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3204B1 - 언어 학습을 위한 단어장 생성 방법 - Google Patents

언어 학습을 위한 단어장 생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3204B1
KR101303204B1 KR1020100124815A KR20100124815A KR101303204B1 KR 101303204 B1 KR101303204 B1 KR 101303204B1 KR 1020100124815 A KR1020100124815 A KR 1020100124815A KR 20100124815 A KR20100124815 A KR 20100124815A KR 101303204 B1 KR101303204 B1 KR 1013032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ds
word
word list
extracted word
vocabul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4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3718A (ko
Inventor
김정훈
김득화
김성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펀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펀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펀진
Priority to KR1020100124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3204B1/ko
Publication of KR20120063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37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3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32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09B5/065Combinations of audio and video presentations, e.g. videotapes, videodiscs, televis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언어를 학습하는 데에 필요한 단어장을 생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어장 생성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파일로부터 텍스트를 불러오면, 자동으로 단어를 추출하여 추출 단어 목록을 생성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학습 진도별 또는 학습 교재별로 맞춤형 단어장을 제공함으로써, 학습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이미 암기한 단어는 단어장에서 제외함으로써, 언어 학습의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단어와 연관된 이미지를 제공함으로써 연상학습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학습하고자 하는 텍스트에서 단어를 자동으로 발췌하여 단어장을 생성함으로써, 학습 준비 시간을 줄일 수 있고, 빠뜨리는 단어 없이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언어 학습을 위한 단어장 생성 방법{METHOD OF CREATE A VOCABULARY FOR LANGUAGE LEARNING}
본 발명은 언어를 학습하는 데에 필요한 단어장을 생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외국과의 교류가 늘어나고, 해외 여행이 보편화 되어, 외국어 구사능력의 필요성이 나날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각 나라의 언어를 학습한다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기 때문에, 다양한 학습 방법에 대한 연구가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국내에서는 영어 학습에 대한 열의가 상당하기 때문에 여러 방면에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언어를 학습하는 과정 중에서 가장 기본에 해당하는 것은 해당 언어의 단어와 숙어 및 문장을 학습하는 것이다. 외국어 학습자들은 외국어의 단어와 숙어 및 문장을 학습하기 위해 대개 책 형태의 사전, 교재 등을 이용한다.
그런데 이렇게 이미 만들어진 교재로 학습하는 경우 학습자가 이미 알고 있는 단어나 새로이 습득한 단어를 제외하지 못하고, 교재의 내용을 그대로 학습할 수밖에 없으므로 학습능률이 저하되고 흥미가 반감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언어 학습의 기본이 되는 단어 암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단어장을 만들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태양으로 언어 학습을 위한 단어장 생성 방법은 단어장 생성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그램 실행 단계; 상기 단어장 생성 프로그램으로 텍스트가 포함된 파일을 여는 파일 오픈 단계; 상기 파일로부터 텍스트를 불러오는 텍스트 불러오기 단계; 상기 불러온 텍스트로부터 단어를 선별하는 단어 선별 단계; 상기 선별된 단어를 추출하는 단어 추출 단계; 및 상기 추출한 단어를 포함하는 추출 단어 목록을 생성하는 추출 단어 목록 생성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언어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추출 단어 목록에 해당하는 단어를 찾아 단어장을 생성하는 단어장 생성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어장은 단어의 발음, 의미 및 예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추출 단어 목록은 단어의 의미를 연상시키는 이미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추출 단어 목록의 단어가 중복되는 경우, 하나만 남기고 나머지는 제거하는 중복 제거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추출 단어 목록 중 하나 이상의 단어에 대한 선택이 이루어지는 단어 선택 단계; 및 언어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단어를 찾아 단어장을 생성하는 단어장 생성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어장은 단어의 발음, 의미 및 예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추출 단어 목록 생성 단계는, 기존에 생성된 추출 단어 목록(이하 제1추출 단어 목록이라 한다)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추출 단어 목록 유무 판단 단계; 및 제1추출 단어 목록이 있으면, 제1추출 단어 목록과 중복되는 단어를 제외한 단어들을 포함하는 제2추출 단어 목록을 생성하는 제2추출 단어 목록 생성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추출 단어 목록의 단어는 알파벳순(여기서 알파벳은 로마자뿐만 아니라, 해당 언어의 문자 체계를 말한다)으로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추출 단어 목록의 단어는 품사별로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추출 단어 목록의 단어는 추출 빈도순 또는 선택 빈도순으로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학습 진도별 또는 학습 교재별로 맞춤형 단어장을 제공함으로써, 학습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이미 암기한 단어는 단어장에서 제외함으로써, 언어 학습의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단어와 연관된 이미지를 제공함으로써 연상학습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학습하고자 하는 텍스트에서 단어를 자동으로 발췌하여 단어장을 생성함으로써, 학습 준비 시간을 줄일 수 있고, 빠뜨리는 단어 없이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언어 학습을 위한 단어장 생성 방법을 위한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언어 학습을 위한 단어장 생성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언어 학습을 위한 단어장 생성 방법의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된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장치에 대한 설명>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어장 생성 장치(100)는 입력부(110), 출력부(120), 저장부(130), 통신부(140),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단어장 생성 장치(100)는 학습자가 언제 어디서나 학습할 수 있도록, 휴대할 수 있는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입력부(110)는 사용자의 입력을 받는다. 입력부(110)는 버튼이나, 터치스크린, 마이크 등의 형태일 수 있다. 학습자는 입력부(110)를 통해 파일 및 단어(510)를 선택할 수 있으며, 단어장(500)의 정렬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출력부(120)는 메뉴 및 입력 사항을 표시한다. 또한 텍스트(400), 추출 단어 목록 및 단어장(500)을 표시한다. 출력부(120)는 LCD 화면 또는 스피커 등의 형태이다. 따라서 학습자는 화면을 통해 단어(510)의 의미, 예문 등을 볼 수 있고, 스피커를 통해 단어(510)의 발음을 들을 수도 있다. 출력부(120)가 LCD화면으로 구성되는 경우, 화면이 두 부분으로 나뉘어, 한쪽에는 단어(510)가, 다른 쪽에는 단어(510)의 의미(언어 정보(520))가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저장부(130)는 단어장 생성 프로그램, 파일 및 생성된 단어장(500)을 저장한다. 언어 정보(520) 데이터베이스는 저장부(13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언어 정보(520)는 단어(510)의 발음, 의미, 예문, 어원, 파생어, 유의어, 반의어 및 단어(510)의 의미를 연상시킬 수 있는 이미지 등을 포함한다.
언어 정보 데이터 베이스가 장치(100)의 저장부(130)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해당 단어(510)의 언어 정보는 통신부(140)를 통해 인터넷 망(200)에 접속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통신부(140)는 단어장 생성 장치(100)가 인터넷 망(200)에 접속되도록 한다. 인터넷 망(200)에 접속하여 텍스트(400)를 복사 및 붙여넣기 함으로써 텍스트가 포함된 파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인터넷 망(200)에 접속함으로써 언어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얻을 수 있다.
제어부(150)는 출력부(120), 입력부(110), 저장부(130) 및 통신부(140)를 제어한다.
<방법에 대한 설명>
1. 프로그램 실행 단계( S210 )
단어장 생성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단어장 생성 프로그램으로 텍스트(400)가 포함된 파일을 실행하고, 텍스트(400)를 불러와 단어장(500)을 생성하는 모든 동작을 수행한다.
2. 파일 오픈 단계 및 텍스트 불러오기 단계( S220 ~ S230 )
먼저 프로그램이 텍스트를 포함한 파일을 연다. 열린 파일로부터 텍스트(400)를 불러온다. 또한 통신부(140)를 통하여 인터넷 망(200)에 접속하여 웹페이지나 다른 프로그램에서 복사한 텍스트(400)를 프로그램에 붙여넣으면, 그 텍스트(400)를 불러올 수 있다.
3. 단어 선별 및 추출 단계( S240 ~ S250 )
도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텍스트(400)에서 단어와 단어가 아닌 것을 구분한다. 예를 들어, 마침표, 쉼표 등의 문장부호나, 한국어의 경우에 조사는 단어가 아닌 것으로 분류한다. 이렇게 선별된 단어들을 추출한다.
4. 추출 단어 목록 생성 단계( S260 ~ S280 )
추출 단어 목록 생성 단계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단어 추출 단계에서 추출된 단어들로 제1단어 추출 목록을 생성한다(S260).
그 후, 기존에 생성된 단어 추출 목록(이하, 기존 단어 추출 목록이라 한다)이 있는지를 판단한다(S270). 판단 결과 기존 단어 추출 목록이 존재할 경우에는 제1단어 추출 목록과 기존 단어 추출 목록을 비교한다. 비교하여 중복되는 단어가 있으면, 제1단어 추출 목록에서 중복 단어를 제거한다(S275). 중복 단어가 제거된 제1단어 추출 목록을 바탕으로 제2단어 추출 목록을 생성한다.
기존 단어 추출 목록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바로 제2단어 추출 목록을 생성한다(S280).
이렇게 생성된 제2추출 단어 목록은 저장부(130)에 저장된다. 제2추출 단어 목록에는 단어가 텍스트(400)에서 쓰인 활용 형태 그대로 저장된다. 또한 한 단어가 텍스트(400) 상에 여러 번 기재되었을 경우 중복하여 제2추출 단어 목록에 저장된다.
5. 단어 기본형 변환 단계( S290 )
제2추출 단어 목록의 단어들을 기본형으로 변환하는 단계이다. 영어의 경우, 3인칭 동사, 진행형 동사, 과거형 동사, 과거분사형 동사는 동사원형으로, 비교급, 최상급은 원급으로, 복수 명사의 경우 단수 명사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goes는 go로, bigger는 big으로, books는 book으로 변환한다.
6. 중복 단어 제거 단계( S300 )
제2추출 단어 목록에서 단어가 중복되면, 하나만 남기고 나머지는 제거한다.
7. 단어 선택 단계( S310 )
학습자로부터 임의의 단어(510)를 선택받는 단계이다. 이때, 학습자는 자신이 기존에 암기하고 있던 단어나, 학습하지 않아도 되는 단어를 제2추출 단어 목록에서 삭제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에 학습한 단어일지라도 학습자가 암기하지 못한 단어(510)의 경우에는 선택에 의해 삭제하지 않을 수도 있다.
8. 단어장 생성 단계( S320 )
도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어 선택 단계 후에 남은 단어(510)들을 포함하는 단어장(500)을 생성한다. 이때, 단어들은 학습자의 선택에 의해, 알파벳순, 품사별, 추출 빈도순 또는 선택 빈도순으로 정렬될 수 있다. 여기서 알파벳은 로마자(라틴문자, 슬라브문자, 그리스문자)뿐만 아니라, 해당 언어의 문자 체계를 말한다.
단어장(500)에는 단어의 의미를 연상시키는 이미지(언어 정보(520))도 함께 삽입한다. 이미지(언어 정보(520))를 단어(510)와 함께 제공함으로써, 단어(510)를 인식하여 구체적인 이미지(언어 정보(520))를 떠올려 의미를 추리하기 용이하므로 학습에 도움이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학습자 개개인의 성향이나 학습 진도에 따른 맞춤 단어장(500)을 제공함으로써, 학습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단어(510)와 연관된 이미지(언어 정보(520))를 제공함으로써 연상학습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단어장 생성 장치
110 : 입력부 120 : 출력부
130 : 저장부 140 : 통신부
150 : 제어부
200 : 인터넷 망
400 : 텍스트
500 : 단어장
510 : 단어 520 : 언어정보

Claims (9)

  1. 단어장 생성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그램 실행 단계;
    상기 단어장 생성 프로그램으로 텍스트가 포함된 파일을 여는 파일 오픈 단계;
    상기 파일로부터 텍스트를 불러오는 텍스트 불러오기 단계;
    상기 불러온 텍스트로부터 단어를 선별하는 단어 선별 단계;
    상기 선별된 단어를 추출하는 단어 추출 단계;
    상기 추출한 단어 및 단어의 의미를 연상시키는 이미지를 포함하는 추출 단어 목록을 생성하는 추출 단어 목록 생성 단계; 및
    언어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추출 단어 목록에 해당하는 단어를 찾아 단어의 발음, 의미 및 예문을 포함하는 단어장을 생성하는 단어장 생성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추출 단어 목록 생성 단계는,
    기존에 생성된 추출 단어 목록(이하 제1추출 단어 목록이라 한다)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추출 단어 목록 유무 판단 단계; 및
    제1추출 단어 목록이 있으면, 제1추출 단어 목록과 중복되는 단어를 제외한 단어들을 포함하는 제2추출 단어 목록을 생성하는 제2추출 단어 목록 생성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학습을 위한 단어장 생성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단어 목록의 단어가 중복되는 경우, 하나만 남기고 나머지는 제거하는 중복 제거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학습을 위한 단어장 생성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단어 목록 중 하나 이상의 단어에 대한 선택이 이루어지는 단어 선택 단계; 및
    언어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단어를 찾아 단어장을 생성하는 단어장 생성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어장은 단어의 발음, 의미 및 예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학습을 위한 단어장 생성 방법
  6. 삭제
  7. 제1항, 제4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단어 목록의 단어는 알파벳순(여기서 알파벳은 로마자뿐만 아니라, 해당 언어의 문자 체계를 말한다)으로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학습을 위한 단어장 생성 방법
  8. 제1항, 제4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단어 목록의 단어는 품사별로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학습을 위한 단어장 생성 방법
  9. 제1항, 제4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단어 목록의 단어는 추출 빈도순 또는 선택 빈도순으로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학습을 위한 단어장 생성 방법
KR1020100124815A 2010-12-08 2010-12-08 언어 학습을 위한 단어장 생성 방법 KR1013032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4815A KR101303204B1 (ko) 2010-12-08 2010-12-08 언어 학습을 위한 단어장 생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4815A KR101303204B1 (ko) 2010-12-08 2010-12-08 언어 학습을 위한 단어장 생성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3718A KR20120063718A (ko) 2012-06-18
KR101303204B1 true KR101303204B1 (ko) 2013-09-03

Family

ID=46684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4815A KR101303204B1 (ko) 2010-12-08 2010-12-08 언어 학습을 위한 단어장 생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32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7098B1 (ko) * 2014-12-12 2016-08-10 네이버 주식회사 단어장에 단어를 추가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
KR102098283B1 (ko) * 2018-07-25 2020-05-15 주식회사 아이포트폴리오 언어 학습을 위한 자료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125341B1 (ko) * 2018-07-25 2020-06-22 주식회사 아이포트폴리오 언어 학습을 위한 문제 생성 시스템 및 방법
KR102073262B1 (ko) * 2019-06-07 2020-03-02 (주)이루미에듀테크 전자책 제작 방법 및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05558A (ja) * 1996-10-01 1998-04-24 Casio Comput Co Ltd 単語データ記憶装置、単語データ記憶方法及び記録媒体
JP2002072841A (ja) 2000-08-29 2002-03-12 Hitachi Ltd 単語学習システム
KR20080024250A (ko) * 2006-09-13 2008-03-18 이석호 빈출 순에 따른 사전형 단어집 구성 방법 및 사전형 단어집
KR20080100857A (ko) * 2006-12-20 2008-11-21 오주창 라운드방식을 이용한 단어반복학습 서비스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05558A (ja) * 1996-10-01 1998-04-24 Casio Comput Co Ltd 単語データ記憶装置、単語データ記憶方法及び記録媒体
JP2002072841A (ja) 2000-08-29 2002-03-12 Hitachi Ltd 単語学習システム
KR20080024250A (ko) * 2006-09-13 2008-03-18 이석호 빈출 순에 따른 사전형 단어집 구성 방법 및 사전형 단어집
KR20080100857A (ko) * 2006-12-20 2008-11-21 오주창 라운드방식을 이용한 단어반복학습 서비스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3718A (ko) 2012-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133148A1 (en) Intelligent content analysis and creation
JP6174774B1 (ja) 学習支援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08989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ontrol method therefor, and computer program
KR101936208B1 (ko) 현대 한국어에서 대표할 수 있는 발음으로 중국 전통 음운학 사호이론에 부합하는 중성자모체계와 한글 합자법을 활용한 중문표기 제공방법 및 시스템
Tarp et al.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in the use of internet as a corpus: The case of the online dictionaries of Spanish Valladolid-UVa
US20150254999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xtual vocabulary acquisition through association
KR101303204B1 (ko) 언어 학습을 위한 단어장 생성 방법
JPWO2016129515A1 (ja) 外国語学習用プログラム及び方法
US10373516B2 (en) Method for facilitating contextual vocabulary acquisition through association
JP2015036788A (ja) 外国語の発音学習装置
CN101122895A (zh) 一种计算机辅助外语阅读训练系统及其方法
Zuckermann et al. LARA in the service of revivalistics and documentary linguistics: Community engagement and endangered languages
JP2009122581A (ja) 単語学習装置、対話型学習システムおよび単語学習プログラム
KR20210020756A (ko) 유사 의미 어간을 이용한 한국어 학습 도구
WO2016147330A1 (ja) テキスト処理方法、及びテキスト処理システム
Wallis Using the eighteenth-century English phonology database (ECEP) as a teaching resource
JP6858913B1 (ja) 外国語学習装置、外国語学習システム、外国語学習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101831717B1 (ko) 중국어 학습방법 및 그 기록매체
Akhlaghi et al. Reading Assistance through LARA, the learning and Reading Assistant
KR101554619B1 (ko) 터치 스크린을 활용한 어학 학습 시스템 및 어학 학습 방법
JP2021135433A (ja) 学習機器、学習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Rytting et al. ArCADE: An Arabic corpus of auditory dictation errors
Shedeed et al. A new intelligent methodology for computer based assessment of short answer question based on a new enhanced Soundex phonetic algorithm for Arabic language
JP6156349B2 (ja) 音声画像出力制御装置、プログラム及び音声画像出力方法
JP4371080B2 (ja) 自然言語学習支援装置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