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4463B1 - 전자사진 현상제 - Google Patents

전자사진 현상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4463B1
KR101304463B1 KR1020060132020A KR20060132020A KR101304463B1 KR 101304463 B1 KR101304463 B1 KR 101304463B1 KR 1020060132020 A KR1020060132020 A KR 1020060132020A KR 20060132020 A KR20060132020 A KR 20060132020A KR 101304463 B1 KR101304463 B1 KR 1013044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olyester resin
viscosity polyester
electrophotographic developer
t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2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8008A (ko
Inventor
최석훈
김상덕
이덕희
석기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32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4463B1/ko
Priority to US11/798,564 priority patent/US7871749B2/en
Priority to CNA2007101382323A priority patent/CN101206420A/zh
Publication of KR20080058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80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4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44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087Binders for toner particl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087Binders for toner particles
    • G03G9/08742Binders for toner particles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G03G9/08755Polyest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087Binders for toner particles
    • G03G9/08784Macromolecular material not specially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G03G9/08702 - G03G9/08775
    • G03G9/08793Crosslinked polym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087Binders for toner particles
    • G03G9/08784Macromolecular material not specially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G03G9/08702 - G03G9/08775
    • G03G9/08795Macromolecular material not specially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G03G9/08702 - G03G9/08775 characterised by their chemical properties, e.g. acidity, molecular weight, sensitivity to reacta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087Binders for toner particles
    • G03G9/08784Macromolecular material not specially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G03G9/08702 - G03G9/08775
    • G03G9/08797Macromolecular material not specially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G03G9/08702 - G03G9/08775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e.g. viscosity, solubility, melting temperature, softening temperatur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09Colouring agents for toner particl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097Plasticisers; Charge controlling age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097Plasticisers; Charge controlling agents
    • G03G9/09708Inorganic compounds
    • G03G9/09716Inorganic compounds treated with organic compound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097Plasticisers; Charge controlling agents
    • G03G9/09708Inorganic compounds
    • G03G9/09725Silicon-oxides; Silicat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veloping Agents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결착 수지, 이형제, 착색제, 및 대전제어제를 포함하는 토너 모입자; 및 상기 토너 입자의 표면에 첨가되는 외첨제;를 포함하는 비자성 1성분 전자사진 현상제에 있어서, 상기 결착 수지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90,000 내지 140,000이고 겔 함량이 5% 미만인 고점도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중량 평균 분자량이 52,000 내지 65,000이고 겔 함량이 2% 미만인 저점도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전자사진 현상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점도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저점도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블렌딩 배합을 통하여 내구성이 확보되고, 화상광택도 및 정착성이 개선된 전자사진 현상제를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사진 현상제{Electrophotographic developing agent}
도 1은 비접촉 현상방식의 전자사진 장치의 일구현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왁스의 DSC 데이터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 부호의 간단한 설명>
1: 감광체 5: 현상롤러
6: 공급롤러 7: 현상제규제 블레이드
8: 현상제 9: 전사수단
10: 클리닝 블레이드 13: 인쇄매체
본 발명은 전자사진 현상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점도 결착 수지 및 저점도 결착 수지를 함께 사용함으로써 내구성을 확보하면서도 정착성 및 화상광택성 등이 개선된 전자사진 현상제에 관한 것이다.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전자사진방식 화상처리기기로서는 레이저 프린터, 팩시밀리, 복사기 등이 있으며, 이들은 레이저를 이용하여 감광체에 잠상을 만든 후 전위차를 이용하여 상기 감광체 상의 잠상에 토너를 이동시키고, 이를 용지 등 인쇄매체에 전사해 목적하는 화상을 형성하게 된다.
근래, 전자 사진용 LBP, 복합기, 컬러 복사기 등 화상형성 장치가 폭 넓게 보급되면서 고품질의 화상품질이 요구되고 있다. 컬러 레이져 프린터의 경우 모노와 달리 네가지 기본색(Cyan, Magenta, Yellow, Black)을 가진 토너를 가지고 다양한 컬러를 표현한다. 예를 들어 RED의 경우 Magenta + Yellow로 표현이 되며, 따라서 모노보다 더욱 더 높은 화상토너층을 가지고 있다. 컬러 프린터는 이러한 높은 토너층의 토너화상에 대한 정착특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모노 프린터보다 한차원 더 높은 수준의 정착특성을 요구한다.
또한 환경문제에 대응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종이량에 대한 절감과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양면인쇄에 대한 요구도 높다. 양면 인쇄시에는 단면 인쇄시보다 더 핫 오프셋(hot offset)에 의한 배면오염 및 정착기 종이말림현상(wrap jam)에 대한 우려가 높으며, 종이말림현상의 경우 심각성이 매우 크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형제를 토너에 혼련분산하여 사용한다. 그러나 이형제의 혼련분산에 요구되는 혼련조건 및 이형제의 종류 선택에 있어 여러 가지 어려움이 따른다.
또한 모노의 경우에는 눈부심에 의한 눈의 피로방지와 복사본을 만들기 쉽게 하기 위해 오히려 무광택의 인쇄물이 선호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컬러화에 따라 그래픽 및 실사 출력의 기대가 높아짐에 따라 사진과 같은 고광택의 인쇄물을 요구하는 경향이 진행되고 있다.
고광택 토너의 경우 사용연한에 따른 토너의 내구성 및 화상품질의 저하가 동반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시도들이 진행되고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컬러화에 따른 중첩화상에서의 내구성이 확보되면서 정착성 및 광택도가 개선된 전자사진 현상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자사진 현상제를 채용한 전자사진 화상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결착 수지, 이형제, 착색제, 및 대전제어제를 포함하는 토너 모입자; 및
상기 토너 입자의 표면에 첨가되는 외첨제;를 포함하는 비자성 1성분 전자사진 현상제에 있어서, 상기 결착 수지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90,000 내지 140,000이고 겔 함량이 5% 미만인 고점도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중량 평균 분자량이 52,000 내지 65,000이고 겔 함량이 2% 미만인 저점도 폴리에스테르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현상제를 제공한다.
상기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전자사진용 현상제를 채용한 전자사진용 화상형성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구성이 확보되면서 화상광택도 및 정착성이 개선된 전자사진 현상제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정착 특성, 광택도 개선특성 및 내구성 향상을 위하여 용융점도가 높은 결착 수지 및 점도가 낮은 결착 수지를 블렌딩하여 사용한다. 결착 수지로서는 공지의 각종 수지를 사용할 수 있는데, 예컨대 폴리스티렌, 폴리-P-클로로스티렌, 폴리-α-메틸스티렌, 스티렌-클로로스티렌 공중합체, 스티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스티렌-비닐톨루엔 공중합체, 스티렌-비닐나프탈렌 공중합체, 스티렌-아크릴산메틸 공중합체, 스티렌-아크릴산에틸 공중합체, 스티렌-아크릴산프로필 공중합체, 스티렌-아크릴산부틸 공중합체, 스티렌-아크릴산옥틸 공중합체, 스티렌-메타크릴산메틸 공중합체, 스티렌-메타크릴산에틸 공중합체, 스티렌-메타크릴산프로필 공중합체, 스티렌-메타크릴산 부틸 공중합체, 스티렌-α-클로로메타크릴산메틸 공중합체,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스티렌-비닐메틸에테르 공중합체, 스티렌-비닐에틸에테르 공중합체, 스티렌-비닐에틸케톤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스티렌-아크릴니트릴-인덴 공중합체, 스티렌-말레인산 공중합체, 스티렌-말레인산에스테르 등의 스티렌계 공중합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부틸메타크릴레이트, 이들의 공중합체, 폴리염화비닐, 폴리초산비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아미드, 에폭시수지, 폴리비닐부티랄수지, 로진, 변성 로진, 테르펜수지, 페놀수지, 지방족 또는 지환족 탄화수소수지, 방향족계 석유수지, 염소화 파라핀, 파라핀 왁스 등이 단독 또는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중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정착성 및 투명성이 우수 하여 칼라 현상제에 적합하다.
고점도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90,000 내지 140,000이고, 저점도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52,000 내지 65,000이다. 또한, 상기 고점도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겔 함량이 5% 미만이고, 저점도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겔 함량이 2% 미만이다.
겔 함량은 토너 입자의 용융 흐름성에 관계되며, 겔 함량이 많으면 흐름성이 저해되고 표면의 평탄성이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표면의 평활도가 감소되어 난반사가 발생되기 쉽다. 반대로 겔 함량이 적으면 흐름성이 개선되어 표면의 평탄성이 개선된다. 따라서 표면의 평활도가 증가하고 난반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고점도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산가(acid value)는 10 내지 20 mg-KOH/g이고, 저점도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산가는 5 내지 15 mg-KOH/g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점도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저점도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함량은 각각 10 내지 60중량%와 40 내지 9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점도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함량이 10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토너의 내구성이 떨어져 사용말기 부분에 이르러 화상농도가 흐려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바람직하지 못하고, 6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고점도 폴리에스테르의 점도 특성으로 인하여 정착성이 현저히 저하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고점도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Tg)는 63 내지 65℃이고, 저점도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Tg)는 61 내지 63℃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점도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수평균 분자량이 2,800 내지 3,000이고, 저점도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수평균 분자량이 3,600 내지 3,800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점도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다분산지수(Mw/Mm)는 36 내지 43이고, 저점도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다분산지수(Mw/Mm)는 15 내지 25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현상제는 이형제를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전자사진 현상제에 사용하는 이형제는 폴리프로필렌 계열 왁스, 폴리에틸렌 계열 왁스, 에스테르 계열 왁스, 파라핀 계열 왁스, Carnauba 왁스(천연 왁스)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 계열은 용융온도가 135 내지 145℃로서 중량평균 분자량(Mw)이 3000 내지 11000이고, 폴리에틸렌 계열은 용융온도가 100 내지 120℃로서 중량평균 분자량(Mw)이 2000 내지 8000이고, 에스테르 계열은 용융온도가 70 내지 85℃이고, 파라핀 계열은 용융온도가 80 내지 100℃로서 중량평균 분자량(Mw)이 500 내지 1000이고, Carnauba 왁스는 용융온도가 80 내지 90℃이다.
본 발명의 이형제는 융점이 80 내지 90℃인 천연 왁스(carnauba wax)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왁스의 함량이 토너 모입자를 기준으로 하여 2 내지 5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왁스의 융점이 80℃ 미만이거나 9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결착 수지와의 용융 흐름성의 격차가 너무 크게 되어 점도차 때문에 분산이 용이하지 못하다. 또한 카르나우바 왁스의 경우 폴리에스테르 바인더와의 친화성이 높아 분산성이 매우 높다.
본 발명에 따른 현상제는 착색제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착색제로서 흑백 토 너의 경우에는 카본블랙 또는 아닐린블랙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비자성 토너는 칼라 토너를 제조하기 용이하다. 또한 칼라 토너의 경우에는 착색제 중 검은색은 카본 블랙을 이용하고, 칼라는 옐로우, 마젠타 및 시안 착색제를 더 포함한다.
상기 옐로우 착색제는 축합 질소 화합물, 이소인돌리논 화합물, 안트라킨 화합물, 아조 금속 착제, 또는 알릴 이미드 화합물이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C.I. 안료 옐로우(PY) 12, 13, 14, 17, 62, 74, 83, 93, 94, 95, 109, 110, 111, 128, 129, 147, 168, 180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마젠타 착색제는 축합 질소 화합물, 안트라킨 화합물, 퀴나크리돈 화합물, 염기 염료 레이트 화합물, 나프톨 화합물, 벤조 이미다졸 화합물, 티오인디고 화합물, 또는 페릴렌 화합물이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C.I. 안료 레드(PR) 2, 3, 5, 6, 7, 23, 48:2, 48:3, 48:4, 57:1, 81:1, 144, 146, 166, 169, 177, 184, 185, 202, 206, 220, 221, 또는 254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시안 착색제는 동 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및 그 유도체, 안트라킨 화합물, 또는 염기 염료 레이트 화합물 등이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C.I. 안료 블루(PB) 1, 7, 15, 15:1, 15:2, 15:3, 15:4, 60, 62, 또는 66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착색제는 단독 또는 2 종 이상의 혼합물로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색상, 채도, 명도, 내후성, 토너 중의 분산성 등을 고려하여 선택된다.
상기 착색제의 함량은 현상에 의해 가시상을 형성할 수 있는 토너를 착색하기에 충분한 양이면 되는데, 예컨대 결착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2 내지 20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상기 함량이 2 중량부 미만이면 착색효과가 불충분하며, 20 중량부를 초과하면 토너의 전기저항이 낮아지기 때문에 충분한 마찰 대전량을 얻을 수 없어 오염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착색제는 수지 중에서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미리 플러싱(flusing) 처리, 또는 수지와 고농도로 용융 혼련한 마스터 배치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착 수지와 착색제를 필수적인 성분으로 하여 2롤, 3롤, 가압 니더, 또는 2축 압출기 등의 혼련 수단에 의하여 혼합될 수 있다. 이때 착색제가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하며 80 내지 180℃의 온도로 10분 내지 2시간 동안 용융 혼련한다. 이어서, 예를 들어 제트 밀, 마찰 밀, 또는 회전형 밀 등의 분쇄기를 사용하여 미분쇄하고, 평균 입자의 크기가 3 내지 15㎛의 크기인 토너 입자를 제조하고 외첨제를 부착시키는 것에 의해 분체 유동성이나 대전 안정성 등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현상제는 대전 제어제를 포함한다. 대전 제어제로는 부대전성 대전 제어제 및 정대전성 대전 제어제를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대전제어제는 토너를 정전기력에 의해 현상롤러 위에 안정되게 지지하므로, 상기와 같은 대전제어제를 사용함으로써 안정적이고 빠른 대전 속도가 가능해진다.
상기 부대전성 대전 제어제로는 크롬 함유 아조 착제(azo dyes) 또는 모노아조 금속 착체와 같은 유기 금속 착체 또는 킬레이트 화합물; 크롬, 철, 아연과 같은 금속 함유 살리실산 화합물; 및 방향족 히드록시카르복실산과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의 유기 금속 착체가 사용될 수 있으며, 공지의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정대전성 대전 제어제로서는 니그로신과 그의 지방산 금속염 등으로 개질된 생성물, 트리부틸벤질암모늄 1-히드록시-4-나프토술포네이트 및 테트라부틸암모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등의 4급 암모늄염을 포함하는 오늄염 등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토너 조성물에 포함되는 대전 제어제의 함량은 일반적으로 토너 모입자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현상제는 상기와 같은 비접촉 비자성 1성분 토너를 사용한 전자사진 장치 외에도 접촉식 비자성 1성분 현상방식의 토너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부대전성 또는 정대전성 토너 모두에 다 적용할 수 있다.
일반적인 중합 및 분쇄형 토너에 있어서, 색도, 대전특성, 및 정착성 향상 등을 위하여 착색제, 대전제어제, 이형제 등이 결착 수지 내에 균일하게 내첨되고, 이와 함께 유동성, 대전 안정성, 및 클리닝성 등을 부여하기 위하여 여러 종류의 외첨제들이 첨가되고 있다. 외첨제의 첨가에 있어서 화상 열화의 원인이 되는 토너 표면의 외첨제의 이탈, 매몰이 일어나기 때문에 그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평균 입경이 다른 2종류 이상의 외첨제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외첨제로는 실리카 입자, 산화티탄, 및 폴리머 비즈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실리카 입자는 2종류의 상이한 입경을 갖는 제1 실리카 입자와 제2 실리카 입자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첨가되는 제1실리카 입자 및 제2 실리카 입자의 평균 입경은 각각 30 내지 40㎚ 및 5 내지 8㎚인 것이 바람직하다. 서로 다른 입경을 갖는 실리카 입자를 사용함에 있어서, 대입경 실리카는 스페이서(spacer)입 자로서 내구에 의한 토너 열화를 막고 전사성의 향상 기능이 있으며, 소입경 실리카는 주로 토너에 유동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실리카 및 제2 실리카 입자의 함량은 각각 독립적으로 토너 모입자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1 내지 3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실리카 첨가로 인한 효과를 얻기가 어려워 바람직하지 않으며, 3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정착성 저하, 과대전 및 클리닝 불량 등이 발생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제1실리카 입자 및 제2 실리카 입자는 오가노실라잔(organosilazane) 및/또는 폴리실록산(polysiloxane)으로 표면처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오가노실라잔은 헥사메틸디실라잔(hexamethyldisilazane, HMDS)을 사용하고, 폴리실록산은 디메틸폴리실록산(dimethylpolysiloxane, DMPS)을 사용한다. 헥사메틸디실라잔 및 디메틸폴리실록산을 사용하여 복합표면처리할 수 있다. 복합표면처리한 실리카를 외첨제로 사용할 경우 토너 사용 환경의 변화 및 장기 화상인쇄로 인한 경시변화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인 토너의 대전량 및 분포를 유지할 수 있다.
비표면적이 비교적 큰 실리카만을 사용하면 전사 효율 측면에서 상당히 좋은 결과를 나타내지만, 장기간 많은 출력을 하는 경우에는 드럼 오염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현저한 개선 효과를 위해서 실리카 이외의 다른 무기 미립자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무기 미립자로서 사용될 수 있는 재료는 산화티탄, 산화 알루미늄, 산화 아연, 산화마그네슘, 산화셀륨, 산화철, 산화구리 및 산화주석으로 이루어지 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산화티탄이 사용될 수 있다.
산화티탄은 토너의 유동성을 향상시키며, 장기간에 많은 양을 출력할 경우에도 고전사 효율을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저온 저습시의 토너 챠지 업 (charge up)의 문제를 예방할 수 있으며, 고온 고습시에 토너의 챠지 다운 (charge down)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산화티탄의 1차 평균 입경은 5 내지 50nm이 바람직하고, 5 내지 20nm의 범위가 더욱 바람직하다. 1차 평균 입경이 50n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고온 고습시의 챠지 다운이 문제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고, 5nm 미만인 경우에는 정착불량 및 대전 불균일성 등이 발생하기 용이하여 바람직하지 못하다.
산화티탄의 함량은 상기 2 종의 실리카 입자와의 조절에 의하여 변화될 수 있으며, 토너 모입자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0.1 내지 0.5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3 중량부이다. 산화티탄의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토너 대전의 균일성을 증대하는 효과가 저하되어 역대전 토너로 인한 비화상부 오염을 초래할 염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고, 0.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클리닝 불량에 의한 대전롤러 및 현상부재 오염발생의 원인이 될 수 있어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외첨제로서 폴리머 비즈를 사용할 수 있다. 폴리머 비즈는 현상 부재 오염에 따른 화상 오염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상기 폴리머 비즈의 종류로서는 멜라민계 수지 또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가 바람직하다.
폴리머 비즈의 함량은 토너 모입자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0.1 내지 2.0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0.1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고, 2.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분리이탈 및 자체 응집발생이 용이하여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자사진용 현상제를 채용한 전자사진 화상 형성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 현상방식의 화상형성 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 하기에 작동 원리를 설명한다.
비자성 1성분 현상제는 폴리우레탄 폼, 스폰지 등의 탄성부재로 구성된 공급롤러(6)에 의해 현상제(8)를 현상롤러(5)상으로 공급된다. 상기 현상롤러(5) 상으로 공급된 현상제(8)은 현상롤러(5)의 회전에 따라 현상제 규제블레이드(7)과 현상롤러(5)의 접촉부에 도달한다. 상기 현상제 규제블레이드(7)은 금속, 고무 등의 탄성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현상제 규제블레이드(7)과 현상롤러(5)의 접촉부 사이를 현상제가 통과시 현상제(8)의 층이 일정한 층으로 규제되어 박층이 형성되고 현상제를 충분히 대전시킨다. 박층화된 현상제(8)은 현상롤러(5)에 의하여 잠상 담지체인 감광체(1)의 정전잠상에 현상제(8)가 현상되는 현상영역으로 이송되게 된다.
현상롤러(5)는 감광체(1)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접촉하지 않고 서로 마주보고 위치하고 있다. 현상롤러(5)는 시계회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 감광체(1)은 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한다. 현상영역으로 이송된 현상제(8)는 현상롤러(5)에 인가된 DC 중첩된 AC 전압과 감광체(1)의 잠상전위와의 전위차에 의해 발생된 전기력에 따라 감광체(1)의 정전잠상으로 현상된다.
감광체(1)에 현상된 현상제(8)은 감광체(1)의 회전방향에 따라 전사수단(9) 의 위치에 도달한다. 감광체(1)에 현상된 현상제는 코로나 방전 또는 롤러형태로 현상제 (8)에 대한 역극성 고전압이 인가된 전사수단(9)에 의하여 인쇄용지(13)이 통과하면서 인쇄용지로 현상제가 전사되어 화상이 형성된다.
인쇄용지에 전사된 화상은 고온, 고압의 정착기(미도시)를 통과하면서 인쇄용지에 현상제가 융착되어 화상이 정착된다. 한편 현상롤러(5) 상의 미현상된 잔류 현상제는 상기 현상롤러(5)와 접촉되어 있는 공급롤러(6)에 의해 회수된다. 상기의 과정이 반복된다.
이하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하기에 사용되는 물질의 함량 단위는 "중량부"로 사용하고, 이는 토너 모입자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한 것이다.
사용 원재료
◎ 결착 수지 : 폴리에스테르 수지 (제조사 : 미쯔비시레이온 컴퍼니)를 사용하였으며, 사용된 결착 수지의 물성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고점도 수지 저점도 수지
Mw 115,000 58,500
Mn 2,900 3,700
Mw/Mn 39.8 20
gel 4% 1.5%
AV 13 10
Tg 62℃ 62℃
Tfb 95℃ 95℃
T1 /2 119℃ 119℃
◎ 이형제 왁스 : Carnauba wax (제조사 : TOA KASEI)
특성 => Tm = 85 ~ 86℃ , T1 /2 = 85℃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카르나우바 왁스의 DSC 데이터를 나타낸 것으로서 융점이 85 ~ 86℃임을 나타내고 있다.
◎ 착색제
Bk(블랙) : mogul-L
Y(옐로우) : PY 180
M(마젠타) : PR 57:1
C(시안) : PB 15:3
◎ 대전제어제(CCA)
Bk : T-77
C,M,Y : LR147
* LR147 - 분자량 : C28H20BO6.K
- CAS. 114803-11-1(보로 비스(1,1-디페닐-1-옥소-아세틸)칼륨염)
◎ 전체 혼련공정에서의 컬러별 내첨제 함량(중량비)은 하기 표 2와 같다:
Bk C M Y
바인더 수지
(HV + LV)
92 중량부 92 중량부 91 중량부 92 중량부
왁스 3 중량부 3 중량부 3 중량부 3 중량부
착색제 3 중량부 2 중량부 4 중량부 3 중량부
대전제어제 2 중량부 2 중량부 2 중량부 2 중량부
토너의 제조
<무외첨 토너의 제조>
실시예 1
표 1에 표시되어 있는 고점도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저점도 폴리에스테르 수지(중량비 6 : 4, 미쯔비시레이온 제조) 92 중량부, 블랙 착색제 mogul-L (Cabot사 제조) 3 중량부, 대전제어제 T-77 (Hodogaya사 제조) 2 중량부, 카르나우바 왁스 (TOA KASEI사 제조) 3 중량부를 헨셀 (Henschel) 타입 믹서를 이용하여 예비혼합시켰다. 다음으로, 상기 혼합물을 이축 압출기에 투입하여 130℃에서 용융 혼합물을 압출하고 냉각 응고시킨 후, 기계식 분쇄기(SR-15)를 이용하여 혼련분산된 중간원료를 분쇄하고 분급기를 이용하여 평균 입경 약 8㎛인 외첨처리 전단계의 토너 입자(untreated toner)를 얻었다.
실시예 2
고점도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저점도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혼련비율이 5 : 5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하게 혼련하였다.
실시예 3
고점도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저점도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혼련비율이 3 : 7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하게 혼련하였다.
실시예 4
고점도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저점도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혼련비율이 15 : 85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하게 혼련하였다.
실시예 5
고점도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저점도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혼련비율이 0 : 100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하게 혼련하였다.
<외첨처리된 토너의 제조>
상기 제조된 무외첨 토너를 이용하여 동일한 외첨(external additive)배합을 실시하여 토너를 완성하였다. 유무기 외첨제를 Henschel Mixer를 이용하여 날개 끝단의 선속을 20 내지 30m/sec으로 하여 5분간 처리하였다. 사용된 유무기 외첨제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제1 실리카 제2 실리카 산화티탄 멜라민 비즈
물질 구성 SiO2 SiO2 TiO2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사이즈 35 nm 7 nm 10 nm 0.4 nm
표면처리 디메틸폴리실록산 헥사메틸디실라잔 - -
사용량 (중량부) 1.3 1.0 0.2 0.2
화상평가 방법
화상평가는 L/L, H/H 환경에서의 Running 평가를 기준으로 정착성, Gloss, 내구성을 평가하였다.
- 평가 프린터 -
출력방식 : single pass 방식
process speed : 125 mm/sec
정착기 온도 : 180℃
<정착성 평가>
정착성 평가는 저온저습(10±1℃/10±2RH%) 환경하에서 평가 프린터의 컬러별 solid 화상을 taping 방식으로 측정하여 백분율을 나타내었다.
* 컬러는 Magenta 토너만을 기준으로 하였다.
* taping 방식 : 출력화상을 점착테이프(3M사의 Scotch 810 제품)를 붙이고 500g의 추로 3번 왕복한 후 180°의 각도로 떼어낸 뒤 붙이기 전의 화상농도에 대한 떼어낸 뒤의 화상농도를 %로 나타낸다.
<Gloss 평가>
Gloss는 저온저습(10±1℃/10±2RH%) 환경하에서 CMYK 혼합블랙 화상(출력화상)을 기준으로 glossi-meter의 60°각도에서의 값을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 정착 1주기(정착기의 1회전 정착화상) 화상을 기준으로 하여 좌, 중, 우의 위치에서 각각 측정하여 평균하였다.
* Glossi-meter는 BYK사의 micro-TRI-gloss를 이용하였다.
<내구성 평가>
내구성은 H/H 환경하에서 solid 화상의 화상빠짐 현상이 일어나는 시점을 기준으로 하여 평가하였다.
* H/H 환경 : 온도 30 ∼ 35℃, 상대습도 80 ∼ 85%
* 화상 : 컬러별 5% coverage 화상
* 화상빠짐은 관능검사의 일종으로 수명평가를 진행함에 따라 토너의 물성변화(대전량, 표면물성변화, 유동성 저하)로 인하여 solid 화상의 아래쪽 화상이 약해지는 것을 말한다.
* 평가기준
2,000매 이내에서 화상빠짐이 일어나는 경우 - NG
2,000매 내지 4,000매에서 화상빠짐이 일어나는 경우 - Acceptable
4,000매 이상에서 화상빠짐이 일어나지 않는 경우 - Good
화상평가 결과
화상평가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정착성 Gloss 내구성
실시예 1 55% 1.7 Good
실시예 2 62% 2.5 Good
실시예 3 74% 3.6 Good
실시예 4 85% 5.7 Good
실시예 5 92% 8.5 Acceptable
상기 표 4를 참조하면, 실시예 1에서 실시예 5로 갈수록 정착성은 개선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고점도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함량이 감소할수록 토너 조성물의 흐름성이 개선되어 표면의 평탄성이 향상되고 Gloss 수치가 커졌다. Gloss 수치가 크다는 것은 그만큼 표면 평활도가 우수하여 난반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화상광택도가 우수한 토너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는 모두 내구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실시예 5는 정착성 및 Gloss는 매우 우수하나, 내구성은 수용가능한 정도로 나타났다. 이는 실시예 1에서 실시예 5로 갈수록 정착성 및 화상광택면에서는 저점도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함량비율이 증가하게 되어 개선되지만, 내구성면에서는 고점도 폴리에스테르 결착 수지의 함량이 감소하게 되어 불리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상기 실시예에 의하여 고점도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저점도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함량비를 사용의도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하여 사용함으로써 내구성이 확보되면서도 화상광택도 및 정착성이 우수한 전자사진 현상제를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점도 결착 수지 및 저점도 결착 수지의 블렌딩 배합을 통하여 내구성이 확보되고, 화상광택도 및 정착성이 개선된 전자사진 현상제를 제조할 수 있다.

Claims (15)

  1. 결착 수지, 이형제, 착색제, 및 대전제어제를 포함하는 토너 모입자; 및
    상기 토너 입자의 표면에 첨가되는 외첨제;를 포함하는 비자성 1성분 전자사진 현상제에 있어서,
    상기 결착 수지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90,000 내지 140,000이고 겔 함량이 5% 미만인 고점도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중량 평균 분자량이 52,000 내지 65,000이고 겔 함량이 2% 미만인 저점도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현상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점도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산가(acid value)가 10 내지 20 mg-KOH/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현상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점도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산가는 5 내지 15 mg-KOH/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현상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점도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저점도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함량은 각각 10 내지 30중량%와 70 내지 9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현상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점도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Tg)는 63 내지 6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현상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점도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Tg)는 61 내지 6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현상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점도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다분산지수(Mw/Mm)는 36 내지 4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현상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점도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다분산지수(Mw/Mm)는 15 내지 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현상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제는 융점이 80 내지 90℃인 천연 왁스(carnauba wax)를 사용하고, 상기 왁스의 함량이 토너 모입자를 기준으로 하여 2 내지 5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현상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첨제는 입경의 크기가 상이한 제1 실리카 입자와 제2 실리카 입자, 산화티탄, 및 멜라민계 비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현상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리카 입자, 제2 실리카 입자, 산화티탄, 및 멜라민계 비즈는 함량이 토너 모입자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각각 1 내지 1.6 중량부, 0.8 내지 1.2 중량부, 0.1 내지 0.3 중량부, 및 0.1 내지 0.3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현상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실리카 입자 및 제2 실리카 입자의 평균 입경은 각각 30 내지 40㎚ 및 5 내지 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현상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실리카 입자 및 제2 실리카 입자를, 오가노실라잔(organosilazane) 및 폴리실록산(polysiloxane)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표면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현상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오가노실라잔(organosilazane)은 헥사메틸디실라잔(hexamethyldisilazane)이고, 상기 폴리실록산(polysiloxane)은 디메틸폴리실록산(dimethylpolysiloxan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용 현상제.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자사진용 현상제를 채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용 화상형성 장치.
KR1020060132020A 2006-12-21 2006-12-21 전자사진 현상제 KR1013044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2020A KR101304463B1 (ko) 2006-12-21 2006-12-21 전자사진 현상제
US11/798,564 US7871749B2 (en) 2006-12-21 2007-05-15 Electrophotographic developing agent
CNA2007101382323A CN101206420A (zh) 2006-12-21 2007-07-31 电子照相显影剂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2020A KR101304463B1 (ko) 2006-12-21 2006-12-21 전자사진 현상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8008A KR20080058008A (ko) 2008-06-25
KR101304463B1 true KR101304463B1 (ko) 2013-09-04

Family

ID=39543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2020A KR101304463B1 (ko) 2006-12-21 2006-12-21 전자사진 현상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871749B2 (ko)
KR (1) KR101304463B1 (ko)
CN (1) CN10120642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8365B1 (ko) * 2008-02-21 2013-02-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사진용 토너
US8551681B2 (en) * 2008-09-08 2013-10-08 Lexmark International, Inc. Emulsion aggregation toner formulation
KR20110091368A (ko) * 2010-02-05 2011-08-11 삼성정밀화학 주식회사 내블로킹성 및 유동성이 우수한 토너 및 그 제조방법
JP2013109142A (ja) * 2011-11-21 2013-06-06 Ricoh Co Ltd トナー並びに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方法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CN103543621A (zh) * 2013-09-28 2014-01-29 刘超 磁性碳粉
CN103543623A (zh) * 2013-09-28 2014-01-29 刘超 单组份显影剂
KR20150050652A (ko) * 2013-10-29 2015-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전 잠상 현상용 토너
JP6910805B2 (ja) * 2016-01-28 2021-07-28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09582A (ja) * 2003-04-02 2004-11-04 Kyocera Mita Corp 静電荷像現像用トナー
KR20060027521A (ko) * 2004-09-23 2006-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사진용 현상제
KR20060074092A (ko) * 2004-12-27 2006-07-03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향상된 정착성을 가지는 토너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56937A (en) * 1991-06-10 1992-10-20 Eastman Kodak Company Reduced viscosity polyester composition for toner powders
KR20020018931A (ko) * 2000-09-04 2002-03-09 오쿠무라 고조 정전하상 현상용 토너 및 그 제조 방법
US20050208403A1 (en) * 2004-03-18 2005-09-22 Hyo Shu Toner, developer including the toner, and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toner
JP4608393B2 (ja) * 2004-09-10 2011-01-12 株式会社リコー 電子写真用現像剤及び電子写真現像方法、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09582A (ja) * 2003-04-02 2004-11-04 Kyocera Mita Corp 静電荷像現像用トナー
KR20060027521A (ko) * 2004-09-23 2006-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사진용 현상제
KR20060074092A (ko) * 2004-12-27 2006-07-03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향상된 정착성을 가지는 토너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06420A (zh) 2008-06-25
KR20080058008A (ko) 2008-06-25
US20080153022A1 (en) 2008-06-26
US7871749B2 (en) 2011-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4463B1 (ko) 전자사진 현상제
KR100716979B1 (ko) 전자사진용 현상제
KR20090066088A (ko) 전자사진용 토너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용 화상 형성장치
KR20080057485A (ko) 전자사진용 토너
US20100015421A1 (en) Toner composition for printing on transparent and highly colored substrates
KR20090000506A (ko) 전자사진용 비자성 1성분 토너
KR100677155B1 (ko) 전자사진용 현상제
US20090155701A1 (en) Toner and process of preparing the same
US20050136354A1 (en) Toner and production process for the same
JP3721899B2 (ja) フルカラー画像形成方法
JP3716683B2 (ja) 非磁性1成分系ブラックトナー及び画像形成方法
JP2014041238A (ja) 静電荷像現像用トナー及び静電荷像現像用トナーの製造方法
KR100739791B1 (ko) 전자사진용 현상제의 제조방법
US20030224273A1 (en) Developer, developer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3636004B2 (ja) フルカラー画像形成方法
JP3666323B2 (ja) フルカラー画像形成方法
JP4239337B2 (ja) 電子写真用トナー、その製造方法、二成分系現像剤、及びカラー画像形成方法
KR20080065500A (ko) 전자사진 현상제
JP2000314983A (ja) 電子写真用フルカラートナー及びこれを用いる画像形成方法
JP2005189755A (ja) 静電像現像トナー
JP2001194822A (ja) 画像形成方法
JP4377569B2 (ja) 静電荷像現像用トナーを用いる画像形成方法
JP2001005213A (ja) 静電荷像現像用トナー及び二成分現像剤
KR20070006120A (ko) 전자사진용 현상제의 제조방법
JP2001005221A (ja) シアントナ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