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7225B1 - 냉온수매트 제조금형 및 그 제조금형을 이용한 냉온수매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냉온수매트 제조금형 및 그 제조금형을 이용한 냉온수매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7225B1
KR101307225B1 KR1020130054785A KR20130054785A KR101307225B1 KR 101307225 B1 KR101307225 B1 KR 101307225B1 KR 1020130054785 A KR1020130054785 A KR 1020130054785A KR 20130054785 A KR20130054785 A KR 20130054785A KR 101307225 B1 KR101307225 B1 KR 1013072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water pipe
hot water
mold
fixing ji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4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후철
Original Assignee
엔피에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피에프(주) filed Critical 엔피에프(주)
Priority to KR1020130054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72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7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72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Landscapes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온수매트 제조금형 및 그 제조금형을 이용한 냉온수매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냉온수매트 내부의 사용자가 요구하는 정위치에 냉온수용 수관을 일체로 형성되게 하도록 하기 위하여, 냉온수용 수관이 내부에 설치되는 냉온수매트의 제조금형에 있어서, 측면부가 벽체로 둘러싸여 내부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하부금형틀과, 상기 수용공간의 바닥부 상에 상부측으로 높이를 갖는 지지부가 형성되고, 지지부 상에 수관을 고정하는 홀더부가 형성되어 수용공간에 설치되는 수관을 따라 다수 설치되는 고정지그와, 상기 고정지그의 상부측에 이격 위치되며, 상기 수용공간이 밀폐되도록 하부금형틀을 덮는 상부금형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지그의 지지부는 수관의 직경보다 좁은 간격을 갖는 한쌍의 수직 막대형태로 형성되며, 홀더부는 지지부의 상부측에 수관의 직경에 대응되는 간격을 갖도록 한쌍의 지지부 각각의 두께보다 좁은 두께를 갖는 한쌍의 수직 막대형태로 형성되어, 수관이 양측 홀더부 사이에 밀착되게 끼워져 양측 지지부의 상부측에 안착 고정되게 구성된다.

Description

냉온수매트 제조금형 및 그 제조금형을 이용한 냉온수매트 제조방법{Manufacturing mold of cold and hot water ma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냉온수매트 제조금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냉온수매트 내부의 정위치인 중앙부측에 냉온수용 수관을 일체로 형성되게 하도록 한 냉온수매트 제조금형 및 그 제조금형을 이용한 냉온수매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폴리우레탄재, 스펀지재, 메모리폼재 등의 쿠션보온재가 포함되는 냉온수매트는 원단과 쿠션보온재의 적층과정에 호스 등의 수관을 삽입한 다음 본드로 접착 또는 봉재하여 제조되어지거나, 쿠션보온재 상에 자리홈을 형성하고 그 자리홈에 수관을 삽입한 다음 수관의 상부측으로 여러 원단을 적층하여 제조되어 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 대표적인 실시예로서 등록특허 10-1210884호에서는 온수 순환용 호스(311)가 결합되는 겹면(310)이 형성되고, 겹면(310)에 삽입된 호스(311)의 들뜸을 방지하면서 겹면(310)과 접착을 도모하도록 호스 밀착용 부직포(320)가 형성되며, 부직포(320)의 외측에 방수커버(330) 및 겉커버(300)가 차례로 적층되어 접합 제조되는 온수매트가 공지되었다.
하지만 상기 공지기술에 의한 적층제조방식의 온수매트는 많은 제조공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생산성이 저하될 뿐 아니라 제품성, 기능성이 저하되고, 또한 많은 열접착 또는 본드접착으로 인한 벤젠, 토류엔, 자일렌, 에틸렌, 스타이렌, 아세트알테하이드, 포름알데히드 등이 발생되어 환경적으로 유해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다른 제조방법으로 폴리우레탄재, 스펀지재, 메모리폼재 등의 쿠션보온재 내에 수관을 넣어 발포하는 방식이 사용된다. 하지만 수관을 넣은 상태에서 고정하지 않고 쿠션보온재를 발포 성형하게 되면 쿠션보온재의 팽창으로 인해 수관의 위치가 흐트러지기 때문에 이로 인해 수관의 위치가 고른 냉온수매트가 발포성형되지 않아 충격완화 및 안락성이 결여되며, 이로 인한 제품불량 및 수관에 의한 냉온수 순환작동 불능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10-1210884호 등록특허 제10-0834094호 등록특허 제10-1066664호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된 것으로서, 하부금형틀 및 상부금형틀의 내부측 상하폭 중앙부측에 수관이 위치되어 고정되도록 하부금형틀 상에 수관 고정용지그를 설치함으로써 제조되는 냉온수매트 내부의 사용자가 요구하는 정위치인 중앙부측에 냉온수용 수관을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여 안정적인 냉온수매트를 제조하도록 하는 냉온수매트 제조금형 및 그 제조금형을 이용한 냉온수매트 제조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냉온수용 수관이 내부에 설치되는 냉온수매트의 제조금형에 있어서, 측면부가 벽체로 둘러싸여 내부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하부금형틀과, 상기 수용공간의 바닥부 상에 상부측으로 높이를 갖는 지지부가 형성되고, 지지부 상에 수관을 고정하는 홀더부가 형성되어 수용공간에 설치되는 수관을 따라 다수 설치되는 고정지그와, 상기 고정지그의 상부측에 이격 위치되며, 상기 수용공간이 밀폐되도록 하부금형틀을 덮는 상부금형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지그의 지지부는 수관의 직경보다 좁은 간격을 갖는 한쌍의 수직 막대형태로 형성되며, 홀더부는 지지부의 상부측에 수관의 직경에 대응되는 간격을 갖도록 한쌍의 지지부 각각의 두께보다 좁은 두께를 갖는 한쌍의 수직 막대형태로 형성되어, 수관이 양측 홀더부 사이에 밀착되게 끼워져 양측 지지부의 상부측에 안착 고정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매트 제조금형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냉온수용 수관이 내부에 설치되도록 구비되는 냉온수매트 제조금형을 이용한 냉온수매트 제조방법에 있어서, 측면부가 벽체로 둘러싸여 내부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하부금형틀과, 상기 수용공간의 바닥부 상에 상부측으로 높이를 갖는 지지부가 형성되고 지지부 상에 수관을 고정하는 홀더부가 형성되어 수용공간에 설치되는 수관을 따라 다수 설치되는 고정지그와, 상기 고정지그의 상부측에 이격 위치되며 상기 수용공간이 밀폐되도록 하부금형틀을 덮는 상부금형틀로 구성되는 냉온수매트 제조금형을 준비하는 제1단계(S1); 상기 고정지그의 홀더부 상에 수관을 삽입하여 고정되게 하는 제2단계(S2); 상기 수관이 홀더부 상에 고정된 상태로 하부금형틀 내부에 액상의 성형소재를 주입하는 제3단계(S3); 상기 성형소재가 주입된 하부금형틀의 상부측에 상부금형틀을 덮어 밀폐시킨 다음 성형소재를 발포 또는 경화시켜 수관이 상하폭 중앙부에 일체로 고정 위치된 냉온수매트를 성형하는 제4단계(S4); 상기 냉온수매트의 성형 완료 후 상부금형틀을 개방하고, 하부금형틀 내에 성형된 냉온수매트를 이탈시키는 제5단계(S5);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매트 제조금형을 이용한 냉온수매트의 제조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한면 본 발명은 발포 또는 경화를 통해 제조되는 냉온수매트의 수관 정위치인 중앙부측에 수관이 위치된 상태에서 단순공정으로 냉온수매트를 일체로 성형되게함으로써 수관의 위치가 일정하게 고른 고품질의 냉온수매트를 생산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한 생산성 향상, 제품성 향상, 기능성 향상 등의 효과가 있다.
또한 열접착 및 본드접착공정이 배제되기 때문에 제조과정에서 유독물질의 발생이 현저히 감소되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전기방식이 아닌 냉온수방식의 안정적인 냉온수매트를 생산할 수 있어 전기투입제품의 대체품목으로서 적용범위가 확대되는 효과가 기대된다.
도 1은 종래기술의 구성을 알 수 있는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하부금형틀 내에 설치된 고정지그에 수관이 삽입 고정된 상태의 평면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냉온수매트 제조금형의 실시예들 측단면도 및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냉온수매트 제조금형을 이용한 냉온수매트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냉온수매트의 사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의한 수관(2)이 내부에 설치되는 냉온수매트(100)의 제조금형은 하부금형틀(10)과, 하부금형틀(10) 내에 설치되는 고정지그(20)와, 하부금형틀(10)의 덮개 기능을 수행하는 상부금형틀(30)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금형틀(10)은 도 3에서와 같이 바닥부(13)가 형성되고, 측면부가 벽체(11)로 둘러싸여 내부에 수용공간(12)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하부금형틀(10)의 수용공간(12)에는 사용자가 요구하는 정위치에 수관(2)을 고정하기 위해 고정지그(20)를 구비한다. 상기 정위치는 냉온수매트(100)의 구조상 통상 수용공간(12)의 상하폭 중앙부측을 말한다.
상기 고정지그(20)는 다양한 실시예들로 구성될 수 있는데, 그 일예로서 도 3에서와 같이 고정지그(20)는 하부금형틀(10)의 수용공간(12)의 바닥부(13) 상에 상부측으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 지지부(21)와, 상기 지지부(21) 상에 수관(2)을 고정하도록 형성된 홀더부(23)로 구성되어 도 2에서와 같이 하부금형틀(10)의 수용공간(12)에 설치되는 수관(2)을 따라 다수 설치된다.
이때 고정지그(20)의 지지부(21)는 수직 막대형태로 형성되며, 홀더부(23)는 수관(2)의 삽입 및 이탈이 용이하도록 지지부(21)의 상부측에 상향개방된 “C”형 링 형태로 형성되게 하여, 수관(2)이 홀더부(23)의 내측면에 안착 고정되게 구성하며, 또한 이때 홀더부(23)는 수관(2)을 용이하게 이탈시키기 위해 탄성을 갖는 스프링강선재로 형성되도록 한다.
고정지그(20)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4에서와 같이 지지부(21)는 수관의 직경보다 좁은 간격을 갖는 한쌍의 수직 막대형태로 형성되며, 홀더부(23)는 지지부(21)의 상부측에 수관(2)의 직경에 대응되는 간격을 갖도록 한쌍의 지지부(21) 각각의 두께보다 좁은 두께를 갖는 한쌍의 수직 막대형태로 형성되게 하여, 수관(2)이 양측 홀더부(23) 사이에 밀착되면서 끼워져 양측 지지부(21)의 상부측에 안착 고정되도록 한다.
고정지그(20)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5에서와 같이 지지부(21)는 수관(2)의 직경보다 좁은 간격을 갖는 한쌍의 수직 막대형태로 형성되며, 홀더부(23)는 한쌍의 지지부(21)상의 각각의 내측으로 마주하는 방향에 홈 형태로 형성되게 하여, 수관(2)이 양측 홈 형태의 홀더부(23) 사이에 밀착 고정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수관(2)은 냉,온수용에 적합한 재질의 것으로 제작 사용되며, 통상 실리콘이나 연질의 고무재와 같은 합성수지재 호스 등이 사용된다.
상기한 구성의 고정지그(20)가 설치된 하부금형틀(10)의 상부에 수용공간(12)을 밀폐하도록 상부금형틀(30)이 구비된다. 상부금형틀(30)은 고정지그(20)의 상부측에 이격 위치되게 하여 수관(2)을 고정하는 홀더부(23)가 수용공간(12)의 상하폭 중앙부측에 위치되도록 한다.
상술된 본 발명에 의한 하부금형틀(10), 고정지그(20) 및 상부금형틀(30)의구비가 완료된 후, 고정지그(20) 상에 수관(2)을 고정시킨 다음 하부금형틀(10) 및 상부금형틀(30) 사이에 성형소재(6)를 주입하고 발포 또는 경화시키게 되면 도 7에서와 같은 수관(2)이 냉온수매트(100)의 상하폭 중앙부측에 일체로 고정 위치된 냉온수매트(100)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지지부(21)와 홀더부(23)로 구성되는 고정지그(20)는 냉온수매트(100)의 탈형 시 냉온수매트(100)의 이탈이 용이하면서도 냉온수매트(100) 상에 고정지그(20)에 의해 발생되는 패인 홈이 외부에서 확연하게 관찰되지 않아야하므로 고정지그(20)의 두께(폭 또는 직경을 포함함)를 1∼5㎜로 형성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냉온수매트 제조금형의 구성을 토대로 하여 냉온수매트 제조금형을 이용한 냉온수매트 제조방법 설명을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하기와 같이 설명한다.
제1단계(S1) - 측면부가 벽체(11)로 둘러싸여 내부 수용공간(12)이 형성되는 하부금형틀(10)과, 상기 수용공간(12)의 바닥부(13) 상에 상부측으로 높이를 갖는 지지부(21)가 형성되고 지지부(21) 상에 수관(2)을 고정하는 홀더부(23)가 형성되는 고정지그(20)와, 상기 고정지그(20)의 상부측에 이격 위치되며 상기 수용공간(12)이 밀폐되도록 하부금형틀(10)을 덮는 상부금형틀(30)로 구성되는 냉온수매트 제조금형을 준비한다.
제2단계(S2) - 상기 고정지그(20)의 홀더부(23) 상에 수관(2)을 삽입하여 고정되게 한다.
제3단계(S3) - 상기 수관(2)이 홀더부(23) 상에 고정된 상태로 하부금형틀(10) 내부에 액상의 성형소재(6)를 주입한다. 이때 성형소재(6)는 액상의 폴리우레탄재, 스펀지재, 메모리폼재 등이 사용되며, 그 액상의 성형소재(6)는 발포 또는 경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제4단계(S4) - 상기 성형소재(6)가 주입된 하부금형틀(10)의 상부측에 상부금형틀(30)을 덮어 밀폐시킨 다음 성형소재(6)를 발포 또는 경화시켜 수관(2)이 상하폭 중앙부측에 일체로 고정 위치된 냉온수매트(100)를 성형한다.
제5단계(S5) - 상기 냉온수매트(100)의 성형 완료 후 상부금형틀(30)을 개방하고, 하부금형틀(10) 내에 발포 또는 경화를 통해 성형된 냉온수매트(100)를 이탈시켜 제조를 완성한다.
2 : 수관 10 : 하부금형틀
11 : 벽체 12 : 수용공간
13 : 바닥부 20 : 고정지그
21 : 지지부 23 : 홀더부
30 : 상부금형틀 100 : 냉온수매트

Claims (7)

  1. 냉온수용 수관(2)이 내부에 설치되는 냉온수매트의 제조금형에 있어서,
    측면부가 벽체(11)로 둘러싸여 내부 수용공간(12)이 형성되는 하부금형틀(10);
    상기 수용공간(12)의 바닥부(13) 상에 상부측으로 높이를 갖는 지지부(21)가 형성되고, 지지부(21) 상에 수관(2)을 고정하는 홀더부(23)가 형성되어 수용공간(12)에 설치되는 수관(2)을 따라 다수 설치되는 고정지그(20);
    상기 고정지그(20)의 상부측에 이격 위치되며, 상기 수용공간(12)이 밀폐되도록 하부금형틀(10)을 덮는 상부금형틀(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지그(20)의 지지부(21)는 수관(2)의 직경보다 좁은 간격을 갖는 한쌍의 수직 막대형태로 형성되며, 홀더부(23)는 지지부(21)의 상부측에 수관(2)의 직경에 대응되는 간격을 갖도록 한쌍의 지지부(21) 각각의 두께보다 좁은 두께를 갖는 한쌍의 수직 막대형태로 형성되어, 수관(2)이 양측 홀더부(23) 사이에 밀착되게 끼워져 양측 지지부(21)의 상부측에 안착 고정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매트 제조금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냉온수용 수관(2)이 내부에 설치되는 냉온수매트의 제조금형에 있어서,
    측면부가 벽체(11)로 둘러싸여 내부 수용공간(12)이 형성되는 하부금형틀(10);
    상기 수용공간(12)의 바닥부(13) 상에 상부측으로 높이를 갖는 지지부(21)가 형성되고, 지지부(21) 상에 수관(2)을 고정하는 홀더부(23)가 형성되어 수용공간(12)에 설치되는 수관(2)을 따라 다수 설치되는 고정지그(20);
    상기 고정지그(20)의 상부측에 이격 위치되며, 상기 수용공간(12)이 밀폐되도록 하부금형틀(10)을 덮는 상부금형틀(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지그(20)의 지지부(21)는 수관(2)의 직경보다 좁은 간격을 갖는 한쌍의 수직 막대형태로 형성되며, 홀더부(23)는 한쌍의 지지부(21)상의 각각의 내측으로 마주하는 방향에 홈 형태로 형성되어, 수관(2)이 양측 홈 형태의 홀더부(23) 사이에 밀착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매트 제조금형.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그(20)의 두께는 1∼5㎜로 형성되게 하여 발포 또는 경화를 통해 성형된 냉온수매트(100)의 이탈이 용이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매트 제조금형.
  7. 냉온수용 수관(2)이 내부에 설치되도록 구비되는 냉온수매트 제조금형을 이용한 냉온수매트 제조방법에 있어서,
    측면부가 벽체(11)로 둘러싸여 내부 수용공간(12)이 형성되는 하부금형틀(10)과, 상기 수용공간(12)의 바닥부(13) 상에 상부측으로 높이를 갖는 지지부(21)가 형성되고 지지부(21) 상에 수관(2)을 고정하는 홀더부(23)가 형성되어 수용공간(12)에 설치되는 수관(2)을 따라 다수 설치되는 고정지그(20)와, 상기 고정지그(20)의 상부측에 이격 위치되며 상기 수용공간(12)이 밀폐되도록 하부금형틀(10)을 덮는 상부금형틀(30)로 구성되는 냉온수매트 제조금형을 준비하는 제1단계(S1);
    상기 고정지그(20)의 홀더부(23) 상에 수관(2)을 삽입하여 고정되게 하는 제2단계(S2);
    상기 수관(2)이 홀더부(23) 상에 고정된 상태로 하부금형틀(10) 내부에 액상의 성형소재(6)를 주입하는 제3단계(S3);
    상기 성형소재(6)가 주입된 하부금형틀(10)의 상부측에 상부금형틀(30)을 덮어 밀폐시킨 다음 성형소재(6)를 발포 또는 경화시켜 수관(2)이 상하폭 중앙부측에 일체로 고정 위치된 냉온수매트(100)를 성형하는 제4단계(S4);
    상기 냉온수매트(100)의 성형 완료 후 상부금형틀(30)을 개방하고, 하부금형틀(10) 내에 성형된 냉온수매트(100)를 이탈시키는 제5단계(S5);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매트 제조금형을 이용한 냉온수매트의 제조방법.
KR1020130054785A 2013-05-15 2013-05-15 냉온수매트 제조금형 및 그 제조금형을 이용한 냉온수매트 제조방법 KR1013072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4785A KR101307225B1 (ko) 2013-05-15 2013-05-15 냉온수매트 제조금형 및 그 제조금형을 이용한 냉온수매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4785A KR101307225B1 (ko) 2013-05-15 2013-05-15 냉온수매트 제조금형 및 그 제조금형을 이용한 냉온수매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7225B1 true KR101307225B1 (ko) 2013-09-11

Family

ID=49455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4785A KR101307225B1 (ko) 2013-05-15 2013-05-15 냉온수매트 제조금형 및 그 제조금형을 이용한 냉온수매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722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4886A (ja) * 2000-10-20 2002-07-1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床暖房機能付き防音床材用のマット材
JP2004125372A (ja) * 2002-10-04 2004-04-22 Sumisho Metalex Corp 分割式温水マット
JP2008122014A (ja) * 2006-11-14 2008-05-29 Mitsubishi Kagaku Sanshi Corp 温調マ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078241B1 (ko) * 2011-09-22 2011-10-31 배희임 온수매트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4886A (ja) * 2000-10-20 2002-07-1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床暖房機能付き防音床材用のマット材
JP2004125372A (ja) * 2002-10-04 2004-04-22 Sumisho Metalex Corp 分割式温水マット
JP2008122014A (ja) * 2006-11-14 2008-05-29 Mitsubishi Kagaku Sanshi Corp 温調マ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078241B1 (ko) * 2011-09-22 2011-10-31 배희임 온수매트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46343A (ko) 좌변기용 변좌 및 그 제작방법
CN105313732A (zh) 用于座垫的紧固带
US10391686B2 (en) Mold, method for manufacturing molded foam body, and molded foam body
KR101000888B1 (ko) 차량용 매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307225B1 (ko) 냉온수매트 제조금형 및 그 제조금형을 이용한 냉온수매트 제조방법
KR100985432B1 (ko) 조립식 물탱크용 단위패널 및 그 제조방법
JP2016010939A (ja) 発泡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及び発泡樹脂成形品
KR101888575B1 (ko) 히팅층을 포함하는 도어트림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497562B1 (ko) 이중 바닥판재 구조와 그 성형방법
KR101294773B1 (ko) 비데의 난방변좌
JP2016505430A5 (ko)
KR101298076B1 (ko) 열선매트 제조금형 및 그 제조금형을 이용한 열선매트 제조방법
KR101327387B1 (ko) 후크부가 일체 형성된 시트 패드 및 그 제조방법
JP5433813B1 (ja) サンドイッチパネル製造方法
JP2013233680A (ja) 金型及び発泡成形体の製造方法
KR101173018B1 (ko) 시트용 폼패드 성형 장치
KR101153409B1 (ko) 방수판 성형틀 및 방수판 제조방법
JPS59118424A (ja) 車両用表装材の成形方法
KR101733451B1 (ko) 자동차 시트에 사용되는 히터 일체형 발포 패드
KR101898778B1 (ko) Lvl을 이용한 강도 보강 도어
US9279953B2 (en) Optical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1574690B1 (ko) 일방향 조립형 금형장치
KR101165775B1 (ko) 조립식 욕실의 벽판넬 제조방법
US20180236918A1 (en) Passenger compartment carpet assembly, and method for assembling such an assembly
JP2015181697A (ja) 暖房便座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