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4185B1 - 연신 제품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연신 제품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4185B1
KR101304185B1 KR1020087019051A KR20087019051A KR101304185B1 KR 101304185 B1 KR101304185 B1 KR 101304185B1 KR 1020087019051 A KR1020087019051 A KR 1020087019051A KR 20087019051 A KR20087019051 A KR 20087019051A KR 101304185 B1 KR101304185 B1 KR 1013041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metal layer
layer
tie
p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9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8023A (ko
Inventor
지리 자벤키라
프란츠-요세프 리쎌만
랄프 빈터슈테인
라인홀트 프레에르만
라르스 호빙
Original Assignee
우포너 이노베이션 에이 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포너 이노베이션 에이 비 filed Critical 우포너 이노베이션 에이 비
Publication of KR20080098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80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4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41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23/00Extruding metal; Impact extrusion
    • B21C23/22Making metal-coated products; Making products from two or more metals
    • B21C23/24Covering indefinite lengths of metal or non-metal material with a metal coating
    • B21C23/26Applying metal coats to cables, e.g. to insulated electric cables
    • B21C23/30Applying metal coats to cables, e.g. to insulated electric cables on continuously-operating extrusion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23/00Extruding metal; Impact extrusion
    • B21C23/22Making metal-coated products; Making products from two or more metals
    • B21C23/24Covering indefinite lengths of metal or non-metal material with a metal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00Layered products having a general shape other than plane
    • B32B1/08Tubular pro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4Compound tubes, i.e. made of material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preceding groups
    • F16L9/147Compound tubes, i.e. made of material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preceding groups comprising only layers of metal and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10T29/49863Assembling or joining with prestressing of part
    • Y10T29/49865Assembling or joining with prestressing of part by temperature differential [e.g., shrink fi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52Polymer or resin containing [i.e., natural or synthetic]
    • Y10T428/1355Elemental metal containing [e.g., substrate, foil, film, coating,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53Composite having voids in a component [e.g., porous, cellular,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33Coated or with bond, impregnation or core
    • Y10T428/294Coated or with bond, impregnation or core including metal or compound thereof [excluding glass, ceramic and asbestos]
    • Y10T428/2942Plural coatings
    • Y10T428/2944Free metal in co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33Coated or with bond, impregnation or core
    • Y10T428/294Coated or with bond, impregnation or core including metal or compound thereof [excluding glass, ceramic and asbestos]
    • Y10T428/2958Metal or metal compound in coating

Abstract

우선 코어가 형성되고 코어의 외부 표면이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연신 제품이 형성된다. 이어서, 관형 금속 층이 압출되어, 층이 이음새가 없게 된다. 금속 층이 압출되는 경우, 금속 층과 코어 사이에 간격이 제공된다. 금속 층이 냉각된 후에, 금속 층의 직경이 감소하여 금속 층이 플라스틱 코어와 접촉하게 된다. 이어서, 금속이 어닐링되어 금속 층의 가요성이 증가한다.
연신, 파이프, 케이블

Description

연신 제품의 제조 방법 {Making an elongated product}
본 발명은, 플라스틱 외부 표면을 갖는 코어를 형성시키는 단계, 코어 위에서 이음새 없는(seamless) 금속 층을 압출하여 금속 층과 코어 사이에 간격(clearance)을 제공하는 단계, 금속 층을 냉각시키는 단계, 및 금속 층의 직경을 감소시켜 금속 층을 코어의 플라스틱 표면과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신 제품(elongated product)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추가로 본 발명은, 코어 압출용 플라스틱 압출기, 코어 외부의 이음새 없는 금속 층 압출용 금속 압출기(여기서, 금속 층은 내부 직경이 코어의 외부 직경보다 커서 금속 층은 코어와 접촉하지 않는다), 및 금속 층의 직경을 감소시켜 금속 층이 플라스틱 코어와 접촉하도록 하는 감소 수단을 포함하는 연신 제품 제조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추가로 본 발명은 플라스틱 외부 표면을 갖는 코어 및 코어 위에 압출되고 인발된 이음새 없는 관형 금속 층을 포함하는 연신 제품에 관한 것이다.
플라스틱 내부 층 및 외부 층을 갖고 내부 층과 외부 층 사이에 알루미늄 층을 갖는 다층 복합체 파이프가 널리 공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파이프는, 예를 들면, 내부 층을 압출하고 타이 재료(tie material)로 피복하여 제조한다. 이어서, 알루미늄 밴드가 내부 층 둘레로 권취되며, 용접하여 종방향 용접 이음새(seam)를 형성시킨다. 용접된 알루미늄 층을 계측하고, 내부 층을 알루미늄 층과 결합시키기 위해 타이 재료를 활성화시킨다. 이어서, 알루미늄 층을 타이 재료로 피복하고, 외부 플라스틱 층을 알루미늄 층 위에서 압출한다. 이와 같은 해결책은, 예를 들면, 유럽 특허 제0691193호에 기재되어 있다. 또한, 우선 알루미늄 밴드를 권취하여 알루미늄 밴드의 가장자리가 중첩되도록 파이프를 제조할 수도 있다. 이어서, 중첩된 영역을 초음파 용접 방법으로 종방향 용접한다. 가장자리가 중첩되지 않도록 당해 밴드를 권취하고 버트 용접(butt-welding)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어서, 형성된 알루미늄 파이프 내부면을 타이 재료 및 플라스틱 재료로 피복하여 내부 층을 형성시키고, 알루미늄 층의 외부면을 타이 재료 및 플라스틱으로 피복하여 외부 층을 형성시킨다. 두 가지 기술에서, 용접 이음새의 품질이 일정한 신뢰성 있는 방식으로 용접 이음새를 제조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용접 이음새의 불규칙성으로 인해, 파이프가 파괴되며, 파이프 말단을 늘리는 과정에서 용접 이음새가 매우 쉽게 파괴될 수 있다.
독일 특허 제2139388호에는 내부 층이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파이프의 제조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예를 들면, 알루미늄으로 제조된 이음새 없는 금속 층을 플라스틱 층의 외부 면 위에서 가압한다. 알루미늄을 플라스틱 코어 위에서 직접 가압한다. 가압된 알루미늄의 온도는 높아서, 쉽게 용융되며 플라스틱 코어를 손상시킨다.
또한, 유럽 특허 제0125788호에는 플라스틱 코어 외부면에서의 이음새 없는 금속 층의 압출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중심축(mandrel)은, 열 가압된 금속으로부터 코어를 보호하는 내부 냉각 쉬라우드(cooling shroud)와 함께 제공된다. 금속의 내부 직경이 코어의 외부 직경보가 커지도록 금속을 압출하여 냉각 쉬라우드의 일부가 개재되도록 하며 냉각 공기의 스트림을 유입시킨다. 코어와 가압된 금속 사이의 공간을 제거하여 코어가 관형 쉬쓰(sheath)에 단단히 클래딩(cladding)되도록 하기 위해, 압출 스테이지 다음에 금속 관이 인발(drawing down)되거나 늘어뜨려지는(swagging down) 단계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당해 단계는 당해 클래딩을 가공 경화하여(work-harden), 당해 제품은 조작이 어렵게 된다. 따라서, 제품의 경화가 증가하고 제품은 더욱 강성이 된다.
미국 특허 제5222284호에는 동축 케이블의 제조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절연체로 피복된 전도체로 이루어진 연신 코어를 연속적으로 압축하여 코어의 단면을 감소시킨다. 관형 금속 클래딩을 연신 코어의 외부면에서 연속적으로 압출하며, 동시에 당해 압축된 코어를 클래딩 속에 연속적으로 공급함으로써, 압축된 코어가 이의 본래 단면을 회복하여 클래딩을 충전시킨다. 따라서, 당해 코어는 금속이 여전히 뜨거운 동안 금속 클래딩을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절연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추가로, 금속 클래딩의 직경이 감소하지 않기 때문에, 금속의 경화가 방지된다. 그러나, 코어의 외부 층은, 압축력을 가함으로써 압축되어 이의 단면이 감소될 수 있는 절연 재료로부터 제조되어야 한다. 추가로, 당해 절연 재료는 점차 회복되어, 압축력이 줄어드는 경우에 코어가 이의 본래 직경으로 돌아오는 경향이 있어야 한다. 당해 해결책은 다소 복잡하다. 추가로, 코어와 금속 클래딩 사이의 접착을 확보하는 것은 다소 어렵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목적은 연신 제품의 제조를 위한 신규한 방법 및 장치 및 연신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당해 방법이 금속 층을 어닐링시켜 이의 가요성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로, 본 발명의 장치는, 금속 층을 어닐링시켜 금속 층의 가요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가열 수단을 추가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로, 본 발명의 제품은, 금속 층이 인발된 후에 금속 층의 가요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어닐링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연신 제품이 형성된다. 맨 먼저 코어가 형성되며, 코어의 외부 표면은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이어서, 관형 금속 층이 압출되어 층이 이음새가 없게 된다. 압출되는 경우, 금속 층의 내부 직경이 코어의 외부 직경보다 커서 금속 층은 코어와 접촉하지 않는다. 금속을 냉각시킨 후에, 금속 층의 직경이 감소하여 금속 층이 플라스틱 코어와 접촉한다. 이어서, 당해 금속을 어닐링하여 금속 층의 가요성을 증가시킨다. 그 결과, 연신 제품이 지나치게 강성이지 않아서 조작이 용이하다는 이점이 제공된다. 예를 들면, 파이프를 구부리는 것이 더욱 용이하고 파이프 말단을 늘리는 것이 확실하고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대체로, 당해 해결책은 다소 간단하고 제어가 매우 용이하다. 또한, 어닐링 온도에 걸쳐 금속 층을 어닐링시킴과 동시에, 플라스틱 코어와 금속 층 사이의 접착 재료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의해 더욱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도 1은 파이프 제조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다층 복합체 파이프의 단면의 말단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서, 본 발명은 단순화된 방식으로 명료하게 표현된다. 이들 도면에서,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참조 번호로 표기되어 있다.
도 1은 플라스틱 층들 사이에 이음새 없는 알루미늄 층을 갖는 다층 복합체 파이프의 형성 방법을 제시한다. 도 2는 당해 파이프의 한 가지 예를 보여준다.
우선, 파이프의 내부 층(2)을 제1 플라스틱 압출기(1)로 압출한다. 내부 층(2)은 파이프의 코어를 형성한다. 제1 플라스틱 압출기 다음에는 계측/냉각 용기(13)가 존재한다. 내부 층(2)을 타이 층으로 피복한다. 따라서, 형성된 파이프 속에, 내부 층(2)과 알루미늄 층(4) 사이에 내부 타이 층(10)이 존재한다. 또한, 내부 타이 층(10)과 내부 층(2)을 공압출할 수 있다. 내부 층(2)이, 예를 들면, 그래프트 관능화 말단 그룹으로 인하여 그 자체로 접착 특성이 양호한 고분자량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경우, 타이 층은 불필요하다.
내부 층은,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PE), 가교결합된 폴리에틸렌(PEX),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부틸렌-1(PB) 등으로 압출될 수 있다. 타이 층은, 예를 들면, 말레산 무수물 함유 폴리에틸렌(PE)을 함유할 수 있다.
내부 층(2)을 금속 압출 기계(3) 속으로 공급한다. 금속 압출 기계(3)는 순환식 원형 그루브(endless circumferencial groove)를 갖는 회전가능한 장착된 휠(rotatably mounted wheel)을 포함한다. 슈(shoe)가 그루브 및 장착 압형(mount tooling)의 폐쇄부에 적용되는데, 이는 그루브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차단시키도록 배치된 접합부(abutment) 및 다이 구조물로 인도하는 통로(passage)를 포함한다. 금속 공급원료가 회전 그루브 압출 휠 속에 삽입된다. 금속을 가열하고 마찰에 의해 가압한다. 당해 금속은, 통로를 통해 유동하고 다이 구조물을 통해 압출되는 조건하에 접합부를 결속한다. 다이 구조물은 이음새 없는 관형 금속 층을 생성하며, 내부 층(2)은 다이 구조물 중의 중공 중심축을 통과한다. 금속 층과 내부 층 사이에 충분한 간격이 제공되어, 내부 층의 열 손상이 방지된다. 압출된 금속은 알루미늄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알루미늄 층(4)이 형성된다. 금속은, 예를 들면, 구리 또는 마그네슘 또는 융점이 다소 낮은 몇몇 다른 금속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알루미늄을 다른 금속과 합금함으로써, 적합하게 낮은 융점이 달성될 수 있다.
압출 후에, 알루미늄 층(4)을 냉각시킨다. 이 때, 외부 냉각 수단을 사용할 수도 있다. 냉각 수단은, 예를 들면, 알루미늄 층(4) 위에 냉풍을 취입시키는 환형 냉각 노즐(14)일 수 있다. 압출된 알루미늄의 온도는 약 45O℃이고, 이는, 내부 층(2)의 표면과 접촉하기 전에 알루미늄 층(4)이 냉각되지 않는 경우, 내부 층(2)의 표면이 손상될 것임을 의미한다.
냉각시킨 후에, 알루미늄 층(4)은 형성 롤(forming roll)(5)을 통과한다. 형성 롤의 개수는, 형성 롤의 구조에 따라 2개, 3개 또는 4개 이상일 수 있다. 형성 롤(5)은 인발 공정을 수행하며, 이는 알루미늄 층(4)의 직경이 감소하여 알루미늄 층(4)이 플라스틱 내부 층(2)과 접촉하게 됨을 의미한다. 또한, 알루미늄 층의 직경의 감소는, 예를 들면, 원뿔형 수렴 다이 또는 또 다른 적합한 방법을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어서, 내부 타이 층(10)의 재료, 또는 타이 층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내부 층(2) 자체의 재료는 활성화되어, 내부 층(2)과 알루미늄 층(4)이 함께 접착된다. 내부 타이 층(10)의 재료는, 예를 들면, 가열함으로써 활성화될 수 있다. 내부 타이 층(10)의 재료는 미반응 발포제를 포함할 수 있다. 당해 재료를 가열하는 경우, 발포제가 반응하여, 당해 재료가 내부 층(2)과 알루미늄 층(4) 사이의 갭을 효과적으로 채운다. 따라서, 층들 사이의 공차가 매우 정확할 필요는 없다. 발포된 타이 재료가 독립 셀(closed cell)이 아닌 경우, 수집된 축합물을 위한 누출로(leakpath)가 형성되어, 플라스틱 층과 장벽 층 사이에서 습기 또는 몇 가지 다른 유체의 수집물이 제거될 수 있다.
이어서, 공정 라인에 가열 수단(6)이 존재한다. 바람직하게는, 가열 수단(6)은 알루미늄 층(4) 가열을 위한 유도 가열 수단이다. 알루미늄 층(4)은 가열 수단(6)에 의해 어닐링 온도로 가열된다. 어닐링 온도는, 예를 들면, 300℃를 초과할 수 있다.
어닐링에 의해 내부 층(2)의 재료가 손상되지 않아야 하기 때문에, 이의 온도 내성이 적절해야 한다. 당해 재료의 바람직한 예로는 가교결합된 폴리에틸렌(PEX),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플루오로에틸렌 프로필렌(FEP), 퍼플루오로 알콕시 알칸(PFA), 에틸렌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ETFE), 에틸렌클로르트리플루오르에틸렌(E-CTFE),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 및 폴리(비닐 플루오라이드)(PVF)가 있다.
타이 재료의 온도 내성은 적절해야 한다. 충분한 온도 내성은, 예를 들면, 관능성 말단 그룹을 기재 재료에 그래프팅함으로써 형성된 접착 특성을 갖는 비교적 고분자량의 재료로부터 타이 재료를 형성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타이 재료에 적합한 첨가제 또는 첨가제들을 첨가함으로써 타이 재료의 온도 내성이 향상될 수 있다. 플라스틱 파이프의 연결에 사용되는 소화 제제(fire protecting agent)가 적합한 첨가제이다. 이와 같은 첨가제의 예로는 숏컷(shortcut) 섬유 유리, 세라믹 단결정 섬유(whiskers fibre), 알루미늄 삼수화물(ATH), 어미큘라이트(ermiculite), 규산염, 인산염, 탄소 및 탄소질 제제가 있다.
타이 재료의 온도 내성이 양호한 경우, 이는 동시에 내부 층의 재료를 보호한다. 타이 재료는 알루미늄 층(4)이 어닐링될 때 반응하는, 아조디카본아미드와 같은 발포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발포된 타이 재료는 내부 층(2)을 열적으로 보호하는 절연 층을 형성한다.
알루미늄 층(4)의 어닐링은 파이프에 더욱 높은 가요성을 제공한다. 파이프의 강성은, 어닐링 온도 및 어닐링 시간의 선택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바닥 가열시에, 구조물 안쪽에 장착하는 데에 파이프가 사용되며, 이에 따라 높은 가요성이 필요한 경우, 어닐링 온도는 더욱 높고/높거나 어닐링 시간은 더욱 길다. 상응하게는, 예를 들면, 개조(renovation)시 표면 마운팅이 사용되며 이에 따라 더욱 강성인 파이프가 요구되는 경우, 어닐링 온도는 더욱 낮아지고/낮아지거나 어닐링 시간은 더욱 짧아진다. 알루미늄 층(4)의 어닐링 및 내부 타이 재료(10)의 활성화는 조합될 수 있어, 이들 단계는 둘 다 가열 수단(6)에 의해 수행된다.
가열 수단(6) 이후에, 알루미늄 층(4)의 외부 표면을 타이 층으로 피복하여, 외부 타이 층(11)이 형성된다. 이어서, 플라스틱 외부 층이 형성된다. 외부 타이 층(11)의 재료 및 외부 층(8)을 형성하는 플라스틱 재료를 제2 플라스틱 압출기(7)로 공압출시킬 수 있다. 외부 타이 층(11)의 재료는 내부 타이 층(10)용 재료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플라스틱 외부 층(8)용 재료는 플라스틱 내부 층(2)용 재료와 동일한 재료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파이프의 직경은 통상적으로 2 내지 2000mm의 범위이다. 따라서 벽 두께는 가변적이다. 접착 재료의 양은 통상적으로 되도록 적은 양으로 유지된다. 한 가지 예에서, 파이프의 외부 직경이 17mm인 경우, 내부 층(2)의 두께 및 외부 층(8)의 두께는 통상적으로 1mm에 가깝고, 알루미늄의 장벽 층(4)은 약 0.3mm이고, 접착 재료의 두께는 약 50㎛이다.
외부 층(8)의 압출 이후에, 파이프를 냉각 수단(9)에 의해 냉각시킨다. 냉각시킨 후에, 파이프를 드럼(12) 위에서 권취한다.
몇 가지 경우, 본 명세서에 기재된 성질들은 나머지 성질들과 무관하게 사용될 수 있다. 반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성질들은 각종 배합물의 형성을 위해 조합될 수 있다.
코어가 가교결합된 폴리에틸렌(PEX)과 같은 메모리 효과를 갖는 재료로 제조되는 경우, 금속 압출 기계(3)를 통과하기 전에, 코어의 외부 직경을 감소시키기 위한 감소 수단이 존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금속 층의 직경은 매우 많이 감소되지 않아야 하며, 이는 금속의 경화를 감소시킨다. 예를 들면, 코어가 가열 수단(6)에 의해 가열되는 경우, 코어는 본래의 직경으로 연장된다.
코어는, 금속 층의 압출과 온라인으로 동시에 압출될 필요는 없다. 코어는 별도의 공정에서 미리 제조할 수 있다. 코어는 별도의 공장에서 일정하게 제조하여 금속 압출 기계를 사용하는 공장으로 이송할 수 있다. 이송 및/또는 저장 이후에, 미리 제조된 코어를 금속 압출 기계(3)로 공급할 수 있다.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가에게, 기술 발전 과정에서, 본 발명의 기본 아이디어는 다수의 방식으로 수행할 수 있음이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 및 이의 양태들은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지만, 청구의 범위의 범주내에서 가변적일 수 있다. 따라서, 위에서 기재된 방법 및 장치로 형성된 연신 제품은, 위에서 기재된 바와 같은 파이프 대신, 예를 들면, 케이블일 수도 있다.

Claims (21)

  1. 플라스틱 외부 층을 갖는 코어를 형성시키는 단계,
    코어 위에서 이음새 없는(seamless) 금속 층을 압출하여 금속 층과 코어 사이에 간격(clearance)을 제공하는 단계,
    금속 층을 냉각시키는 단계, 및
    금속 층의 직경을 감소시켜 금속 층을 플라스틱 코어와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금속 층의 가요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금속 층을 어닐링시키기 위하여 어닐링 온도에서 금속 층을 가열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코어와 금속 층 사이에 타이 재료가 존재하며, 타이 재료가 금속층과 함께 어닐링 온도에서 가열됨으로써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신 제품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코어가, 파이프가 형성되도록 중공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이음새 없는 금속 층을 코어 위에서 압출하기 전에 코어의 외부 직경을 감소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코어를 가열함으로써, 코어의 외부 직경을 이의 본래 직경으로 연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어닐링 온도, 어닐링 시간 또는 이들 둘 다를 제어함으로써 제품의 강성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코어와 금속 층 사이에 타이 층(10)이 존재하며, 타이 층(10)의 재료가 발포제를 포함하여 타이 층(10)의 재료가 코어와 금속 층 사이의 갭을 채우도록 발포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내부 코어와 내부 코어 외부의 타이 층(10)을 공압출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외부 타이 층(11) 및 플라스틱의 외부 층(8)을 금속 층(4)의 외부에서 공압출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플라스틱 외부 층을 갖는 코어를 압출하기 위한 플라스틱 압출기(1),
    금속 층의 내부 직경이 코어의 외부 직경보다 커서 금속 층이 코어와 접촉하지 않는, 코어의 외부에서 이음새 없는 금속 층을 압출하기 위한 금속 압출 기계(3), 및
    금속 층의 직경을 감소시켜 금속 층을 코어의 플라스틱 외부 층과 접촉시키기 위한 감소 수단을 포함하며,
    금속 층의 가요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금속 층 어닐링용 가열 수단(6)을 추가로 포함하고,
    금속 층의 어닐링과 동시에 어닐링 온도에서 코어와 금속 층 사이에 존재하는 타이 재료를 활성화시키도록 가열 수단(6)을 배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연신 제품 제조용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코어와 코어 외부의 타이 층(10)을 공압출하도록 플라스틱 압출기(1)를 배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금속 층 외부의 외부 플라스틱 층(8) 및 타이 층(11)을 공압출하도록 배치된 제2 플라스틱 압출기(7)를 추가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코어가 금속 압출 기계(3)를 통과하기 전에 코어의 외부 직경을 감소시키기 위한 감소 수단을 추가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플라스틱 외부 표면을 갖는 코어, 및
    코어 위에서 압출 및 인발된 이음새 없는 관형 금속 층(4)을 포함하며,
    금속 층을 인발시킨 후에, 금속 층의 가요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금속 층을 어닐링시키고 동시에 코어와 금속 층 사이에 존재하는 타이 재료를 어닐링 온도에서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금속 층이 어닐링 온도에서 가열되는 연신 제품.
  14. 제13항에 있어서, 코어가, 제품이 파이프이도록 중공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플라스틱 내부 층(2), 금속 층, 외부 플라스틱 층(8), 내부 층(2)과 금속 층 사이의 내부 타이 층(10), 및 금속 층과 외부 플라스틱 층(8) 사이의 외부 타이 층(11)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16.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코어와 금속 층 사이에 발포된 타이 층(10)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17.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코어가 가교결합된 폴리에틸렌(PEX)으로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18.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이음새 없는 금속 층을 코어 위에서 압출하기 전에 코어의 외부 직경이 감소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19.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코어와 금속 층 사이에 타이 층(10)을 포함하며, 타이 층(10)의 재료가 코어를 열적으로 보호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20. 삭제
  21. 삭제
KR1020087019051A 2006-02-03 2007-02-02 연신 제품의 제조 방법 KR1013041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060101240 EP1815919A1 (en) 2006-02-03 2006-02-03 Making an elongated product
EP06101240.7 2006-02-03
PCT/FI2007/050060 WO2007088252A1 (en) 2006-02-03 2007-02-02 Making an elongated produc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8023A KR20080098023A (ko) 2008-11-06
KR101304185B1 true KR101304185B1 (ko) 2013-09-06

Family

ID=36570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9051A KR101304185B1 (ko) 2006-02-03 2007-02-02 연신 제품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8650737B2 (ko)
EP (2) EP1815919A1 (ko)
JP (1) JP5215193B2 (ko)
KR (1) KR101304185B1 (ko)
CN (1) CN101378858B (ko)
AU (1) AU2007211454B2 (ko)
CA (1) CA2640820C (ko)
EA (1) EA013854B1 (ko)
ES (1) ES2608887T3 (ko)
PL (1) PL1986798T3 (ko)
WO (1) WO20070882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54616B2 (ja) * 2004-09-13 2013-08-07 クロノ セラピューティク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生物学的同調性(biosynchronous)経皮的薬物送達
JP5612497B2 (ja) * 2011-01-28 2014-10-22 大日本塗料株式会社 押出被覆一体化された成形体の製造方法
FI20115183L (fi) * 2011-02-24 2012-08-25 Uponor Innovation Ab Putken tekeminen juomaveden johtamiseen
US9394441B2 (en) 2011-03-09 2016-07-19 3D Systems, Inc. Build material and applications thereof
US9157007B2 (en) 2011-03-09 2015-10-13 3D Systems, Incorporated Build material and applications thereof
DE102015114637B3 (de) 2015-09-02 2016-12-29 Inoex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eines mehrschichtigen Verbundrohres und Verbundrohr
DE202017103137U1 (de) * 2017-05-24 2018-08-30 Rehau Ag + Co Mehrschichtiges Rohr
US11229934B2 (en) * 2019-01-17 2022-01-2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s of forming fiber-reinforced composite parts and fiber-reinforced composite parts formed thereby
CA3102358C (en) * 2019-05-17 2022-08-30 Harmonic Drive Systems Inc. Speed ratio switching type strain wave geari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631127A (en) * 1947-01-20 1949-10-27 Standard Telephones Cables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electric cables
JPS54116070A (en) * 1975-08-02 1979-09-10 Arugemaine Shinseteishie G Ets Production of heat and water resistant plastic tube
JPH0327813A (ja) * 1989-06-23 1991-02-06 Furukawa Electric Co Ltd:The 複合線の連続製造方法
JPH05169574A (ja) * 1991-12-19 1993-07-09 Sekisui Chem Co Ltd 複合管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81918A (en) * 1965-01-26 1966-11-01 Copperweld Steel Co Continuous cladding system for bimetallic rod
AU1628070A (en) * 1970-06-11 1971-12-16 Stuart Fell & Company Pty. Limited Improvements relating to hoses and pipes
DE2139388A1 (de) * 1971-08-06 1973-02-22 Felten & Guilleaume Kabelwerk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nahtlosen metallrohres
JPS54129066A (en) * 1978-03-30 1979-10-06 Sekisui Chem Co Ltd Production of metal pipe lined with synthetic resin
GB8309875D0 (en) 1983-04-12 1983-05-18 Babcock Wire Equipment Continuous extrusion apparatus
GB9100317D0 (en) * 1991-01-08 1991-02-20 Holton Machinery Ltd Co-axial cable
ATE175621T1 (de) * 1994-07-05 1999-01-15 Hewing Gmbh Verfahren zum kontinuierlichen herstellen eines ein metallrohr und ein kunststoff-innenrohr aufweisenden verbundrohres
DE19610932A1 (de) * 1996-03-20 1997-09-25 Bayer Ag 2-Aryl-substituierte Pyridine
US6604552B2 (en) * 2000-02-07 2003-08-12 Jorg Hansen Metal-plastic multilayer pipe having form stability for plumbing and hydronic heating
CN1295206A (zh) * 2000-10-17 2001-05-16 甘国工 拉伸定向的有发泡层的高强度复合塑料管
FI112818B (fi) * 2001-06-06 2004-01-15 Uponor Innovation Ab Monikerroksinen putki ja menetelmä monikerroksisen putken valmistamiseksi
CN2644830Y (zh) * 2003-07-22 2004-09-29 马林远 多层复合管
GB2410308B (en) 2004-01-20 2008-06-25 Uponor Innovation Ab Multilayer pipe
US7563496B2 (en) * 2005-05-18 2009-07-21 Watson William R Composite pip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631127A (en) * 1947-01-20 1949-10-27 Standard Telephones Cables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electric cables
JPS54116070A (en) * 1975-08-02 1979-09-10 Arugemaine Shinseteishie G Ets Production of heat and water resistant plastic tube
JPH0327813A (ja) * 1989-06-23 1991-02-06 Furukawa Electric Co Ltd:The 複合線の連続製造方法
JPH05169574A (ja) * 1991-12-19 1993-07-09 Sekisui Chem Co Ltd 複合管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7211454A8 (en) 2008-09-25
EP1986798A1 (en) 2008-11-05
WO2007088252A1 (en) 2007-08-09
CA2640820A1 (en) 2007-08-09
EP1986798A4 (en) 2010-01-13
EA013854B1 (ru) 2010-08-30
JP5215193B2 (ja) 2013-06-19
CA2640820C (en) 2014-07-15
CN101378858A (zh) 2009-03-04
CN101378858B (zh) 2014-11-12
EP1986798B1 (en) 2016-11-02
ES2608887T3 (es) 2017-04-17
EP1815919A1 (en) 2007-08-08
EA200801616A1 (ru) 2009-02-27
JP2009525187A (ja) 2009-07-09
PL1986798T3 (pl) 2017-04-28
AU2007211454B2 (en) 2012-01-19
AU2007211454A1 (en) 2007-08-09
US8650737B2 (en) 2014-02-18
KR20080098023A (ko) 2008-11-06
US20100035006A1 (en) 2010-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4185B1 (ko) 연신 제품의 제조 방법
JP4023771B2 (ja) 同軸ケーブルおよびその製造法
US5515603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axial cable
JPS5948499B2 (ja) ラミネ−トシ−スの製造方法
US8453310B2 (en) Making an elongated product
US7446257B2 (en) Coaxial cable with fine wire inner conductor and method of manufacture
JP2000509132A (ja) プラスチックマテリアルの圧力チューブ
US20100065196A1 (e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a cylindrical, strand-shaped part
KR100796713B1 (ko) 내면 수지라이닝관의 제조방법
JP2995381B2 (ja) ポリエチレン被覆電熱線及びその製造方法
MXPA98010097A (en) Coax cab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