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5197B1 - 차량용 프레임 보강유닛 - Google Patents
차량용 프레임 보강유닛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05197B1 KR101305197B1 KR1020110123215A KR20110123215A KR101305197B1 KR 101305197 B1 KR101305197 B1 KR 101305197B1 KR 1020110123215 A KR1020110123215 A KR 1020110123215A KR 20110123215 A KR20110123215 A KR 20110123215A KR 101305197 B1 KR101305197 B1 KR 10130519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hicle
- coupled
- frame
- side frame
- pane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2—Side pane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용 프레임 유닛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프레임 유닛은, 사이드 프레임과, 사이드 프레임의 외측에 결합되는 아웃터 패널과, 사이드 프레임의 내측에 결합되는 인너 패널과, 아웃터 패널의 일측과 사이드 프레임의 상측에 각각 결합되는 어퍼 패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프레임 보강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전면 사이드 패널의 용접작업 시, 작업 산포를 줄이고, 구조적으로 충돌강성에 유리한 차량용 프레임 보강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전방 본네트의 내부에 자동차의 구동을 위한 엔진과 엔진의 구동을 위한 다양한 장치와 차량의 주행에 관련된 여러 가지의 장치가 장착되며, 이러한 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각각의 플레이트와 프레임이 설치되고 있다.
자동차의 주행에 관련된 여러 가지의 장치를 설치하기 위하여 자동차의 전방 본네트의 내부에 설치되는 프레임 중에 엔진실을 형성하기 위해 설치되는 펜더 에이프런은 차량몸체의 내부에 장착되는 프론트 패널과 대쉬 패널 사이에 장착된다.
이러한 펜더 에이프런은 차량몸체의 전방 양측으로 분리되어 장착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는 펜더 에이프런과 결합되는 각각의 패널들이 CO₂용접으로만 이루어짐에 따라, 제조 산포가 발생하고, 각 연결부위에 강성이 약해지기 때문에 엔진룸 전체의 강성이 약해지는 문제가 발생하며, 이로 인해 프론트 패널의 굽힘 및 비틀림 강성이 약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프론트 패널의 다른 측면에는 마운팅이 프로스 멤버에 의해 프론트 패널에 CO₂용접으로 용접되어 좌우 방향으로만 하중이 분산되고, 전후 방향으로는 하중이 분산되지 않아 차량의 충돌 시에 충격을 완화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프레임 보강유닛은 차량의 전면 사이드를 형성하는 각 패널들의 구조와 형상을 변경하고, 작업 시 스폿용접을 통해 각 구간을 용접함으로써, 제조 산포를 최소화하며, 충돌강성에 유리한 차량용 프레임 보강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프레임 보강유닛은, 사이드 프레임과,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외측에 결합되는 아웃터 패널과,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내측에 결합되는 인너 패널과, 상기 아웃터 패널의 일측과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상측에 각각 결합되는 어퍼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프레임 보강유닛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프레임은 차량의 사이드 외측에 형성된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에서 일체로 연장되며, 니은(ㄴ)자로 절곡 형성된 제2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에서 내측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제3 부분과, 상기 제3 부분에서 상측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제4 부분과, 상기 제4 부분에서 내측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제5 부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차량용 프레임 보강유닛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 패널은 상기 제1 부분에 결합되며, 니은(ㄴ)자로 절곡 형성된 제1 접합부와, 상기 제1 접합부에서 일체로 연장되어 니은(ㄴ)자로 절곡 형성되며, 상기 제2 부분에 결합되는 제2 접합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차량용 프레임 보강유닛에 있어서, 상기 인너 패널은 상기 제4 부분과 결합되는 제1 결합부와, 상기 제1 결합부에서 니은(ㄴ)자로 절곡 형성되며, 상기 제5 부분에 결합되는 제2 결합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차량용 프레임 보강유닛에 있어서, 상기 어퍼 패널은 상기 제1 접합부에 접합되는 제1 연결부와, 상기 제1 연결부에서 절곡되어 직선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5 부분과 결합되는 제2 연결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차량용 프레임 보강유닛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 패널은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외측에 용접 결합되고, 상기 어퍼 패널은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상측에서 상기 아웃터 패널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프레임 보강유닛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 패널은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외측에 스폿용접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프레임 보강유닛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제5 부분에는 상기 제2 연결부와 제2 결합부가 접합되어 삼중 플랜지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프레임 보강유닛은 차량의 전면 사이드를 형성하는 각 패널들의 구조와 형상을 변경하고, 작업 시 스폿용접을 통해 각 구간을 용접함으로써, 제조 산포를 최소화하며, 충돌강성에 유리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용접된 패널들이 플랜지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차량의 충돌 시 강건성이 확보되며, 조향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프레임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프레임 유닛의 어퍼 패널이 미장착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프레임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프레임 유닛의 어퍼 패널이 미장착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프레임 유닛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프레임 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프레임 유닛의 어퍼 패널이 미장착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프레임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프레임 보강유닛(1)은 차량의 전면 사이드를 형성하는 각 패널들의 구조와 형상을 변경하고, 작업 시 스폿용접을 통해 각 구간을 용접함으로써, 제조 산포를 최소화하며, 충돌강성에 유리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각각의 용접된 패널들이 플랜지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차량의 충돌 시 강건성이 확보되며, 조향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프레임 보강유닛(1)은 기본적으로 사이드 프레임(10), 아웃터 패널(20), 인너 패널(30) 및 어퍼 패널(4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를 구성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사이드 프레임(10)은 차량의 전방 사이드 양측을 이루는 것으로서, 제1, 2, 3, 4 및 5 부분(11, 12, 13, 14, 15)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1 부분(11)은 차량의 전방 사이드 외측에 형성되며, 제2 부분(12)은 제1 부분(11)에서 일체로 연장되며, 니은(ㄴ)자로 절곡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3 부분(13)은 제2 부분(12)에서 내측방향으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제4 부분(14)은 제3 부분(13)에서 상측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며, 상기 제5 부분(15)은 제4 부분(14)에서 내측방향으로 절곡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아웃터 패널(20)은 사이드 프레임(10)의 외측에 결합되는 것으로, 제1 접합부(21)와 제2 접합부(2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접합부(21)는 사이드 프레임(10)의 제1 부분(11)에 결합되며, 니은(ㄴ)자로 절곡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 접합부(22)는 제1 접합부(21)에서 일체로 연장되어 니은(ㄴ)자로 절곡 형성되며, 사이드 프레임(10)의 제2 부분(12)에 결합된다.
이러한 아웃터 패널(20)은 사이드 프레임(10)의 외측에 장착될 때에 스폿용접을 통해 결합된다.
상기 인너 패널(30)은 사이드 프레임(10)의 내측에 결합되며, 제1 결합부(31)와 제2 결합부(3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결합부(31)는 사이드 프레임(10)의 제4 부분(14)과 결합되며, 제2 결합부(32)는 제1 결합부(31)에서 니은(ㄴ)자로 절곡 형성되며, 사이드 프레임(10)의 제5 부분(15)에 결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어퍼 패널(40)은 아웃터 패널(20)의 일측과 사이드 프레임(10)의 상측에 각각 결합되며, 제1 연결부(41)와 제2 연결부(4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연결부(41)는 아웃터 패널(20)의 제1 접합부(21)에 결합되며, 제2 연결부(42)는 제1 연결부(41)에서 절곡되어 직선형태로 형성되며, 사이드 프레임(10)의 제5 부분(15)과 결합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프레임 보강유닛의 장착방법 및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프레임 보강유닛(1)은 상기 사이드 프레임(10)의 제1 부분(11)과 제2 부분(12)에 아웃터 패널(20)의 제1 접합부(21)와 제2 접합부(22)가 스폿용접을 통해 결합된다.
그리고, 사이드 프레임(10)의 제4 부분(14)과 제5 부분(15)에 인너 패널(30)의 제1 결합부(31)와 제2 결합부(32)가 스폿용접을 통해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장착이 된 상태에서, 아웃터 패널(20)의 제1 접합부(21)와 사이드 프레임(10)의 제5 부분(15)에 어퍼 패널(40)의 제1 연결부(41)와 제2 연결부(42)를 스폿용접을 통해 결합하게 되면 차량용 프레임 보강유닛(1)의 장착이 완료된다.
즉, 상기 차량용 프레임 보강유닛(1)은 각각의 패널들을 스폿용접을 통해 결합하고, 하중방향에 대해 지지할 수 있는 플랜지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제조 산포가 최소화되고, 차량의 충돌에 강건하게 대응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프레임 보강유닛(1)은 차량의 전면 사이드를 형성하는 각 패널들의 구조와 형상을 변경하고, 작업 시 스폿용접을 통해 각 구간을 용접함으로써, 제조 산포를 최소화하며, 충돌강성에 유리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용접된 패널들이 플랜지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차량의 충돌 시 강건성이 확보되며, 조향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차량용 프레임 보강유닛 10...사이드 프레임
11...제1 부분 12...제2 부분
13...제3 부분 14...제4 부분
15...제5 부분 20...아웃터 패널
21...제1 접합부 22...제2 접합부
30...인너 패널 31...제1 결합부
32...제2 결합부 40...어퍼 패널
41...제1 연결부 42...제2 연결부
11...제1 부분 12...제2 부분
13...제3 부분 14...제4 부분
15...제5 부분 20...아웃터 패널
21...제1 접합부 22...제2 접합부
30...인너 패널 31...제1 결합부
32...제2 결합부 40...어퍼 패널
41...제1 연결부 42...제2 연결부
Claims (8)
- 사이드 프레임과,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외측에 결합되는 아웃터 패널과,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내측에 결합되는 인너 패널, 및 상기 아웃터 패널의 일측과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상측에 각각 결합되는 어퍼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사이드 프레임은
차량의 사이드 외측에 형성된 제1 부분;
상기 제1 부분에서 일체로 연장되며, 니은(ㄴ)자로 절곡 형성된 제2 부분;
상기 제2 부분에서 내측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제3 부분;
상기 제3 부분에서 상측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제4 부분; 및
상기 제4 부분에서 내측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제5 부분;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프레임 보강유닛.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 패널은
상기 제1 부분에 결합되며, 니은(ㄴ)자로 절곡 형성된 제1 접합부; 및
상기 제1 접합부에서 일체로 연장되어 니은(ㄴ)자로 절곡 형성되며, 상기 제2 부분에 결합되는 제2 접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프레임 보강유닛.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너 패널은
상기 제4 부분과 결합되는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1 결합부에서 니은(ㄴ)자로 절곡 형성되며, 상기 제5 부분에 결합되는 제2 결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프레임 보강유닛.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패널은
상기 제1 접합부에 접합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1 연결부에서 절곡되어 직선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5 부분과 결합되는 제2 연결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프레임 보강유닛.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 패널은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외측에 용접 결합되고, 상기 어퍼 패널은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상측에서 상기 아웃터 패널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프레임 보강유닛.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 패널은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외측에 스폿용접을 통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프레임 보강유닛.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제5 부분에는
상기 제2 연결부와 제2 결합부가 접합되어 삼중 플랜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프레임 보강유닛.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23215A KR101305197B1 (ko) | 2011-11-23 | 2011-11-23 | 차량용 프레임 보강유닛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23215A KR101305197B1 (ko) | 2011-11-23 | 2011-11-23 | 차량용 프레임 보강유닛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57356A KR20130057356A (ko) | 2013-05-31 |
KR101305197B1 true KR101305197B1 (ko) | 2013-09-12 |
Family
ID=48665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23215A KR101305197B1 (ko) | 2011-11-23 | 2011-11-23 | 차량용 프레임 보강유닛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05197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41534U (ko) * | 1996-12-23 | 1998-09-25 | 김영귀 | 자동차의 프런트 에이프런 프레임 |
KR100916457B1 (ko) | 2008-04-14 | 2009-09-08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카울부와 프런트 필라부의 박스형 결합 구조 |
JP2010132065A (ja) | 2008-12-03 | 2010-06-17 | Nissan Motor Co Ltd | 車体骨格材構造 |
-
2011
- 2011-11-23 KR KR1020110123215A patent/KR10130519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41534U (ko) * | 1996-12-23 | 1998-09-25 | 김영귀 | 자동차의 프런트 에이프런 프레임 |
KR100916457B1 (ko) | 2008-04-14 | 2009-09-08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카울부와 프런트 필라부의 박스형 결합 구조 |
JP2010132065A (ja) | 2008-12-03 | 2010-06-17 | Nissan Motor Co Ltd | 車体骨格材構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57356A (ko) | 2013-05-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266568B2 (en) | Vehicle body lower section structure | |
JP5952385B2 (ja) | 車体前部構造 | |
JP6557291B2 (ja) | 車体前部構造 | |
JP5776560B2 (ja) | 自動車の車体前部構造 | |
JP2018075940A (ja) | 車両下部構造 | |
JP2009051440A (ja) | 車体前部構造 | |
JP2014024505A (ja) | 車両の上部車体構造 | |
JPWO2013069086A1 (ja) | 車両の樹脂フロア構造 | |
JP2008230460A (ja) | 車両の下部車体構造 | |
KR101438633B1 (ko) | 차량용 멤버의 조립구조 | |
JP2019006311A (ja) | 車体前部構造 | |
JP6421723B2 (ja) | 車両前部構造 | |
JP2008137483A (ja) | 車体前部構造 | |
JP2017030541A (ja) | 車両下部構造 | |
JP5692119B2 (ja) | 車両用カウル構造 | |
JP7067334B2 (ja) | 車両後部構造 | |
KR101673340B1 (ko) | 차체 보강구조 | |
JP2016196207A (ja) | 自動車の後部車体構造 | |
WO2016208409A1 (ja) | 車体前部構造 | |
JP2010083187A (ja) | 車体前部構造 | |
JP2010083196A (ja) | 車体前部構造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JP2017177915A (ja) | 車体構造 | |
JP2005153800A (ja) | 車両の前部車体構造 | |
JP2010083188A (ja) | 車体前部構造 | |
KR101305197B1 (ko) | 차량용 프레임 보강유닛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