구(120)를 통해 배출되던 유체의 일부는 공급파이프(720)를 통해 분사파이프(710)로 이송되고, 분사파이프(710)로 이송된 유체는 각 분사공(711)을 통해 하방 분사된다.
결국, 사용자는 분사유닛(700)에 의해 하방 분사되는 유체를 이용하여 펌프 설치장소의 바닥에 퇴적 및 고착된 침전물을 분산 및 분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펌프 설치장소의 바닥에 퇴적 및 고착된 침전물을 유체와 함께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카메라유닛(800)은 하부케이싱(100) 또는 상부케이싱(200)에 설치되어 펌프 설치장소의 수중환경을 촬영하게 된다.
카메라유닛(800)은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되어 사용자에게 수중환경을 화면으로 제공하게 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수중환경에 대한 시야 확보가 가능해지게 됨으로써 수중모터펌프를 설치장소 내 적당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으며, 양수 작업의 진행상황 또는 결과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2'의 'B'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카메라유닛(800)은 조명모듈(8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조명모듈(820)은 펌프 설치장소의 수중환경을 비추어 사용자로 하여금 수중환경을 더욱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게 한다.
조명모듈(8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유닛(800)의 렌즈(810) 외측에 방사상으로 배열되는 형태로써 카메라유닛(800)과 일체로 구비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하부케이싱(100) 또는 상부케이싱(200)에 카메라유닛(800)과는 별도로 장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수중모터펌프"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하부케이싱
110 ; 유입구
120 ; 배출구
130 ; 받침대
131 ; 개구부
200 ; 상부케이싱
210 ; 고리부
300 ; 임펠러
400 ; 모터
500 ; 센싱유닛
600 ; 컨트롤유닛
700 ; 분사유닛
710 ; 분사파이프
711 ; 분사공
720 ; 공급파이프
730 ; 밸브
800 ; 카메라유닛
810 ; 렌즈
820 ; 조명모듈

Claims (4)

  1. 하부 유입구(110) 및 상기 유입구(110)와 연결된 일측 배출구(120)를 갖는 하부케이싱(100);
    상기 하부케이싱(100)의 상부에 결합된 상부케이싱(200);
    상기 하부케이싱(100)의 내부에 설치된 임펠러(300);
    상기 임펠러(300)와 연결되도록 상기 상부케이싱(200)의 내부에 설치된 모터(400);
    상기 하부케이싱(100)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구(120)를 통해 배출되는 유량을 측정하는 센싱유닛(500);
    상기 센싱유닛(500) 및 상기 모터(400)와 연결되어 센싱유닛(500)으로부터 수신된 측정값에 따라 모터(400)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컨트롤유닛(600);
    상기 하부케이싱(10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구(120)를 통해 배출되는 유체를 하방 분사하게 되는 분사유닛(700); 및
    상기 하부케이싱(100) 또는 상부케이싱(200)에 설치되어 수중환경을 촬영하게 되는 카메라유닛(800);을 포함하되,
    상기 분사유닛(700)은
    하부에 방사상으로 배열된 다수의 분사공(711)을 갖고, 상기 유입구(110)의 외측에 배치된 링 형태의 분사파이프(710);
    상기 하부케이싱(100)의 배출구(120)와 상기 분사파이프(710)를 연결하는 공급파이프(720); 및
    상기 공급파이프(720)에 설치되되, 상기 컨트롤유닛(600)과 연결되어 상기 공급파이프(720)를 개폐시키게 되는 밸브(7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수중모터펌프.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30042610A 2013-04-18 2013-04-18 수중모터펌프 KR1013084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2610A KR101308490B1 (ko) 2013-04-18 2013-04-18 수중모터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2610A KR101308490B1 (ko) 2013-04-18 2013-04-18 수중모터펌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8490B1 true KR101308490B1 (ko) 2013-09-17

Family

ID=49456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2610A KR101308490B1 (ko) 2013-04-18 2013-04-18 수중모터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849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1023B1 (ko) * 2013-11-12 2014-09-23 하지공업(주) 펌프
KR101694972B1 (ko) 2016-02-16 2017-01-10 주식회사 우승산업 수중모터펌프 수위감지장치
KR101848291B1 (ko) * 2017-11-06 2018-05-28 주식회사 이공기전 하천 범람 방지용 수중 펌프
KR102026289B1 (ko) 2019-03-06 2019-09-30 (주)아이오텍 무선전력에 의해 동작하는 펌프 일체형 수중모터 및 펌프 일체형 수중모터 제어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34801U (ko) * 1975-04-22 1976-10-30
JP2001041190A (ja) * 1999-07-30 2001-02-13 Shintoo:Kk 水中ポンプ
JP2001336493A (ja) * 2000-05-29 2001-12-07 Kurimoto Ltd 土砂採取用サンドポンプ装置
JP2003336593A (ja) * 2002-05-20 2003-11-28 Toyo Denki Industrial Co Ltd 水中ポンプ及び水中ポンプの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34801U (ko) * 1975-04-22 1976-10-30
JP2001041190A (ja) * 1999-07-30 2001-02-13 Shintoo:Kk 水中ポンプ
JP2001336493A (ja) * 2000-05-29 2001-12-07 Kurimoto Ltd 土砂採取用サンドポンプ装置
JP2003336593A (ja) * 2002-05-20 2003-11-28 Toyo Denki Industrial Co Ltd 水中ポンプ及び水中ポンプの制御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1023B1 (ko) * 2013-11-12 2014-09-23 하지공업(주) 펌프
KR101694972B1 (ko) 2016-02-16 2017-01-10 주식회사 우승산업 수중모터펌프 수위감지장치
KR101848291B1 (ko) * 2017-11-06 2018-05-28 주식회사 이공기전 하천 범람 방지용 수중 펌프
KR102026289B1 (ko) 2019-03-06 2019-09-30 (주)아이오텍 무선전력에 의해 동작하는 펌프 일체형 수중모터 및 펌프 일체형 수중모터 제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8490B1 (ko) 수중모터펌프
AU2005204246B2 (en) Variable speed pumping system and method
US4934914A (en) Portable motor pump
CN104265615B (zh) 一体式预制成品泵站
KR100938251B1 (ko) 하수의 역류방지 및 오니제거를 위한 하수구구조
US4576197A (en) Pump suction vacuum lift vortex control
CN206655714U (zh) 一种自动开关矿井虹吸排水装置
ITMI20001817A1 (it) Pompa centrifuga raffreddata ad acqua.
KR101109518B1 (ko) 배수용 수중펌프
JP2008267080A (ja) 給水システム
KR101246929B1 (ko) 수중모터펌프
KR101480510B1 (ko) 이중 구조의 수조를 갖는 분수대
CN107514054A (zh) 防涝一体化污水预制泵站
KR101254083B1 (ko) 공동수로가 구비된 연결배관 일체형 지하수 상부 밀폐 장치
SE1450465A1 (sv) Pumpstation för avloppsvatten samt insats därför
KR101800972B1 (ko) 취수용 펌프 제어시스템
JP2008144629A (ja) 先行待機型水中ポンプ装置
CN201475438U (zh) 逆止阀改良结构
KR100780311B1 (ko) 수위조절장치
KR102454316B1 (ko) 구조물 직결형 펌프 시스템
JP2006250004A (ja) 集合ポンプ装置
KR101250704B1 (ko) 배수 펌프
CN210835741U (zh) 一种基于物联网的湿地水位控制装置
CN210656464U (zh) 一体化农村污水处理设备
JP5058893B2 (ja) ポンプ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