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8291B1 - 하천 범람 방지용 수중 펌프 - Google Patents

하천 범람 방지용 수중 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8291B1
KR101848291B1 KR1020170146374A KR20170146374A KR101848291B1 KR 101848291 B1 KR101848291 B1 KR 101848291B1 KR 1020170146374 A KR1020170146374 A KR 1020170146374A KR 20170146374 A KR20170146374 A KR 20170146374A KR 101848291 B1 KR101848291 B1 KR 1018482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enoid valve
pressure
pump
pip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6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국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공기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공기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공기전
Priority to KR1020170146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82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8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82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13/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04D13/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for submerged 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5/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5/0005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by us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8Sealings
    • F04D29/086Sealings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Control Of 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천 범람 방지용 수중 펌프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펌프본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기체가 압축되어 저장되는 압력탱크; 일단이 상기 펌프본체에 연결된 제1배관; 일단이 상기 압력탱크에 연결된 제2배관; 일단에 배출구가 형성된 제3배관; 일단이 상기 제1배관의 타단에 연결된 제1솔밸브(Solenoid valve); 일단이 상기 제2배관의 타단에 연결된 제2솔밸브; 일단이 상기 제3배관의 타단에 연결된 제3솔밸브; 상기 제1솔밸브의 타단, 제2솔밸브의 타단 및 제3솔밸브의 타단이 서로 연통되도록 연결된 연결관; 및 상기 제1솔밸브, 제2솔밸브 및 제3솔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펌프본체에는 상기 펌프본체 내부에 수밀이 유지되도록 하는 메카니컬 씰(mechanical seal) 및 오일 씰(Oil seal)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하천 범람 방지용 수중 펌프{A SUBMERSIBLE PUMP FOR PREVENTING RIVER FLOODING AND ITS DRIVING METHOD}
본 발명은 하천 범람 방지용 수중 펌프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수중 펌프의 내부 압력이 외부 압력보다 높게 유지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수중 펌프의 수밀성이 향상되어 하천이 수중 펌프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하천 범람 방지용 수중 펌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중 펌프는 수중에 설치되어 유체를 흡입한 후 강제로 유동시키는 장치로서,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임펠러가 회전되면서 케이싱의 흡입구를 통해 유체를 흡입한 후, 토출구를 통해 배출하면서 유체를 강제로 유동시키는 장치이다.
이와 관련된 기술 중 하나로, 등록특허 제 10-1709997 호에는 수중용 스프르트 펌프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수중용 스프르트 펌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수중용 스프르트 펌프를 설명하자면, 임펠러의 상, 하부플레이트 사이에 날개부를 형성하되, 상기 날개부의 제2날개로 케이싱과 임펠러 사이로 공급된 유체를 1차 타격 후, 연속하여 제1날개로 2차 타격하여, 유체의 원심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종래의 수중용 스프르트 펌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중공형상으로 상, 하부가 개방되고, 외면에 토출구(1a)를 형성한 케이싱(1); 상기 케이싱(1) 상부에 설치되고, 그 중앙부에 상기 케이싱(1) 내로 삽입되어 회전 작동되는 회전축(2a)을 형성한 구동모터(2); 판재형상으로 상기 케이싱(1)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모터(2)의 회전축(2a)과 결합되는 축결합공(3a)을 형성한 상부플레이트(3)와, 상기 상부플레이트(3) 하부로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어 그 중앙부에 상기 케이싱(1) 하부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의 유입을 허용하는 유입홀(4a)을 형성한 하부플레이트(4) 및 상기 상, 하부플레이트(3, 4)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유입홀(4a)을 통해 유입되는 유체를 상기 유입홀(4a)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배출하여 타격하는 날개부(5a)를 형성한 임펠러(5);로 구성된 수중용 스프르트 펌프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5)의 날개부(5a)는, 상기 하부플레이트(4)의 유입홀(4a) 테두리 일 지점에서 상기 상부플레이트(3)의 외측방향으로 만곡 지면서, 그 타단이 상기 상, 하부플레이트(3, 4)의 외주면 사이를 수직으로 연결하도록 엘보형상을 이루며, 일단과 타단 사이에 상기 유입홀(4a)을 통해 유입된 유체가 상기 케이싱(1) 내주면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단일의 배출홀(5aaa)을 형성한 제1날개(5aa)와; 일단이 상기 제1날개(5aa)의 일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상, 하부플레이트(3, 4)의 외주면 사이를 수직 방향으로 연결하며,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상기 제1날개(5aa)에서 점차적으로 벌어져, 그 타단이 상기 제1날개(5aa)의 타단에서 정해진 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제2날개(5ab);를 형성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제1날개(5aa) 및 제2날개(5ab)가 구비되어 임펠러(5)에 의해 유입되고 토출되는 유체를 타격하게 됨으로써, 흡입압력과 토출압력이 향상될 수 있으나, 수중용 스프르트 펌프가 장시간 수중에 머무르게 되면서 발생하게 되는 수밀성에 대한 방안은 구비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 10-1709997 호(2017.02.20.) 등록특허공보 제 10-1736268 호(2017.05.10.) 등록특허공보 제 10-1605104 호(2016.03.22.)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수중 펌프의 내부 압력이 외부 압력보다 높게 유지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수중 펌프의 수밀성이 향상되어 하천이 수중 펌프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하천 범람 방지용 수중 펌프를 제공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천 범람 방지용 수중 펌프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펌프본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기체가 압축되어 저장되는 압력탱크; 일단이 상기 펌프본체에 연결된 제1배관; 일단이 상기 압력탱크에 연결된 제2배관; 일단에 배출구가 형성된 제3배관; 일단이 상기 제1배관의 타단에 연결된 제1솔밸브(Solenoid valve); 일단이 상기 제2배관의 타단에 연결된 제2솔밸브; 일단이 상기 제3배관의 타단에 연결된 제3솔밸브; 상기 제1솔밸브의 타단, 제2솔밸브의 타단 및 제3솔밸브의 타단이 서로 연통되도록 연결된 연결관; 및 상기 제1솔밸브, 제2솔밸브 및 제3솔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펌프본체에는 상기 펌프본체 내부에 수밀이 유지되도록 하는 메카니컬 씰(mechanical seal) 및 오일 씰(Oil seal)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펌프본체 내부의 압력이 상기 펌프본체 외부의 압력보다 큰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1솔밸브, 제2솔밸브 및 제3솔밸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연결관과 인접한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관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압력을 측정하는 내부압력센서 및 상기 연결관과 인접한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관의 외부에서 발생되는 압력을 측정하는 외부압력센서가 포함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부압력센서 및 외부압력센서에서 측정되는 압력에 따라 상기 제1솔밸브, 제2솔밸브 및 제3솔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솔밸브, 제2솔밸브 및 제3솔밸브 중 제1솔밸브만을 개방시켜 상기 내부압력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압력이 압력기준치보다 낮은 경우 상기 제2솔밸브를 추가로 개방시켜 상기 펌프본체의 압력이 증가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솔밸브, 제2솔밸브 및 제3솔밸브 중 제1솔밸브만을 개방시켜 상기 내부압력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압력이 압력기준치보다 높은 경우 상기 제3솔밸브를 추가로 개방시켜 상기 펌프본체의 압력이 감소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모터가 정지 상태인 경우 상기 내부압력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압력을 제1압력기준치와 비교하고, 상기 구동모터가 동작 상태인 경우 상기 내부압력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압력을 제2압력기준치와 비교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압력기준치는 상기 제1압력기준치보다 높은 압력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천 범람 방지용 수중 펌프의 구동 방법은, 제1배관을 개폐하는 제1솔밸브를 개방하여 펌프본체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측정단계; 상기 압력측정단계에서 측정된 펌프본체의 압력을 압력기준치와 비교하는 비교단계; 상기 비교단계에서 비교된 펌프본체의 압력이 압력기준치보다 낮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2배관을 개폐하는 제2솔밸브를 개방하여 압력탱크로부터 펌프본체로 기체가 주입되도록 하는 주입단계; 및 상기 비교단계에서 비교된 펌프본체의 압력이 압력기준치보다 높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3배관을 개폐하는 제3솔밸브를 개방하여 배출구를 통해 기체가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펌프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구동모터의 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교단계는, 상기 판단단계에서 상기 구동모터가 정지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펌프본체의 압력을 제1압력기준치와 비교하고, 상기 판단단계에서 상기 구동모터가 동작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펌프본체의 압력을 제2압력기준치와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가 동작 상태일 경우에 상기 펌프본체의 압력과 비교되는 제2압력기준치는 상기 구동모터가 정지 상태일 경우에 상기 펌프본체의 압력과 비교되는 제1압력기준치보다 높은 압력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천 범람 방지용 수중 펌프에 의하면, 수중 펌프의 내부 압력이 외부 압력보다 높게 유지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수중 펌프의 수밀성이 향상되어 하천이 수중 펌프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내부압력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압력에 따라 제2솔밸브 또는 제3솔밸브를 개폐함으로써, 펌프본체 내부의 압력이 압력기준치보다 낮은 경우에는 기체가 주입되어 압력이 증가되도록 하고, 펌프본체 내부의 압력이 압력기준치보다 높을 경우에는 기체가 배출되어 압력이 감소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수중용 스프르트 펌프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천 범람 방지용 수중 펌프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천 범람 방지용 수중 펌프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천 범람 방지용 수중 펌프의 펌프본체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천 범람 방지용 수중 펌프의 제1배관 내지 제3배관, 제1솔밸브 내지 제3솔밸브, 연결관 및 내부압력센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하천 범람 방지용 수중 펌프의 구동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은 수중 펌프의 내부 압력이 외부 압력보다 높게 유지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수중 펌프의 수밀성이 향상되어 하천이 수중 펌프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하천 범람 방지용 수중 펌프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하천 범람 방지용 수중 펌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천 범람 방지용 수중 펌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천 범람 방지용 수중 펌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천 범람 방지용 수중 펌프의 펌프본체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천 범람 방지용 수중 펌프의 제1배관 내지 제3배관, 제1솔밸브 내지 제3솔밸브, 연결관 및 내부압력센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2 내지 도 5에 따르면, 본 발명의 하천 범람 방지용 수중 펌프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11)를 포함하는 펌프본체(10),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기체가 압축되어 저장되는 압력탱크(20), 일단이 상기 펌프본체(10)에 연결된 제1배관(30), 일단이 상기 압력탱크(20)에 연결된 제2배관(40), 일단에 배출구(51)가 형성된 제3배관(50), 일단이 상기 제1배관(30)의 타단에 연결된 제1솔밸브(Solenoid valve)(60), 일단이 상기 제2배관(40)의 타단에 연결된 제2솔밸브(70), 일단이 상기 제3배관(50)의 타단에 연결된 제3솔밸브(80), 상기 제1솔밸브(60)의 타단, 제2솔밸브(70)의 타단 및 제3솔밸브(80)의 타단이 서로 연통되도록 연결된 연결관(90) 및 상기 제1솔밸브(60), 제2솔밸브(70) 및 제3솔밸브(80)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11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펌프본체(10)에는 상기 펌프본체(10) 내부에 수밀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메카니컬 씰(Mechanical seal)(17) 및 오일 씰(Oil seal)(18)이 구비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서 실선은 물리적 연결을 나타낸 것이고, 점선은 전기적 연결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펌프본체(10)의 상기 구동모터(11)는 상기 펌프본체(10) 내부의 임펠러(12)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펌프본체(10) 외부의 유체를 강제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펌프본체(10)의 내부로 연결되는 에어케이블(15)이 커넥터(16)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커넥터(16)의 타단은 상기 제1배관(30)의 일단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1배관(30)의 일단과 상기 펌프본체(10)가 결합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구동모터(11)가 상기 임펠러(12)를 구동시키는 경우, 상기 펌프본체(10)의 유입구(13)를 통해 유체가 흡입되고 흡입된 유체는 상기 펌프본체(10)의 토출구(14)를 통해 배출되어 유체가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압력탱크(20)는 외부에 별도로 구비되는 콤프레샤(120) 등으로부터 공급되는 기체가 압축되어 저장되는 것으로서, 외부에 구비되는 콤프레셔(Compressor)에서 지속적으로 기체가 공급되어 압축 저장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상기 펌프본체(10)에 압축된 기체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연결관(90)은 상기 제1솔밸브(60)의 타단, 제2솔밸브(70)의 타단 및 제3솔밸브(80)의 타단이 서로 연통되도록 상기 제1솔밸브(60), 제2솔밸브(70) 및 제3솔밸브(80)의 사이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T'자 형상 또는 'Y'자 형상의 관(Pipe)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압력탱크(20)로부터 펌프본체(10)로 공급되는 기체를 제어하고, 상기 펌프본체(10)에서 배출되는 기체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펌프본체(10)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펌프본체(10) 내부의 압력이 상기 펌프본체(10) 외부의 압력보다 큰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1솔밸브(60), 제2솔밸브(70) 및 제3솔밸브(80)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펌프본체(10) 외부의 유체가 상기 펌프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에는 상기 연결관(90)과 인접한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관(90)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압력을 측정하는 내부압력센서(111) 및 상기 연결관(90)과 인접한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관(118)의 외부에서 발생되는 압력을 측정하는 외부압력센서(112)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내부압력센서(111) 및 외부압력센서(112)에서 측정되는 압력에 따라 상기 제1솔밸브(60), 제2솔밸브(70) 및 제3솔밸브(80)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외부압력센서(112)를 통해 펌프본체(10)의 외부 압력을 측정하고 상기 제1솔밸브(60), 제2솔밸브(70) 및 제3솔밸브(80) 중 제1솔밸브(60)만을 개방시켜 상기 펌프본체(10)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상태에서, 상기 내부압력센서(111)를 통해 측정되는 압력과 상기 외부압력센서(112)를 통해 측정되는 압력의 비교 값이 압력기준치보다 낮은 경우 상기 제2솔밸브(70)를 추가로 개방시켜 상기 펌프본체(10)의 압력이 증가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상기 내부압력센서(111)를 통해 측정되는 압력과 상기 외부압력센서(112)를 통해 측정되는 압력의 비교 값이 압력기준치보다 높은 경우 상기 제3솔밸브(80)를 추가로 개방시켜 상기 펌프본체(10)의 압력이 감소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는, 상기 펌프본체(10) 내부의 압력이 상기 펌프본체(10) 외부의 압력보다 낮을 경우 상기 펌프본체(10) 외부의 유체가 상기 펌프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고, 상기 펌프본체(10) 내부의 압력이 지나치게 높을 경우 상기 펌프본체(10) 내부의 부품에 무리가 갈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구동모터(11)가 정지 상태인 경우 상기 내부압력센서(111)를 통해 측정되는 압력을 제1압력기준치와 비교하고, 상기 구동모터(11)가 동작 상태인 경우 상기 내부압력센서(111)를 통해 측정되는 압력과 상기 외부압력센서(112)를 통해 측정되는 압력의 비교 값을 제2압력기준치와 비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모터(11)가 동작 상태인 경우 상기 구동모터(11)의 동작에 따라 발생되는 외란에 의해 상기 펌프본체(10) 외부의 압력과 상기 펌프본체(10) 내부의 압력의 변동 값이 커지게 되므로, 상기 구동모터(11)가 동작 상태일 때 측정되는 압력과 비교되는 상기 제2압력기준치는 상기 구동모터(11)가 정지 상태일 때 측정되는 압력과 비교되는 상기 제1압력기준치보다 높은 압력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펌프본체(10)가 10m 내외의 깊이에 설치되고 상기 펌프본체(10)의 외부에서 발생되는 압력이 1기압(atm)인 경우, 상기 구동모터(11)가 정지 상태일 때 측정되는 압력과 비교되는 상기 제1압력기준치는 2기압(atm)으로 설정될 수 있고, 상기 구동모터(11)가 구동 상태일 때 측정되는 압력과 비교되는 상기 제2압력기준치는 상기 제1압력기준치보다 높은 압력으로 설정됨으로써, 상기 펌프본체(10) 외부의 유체가 상기 펌프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11)가 정지 상태일 때 상기 펌프본체(10) 내부의 온도가 30℃로 측정되는 경우, 상기 구동모터(11)가 동작 상태일 때는 상기 펌프본체(10) 내부의 온도가 80 ~ 100℃까지 상승되게 되는데, 이 경우 상기 펌프본체(10) 내부의 압력이 증가되어 상기 펌프본체(10) 내부의 부품에 무리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상기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하천 범람 방지용 수중 펌프의 구동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첨부된 도 6 및 도 7에 따르면, 본 발명의 하천 범람 방지용 수중 펌프의 구동 방법은 압력측정단계(S10), 비교단계(S20), 주입단계(S30) 및 배출단계(S40)를 포함한다.
상기 압력측정단계(S10)는 제1배관(30)을 개폐하는 제1솔밸브(60)를 개방하여 펌프본체(10)의 압력을 측정하는 단계로서, 제1솔밸브(60)의 타단, 제2솔밸브(70)의 타단 및 제3솔밸브(80)의 타단을 연결하는 연결관(90)에 구비되는 내부압력센서(111)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하천 범람 방지용 수중 펌프의 구동 방법에는, 상기 압력측정단계(S10) 이후, 상기 펌프본체(10)의 내부에 구비되는 구동모터(11)의 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S15)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비교단계(S20)는 상기 압력측정단계(S10)에서 측정된 펌프본체(10)의 압력을 압력기준치와 비교하는 단계로서, 상기 펌프본체(10)의 압력과 미리 설정된 압력 압력기준치를 비교하는 것이다.
즉 상기 비교단계(S20)는, 상기 판단단계(S15)에서 상기 구동모터(11)가 정지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펌프본체(10)의 압력을 제1압력기준치와 비교(S20a)하고, 상기 판단단계(S15)에서 상기 구동모터(11)가 동작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펌프본체(10)의 압력을 제2압력기준치와 비교(S20b)하는 것이다.
상기 주입단계(S30)는, 상기 비교단계(S20)에서 비교된 펌프본체(10)의 압력이 압력기준치보다 낮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2배관(40)을 개폐하는 제2솔밸브(70)를 개방하여 압력탱크(20)로부터 펌프본체(10)로 기체가 주입되도록 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주입단계(S30)는, 상기 펌프본체(10) 내부의 압력이 상기 펌프본체(10) 외부의 압력보다 큰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여 상기 펌프본체(10) 외부의 유체가 상기 펌프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단계이다.
상기 배출단계(S40)는, 상기 비교단계(S20)에서 비교된 펌프본체(10)의 압력이 압력기준치보다 높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3배관(50)을 개폐하는 제3솔밸브(80)를 개방하여 배출구(51)를 통해 기체가 배출되도록 하는 단계이다.
이는, 상기 펌프본체(10) 내부의 압력이 지나치게 높을 경우 상기 펌프본체(10) 내부의 부품에 무리가 갈 수 있기 때문이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하면, 수중 펌프의 내부 압력이 외부 압력보다 높게 유지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수중 펌프의 수밀성이 향상되어 하천이 수중 펌프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10 : 펌프본체 11 : 구동모터
12 : 임펠러 13 : 유입구
14 : 토출구 15 : 에어케이블
16 : 커넥터 17 : 메카니컬 씰
18 : 오일 씰
20 : 압력탱크 30 : 제1배관
40 : 제2배관
50 : 제3배관 51 : 배출구
60 : 제1솔밸브 70 : 제2솔밸브
80 : 제3솔밸브 90 : 연결관
110 : 제어부 111 : 내부압력센서
120 : 콤프레샤

Claims (5)

  1.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11)를 포함하는 펌프본체(10);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기체가 압축되어 저장되는 압력탱크(20);
    일단이 상기 펌프본체(10)에 연결된 제1배관(30);
    일단이 상기 압력탱크(20)에 연결된 제2배관(40);
    일단에 배출구(51)가 형성된 제3배관(50);
    일단이 상기 제1배관(30)의 타단에 연결된 제1솔밸브(Solenoid valve)(60);
    일단이 상기 제2배관(40)의 타단에 연결된 제2솔밸브(70);
    일단이 상기 제3배관(50)의 타단에 연결된 제3솔밸브(80);
    상기 제1솔밸브(60)의 타단, 제2솔밸브(70)의 타단 및 제3솔밸브(80)의 타단이 서로 연통되도록 연결된 연결관(90); 및
    상기 제1솔밸브(60), 제2솔밸브(70) 및 제3솔밸브(80)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110);
    를 포함하며,
    상기 펌프본체(10)에는,
    상기 펌프본체(10)의 내부에 수밀이 유지되도록 하는 메카니컬 씰(mechanical seal)(17) 및 오일 씰(Oil seal)(18)이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110)에는, 상기 제1솔밸브(60), 제2솔밸브(70) 및 제3솔밸브(80)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관(90)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압력을 측정하는 내부압력센서(111) 및 상기 연결관(90)과 인접한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관(90)의 외부에서 발생되는 압력을 측정하는 외부압력센서(112)가 포함되며,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내부압력센서(111) 및 외부압력센서(121)에서 측정되는 압력에 따라 상기 펌프본체(10) 내부의 압력이 상기 펌프본체(10) 외부의 압력보다 큰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1솔밸브(60), 제2솔밸브(70) 및 제3솔밸브(80)의 개폐를 제어하여 상기 펌프본체(10) 외부의 유체가 상기 펌프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1솔밸브(60), 제2솔밸브(70) 및 제3솔밸브(80) 중 제1솔밸브(60)만을 개방시켜 상기 내부압력센서(111)를 통해 측정되는 압력이 압력기준치보다 낮은 경우 상기 제2솔밸브(70)를 추가로 개방시켜 상기 펌프본체(10)의 압력이 증가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1솔밸브(60), 제2솔밸브(70) 및 제3솔밸브(80) 중 제1솔밸브(60)만을 개방시켜 상기 내부압력센서(111)를 통해 측정되는 압력이 압력기준치보다 높은 경우 상기 제3솔밸브(80)를 추가로 개방시켜 상기 펌프본체(10)의 압력이 감소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구동모터(11)가 정지 상태인 경우 상기 내부압력센서(111)를 통해 측정되는 압력을 제1압력기준치와 비교하며, 상기 구동모터(11)가 동작 상태인 경우 상기 내부압력센서(111)를 통해 측정되는 압력을 제2압력기준치와 비교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압력기준치는 상기 제1압력기준치보다 높은 압력으로 설정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연결관(90)은 'T'자 형상 또는 'Y'자 형상의 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범람 방지용 수중 펌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70146374A 2017-11-06 2017-11-06 하천 범람 방지용 수중 펌프 KR1018482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374A KR101848291B1 (ko) 2017-11-06 2017-11-06 하천 범람 방지용 수중 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374A KR101848291B1 (ko) 2017-11-06 2017-11-06 하천 범람 방지용 수중 펌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8291B1 true KR101848291B1 (ko) 2018-05-28

Family

ID=62451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6374A KR101848291B1 (ko) 2017-11-06 2017-11-06 하천 범람 방지용 수중 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82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81442A (zh) * 2019-01-30 2019-04-26 合肥凯泉电机电泵有限公司 一种新型潜水贯流泵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8490B1 (ko) * 2013-04-18 2013-09-17 주식회사 영진 엔테크 수중모터펌프
KR20170034101A (ko) * 2015-09-18 2017-03-28 플로우테크 주식회사 수배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2017067037A (ja) * 2015-10-01 2017-04-06 株式会社鶴見製作所 水中電動ポンプ
JP2017133381A (ja) * 2016-01-26 2017-08-03 株式会社荏原製作所 ポンプ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JP2017187392A (ja) * 2016-04-06 2017-10-12 株式会社荏原製作所 ポンプ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8490B1 (ko) * 2013-04-18 2013-09-17 주식회사 영진 엔테크 수중모터펌프
KR20170034101A (ko) * 2015-09-18 2017-03-28 플로우테크 주식회사 수배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2017067037A (ja) * 2015-10-01 2017-04-06 株式会社鶴見製作所 水中電動ポンプ
JP2017133381A (ja) * 2016-01-26 2017-08-03 株式会社荏原製作所 ポンプ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JP2017187392A (ja) * 2016-04-06 2017-10-12 株式会社荏原製作所 ポンプ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81442A (zh) * 2019-01-30 2019-04-26 合肥凯泉电机电泵有限公司 一种新型潜水贯流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24190B1 (en) Pumping system
KR101848291B1 (ko) 하천 범람 방지용 수중 펌프
JP2002156092A (ja) 水中軸受潤滑システム
KR101865567B1 (ko) 회전축에 수밀구조를 갖춘 버터플라이 밸브 조립체
KR101145484B1 (ko) 진공강자흡식펌프
KR100567927B1 (ko) 공기흡배기부를 갖는 체크밸브
JP3933586B2 (ja) ポンプの軸受監視装置及びその方法
US201758A (en) Improvement in sewer and other traps
KR101826499B1 (ko) 케이블 이탈 방지용 브라켓이 구비되는 수중 펌프
WO2015170650A1 (ja) 汲出装置
US6681801B2 (en) Pumping station with efficiency increasing and backflow preventing structure
CN207526696U (zh) 真空自吸装置
JP2010185555A (ja) レバーフロート式ドレントラップ
CN205841851U (zh) 旋转弹力式双道单通水阀
CN107654383A (zh) 真空自吸罐
KR100569001B1 (ko) 자동펌프
JP4468009B2 (ja) 立軸ポンプシステム及びポンプ機場
CN208918846U (zh) 自灌及机封冲洗一体液上吸排泵
CN210890133U (zh) 一种排气蝶阀
CN210317933U (zh) 一种干式抽芯泵
KR101505966B1 (ko) 원심펌프
JP5278990B2 (ja) 立軸ポンプおよびその制御方法
CN117739197A (zh) 一种虹吸破坏阀及其使用方法
RU171264U1 (ru) Клапан скважинного насоса
KR101491711B1 (ko) 다이어프램 밸브를 이용한 액체 또는 기체의 유량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