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4690B1 - 일방향 조립형 금형장치 - Google Patents

일방향 조립형 금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4690B1
KR101574690B1 KR1020140087457A KR20140087457A KR101574690B1 KR 101574690 B1 KR101574690 B1 KR 101574690B1 KR 1020140087457 A KR1020140087457 A KR 1020140087457A KR 20140087457 A KR20140087457 A KR 20140087457A KR 101574690 B1 KR101574690 B1 KR 1015746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vity
plate
frame
fixed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7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부선
Original Assignee
(주)엠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코리아 filed Critical (주)엠코리아
Priority to KR1020140087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46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4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46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58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30Mounting, exchanging or cent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일방향 조립형 금형장치는, 중심부가 개방된 다각형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측 내벽에 이동측 안착턱이 구비되는 이동프레임; 외측단이 상기 이동측 안착턱에 안착되는 코어플레이트; 상기 코어플레이트의 중심측에 고정 결합되는 코어; 중심부가 개방된 다각형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이동프레임의 상면에 안착되되, 하측 내벽에 고정측 안착턱이 구비되는 고정프레임; 외측단이 상기 고정측 안착턱에 안착되는 캐비티플레이트; 상기 캐비티플레이트의 중심측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이동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이 적층구조로 결합되었을 때 상기 코어가 내부로 인입되는 캐비티;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면을 덮도록 결합되는 고정측 백플레이트; 및 상단이 상기 고정측 백플레이트에 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캐비티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측 백플레이트와 상기 캐비티플레이트를 일체로 연결하는 서포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일방향 조립형 금형장치 {One-side prefabricated mold}
본 발명은 캐비티가 구비된 고정프레임과 코어가 구비된 이동프레임으로 구성되는 금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이동프레임에 코어를 결합시키는 방향과 고정프레임에 캐비티 및 백플레이트를 결합시키는 방향이 일치하도록 구성되는 일방향 조립형 금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포 폴리프로필렌(Expanded Polypropylene: 이하 'EPP'라 부름) 또는 발포 폴리스틸렌(Expanded Poly-Styrene: 이하 'EPS'라 부름) 등과 같은 발포성수지성형물은 포장용기, 자동차 범퍼 등과 같이 그 활용범위가 매우 넓다.
이러한 발포성수지성형물을 성형하는 금형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티(3) 및 코어(4)를 포함하고, 캐비티(3)는 고정측 금형베이스(1)측에 설치되며, 코어(4)는 이동측 금형베이스(2)측에 설치되고, 이동측 금형베이스(2)는 고정측 금형베이스(1)에 대해 이동한다.
고정측 금형베이스(1)는 캐비티(3)의 주변에 배치된 캐비티플레이트(1a), 캐비티플레이트(1a)의 후면에 배치된 고정측 백플레이트(1c), 캐비티플레이트(1a) 및 고정측 백플레이트(1c)의 가장자리가 고정되는 고정측 프레임(1b)을 가진다. 고정측 백플레이트(1c)와 캐비티 플레이트(1a) 사이에는 스팀 또는 냉각수가 통과하는 가열 및 냉각공간(1d)이 형성되고, 고정측 프레임(1b)에는 스팀, 냉각수를 개별적으로 주입하는 주입구(1e) 등이 설치된다. 고정측 백플레이트(1c) 및 캐비티(1)에는 피더(1f) 및 이젝터핀(1g) 등이 관통하여 설치되고, 피더(1f)는 발포성수지의 원료를 주입하고, 이젝터핀(1g)은 성형된 발포성수지성형물을 취출시킨다.
이동측 금형베이스(2)는 코어(4)의 주변에 배치된 코어 플레이트(2a), 코어 플레이트(2a)의 후면에 배치된 이동측 백플레이트(2c), 코어플레이트(2a) 및 이동측 백플레이트(2c)의 가장자리가 각각 고정되는 이동측 프레임(2b)을 가진다. 이동측 백플레이트(2c)와 코어 플레이트(2a) 사이에는 스팀 또는 냉각수가 통과하는 가열 및 냉각공간(2d)이 형성되고, 이동측 프레임(2b)에는 스팀, 냉각수를 개별적으로 주입하는 주입구(2e) 등이 설치된다.
이동측 금형베이스(2)가 고정측 금형베이스(1)측으로 이동하여 캐비티(3) 및 코어(4)가 서로 밀착되어 닫히면, 캐비티(3)과 코어(4) 사이에서 성형공간(5)이 조성되는바, 피더(1f)를 통해 제공되는 발포성수지 원료는 상기 성형공간(5)을 채우도록 주입된 후 냉각 및 탈거 과정을 통해 하나의 제품으로 제작된다.
이때 고정측 백플레이트(1c)는 고정측 프레임(1b)의 상면을 향해 하향 이동되어 결합되는데 비해, 상기 캐비티(3)는 고정측 프레임(1b)의 저면을 향해 상향 이동되어 결합되도록 구성되는바, 상기 고정측 프레임(1b)에 고정측 백플레이트(1c)와 캐비티(3)를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고정측 프레임(1b)을 뒤집는 과정을 반복해야 한다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캐비티(3)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이동프레임(2b)을 하향으로 이동시켜 고정프레임(1b)으로부터 이격시키는 과정과, 고정프레임(1b)을 뒤집은 후 기존의 캐비티(3)를 탈거하는 과정과, 뒤집어져 있는 고정프레임(1b)에 새로운 캐비티(3)를 재장착시킨 후 상기 고정프레임(1b)을 다시 뒤집는 과정과, 이동프레임(2b)을 상향으로 이동시켜 고정프레임(1b)에 밀착시키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해야 하는바, 캐비티(3) 교체에 많은 시간과 노동력이 요구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KR 10-1169678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캐비티와 고정측 백플레이트를 고정프레임에 결합시키는 방향과 코어를 이동프레임에 결합시키는 방향을 일치시킴으로서 제품 조립이 용이해지며, 고정프레임을 뒤집는 과정 없이도 캐비티 및 코어를 교체할 수 있어 캐비티 및 코어 교체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동력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일방향 조립형 금형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일방향 조립형 금형장치는, 중심부가 개방된 다각형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측 내벽에 이동측 안착턱이 구비되는 이동프레임; 외측단이 상기 이동측 안착턱에 안착되는 코어플레이트; 상기 코어플레이트의 중심측에 고정 결합되는 코어; 중심부가 개방된 다각형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이동프레임의 상면에 안착되되, 하측 내벽에 고정측 안착턱이 구비되는 고정프레임; 외측단이 상기 고정측 안착턱에 안착되는 캐비티플레이트; 상기 캐비티플레이트의 중심측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이동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이 적층구조로 결합되었을 때 상기 코어가 내부로 인입되는 캐비티;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면을 덮도록 결합되는 고정측 백플레이트; 및 상단이 상기 고정측 백플레이트에 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캐비티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측 백플레이트와 상기 캐비티플레이트를 일체로 연결하는 서포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코어와 코어플레이트와 고정측 백플레이트는 일체로 결합된 후 상기 고정프레임 내측에 장착되며, 상기 고정프레임의 내벽에는 길이방향이 상하방향을 향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캐비티플레이트의 안착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이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레일 중 상기 고정프레임의 중심을 향하는 면은,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고정프레임의 중심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레일 중 상기 고정프레임의 중심을 향하는 면은,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고정프레임의 중심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다가 수직하향으로 연장되도록 절곡 또는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레일 중 상기 고정프레임의 중심을 향하는 면의 하단은, 상기 이동측 안착턱의 시작점 상단에 위치된다.
상기 캐비티의 가장자리부위는 상기 캐비티플레이트를 관통하도록 하향연장된 후 상기 고정프레임의 내벽을 향해 절곡되어 상기 캐비티플레이트의 저면에 밀착되고, 상기 코어의 가장자리 부위는 상기 코어플레이트의 상면에 안착된다.
본 발명에 의한 일방향 조립형 금형장치는, 캐비티와 고정측 백플레이트를 고정프레임에 결합시키는 방향과 코어를 이동프레임에 결합시키는 방향을 일치시킴으로서 제품 조립이 용이하고, 고정프레임을 뒤집는 과정 없이도 캐비티 및 코어를 교체할 수 있으므로 캐비티 및 코어 교체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동력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금형장치 수직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일방향 조립형 금형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일방향 조립형 금형장치의 수직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이동프레임의 사시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이동프레임에 코어가 결합되는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단면도 및 수직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고정프레임의 사시단면도이다.
도 8은 고정프레임에 캐비티가 결합되는 구조를 도시하는 수직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일방향 조립형 금형장치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일방향 조립형 금형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일방향 조립형 금형장치의 수직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일방향 조립형 금형장치는, 중심부가 개방된 사각 프레임 형상의 이동프레임(100)과, 상기 이동프레임(100)의 내측에 결합되는 코어(200) 및 코어플레이트(210)와, 중심부가 개방된 사각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이동프레임(100)의 상면에 안착되는 고정프레임(400)과, 상기 고정프레임(400)의 내측에 결합되는 캐비티(500) 및 캐비티플레이트(510)와, 상기 이동프레임(100)의 저면을 덮는 이동측 백플레이트(300)와, 상기 고정프레임(400)의 상면을 덮는 고정측 백플레이트(600)와, 상단이 상기 고정측 백플레이트(600) 저면에 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캐비티플레이트(510)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측 백플레이트(600)와 상기 캐비티플레이트(510)를 일체로 연결하는 서포터(6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캐비티(500)와 코어(200) 사이의 성형공간으로 발포성수지 원료를 제공하는 피더(700)는 고정측 백플레이트(600)와 캐비티(500)를 관통하도록 장착되고, 성형공간 내에서 경화된 제품을 배출시키기 위한 이젝트핀(800) 역시 고정측 백플레이트(600)와 캐비티(500)를 관통하도록 장착된다. 상기 피더(700)와 이젝트핀(800)은 종래의 성형장치에서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로 적용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일방향 조립형 금형장치는, 이동프레임(100)에 코어(200) 및 코어플레이트(210)를 결합시키는 방향과, 고정프레임(400)에 캐비티(500) 및 캐비티플레이트(510), 고정측 백플레이트(600)를 결합시키는 방향을 동일한 방향으로 설정함으로써, 제품의 조립 및 부품 교체가 보다 빠르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는 점에 구성상의 특징이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일방향 조립형 금형장치는, 이동프레임(100)과 고정프레임(400)의 상측 내벽에 각각 이동측 안착턱(110)과 고정측 안착턱(410)이 구비되며, 코어플레이트(210)는 외측단이 상기 이동측 안착턱(110) 상면에 안착되는 구조로 결합되고, 캐비티플레이트(510)는 외측단이 상기 고정측 안착턱(410) 상면에 안착되는 구조로 결합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종래의 금형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티플레이트(510)(1a)가 고정측 프레임(1b)의 저면에 결합되고 고정측 백플레이트(600)(1c)는 고정측 프레임(1b)의 상면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므로, 고정측 프레임(1b)에 캐비티플레이트(510)(1a)와 고정측 백플레이트(600)(1c)를 결합시킬 때에는 고정측 프레임(1b)을 뒤집어 가면서 결합작업을 해야 한다는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일방향 조립형 금형장치는, 캐비티플레이트(510)가 고정측 안착턱(410)의 상면에 안착되도록 결합되고 고정측 백플레이트(600)는 고정프레임(400)의 상면에 안착되도록 결합되는바, 캐비티플레이트(510) 및 고정측 백플레이트(600)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고정플레이트를 뒤집을 필요가 없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제품의 조립 및 부품교체를 보다 빠르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캐비티(500)와 코어(200) 사이의 성형공간으로 원료를 고압으로 주입하는 과정에서 캐비티(500) 및 이에 결합된 캐비티플레이트(510)가 위로 들어 올려지지 아니하도록, 캐비티플레이트(510)와 고정측 백플레이트(600) 사이에는 다수 개의 서포터(610)가 삽입 설치된다. 이때, 종래의 금형장치는 캐비티플레이트(510)(1a)와 고정측 백플레이트(600)(1c)가 먼저 고정측 프레임(1b)에 결합된 이후 캐비티플레이트(510)(1a)와 고정측 백플레이트(600)(1c) 사이에 서포터(610)가 장착시키게 되는바, 서포터(610) 장착과정에서 캐비티플레이트(510)(1a)와 고정측 백플레이트(600)(1c)의 장착위치가 어긋날 수 있다는 심각한 문제가 발생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일방향 조립형 금형장치는 캐비티(500) 및 캐비티플레이트(510)와, 고정측 백플레이트(600)와, 서포터(610)를 일체로 먼저 결합시킨 후, 이들은 고정프레임(400) 내측으로 삽입 설치하므로, 캐비티플레이트(510)나 고정측 백플레이트(600)의 장착위치가 어긋하는 경우가 발생되지 아니한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캐비티(500)와 코어(200) 사이의 성형공간으로 원료를 주입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압력에 의해 캐비티(500)는 상향 가압되고 코어(200)는 하향 가압되는데, 이때 캐비티(500)가 조금이라도 상승되거나 코어(200)가 조름이라도 하강되면, 캐비티(500)와 코어(200) 사이로 원료가 유출되고, 이에 따라 정상적인 주조가 불가능해진다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에 의한 금형장치는 이와 같이 캐비티(500)가 상승되거나 코어(200)가 하강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캐비티(500)의 가장자리부위는 상기 캐비티플레이트(510)를 관통하도록 하향연장된 후 상기 고정프레임(400)의 내벽을 향해 절곡되어 상기 캐비티플레이트(510)의 저면에 밀착되고, 상기 코어(200)의 가장자리 부위는 상기 코어플레이트(210)의 상면에 안착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캐비티(500)의 가장자리가 캐비티플레이트(510)의 저면에 밀착되고 코어(200)의 가장자리가 코어플레이트(210)의 상면에 밀착되면, 캐비티(500)에 상향 외력이 인가되고 코어(200)에 하향 외력이 인가되더라도 상기 캐비티(500)와 코어(200)는 캐비티플레이트(510)나 코어플레이트(210)가 변형 또는 파손되지 아니하는 한 상승되거나 하강되지 아니하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이동프레임(100)의 사시단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이동프레임(100)에 코어(200)가 결합되는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단면도 및 수직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포함되는 이동프레임(100)은 평면 형상은 사각 프레임 형상을 이루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내벽에는 이동측 안착턱(110)이 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고, 코어플레이트(210)는 가장자리가 상기 이동측 안착턱(110) 상면에 안착되도록 결합된다. 이때 상기 이동측 안착턱(110)은 이동프레임(100)의 상측 내벽 중 어느 일부에만 형성될 수도 있으나, 코어플레이트(210)의 가장자리 전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이동프레임(100)의 상측 내벽 전체에 걸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코어플레이트(210)의 가장자리가 이동측 안착턱(110)에 안착되었을 때, 상기 코어플레이트(210)가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흔들리지 아니하도록, 상기 코어플레이트(210)의 가장자리 부위는 이동측 안착턱(110)에 끼워맞춤 방식으로 삽입되도록 안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캐비티(500)와 코어(200) 사이의 성형공간으로 원료를 주입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압력은 캐비티(500)와 코어(200)뿐만 아니라 캐비티플레이트(510)와 코어플레이트(210)로도 각각 전달되므로, 상기 캐비티플레이트(510)에는 상향 외력이 인가되고 코어플레이트(210)에는 하향 외력이 인가된다. 이때, 상기 캐비티플레이트(510)는 서포터(610)에 의해 상면이 지지되고 있는바 상기 원료 주입 압력에 의해 위로 상승될 우려는 극히 적지만, 상기 코어플레이트(210)에는 서포터(610)가 구비되어 있지 아니하므로 원료 주입 압력에 의해 하강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코어플레이트(210)와 이동측 백플레이트(300) 사이에는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교차하도록 배열되어, 상기 코어플레이트(210)의 저면을 상향 지지하는 다수 개의 지지프레임(220)이 추가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지지프레임(220)은 코어(200)프레임이 아래로 처지지 아니하도록 상향 지지할 수만 있다면, 본 실시예에 도시된 형상 이외에 여러 가지 형상으로 대체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고정프레임(400)의 사시단면도이고, 도 8은 고정프레임(400)에 캐비티(500)가 결합되는 구조를 도시하는 수직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일방향 조립형 금형장치는, 고정프레임(400) 내측에 결합되는 캐비티(500)와 캐비티플레이트(510)와 고정측 백플레이트(600)가 모두 고정프레임(400)의 상측에서부터 하강되면서 결합되도록 구성되는바, 캐비티(500)와 캐비티플레이트(510)와 고정측 백플레이트(600)를 각각 개별적으로 고정프레임(400)에 결합시키지 아니하고, 캐비티(500)와 캐비티플레이트(510)와 고정측 백플레이트(600)를 먼제 일체로 조립시킨 후, 이들의 조립체를 고정프레임(400) 상측으로부터 하강시켜가면서 상기 고정프레임(4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캐비티(500)와 캐비티플레이트(510)와 고정측 백플레이트(600)를 먼저 조립시킨 후 이를 고정프레임(400)에 결합시키게 되면, 캐비티(500)와 캐비티플레이트(510)와 고정측 백플레이트(600)를 각각 개별적으로 고정프레임(400)에 결합시키는 경우에 비해 조립이 용이해지고 조립시간이 짧아진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캐비티(500)와 캐비티플레이트(510)와 고정측 백플레이트(600)를 각각 고정프레임(400)에 결합시킨 이후에는 캐비티플레이트(510)와 고정측 백플레이트(600) 간의 이격거리를 고정시키기 위한 서포터(610)를 추가적으로 체결되어야 하는데, 캐비티플레이트(510)와 고정측 백플레이트(600)가 고정프레임(400) 내측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서포터(610) 체결에 많은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서포터(610) 체결 과정에서 캐비티플레이트(510) 및 고정측 플레이트의 안착위치가 흔들릴 우려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일방향 조립형 금형장치는, 캐비티(500)와 캐비티플레이트(510)와 고정측 백플레이트(600)가 고정프레임(400) 외부에서 미리 결합되는 바, 코어플레이트(210)와 고정측 백플레이트(600) 사이에 서포터(610)를 체결하는 작업이 용이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서포터(610) 체결 과정에서 캐비티플레이트(510) 및 고정측 플레이트의 안착위치가 흔들려 변동될 우려가 없으므로, 조립불량이 발생되는 경우 역시 현저히 감소된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일방향 조립형 금형장치는, 고정측 백플레이트(600)를 고정프레임(400) 상면에 결합시키는 조립공정을 통해 캐비티(500)와 캐비티플레이트(510) 역시 고정플레임에 고정 결합되는바, 캐비티(500)와 캐비티플레이트(510)와 고정측 백플레이트(600)의 탈거 및 교체가 매우 용이해진다는 장점도 있다. 예를 들어 생산하고자 하는 제품의 종류가 변경되어 캐비티(500)와 코어(200)를 교체해야 하는 경우, 고정측 백플레이트(600)를 고정프레임(400)으로부터 탈거시키는 조작만으로 캐비티(500)와 캐비티플레이트(510)까지 고정프레임(400)으로부터 탈거시킬 수 있고, 코어플레이트(210)를 이동식 안착턱으로부터 탈거시켜 위로 끌어 올림으로써 코어(200) 및 코어플레이트(210)를 이동프레임(100)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캐비티(500) 및 코어(200)의 교체를 매우 빠르고 간편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일방향 조립형 금형장치는 고정프레임(400)과 이동프레임(100)이 결합된 상태에서 캐비티(500) 및 코어(200) 교체가 가능해지므로, 제품의 조립 및 부품교체가 빠르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금형을 이용한 제품 생산성이 매우 높아진다는 효과도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고정측플레이트에 일체로 결합된 캐비티(500)와 캐비티플레이트(510)를 고정프레임(400) 내측으로 인입시켜 하강시킬 때 상기 고정측 백플레이트(600)가 고정프레임(400)의 상측을 덮으므로 상기 캐비티플레이트(510)가 정확한 위치에 안착되는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으므로, 캐비티플레이트(510)의 외측단을 고정측 안착턱(410)에 끼워맞춤 방식으로 삽입시키는 작업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일방향 조립형 금형장치는 캐비티플레이트(510)가 안정적으로 고정측 안착턱(410)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프레임(400)의 내벽에 상기 캐비티플레이트(510)의 안착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420)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레일(420)은 길이방향이 상하방향을 향하도록 배열되며, 고정프레임(400)의 중심을 향하는 면이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고정프레임(400)의 중심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고정프레임(400) 내측으로 하강되는 캐비티플레이트(510)는 외측단이 상기 가이드레일(420)의 경사면을 타고 내려가면서 안착위치가 조정되어 고정측 안착턱(410)에 정확하게 안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레일(420)은 고정프레임(400)의 중심을 향하는 면 전체가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고,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고정프레임(400)의 중심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다가 수직하향으로 연장되도록 절곡 또는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가이드레일(420)은 캐비티플레이트(510)의 외측단 안착지점을 안내하는 경사면이 고정프레임(400)의 중심을 향하는 면 전체에 걸쳐 구비될 수도 있고, 고정프레임(400)의 중심을 향하는 면 일부에만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가이드레일(420)을 타고 내려온 캐비티플레이트(510)가 정확하게 고정측 안착단에 끼워맞춤 방식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레일(420) 중 상기 고정프레임(400)의 중심을 향하는 면의 하단은 이동측 안착턱(110)의 시작점 상단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이동프레임 110 : 이동측 안착턱
200 : 코어 210 : 코어플레이트
220 : 지지프레임 300 : 이동측 백플레이트
400 : 고정프레임 410 : 고정측 안착턱
420 : 가이드레일 500 : 캐비티
510 : 캐비티플레이트 600 : 고정측 백플레이트
610 : 서포터 700 : 피더
800 : 이젝트핀

Claims (6)

  1. 중심부가 개방된 다각형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측 내벽에 이동측 안착턱이 구비되는 이동프레임;
    외측단이 상기 이동측 안착턱에 안착되는 코어플레이트;
    상기 코어플레이트의 중심측에 고정 결합되는 코어;
    중심부가 개방된 다각형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이동프레임의 상면에 안착되되, 하측 내벽에 고정측 안착턱이 구비되는 고정프레임;
    외측단이 상기 고정측 안착턱에 안착되는 캐비티플레이트;
    상기 캐비티플레이트의 중심측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이동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이 적층구조로 결합되었을 때 상기 코어가 내부로 인입되는 캐비티;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면을 덮도록 결합되는 고정측 백플레이트; 및
    상단이 상기 고정측 백플레이트에 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캐비티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측 백플레이트와 상기 캐비티플레이트를 일체로 연결하는 서포터;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 조립형 금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와 코어플레이트와 고정측 백플레이트는 일체로 결합된 후 상기 고정프레임 내측에 장착되며,
    상기 고정프레임의 내벽에는 길이방향이 상하방향을 향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캐비티플레이트의 안착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 조립형 금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 중 상기 고정프레임의 중심을 향하는 면은,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고정프레임의 중심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 조립형 금형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 중 상기 고정프레임의 중심을 향하는 면은,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고정프레임의 중심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다가 수직하향으로 연장되도록 절곡 또는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 조립형 금형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 중 상기 고정프레임의 중심을 향하는 면의 하단은, 상기 이동측 안착턱의 시작점 상단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 조립형 금형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의 가장자리부위는 상기 캐비티플레이트를 관통하도록 하향연장된 후 상기 고정프레임의 내벽을 향해 절곡되어 상기 캐비티플레이트의 저면에 밀착되고,
    상기 코어의 가장자리 부위는 상기 코어플레이트의 상면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 조립형 금형장치.
KR1020140087457A 2014-07-11 2014-07-11 일방향 조립형 금형장치 KR1015746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7457A KR101574690B1 (ko) 2014-07-11 2014-07-11 일방향 조립형 금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7457A KR101574690B1 (ko) 2014-07-11 2014-07-11 일방향 조립형 금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4690B1 true KR101574690B1 (ko) 2015-12-04

Family

ID=54867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7457A KR101574690B1 (ko) 2014-07-11 2014-07-11 일방향 조립형 금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46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5352A (ko) * 2018-11-13 2020-05-21 한화글로벌에셋 주식회사 발포폼 성형용 광폭 공용 프레임 조립체의 스팀 유동성 향상 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70515A (en) 1990-06-12 1994-12-06 Bazzica Engineering Di Carlo Bazzica & C. S.A.S. Machine for manufacturing polystyrene foam products
JP2004106236A (ja) 2002-09-13 2004-04-08 Toho Kogyo Kk 高さ違いの容器成型用の金型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70515A (en) 1990-06-12 1994-12-06 Bazzica Engineering Di Carlo Bazzica & C. S.A.S. Machine for manufacturing polystyrene foam products
JP2004106236A (ja) 2002-09-13 2004-04-08 Toho Kogyo Kk 高さ違いの容器成型用の金型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5352A (ko) * 2018-11-13 2020-05-21 한화글로벌에셋 주식회사 발포폼 성형용 광폭 공용 프레임 조립체의 스팀 유동성 향상 구조
KR102212147B1 (ko) 2018-11-13 2021-02-05 한화솔루션 주식회사 발포폼 성형용 광폭 공용 프레임 조립체의 스팀 유동성 향상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9680B1 (ko) 인서트 지지유닛을 가진 발포성형물 금형장치
KR101915147B1 (ko) 스팀유로가 개선된 금형장치
KR101000626B1 (ko) 사출 성형기의 분리형 이젝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형판
KR101519949B1 (ko) 언더컷을 갖는 제품 형성용 사출 성형 금형
KR101574690B1 (ko) 일방향 조립형 금형장치
US9211667B2 (en) Method and device for molding soft and thin resin molded product
KR20160143401A (ko) 3단 사출금형 및 3단 사출금형의 제품취출방법
KR100706424B1 (ko) 자동차용 도어트림의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
KR20160000996U (ko) 사출 성형용 금형
KR101905751B1 (ko) 분할형 캐비티와 코어를 구비하는 금형장치
CN109403747B (zh) 一种支架壳体以及生产该壳体的模具
KR101646640B1 (ko) 내, 외측으로 이동되는 언더컷성형링을 갖는 사출금형
US10265888B2 (en) Mold and method of producing molded article using the mold
JP2007008113A (ja) 冷蔵庫扉内板、冷蔵庫扉内板の成形金型装置、冷蔵庫扉内板の成形方法
JP2012143882A (ja) 射出成形用金型及びそれを用いた射出成形方法、射出成形品、射出成形機
KR20120083650A (ko) 발포 성형 금형
KR20160092457A (ko) 슬림 사출금형장치
KR101611306B1 (ko) 교체식 발포폼 성형 금형
KR101655987B1 (ko) 수축, 확장되는 다수의 언더컷성형코어를 갖는 사출금형
KR200389842Y1 (ko) 사출물의 부착방지장치가 구비된 금형장치
US9505157B2 (en) Injection mould product ejection apparatus and method
CN203637102U (zh) 一次开模两个方向抽芯机构
JP6207378B2 (ja) 成形品の製造方法
CN109153191B (zh) 树脂制品
CN109403755B (zh) 一种壳体的销轴结构以及生产该结构的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