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7489B1 - 절연용 나노 복합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절연용 나노 복합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07489B1 KR101307489B1 KR1020110052421A KR20110052421A KR101307489B1 KR 101307489 B1 KR101307489 B1 KR 101307489B1 KR 1020110052421 A KR1020110052421 A KR 1020110052421A KR 20110052421 A KR20110052421 A KR 20110052421A KR 101307489 B1 KR101307489 B1 KR 10130748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anocomposite
- insulation
- sio
- curing
- insulat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3/00—Compositions of epoxy resin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01B3/4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epoxy resi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Organic Insulating Material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연용 나노 복합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높은 절연파괴특성을 가진 절연용 나노 복합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절연용 나노 복합재는 특정 비율의 SiO2가 계면 접착력을 증진시키고, 미립자간 치밀도를 높임으로써 절연파괴강도가 증가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절연용 나노 복합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높은 절연파괴특성을 가진 절연용 나노 복합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력 수요의 증가와 더불어 전력기기용 절연재료는 다양한 물성과 함께 전력 설비의 대용량화와 콤팩트화가 요구된다. 전력 기기에 사용 되는 재료로는 PE, 에폭시, 마이카, EPDM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고전압화가 될수록 높은 내전압 특성이 요구되며, 전력기기의 계면은 절연강도를 낮추는데 활용 되고 있으며, 콤팩트화를 위하여도 계면간의 상호 작용의 이해도는 필수 요소이다.
고전압 기기에 있어서 절연재료가 담당하고 있는 역할은 매우 중요하며, 절연 재료의 특성이 전기기기 전체의 설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전기기기에 사용하는 재료 단위체의 물성만으로는 절연재료로서 적용할 수 없을 뿐 아니라 필러(무기입자) 또는 유리 섬유질과의 복합화에 의한 절연 재료의 고성능화가 필요하다.
최근 나노 사이즈의 입자와 폴리머를 복합화한 폴리머 형태의 나노 복합재료가 전력 변성기기 제작에 적용되고 있으며, 첨가물을 나노 입자 형태로 분산 시키는 제어 기술이 나노 복합재료의 실용화를 위하여는 중요시 되고 있다.
이러한 나노 복합재료에 대한 연구 중, 본 발명자는 에폭시 수지와 경화제, 경화촉진제에 배합되는 SiO2의 함량에 따라 상기 복합재료의 X선 패턴, FESEM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의 패턴, 절연파괴특성이 달라진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에 본 발명자는 에폭시 수지에 경화제, 경화촉진제 및 SiO2를 최적화 비율로 첨가하여, 절연파괴강도가 높은 절연용 나노 복합재 및 그 제조방법을 발명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은 절연파괴특성을 가진 절연용 나노 복합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에폭시 수지, 경화제, 경화촉진제 및 적절한 양의 SiO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용 나노 복합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1) 에폭시 수지, 경화제, 경화촉진제 및 적절한 양의 SiO2를 혼합하여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혼합액을 1차 경화시키는 단계;
3) 상기 단계 2) 이후, 탈포시키는 단계; 및
4) 상기 단계 3) 이후, 2차 경화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절연용 나노 복합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절연용 나노 복합재는, 전기 절연 (electrical insulation) 특성 측면에서, 적절한 범위 내의 SiO2 함유량을 갖지 못한 절연용 나노 복합재에 비하여, 미립자간 치밀도가 높으며, 에폭시기와 시료에 첨가된 SiO2의 화학적 결합으로 인하여 절연파괴특성이 양호하다.
도 1은 에폭시 시료에 첨가된 SiO2 첨가량에 따른 절연파괴특성을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SiO2를 첨가한 복합재료의 X선 패턴을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SiO2를 첨가한 복합재료의 FESEM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패턴을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SiO2를 첨가한 복합재료의 X선 패턴을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SiO2를 첨가한 복합재료의 FESEM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패턴을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에폭시 수지, 경화제, 경화촉진제 및 적절한 양의 SiO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용 나노 복합재를 제공한다.
상기 에폭시 수지는 단분자 속에 2개 이상의 반응성 에폭시기를 가지는 화합물을 말하며, 바람직하게는, 페놀 (phenol) 2분자와 아세톤 (aceton) 단분자와의 축합 반응으로 얻어지는 비스페놀 A 한 분자와 에피클로르하이드린 2분자와의 축합 반응으로 생성되는 비스페놀 A의 디글리시딜에테르를 말한다.
에폭시 수지는 그 분자 구조로부터 반응성이 풍부하며, 경화 수축이 적고, 강인성이나 고온특성 및 내약품성이 우수하며, 접착성이 높은 성능을 나타난다.
상기 에폭시 수지는 전체 절연용 나노 복합재 중량 대비 바람직하게는 89~94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89~91 중량%이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경화제는 고분자 수지를 경화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열개시제 또는 광개시제를 포함한다.
상기 열개시제는 아민계, 벤조일 퍼옥사이드와 같은 과산화물계, 또는 아조비스이소부틸로니트릴 등으로부터 선택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광개시제는 알파-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1-하이드록시싸이클로헥실페닐 케톤,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잔톤, 벤즈알데히드, 안트라퀴논, 3-메틸아세토페논, 4-클로로벤조페논, 4,4′-디메톡시 벤조페논, 벤조인 프로필 에테르, 벤조인 에틸에테르, 1-(4-이소프로필-페놀)-2히드록시-2-메틸프로판-1-온, 또는 티옥잔톤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경화제는 전체 절연용 나노 복합재 중량 대비 바람직하게는 5~1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8~10 중량%이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경화 촉진제는 특별한 제한이 없고, 조성물의 경화 반응 시간의 조절을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그 예로는 3급 아민, 이미다졸 화합물, 4급 암모늄 또는 트리페닐 포스핀(TPP)의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의 혼합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경화촉진제는 전체 절연용 나노 복합재 중량 대비 0.1~1 중량%, 바람직하게는 0.1~0.5 중량%이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시료 중에 분산된 상기 SiO2 입자는 계면 접착력을 증진시킴으로써 시료를 강화하는 기능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킨다.
상기 SiO2는 전체 절연용 나노 복합재 중량 대비 0.1~0.3 중량%, 바람직하게는 0.15~0.25 중량%이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체 절연용 나노 복합재 중량 대비 SiO2 함량이 0.2 중량%인 절연용 나노 복합재는, SiO2가 전혀 들어 있지 않거나, 전체 절연용 나노 복합재 중량 대비 SiO2 함량이 0.4 중량% 및 0.6 중량%인 절연용 나노 복합재에 비하여 미립자간 치밀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다 (도 4).
또한, 본 발명은
1) 에폭시 수지, 경화제, 경화촉진제 및 적절한 양의 SiO2를 혼합하여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혼합액을 1차 경화시키는 단계;
3) 상기 단계 2) 이후, 탈포시키는 단계; 및
4) 상기 단계 3) 이후, 2차 경화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절연용 나노 복합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단계 2)의 1차 경화는, 바람직하게는 100~150℃에서, 더 바람직하게는 120~150℃ 로, 바람직하게는 0.5~2시간, 더 바람직하게는 1~2시간 동안 진행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단계 3)의 탈포는, 바람직하게는 0.01~0.1 torr에서, 더 바람직하게는 0.05~0.1 torr에서, 바람직하게는 0.5~1시간 동안 진행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단계 4)의 2차 경화는, 바람직하게는 100~130℃에서, 더 바람직하게는 110~130℃로, 바람직하게는 3~7시간, 더 바람직하게는 3~5시간 동안 진행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절연용 나노 복합재의 제조는 2차에 걸친 경화과정을 거치는데, 그 이유는 치밀한 경화를 위해서는 고온에서 순간적인 경화를 수행하는 것 보다 상대적으로 저온에서 서서히 경화를 진행 시켜야 치밀한 가교가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상기 제조방법에서, 상기 에폭시 수지는 전체 절연용 나노 복합재 중량 대비 89~94 중량%, 바람직하게는 89~91 중량%; 상기 경화제는 전체 절연용 나노 복합재 중량 대비 5~10 중량%, 바람직하게는 8~10 중량%; 상기 경화촉진제는 전체 절연용 나노 복합재 중량 대비 0.1~1 중량%, 바람직하게는 0.1~0.5 중량%; 상기 SiO2는 전체 절연용 나노 복합재 중량 대비 0.1~0.3 중량%, 바람직하게는 0.15~0.25 중량% 이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절연용 나노 복합재는 그렇지 않은 절연용 나노 복합재에 비하여 절연파괴특성이 양호하고 (도 2), 미립자들의 치밀도가 높은 것을 볼 수 있다 (도 4).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절연용 나노 복합재를 포함하는 전기 절연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절연용 나노 복합재는 그렇지 않은 절연용 나노 복합재에 비하여 절연파괴특성이 양호하므로 이를 포함하는 전기 절연체는 여러 전기기구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등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절연용 나노 복합재의 제조
실험예 1 | 비교예 1 | 비교예 2 | 비교예 3 | |
비스페놀 A형 YD-128 | 89.8 중량% | 90 중량% | 89.6 중량% | 89.4 중량% |
HN-2200 | 9 중량% | 9 중량% | 9 중량% | 9 중량% |
경화촉진제 | 1 중량% | 1 중량% | 1 중량% | 1 중량% |
Aerosil200 | 0.2 중량% | 0 중량% | 0.4 중량% | 0.6 중량% |
에폭시 수지로서 비스페놀 A형 YD-128 (Kukdo Chemical), 경화제로서 HN-2200 (Kukdo Chemical), 경화촉진제로서 디메틸아닐린 (Kukdo Chemical), SiO2로서는 Aerosil200 (Degussa사)를 표 1과 같은 비율로 혼합하였다.
이후, 미리 준비한 금형에 상기 혼합물을 주입하고, 경화로에서 130℃에서 1시간 동안 1차 경화시킨 후, 시료 중에 남아 있는 공기를 0.05 Torr에서 30분간 탈포시키고, 준비된 시편 금형에 탈포가 완료된 혼합액을 투입한 후, 진공 탈포 과정을 30분간 동안 수행하였다.
또한 혼합액의 미반응 물질들의 완전한 경화를 유도하기 위해서 탈포 이후, 경화로에서 120℃에서 5시간 동안 2차 경화시켜 절연용 나노 복합재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1: 절연파괴강도의 측정
완성된 복합재료는 절연파괴 실험용 시료의 형상으로 크기는 15×15×1.0 mm3로 하부 전극은 평판, 상부 전극은 구전극을 사용하여, 다섯 군데를 측정하여 평균값을 산정하였다. 절연 매질로는 실리콘 절연유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실험예 1에서 절연 파괴 전압이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비교예 1과 같이 SiO2가 첨가되지 않은 것에서는 절연 파괴 전압이 낮았으며, 실험예 1에서 정점을 이룬 절연 파괴 전압은 비교예 2,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SiO2의 첨가량이 증가 할수록 절연 파괴 전압이 감소하였다.
그 이유는 절연용 나노 복합재 내부에 분산된 SiO2 입자가 계면 접착력을 증진시킴으로써 시료를 강화하는 반면에, SiO2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나노 복합재 내부 미립자의 밀도가 감소하여 절연 파괴강도의 저하와 밀접하게 관련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실시예
2:
XRD
의 측정
상기 표 1에 기재된 비율에 따라, 직경 10 mm×두께 1 mm의 절연용 나노 복합재 시료를 가공한 후, X-Ray 측정 기구(Rigaku사)를 이용하여 XRD를 측정하였다.
XRD의 결과로부터 각 시료들의 고차구조의 특징은 모두 유사한 특성을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
FESEM
이미지 측정
상기 표 1에 기재된 비율에 따라, 직경 10 mm×두께 1 mm의 절연용 나노 복합재 시료를 가공한 후, FESEM 이미지 측정기를 이용하여 (Jeol사) 절연용 나노 복합재 시료의 단면을 관찰하였다.
상기 표 1에 기재된 비율에 따라 제조된 절연용 나노 복합재 시료의 단면을 관찰한 결과, 비교예 1에서는 미립자간의 치밀도가 떨어짐이 관찰되었고, 실험예 1은 비교예 1에 비해 미립자의 크기는 커졌으나 미립자간 치밀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에폭시 시료에 SiO2가 첨가됨에 따라 미립자 사이의 간격이 줄어들어 에폭시의 밀도가 높아지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시료 중에 분산된 SiO2 입자는 계면 접착력을 증진시킴으로써 시료를 강화하는 기능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반면에, 비교예 2 및 3에서는 시료 내에 분산된 미립자들의 뭉쳐짐의 정도가 치밀하지 못함을 볼 수 있다. 즉, 실험예 1의 표면은 매끈한 반면에 비교예 2 및 3의 표면 관찰결과, 미립자의 크기가 점차 커짐을 관찰하였다.
Claims (5)
- 삭제
- 삭제
- 1) 에폭시 수지 89~94 중량%, 경화제 5~10 중량%, 경화촉진제 0.1~1 중량 % 및 SiO2 0.1~0.3 중량%를 혼합하여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혼합액을 100~150℃에서 1~2시간 동안 1차 경화시키는 단계;
3) 상기 단계 2) 이후, 0.01~0.1 torr에서 0.5~1시간 동안 탈포시키는 단계; 및
4) 상기 단계 3) 이후, 100~130℃에서 3~7시간 동안 2차 경화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절연용 나노 복합재의 제조방법.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절연용 나노 복합재의 제조방법은 단계 단계 1)에서 SiO2를 전체 절연용 나노 복합재 중량 대비 0.15~0.25 중량%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용 나노 복합재의 제조방법.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52421A KR101307489B1 (ko) | 2011-05-31 | 2011-05-31 | 절연용 나노 복합재 및 그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52421A KR101307489B1 (ko) | 2011-05-31 | 2011-05-31 | 절연용 나노 복합재 및 그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33667A KR20120133667A (ko) | 2012-12-11 |
KR101307489B1 true KR101307489B1 (ko) | 2013-09-11 |
Family
ID=47516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52421A KR101307489B1 (ko) | 2011-05-31 | 2011-05-31 | 절연용 나노 복합재 및 그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07489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93420B1 (ko) * | 2016-09-05 | 2023-01-27 | 한국전기연구원 | 실리카 나노분말이 분산된 나노복합절연재료 및 그 제조방법 |
KR102072503B1 (ko) | 2018-05-31 | 2020-02-03 | 주식회사 승진이앤아이 | 고압전기 절연용 복합재료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고압전기 절연용 복합재료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296073A (ja) * | 1996-05-01 | 1997-11-18 | Nitto Denko Corp | 電気絶縁用注型樹脂組成物 |
KR20040071512A (ko) * | 2003-02-06 | 2004-08-12 | 주식회사 금강고려화학 | 낮은 유전율을 갖는 반도체소자 봉지용 에폭시 수지조성물 |
KR100909106B1 (ko) | 2008-02-19 | 2009-07-23 | 박재준 | 절연용 에폭시-유기화된 층상실리케이트 나노콤포지트의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나노콤포지트 |
KR20100111454A (ko) * | 2009-04-07 | 2010-10-15 | 박재준 | 고압절연용 에폭시/실리카 멀티콤포지트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멀티콤포지트 |
-
2011
- 2011-05-31 KR KR1020110052421A patent/KR10130748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296073A (ja) * | 1996-05-01 | 1997-11-18 | Nitto Denko Corp | 電気絶縁用注型樹脂組成物 |
KR20040071512A (ko) * | 2003-02-06 | 2004-08-12 | 주식회사 금강고려화학 | 낮은 유전율을 갖는 반도체소자 봉지용 에폭시 수지조성물 |
KR100909106B1 (ko) | 2008-02-19 | 2009-07-23 | 박재준 | 절연용 에폭시-유기화된 층상실리케이트 나노콤포지트의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나노콤포지트 |
KR20100111454A (ko) * | 2009-04-07 | 2010-10-15 | 박재준 | 고압절연용 에폭시/실리카 멀티콤포지트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멀티콤포지트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33667A (ko) | 2012-12-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Huang et al. | Fabrication of a highly tough, strong, and stiff carbon nanotube/epoxy conductive composite with an ultralow percolation threshold via self-assembly | |
CN101821817B (zh) | 聚合物混凝土电绝缘体系 | |
KR20140040152A (ko) | 절연 제제 | |
WO2010106084A1 (en) | Curable epoxy resin composition | |
EP1389631B1 (en) | Epoxy resin compositions | |
EP3430630A1 (en) |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insulation systems for electrical engineering, the articles obtained therefrom and the use thereof | |
JP2011116913A (ja) | 熱硬化性樹脂組成物、熱伝導性樹脂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パワーモジュール | |
KR101307489B1 (ko) | 절연용 나노 복합재 및 그 제조방법 | |
WO2013123648A1 (en) | Curable epoxy composition with milled glass fiber | |
JP2009114222A (ja) | 注形用エポキシ樹脂組成物および電気・電子部品装置 | |
CN113214602A (zh) | 一种绝缘树脂复合料和高压绝缘套管及其制备方法和应用 | |
KR20190064787A (ko) | 에폭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변압기 | |
WO2017104726A1 (ja) | モールドワニス、樹脂硬化物、電力機器及び真空遮断器 | |
CN106753211A (zh) | 一种阻燃导热pcb电路板用有机硅电子灌封胶 | |
JP5994023B2 (ja) | 高電圧機器用の複合絶縁樹脂材及びそれを用いた高電圧機器 | |
KR101838848B1 (ko) | 탄소나노튜브가 분산된 벌크몰드 컴파운드용 에폭시수지 조성물 | |
JP2012234932A (ja) | フィルムコンデンサの製造方法及びフィルムコンデンサ | |
KR102403680B1 (ko) | 다양한 크기의 세라믹 비드를 포함하는 폴리실록산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 |
WO2013180328A1 (ko) | 절연용 나노 복합재 및 그 제조방법 | |
RU2474599C2 (ru) | Компаунд и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 |
Chen et al. | Epoxy composites with glass bubbles for electrical application | |
Yang et al. | Thermal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BNNPs/TiO 2-Epoxy three-phase nanocomposites | |
JP7572898B2 (ja) | 繊維強化樹脂成形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JP2006137807A (ja) | エポキシ樹脂成形体とその製造方法 | |
JP2014001348A (ja) | ナノコンポジット樹脂組成物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18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