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5092B1 - 승강 이동식 정거장 - Google Patents
승강 이동식 정거장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05092B1 KR101305092B1 KR1020120042416A KR20120042416A KR101305092B1 KR 101305092 B1 KR101305092 B1 KR 101305092B1 KR 1020120042416 A KR1020120042416 A KR 1020120042416A KR 20120042416 A KR20120042416 A KR 20120042416A KR 101305092 B1 KR101305092 B1 KR 10130509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ation
- elevating
- lifting
- door
- trai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04H1/1211—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 이동식 정거장에 관한 것으로, 지상에 고정된 외부 구조체와, 상기 외부 구조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열차가 상행 또는 하행하는 지하 승강장영역으로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정거장 구조체와, 상기 정거장 구조체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과, 상기 승강수단의 승강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종 기능설비가 일체화된 정거장 구조체를 적용해 기존 정거장내 넓게 차지하던 각종 기능실을 제거할 수 있어 승강장 면적만으로 정거장 설치가 가능하고 계단, 에스컬레이터, 엘리베이터와 같은 승강시설 또한 제거할 수 있어 기존 정거장 건설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지하 또는 지상 교통시스템을 이용하기 위해 종래와 같이 지하 또는 지상 승강장까지 기존 승강시설(계단, 에스컬레이터, 엘리베이터)을 통해 이동하던 것을 노상의 정거장 자체가 열차 도착시간에 맞추어 자동 이동 제어됨으로써 승객의 접근성이 높아지고, 지상의 버스, 택시 등 타 대중교통수단과의 연계성도 높일 수 있어 특히 노약자, 장애인, 임산부 등의 교통약자를 포함한 승객의 이동 편의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종 기능설비가 일체화된 정거장 구조체를 적용해 기존 정거장내 넓게 차지하던 각종 기능실을 제거할 수 있어 승강장 면적만으로 정거장 설치가 가능하고 계단, 에스컬레이터, 엘리베이터와 같은 승강시설 또한 제거할 수 있어 기존 정거장 건설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지하 또는 지상 교통시스템을 이용하기 위해 종래와 같이 지하 또는 지상 승강장까지 기존 승강시설(계단, 에스컬레이터, 엘리베이터)을 통해 이동하던 것을 노상의 정거장 자체가 열차 도착시간에 맞추어 자동 이동 제어됨으로써 승객의 접근성이 높아지고, 지상의 버스, 택시 등 타 대중교통수단과의 연계성도 높일 수 있어 특히 노약자, 장애인, 임산부 등의 교통약자를 포함한 승객의 이동 편의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승강 이동식 정거장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버스정류장과 같이 승객이 노상의 정거장에서 대기하고 열차의 도착에 맞추어 정거장이 지하 또는 지상으로 자동으로 승강 이동하도록 하여 저비용으로 지하 또는 지상 정거장을 건설하고 승객의 지하 또는 지상 교통시스템의 접근성과 이동 편의성을 향상시킨 승강 이동식 정거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차가 정차하며 승객이 승차 및 하차하는 정거장은 지하 또는 지상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지하 또는 지상 정거장의 일 예가 도 1에 도시된다. 이에 의하면 지하 또는 지상 정거장(1)은 통상적으로 대합실과 각종 기능실(10)을 갖춘 복층 구조물로 건설되고, 승객이 열차에 탑승하기 위해 지하 또는 지상 승강장(20)까지 계단이나 에스컬레이터(30) 또는 엘리베이터(40)와 같은 각종 승강시설을 통해 이동하여 지하 또는 지상의 열차 등의 교통시스템을 이용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기존 건설 방식의 지하 또는 지상 정거장(20)은 각종 기능실 및 승강시설 등으로 인해 정거장 규모(면적)가 큰 관계로 토목공사비와 건축비 등 정거장 건설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지하 또는 지상 정거장(20)까지 계단이나 에스컬레이터(30), 엘리베이터(40) 등의 기존 승강 시설을 통해 이동하여 지하 또는 지상 교통시스템을 이용하기 때문에 동선이 길어져 승객의 접근성이 떨어지는 문제점도 있다.
특히, 노약자나 장애인 또는 임산부 등의 교통 약자를 포함한 승객의 이동 편의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공장 등지에서 사전에 승강 가능한 정거장 모듈을 제작하여 정거장 설치 현장에 모듈식으로 조립 및 시공방식으로 정거장을 설치한 후, 버스정류장과 같이 승객이 노상의 정거장에서 대기하고 열차의 도착에 맞추어 노상에 위치하는 정거장이 지하 또는 지상으로 자동 승강 이동하는 승강 이동식 정거장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비용으로 지하 또는 지상 정거장의 건설이 가능하고, 승객의 지하 또는 지상 교통시스템으로의 접근성과 이동 편의성을 향상시켜 노약자나 장애인 또는 임산부 등의 교통 약자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승강 이동식 정거장을 제공하는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지상에 고정된 외부 구조체와, 상기 외부 구조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열차가 상행 또는 하행하는 지하 승강장영역으로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정거장 구조체와, 상기 정거장 구조체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과, 상기 승강수단의 승강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이동식 정거장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정거장 구조체는 상행 정거장 구조체와 하행 정거장 구조체로 구성되어 상기 외부 구조체의 내부에 일렬로 나란히 구분 설치되며,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상행 정거장 구조체를 승강시키는 상행용 승강수단과 상기 하행 정거장 구조체를 승강시키는 하행용 승강수단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상행 정거장 구조체 및 하행 정거장 구조체에는 열차로의 승차 및 하차가 가능하도록 개폐되는 스크린 도어가 구비되는 차량출입용 도어장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부 구조체는 상행 정거장 구조체 또는 하행 정거장 구조체로 승객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환승 통로가 내부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외부 구조체 일측에는 보행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정거장 구조체의 천장에는 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되는 천장개폐장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부 구조체에는 정거장 구조체로의 승객 출입이 가능한 승객출입용 도어장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외부 구조체에 설치되는 출입용 도어 또는 그 출입용 도어의 상측에는 출입용 도어의 닫힘 잔여시간과 경고신호 점멸을 현시하는 디스플레이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외부 구조체에 설치되는 출입용 도어 또는 그 출입용 도어의 상측에는 안내방송 및 경고음을 출력하는 음성출력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수단은 정거장 구조체가 수직방향으로 승강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용 기둥에 설치되는 선형전동기와 상기 정거장 구조체에 설치되는 대응판으로 이루어지는 선형전동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선형전동기는 선형유도전동기(LIM), 선형동기전동기(LSM), 횡자속선형전동기(TFLM), 원통형 선형전동기(Tubulartype LM) 중에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수단은 정거장 구조체가 수직방향으로 승강시 유압 방식으로 승강이 가능하도록 유압 실린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상행용 승강수단과 하행용 승강수단의 사이에는 비상승강장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종 기능설비가 일체화된 정거장 구조체를 적용해 기존 정거장내에 넓게 차지하던 각종 기능실을 제거할 수 있어 승강장 면적만으로 정거장 설치가 가능하고 계단, 에스컬레이터, 엘리베이터와 같은 승강시설 또한 제거할 수 있어 기존 정거장 건설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지하 또는 지상 교통시스템을 이용하기 위해 종래와 같이 지하 또는 지상 승강장까지 기존 승강시설(계단, 에스컬레이터, 엘리베이터)을 통해 이동하던 것을 노상의 정거장 자체가 열차 도착시간에 맞추어 자동 이동 제어됨으로써 승객의 접근성이 높아지고, 지상의 버스, 택시 등 타 대중교통수단과의 연계성도 높일 수 있어 특히 노약자, 장애인, 임산부 등의 교통약자를 포함한 승객의 이동 편의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기존 지하 정거장에 비해 지상에서 대기함으로써 자연 채광, 환기를 통해 승객의 쾌적성과 심리적 안정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정거장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 이동식 정거장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 이동식 정거장의 설치 예를 도시한 단면 구조도이다.
도 5는 발명에 따른 승강 이동식 정거장의 상세 단면도이다.
도 6은 발명에 따른 승강 이동식 정거장의 이동장치수단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발명에 따른 승강 이동식 정거장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 이동식 정거장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 이동식 정거장의 설치 예를 도시한 단면 구조도이다.
도 5는 발명에 따른 승강 이동식 정거장의 상세 단면도이다.
도 6은 발명에 따른 승강 이동식 정거장의 이동장치수단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발명에 따른 승강 이동식 정거장의 제어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 이동식 정거장을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에 의하여 그 특징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 이동식 정거장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 이동식 정거장의 설치 예를 도시한 단면 구조도이고, 도 5는 발명에 따른 승강 이동식 정거장의 상세 단면도이고, 도 6은 발명에 따른 승강 이동식 정거장의 이동장치수단의 단면도이며, 도 7은 발명에 따른 승강 이동식 정거장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2 내지 도 7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승강 이동식 정거장은 버스정류장과 같이 승객이 노상(路上)의 정거장에서 대기하고 열차 도착에 맞추어 정거장이 지하 또는 지상으로 자동 승강하도록 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특히, 본 발명의 승강 이동식 정거장(100)은 열차가 정차하는 역사의 규모를 축소할 수 있고 설치 비용 및 기간을 단축하기 위해 공장에서 사전에 승강 이동식 정거장을 모듈화하여 제작하여 현장에서 조립 및 시공하는 방식으로 정거장을 설치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버스 또는 열차의 차량을 공장에서 제작하듯이 기존 건설방식의 정거장이 아닌 제작 방식의 정거장 개념을 도입하여, 정거장 구조체(110)를 몇 개의 모듈로 나눠 공장에서 제작한 후 현장 노상에 조립 시공하는 방식으로 정거장을 설치한다.
기존 정거장 내 각종 기능실에 설치되는 여러 기능설비가 정거장 구조체(110) 내에 매립 설치가 가능하고, 본선의 각종 신호, 통신, 전기 케이블과의 연결이 가능하도록 정거장 구조체(110)가 제작된다. 본 발명은 모듈형 정거장 구조체(110) 뿐만 아니라 일체형 정거장 구조체(110)를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승강 이동식 정거장은 도시된 바와 같이 지하로 자동 승강하는 정거장 구조만을 도시하였으나 열차(200)가 정차하는 위치에 따라 정거장이 지하 또는 지상으로 자동 승강하도록 구조를 변경할 수 있으며, 이는 모두 동일한 기술적 범주에 속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 이동식 정거장(100)은 버스정류장과 같이 지상에 고정된 외부 구조체(120)와, 상기 외부 구조체(120)의 내부에 구비되어 열차(200)가 상행 또는 하행하는 지하 승강장영역(102)으로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정거장 구조체(110)와, 상기 정거장 구조체(110)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115)과, 상기 승강수단(115)의 승강을 제어하는 제어수단(160)으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각부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상기 정거장 구조체(110)는 단일의 모듈로 구성함도 가능하지만, 열차(200)의 이동 방향에 따라 상행용 또는 하행용으로 분할한 복수의 모듈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정거장 구조체(110)는 승강 이동이 가능한 상행선용 이동 정거장(이하 '상행 정거장'이라 한다.) 구조체(112)와 하행선용 이동 정거장(이하 '하행 정거장'이라 한다.) 구조체(114)로 구성한다.
이때, 상기 상행 정거장 구조체(112) 및 하행 정거장 구조체(114)는 외부 구조체(120)의 내부에 일렬로 나란히 구분 설치되고 각각 개별적으로 승강 이동이 제어된다.
그리고, 상기 상행 정거장 구조체(112) 및 하행 정거장 구조체(114)에는 열차(200)로의 승차 및 하차가 가능하도록 개폐되는 스크린 도어(132)가 구비되는 차량출입용 도어장치(13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상행 정거장 구조체(112) 및 하행 정거장 구조체(114)는 상부 천장에 동일한 구조의 개폐판(142)이 구비되는 천장개폐장치(140)가 각각 구비된다.
이와 같은 개폐판(142)의 개폐에 따라 평소에는 개방하여 자연 채광과 환기가 가능하도록 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상행 정거장 구조체(112) 및 하행 정거장 구조체(114) 내부를 밀폐하여 냉난방이 가능하도록 한다.
특히, 상행 정거장 구조체(112) 및 하행 정거장 구조체(114)가 지상에 위치하는 경우 개폐판(142)을 개방하고, 상행 정거장 구조체(112) 및 하행 정거장 구조체(114)가 열차(200)가 상행 또는 하행하는 지하 승강장영역(102)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개폐판(142)을 폐쇄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차량출입용 도어장치(130)는 모터의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렉과 피니언을 이용해 스크린 도어(132)를 미닫이 형식으로 개폐하는 공지(公知)의 구조를 적용하며, 상기 천장개폐장치(140) 역시 모터의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렉과 피니언을 이용해 개폐판(142)을 미닫이 형식으로 개폐하는 공지(公知)의 구조를 적용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외부 구조체(120)는 상행 정거장 구조체(112) 또는 하행 정거장 구조체(114)로 승객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환승 통로(122)가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외부 구조체(120) 일측에는 보행로(123)를 구비한다.
또한, 외부 구조체(120)는 인도에서 상행 정거장 구조체(112) 또는 하행 정거장 구조체(114)로의 승객 출입이 가능한 승객출입도어(152)가 구비되는 승객출입용 도어장치(15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승객출입용 도어장치(150)는 상기 차량출입용 도어장치(130)와 마찬가지로 모터의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렉과 피니언을 이용해 출입용 도어(152)를 미닫이 형식으로 개폐하는 공지(公知)의 구조를 적용한다.
이상의 차량출입용 도어장치(130)와 천장개폐장치(140) 및 승객출입용 도어장치(150)는 제어수단(160)에 의해 작동이 제어된다.
한편, 상기 외부 구조체(120)에 설치되는 출입용 도어(152) 또는 그 출입용 도어(152)의 상측에는 출입용 도어(152)의 닫힘 잔여시간과 경고신호 점멸을 현시하는 디스플레이수단(170)과, 안내방송 및 경고음을 출력하는 음성출력수단(172)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수단(170)은 LCD 또는 LED모듈 구성하고 상기 음성출력수단(172)은 스피커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디스플레이수단(170)과 음성출력수단(172)은 제어수단(160)에 의해 작동이 제어된다.
한편, 상기 정거장 구조체(110)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115)은 열차(200) 도착에 맞추어 해당 정거장 구조체(110)를 지하(지상)로 자동 승강 이동 시킴으로써 승객이 열차(200)로부터 승하차 할 수 있도록 제어수단(160)에 의해 제어된다.
이때, 상기 승강수단(115)은 정거장 구조체(110)가 수직방향으로 승강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용 기둥(104)에 설치되는 선형전동기(116)와 상기 정거장 구조체(110)에 설치되는 대응판(117)으로 이루어지는 선형전동기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용 기둥(104)은 정거장 구조체(110)가 수직방향으로 승강하도록 안내시에 안정적인 안내 및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적어도 4개 이상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선형전동기는 선형유도전동기(LIM), 선형동기전동기(LSM), 횡자속선형전동기(TFLM), 원통형 선형전동기(Tubulartype LM) 중에 어느 하나의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승강수단(115)은 정거장 구조체(110)가 수직방향으로 승강시 유압 방식으로 승강이 가능하도록 유압 실린더로 구성함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선형전동기 방식과 유압 방식뿐만 아니라 모든 승강 구동 방식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승강수단(115)은 상행 정거장 구조체(112) 및 하행 정거장 구조체(114)를 각각 승강시키는 상행용 승강수단(118) 및 하행용 승강수단(119)으로 구성하며 이의 승강 구동 방식은 동일하게 적용한다.
한편, 상기 제어수단(160)은 열차(200)가 진입하는 경우 열차진입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162)와, 상기 신호수신부(162)를 통해 수신되는 열차진입신호에 따라 상기 승강수단(115)을 제어하여 정거장 구조체(110)를 승강시키며 차량출입용 도어장치(130)와 천장개폐장치(140) 및 승객출입용 도어장치(150)를 작동시키는 제어부(164)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신호수신부(162)는 열차(200)의 신호송신부(202)를 통해 무선으로 송신되는 열차진입신호를 수신하는 무선방식으로 구성되거나 다수의 정거장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관제센터를 통해 열차진입신호를 수신함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제어수단(160)의 제어부(164)는 상기 신호수신부(162)를 통해 수신되는 열차진입신호가 상행하는 열차의 진입신호인 경우에는 상행 정거장 구조체(112)를 하강시키도록 상행용 승강수단(118)을 제어하고, 하행하는 열차의 진입신호인 경우에는 하행 정거장 구조체(114)를 하강시키도록 하행용 승강수단(119)을 제어한다.
한편, 상기 상행용 승강수단(118)과 하행용 승강수단(119) 사이에는 비상승강장(300)이 설치되는데 상기 비상승강장(300)에는 승하차를 위한 계단(310)이 설치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승강 이동식 정거장의 작동 예를 설명한다.
상행 또는 하행하는 열차(200)가 지하 승강장 영역(102)으로 접근하면 열차 진입 신호가 제어수단(160)의 신호수신부(162)를 통해 수신된다.
이에 따라 제어수단(160)은 승객출입용 도어장치(150)를 제어하여 폐쇄하고, 신호수신부(162)를 통해 수신되는 열차진입신호가 상행하는 열차의 진입신호인지 하행하는 열차의 진입신호인지를 판단하며 열차(200)의 상하행 판단에 따라 상행용 또는 하행용 승강수단(118 또는 119)을 제어하여 상행 정거장 구조체(112) 또는 하행 정거장 구조체(114)를 하강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160)은 차량출입용 도어장치(130)를 제어하여 스크린 도어를 개방하여 정거장 구조체(110)에서의 승객의 열차 승하차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20 ~ 30초 등의 일정한 시간동안 개방상태를 유지하고 다시 폐쇄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160)은 상행용 또는 하행용 승강수단(118,119)을 제어하여 상행 정거장 구조체(112) 또는 하행 정거장 구조체(114)를 상승시켜 노상의 승객이 탑승 가능하도록 한다.
이 경우 상행 정거장 구조체(112) 또는 하행 정거장 구조체(114)가 지면에 도달하면 제어수단(160)은 승객출입용 도어장치(150)를 제어하여 개방함으로써 승객이 외부로의 출입이 가능하게 한다.
이 경우 열차(200)의 도착 예정에 따른 승객출입용 도어장치(150)의 닫힘 잔여시간과 안내방송은 디스플레이수단(170)과 음성출력수단(172)을 통해 출력하여 외부에서 용이하게 알 수 있다.
그리고, 상행용 승강수단(118)과 하행용 승강수단(119)으로 이루어지는 승강수단(115)의 점검, 수리 또는 이상으로 인해 승강수단(115)을 이용할 수 없을 때에는 열차(200)를 상행용 승강수단(118)과 하행용 승강수단(119) 사이에 설치되는 비상승강장(300)에 정차시키고, 승객들을 비상승강장(300)에 설치된 계단(310)을 이용하여 승하차 하게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100: 승강 이동식 정거장 110: 정거장 구조체
112: 상행 정거장 구조체 114: 하행 정거장 구조체
115: 승강수단 116: 선형전동기
120: 외부 구조체 122: 환승 통로
123: 보행로 130: 차량출입용 도어장치
140: 천장개폐장치 150: 승객출입용 도어장치
160: 제어수단 162: 신호수신부
164: 제어부 170: 디스플레이수단
172: 음성출력수단 200: 열차
112: 상행 정거장 구조체 114: 하행 정거장 구조체
115: 승강수단 116: 선형전동기
120: 외부 구조체 122: 환승 통로
123: 보행로 130: 차량출입용 도어장치
140: 천장개폐장치 150: 승객출입용 도어장치
160: 제어수단 162: 신호수신부
164: 제어부 170: 디스플레이수단
172: 음성출력수단 200: 열차
Claims (13)
- 지상에 고정된 외부 구조체와, 상기 외부 구조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열차가 상행 또는 하행하는 지하 승강장영역으로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정거장 구조체와, 상기 정거장 구조체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과, 상기 승강수단의 승강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 구성되되,
상기 정거장 구조체의 천장에는 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되는 천장개폐장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이동식 정거장.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거장 구조체는 상행 정거장 구조체와 하행 정거장 구조체로 구성되어 상기 외부 구조체의 내부에 일렬로 나란히 구분 설치되며,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상행 정거장 구조체를 승강시키는 상행용 승강수단과 상기 하행 정거장 구조체를 승강시키는 하행용 승강수단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이동식 정거장.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행 정거장 구조체 및 하행 정거장 구조체에는 열차로의 승차 및 하차가 가능하도록 개폐되는 스크린 도어가 구비되는 차량출입용 도어장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이동식 정거장.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구조체는 상행 정거장 구조체 또는 하행 정거장 구조체로 승객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환승 통로가 내부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이동식 정거장.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구조체 일측에는 보행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이동식 정거장.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구조체에는 정거장 구조체로의 승객 출입이 가능한 승객출입용 도어장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이동식 정거장.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구조체에 설치되는 출입용 도어 또는 그 출입용 도어의 상측에는 출입용 도어의 닫힘 잔여시간과 경고신호 점멸을 현시하는 디스플레이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이동식 정거장.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구조체에 설치되는 출입용 도어 또는 그 출입용 도어의 상측에는 안내방송 및 경고음을 출력하는 음성출력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이동식 정거장.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정거장 구조체가 수직방향으로 승강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용 기둥에 설치되는 선형전동기와 상기 정거장 구조체에 설치되는 대응판으로 이루어지는 선형전동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이동식 정거장.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전동기는 선형유도전동기(LIM), 선형동기전동기(LSM), 횡자속선형전동기(TFLM), 원통형 선형전동기(Tubulartype LM) 중에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이동식 정거장.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정거장 구조체가 수직방향으로 승강시 유압 방식으로 승강이 가능하도록 유압 실린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이동식 정거장.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행용 승강수단과 하행용 승강수단의 사이에는 비상승강장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이동식 정거장.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42416A KR101305092B1 (ko) | 2012-04-24 | 2012-04-24 | 승강 이동식 정거장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42416A KR101305092B1 (ko) | 2012-04-24 | 2012-04-24 | 승강 이동식 정거장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05092B1 true KR101305092B1 (ko) | 2013-09-12 |
Family
ID=49455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42416A KR101305092B1 (ko) | 2012-04-24 | 2012-04-24 | 승강 이동식 정거장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05092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36866A (ko) * | 2018-05-31 | 2019-12-10 | 주식회사 유성테크 | 지하철 환기구를 활용한 공공편의시설용 시스템 부스 |
CN115230744A (zh) * | 2021-04-22 | 2022-10-25 | 康保安防系统(中国)有限公司 | 一种可改装的火车站雨棚及其集成式乘客引导系统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777838B2 (ja) * | 1990-05-28 | 1998-07-23 | 株式会社竹中工務店 | 大深度地下鉄道駅のエレベータ式プラットホーム |
KR200347560Y1 (ko) * | 2004-01-09 | 2004-04-14 | 주식회사 유진메트로컴 | 표시등을 가지는 전동차 승강장의 안전장치 |
KR20040034666A (ko) * | 2004-04-01 | 2004-04-28 | 박우현 | 열차 승강장 안전시스템의 제어장치 |
JP2011161981A (ja) | 2010-02-05 | 2011-08-25 | Ihi Corp | 輸送システム |
-
2012
- 2012-04-24 KR KR1020120042416A patent/KR10130509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777838B2 (ja) * | 1990-05-28 | 1998-07-23 | 株式会社竹中工務店 | 大深度地下鉄道駅のエレベータ式プラットホーム |
KR200347560Y1 (ko) * | 2004-01-09 | 2004-04-14 | 주식회사 유진메트로컴 | 표시등을 가지는 전동차 승강장의 안전장치 |
KR20040034666A (ko) * | 2004-04-01 | 2004-04-28 | 박우현 | 열차 승강장 안전시스템의 제어장치 |
JP2011161981A (ja) | 2010-02-05 | 2011-08-25 | Ihi Corp | 輸送システム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36866A (ko) * | 2018-05-31 | 2019-12-10 | 주식회사 유성테크 | 지하철 환기구를 활용한 공공편의시설용 시스템 부스 |
KR102135595B1 (ko) | 2018-05-31 | 2020-07-20 | 강효진 | 지하철 환기구를 활용한 공공편의시설용 시스템 부스 |
CN115230744A (zh) * | 2021-04-22 | 2022-10-25 | 康保安防系统(中国)有限公司 | 一种可改装的火车站雨棚及其集成式乘客引导系统 |
CN115230744B (zh) * | 2021-04-22 | 2024-06-25 | 康保安防系统(中国)有限公司 | 乘客引导系统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WO2018153339A1 (zh) | 个人悬挂式双轨道双动力自动控制轻型轨道交通系统 | |
KR101305092B1 (ko) | 승강 이동식 정거장 | |
CN210888661U (zh) | 一种隐藏式站台安全门 | |
CN207346922U (zh) | 增容提速高运力乘客电梯 | |
CN105600647A (zh) | 既有多层住宅建筑加装电梯的方法 | |
CN201923739U (zh) | 牵引式跨路电梯 | |
JP5616199B2 (ja) | ゲート装置 | |
CN109991947B (zh) | 一种地铁车站出入口机电设备的自动控制系统 | |
CN106276553A (zh) | 自动调速扶梯及其工作方法 | |
CN204897122U (zh) | 左右双开门电梯 | |
CN207618812U (zh) | 一种电梯告知系统 | |
CN210763772U (zh) | 一种电梯应急救援通道结构 | |
CN203269287U (zh) | 下置式无机房电梯 | |
EP3643660B1 (en) | System for providing elevator service | |
CN107651530A (zh) | 升降机 | |
CN203568607U (zh) | 减少楼层捣乱呼叫的电梯控制系统 | |
CN210377140U (zh) | 一种地铁车站出入口机电设备的自动控制系统 | |
CN2801573Y (zh) | 一种站台活动隔离栏杆 | |
RU146088U1 (ru) | Станционный комплекс метрополитена с одним вестибюлем, разделенным противопожарной перегородкой | |
CN104030109A (zh) | 减少楼层捣乱呼叫的电梯控制系统及方法 | |
RU167593U1 (ru) | Комплекс платформенных дверей | |
CN212608892U (zh) | 一种无井道电梯 | |
CN107187998B (zh) | 一种便于维修的电梯 | |
JP2974994B2 (ja) | 車両用乗降システム | |
CN213389543U (zh) | 一种由天桥与停车场结合的立体交通结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