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7393B1 - 할로겐화 알킬로부터 유기 티오시안산 화합물의 합성방법 - Google Patents

할로겐화 알킬로부터 유기 티오시안산 화합물의 합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7393B1
KR101307393B1 KR1020110060185A KR20110060185A KR101307393B1 KR 101307393 B1 KR101307393 B1 KR 101307393B1 KR 1020110060185 A KR1020110060185 A KR 1020110060185A KR 20110060185 A KR20110060185 A KR 20110060185A KR 101307393 B1 KR101307393 B1 KR 1013073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substituted
butanol
amino
alk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0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40444A (ko
Inventor
경영수
Original Assignee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60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7393B1/ko
Publication of KR20120140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404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7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73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31/00Derivatives of thiocyanic acid or of isothiocyanic acid
    • C07C331/02Thiocyanates
    • C07C331/04Thiocyanates having sulfur atoms of thiocyanat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31/00Derivatives of thiocyanic acid or of isothiocyanic acid
    • C07C331/16Isothiocyanates
    • C07C331/18Isothiocyanates having isothiocyanat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331/22Isothiocyanates having isothiocyanat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an unsaturated carbon skeleton
    • C07C331/24Isothiocyanates having isothiocyanat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an unsaturated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containing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8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rings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275/00 - C07D283/00
    • C07D285/01Five-membered r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티오시안산 화합물을 효율적으로 제조하기 위하여, 유기 할로겐 화합물과 티오시안 음이온(thiocyanate ion)을 반응시켜 유기 티오시안산 화합물(organic thiocyanate)과 이소티오시안산 화합물(isothiocyanate)이 혼합된 혼합물을 생성시키는 단계; 상기 혼합물과 아자이드 이온(azide ion)을 염기성 조건에서 반응시켜 티아트리아졸 아민(thiatriazole amine)을 생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티아트리아졸 아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기 티오시안산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할로겐화 알킬로부터 유기 티오시안산 화합물의 합성방법{A method for synthesizing organic thiocyanates from alkyl halogen}
본 발명은 유기 티오시안산 화합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할로겐화 알킬로부터 유기 티오시안산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기 티오시안산 화합물은 티오시안산의 에스터로 일반적인 화학식은 R-SCN으로 나타낸다. 특이한 점은 이제까지 유기 티오시안산 화합물은 동물이나 식물에서 검출 된 적이 없다는 점이다. 유기 티오시안산 화합물은 가황 촉진제 혹은 항균제, 살균제와 살충제로 일부 화합물이 사용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많은 연구가 되지 않았다. 유기 이소티오시안산 화합물의 일반적인 합성 방법은 할로겐 화합물을 티오시안 음이온으로 치환하는 방법이다(Patai, S., Ed., "The Chemistry of Cyanates and Their Thio Derivatives", John Wiley & Sons: New York, 1977; p 819; Harrison, C. R. and Hodge, P., Synthesis, 1980, 299; Cainelli, G. and Manescalchi, F. Synthesis, 1979, 141; March, J. "Reaction, Mechanisms and Structure", John Wiley & Sons: New York, 1985; pp 590-601; Kamal, A. and Chouhan, G., Tetrahedron Lett. 2005, 46, 1391).
그러나 상기 치환방법에 의하면, 티오시안산의 양쪽 끝에 있는 질소와 황 원소 모두 친핵체로 작용할 수 있어 항상 유기 티오시안산과 이소티오시안산 화합물의 혼합물이 형성될 뿐만 아니라, 특정 경우에는 이소티안산 화합물만 생성되기도 한다. 이 두 화합물의 물리적인 성질이 매우 비슷하여 상기 혼합물로부터 일반적인 분리 방법인 증류법이나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분리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그러므로 이러한 일반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순수한 유기 티오시안산 화합물을 합성하는 것은 좋은 방법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촉매를 사용하거나 고분자지지 시약을 이용하여 유기 티오시안산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이 사용되기도 한다(Ali, M. and Zarchi, K., J. Chin. Chem. Soc., 2007, 54, 1299-1302). 그러나 이들 방법 역시, 고가의 촉매를 사용하거나, 일부 할로겐 알킬 화합물의 변환 효율은 매우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포함한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할로겐화 알킬로부터 유기 티오시안산을 보다 효율적으로 합성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할로겐화 알킬로부터 트리아졸 아민 화합물을 합성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유기 할로겐 화합물과 티오시안 음이온(thiocyanate ion)을 반응시켜 유기 티오시안산 화합물(organic thiocyanate)과 이소티오시안산 화합물(isothiocyanate)이 혼합된 혼합물을 생성시키는 단계; 상기 혼합물과 아자이드 이온(azide ion)을 산성 조건에서 반응시켜 티아트리아졸 아민(thiatriazole amine)을 생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티아트리아졸 아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기 티오시안산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때, 상기 유기 할로겐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을 가질 수 있다:
R-X.
상기 화학식에서 R은 알킬, 치환된 알킬, 알케닐, 치환된 알케닐, 알키닐, 치환된 알키닐, 알콕시, 치환된 알콕시, 아실, 아실아미노, 아실옥시, 아미노, 치환된 아미노, 아미노카르보닐, 아미노티오카르보닐, 아미노카르보닐아미노, 아미노티오카르보닐 아미노, 아미노카르보닐옥시, 아미노술포닐, 아미노술포닐옥시, 아미노술포닐아미노, 아미디노, 카르복실 에스테르, (카르복실 에스테르)아미노, (카르복실 에스테르)옥시, 시클로알케닐, 치환된 시클로알케닐, 시클로알킬옥시, 치환된 시클로알킬옥시, 시클로알킬티오, 치환된 시클로알킬티오, 시클로알케닐옥시, 치환된 시클로알케닐옥시, 시클로알케닐티오, 치환된 시클로알케닐티오, 구아니디노, 치환된 구아니디노, 아릴, 치환된 아릴, 아릴옥시, 치환된 아릴옥시, 헤테로아릴, 치환된 헤테로아릴, 시클로알킬, 치환된 시클로알킬, 헤테로고리, 치환된 헤테로고리, 헤테로아릴옥시, 치환된 헤테로아릴옥시, 헤테로아릴티오, 치환된 헤테로아릴티오, 헤테로시클릴옥시, 치환된 헤테로시클릴옥시, 헤테로시클릴티오, 치환된 헤테로시클릴티오, 치환된 술포닐, 술포닐옥시, 치환된 술포닐옥시, 티오아실, 알킬티오 및 치환된 알킬티오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그룹이고, X는 할로겐 원자이다. 상기 할로겐 원자는 불소(F), 염소(Cl), 브롬(Br) 또는 요오드(I)이다.
상기 아자이드 음이온은 N3 - 또는 N-=N+=N-의 구조식을 갖는 음이온으로서, NaN3, PbN3 또는 AgN3,와 같은 아자이드 금속염의 이온화에 의해 생성되는데, 상기 금속염으로는 NaN3의 사용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트리아졸 아민은 하기 구조식을 갖는다:
Figure 112011047138548-pat00001
.
상기 구조식에서 R은 상술한 바와 같다.
상기 혼합물을 생성시키는 단계는 유기용매 내에서 수행될 수 있고, 상기 유기용매는 n-부탄올(butanol), 2-부탄올(2-butanol), t-부탄올(t-butanol), 클로로포름(chloroform),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 아세트산 에틸(ethyl acetate), 헥산(hexane), 디에틸에테르(diethyl ether), 에세토니트릴(acetonitrile), 벤젠(benzene), 아세톤(acetone), 디메틸포름아마이드(dimethyl formamide, DMF), 톨루엔(toluene), 테트라히드로퓨란(tetrahydrofuran, THF), 디메틸설폭사이드(dimethyl sulfoxide, DMSO)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DMF와 아세토니트릴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티아트리아졸 아민을 생성시키는 단계는 극성 유기용매 내에서 수행될 수 있고, 상기 극성 유기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1-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n-부탄올, 2-부탄올, t-부탄올, 디메틸포름아마이드(dimethyl formamide, DMF), 테트라히드로퓨란(tetrahydrofuran, THF), 아세톤(acetone), 아세토니트릴(acetonitrile), 아세트산 에틸(ethyl acetate), 디메틸설폭사이드(dimethyl sulfoxide, DMSO),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THF일 수 있다.
상기 산성 조건은 산의 첨가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산은 염산(HCl), 황산(H2SO4), 질산(H2NO3), 요오드화수소산(HI), 브롬화수소산(HBr), 과염소산(HClO4), p-톨루엔술폰산(p-toluenesulfonic acid), 브롬산(HBrO3), 과브롬산(HBrO4), 요오드산(HIO3), 과요오드산(HIO4) 또는 염소산(HClO3)와 같은 강산 또는 불산(HF), 아세트산(CH3COOH), 시트르산(citric acid), 페놀(phenol) 또는 옥살산(H2C2O4)과 같은 약산일 수 있다.
상기 칼럼크로마토그래피는 반응산물에 유기용매를 가하여 혼합한 후, 이를 유기용매를 용리액으로 하여 칼럼에 적재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는 n-부탄올(butanol), 2-부탄올(2-butanol), t-부탄올(t-butanol), 클로로포름(chloroform),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 아세트산 에틸(ethyl acetate), 헥산(hexane), 디에틸에테르(diethyl ether), 에세토니트릴(acetonitrile), 벤젠(benzene), 아세톤(acetone), 디메틸포름아마이드(dimethyl formamide, DMF), 톨루엔(toluene)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아세트산 에틸일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이소티오시안산 화합물을 아자이드 음이온과 THF와 같은 극성용매를 이용하여 산성 조건으로 실온에서 반응시킬 경우, 티아트리아졸 아민이 선택적으로 생성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때, 티오시안산 화합물은 상기 반응에 참여하지 않고, 생성된 티아트리아졸 아민은 비록 상기 티오시안산 화합물과 섞여 있으나, 극성차이가 크기 때문에,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용이하게 티오시안산 화합물만을 쉽게 분리할 수 있었다. 상기 반응을 반응식으로 정리하면 하기와 같다.
Figure 112011047138548-pat00002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따르면, 유기 할로겐 화합물과 티오시안 음이온과 반응하여 생성된 유기 티오시안산 화합물과 이소티오시안산 화합물이 혼합된 혼합물을 생성시키는 단계; 상기 혼합물과 아자이드 이온(azide ion)을 산성 조건에서 반응시켜 티아트리아졸 아민(thiatriazole amine)을 생성시키는 단계; 상기 티아트리아졸 아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티아트리아졸 아민을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때, 상기 유기 할로겐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을 가질 수 있다:
R-X.
상기 화학식에서 R은 알킬, 치환된 알킬, 알케닐, 치환된 알케닐, 알키닐, 치환된 알키닐, 알콕시, 치환된 알콕시, 아실, 아실아미노, 아실옥시, 아미노, 치환된 아미노, 아미노카르보닐, 아미노티오카르보닐, 아미노카르보닐아미노, 아미노티오카르보닐 아미노, 아미노카르보닐옥시, 아미노술포닐, 아미노술포닐옥시, 아미노술포닐아미노, 아미디노, 카르복실 에스테르, (카르복실 에스테르)아미노, (카르복실 에스테르)옥시, 시클로알케닐, 치환된 시클로알케닐, 시클로알킬옥시, 치환된 시클로알킬옥시, 시클로알킬티오, 치환된 시클로알킬티오, 시클로알케닐옥시, 치환된 시클로알케닐옥시, 시클로알케닐티오, 치환된 시클로알케닐티오, 구아니디노, 치환된 구아니디노, 아릴, 치환된 아릴, 아릴옥시, 치환된 아릴옥시, 헤테로아릴, 치환된 헤테로아릴, 시클로알킬, 치환된 시클로알킬, 헤테로고리, 치환된 헤테로고리, 헤테로아릴옥시, 치환된 헤테로아릴옥시, 헤테로아릴티오, 치환된 헤테로아릴티오, 헤테로시클릴옥시, 치환된 헤테로시클릴옥시, 헤테로시클릴티오, 치환된 헤테로시클릴티오, 치환된 술포닐, 술포닐옥시, 치환된 술포닐옥시, 티오아실, 알킬티오 및 치환된 알킬티오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그룹이고, X는 할로겐 원자이다. 상기 할로겐 원자는 불소(F), 염소(Cl), 브롬(Br) 또는 요오드(I)이다.
상기 아자이드 음이온은 N3 - 또는 N-=N+=N-의 구조식을 갖는 음이온으로서, NaN3, PbN3 또는 AgN3,와 같은 아자이드 금속염의 이온화에 의해 생성되는데, 상기 금속염으로는 NaN3의 사용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티아트리아졸 아민은 하기 구조식을 갖는다:
Figure 112011047138548-pat00003
.
상기 구조식에서 R은 상술한 바와 같다.
상기 혼합물을 생성시키는 단계는 유기용매 내에서 수행될 수 있고, 상기 유기용매는 n-부탄올(butanol), 2-부탄올(2-butanol), t-부탄올(t-butanol), 클로로포름(chloroform),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 아세트산 에틸(ethyl acetate), 헥산(hexane), 디에틸에테르(diethyl ether), 아세토니트릴(acetonitrile), 벤젠(benzene), 아세톤(acetone), 디메틸포름아마이드(dimethyl formamide, DMF), 톨루엔(toluene), 테트라히드로퓨란(tetrahydrofuran, THF), 디메틸설폭사이드(dimethyl sulfoxide, DMSO)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DMF와 아세토니트릴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티아트리아졸 아민을 생성시키는 단계는 극성 유기용매 내에서 수행될 수 있고, 상기 극성 유기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1-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n-부탄올, 2-부탄올, t-부탄올, 디메틸포름아마이드(dimethyl formamide, DMF), 테트라히드로퓨란(tetrahydrofuran, THF), 아세톤(acetone), 아세토니트릴(acetonitrile), 아세트산 에틸(ethyl acetate), 디메틸설폭사이드(dimethyl sulfoxide, DMSO),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THF일 수 있다.
상기 산성 조건은 산의 첨가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산은 염산(HCl), 황산(H2SO4), 질산(H2NO3), 요오드화수소산(HI), 브롬화수소산(HBr), 과염소산(HClO4), p-톨루엔술폰산(p-toluenesulfonic acid), 브롬산(HBrO3), 과브롬산(HBrO4), 요오드산(HIO3), 과요오드산(HIO4) 또는 염소산(HClO3)와 같은 강산 또는 불산(HF), 아세트산(CH3COOH), 시트르산(citric acid), 페놀(phenol) 또는 옥살산(H2C2O4)과 같은 약산일 수 있다.
상기 칼럼크로마토그래피는 반응산물에 유기용매를 가하여 혼합한 후, 이를 유기용매를 용리액으로 하여 칼럼에 적재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는 n-부탄올(butanol), 2-부탄올(2-butanol), t-부탄올(t-butanol), 클로로포름(chloroform),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 아세트산 에틸(ethyl acetate), 헥산(hexane), 디에틸에테르(diethyl ether), 아세토니트릴(acetonitrile), 벤젠(benzene), 아세톤(acetone), 디메틸포름아마이드(dimethyl formamide, DMF), 톨루엔(toluene)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아세트산 에틸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티오시안산 화합물은 티아트리아졸 아민과 극성 차가 크기 때문에,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법을 수행함으로써, 티오시안산 화합물과 티아트리아졸 아민을 용이하게 분리 정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티오시안산 화합물과 이소티오시안산 화합물이 혼합되어 있는 혼합물로부터 용이하게 티오시안산 화합물을 분리 정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소티오시안산 화합물과 아자이드 이온과 반응을 통해 생성된 티아트리아졸 아민 화합물 역시 부산물로 수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중간 생성물로 생성된 페네틸 티오시안산 화합물과 페네틸 이소티안산 화합물의 혼합물에 대한 가스크로마토그램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최종 생성물인 페네틸 티오시안산에 대한 가스크로마토그램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방법에 따라 분리된 페네틸-[1,2,3,4]티아트리아졸-5-일-아민에 대한 핵자기공명분광도(NMR spectrum)이다.
도 4는 본 발명이 일 실시예의 중간 생성물과 최종 반응산물에 대한 박층 크로마토그램(thin layer chromatogram)이다.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를 하기와 같이 정의한다.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본 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하기 정의에 따른다.
용어의 정의
"알킬(alkyl)"은 1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 및 바람직하게는 1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1가의 포화 지방족 히드로카르빌基(hydrocarbyl group)를 말한다. 이 용어는, 예로써, 메틸(CH3-), 에틸(CH3CH2-), n-프로필(CH3CH2CH2-), 이소프로필((CH3)2CH-), n-부틸(CH3CH2CH2CH2-), 이소부틸((CH3)2CHCH2-), sec-부틸((CH3)(CH3CH2)CH-), t-부틸((CH3)3C-), n-펜틸 (CH3CH2CH2CH2CH2-), 및 네오펜틸 ((CH3)3CCH2-)과 같은 선형 및 분지형 히드로카르빌기를 포함한다.
"알케닐(alkenyl)"은 2 내지 16개의 탄소 원자 및 바람직하게는 2 내지 8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며 적어도 1개 및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 곳의 탄소간 이중결합(>C=C<)을 가지는 직선 또는 분지형 히드로카르빌기를 말한다. 이러한 기(基)는, 예를 들어, 비닐, 알릴, 및 부트-3-엔-1-일(but-3-en-1-yl)로 예시된다. 이 용어는 시스 및 트랜스 이성질체 또는 이들 이성질체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알키닐(alkynyl)"은 2 내지 16개의 탄소 원자 및 바람직하게는 2 내지 8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며 적어도 1개 및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곳에 불포화 아세틸렌(-CC-)기를 가지는 직선 또는 분지형의 1가의 히드로카르빌기를 말한다. 이러한 기의 예는 아세틸레닐(acetylenyl, -CCH), 및 프로파르길(propargyl, -CH2CCH)을 포함한다.
"치환된 알킬(substituted alkyl)"은 알콕시(alkoxy), 치환된 알콕시(substituted alkoxy), 아실(acyl), 아실아미노(acylamino), 아실옥시(acyloxy), 아미노(amino), 치환된 아미노(substituted amino), 아미노카르보닐(aminocarbonyl), 아미노티오카르보닐(aminothiocarbonyl), 아미노카르보닐아미노(aminocarboamino), 아미노티오카르보닐아미노(aminothiocarbonylamino), 아미노카르보닐옥시(aminocarbonyloxy), 아미노술포닐(aminosulfonyl), 아미노술포닐옥시(aminosulfonyloxy), 아미노술포닐아미노(aminosulfonylamino), 아미디노(amidino), 아릴(aryl), 치환된 아릴(substituted aryl), 아릴옥시(aryloxy), 치환된 아릴옥시(substituted aryloxy), 아릴티오(arylthio), 치환된 아릴티오(substituted arylthio), 카르복실(carboxyl), 카르복실 에스테르(carboxyl ester), (카르복실 에스테르)아미노{(carboxyl ester)amino}, (카르복실 에스테르)옥시{(carboxyl ester)oxy}, 시아노(cyano), 시클로알킬(cycloalkyl), 치환된 시클로알킬(substituted cycloalkyl), 시클로알킬옥시(cycloalkyloxy), 치환된 시클로알킬옥시(substituted alkyloxy), 시클로알킬티오(cycloalkylthio), 치환된 시클로알킬티오(substituted cycloalkylthio), 시클로알케닐(cycloalkenyl), 치환된 시클로알케닐(substituted cycloalkenyl), 시클로알케닐옥시(cycloalkenyloxy), 치환된 시클로알케닐옥시(substituted cycloalkenyloxy), 시클로알케닐티오(cycloalkenylthio), 치환된 시클로알케닐티오(substituted cycloalkenylthio), 구아니디노(guanidino), 치환된 구아니디노(substituted guanidino), 할로(halo), 히드록시(hydroxy), 헤테로아릴(heteroaryl), 치환된 헤테로아릴(substituted heteroaryl), 헤테로 아릴옥시(heteroaryloxy), 치환된 헤테로아릴옥시(substituted heteroaryloxy), 헤테로아릴티오(heteroarylthio), 치환된 헤테로아릴티오(substituted heteroarylthio), 헤테로고리(heterocyclic), 치환된 헤테로고리(substituted heterocyclic), 헤테로시클릴옥시(heterocyclyloxy), 치환된 헤테로시클릴옥시(substituted heterocyclyloxy), 헤테로시클릴티오(heterocylylthio), 치환된 헤테로시클릴티오(substituted heterocyclylthio), 니트로(nitro), SO3H, 치환된 술포닐(substituted sulfonyl), 술포닐옥시(sulfonyloxy), 티오아실(thioacyl), 티올(thiol), 알킬티오(alkylthio), 및 치환된 알킬티오(substituted alkylthio)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내지 5개,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개, 또는 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개의 치환기를 가지는 알킬기를 말하며, 상기 치환기는 본 문서에서 정의된다.
"치환된 알케닐"은 상술한 치환기 중 1 내지 3개, 및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개의 치환기를 가지는 알케닐을 의미한다.
"치환된 알키닐"은 상술한 치환기 중 1 내지 3개, 및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개의 치환기를 가지는 알키닐을 의미한다.
"알콕시"는 -O-알킬기를 말하며, 알킬은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알콕시는, 예로써, 메톡시, 에톡시, n-프로폭시, 이소프로폭시, n-부톡시, t-부톡시, sec-부톡시, 및 n-펜톡시를 포함한다.
"치환된 알콕시"는 -O-(치환된 알킬)기를 말하며, 치환된 알킬은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아실"은 H-C(O)-, 알킬-C(O)-, 치환된 알킬-C(O)-, 알케닐-C(O)-, 치환된 알케닐-C(O)-, 알키닐-C(O)-, 치환된 알키닐-C(O)-, 시클로알킬-C(O)-, 치환된 시클로알킬-C(O)-, 시클로알케닐-C(O)-, 치환된 시클로알케닐-C(O)-, 아릴-C(O)-, 치환된 아릴-C(O)-, 헤테로아릴-C(O)-, 치환된 헤테로아릴-C(O)-, 헤테로고리-C(O)-, 및 치환된 헤테로고리-C(O)-기를 말하며, 아실은 "아세틸" 기 CH3C(O)-를 포함한다.
"아실아미노"는 -NR1C(O)알킬, -NR1C(O)치환된 알킬, -NR1C(O)시클로알킬, -NR1C(O)치환된 시클로알킬,-NR1C(O)시클로알케닐, -NR1C(O)치환된 시클로알케닐, -NR1C(O)알케닐, -NR1C(O)치환된 알케닐, -NR1C(O)알키닐, -NR1C(O)치환된 알키닐, -NR1C(O)아릴, -NR1C(O)치환된 아릴, -NR1C(O)헤테로아릴, -NR1C(O)치환된 헤테로아릴, -NR1C(O)헤테로고리, 및 -NR1C(O)치환된 헤테로고리기를 말하며, R1은 수소 또는 알킬이다.
"아실옥시"는 알킬-C(O)O-, 치환된 알킬-C(O)O-, 알케닐-C(O)O-, 치환된 알케닐-C(O)O-, 알키닐-C(O)O-, 치환된 알키닐-C(O)O-, 아릴-C(O)O-, 치환된 아릴-C(O)O-, 시클로알킬-C(O)O-, 치환된 시클로알킬-C(O)O-, 시클로알케닐-C(O)O-, 치환된 시클로알케닐-C(O)O-, 헤테로아릴-C(O)O-, 치환된 헤테로아릴-C(O)O-, 헤테로고리-C(O)O-, 및 치환된 헤테로고리-C(O)O-기를 말한다.
"아미노"는 -NH2기를 말한다.
"치환된 아미노"는 -NR2R3기를 말하며, R2및 R3는 수소, 알킬, 치환된 알킬, 알케닐, 치환된 알케닐, 알키닐, 치환된 알키닐, 아릴, 치환된 아릴, 시클로알킬, 치환된 시클로알킬, 시클로알케닐, 치환된 시클로알케닐, 헤테로아릴, 치환된 헤테로아릴, 헤테로고리, 치환된 헤테로고리, -SO2-알킬, -SO2-치환된 알킬, -SO2-알케닐, -SO2-치환된 알케닐, -SO2-시클로알킬, -SO2-치환된 시클로알킬, -SO2-시클로알케닐, -SO2-치환된 시클로알케닐, -SO2-아릴, -SO2-치환된 아릴, -SO2-헤테로아릴, -SO2-치환된 헤테로아릴, -SO2-헤테로고리, 및 SO2-치환된 헤테로고리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R2및 R3은 그것에 결합된 질소와 함께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헤테로고리 또는 치환된 헤테로고리기를 형성하고, 단, R2 및 R3은 둘 다 수소가 아니다. R2이 수소이고 R3가 알킬일 때, 치환된 아미노기는 때때로 알킬아미노로서 본 문서에서 언급된다. R2 및 R3가 알킬일 때, 치환된 아미노기는 때때로 디알킬 아미노로서 본 문서에서 언급된다. 단치환된 아미노를 언급할 때, R2 또는 R3 중의 하나는 수소이지만 둘 다는 아님을 의미한다. 치환된 아미노가 언급될 때, R2과 R3은 둘 다 수소가 아님을 의미한다.
"아미노카르보닐"은 -C(O)NR4R5기를 말하며, R4 및 R5는 수소, 알킬, 치환된 알킬, 알케닐, 치환된 알케닐, 알키닐, 치환된 알키닐, 아릴, 치환된 아릴, 시클로알킬, 치환된 시클로알킬, 시클로알케닐, 치환된 시클로알케닐, 헤테로아릴, 치환된 헤테로아릴, 헤테로고리, 및 치환된 헤테로고리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R4 및 R5가 그것에 결합된 질소와 함께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헤테로고리 또는 치환된 헤테로고리를 형성할 수 있다.
"아미노티오카르보닐"은 C(S)NR4R5기를 말하며 R4 및 R5은 수소, 알킬, 치환된 알킬, 알케닐, 치환된 알케닐, 알키닐, 치환된 알키닐, 아릴, 치환된 아릴, 시클로알킬, 치환된 시클로알킬, 시클로알케닐, 치환된 시클로알케닐, 헤테로아릴, 치환된 헤테로아릴, 헤테로고리, 및 치환된 헤테로고리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R4 및 R5은 그것에 결합된 질소와 함께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헤테로고리 또는 치환된 헤테로고리기를 형성할 수 있다.
"아미노카르보닐아미노"는 -NR1C(O)NR4R5기를 말하며, R1은 수소 또는 알킬이고 R4 및 R5는 수소, 알킬, 치환된 알킬, 알케닐, 치환된 알케닐, 알키닐, 치환된 알키닐, 아릴, 치환된 아릴, 시클로알킬, 치환된 시클로알킬, 시클로알케닐, 치환된 시클로알케닐, 헤테로아릴, 치환된 헤테로아릴, 헤테로고리, 및 치환된 헤테로고리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R4 및 R5은 그것에 결합된 질소와 함께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헤테로고리 또는 치환된 헤테로고리기를 형성한다.
"아미노티오카르보닐아미노"는 -NR1C(S)NR4R5기를 말하며, R1은 수소 또는 알킬이고 R4 및 R5은 수소, 알킬, 치환된 알킬, 알케닐, 치환된 알케닐, 알키닐, 치환된 알키닐, 아릴, 치환된 아릴, 시클로알킬, 치환된 시클로알킬, 시클로알케닐, 치환된 시클로알케닐, 헤테로아릴, 치환된 헤테로아릴, 헤테로고리, 및 치환된 헤테로고리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R4 및 R5는 그것에 결합된 질소와 함께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헤테로고리 또는 치환된 헤테로고리기를 형성한다.
"아미노카르보닐옥시"는 -0-C(O)NR4R5기를 말하며, R4 및 R5는 수소, 알킬, 치환된 알킬, 알케닐, 치환된 알케닐, 알키닐, 치환된 알키닐, 아릴, 치환된 아릴, 시클로알킬, 치환된 시클로알킬, 시클로알케닐, 치환된 시클로알케닐, 헤테로아릴, 치환된 헤테로아릴, 헤테로고리, 및 치환된 헤테로고리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R4 및 R5는 그것에 결합된 질소와 함께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헤테로고리 또는 치환된 헤테로고리기를 형성할 수 있다.
"아미노술포닐"은 -SO2NR4R5기를 말하며, R4 및 R5는 수소, 알킬, 치환된 알킬, 알케닐, 치환된 알케닐, 알키닐, 치환된 알키닐, 아릴, 치환된 아릴, 시클로알킬, 치환된 시클로알킬, 시클로알케닐, 치환된 시클로알케닐, 헤테로아릴, 치환된 헤테로아릴, 헤테로고리, 및 치환된 헤테로고리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R4 및 R5는 그것에 결합된 질소와 함께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헤테로고리 또는 치환된 헤테로고리기를 형성할 수 있다.
"아미노술포닐옥시"는 -0-SO2NR4R5기를 말하며, R4 및 R5는 수소, 알킬, 치환된 알킬, 알케닐, 치환된 알케닐, 알키닐, 치환된 알키닐, 아릴, 치환된 아릴, 시클로알킬, 치환된 시클로알킬, 시클로알케닐, 치환된 시클로알케닐, 헤테로아릴, 치환된 헤테로아릴, 헤테로고리, 및 치환된 헤테로고리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R4 및 R5는 그것에 결합된 질소와 함께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헤테로고리 또는 치환된 헤테로고리기를 형성할 수 있다.
"아미노술포닐아미노"는 -NR1-SO2NR4R5기를 말하며, R1은 수소 또는 알킬이고, R4 및 R5는 수소, 알킬, 치환된 알킬, 알케닐, 치환된 알케닐, 알키닐, 치환된 알키닐, 아릴, 치환된 아릴, 시클로알킬, 치환된 시클로알킬, 시클로알케닐, 치환된 시클로알케닐, 헤테로아릴, 치환된 헤테로아릴, 헤테로고리, 및 치환된 헤테로고리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R4 및 R5는 그것에 결합된 질소와 함께 결합되어 헤테로고리 또는 치환된 헤테로고리 기를 형성할 수 있다.
"아미디노"는 -C(=NR6)NR4R5기를 말하며, R4, R5, 및 R6은 수소, 알킬, 치환된 알킬, 알케닐, 치환된 알케닐, 알키닐, 치환된 알키닐, 아릴, 치환된 아릴, 시클로알킬, 치환된 시클로알킬, 시클로알케닐, 치환된 시클로알케닐, 헤테로아릴, 치환된 헤테로아릴, 헤테로고리, 및 치환된 헤테로고리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R4 및 R5는 그것에 결합된 질소와 함께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헤테로고리 또는 치환된 헤테로고리기를 형성할 수 있다.
"아릴" 또는 "Ar"은 단일환(예를 들어, 페닐) 또는 다중 축합환(예를 들어, 나프틸 또는 안트릴)을 가지는 6 내지 14개의 탄소 원자의 1가의 방향족 카르보고리기(carbocylic group)를 말하며, 다중 축합환은 방향족예를 들어, 2-벤족사졸리논(2-bezoxazolinone), 2H-1,4-벤족사진-3(4H)-온-7-일(3H-1,4-benzoxazin-3(4H)-one-7-yl) 등일 수도 또는 아닐 수도 있는데, 단, 부착 지점은 방향족 탄소 원자이다. 바람직한 아릴기는 페닐 및 나프틸을 포함한다.
"치환된 아릴"은 상술한 치환기 중에서 선택되는 1 내지 5,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 또는 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개의 치환기로 치환되는 아릴기를 의미한다.
"아릴옥시"는 -O-아릴기를 말하며, 아릴은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고, 예로써, 페녹시 및 나프톡시를 포함한다.
"치환된 아릴옥시"는 -O-(치환된 아릴)기를 의미한다.
"아릴티오"는 S-아릴기를 의미한다.
"치환된 아릴티오"는 -S-(치환된 아릴)기를 의미한다.
"카르보닐"은 2가의 -C(O)-기를 말하며, -C(=O)-와 동일하다.
"카르복시" 또는 "카르복실"은 -COOH 또는 그것의 염을 말한다.
"카르복실 에스테르" 또는 "카르복시 에스테르"는 -C(O)O-알킬, -C(O)O-치환된 알킬, -C(O)O-알케닐, -C(O)O-치환된 알케닐, -C(O)O-알키닐, -C(O)O-치환된 알키닐, -C(O)O-아릴, -C(O)O-치환된 아릴, -C(O)O-시클로알킬, -C(O)O-치환된 시클로알킬, -C(O)O-시클로알케닐, -C(O)O-치환된 시클로알케닐, -C(O)O-헤테로아릴, -C(O)O-치환된 헤테로아릴, -C(O)O-헤테로고리, 및 -C(O)O-치환된 헤테로고리기를 의미한다.
"(카르복실 에스테르)아미노"는 -NR1-C(O)O-알킬, -NR1-C(O)O-치환된 알킬, -NR1-C(O)O-알케닐, -NR1-C(O)O-치환된 알케닐, -NR1-C(O)O-알키닐, -NR1-C(O)O-치환된 알키닐, -NR1-C(O)O-아릴, -NR1-C(O)O-치환된 아릴, -NR1-C(O)O-시클로알킬, -NR1-C(O)O-치환된 시클로알킬, -NR1-C(O)O-시클로알케닐, -NR1-C(O)O-치환된 시클로알케닐, -NR1-C(O)O-헤테로아릴, -NR1-C(O)O-치환된 헤테로아릴, -NR1-C(O)O-헤테로고리, 및 -NR1-C(O)O-치환된 헤테로고리기를 말하며, R1은 알킬 또는 수소이다.
"(카르복실 에스테르)옥시"는 -O-C(O)O-알킬, 치환된 -O-C(O)O-알킬, -O-C(O)O-알케닐, -O-C(O)O-치환된 알케닐, -O-C(O)O-알키닐, -O-C(O)O-치환된 알키닐, -O-C(O)O-아릴, -O-C(O)O-치환된 아릴, -O-C(O)O-시클로알킬, -O-C(O)O-치환된 시클로알킬, -O-C(O)O-시클로알케닐, -O-C(O)O-치환된 시클로알케닐, -O-C(O)O-헤테로아릴, -O-C(O)O-치환된 헤테로아릴, -O-C(O)O-헤테로고리, 및 -O-C(O)O-치환된 헤테로고리기를 의미한다.
"시아노"는 -CN기를 말한다.
"시클로알킬"은 단일 또는 융합, 브릿지 및 스피로 환 시스템을 포함하는 다중 고리 환을 가지는 3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의 고리 알킬기를 말한다. 하나 이상의 환은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고리일 수 있고, 단, 부착지점은 비-방향족, 비-헤테로고리 환 카르보고리 환을 통한다. 적당한 시클로알킬기의 예는, 예를들어, 아다만틸(adamantyl), 시클로프로필(cyclopropyl), 시클로부틸(cyclobutyl), 시클로펜틸(cyclopentyl), 및 시클로옥틸(cyclooctyl)을 포함한다. 시클로알킬기의 다른 예는 비시클로[2,2,2,]옥타닐(bycyclic[2,2,2,]octanyl), 노르보르닐(norbornyl), 및 스피로비시클로기(spirobycyclo group)를 포함한다.
"시클로알케닐"은 단일 또는 다중 고리 환을 가지고 환 내에서 적어도 한 곳알케닐기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 곳의 알케닐기가 포함되는 3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의 비-방향족 고리 알케닐기를 말한다.
"치환된 시클로알킬" 및 "치환된 시클로알케닐"은 옥소, 티온, 알킬, 치환된 알킬, 알케닐, 치환된 알케닐, 알키닐, 치환된 알키닐, 알콕시, 치환된 알콕시, 아실, 아실아미노, 아실옥시, 아미노, 치환된 아미노, 아미노카르보닐, 아미노티오카르보닐, 아미노카르보닐아미노, 아미노티오카르보닐아미노, 아미노카르보닐옥시, 아미노술포닐, 아미노술포닐옥시, 아미노술포닐아미노, 아미디노, 아릴, 치환된 아릴, 아릴옥시, 치환된 아릴옥시, 아릴티오, 치환된 아릴티오, 카르복실, 카르복실 에스테르, (카르복실 에스테르)아미노, (카르복실 에스테르)옥시, 시아노, 시클로알킬, 치환된 시클로알킬, 시클로알킬옥시, 치환된 시클로알킬옥시, 시클로알킬티오, 치환된 시클로알킬티오, 시클로알케닐, 치환된 시클로알케닐, 시클로알케닐옥시, 치환된 시클로알케닐옥시, 시클로알케닐티오, 치환된 시클로알케닐티오, 구아니디노, 치환된 구아니디노, 할로, 히드록시, 헤테로아릴, 치환된 헤테로아릴, 헤테로아릴옥시, 치환된 헤테로아릴옥시, 헤테로아릴티오, 치환된 헤테로아릴티오, 헤테로고리, 치환된 헤테로고리, 헤테로시클릴옥시, 치환된 헤테로시클릴옥시, 헤테로시클릴티오, 치환된 헤테로시클릴티오, 니트로, SO3H, 치환된 술포닐, 술포닐옥시, 티오아실, 티올, 알킬티오, 및 치환된 알킬티오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내지 5 또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개의 치환기를 가지는 시클로알킬 또는 시클로알케닐기를 의미하며, 상기 치환기는 본 문서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시클로알킬옥시" -O-시클로알킬을 말한다.
"치환된 시클로알킬옥시"는 -O-(치환된 시클로알킬)을 말한다.
"시클로알킬티오"는 -S-시클로알킬을 말한다.
"치환된 시클로알킬티오"는 -S-(치환된 시클로알킬)을 말한다.
"시클로알케닐옥시"는 -O-시클로알케닐을 말한다.
"치환된 시클로알케닐옥시"는 -O-(치환된 시클로알케닐)을 말한다.
"시클로알케닐티오"는 -S-시클로알케닐을 말한다.
"치환된 시클로알케닐티오"는 -S-(치환된 시클로알케닐)을 말한다.
"구아니디노"는 -NHC(=NH)NH2 기를 말한다.
"치환된 구아니디노"는 -NR7C(=NR7)N(R7)2를 말하며, 각 R7은 수소, 알킬, 치환된 알킬, 아릴, 치환된 아릴, 헤테로아릴, 치환된 헤테로아릴, 헤테로고리, 및 치환된 헤테로고리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보통의 구아니디노 질소 원자에 부착되는 2개의 R7기는 그것에 결합된 질소와 함께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헤테로고리 또는 치환된 헤테로고리기를 형성하고, 단, 적어도 하나의 R7은 수소가 아니고, 상기 치환기는 본 문서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할로" 또는 "할로겐"은 플루오로(fluoro), 클로로(chloro), 브로모(bromo) 및 요오도(iodo)를 의미한다.
"할로알킬"은 1 내지 5, 1 내지 3, 또는 1 내지 2개의 할로기로 치환되는 알킬기를 말하며, 알킬 및 할로는 본 문서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할로알콕시"는 1 내지 5, 1 내지 3, 또는 1 내지 2개의 할로기로 치환되는 알콕시 기를 말하며, 알콕시 및 할로는 본 문서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할로알킬티오"는 1 내지 5, 1 내지 3, 또는 1 내지 2 할로기로 치환되는 알킬티오 기를 말하며, 알킬티오 및 할로는 본 문서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히드록시" 또는 "히드록실"은 -OH기를 말한다.
"헤테로아릴"은 환 내에 산소, 질소 및 황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 및 1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의 방향족기를 말한다. 이러한 헤테로아릴 기는 단일환(예를 들어, 피리디닐 또는 푸릴) 또는 다중 축합환(예를 들어, 인돌리지닐 또는 벤조티에닐)을 가질 수 있고, 다중 축합환은 방향족 일 수도 또는 아닐 수도 있고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며, 단, 부착지점은 방향족 헤테로아릴 기의 원자를 통한다. 한 구체예에서, 헤테로아릴 기의 질소 및/또는 황 환 원자(들)은 선택적으로 산화되어 N-옥시드(NO), 술피닐, 또는 술포닐 부분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헤테로아릴은 피리디닐, 피롤릴, 인돌릴, 티오페닐, 및 푸라닐을 포함한다.
"치환된 헤테로아릴"은 치환된 아릴에 대해 정의된 치환기의 동일기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내지 5,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 또는 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개의 치환기로 치환되는 헤테로아릴기를 말한다.
"헤테로아릴옥시"는 -O-헤테로아릴을 말한다.
"치환된 헤테로아릴옥시"는 -O-(치환된 헤테로아릴)기를 말한다.
"헤테로아릴티오"는 -S-헤테로아릴기를 말한다.
"치환된 헤테로아릴티오"는 -S-(치환된 헤테로아릴)기를 말한다.
"헤테로사이클" 또는 "헤테로고리" 또는 "헤테로시클로알킬" 또는 "헤테로시클릴"은 포화 또는 부분적으로 포화되었지만, 방향족이 아닌, 1 내지 10개의 환 탄소 원자와 질소, 황 또는 산소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내지 4개의 환 헤테로원자를 가지는 기를 말한다. 헤테로사이클은 단일 환 또는 융합, 브릿지 및 스피로 환시스템을 포함하는 다중 축합환을 포함한다. 융합된 환 시스템에서, 하나 이상의 환은 시클로알킬,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일 수 있고, 단, 부착 지점은 비-방향족 환을 통한다. 한 구체예에서, 헤테로고리 기의 질소 및/또는 황 원자(들)은 선택적으로 산화되어 N-옥시드, 술피닐, 또는 술포닐 부분을 제공한다.
"치환된 헤테로고리" 또는 "치환된 헤테로시클로알킬" 또는 "치환된 헤테로시클릴"은 치환된 시클로알킬에 대해 정의된 바와 같은 1 내지 5 또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개의 동일한 치환기로 치환되는 헤테로시클릴기를 말한다.
"헤테로시클릴옥시"는 -O-헤테로시클릴기를 말한다.
"치환된 헤테로시클릴옥시"는 -O-(치환된 헤테로시클릴)기를 말한다.
"헤테로시클릴티오"는 -S-헤테로시클릴기를 말한다.
"치환된 헤테로시클릴티오"는 -S-(치환된 헤테로시클릴)기를 말한다.
헤테로고리 및 헤테로아릴의 예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아제티딘(azetidine), 피롤(pyrrole), 이미다졸(imidazole), 피라졸(pyrazole), 피리딘(pyridine), 피라진(pyrazine), 피리미딘(pyrimidine), 피리다진(pyridazine), 인돌리진(indolizine), 이소인돌(isoindole), 인돌(indole), 디히드로인돌(dihydroindole), 인다졸(indazole), 퓨린(purine), 퀴놀리진(quinolizine), 이소퀴놀린(isoquinolin), 퀴놀린(quinoline), 프탈라진(phthalazine), 나프틸피리딘(naphthylpyridine), 퀴녹살린(quinoxaline), 퀴나졸린(quinazoline), 신놀린(cinnoline), 프테리딘(pteridine), 카르바졸(carbazole), 카르볼린(carboline), 페난트리딘(phenanthridine), 아크리딘(acrydine), 페난트롤린(phenanthroline), 이소티아졸(isothiazole), 페나진(phenazine), 이속사졸(isoxazole), 페녹사진(phenoxazine), 페노티아진(phenothiazine), 이미다졸리딘(imidazolidine), 이미다졸린(imidazoline), 피페리딘(piperidine), 피페라진(piperazine), 인돌린(indoline), 프탈리미드(phthalimide), 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1,2,3,4-tetrahydroisoquinoline), 4,5,6,7-테트라히드로벤조[b]티오펜(4,5,6,7-tetrahydrobenzo[b]thiophene), 티아졸(thiazole), 티아졸리딘(thiazolidine), 티오펜(thiophen), 벤조[b]티오펜(benzo[b]thiophen), 모르폴리닐(morpholinyl), 티오모르폴리닐(thiomorpholinyl){이는 티아모르폴리닐(thiamorpholinyl)로도 지칭됨}, 1,1-디옥소티오모르폴리닐(1,1-dioxothiomorpholinyl), 피페리디닐(piperidinyl), 피롤리딘(pyrrolidine), 테트라졸(tetrazole) 및 테트라히드로푸라닐(tetrahydropuranyl)을 포함한다.
"니트로"는 -NO2기를 말한다.
"옥소"는 (=0) 또는 (-0-) 원자를 말한다.
"스피로비시클로기"는 두 개의 환에 모두 흔한 단일 환 탄소 원자를 가지는 2고리 환 시스템을 말한다.
"술포닐"은 2가의 -S(O)2-기를 말한다.
"치환된 술포닐"은 -SO2-알킬, -SO2-치환된 알킬, -SO2-알케닐, -SO2-치환된 알케닐, -SO2-시클로알킬, -SO2-치환된 시클로알킬, -SO2-시클로알케닐, -SO2-치환된 시클로알케닐, -SO2-아릴, -SO2-치환된 아릴, -SO2-헤테로아릴, -SO2-치환된 헤테로아릴, -SO2-헤테로고리, -SO2-치환된 헤테로고리기를 의미한다. 치환된 술포닐은 메틸-SO2-, 페닐-SO2-, 및 4-메틸페닐-SO2-와 같은 기를 포함한다. 용어 "알킬술포닐"은 -SO2-알킬을 말한다. 용어 "할로알킬술포닐"은 -SO2-할로알킬을 말하며, 할로알킬은 본원에 정의된다. 용어 "(치환된 술포닐)아미노"는 -NH(치환된 술포닐)을 말하며, 치환된 술포닐은 본 문서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술포닐옥시"는 -OSO2-알킬, -OSO2-치환된 알킬, -OSO2-알케닐, -OSO2-치환된 알케닐, -OSO2-시클로알킬, -OSO2-치환된 시클로알킬, -OSO2-시클로알케닐, -OSO2-치환된 시클로알케닐, -OSO2-아릴, -OSO2-치환된 아릴, -OSO2-헤테로아릴, -OSO2-치환된 헤테로아릴, -OSO2-헤테로고리, -OSO2-치환된 헤테로고리기를 의미한다.
"티오아실"은 H-C(S)-, 알킬-C(S)-, 치환된 알킬-C(S)-, 알케닐-C(S)-, 치환된 알케닐-C(S)-, 알키닐-C(S)-, 치환된 알키닐-C(S)-, 시클로알킬-C(S)-, 치환된 시클로알킬-C(S)-, 시클로알케닐-C(S)-, 치환된 시클로알케닐-C(S)-, 아릴-C(S)-, 치환된 아릴-C(S)-, 헤테로아릴-C(S)-, 치환된 헤테로아릴-C(S)-, 헤테로고리-C(S)-, 및 치환된 헤테로고리-C(S)-기를 의미한다.
"티올"은 -SH기를 말한다.
"티오카르보닐"은 2가의 -C(S)-기를 말하며, 이는 -C(=S)-과 동일하다.
"티온"은 원자 (=S)를 의미한다.
"알킬티오"는 -S-알킬기를 의미한다.
"치환된 알킬티오"는 -S-(치환된 알킬)기를 의미한다.
"아자이드 음이온"은 N3 - 또는 N-=N+=N-의 구조식을 갖는 음이온을 의미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페네틸 티오시안산 및 페네틸-[1,2,3,4]티아트리아졸-5-일-아민의 제조
(2-브로모에틸)벤젠{(2-bromoethyl)benzene} 1.85 g(10 mmol)을 KSCN 1.94 g(20 mmol)과 용매 DMF(dimethylformamide) 5 mL와 아세토니트릴(acetonitrile) 5 mL에 혼합하여 실온(25℃)에서 12시간 반응하였다. 생성된 페네틸 티오시아네이트(phenethyl thiocyanate)과 페네틸 이소티오시아네이트(phenethyl isothiocyanate) 혼합물은 아세트산 에틸(10 mL X 3)로 추출하고 물(10 mL X 2)로 세척하였다. 아세트산 에틸 용액을 무수 황산마그네슘(MgSO4) 또는 황산칼슘(CaSO4)으로 건조하고 용매를 감압하여 증발기로 증발시켜서 페네틸 티오시아네이트와 페네틸 이소티오시아네이트 혼합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가스크로마토그라피로 분석한 결과, 페네틸 티오시아네이트가 85% 그리고 페네틸 이소티오시아네이트가 15%로 나타났다(도 1).
상기 혼합물 490 mg(3 mmol)을 NaN3 390 mg(6 mmol)과 진한 염산 0.5 mL(6 mmol)이 첨가된 THF 5 mL에 혼합하여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16시간 반응 후 진한 염산으로 용액을 pH 1.0 정도의 산성으로 조정하고, 물 5 mL과 아세트산 에틸 10 mL을 첨가하여 잘 혼합한 후, 층분리를 하였다. 먼저 물 층을 아세트산 에틸(5 mL X 2)로 추출한 후, 아세트산 에틸 층과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MgSO4 또는 CaSO4로 건조한 뒤 증발기로 용매를 증발시켰다. 남은 혼합물을 실리카 겔로 충전시킨 관에 적재한 후, 아세트산 에틸을 용리액으로 사용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였다. 분리된 분획을 증발기로 증발시켜, 무색 액체 페네틸 티오시아네이트 396 mg(81%)와 무색의 결정 페네틸-[1,2,3,4]트리아졸-5-일-아민 80 mg(13%)를 수득하였다(도 2).
상기 결정에 대하여 핵자기공명분광 분석(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metry)을 수행한 결과,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페네틸-[1,2,3,4]트리아졸-5-일-아민이 효율적으로 정제된 것을 알 수 있었다.
페네틸 티오시아네이트, 페네틸 이소시아네이트 및 페네틸-[1,2,3,4]트리아졸-5-일-아민에 대한 박층 크로마토그램(thin layer chromatogram, TLC)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4에서 1번 열은 페네틸 티오시아네이트 및 페네틸 티오시아네이트 혼합물에 대한 TLC 결과를 나타내고, 3번 열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 의해 페네틸 이소시아네이트가 페네틸-[1,2,3,4]트리아졸-5-일-아민으로 전환된 후 혼합물에 대한 TLC 결과를 나타내며, 2번 열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 의해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수행 후 순수 분리된 페네틸 티오시아네이트에 대한 TLC 결과를 나타내고, 4번 열은 본 발명의 일 실실예에 따른 방법에 의해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수행 후 순수 분리된 페네틸-[1,2,3,4]트리아졸-5-일-아민에 대한 TLC 결과를 나타낸다. 1번 열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페네틸 티오시아네이트와 페네틸 이소시아네이트는 TLC 상으로 구분할 수 없을 정도로 물성이 유사하여, 서로 분리하기 어려우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 의해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었다.
상기 페네틸 티오시아네이트 및 페네틸-[1,2,3,4]트리아졸-5-일-아민의 물리적인 성질은 하기와 같다:
페네틸 티오시아네이트
Rf=0.8(실리카 겔, 아세트산 에틸:헥산=1:3); 끓는점: 169; 무색액체; 1H NMR (300 MHz, CDCl3)δ 7.30 (m, 5H), 3.15 (t, J=7.0Hz, 2H), 2.89 (t, J=7.2 Hz, 2H); 13CNMR (75 MHz, CDCl3)δ 137.6, 128.6, 128.6, 127.2, 112.0, 36.0, 35.1; FT-IR 3084, 3062, 3026, 2939, 2857, 2153, 1674, 1603; EA 이론값 (C:66.22, H:5.56, N:8.58, S:19.64); 측정값 (C:66.39, H:5.81, N:8.52, S:19.86).
페네틸-[1,2,3,4]티아트리아졸-5-일-아민
Rf=0.3 (실리카 겔, 아세트산 에틸:헥산=1:3); 녹는점: 140; 흰색 결정; 1H NMR (300 MHz, CDCl3)δ 7.39 (s, 1H), 7.20~7.34 (m, 5H), 3.66 (t, J=7.0 Hz, 2H), 3.06 (t, J=7.0 Hz, 2H); 13C NMR(75 MHz, CDCl3)δ 179.15, 127.1, 128.7, 128.8, 128.9, 137.3, 50.8, 34.94; FT-IR 3213, 3084, 3027, 2870, 1297; EA 이론값 (C:54.41, H: 4.89, N: 27.16, S: 15.55); 측정값 (C:52.52, H:5.05, N:27.06, S:15.85).
실시예 2: 부틸 티오시아네이트 및 부틸-[1,2,3,4]티아트리아졸-5-일-아민의 제조
개시물질로 (2-브로모에틸)벤젠 대신 1-브로모부탄(1-bromobutane) 1.37 g(10 mmol)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부틸 티오시아네이트 및 부틸-[1,2,3,4]티아트리아졸-5-일-아민을 제조하였다. 상기 부틸 티오시아네이트 및 부틸-[1,2,3,4]티아트리아졸-5-일-아민의 물리적인 특성은 하기와 같다:
부틸 티오시아네이트
Rf=0.8 (실리카 겔, 아세트산 에틸:헥산=1:3); 끓는점: 94; 무색 액체; 1H NMR (300 MHz, CDCl3)δ 2.91 (t, J=7.3 Hz, 2H), 1.76 (quin, J=7.3 Hz, 2H) 1.44 (sext, J=7.7 Hz, 2H), 0.92 (t, J=7.3 Hz, 3H); 13C NMR (75 MHz, CDCl3)δ 112.3, 33.6, 31.7, 21.0, 13.2; FT-IR 2960, 2915, 2870, 2152, 1677, 1464; EA 이론값 (C:52.13, H:7.89, N:12.16, S:27.84); 측정값 (C:52.25, H:7.82, N:12.55, S:27.86).
1-부틸-1,4-디히드로-테트라졸-5-티온
Rf=0.3 (실리카 겔, 아세트산 에틸:헥산=1:3); 녹는점: 60; 흰색 결정; 1H NMR (300 MHz, CDCl3)δ 14.79 (s, 1H), 4.32 (t, J=7.3 Hz, 2H), 1.93 (m, 2H), 1.42 (sext, J=7.3 Hz, 2H), 0.99 (t, J=7.3 Hz, 3H); 13C NMR (75 MHz, CDCl3)δ 163.44, 47.14, 29.87, 19.53, 13.48; FT-IR: 3051, 2983, 2912, 2764, 1336; EA이론값 (C:37.95, H:6.37, N:35.41, S:20.27); 측정값 (C:38.10, H:6.35, N:35.28, S:20.26).
실시예 3: 헥실 티오시아네이트 및 헥실-[1,2,3,4]티아트리아졸-5-일-아민의 제조
개시물질로 (2-브로모에틸)벤젠 대신 1-브로모헥산(1-bromobutane) 1.65 g(10 mmol)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헥실 티오시아네이트 및 헥실-[1,2,3,4]티아트리아졸-5-일-아민을 제조하였다. 상기 헥실 티오시아네이트 및 헥실-[1,2,3,4]티아트리아졸-5-일-아민의 물리적인 특성은 하기와 같다:
헥실 티오시아네이트
Rf=0.8 (실리카 겔, 아세트산 에틸:헥산=1:3); 끓는점: 131; 무색액체; 1H NMR (300 MHz, CDCl3)δ 2.88 (t, J=7.3 Hz, 2H), 1.75 (quin, J=7.3 Hz, 2H), 1.45 (m, 2H), 1.32 (m, 4H), 0.85 (t, J=7.0 Hz, 3H); 13C NMR (75 MHz, CDCl3)δ 112.35, 33.96, 30.92, 29.74, 27.51, 22.31, 13.84; FT-IR 3084, 3062, 3026, 2939, 2857, 2153, 1674, 1603; EA 이론값 (C:66.22, H: 5.56, N: 8.58, S: 19.64); 측정값 (C:66.39, H:5.81, N:8.52, S:19.86).
헥실-[1,2,3,4]티아트리아졸-5-일-아민
Rf=0.3 (실리카 겔, 아세트산 에틸:헥산=1:3); 녹는점: 72; 흰색 결정; 1H NMR (300 MHz, CDCl3)δ 7.26 (s, 1H), 3.36 (dt, J=7.0 Hz, J=5.5 Hz, 2H), 1.76 (quin, J=7.4Hz, 2H), 1.42 (m, 2H), 1.32 (m, 4H), 0.89 (t, J=7.0Hz, 3H); 13C NMR (75 MHz, CDCl3)δ 179.36, 50.02, 31.25, 28.70, 26.39, 22.46, 13.94; FT-IR 3344, 2956, 2932, 2855, 1543, 1458; EA 계산값 (C:45.13, H:7.58, N:30.08, S:17.21); 측정값 (C:45.25, H:7.39, N:30.09, S:17.15).
실시예 4: 헥실 티오시아네이트 및 1-헥실-1,4-디히드로-테트라졸-5티온의 제조
개시물질로 1-브로모헥산(1-bromobutane) 대신에 1-클로로헥산 1.21 g(10 mmol)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헥실 티오시아네이트 및 헥실-[1,2,3,4]티아트리아졸-5-일-아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3-페닐프로필 티오시아네이트 및 (3-페닐프로필)-[1,2,3,4] 티아트리아졸-5-일-아민의 제조
개시물질로 (2-브로모에틸)벤젠 대신 (3-브로모프로필)벤젠{(3-bromopropyl) benzene} 1.99 g(10 mmol)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3-페닐프로필 티오시아네이트 및 (3-페닐프로필)-[1,2,3,4]티아트리아졸-5-일-아민을 제조하였다. 상기 3-페닐 티오시아네이트 및 (3-페닐프로필)-[1,2,3,4]티아트리아졸-5-일-아민의 물리적인 특성은 하기와 같다:
3-페닐프로필 티오시아네이트
Rf=0.8 (실리카 겔, 아세트산 에틸:헥산=1:3); 끓는점: 173 , 무색 액체; 1H NMR (300 MHz, CDCl3)δ 7.21~7.34 (m, 5H), 3.41 (t, J=6.6 Hz, 2H), 2.81 (t, J=7.7 Hz, 2H), 2.19 (quin, J=7.7 Hz, 2H); 13C NMR (75 MHz, CDCl3)δ 140.5, 128.5, 128.4, 126.1, 113.0, 34.1, 33.9, 33.1; FT-IR 3077, 3026, 2939, 2857, 2153, 1674, 1603; EA 계산값 (C:67.76, H:6.25, N:7.90, S:18.09); 측정값 (C:67.74, H:6.01, N:7.68, S:18.21).
(3-페닐프로필)-[1,2,3,4]티아트리아졸5-일-아민
Rf=0.3 (실리카 겔, 아세트산 에틸:헥산=1:3); 녹는점: 145; 흰색 결정; 1H NMR (300 MHz, CDCl3)δ 6.32 (s, 1H), 7.28~7.37 (m, 5H), 3.11 (quin, J=7.5 Hz, 2H), 3.24 (t, J=7.1 Hz, 2H), 3.65 (t, J=7.0 Hz, 2H); 13C NMR(75MHz, CDCl3)δ 160.3, 124.1, 128.7, 131.8, 134.2, 136.2, 50.8, 44.7, 34.94; FT-IR 3050, 2929, 2830, 2821, 1329; EA 계산값 (C:54.52, H:5.49, N:25.43, S:14.56) 측정값 (C:54.50, H:5.51, N:25.21, S:14.60).
상기 실시예들을 정리하면 하기 표 1과 같다.
Figure 112011047138548-pat00004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유기 할로겐 화합물과 티오시안 음이온(thiocyanate ion)을 반응시켜 유기 티오시안산 화합물(organic thiocyanate)과 이소티오시안산 화합물(isothiocyanate)이 혼합된 혼합물을 생성시키는 단계;
    상기 혼합물과 아자이드 이온(azide ion)을 산성 조건에서 반응시켜 티아트리아졸 아민(thiatriazole amine)을 생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티아트리아졸 아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기 티오시안산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할로겐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을 가지는, 방법:
    R-X(상기 식에서, R은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알콕시, 아실, 아실아미노, 아실옥시, 아미노, 아미노카르보닐, 아미노티오카르보닐, 아미노카르보닐아미노, 아미노티오카르보닐 아미노, 아미노카르보닐옥시, 아미노술포닐, 아미노술포닐옥시, 아미노술포닐아미노, 아미디노, 카르복실 에스테르, (카르복실 에스테르)아미노, (카르복실 에스테르)옥시, 시클로알케닐, 시클로알킬옥시, 시클로알킬티오, 시클로알케닐옥시, 시클로알케닐티오, 구아니디노, 아릴, 아릴옥시, 헤테로아릴, 시클로알킬, 헤테로고리, 헤테로아릴옥시, 헤테로아릴티오, 헤테로시클릴옥시, 헤테로시클릴티오, 술포닐옥시, 티오아실, 및 알킬티오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그룹이고, X는 할로겐 원자이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할로겐 원자는 불소,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인,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을 생성시키는 단계는 유기용매 내에서 수행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는 n-부탄올(butanol), 2-부탄올(2-butanol), t-부탄올(t-butanol), 클로로포름(chloroform),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 아세트산 에틸(ethyl acetate), 헥산(hexane), 디에틸에테르(diethyl ether), 에세토니트릴(acetonitrile), 벤젠(benzene), 아세톤(acetone), 디메틸포름아마이드(dimethyl formamide, DMF), 톨루엔(toluene), 테트라히드로퓨란(tetrahydrofuran, THF), 디메틸설폭사이드(dimethyl sulfoxide, DMSO)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아졸 아민은 하기 구조식을 갖는, 방법:
    Figure 112013041290699-pat00005
    (상기 식에서, R은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알콕시, 아실, 아실아미노, 아실옥시, 아미노, 아미노카르보닐, 아미노티오카르보닐, 아미노카르보닐아미노, 아미노티오카르보닐 아미노, 아미노카르보닐옥시, 아미노술포닐, 아미노술포닐옥시, 아미노술포닐아미노, 아미디노, 카르복실 에스테르, (카르복실 에스테르)아미노, (카르복실 에스테르)옥시, 시클로알케닐, 시클로알킬옥시, 시클로알킬티오, 시클로알케닐옥시, 시클로알케닐티오, 구아니디노, 아릴, 아릴옥시, 헤테로아릴, 시클로알킬, 헤테로고리, 헤테로아릴옥시, 헤테로아릴티오, 헤테로시클릴옥시, 헤테로시클릴티오, 술포닐옥시, 티오아실, 및 알킬티오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그룹이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성 조건은 산의 첨가에 의해 달성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산은 염산(HCl), 황산(H2SO4), 질산(H2NO3), 요오드화수소산(HI), 브롬화수소산(HBr), 과염소산(HClO4), p-톨루엔술폰산(p-toluenesulfonic acid), 브롬산(HBrO3), 과브롬산(HBrO4), 요오드산(HIO3), 과요오드산(HIO4) 또는 염소산(HClO3)을 포함하는 강산 또는 불산(HF), 아세트산(CH3COOH), 시트르산(citric acid), 페놀(phenol) 또는 옥살산(H2C2O4)을 포함하는 약산인,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칼럼크로마토그래피는 반응산물에 유기용매를 가하여 혼합한 후, 이를 유기용매를 용리액으로 하여 칼럼에 적재함으로써 수행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는 상기 유기용매는 n-부탄올(butanol), 2-부탄올(2-butanol), t-부탄올(t-butanol), 클로로포름(chloroform),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 아세트산 에틸(ethyl acetate), 헥산(hexane), 디에틸에테르(diethyl ether), 에세토니트릴(acetonitrile), 벤젠(benzene), 아세톤(acetone), 디메틸포름아마이드(dimethyl formamide, DMF), 톨루엔(toluene)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방법.
  11. 유기 할로겐 화합물과 티오시안 음이온(thiocyanate ion)을 반응시켜 유기 티오시안산 화합물(organic thiocyanate)과 이소티오시안산 화합물(isothiocyanate)이 혼합된 혼합물을 생성시키는 단계;
    상기 혼합물과 아자이드 이온(azide ion)을 산성 조건에서 반응시켜 티아트리아졸 아민(thiatriazole amine)을 생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티아트리아졸 아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티아트리아졸 아민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할로겐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을 가지는, 방법:
    R-X(상기 식에서, R은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알콕시, 아실, 아실아미노, 아실옥시, 아미노, 아미노카르보닐, 아미노티오카르보닐, 아미노카르보닐아미노, 아미노티오카르보닐 아미노, 아미노카르보닐옥시, 아미노술포닐, 아미노술포닐옥시, 아미노술포닐아미노, 아미디노, 카르복실 에스테르, (카르복실 에스테르)아미노, (카르복실 에스테르)옥시, 시클로알케닐, 시클로알킬옥시, 시클로알킬티오, 시클로알케닐옥시, 시클로알케닐티오, 구아니디노, 아릴, 아릴옥시, 헤테로아릴, 시클로알킬, 헤테로고리, 헤테로아릴옥시, 헤테로아릴티오, 헤테로시클릴옥시, 헤테로시클릴티오, 술포닐옥시, 티오아실, 및 알킬티오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그룹이고, X는 할로겐 원자이다).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할로겐 원자는 불소,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인,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을 생성시키는 단계는 유기용매 내에서 수행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는 n-부탄올(butanol), 2-부탄올(2-butanol), t-부탄올(t-butanol), 클로로포름(chloroform),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 아세트산 에틸(ethyl acetate), 헥산(hexane), 디에틸에테르(diethyl ether), 에세토니트릴(acetonitrile), 벤젠(benzene), 아세톤(acetone), 디메틸포름아마이드(dimethyl formamide, DMF), 톨루엔(toluene), 테트라히드로퓨란(tetrahydrofuran, THF), 디메틸설폭사이드(dimethyl sulfoxide, DMSO)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아졸 아민은 하기 구조식을 갖는, 방법:
    Figure 112013041290699-pat00006
    (상기 식에서, R은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알콕시, 아실, 아실아미노, 아실옥시, 아미노, 아미노카르보닐, 아미노티오카르보닐, 아미노카르보닐아미노, 아미노티오카르보닐 아미노, 아미노카르보닐옥시, 아미노술포닐, 아미노술포닐옥시, 아미노술포닐아미노, 아미디노, 카르복실 에스테르, (카르복실 에스테르)아미노, (카르복실 에스테르)옥시, 시클로알케닐, 시클로알킬옥시, 시클로알킬티오, 시클로알케닐옥시, 시클로알케닐티오, 구아니디노, 아릴, 아릴옥시, 헤테로아릴, 시클로알킬, 헤테로고리, 헤테로아릴옥시, 헤테로아릴티오, 헤테로시클릴옥시, 헤테로시클릴티오, 술포닐옥시, 티오아실, 및 알킬티오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그룹이다).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산성 조건은 산의 첨가에 의해 달성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산은 염산(HCl), 황산(H2SO4), 질산(H2NO3), 요오드화수소산(HI), 브롬화수소산(HBr), 과염소산(HClO4), p-톨루엔술폰산(p-toluenesulfonic acid), 브롬산(HBrO3), 과브롬산(HBrO4), 요오드산(HIO3), 과요오드산(HIO4) 또는 염소산(HClO3)을 포함하는 강산 또는 불산(HF), 아세트산(CH3COOH), 시트르산(citric acid), 페놀(phenol) 또는 옥살산(H2C2O4)을 포함하는 약산인, 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칼럼크로마토그래피는 반응산물에 유기용매를 가하여 혼합한 후, 이를 유기용매를 용리액으로 하여 칼럼에 적재함으로써 수행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는 상기 유기용매는 n-부탄올(butanol), 2-부탄올(2-butanol), t-부탄올(t-butanol), 클로로포름(chloroform),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 아세트산 에틸(ethyl acetate), 헥산(hexane), 디에틸에테르(diethyl ether), 에세토니트릴(acetonitrile), 벤젠(benzene), 아세톤(acetone), 디메틸포름아마이드(dimethyl formamide, DMF), 톨루엔(toluene)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방법.
KR1020110060185A 2011-06-21 2011-06-21 할로겐화 알킬로부터 유기 티오시안산 화합물의 합성방법 KR1013073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0185A KR101307393B1 (ko) 2011-06-21 2011-06-21 할로겐화 알킬로부터 유기 티오시안산 화합물의 합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0185A KR101307393B1 (ko) 2011-06-21 2011-06-21 할로겐화 알킬로부터 유기 티오시안산 화합물의 합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40444A KR20120140444A (ko) 2012-12-31
KR101307393B1 true KR101307393B1 (ko) 2013-09-11

Family

ID=47906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0185A KR101307393B1 (ko) 2011-06-21 2011-06-21 할로겐화 알킬로부터 유기 티오시안산 화합물의 합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739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87688A (en) 1973-02-15 1975-06-03 Japan Exlan Co Ltd Process for refining aqueous solution of thiocyanate containing impurities
US3959330A (en) 1971-11-08 1976-05-25 Monsanto Company Substituted dichloromethyl thiocyanates and their manufacture
JPS57147055A (en) * 1981-03-06 1982-09-10 Seishin Seiyaku Kk Method and apparatus for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cyanogen ion, thiocyanate ion or salts thereof by liquid chromatography
JPH02229711A (ja) * 1989-03-02 1990-09-12 Nkk Corp チオシアン酸塩の分離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59330A (en) 1971-11-08 1976-05-25 Monsanto Company Substituted dichloromethyl thiocyanates and their manufacture
US3887688A (en) 1973-02-15 1975-06-03 Japan Exlan Co Ltd Process for refining aqueous solution of thiocyanate containing impurities
JPS57147055A (en) * 1981-03-06 1982-09-10 Seishin Seiyaku Kk Method and apparatus for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cyanogen ion, thiocyanate ion or salts thereof by liquid chromatography
JPH02229711A (ja) * 1989-03-02 1990-09-12 Nkk Corp チオシアン酸塩の分離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40444A (ko) 2012-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8642B1 (ko) 항바이러스성 화합물의 제조 방법
CN102066332B (zh) 用于合成σ受体抑制剂的萘-2-基-吡唑-3-酮中间体的制备方法
KR101307390B1 (ko) 할로겐화 알킬로부터 유기 티오시안산 화합물의 제조방법
KR101307393B1 (ko) 할로겐화 알킬로부터 유기 티오시안산 화합물의 합성방법
EP1604992B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10alpha-[4&#39;-(S-S-Dioxothothiomorpholin-1&#39;-yl)]-10-Deoxo-10-Dihydroartemisinin
KR101303185B1 (ko) 1-치환-테트라졸-5-티온 화합물의 합성방법
WO2013046138A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scopine esters
DE10121638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Imidazopyridinen
Pine et al. Base-promoted reactions of bicyclic mono-and diquaternary ammonium salts
EP1084091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alkyl-, alkenyl- und alkinylchloriden
CZ290533B6 (cs) Způsob výroby o-aminofenylcyklopropylketonu
TWI828777B (zh) 合成氧基吡啶醯胺之方法
JP2012097041A (ja) フルオロアルキル基を有するテトラヒドロピラゾロピラゾロン誘導体及びその製造方法
DE2924712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n-alkylbenzothiazolonderivaten
CA2730224A1 (en) Synthesis of 6,7-dihydro-1h-indeno[5,4-b]furan-8(2h)-one as intermediate in the preparation of ramelteon
EP0368225A1 (de) Hydroxylaminderivate
WO2020206119A1 (en) Process for making pyridone amides and prodrugs thereof useful as modulators of sodium channels
DE102005035301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gegebenenfalls substituiertem Trifluormethylphenacylbromid
KR100561511B1 (ko) 질소-메틸-3,3-디페닐프로필아민의 새로운 제조방법
RU2591042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эндо- и экзо-изомеров 2-(6&#39;-хлорпиридин-3&#39;-ил)-7-азабицикло[2.2.1]гептана
JP2980742B2 (ja) 2,2,6,6−テトラメチルピペリジン−4−オンの製造方法
WO2019086434A1 (en) Process for the synthesis of 2-benzhydryl-3 quinuclidinone
WO2010000282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n-phenyl-n-(4-piperidinyl) amidsalzen
JP2012521993A (ja) 縮合三環式スルホンアミドの製造プロセス
BR112020007197A2 (pt) novo process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