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2857B1 - 렌즈설계기준의 선택방법 - Google Patents

렌즈설계기준의 선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2857B1
KR101302857B1 KR1020107023155A KR20107023155A KR101302857B1 KR 101302857 B1 KR101302857 B1 KR 101302857B1 KR 1020107023155 A KR1020107023155 A KR 1020107023155A KR 20107023155 A KR20107023155 A KR 20107023155A KR 101302857 B1 KR101302857 B1 KR 1013028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ic design
corridor length
lens
distribution group
stand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3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4819A (ko
Inventor
다카시 하타나카
Original Assignee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24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48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2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28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24Methods of designing ophthalmic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24Methods of designing ophthalmic lenses
    • G02C7/027Methods of designing ophthalmic lenses considering wearer's parame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24Methods of designing ophthalmic lenses
    • G02C7/028Special mathematical design techniqu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6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bifocal; multifocal ; progressive
    • G02C7/061Spectacle lenses with progressively varying focal pow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누진굴절력렌즈의 원방시 영역과 근방시 영역과의 밸런스 및 코리도 길이를 사용자의 생활 상황, 안경이력, 사용 상황 이외의 요소를 가미하여 선택한다. 원방시와 근방시의 영역 구분이 다른 복수의 기본설계분포군과, 복수의 코리도 길이로 이루어지는 설계변동을 준비한다. 처방정보, 생활환경정보와, 프레임 형상정보 등에 유래하는 파라미터를 입력하고, 이애 근거하여 한 종류의 기본설계분포군과, 코리도 길이를 선택하며, 이것에 의해 렌즈설계기준을 구한다. 파라미터로서 좌우의 누진굴절력렌즈의 이면정점과 좌우의 안구각막정점과의 거리를 설정요소에 포함시킨다.

Description

렌즈설계기준의 선택방법{METHOD OF SELECTING LENS DESIGN STANDARD}
본 발명은 누진굴절력(累進屈折力)렌즈 쌍의 기본설계분포와 코리도(corridor) 길이(累進帶長)를 선정하여 렌즈설계기준을 구하는 렌즈설계기준의 선택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많은 안경렌즈 메이커에서 많은 종류의 누진굴절력렌즈가 설계되어 판매되고 있다. 그들 중에서도 가장 수요가 크고, 판매수량이 많으며, 널리 보급되고 있는 것은 밸런스 타입의 설계로 일컬어지는 형태의 누진굴절력렌즈이다. 이 밸런스 타입의 누진굴절력렌즈의 설계는 넓은 원방(遠方)시야를 가지며, 일반적인 사용에 대해서 충분한 만큼의 중간 내지 근방시야를 가지는 것이다. 많은 메이커에서 판매되고 있는 밸런스 타입의 설계의 대부분은, 어떠한 사용자에게도 착용하기 용이하고, 또, 어떠한 장면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의도되어 설계되고 있다.
그러나, 이 밸런스 타입의 설계의 누진굴절력렌즈이어도 완성된 안경의 보기가 불만족스러운 경우가 적지 않다. 밸런스 타입의 설계의 누진굴절력렌즈에 대한 불만의 내용은, 먼저, 원방시나 근방시일 때의 깨끗하게 보이는 시야영역의 넓이에 대한 불만을 들 수 있다.
한편, 누진굴절력렌즈의 원방시 영역으로부터 근방시 영역에 걸쳐 누진적으로 굴절력이 변화함으로써, 렌즈의 중간시 영역으로부터 근방시 영역에 걸친 측방부분의 상의 일그러짐이나 희미해짐이 발생한다. 이 일그러짐이나 희미해짐에 의해서, 시선이 움직였을 때의 상의 흔들림이 크면, 이것에 의해 야기되는 부자연스러운 보기에 대한 불만도 생긴다. 누진굴절력렌즈를 사용할 때의 불만으로서는, 상술의 두 가지가 주된 불만이라고 할 수 있다.
이들 두 가지의 불만은 서로 대극적(對極的)인 존재로서, 양자를 동시에 해결할 수 없다. 예를 들면, 원방시나 근방시일 때의 깨끗하게 보이는 시야영역의 넓이를 더 넓히도록 설계하면, 측방부분의 상의 일그러짐이나 희미해짐과 시선이 움직였을 때의 상의 흔들림도 증가한다는 관계에 있다. 따라서, 동시에 양자를 개선할 수 없다. 또, 사용자가 특별히 불만을 호소하지 않은 경우라도 충분히 만족하다고는 할 수 없다.
그래서, 독서나 데스크 워킹, 컴퓨터작업, 골프나 테니스 등의 스포츠라는 특별한 용도로 좁혀 전용으로 설계된 누진굴절력렌즈도 설계되어 판매되고 있지만, 이들은 설계된 용도 이외에 사용했을 경우에는 결점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독서나 데스크 워킹으로 좁혀 설계되는 누진굴절력렌즈에서는 근방시 영역을 보다 넓게 확보하도록 설계된다. 이 때문에, 중간시 영역으로부터 근방시 영역에 걸친 측방부분의 상의 일그러짐이나 희미해짐이 증가하고, 또 시선이 움직였을 때의 상의 흔들림이 증가한다. 또 원방시 영역의 깨끗하게 보이는 영역이 좁아지기 때문에, 실내에서 독서나 데스크 워킹에 사용하고 있을 때에는 쾌적하게 사용할 수 있지만, 이 렌즈의 안경으로 옥외에 나오면 문제가 생긴다. 즉, 원방시 영역이 좁기 때문에 먼 곳을 넓게 바라보기 어렵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중간시 영역으로부터 근방시 영역에 걸친 측방부분의 상의 일그러짐이나 희미해짐과 시선이 움직였을 때의 상의 흔들림이 강하기 때문에, 특히 사용자가 움직였을 때에 상의 일그러짐이나 희미해짐, 흔들림이 강해져 버리는 것이 결점이 된다.
또, 골프나 테니스 등의 옥외의 스포츠로 좁혀 설계되는 누진굴절력렌즈에서는 원방시 영역을 보다 넓게 확보하고, 중간시 영역으로부터 근방시 영역에 걸친 측방부분의 상의 일그러짐이나 희미해짐과 시선이 움직였을 때의 상의 흔들림을 감소하도록 설계된다. 이 때문에, 중간시야 영역으로부터 근방시야 영역 걸친 깨끗하게 보이는 영역이 좁게 억제되어, 옥외에서 스포츠를 하고 있을 때에는 쾌적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 된다. 한편, 이 렌즈의 안경으로 독서를 하거나 신문을 읽거나 데스크 워킹을 할 때에는 근방시 영역이 좁은 것이 결점이 된다.
이와 같이, 특별한 용도로 좁혀 설계된 전용 설계의 누진굴절력렌즈는 넓은 용도로 사용하는 것이 어려운 것이며, 따라서 바꿔 사용하는 안경을 위한 누진굴절력렌즈라는 것이 된다.
한편, 상술한 밸런스 타입의 설계의 누진굴절력렌즈는 독서나 데스크 워킹, 컴퓨터작업, 골프나 테니스 등의 스포츠라는 특별한 용도로 좁혀 전용으로 설계된 누진굴절력렌즈와는 달리, 개개의 용도에서의 성능에는 한계가 있고, 전용 설계의 누진굴절력렌즈에는 미치지 못한다. 그렇지만 이 밸런스 타입의 렌즈는 넓은 용도에 대해서 어느 정도 쾌적하게 사용 가능한 누진굴절력렌즈로서, 가장 수요가 많고, 판매수량도 많다. 이 때문에, 이 밸런스 타입의 누진굴절력렌즈에 대해서, 개개의 사용자가 느끼는 불만을 가능한 한 경감하고, 지금까지 이상으로 만족스러운 것으로 하는 것이 렌즈 메이커의 과제로 되고 있다.
이와 같은 과제에 대해, 복수의 설계가 준비된 누진굴절력렌즈 중에서 개개의 사용자에게 최적한 설계의 누진굴절력렌즈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이 기술은, 사용자의 연령, 착용환경 등으로서, 직업이나 취미에 대한 적성도를 미리 평가데이터로서 정해져 있는 복수의 누진굴절력렌즈의 타입 중에서 개개인의 사용자의 연령과 착용환경 등의 정보를 기본으로 하여, 개개의 사용자에게 가장 적합한 렌즈를 선택하는 것이다. 여기서, 사용자의 착용환경 등은 직업이나 취미에서 옥외에서의 사용이 많은 것인지, 옥내에서의 사용이 많은 것인지, 어느 쪽도 아닌 것인지 라는 것이며, 또, 누진굴절력렌즈의 사용 경험이 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이다.
또, 마찬가지로, 복수의 설계의 누진굴절력렌즈로부터 개개의 사용자에게 최적한 설계의 누진굴절력렌즈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특허문헌 2 참조).
이 기술은, 개개의 사용자마다 상세한 개인정보를 취득하고, 이것을 기초로 개개의 사용자에 대해서 최적으로 주문제작된 누진굴절력렌즈를 설계하여 제공하는 것이다. 이 기술에서는 누진굴절력렌즈의 설계의 기초가 되는 원용부(遠用部)와 근용부(近用部)의 명시역(明視域)을 결정하는 기초 파라미터가 수십 이상으로 수 많이 준비된다(도 5 참조). 그리고 그 중에서 하나의 기초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수단으로서, 사용자의 직업에 근거한 제1 기초 파라미터를 선택하고, 또한, 사용자의 취미의 정보에 근거한 제2 기초 파라미터를 선택하여, 개개의 사용자에게 적합한 누진굴절력렌즈의 기초 파라미터를 선택하도록 하고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개평3-206417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국 특표WO98/16862호 공보
상기 특허문헌 2에 개시된 기술에서 선택이 가능한 기초 파라미터의 종류는 중간중시(中間重視) 타입, 원용·중간중시 타입, 원용중시 타입, 중간·근용중시 타입, 원용·중간·근용 밸런스 타입, 근용중시 타입, 원용·근용중시 타입 등이며, 각각의 중시(重視) 정도와 코리도 길이가 조합된 수십 종류의 설계 타입이 준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특허문헌 2 중 도 6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의 다양한 생활상황에 대해 각각 적합한 기초 파라미터가 선택되고 있다.
즉 이 기술에서는 누진굴절력렌즈의 설계의 기초가 되는 원용부와 근용부의 명시역을 결정하는 기초 파라미터를 선택하는데 있어서 고려되는 정보는 사용자의 직업과 취미의 정보 및 사용자가 사용하고 있던 안경이력의 정보에 한정되어 있다.
한편, 하나의 밸런스 타입의 설계의 누진굴절력렌즈에서도 사용자에 따라서는 만족하는 경우와, 불만인 경우가 있으며, 불만인 경우에도 안경의 피팅 상태를 조정하는 것만으로 불만이 해소되어 만족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또 그 불만의 내용은 사용자의 원용도수가 +인지 -인지, 그 강약, 가입도수(加入度數)가 이전의 안경으로부터 얼마나 증감하고 있는지, 좌우의 렌즈의 도수차의 크기 등에 의해서도 변화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안경점과 사용자와의 커뮤니케이션에 의해서 얻어진 안경점 측의 전문가로서의 견해에 의해서, 사용자에게 적합한 누진굴절력렌즈의 기본 설계를 변화시킬 필요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이 때문에, 하나하나의 설계 타입의 누진굴절력렌즈의 기본설계분포의 선택방법을 고려했을 때에 사용자가 주로 어떠한 환경에서 어떠한 용도로 안경을 사용하고 있는지 라는 직업이나 취미 혹은 중요시하는 생활 모습 등의 정보 외에도, 맞추어 고려되어야 할 정보가 다수 있다고 생각된다.
또, 안경점에서는 밸런스 타입의 설계의 누진굴절력렌즈의 판매 경험은 많이 쌓여 있지만, 사용자의 다양한 생활정보에 근거하여 특별한 용도로 좁혀 설계된 기본설계분포의 누진굴절력렌즈는 일반적이지 않고, 판매한 경험도 적은 것이 현상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특별한 용도로 좁혀 설계된 누진굴절력렌즈를 판매하는 경우에는 완성된 안경을 사용자에게 인도한 후에 지금까지 없는 불만이 발생할 우려가 있어, 안경점 측에 강한 리스크가 발생해 버린다.
이상의 문제를 감안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의 직업이나 취미 등의 생활 상황, 안경이력뿐만이 아니라, 안경의 사용 상황, 원용도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고려함으로써, 원방시 영역 및 근방시 영역의 분포를 결정하는 기본설계분포군과, 코리도 길이로부터 보다 적절한 렌즈설계기준을 선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누진굴절력렌즈 쌍의 원방시 영역 및 근방시 영역의 분포를 결정하는 기본설계분포군과, 코리도 길이로부터 선택되는 렌즈설계기준의 선택방법으로서 이하의 공정을 가진다. 즉,
(1) 원방시 영역과 근방시 영역의 영역 구분이 다른 복수의 기본설계분포군과 다른 복수의 코리도 길이로 이루어지는 설계변동을 준비하는 공정
(2) 적어도 상기 누진굴절력렌즈 쌍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처방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생활환경정보와, 상기 누진굴절력렌즈 쌍을 보유지지하는 프레임 형상정보에 유래하는 파라미터를 입력하는 파라미터 설정공정
(3) 상기 입력된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기본설계분포군으로부터 한 종류의 기본설계분포군을 선택하는 공정
(4) 상기 입력된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하나의 코리도 길이를 선택하는 공정
(5) 상기 설계변동으로부터 선택된 상기 기본설계분포군 및 상기 코리도 길이로부터 하나의 렌즈설계기준을 선택하는 공정
이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파라미터 설정공정에서 상기 사용자의 처방정보와 상기 프레임 형상정보에 근거하여 산출되는 상기 사용자의 안경착용시에서의 좌우의 누진굴절력렌즈의 이면정점(裏面頂点)과 좌우의 안구각막정점(眼球角膜頂点)과의 거리를 상기 파라미터의 설정요소에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사람의 눈은 가까운 곳을 볼 때와 먼 곳을 볼 때에 안구를 선회시키고 있다. 이 선회에 의해서, 먼 곳을 볼 때의 시선과 가까운 곳을 볼 때의 시선에 각도가 발생한다. 근방시 영역은 가까운 곳을 볼 때의 사람의 시선과 렌즈의 교점 부근이며, 원방시 영역은 먼 곳을 볼 때의 사람의 시선과 렌즈의 교점 부근이다. 렌즈와 각 시선의 교점이 각 영역과 정합(整合)되어 있지 않으면, 사용자의 시감(視感)에 일그러짐이나 희미해짐을 발생시킨다. 그렇지만, 사람의 신체적 특징이나 프레임 형상에 의해서, 누진굴절력렌즈의 이면정점과 사용자의 각막정점의 거리에 차이가 발생한다. 이 거리가 짧을수록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근방시 영역과 원방시 영역은 근접하며, 이 거리가 길수록 양(兩) 영역은 멀어진다. 본 발명은 누진굴절력렌즈의 이면정점과 좌우의 안구각막정점과의 거리를 파라미터 설정요소에 조합함으로써, 사용자에 일그러짐이나 희미해짐의 인상을 주기 어려운 렌즈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본 발명은, 마찬가지로, 누진굴절력렌즈 쌍의 원방시 영역 및 근방시 영역의 분포를 결정하는 기본설계분포군과, 코리도 길이로부터 선택되는 렌즈설계기준의 선택방법으로서, 상기 (1) ~ (5)의 공정이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파라미터 설정공정에서 상기 사용자의 처방정보에 의한 원용도수를 상기 파라미터의 설정요소에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원용도수」란, 사람이 먼 곳을 보았을 때의 총합적인 굴절력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적어도 원용구면(遠用球面) 굴절력과 원주 굴절력(이른바 난시(亂視)도수)의 요소가 포함된다.
사람이 먼 곳을 보았을 경우, 초점이 망막보다도 각막 측(바로 앞쪽)에 있는 경우에는 원용도수는 부(負)(-)의 도수가 되고, 초점이 각막보다도 뒤쪽에 있는 경우에는 원용도수는 정(正)(+)의 도수가 된다. 초점의 위치를 하나의 기준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가까운 곳을 볼 때의 시선과 먼 곳을 볼 때의 시선이 형성하는 각도는 다르다. 그 각도는 원용도수가 부일수록 작아지고, 정일수록 커진다. 그에 수반하여, 근용시 영역과 원용시 영역은 원용도수가 부일수록 근접하고, 정일수록 떨어진다. 본 구성의 선택방법에 의하면, 원용도수가 파라미터의 설정요소에 조합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보다 시야의 명료함이 뛰어난 누진굴절력렌즈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누진굴절력렌즈 쌍의 원방시 영역 및 근방시 영역의 분포를 결정하는 기본설계분포군과, 코리도 길이로부터 선택되는 렌즈설계기준의 선택방법이다. 그리고 상기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방시 영역과 근방시 영역의 영역 구분이 다른 복수의 기본설계분포군과, 다른 복수의 코리도 길이로 이루어지는 설계변동을 준비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여기서 기본설계분포군이란, 원방시 영역과 근방시 영역과의 밸런스를 타입별로 하여 예시하는 것이고, 그 구체적인 수차분포는 사용자의 처방도수, 난시가 있는 경우는 원주 굴절력이나 그 축방향 등에 의해서 변화한다. 따라서, 한 종류의 수차분포로서 특정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기본설계분포군」이라고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이 기본설계분포군과, 복수의 코리도 길이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설계변동이 미리 준비된다.
본 발명에서는 또한, 상기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어도 사용자의 처방정보나 생활환경정보, 프레임 형상정보 등에 유래하는 파라미터를 설정한다. 이 파라미터로서, 본 발명에서 특히, 사용자의 처방정보와 프레임 형상정보에 근거하여 산출되는 사용자의 안경착용시에서의 좌우의 누진굴절력렌즈의 이면정점과 좌우의 안구각막정점과의 거리(정간(頂間) 거리)를 파라미터의 설정요소에 포함하는 것으로 하거나, 혹은, 사용자의 처방정보에 의한 원용도수를 파라미터의 설정요소에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선택방법에는 사용자의 생활환경정보에 유래하는 파라미터가 포함되어 있다. 생활환경정보란, 사용자의 일상생활에서 「어떠한 거리에 있는 것을 잘 볼지」의 판단기준이 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일의 스타일이 데스크 워킹이고, 취미를 독서로 하는 사람인 경우, 근방의 시야를 보다 명료하게 하는 설계분포군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사용자의 일의 스타일이 드라이버이며, 취미가 아웃도어라면, 먼 곳의 시야를 보다 명료하게 하는 설계분포군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선택방법에 의하면, 사용자의 생활환경정보가 파라미터의 설정요소에 조합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라이프스타일에 있어서 보다 명료한 시야를 얻을 수 있는 누진굴절력렌즈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선택방법에는 프레임 형상정보에 유래하는 파라미터가 포함되어 있다. 누진굴절력렌즈는 근용시 영역과 원용시 영역의 두 개의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누진굴절력렌즈는 그 두 개의 영역이 각각 프레임 내의 적절한 위치에 수용됨으로써 그 효과가 발휘된다. 따라서, 프레임에 그 두 개의 영역이 적절히 들어가도록 렌즈가 광학 설계되어 있지 않으면, 사용자에 명료한 시계(視界)를 느끼게 할 수 없다. 그렇지만, 안경의 프레임에는 다종 다양한 형상의 디자인이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자신의 코의 높이 등의 신체적 특징, 개인적인 선호 및 그때그때의 유행을 고려하여 프레임을 선택한다. 안경 프레임의 디자인은 사용자의 미관이나 취향이 더해지는 것으로, 사용자의 안경에 대한 만족감에 영향을 주는 요소이다.
본 선택방법은 사용자가 선택한 프레임 형상정보의 파라미터가 포함된 조건에 근거하여 누진굴절력렌즈의 설계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근용시 및 원용시 중 어느 하나로도 시력교정능력이 부여된 안경을 프레임 형상의 제약을 실질적으로 받지 않고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이들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상기 (3) 및 (4)의 공정에서 한 종류의 기본설계분포군과 하나의 코리도 길이를 선택하고, (5)의 공정에서 선택한 기본설계분포군 및 코리도 길이로부터 하나의 렌즈설계기준을 선택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누진굴절력렌즈 쌍의 원방시 영역 및 근방시 영역의 분포와, 코리도 길이로부터 선택되는 렌즈설계기준을 선택함에 있어서, 미리 복수의 기본설계분포군과 복수의 코리도 길이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설계변동을 준비한다. 그리고, 그 중에서 하나의 설계변동을 선택할 때의 파라미터로서 사용자의 안경착용시에서의 정간 거리 혹은 원용도수를 파라미터의 설정요소에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단순하게 사용자의 직업이나 생활환경, 안경이력 등의 정보로부터 특정의 원방시의 명시역의 폭이나 코리도 길이를 결정하여, 구체적인 수차분포를 특정해 버리는 것이 아니라, 복수의 설계변동을 준비하고, 그 중에서 최적의 설계변동을 선택하는 지표로서, 생활환경이나 직업 등의 정보에 더하여, 안경착용상태에서의 정간 거리 혹은 원용도수도 파라미터에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이 선택한 설계변동에 근거하여, 다시 처방도수 등에 의해서 사용자에 맞추어 최종적인 광학설계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정간 거리나 원용도수라고 하는 착용상태, 처방에 유래하는 정보도 설계변동으로부터 렌즈설계기준을 선택하기 위한 지표로 함으로써, 사용자에 있어서 보다 총합적으로 밸런스가 맞춰진 원방시 영역 및 근방시 영역의 분포를 가지는 누진굴절력렌즈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안경의 사용상황, 원용도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고려하여 기본설계분포 및 코리도 길이로부터 선택함으로써, 원방시 영역 및 근방시 영역의 분포를 결정하는 기본설계분포군과, 코리도 길이로부터 보다 적절한 렌즈설계기준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렌즈설계기준의 선택방법에서의 기본설계분포군 및 코리도 길이에 대응하는 설계기준예의 경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렌즈설계기준의 선택방법에서의 파라미터의 입력공정의 플로우차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프레임 형상에 유래하는 파라미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프레임 형상에 유래하는 파라미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프레임 형상에 유래하는 파라미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렌즈설계기준의 선택방법에서의 기본설계 선택포인트 선정공정의 플로우차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렌즈설계기준의 선택방법에서의 코리도 길이 선정공정의 플로우차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의 예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예에 관한 렌즈설계기준의 선택방법을 이하의 순서로 설명한다.
[1] 설계변동의 설정공정
[2] 기본설계분포군 및 코리도 길이의 파라미터 설정공정
[3] 기본설계분포군의 선정공정
[4] 코리도 길이의 선정공정
[5] 렌즈설계기준의 선택공정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란, 설계하는 누진굴절력렌즈를 사용하는 사용자이며, 설계하는 누진굴절력렌즈를 시력의 교정에 사용하는 의료기구로서 안과 등에서 그 처방도수가 제시되는 환자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 처방정보란, 사용자(환자를 포함)의 시력 외에, 사용자의 신체적 특징, 예를 들면, 동공간의 거리 등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 정보란, 프레임의 형상 외에, 프레임의 가로방향에 관한 휘어짐각, 눈에 대한 상하 방향의 경사각(앞쪽으로 경사각) 등이 포함되어 있다.
[1] 설계변동의 설정공정
본 예에서는 옥내용이나 옥외용 등의 특정 용도가 아니고, 일반적인 용도를 위해서 설계된 이른바 밸런스 타입의 누진굴절력렌즈를 제공하기 위한 렌즈설계기준의 선택방법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밸런스 타입의 누진굴절력렌즈의 설계변동으로서, 도 1의 (a) ~ (i)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3종류의 코리도 길이와, 각각의 코리도 길이에 대해서 약간 원방시 영역과 근방시 영역과의 밸런스가 다른 3종류의 기본설계분포군을 준비한다.
첫 번째의 기본설계분포군은 이 렌즈의 설계의 중심적인 존재인 표준 타입의 기본설계분포군이며, 밸런스 타입 중에서도 특히 표준이 되는 기본설계분포군이다. 이 기본설계분포군의 각 코리도 길이에 대응하는 기본설계분포예를 도 1 중의 (b), (e) 및 (h)에 나타낸다. 또한, 이하의 각 기본설계분포예에서 좌측은 비점수차(非点收差), 우측은 평균도수의 분포를 나타낸다.
두 번째의 기본설계분포군은 누진굴절력렌즈의 원방시 영역에 대해서 수차에 의한 일그러짐이 적어 깨끗하게 보이는 범위가 특히 넓을 필요가 없는 조건을 구비한 사용자를 위해서, 원방시 영역의 깨끗하게 보이는 영역을 표준의 기본설계분포군보다도 약간 좁히는 타입이다. 이 경우의 각 코리도 길이에 대응하는 기본설계분포예를 도 1 중의 (a), (d) 및 (g)에 나타낸다. 이와 같은 설계분포로 함으로써, 중간시 영역으로부터 근방시 영역에 걸친 측방부분의 상의 일그러짐이나 희미해짐과, 시선이 움직였을 때의 상의 흔들림 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즉, 중간시로부터 근방시 영역을 약간 넓게 한 약간 소프트 타입의 기본설계분포군이 된다.
세 번째의 기본설계분포군은 원방시 영역의 주변부의 약간 상의 희미해짐이 신경쓰이기 쉬운 조건을 구비한 사용자를 위해서, 중간시 영역으로부터 근방시 영역의 일그러짐이 적어 깨끗하게 보이는 영역을 약간 좁히는 타입이다. 이 경우의 각 코리도 길이에 대응하는 기본설계분포예를 도 1 중의 (c), (f) 및 (i)에 나타낸다. 이와 같은 설계분포로 함으로써, 중간시 영역으로부터 근방시 영역에 걸친 측방부분의 상의 일그러짐이나 희미해짐과, 시선이 움직였을 때의 상의 흔들림 등은 약간 증가하지만, 원방시 영역의 깨끗하게 보이는 영역이 약간 넓어진다. 즉, 원방시의 깨끗하게 보이는 영역을 표준 타입보다도 넓게 확보한 약간 클리어 타입의 기본설계분포군이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기본설계분포군이란, 하나의 확정된 수차분포 및 평균도수분포가 아니고, 사용자의 처방도수, 즉 원용구면 굴절력이나 원주 굴절력, 난시의 축방향 등에 의해서, 실제의 수차분포는 적절히 변경된다. 즉, 도 1 중의 (a) ~ (i)로서 나타내는 기본설계분포군의 각각을 바탕으로 사용자 각개의 처방도수에 근거하여 하나의 수차분포 및 평균도수분포가 설계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 내에서 도 1의 (a) ~ (i)에 예시하는 수차분포 및 평균도수분포 각각을 「기본설계분포군」이라고 적는다.
도 1의 (a) ~ (i)에 나타내는 각각의 기본설계분포군의 기본 수차분포 및 기본 평균도수분포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코리도 길이에 대해서 준비되어 있는 기본설계분포군의 차이는 표준 타입을 중심으로 하여 극히 약간의 차이이다. 이들 기본설계분포군의 차이는 어느 타입의 설계를 선택했다고 해도 대체로 밸런스 타입의 설계라고 생각해도 되기 때문에, 안경점 측에서 리스크를 느낄 필요가 대부분 없어진다.
다음으로, 이들 3종류의 코리도 길이와 3종류의 기본설계분포로 이루어지는 9종류의 기본설계분포의 변경 중에서 누진굴절력렌즈를 구입하는 개인에게 가장 적합한 하나의 설계기준을 선택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2] 기본설계분포군 및 코리도 길이의 파라미터 설정공정
도 2는 파라미터의 입력공정의 플로우차트의 일례이다. 도 2에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에 근거하여, 기본설계분포군 및 코리도 길이의 파라미터의 입력공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좌우의 원용구면 굴절력 SPH, 원주 굴절력 CYL, 난시의 축방향 AX 및 가입도수 ADD를 입력한다(스텝 S1).
이 스텝 S1에서는 처방정보로서 시력에 관한 정보를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력한다. 즉, 오른쪽 렌즈의 원용구면 굴절력 SPHR, 원주 굴절력 CYLR, 난시의 축방향 AXR, 가입도수 ADDR와, 왼쪽 렌즈의 원용구면 굴절력 SPHL, 원주 굴절력 CYLL, 난시의 축방향 AXL 및 가입도수 ADDL를 입력한다.
또한, 이 때에 사용자의 전회(前回) 사용한 안경렌즈의 처방정보를 알 수 있는 경우에는 그 전의 안경의 좌우의 원용구면 굴절력 SPHp, 원주 굴절력 CYLp, 난시의 축방향 AXp 및 가입도수 ADDp를 입력한다(스텝 S1). 오른쪽 렌즈의 원용구면 굴절력 SPHpR, 원주 굴절력 CYLpR, 난시의 축방향 AXpR, 가입도수 ADDpR와, 왼쪽 렌즈의 원용구면 굴절력 SPHpL, 원주 굴절력 CYLpL, 난시의 축방향 AXpL 및 가입도수 ADDpL를 입력한다.
다음으로, 사용자의 전회 사용한 안경렌즈가 누진굴절력렌즈인 경우, 그 가입도수와 이번 가입도수와의 차이 ΔADD를 입력한다(스텝 S2).
이 스텝 S2에서는 사용자가 현재까지 사용하고 있던 안경이 누진굴절력렌즈인 경우에는 전회 사용한 누진굴절력렌즈의 가입도수를 기준으로 하여, 새로 작성하는 누진굴절력렌즈의 좌우 각각의 가입도수의 차이 ΔADDR와 ΔADDL을 입력한다. 또한, 표 1 중의 수치는 일례이다.
Figure 112010066803996-pct00001
이어서, 프레임 형상에 유래하는 파라미터로서, 안경 프레임의 가로방향 사이즈 Asz, 세로방향 사이즈 Bsz, 좌우 림(rim)간 거리 DBL를 입력한다(스텝 S3).
또, 렌즈의 앞쪽 경사각 PA, 좌우 렌즈의 면끼리가 이루는 각(휘어짐각) FFFA를 입력한다(스텝 S4).
상기 스텝 S3 ~ S6에서 입력되는 입력데이터에 대해서 도 3 ~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프레임 형상에 유래하는 정보의 설명도이다. 도 3에서는 박싱 시스템(독일국가규격)에 따른 프레임의 림 형상의 사이즈를 나타내고 있고, 좌우의 눈(1L 및 1R)에 대응하는 좌우의 누진굴절력렌즈(2L 및 2R)와 이것을 보유지지하는 프레임, 즉 좌우의 림(3L 및 3R)을 나타낸다.
양(兩) 림의 가로방향 사이즈를 Asz, 세로방향 사이즈를 Bsz로 하고, 좌우의 림(3L 및 3R)간의 거리를 DBL로 한다. 또 좌우의 림간의 중심선을 일점쇄선 C로 나타내며, 양 림(3L 및 3R)의 상하 방향의 중심선을 CH로 한다. 그리고 중심선 C로부터 좌우의 눈의 동공까지의 가로방향의 거리를 각각 PDL 및 PDR로 한다. 또, 중심선 CH로부터 좌우의 동공까지의 높이를 각각 EPL 및 EPR로 한다. 또한, 오른쪽의 림(1R)의 상하 방향의 중심선을 일점쇄선 CVR, 왼쪽의 림(1L)의 상하 방향의 중심선을 CVL로서 나타낸다.
도 4는 정간 거리 및 앞쪽 경사각의 설명도이다. 도 4에서는 눈(1) 및 누진굴절력렌즈(2)와 이것을 보유지지하는 프레임(3)의 단면을 나타낸다. 여기서 정간 거리 VD는 렌즈(2)가 프레임(3)에 보유지지되어 착용된 상태의 좌우 렌즈(2)의 이면정점과 좌우의 안구의 각막정점과의 거리이다. 또 사용자의 시선이 렌즈(2)의 프리즘 측정 기준점 PP로 향하는 방향과, 이 프리즘 측정 기준점 PP에서 렌즈(2)의 외면에 세운 법선과의 이루는 각도를 앞쪽 경사각 PA로 한다.
도 5는 렌즈의 휘어짐각의 설명도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3)에 보유지지된 왼쪽 렌즈(2L)와 오른쪽 렌즈(2R) 각각의 프리즘 측정 기준점에서의 접선이 이루는 각도를 휘어짐각 FFFA로 한다. 스텝 S4에서는 이 휘어짐각 FFFA가 입력된다.
이들 프레임 형상에 유래하는 정보의 일례를 하기의 표 2 및 표 3에 나타내며, 착용 및 레이아웃 정보의 일례를 하기의 표 4에 나타낸다.
Figure 112010066803996-pct00002
Figure 112010066803996-pct00003
Figure 112010066803996-pct00004
다음으로, 안경을 착용했을 때의 좌우 렌즈의 이면정점과 안구각막정점과의 거리 VDR, VDL를 입력한다(스텝 S5). 또, 좌우의 눈동자의 거리 PD, 렌즈의 수평중심선으로부터의 눈동자의 높이 EP를 입력한다(스텝 S6).
다음으로, 사용자의 기(旣) 사용 안경의 렌즈종류의 타입(누진인지 다초점인지 그 외인지)으로부터 타입 정보 KBtp를 입력한다(스텝 S7).
여기서, 사용자의 기 사용 안경, 특히 전회 사용 안경의 렌즈의 타입 정보 KBtp에 대해서 설명한다. 표 5는 전회 사용하고 있던 안경렌즈가 누진굴절력렌즈(PAL : Progressive Addition Lens)인지, 다초점 렌즈(BF : Bi Focal)인지, 그 이외의 렌즈(Other)인지를 수치로 구별하여 입력한 일례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지금까지 사용하고 있던 안경렌즈가 누진굴절력렌즈(PAL)인 경우에는 「1」, 다초점 렌즈에서 2초점 렌즈인 경우는 「2」, 그 외의 렌즈인 경우는 「0」으로 하는 예이다.
Figure 112010066803996-pct00005
다음으로, 전회 사용한 안경렌즈가 누진굴절력인 경우, 전회 사용한 누진굴절력렌즈의 설계 타입(소프트 타입인지 클리어 타입인지 표준 타입인지) DEStp, 또 코리도 길이 타입 CORtp를 입력한다(스텝 S8). 그 일례를 표 6에 나타낸다.
설계 타입이 상술의 도 1 중의 기본설계분포예 (a), (d) 및 (g)에 나타내는 소프트 타입인 경우는 「1」, 도 1 중의 기본설계분포예 (b), (e) 및 (h)에 나타내는 표준 타입인 경우는 「2」, 도 1 중의 기본설계분포예 (c), (f) 및 (i)에 나타내는 클리어 타입인 경우는 「3」으로 하는 예이다. 그 외의 경우는 「0」으로 하고 있다.
또, 코리도 길이의 타입은, 예를 들면 코리도 길이가 12㎜ 이하인 경우를 짧은 코리도 길이로서 「1」을, 12㎜를 넘고 13㎜ 이하인 경우는 중간 짧은 코리도 길이로서 「2」를, 14㎜를 넘고 16㎜ 이하인 경우는 중간 코리도 길이로서 「3」, 또한 16㎜ 이상의 코리도 길이인 경우를 긴 코리도 길이로서 「4」로 하는 예이다.
Figure 112010066803996-pct00006
또한, 상술한 전회 사용한 누진굴절력렌즈의 설계 타입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표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회사의 제품명과 코리도 길이에 대응하여 타입을 미리 특정한 리스트를 준비해도 된다. 표 7의 예에서는 일례로서 A사, B사 및 C사의 누진굴절력렌즈의 제품의 타입과 코리도 길이를 입력하는 예이다. 누진굴절력렌즈의 제품명과 코리도 길이는 안경점의 판매 이력이나 렌즈에 붙어 있는 영구(永久) 마크로부터 조사 등을 하여 구할 수 있다.
Figure 112010066803996-pct00007
표 7에 나타내는 데이터 리스트를 작성해 둠으로써, 리스트에 나타나 있는 설계 타입 DEStp와, 코리도 길이 타입 CORtp를 읽어내어, 표 6에서 설명한 설계 타입 DEStp와 코리도 길이 타입 CORtp로서 간단하게 입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전회 사용한 안경렌즈가 누진굴절력렌즈인 경우에, 그 렌즈에 대한 만족도 SAT를 입력한다(스텝 S9). 이 스텝 S9에서 입력되는 만족도 SAT의 예를 표 8에 나타낸다. 표 8은 전회 사용한 누진굴절력렌즈에 대한 만족도 SAT를 1 ~ 5의 수치로 나타낸 예이다. 이 누진굴절력렌즈에 대한 만족도는 안경점 측이 사용자 개인의 의견을 청취하여 구할 수 있다.
Figure 112010066803996-pct00008
다음으로, 각 생활 모습에 대한 중요도 A1 ~ A6, B1 ~ B6, C1 ~ C6를 입력한다(스텝 S10). 이 스텝 S10에서는 사용자의 직업이나 취미 등으로부터 여러가지 생활 모습에 대한 중요도를 입력한다. 이 예를 표 9 ~ 표 11에 나타낸다.
Figure 112010066803996-pct00009
Figure 112010066803996-pct00010
Figure 112010066803996-pct00011
표 9에서 도 1 중의 기본설계분포예 (a), (d) 및 (g)에 나타내는 소프트 타입의 기본설계분포군에 바람직한 각종 생활 모습에 대한 중요도를 입력한 예를 나타낸다. 생활 모습으로서 TV시청, 컴퓨터, 악기연주, 요리, 가드닝(gardening) 및 댄스·휘트니스 등의 항목을 들 수 있다. 또 표 10에서는 도 1 중의 기본설계분포예 (b), (e) 및 (h)에 나타내는 표준 타입의 기본설계분포군에 바람직한 각종 생활 모습에 대한 중요도를 입력한 예를 나타낸다. 생활 모습으로서는 쇼핑, 회식·파티, 여행·리조트, 풍경사진촬영, 런닝, 워킹 등의 항목을 들 수 있다. 표 11에서는 도 1 중의 기본설계분포예 (c), (f) 및 (i)에 나타내는 클리어 타입의 기본설계분포군에 바람직한 각종 생활 모습에 대응하는 중요도를 입력한 예를 나타낸다. 생활 모습으로서는 드라이브, 바이크·투어링, 경기장 관전, 골프, 등산·하이킹, 극장·영화감상 등의 항목을 들 수 있다. 또한, 생활 모습의 예로서는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그 외 여러 가지의 생활 모습을 항목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사용자의 성별이나 연대 등에 의해서, 복수의 타입의 항목표를 준비해도 된다.
표 9 ~ 표 11에서는 각 생활 모습에 대한 입력란에 각각의 생활 모습에 대한 중요도(5 = 매우 중요, 4 = 중요, 3 = 보통, 2 = 중요하지 않음, 1 = 전혀 중요하지 않음)를 소프트 타입에서 A1 ~ A6, 표준 타입에서 B1 ~ B6, 클리어 타입에서 C1 ~ C6로서 각각 입력한 예를 나타낸다. 입력하는 수치나 항목 수는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각각의 생활 모습에 대한 중요도는 안경점 측이 사용자 개인의 의견을 청취하여 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의 판단에 근거하는 입력값으로 함으로써, 보다 사용자의 희망에 따른 최적인 기본설계분포군, 코리도 길이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어서, 사용자의 원방시에 대한 중시도 FWT를 입력한다(스텝 S11). 이 스텝 S11에서 입력된 원방시에 대한 중시도의 일례를 표 12에 나타낸다. 표 12는 원방시에 대한 중시도 FWT를 「-100」 ~ 「+100」의 사이의 수치로서 입력한 예이다.
Figure 112010066803996-pct00012
이 원방시에 대한 중시도는, 사용자와는 다른 사람, 예를 들면 안경점 측이 특별히 판단하여 입력하는 데이터로 해도 되고, 예를 들면 사용자와의 커뮤니케이션으로 얻어진 안경점 측의 전문가로서의 판단에 의해서 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어떠한 목적이나 환경에서 누진굴절력렌즈를 사용하는지, 지금까지의 누진굴절력렌즈에 대한 불만의 상세한 내용이나, 새로 구입하는 누진굴절력렌즈에 대한 기대 등을 가미하여, 전문가의 입장에서 총합적으로 판단하여 구한다. 또한, 이상의 입력 스텝 S1 ~ S11의 순서는 반드시 상기의 순서일 필요는 없고, 공정의 순서를 바꿔 넣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3] 기본설계분포군의 선정공정
다음으로, 이와 같이 하여 입력된 사용자의 정보로부터 가장 이 사용자에게 적합한 설계의 누진굴절력렌즈를 선택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기본설계분포군의 선정공정에 대해서 도 6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누진굴절력렌즈의 기본설계분포군의 선택은, 다음에 나타내는 계산에 의해서 제1 ~ 제7 기본설계 선택포인트 DES1 ~ DES7를 구하고, 마지막에 이들 제1 ~ 제7 기본설계 선택포인트 DES1 ~ DES7와, 도중에 구해진 값에 의해서 마지막에 기본설계 선택포인트 DES를 구한다. 기본설계분포군이 소프트 타입인지 표준 타입인지 클리어 타입인지는 이 최종적으로 구한 DES의 값에 의해서 판단한다.
또한, 이하의 예에서는 이 제1 ~ 제7 기본설계 선택포인트 DES1 ~ DES7가 부의 값일 때에는 소프트 타입에서의 설계에 적성이 있는 것을 나타내며, 정의 값일 때에는 클리어 타입에서의 설계에 적성이 있는 것을 의미하는 값으로서 선정한다. 또, 각 포인트의 중요도를 조정하기 위해서, 각 포인트의 계산식에 계수가 붙어 있지만, 그 수치는 이하의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각 포인트의 중요도의 정도에 의해서 적절히 변경이 가능하다.
[3-1] 제1 기본설계 선택포인트 DES1
제1 기본설계 선택포인트에 대해서 설명한다. 안경을 낀 사용자가 외계(外界)를 넓게 바라볼 때 안구를 선회시키지만, 그 안경렌즈의 도수에 의해서 사용자가 실제로 안구를 선회시키는 각도가 변화한다. 예를 들면 안경렌즈의 도수가 정일 때와 부일 때에서는 안구의 선회각도는 정일 때가 크다. 또, 도수가 정에 강도가 있을수록 선회각도도 커지고, 도수가 부에 강도가 있을수록 선회각도도 작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을 누진굴절력렌즈의 사용자에게 적용시켜 생각하면, 원용구면 굴절력이나 원주 굴절력의 요소를 포함하는 원용도수가 정에 강도가 있을수록 외계를 넓게 바라볼 때의 안구선회각도가 커지고, 원용도수가 부에 강도가 있을수록 안구선회각도가 작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지금까지 실시해 온 누진굴절력렌즈의 착용 테스트를 통해서, 누진굴절력렌즈는 원용도수의 정부에 관계없이, 원용도수가 약한 경우는 원방시 영역이 넓은 클리어 타입에서의 설계를 요구하는 경향이 있는 경우도 알 수 있다. 이것으로부터, 원용도수의 정부와 그 강도에 의해서 선택되는 누진굴절력렌즈의 기본설계분포군으로서는 이하의 방법이 고려된다. 즉, 원용도수가 약한 도수로부터 정의 도수에 대해서는 원방시 영역이 넓은 클리어 타입에서의 기본설계분포군을 선택하도록 고려한다. 한편, 원용도수가 부의 도수에 대해서는, 특히 원방시 영역이 넓은 클리어 타입에서의 설계를 선택할 필요가 없도록 고려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예에서는 처음으로 좌우의 원용구면 굴절력 SPH, 원주 굴절력 CYL, 난시의 축방향 AX로부터 평균도수를 구하고, 좌우의 평균값 MPW를 계산한다(스텝 S20). 그리고, 좌우의 평균값 MPW로부터 제1 기본설계 선택포인트 DES1를 계산한다(스텝 S21).
이 스텝 S20에서는 입력된 사용자의 좌우의 원용도수로부터 각각의 평균도수를 구하고, 또한 그 좌우의 평균값 MPW를 구하며, 이 MPW로부터 다음과 같이 제1 기본설계 선택포인트 DES1를 구한다.
MPW = {(SPHR + CYLR/2) + (SPHL + CYLL/2)}/2
-5.00 ≤ MPW < -2.00
일 때,
DES1 = (MPW + 4) × 5.0
으로 한다. 여기에서는 MPW = -4(근시)일 때 0이 되도록 설정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문턱값으로서는 「-3」에서 「-5」의 사이이면 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5」에서 「-4.5」의 사이이면 된다. 한편,
MPW ≥ -2.00
일 때,
DES1 = 10.0
으로 한다. 이것은 상술한 바와 같이 원용도수가 약한 도수로부터 정의 도수에 대해서는 클리어 타입에서의 설계가 선호되기 때문이다. 또,
MPW < -5.00
일 때에는,
DES1 = -5
로 한다. 이 경우는 약간 소프트 타입에서의 설계가 되도록 선택하는 예이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서 제1 기본설계 선택포인트 DES1가 선정된다. 즉 이 경우, MPW가 소정의 부의 도수 이상의 도수일 때, 클리어 타입에서의 기본설계분포군을 선택하도록 제1 기본설계 선택포인트 DES1를 선정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이 예에서는 부의 도수의 범위로서 「-2.00」과 「-5.00」을 문턱값으로 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1.00에서 -3.00의 사이」, 바람직하게는 「-1.50에서 -2.50의 사이」를 원용도수가 약한 도수의 문턱값으로서 선정할 수 있다. 또, 원용도수의 강한 도수의 문턱값으로 해도 「-4.00에서 -6.00의 사이」로 되고, 바람직하게는 「-4.50에서 -5.50의 사이」로 하면 된다.
[3-2] 제2 기본설계 선택포인트 DES2
다음으로, 좌우의 가입도수로부터 제2 기본설계 선택포인트 DES2를 계산한다(스텝 S22). 최초로 이 제2 기본설계 선택포인트 DES2에 대해서 설명한다.
누진굴절력렌즈는 가입도수가 강해질수록 수차의 발생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원방시 영역의 주변부의 상의 희미해짐이 증가한다. 이 때문에, 가입도수가 강한 사용자에게는 원방시 영역이 넓은 클리어 타입에서의 설계를 선택하도록 고려한다.
입력된 사용자의 좌우의 가입도수 ADDR와 ADDL의 좌우 평균값으로부터 다음과 같이 DES2를 구한다.
DES2 = {(ADDR + ADDL)/2 - 2.0} × 5.0
즉 이 경우, 좌우의 가입도수의 평균이 소정의 도수를 넘는 경우는 클리어 타입에서의 기본설계분포군을 선택하도록 제2 기본설계 선택포인트를 선정하고, 좌우의 가입도수의 평균이 소정의 도수 미만인 경우는 소프트 타입에서의 기본설계분포군을 선택하도록 제2 기본설계 선택포인트를 선정한다.
이 예에서는, 기준이 되는 가입도수의 문턱값으로서 2.0을 경계로 판단하고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이 문턱값은 1.75에서 2.75의 범위로 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 2.5의 범위를 문턱값으로서 판단할 수 있다. 또, 소프트 타입에서의 설계 선택과 클리어 타입에서의 설계 선택의 문턱값(소정의 도수)이 차이가 나도 된다. 즉, 어느 가입도수의 범위에서는 표준 타입이 되도록 하고, 비교적 높은 가입도수의 문턱값을 넘는 경우에 클리어 타입, 비교적 낮은 가입도수의 문턱값 미만인 경우는 소프트 타입이 되도록 해도 된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서 제2 기본설계 선택포인트 DES2가 구해진다.
[3-3] 제3 기본설계 선택포인트 DES3
이어서, 누진굴절력렌즈의 앞쪽 경사각 PA로부터 제3 기본설계 선택포인트 DES3를 계산한다(스텝 S23). 우선, 제3 기본설계 선택포인트 DES3에 대해서 설명한다. 누진굴절력렌즈의 앞쪽 경사각이 커지면, 렌즈 상부는 눈으로부터 멀어지고, 렌즈 하부는 반대로 눈에 가까워진다. 이것은 렌즈 상부에 배치되어 있는 원방시 영역이 눈으로부터 멀어지기 때문에, 원방시 영역의 주변부의 상의 희미해짐이 시야의 중앙 가까이의 방향으로 보이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앞쪽 경사각이 커짐에 따라, 원방시 영역이 넓은 클리어 타입에서의 설계를 선택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경의 완성 상태로서 예정하는 렌즈의 앞쪽 경사각 PA로부터 다음과 같이 DES3를 구한다.
DES 3 =PA - 7.0
즉 이 경우, 누진굴절력렌즈의 앞쪽 경사각이 소정의 각도를 넘는 경우는 클리어 타입에서의 기본설계분포군을 선택하도록 제3 기본설계 선택포인트를 선정하고, 누진굴절력렌즈의 앞쪽 경사각이 소정의 각도 미만인 경우는 소프트 타입에서의 기본설계분포군을 선택하도록 제3 기본설계 선택포인트를 선정한다.
여기서 기준으로서 이용하는 문턱값은 평균적인 앞쪽 경사각 「7.0°」로 하고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6° ~ 8°」의 범위로부터 사용자의 도수 등을 감안해서 결정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6.5 ~ 7.5°」의 범위로부터 선택된다. 이 경우도 소프트 타입에서의 설계 선택과 클리어 타입에서의 설계 선택의 문턱값(기준의 앞쪽 경사각)은 동일하지 않아도 된다.
[3-4] 제4 기본설계 선택포인트 DES4
다음으로, 좌우의 렌즈 이면과 좌우의 안구각막정점과의 거리 VDR, VDL로부터 제4 기본설계 선택포인트 DES4를 계산한다(스텝 S24). 이 스텝 S24에서 계산되는 제4 기본설계 선택포인트 DES4에 대해서 설명한다.
누진굴절력렌즈의 이면과 안구각막정점과의 거리가 커지면, 렌즈 전체가 눈으로부터 멀어진다. 이것은 렌즈 상부에 배치되어 있는 원방시 영역이 눈으로부터 멀어지기 때문에, 원방시 영역의 주변부의 상의 희미해짐이 시야의 중앙 가까이의 방향으로 보이게 되므로 누진굴절력렌즈의 이면과 안구각막정점과의 거리가 커짐에 따라, 원방시 영역이 넓은 클리어 타입에서의 설계를 선택하도록 한다.
안경의 완성 상태로서 예정하는 좌우의 렌즈 이면과 좌우의 안구각막정점과의 거리 VDR, VDL로부터 평균 정간 거리 MVD를 구하고, MVD로부터 다음과 같이 DES4를 구한다.
MVD = (VDR + VDL)/2
MVD ≥ 14.5
일 때,
DES4 = (MVD - 14.5) × 5.0
으로 한다. 또,
MVD < 14.5
일 때,
DES4 = 0
으로 한다.
즉 이 예에서는, 좌우의 누진굴절력렌즈의 이면정점과 좌우의 안구각막정점과의 거리가 소정의 간격을 넘을 때, 클리어 타입에서의 기본설계분포군을 선택하도록 제4 기본설계 선택포인트를 선정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또한, 여기에서는 소정의 간격으로서 정간 거리가 「14.5㎜」인 경우를 기준으로 하여 판단하고 있지만, 이 문턱값으로서는, 일반적으로는 「12㎜ ~ 15㎜」의 범위이면 된다.
이 문턱값은 판매하는 시장에 많이 차지하는 인종 등으로부터 전형적인 얼굴형태나 안경의 착용상태를 상정하여 조정하는 것이 좋다. 일본인은 그다지 코가 높지 않고, 또, 눈이 깊지 않다. 한편, 구미인(歐美人)은 코가 높고 눈이 깊기 때문에, 렌즈의 이면정점과 안구각막정점과의 거리가 길어지는 경향이 있다.
구미인을 상정하면 전형적으로는 「14㎜ ~ 15㎜」의 범위로 할 수 있고, 동아시아인을 상정하면 전형적으로는 「12㎜ ~ 13㎜」의 범위로 할 수 있다.
[3-5] 제5 기본설계 선택포인트 DES5
또, 각 생활 모습에 대한 중요도 A1 ~ A6, B1 ~ B6, C1 ~ C6로부터 제5 기본설계 선택포인트 DES5를 계산한다(스텝 S25).
이 기본설계 포인트 DES5는 사용자가 중요시하는 생활 모습으로부터 선정하는 기본설계 선택포인트로서, 이와 같은 기본설계 포인트가 채용되는 것은 사용자가 중요시하는 생활 모습도 누진굴절력렌즈의 기본설계를 선택하는데 있어서의 중요한 포인트가 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옥내에서 그다지 먼 곳을 넓게 바라보는 것이 많지 않은 경우는 소프트 타입에서의 설계를 선택하고, 옥외에서 먼 곳을 넓게 바라보는 것이 많은 경우는 클리어 타입에서의 설계를 선택하며, 옥내와 옥외의 어느 쪽이나 중요하게 되는 밸런스를 잡힌 생활 모습이 중요한 경우는 표준 타입의 설계를 선택하도록 한다.
사용하는 개인이 중요시하는 생활 모습과 그 중요도로서 입력된 A1 ~ A6, B1 ~ B6, C1 ~ C6로부터 다음과 같이 DES5를 구한다.
ST = (A1 + A2 + A3 + A4 + A5 + A6) - 6
BT = (B1 + B2 + B3 + B4 + B5 + B6) - 6
CT = (C1 + C2 + C3 + C4 + C5 + C6) - 6
ΔCS = CT - ST
DES5 = (ΔCS × ΔCS/(|ΔCS| + BT)) × 15.0/24.0
여기에서는, 사용자의 옥내 생활이 비교적 장시간이거나 또는 먼 곳을 넓게 바라보는 시간이 비교적 적은 경우는 소프트 타입에서의 기본설계분포군을 선택한다. 한편, 옥외 생활이 비교적 장시간이거나 또는 먼 곳을 넓게 바라보는 것이 비교적 많은 경우는 클리어 타입에서의 기본설계분포군을 선택하도록 제5 기본설계 선택포인트를 선정한다.
[3-6] 제6 기본설계 선택포인트 DES6
다음으로, 사용자의 원방시에 대한 중시도로부터 제6 기본설계 선택포인트를 계산한다(스텝 S26). 이 스텝 S26에서 계산되는 제6 기본설계 선택포인트 DES6에 대해서 설명한다. 안경점에서는 사용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이나, 지금까지 이 사용자에게 안경을 작성해 온 경험으로부터 어떠한 설계의 누진굴절력렌즈가 이 사용자에게 적합하고 있을지가 명확하게 의도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이 고려한다.
안경점 측의 의도에 근거하여 입력되는 사용자의 원방시에 대한 중시도 FWT에 의해서 DES6를 구한다.
DES6 = (FWT/100) × 15.0
[3-7] 제7 기본설계 선택포인트 DES7
이어서, 전회 사용한 안경의 렌즈종류의 타입 KBtp로부터 제7 기본설계 선택포인트 DES7를 계산한다(스텝 S27).
스텝 S27에서 계산되는 제7 기본설계 선택포인트 DES7는 사용자가 전회 누진굴절력렌즈를 사용했을 경우에 선정되는 것으로, 이하, 제7 기본설계 선택포인트 DES7에 대해서 설명한다.
사용자가 지금까지 누진굴절력렌즈를 사용하고 있었을 경우, 그 누진굴절력렌즈의 설계는 사용자 자신이 그 설계에 잘 익숙해져 있다. 또, 그 누진굴절력렌즈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경우에는 원방시 영역의 보기가 다른 경향의 누진굴절력렌즈를 선택한다고 불만으로 이어지기 쉽다. 이 때문에, 사용자가 사용하고 있던 누진굴절력렌즈에 만족하고 있는 경우에는 원방시 영역의 주변부의 수차에 의한 상의 희미해짐이 유사한 설계를 선택하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가 지금까지 누진굴절력렌즈를 사용하고 있었을 경우에 사용자의 전회 사용한 안경렌즈의 처방정보가 입력되어 있는 경우는 전회의 안경의 원용도수와 새롭게 작성하는 안경의 원용도수의 상호의 차이를 고려하여 기본 설계를 선택한다.
새로운 안경의 원용도수가 지금까지 사용하고 있던 안경의 원용도수보다 마이너스 쪽의 도수로 갱신되는 경우는 완전히 동일한 기본 설계를 선택했을 경우라도 새로운 원용도수가 마이너스 쪽의 도수가 되는 것에 의해서 새로운 안경의 원방시 영역은 지금까지 사용하고 있던 안경과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보다 깨끗하게 보인다. 이 경우에는 신구의 도수차에 의한 문제는 없다.
그러나, 새로운 안경의 원용도수가 지금까지 사용하고 있던 안경의 원용도수보다도 플러스 쪽의 도수로 갱신되는 경우는 완전히 동일한 기본설계를 선택했을 경우라도 새로운 원용도수가 플러스 쪽의 도수가 되는 것에 의해서 새로운 안경의 원방시 영역은 지금까지 사용하고 있던 안경과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좁아져 버린다. 이 후자의 케이스인 새로운 원용도수가 플러스 쪽의 도수가 되는 경우는 원방시 영역이 넓은 클리어 타입에서의 설계를 선택하도록 한다.
또, 사용자가 지금까지 사용하고 있던 렌즈가 다초점 렌즈(바이포칼 등)의 경우에는 누진굴절력렌즈의 원방시 영역의 주변의 상의 희미해짐이 신경이 쓰이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원방시 영역이 넓은 클리어 타입에서의 설계를 선택하도록 한다.
지금까지 사용하고 있던 안경렌즈가 누진굴절력렌즈인지, 다초점 렌즈인지, 그 외 단초점 렌즈인지를 나타내는 KBtp로부터 DES7를 다음과 같이 구한다.
KBtp = 1, 또한 SAT = 1이나 2일 때(기 사용 안경렌즈가 누진굴절력렌즈이며, 전회 사용한 누진굴절력렌즈에 만족하고 있는 경우),
CURD = DEStp - 2
로 한다. 이 CURD는 전회 사용 안경의 타입의 지표로 함으로써, 상기 표 6에서 전회 사용 렌즈가 소프트 타입인 경우는 「-1」, 표준 타입인 경우는 「0」, 클리어 타입인 경우는 「1」이 된다.
또한, 사용자의 전회 사용한 안경렌즈의 처방정보가 입력되고 있는 경우는,
MPWp = {(SPHpR + CYLpR/2) + (SPHpL + CYLpL/2)}/2
이 MPWp와 앞서 구해 있는 MPW와의 차이로부터 신구 평균원용도수차를 고려하기 위한 DPW를 다음과 같이 구한다.
DPW0 = MPW - MPWp
DPW0 > 0
일 때,
DPW = 5
로 한다.
DPW0 ≤ 0
일 때에는,
DPW = 0
으로 한다.
또, 사용자의 전회 사용한 안경렌즈의 처방정보가 입력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DPW = 0
로 한다. 이 때,
DES7 = (CURD × 12.5) × (3 - SAT) + DPW
로 한다. 즉, 소프트 타입 측인지, 표준 타입인지, 클리어 타입 측인지를 정부 또는 「0」으로 나타내고, 이것에 만족도를 곱한 값에 신구의 안경의 평균원용도수차를 고려하기 위한 DPW를 더한 값으로 한다.
즉 이 예에서는, 전회 사용한 안경렌즈가 누진굴절력렌즈이며, 그 누진굴절력렌즈의 만족도가 높은 경우는, 전회 사용한 누진굴절력렌즈가 소프트 타입이면 소프트 타입에서의 기본설계분포군을 선택하고, 전회 사용한 누진굴절력렌즈가 클리어 타입이면 클리어 타입에서의 기본설계분포군을 선택하도록 제7 기본설계 선택포인트를 선정한다.
여기서,
KBtp = 1이고, 또한 SA T >2
일 때(기 사용 안경렌즈가 누진굴절력렌즈이지만, 다소 불만을 느끼고 있는 경우),
DES7 = 0
로 한다.
또,
KBtp = 2
일 때(기 사용 안경렌즈가 누진굴절력렌즈는 아니고 다초점 렌즈인 경우)는,
DES7 = 15.0
으로 한다. 이 경우는 클리어 타입의 포인트를 높게 하도록 선정한다.
또한,
KBtp = 0
일 때(기 사용 안경렌즈가 누진굴절력렌즈도 아니고, 다초점 렌즈도 아닌 경우),
DES7 = 0
으로 한다. 이 경우는 소프트 타입에도 클리어 타입에도 포인트를 주지 않는, 즉, 표준 타입을 선택하도록 선정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제7 기본설계 선택포인트 DES7를 구할 수 있다.
[3-8] 기본설계분포군의 선정공정
마지막으로, 지금까지의 스텝 S21 ~ S27에서 구한 DES1 ~ DES7과, 전회 사용한 안경렌즈의 설계 타입 DEStp, 전회 사용한 안경이 누진굴절력렌즈인 경우의 만족도 SAT로부터 기본설계 선택포인트 DES를 계산한다(스텝 S28).
이와 같이 하여 구한 DES1 ~ DES7, CURD와 기 사용 누진굴절력렌즈에 대한 만족도의 입력데이터 SAT에 의해서, 다음과 같이 기본설계 선택포인트 DES를 구하고, 그 값에 의해서 사용자에게 적합한 설계를 판단한다.
DESTT = DES1 + DES2 + DES3 + DES4 + DES5 + DES6 + DES7
로 한다.
여기서, 예를 들면
CURD = 0, 또한 SAT = 1이나 2
일 때,
DES = DESTT/(5 - SAT)/2
로 한다. 또,
CURD ≠ 0, 혹은 SAT > 2
일 때
DES = DESTT
로 한다.
여기서,
DES < -20
일 때에는, 사용자에게 적합한 기본 설계는 약간 소프트 타입의 기본 설계라고 판단한다. 한편,
-20 ≤ DES ≤ +20
일 때, 사용자에게 적합한 기본 설계는 표준 타입의 기본 설계라고 판단한다. 또한,
DES > +20
일 때에는, 사용자에게 적합한 기본 설계는 약간 클리어 타입의 기본 설계군이라고 판단한다.
이와 같이 하여 DES에 의해서 사용자에게 적합한 기본 설계를 판단한다.
또한, 전회 사용한 안경이 누진굴절력렌즈가 아닌 경우, 즉 처음으로 누진굴절력렌즈를 작성하는 경우는 이하의 같이 기본설계 선택포인트 DES를 선정한다.
DESTT = DES1 + DES2 + DES3 + DES4 + DES5 + DES6 + DES7
로 한다.
DES = DESTT
로 한다.
여기서,
DES < -20
일 때에는, 사용자에게 적합한 기본 설계는 약간 소프트 타입의 기본 설계라고 판단한다. 한편,
-20 ≤ DES ≤ +20
일 때, 사용자에게 적합한 기본 설계는 표준 타입의 기본 설계라고 판단한다. 또한,
DES > +20
일 때에는, 사용자에게 적합한 기본 설계는 약간 클리어 타입의 기본 설계군이라고 판단한다.
이와 같이 하여 DES에 의해서 사용자에게 적합한 기본 설계를 판단한다.
[4]코리도 길이의 선정공정
다음으로, 코리도 길이를 선정하는 공정에 대해서 도 7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코리도 길이의 선택은 다음에 나타내는 계산에 의해서 COR1 ~ COR5를 구하고, 마지막으로 이들과 도중에 구해진 값에 의해서 마지막에 코리도 길이 선택 포인트 COR를 구하여, 이 COR의 값에 의해서 판단한다.
이 COR1 ~ COR5, COR의 값은, 각각 부의 값일 때에는 짧은 코리도 길이에 적성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정의 값일 때에는 긴 코리도 길이에 적성이 있는 것을 의미한다.
[4-1] 제1 코리도 길이 선택 포인트 COR1
먼저, 좌우의 원용도수(원용구면 굴절력 SPH, 원주 굴절력 CYL, 난시의 축방향 AX)로부터 평균도수를 구한 좌우의 평균값 MPW로부터 제1 코리도 길이 선택 포인트 COR1를 계산한다(스텝 S29). 이 제1 코리도 길이 선택 포인트 COR1는 좌우의 눈의 도수의 평균값으로부터 선정하는 코리도 길이 선택 포인트이다.
예를 들면, 안경을 낀 사용자가 근방시를 할 때에는 안구를 아래쪽으로 선회시키지만, 그 안경렌즈의 도수에 의해서 사용자가 실제로 안구를 선회시키는 각도는 변화한다. 즉, 안경렌즈의 도수가 정일 때가, 부일 때보다 안구의 선회각도가 커진다. 또 도수가 정에 강도가 있을수록 선회각도도 커지고, 도수가 부에 강도가 있을수록 선회각도는 작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을 누진굴절력렌즈의 사용자에게 적용시켜 생각하면, 원용도수가 정에 강도가 있을수록 근방시를 하는 경우에 안구를 아래쪽으로 선회시키는 각도가 커지고, 원용도수가 부에 강도가 있을수록 안구의 아래쪽으로의 선회각도가 작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지금까지, 실시해 온 누진굴절력렌즈의 착용 테스트를 통해서, 누진굴절력렌즈는 원용도수의 정부에 관계없이, 원용도수가 약한 경우는 원방시 영역이 넓은 클리어 타입에서의 설계를 요구하는 경향이 있는 것도 알고 있다.
또, 누진굴절력렌즈의 코리도 길이가 길수록 원방시 영역의 주변부의 상의 희미해짐이 감소하고, 코리도 길이가 짧아질수록 원방시 영역의 주변부의 상의 희미해짐이 증가한다. 이것으로부터, 원용도수의 정부와 그 강도에 의해서 누진굴절력렌즈의 코리도 길이의 선택은 원용도수가 약한 도수로부터 정의 도수에 대해서는 긴 코리도 길이의 설계를 선택하도록 고려하고, 원용도수가 부의 도수에 대해서는 짧은 코리도 길이의 설계를 선택하도록 고려한다.
입력된 사용자의 좌우의 원용도수로부터 각각의 평균도수를 구하고, 그 좌우 평균값 MPW를 구하며, MPW의 값을 가지고 다음과 같이 COR1를 구한다.
MPW = {(SPHR + CYLR/2) + (SPHL + CYLL/2)}/2
로 한다. 여기서
MPW < +4.00
일 때,
COR1 = (MPW + 2) × 1.5
로 한다. 한편,
MPW ≥ +4.00일 때,
COR1 = 6.0
으로 한다.
즉 이 경우, MPW가 소정의 도수 미만인 경우는 표준의 코리도 길이보다 짧은 코리도 길이를 선택하고, MPW가 소정의 도수 이상인 경우는 표준의 코리도 길이보다 긴 코리도 길이를 선택하도록 제1 코리도 길이 선택 포인트를 선정하는 예이다.
또한, 이 예에서는, MPW가 「+4.00」인 경우로 나누고, 또 「-2.0」을 문턱값으로서 판단하고 있지만, 기준이 되는 수치는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경우 분류는 「+3 ~ +5」의 범위에서 행해도 좋고, 또 문턱값으로서는 「1.75에서 2.75」의 범위가 바람직하며, 또한 「2.0 ~ 2.5」의 범위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4-2] 제2 코리도 길이 선택 포인트 COR2
다음으로, 좌우의 원용도수로부터 세로방향 성분 도수를 구하고, 좌우의 세로방향 원용도수차로부터 제2 코리도 길이 선택 포인트 COR2를 계산한다(스텝 S30). 이 스텝 S30에서 계산되는 제2 코리도 길이 선택 포인트 COR2에 대해서 설명한다.
누진굴절력렌즈의 좌우의 도수에 차이가 있으면, 근방시를 할 때에 렌즈의 근용부 부근을 사용하려고 하면, 좌우의 렌즈의 좌우의 프리즘에 차이가 생겨, 그 차이가 크면 사용하기 어렵다. 이 때, 누진굴절력렌즈의 코리도 길이가 짧으면 근용부 부근을 사용할 때의 좌우의 프리즘차이가 작아지기 때문에, 사용하기 쉬운 안경이 된다. 이 때문에, 좌우의 세로방향의 도수의 차이가 큰 경우에는 짧은 코리도 길이를 선택하도록 한다.
입력된 사용자의 좌우의 원용도수로부터 각각의 세로방향 성분 도수를 구하고, 그 좌우차이 DPWV를 구하며, 이 좌우의 렌즈의 세로방향 성분 도수의 차이로부터 다음과 같이 COR2를 구한다.
PWVR = SPHR + CYLR × SIN2(|AXR - 90| × Π/180)
PWVL = SPHL + CYLL × SIN2(|AXL - 90| × Π/180)
DPWV = |PWVR - PWVL|
COR2 = -1.0 × DPWV × 4.0
이 경우, 좌우의 세로방향 원용도수차가 소정의 도수보다 클수록 비교적 짧은 코리도 길이를 선택하도록 제2 코리도 길이 선택 포인트를 선정하는 것이다.
[4-3] 제3 코리도 길이 선택 포인트 COR3
다음으로, 좌우의 렌즈 이면과 좌우의 안구각막정점과의 거리(정간 거리) VDR, VDL로부터 제3 코리도 길이 선택 포인트 COR3를 계산한다(스텝 S31).
누진굴절력렌즈의 이면과 안구각막정점과의 거리가 커지면, 렌즈 전체가 눈으로부터 멀어진다. 이것은 렌즈 상부에 배치되어 있는 원방시 영역이 눈으로부터 멀어지기 때문에, 원방시 영역의 주변부의 상의 희미해짐이 시계의 중앙 가까이의 방향으로 보이게 되므로 누진굴절력렌즈의 이면과 안구각막정점과의 거리가 커짐에 따라, 수차가 적고 넓은 원방시 영역을 가지는 긴 코리도 길이의 설계를 선택하도록 한다.
반대로, 누진굴절력렌즈의 이면과 안구각막정점과의 거리가 작아지면, 렌즈 전체가 눈에 가까워진다. 이것은 렌즈 하부에 배치되어 있는 근방시 영역이 눈으로부터 보아 보다 아래쪽에 위치하게 되기 때문에, 근방시일 때에 크게 아래쪽으로 안구를 선회시키는 것이 필요하게 되어, 근방시를 행하기 어려워지므로, 누진굴절력렌즈의 이면과 안구각막정점과의 거리가 작아짐에 따라, 안구가 작은 하부 선회로 근방시가 가능한 짧은 코리도 길이의 설계를 선택하도록 한다.
안경의 완성 상태로서 예정하는 좌우의 렌즈 이면과 좌우의 안구각막정점과의 거리 VDR, VDL로부터 다음과 같이 제3 코리도 길이 선택 포인트 COR3를 구한다.
MVD = (VDR + VDL)/2
COR3 = (MVD - 14.5) × 4.0
즉 이 경우, 누진굴절력렌즈의 이면과 안구각막정점과의 거리가 소정의 거리를 넘는 경우는 클리어 타입에서의 기본설계분포군을 선택하도록 하고, 소정의 각도 미만인 경우는 긴 코리도 길이의 설계를 선택하도록 제3 기본설계 선택포인트를 선정한다.
또한, 여기에서는 소정의 거리로서 누진굴절력렌즈의 이면과 안구각막정점과의 거리의 평균값이 14.5㎜인 경우를 문턱값으로 하고 있지만, 문턱값으로 하는 거리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문턱값은, 일반적으로는 「12㎜ ~ 15㎜」의 범위이면 된다.
이 문턱값은 판매하는 시장에 많이 차지하는 인종 등에서 전형적인 얼굴형태나 안경의 착용상태를 상정하여 조정하는 것이 좋다. 일본인은 그다지 코가 높지 않고, 또한, 눈이 깊지 않다. 한편, 구미인은 코가 높고 눈이 깊기 때문에, 렌즈의 이면정점과 안구각막정점과의 거리가 길어지는 경향이 있다.
구미인을 상정하면 전형적으로는 「14㎜ ~ 15㎜」의 범위로 할 수 있고, 동아시아인을 상정하면 전형적으로는 「12㎜ ~ 13㎜」의 범위로 할 수 있다.
[4-4] 제4 코리도 길이 선택 포인트 COR4
이어서, 전회 사용한 누진굴절력렌즈의 가입도수를 기준으로 하여 좌우의 렌즈의 가입도수차 ΔADD를 구하고, 제4 코리도 길이 설계 포인트 COR4를 계산한다(스텝 S32).
여기에서는, 사용자가 전회 사용하고 있던 안경렌즈가 누진굴절력렌즈인 경우에 좌우의 정간 거리의 차이로부터 선정하는 제4 코리도 길이 선택 포인트 COR4에 대해서 설명한다.
새로 누진굴절력렌즈를 작성할 때에 전회 사용한 누진굴절력렌즈로부터 크게 가입도수를 늘리는 경우에는, 누진굴절력렌즈의 수차가 크게 증가한다. 또, 누진굴절력렌즈의 수차는 코리도 길이가 짧은 쪽이 커진다. 이 때문에, 전의 누진굴절력렌즈로부터 크게 가입도수를 늘리는 경우에는 전의 누진굴절력렌즈의 코리도 길이보다 짧은 코리도 길이의 설계를 선택하지 않는 편이 좋다.
새로 작성하는 누진굴절력렌즈의 좌우 각각의 가입도수로부터, 전의 누진굴절력렌즈의 가입도수를 기준으로 한 오른쪽 렌즈의 가입도수차 ΔADDR와 왼쪽 렌즈의 가입도수차 ΔADDL의 값을 구한다. 그리고 이 가입도수차 ΔADDR, ΔADDL로부터 다음과 같이 제4 코리도 길이 선택 포인트 COR4를 구한다.
MΔADD =(ΔADDR + ΔADDL)/2
로 한다. 여기서
MΔADD ≥ 0.50
일 때,
COR4 = MΔADD × 10.0
으로 선정한다.
MΔADD < 0.50
일 때에는,
COR4 = 0
으로 선정한다.
즉 이 경우, 좌우의 누진굴절력렌즈의 가입도수차가 소정 도수 이상일 때, 표준의 코리도 길이보다 긴 코리도 길이를 선택하도록 제4 코리도 길이 선택 포인트를 선정하는 예이다.
또한, 이 예에서 소정 도수로서 0.50을 문턱값으로 하고 있지만, 원용도수의 차이 등의 다른 요소에 의해서 다소의 변화가 있기 때문에,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는, 0.25 ~ 1.00의 가입도수차의 범위에서 선정하면 되고, 전형적으로는 0.25 ~ 0.75의 범위 내에서 선정할 수 있다.
[4-5] 제5 코리도 길이 선택 포인트 COR5
다음으로, 전회 사용한 안경렌즈종류의 타입 정보 KBtp로부터 제5 코리도 길이 선택 포인트 COR5를 계산한다(스텝 S33).
이 제5 코리도 길이 선택 포인트 COR5는 사용자가 전회 사용하고 있던 안경렌즈가 누진굴절력렌즈인 경우에 전회 사용의 렌즈타입이나 만족도로부터 선정하는 코리도 길이 선택 포인트이다.
사용자가 지금까지 사용하고 있던 누진굴절력렌즈의 설계는 사용자 자신이 그 설계에 잘 익숙해져 있다. 또, 그 누진굴절력렌즈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경우에는 지금까지와 다른 코리도 길이의 누진굴절력렌즈를 선택하면, 근방시를 행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불만으로 이어지기 쉽다. 이 때문에, 사용자가 사용하고 있던 누진굴절력렌즈에 만족하고 있는 경우에는 그 누진굴절력렌즈에 가까운 코리도 길이의 설계를 선택하도록 한다.
지금까지 사용하고 있던 안경렌즈가 누진굴절력렌즈인지, 다초점 렌즈인지, 그 외 단초점 렌즈인지를 나타내는 KBtp로부터 제5 코리도 길이 선택 포인트 COR5를 다음과 같이 구한다.
KBtp = 1, 또한 SAT = 1이나 2일 때(기 사용 안경렌즈가 누진굴절력렌즈이며, 전회 사용한 누진굴절력렌즈에 만족하고 있는 경우),
CURC = CORtp - 3
COR5 = (CURC × 3.125) × (5 - SAT)
로 한다.
KBtp = 1이고, SAT > 2
일 때에는,
COR5 = 0
으로 한다.
또,
KBtp = 2
일 때(기 사용 안경렌즈가 다초점 렌즈인 경우)는,
COR5 = -35.0
으로 한다.
KBtp = 0
일 때(기 사용 안경렌즈가 다른 렌즈인 경우)는,
COR5 = 0
으로 한다.
이 경우, 전회 사용한 안경렌즈가 누진굴절력렌즈이며, 그 누진굴절력렌즈의 만족도가 높은 경우는 전회 사용한 누진굴절력렌즈의 코리도 길이에 가까운 코리도 길이를 선택하도록 제5 코리도 길이 선택 포인트를 선정하고 있다. 또, 전회 사용한 안경렌즈가 다초점 렌즈인 경우는 표준보다 짧은 코리도 길이가 선택되도록 하는 중요도로 하고, 전회 사용한 안경렌즈가 누진굴절력렌즈에서도 다초점 렌즈도 아닌 경우는 표준의 코리도 길이가 되도록 하는 중요도로 한다.
[4-6] 코리도 길이 가능 지표
다음으로, 코리도 길이 16㎜와 14㎜가 사용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값FH14, FH16를 계산한다(스텝 S34). 이 스텝 S34에서 계산되는 값 FH14, FH16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프레임의 세로방향 사이즈 Bsz와 누진굴절력렌즈의 좌우의 피팅 포인트의 높이 EPR, EPL로부터 비교적 긴 코리도 길이의 타입을 설계하는 것이 가능한지 여부를 코리도 길이 가능 지표로 나타낸다. 여기에서는 코리도 길이 16㎜와 코리도 길이 14㎜가 각각 사용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값을 FH16와 FH14로서 다음과 같이 구한다.
FH16, FH14는 각각 코리도 길이 16㎜, 코리도 길이 14㎜의 누진굴절력렌즈의 근용 굴절력 측정점의 중심이 프레임의 림 하단에 가까스로 들어가는지 여부를 나타내며, FH16, FH14가 부의 값일 때에는 근용 굴절력 측정점의 중심이 프레임의 림 하단에 들어가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
MEP = (EPR + EPL)/2
MFH = MEP + Bsz/2
FH16 = MFH - 20
FH14 = MFH - 18
[4-7] 코리도 길이의 선정공정
그리고, COR1 ~ COR5, 전회 사용 렌즈의 코리도 길이 타입 CORtp, FH16 및 FH14, 전회 사용한 누진굴절력렌즈의 만족도 SAT로부터 코리도 길이 선택 포인트 COR를 계산한다(스텝 S35). 이 스텝 S35에서 계산되는 코리도 길이 선택 포인트 COR의 값에 의해서 사용자에게 적합한 코리도 길이를 판단한다.
CORTT = COR1 + COR2 + COR3 + COR4 + COR5
여기서, 하기의 (1) ~ (3)의 경우 분류를 한다.
(1) FH14 < 0일 때(코리도 길이 14㎜ 이상으로 하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
COR = -25.0
으로 한다.
(2) FH14 ≥ 0, 또한 FH16 < 0(코리도 길이 14㎜가 가능하지만 16㎜로 하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 또한 CORTT > 20일 때,
COR = 0
으로 한다.
(3) 상기 조건 (1), (2) 이외로, CURC = 0, 또한 SAT = 1이나 2일 때,
COR = CORTT/(5 - SAT)/2
로 한다.
상기 조건 (1), (2), (3) 이외일 때,
COR = CORTT
로 한다.
그리고,
COR < -20
일 때, 사용자에게 적합한 코리도 길이는 11㎜라고 판단한다.
또,
-20 ≤ COR ≤ +20
일 때에는 사용자에게 적합한 코리도 길이는 14㎜라고 판단한다.
또한,
COR > +20
일 때에는 사용자에게 적합한 코리도 길이는 16㎜라고 판단한다.
이와 같이 하여 코리도 길이 선택 포인트 COR에 의해서 사용자에게 적합한 코리도 길이를 판단한다.
또한, 전회 사용한 안경렌즈가 누진굴절력렌즈 이외인 경우는 하기와 같이 코리도 길이 선택 포인트 COR를 구한다.
CORTT = COR1 + COR2 + COR3 + COR4 + COR5
여기서, 하기의 (4), (5) 또는 그 이외의 경우 분류를 한다.
(4) FH14 < 0일 때(코리도 길이 14㎜ 이상으로 하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
COR = -25.0
으로 한다.
(5) FH14 ≥ 0, 또한 FH16 < 0(코리도 길이 14㎜가 가능하지만 16㎜로 하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 또한 CORTT > 20일 때,
COR = 0
으로 한다.
상기 조건 (4),(5) 이외일 때,
COR = CORTT
로 한다.
그리고,
COR < -20
일 때, 사용자에게 적합한 코리도 길이는 11㎜라고 판단한다.
또,
-20 ≤ COR ≤ +20
일 때에는 사용자에게 적합한 코리도 길이는 14㎜라고 판단한다.
또한,
COR > +20
일 때에는 사용자에게 적합한 코리도 길이는 16㎜라고 판단한다.
이와 같이 하여 코리도 길이 선택 포인트 COR에 의해서 사용자에게 적합한 코리도 길이를 판단한다.
[5] 렌즈설계기준의 선택공정
마지막으로, 기본설계 선택포인트 DES 및 코리도 길이 선택 포인트 COR로부터, 사용자에게 적합한 기본설계분포군과 코리도 길이를 선택하여, 렌즈설계기준을 최종적으로 특정하고(스텝 S36), 종료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기본설계 선택포인트 DES와 코리도 길이 선택 포인트 COR를 구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누진굴절력렌즈의 기본설계분포군과 코리도 길이가 선택되고, 전술의 도 1 중의 (a) ~ (i)에 나타내는 기본설계분포 예의 수차분포 및 평균도수분포의 패턴 중에서 1종류의 패턴으로 나타나는 렌즈설계기준이 선택된다. 그리고, 이 기본설계분포군 및 코리도 길이로 표시되는 렌즈설계기준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처방도수나 신체적 특징에 맞추어 최종적인 광학적 설계를 행하여, 사용자의 사용 상황, 처방도수에 적절한 누진굴절력렌즈 쌍이 완성된다.
또한, 상술의 선택을 행하는 일련의 처리 즉 연산은 컴퓨터로 실시하도록 소프트웨어를 작성하여, 안경점 측의 컴퓨터에 인스톨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 인터넷으로 안경점 측의 컴퓨터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렌즈 메이커의 서버에 송신하여, 이 서버 내에서 이 소프트웨어를 동작시켜, 선택된 사용자에게 적합한 누진굴절력렌즈의 기본 설계와 코리도 길이를 안경점 측의 컴퓨터에 표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렌즈설계기준의 선택방법에서는 사용자의 직업이나 취미라고 하는 사용자의 시각 환경 정보로부터 뿐만이 아니라, 다른 요소도 고려하는 것이다.
먼저, 기본설계분포군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원용도수가 +인지 -인지, 그 강약과, 가입도수의 강약과, 렌즈의 앞쪽 경사각과, 렌즈 이면과의 안구각막정점과의 거리 등이 선택을 고려하는 요소가 된다. 또한, 지금까지 사용하고 있던 안경렌즈가 누진굴절력렌즈인지, 다초점 렌즈인지, 단초점 렌즈인지 혹은 안경을 끼는 것이 처음인지라고 하는 조건도 요소로서 조합된다. 이에 더하여, 지금까지 사용하고 있던 안경렌즈가 누진굴절력렌즈인 경우, 그 누진굴절력렌즈의 설계 타입과, 사용하는 개인이 중요시하는 생활 모습과 그 중요도와, 안경점 측의 의도에 근거하여 입력되는 원방시에 대한 중시도를 나타내는 제어수치도 파라미터로서 연산의 요소에 조합된다.
한편, 코리도 길이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원용도수가 +인지 -인지, 그 강약과, 좌우의 렌즈의 각각의 원용도수의 세로방향 성분 도수의 사이의 차이와, 프레임의 세로방향 사이즈와 누진굴절력렌즈의 피팅 포인트의 높이와, 렌즈 이면과의 안구각막정점과의 거리 등이 선택을 고려하는 요소가 된다. 또, 지금까지 사용하고 있던 안경렌즈가 누진굴절력렌즈인지, 다초점 렌즈인지, 그 외의 렌즈인지의 조건도 요소로서 더해진다. 또한, 지금까지 사용하고 있던 안경렌즈가 누진굴절력렌즈인 경우, 주문한 가입도수의 지금까지 사용하고 있던 누진굴절력렌즈의 가입도수와의 편차도 요소가 된다. 마찬가지로, 지금까지 사용하고 있던 안경렌즈가 누진굴절력렌즈인 경우, 그 누진굴절력렌즈의 코리도 길이 타입도 파라미터로서 연산해서 구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지금까지 이상으로 개개의 사용자에게 적합한 기본 설계와 코리도 길이의 선택이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의 실시 형태예에서 설명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외 본 발명 구성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변형, 변경이 가능하다.
1. 눈, 1L.좌안,
1R. 우안, 2. 렌즈,
2L. 왼쪽 렌즈, 2R. 오른쪽 렌즈,
3. 프레임, 3L.왼쪽 림,
3R. 오른쪽 림.

Claims (26)

  1. 누진굴절력(累進屈折力)렌즈 쌍의 원방시(遠方視) 영역 및 근방시(近方視) 영역의 분포를 결정하는 기본설계분포군과, 코리도(corridor) 길이(累進帶長)로부터 선택되는 렌즈설계기준의 선택방법으로서,
    원방시 영역과 근방시 영역의 영역 구분이 다른 복수의 기본설계분포군과, 다른 복수의 코리도 길이로 이루어지는 설계변동을 준비하는 공정과,
    적어도 상기 누진굴절력렌즈 쌍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처방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생활환경정보와, 상기 누진굴절력렌즈 쌍을 보유지지하는 프레임 형상정보에 유래하는 파라미터를 입력하는 파라미터 설정공정과,
    상기 입력된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기본설계분포군으로부터 한 종류의 기본설계분포군을 선택하는 공정과,
    상기 입력된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하나의 코리도 길이를 선택하는 공정과,
    상기 설계변동으로부터 선택된 상기 기본설계분포군 및 상기 코리도 길이로부터 하나의 렌즈설계기준을 선택하는 공정이 포함되어 있고,
    상기 파라미터 설정공정에서 상기 사용자의 처방정보와 상기 프레임 형상정보에 근거하여 산출되는 상기 사용자의 안경착용시에서의 좌우의 누진굴절력렌즈의 이면정점(裏面頂点)과 좌우의 안구각막정점(眼球角膜頂点)과의 거리가 상기 파라미터의 설정요소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설계기준의 선택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 설정공정에서 상기 사용자의 착용시에서의 좌우의 누진굴절력렌즈의 이면정점과 좌우의 안구각막정점과의 거리가 소정값보다도 길 때에 원방시 영역이 넓은 기본설계분포군 측에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설계기준의 선택방법.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 설정공정에서 상기 사용자의 처방정보에 의한 원용도수(遠用度數)가 설정요소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설계기준의 선택방법.
  4. 누진굴절력렌즈 쌍의 원방시 영역 및 근방시 영역의 분포를 결정하는 기본설계분포군과, 코리도 길이로부터 선택되는 렌즈설계기준의 선택방법으로서,
    원방시 영역과 근방시 영역의 영역 구분이 다른 복수의 기본설계분포군과, 다른 복수의 코리도 길이로 이루어지는 설계변동을 준비하는 공정과,
    적어도 상기 누진굴절력렌즈 쌍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처방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생활환경정보와, 상기 누진굴절력렌즈를 보유지지하는 프레임 형상정보에 유래하는 파라미터를 입력하는 파라미터 설정공정과,
    상기 입력된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기본설계분포군으로부터 한 종류의 기본설계분포군을 선택하는 공정과,
    상기 입력된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하나의 코리도 길이를 선택하는 공정과,
    상기 설계변동으로부터 선택된 상기 기본설계분포군 및 상기 코리도 길이로부터 하나의 렌즈설계기준을 선택하는 공정이 포함되어 있고,
    상기 파라미터 설정공정에서 상기 사용자의 처방정보에 의한 원용도수가 상기 파라미터의 설정요소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설계기준의 선택방법.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 설정공정에서 상기 사용자의 처방정보에 의한 좌우의 평균원용도수가 소정의 도수보다 플러스일 때에 원방시 영역이 넓은 기본설계분포군 측에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설계기준의 선택방법.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 설정공정은,
    좌우의 원용도수 및 가입도수를 입력하는 스텝과,
    프레임의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 사이즈와, 좌우의 누진굴절력렌즈간 거리를 입력하는 스텝과,
    상기 사용자의 착용시에서의 누진굴절력렌즈의 앞쪽 경사각과, 좌우의 누진굴절력렌즈의 면끼리가 이루는 각을 입력하는 스텝과,
    상기 사용자의 착용시에서의 좌우 렌즈의 이면정점과 좌우의 안구각막정점과의 거리를 입력하는 스텝과,
    좌우의 동공의 거리와, 상기 누진굴절력렌즈 쌍의 수평중심선으로부터의 동공의 높이를 입력하는 스텝과,
    상기 사용자의 생활환경정보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생활 모습에 대한 중요도를 입력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렌즈설계기준의 선택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기본설계분포군을 선택하는 공정은,
    상기 좌우의 원용도수로부터 좌우 각각의 원용평균도수를 구하고, 좌우의 원용평균도수의 평균값으로부터 제1 기본설계 선택포인트를 계산하는 스텝과,
    상기 좌우의 가입도수로부터 제2 기본설계 선택포인트를 계산하는 스텝과,
    상기 누진굴절력렌즈의 앞쪽 경사각으로부터 제3 기본설계 선택포인트를 계산하는 스텝과,
    상기 좌우의 누진굴절력렌즈의 이면정점과 좌우의 안구각막정점과의 거리로부터 제4 기본설계 선택포인트를 계산하는 스텝과,
    상기 생활 모습에 대한 중요도로부터 제5 기본설계 선택포인트를 계산하는 스텝과,
    적어도 상기 제1 ~ 제5 기본설계 선택포인트부터 기본설계 선택포인트를 계산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렌즈설계기준의 선택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코리도 길이를 선택하는 공정은,
    상기 좌우의 원용평균도수의 평균값으로부터 제1 코리도 길이 선택 포인트를 계산하는 스텝과,
    상기 좌우의 원용도수로부터 세로방향 성분 도수를 구하고, 좌우의 세로방향원용도수차로부터 제2 코리도 길이 선택 포인트를 계산하는 스텝과,
    상기 좌우의 누진굴절력렌즈의 이면정점과 좌우의 안구각막정점과의 거리로부터 제3 코리도 길이 선택 포인트를 계산하는 스텝과,
    상기 설계변동으로 채용하는 코리도 길이의 적부(適否)를 나타내는 코리도 길이 가능 지표를 계산하는 스텝과,
    상기 제1 ~ 제3 코리도 길이 선택 포인트와, 상기 코리도 길이 가능 지표로부터 코리도 길이 선택 포인트를 계산하는 스텝을 포함하며,
    상기 기본설계 선택포인트와, 상기 코리도 길이 선택 포인트에 근거하여, 하나의 기본설계분포군 및 코리도 길이를 상기 설계변동 중에서 선택하는 렌즈설계기준의 선택방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기본설계분포군을 선택하는 공정에, 또한, 다른 사람에 의해서 판단되는 상기 사용자의 생활 모습의 중요도로부터 제6 기본설계 선택포인트를 계산하는 스텝이 포함되어 있고,
    상기 기본설계 선택포인트를 계산하는 스텝에서 상기 제6 기본설계 선택포인트를 포함하는 상기 제1 ~ 제6 기본설계 선택포인트에 근거하여 상기 기본설계 선택포인트를 계산하는 렌즈설계기준의 선택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이전에 안경렌즈를 사용하고 있고, 전회 사용한 안경렌즈가 누진굴절력렌즈일 때,
    상기 파라미터 설정공정은, 또한,
    전회 사용된 누진굴절력렌즈의 기본설계분포와 코리도 길이를 포함하는 타입 정보를 입력하는 스텝과,
    전회 사용된 누진굴절력렌즈에 대한 만족도를 입력하는 스텝이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기본설계분포군을 선택하는 공정은, 또한, 상기 전회 사용된 누진굴절력렌즈의 타입 정보로부터 제7 기본설계 선택포인트를 계산하는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기본설계 선택포인트를 계산하는 스텝에서 상기 제7 기본설계 선택포인트를 포함하는 상기 제1 ~ 제7 기본설계 선택포인트와, 상기 전회 사용된 누진굴절력렌즈의 기준 렌즈 설계 정보와, 전회 사용된 누진굴절력렌즈에 대한 만족도로부터 계산하는 렌즈설계기준의 선택방법.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이전에 안경렌즈를 사용하고 있고, 전회 사용한 안경렌즈가 누진굴절력렌즈일 때,
    상기 파라미터를 입력하는 공정은, 또한,
    전회 사용된 누진굴절력렌즈의 가입도수와, 이번의 가입도수와의 차이를 입력하는 스텝과,
    전회 사용된 누진굴절력렌즈의 기본설계분포와 코리도 길이를 포함하는 타입 정보를 입력하는 스텝과,
    전회 사용된 누진굴절력렌즈에 대한 만족도를 입력하는 스텝이 포함되어 있고,
    상기 코리도 길이를 선택하는 공정은, 또한,
    상기 전회 사용된 누진굴절력렌즈의 가입도수와 이번의 가입도수와의 차이로부터 제4 코리도 길이 선택 포인트를 계산하는 스텝과,
    상기 전회 사용된 누진굴절력렌즈의 타입 정보로부터 제5 코리도 길이 선택 포인트를 계산하는 스텝을 포함하며,
    상기 코리도 길이 선택 포인트를 계산하는 스텝에서 상기 제4 및 제5 코리도 길이 선택 포인트를 포함하는 상기 제1 ~ 제5 코리도 길이 선택 포인트와, 상기 코리도 길이 가능 지표와, 상기 전회 사용된 누진굴절력렌즈의 타입 정보와, 상기 전회 사용된 누진굴절력렌즈의 만족도로부터 계산하는 렌즈설계기준의 선택방법.
  12.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기본설계분포군으로서, 표준의 기본설계분포군과, 상기 표준의 기본설계분포보다도 원방시 영역을 좁게 하고, 중간시 영역으로부터 근방시 영역에 걸친 측방부분의 수차를 저감화하는 소프트 타입의 기본설계분포군과, 상기 표준의 기본설계분포군보다도 원방시 영역을 넓게 하고, 중간시 영역으로부터 근방시 영역에 걸친 측방부분의 수차를 증가시키는 클리어 타입의 기본설계분포군을 준비하며,
    상기 코리도 길이로서, 표준의 코리도 길이와, 상기 표준의 코리도 길이보다 짧은 코리도 길이와, 상기 표준의 코리도 길이보다도 긴 코리도 길이를 준비하는 렌즈설계기준의 선택방법.
  13.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기본설계분포군으로서, 표준의 기본설계분포군과, 상기 표준의 기본설계분포보다도 원방시 영역을 좁게 하고, 중간시 영역으로부터 근방시 영역에 걸친 측방부분의 수차를 저감화하는 소프트 타입의 기본설계분포군과, 상기 표준의 기본설계분포군보다도 원방시 영역을 넓게 하고, 중간시 영역으로부터 근방시 영역에 걸친 측방부분의 수차를 증가시키는 클리어 타입의 기본설계분포군을 준비하며,
    상기 제1 기본설계 선택포인트를 선정할 때,
    좌우의 구면 굴절력을 각각 SPHR 및 SPHL, 좌우의 원주 굴절력을 각각 CYLR 및 CYLL로 했을 때, 좌우의 원용평균도수 MPW를,
    MPW = {(SPHR + CYLR/2) + (SPHL + CYLL/2)}/2
    로 하고,
    상기 MPW가 소정의 부(負)의 도수 이상의 도수일 때, 상기 클리어 타입에서의 기본설계분포군을 선택하도록 상기 제1 기본설계 선택포인트를 선정하는 렌즈설계기준의 선택방법.
  14.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기본설계분포군으로서, 표준의 기본설계분포군과, 상기 표준의 기본설계분포보다도 원방시 영역을 좁게 하고, 중간시 영역으로부터 근방시 영역에 걸친 측방부분의 수차를 저감화하는 소프트 타입의 기본설계분포군과, 상기 표준의 기본설계분포군보다도 원방시 영역을 넓게 하고, 중간시 영역으로부터 근방시 영역에 걸친 측방부분의 수차를 증가시키는 클리어 타입의 기본설계분포군을 준비하며,
    상기 제2 기본설계 선택포인트를 선정할 때,
    상기 좌우의 가입도수의 평균이 소정의 도수를 넘는 경우는 상기 클리어 타입에서의 기본설계분포군을 선택하도록 상기 제2 기본설계 선택포인트를 선정하고,
    상기 좌우의 가입도수의 평균이 소정의 도수 미만인 경우는 상기 소프트 타입에서의 기본설계분포군을 선택하도록 상기 제2 기본설계 선택포인트를 선정하는 렌즈설계기준의 선택방법.
  15.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기본설계분포군으로서, 표준의 기본설계분포군과, 상기 표준의 기본설계분포보다도 원방시 영역을 좁게 하고, 중간시 영역으로부터 근방시 영역에 걸친 측방부분의 수차를 저감화하는 소프트 타입의 기본설계분포군과, 상기 표준의 기본설계분포군보다도 원방시 영역을 넓게 하고, 중간시 영역으로부터 근방시 영역에 걸친 측방부분의 수차를 증가시키는 클리어 타입의 기본설계분포군을 준비하며,
    상기 제3 기본설계 선택포인트를 선정할 때,
    상기 누진굴절력렌즈의 앞쪽 경사각이 소정의 각도를 넘는 경우는 상기 클리어 타입에서의 기본설계분포군을 선택하도록 상기 제3 기본설계 선택포인트를 선정하고,
    상기 누진굴절력렌즈의 앞쪽 경사각이 소정의 각도 미만인 경우는 상기 소프트 타입에서의 기본설계분포군을 선택하도록 상기 제3 기본설계 선택포인트를 선정하는 렌즈설계기준의 선택방법.
  16.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기본설계분포군으로서, 표준의 기본설계분포군과, 상기 표준의 기본설계분포보다도 원방시 영역을 좁게 하고, 중간시 영역으로부터 근방시 영역에 걸친 측방부분의 수차를 저감화하는 소프트 타입의 기본설계분포군과, 상기 표준의 기본설계분포군보다도 원방시 영역을 넓게 하고, 중간시 영역으로부터 근방시 영역에 걸친 측방부분의 수차를 증가시키는 클리어 타입의 기본설계분포군을 준비하며,
    상기 제4 기본설계 선택포인트를 선정할 때,
    상기 좌우의 누진굴절력렌즈의 이면정점과 좌우의 안구각막정점과의 거리가 소정의 간격을 넘을 때, 상기 클리어 타입에서의 기본설계분포군을 선택하도록 상기 제4 기본설계 선택포인트를 선정하는 렌즈설계기준의 선택방법.
  17.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기본설계분포군으로서, 표준의 기본설계분포군과, 상기 표준의 기본설계분포보다도 원방시 영역을 좁게 하고, 중간시 영역으로부터 근방시 영역에 걸친 측방부분의 수차를 저감화하는 소프트 타입의 기본설계분포군과, 상기 표준의 기본설계분포군보다도 원방시 영역을 넓게 하고, 중간시 영역으로부터 근방시 영역에 걸친 측방부분의 수차를 증가시키는 클리어 타입의 기본설계분포군을 준비하며,
    상기 제5 기본설계 선택포인트를 선정할 때,
    상기 사용자의 옥내 생활이 장시간이거나 또는 먼 곳을 넓게 바라보는 시간이 적은 경우는 상기 소프트 타입에서의 기본설계분포군을 선택하고,
    옥외 생활이 장시간이거나 또는 먼 곳을 넓게 바라보는 것이 많은 경우는 상기 클리어 타입에서의 기본설계분포군을 선택하도록 상기 제5 기본설계 선택포인트를 선정하는 렌즈설계기준의 선택방법.
  18.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기본설계분포군으로서, 표준의 기본설계분포군과, 상기 표준의 기본설계분포보다도 원방시 영역을 좁게 하고, 중간시 영역으로부터 근방시 영역에 걸친 측방부분의 수차를 저감화하는 소프트 타입의 기본설계분포군과, 상기 표준의 기본설계분포군보다도 원방시 영역을 넓게 하고, 중간시 영역으로부터 근방시 영역에 걸친 측방부분의 수차를 증가시키는 클리어 타입의 기본설계분포군을 준비하며,
    상기 제6 기본설계 선택포인트를 선정할 때,
    안경점 측이 사용자로부터 얻어지는 정보 및 이전 제조한 안경렌즈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소프트 타입에서의 기본설계분포군인지 상기 클리어 타입에서의 기본설계분포군인지의 지표가 되는 포인트를 선정하는 렌즈설계기준의 선택방법.
  19.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기본설계분포군으로서, 표준의 기본설계분포군과, 상기 표준의 기본설계분포보다도 원방시 영역을 좁게 하고, 중간시 영역으로부터 근방시 영역에 걸친 측방부분의 수차를 저감화하는 소프트 타입의 기본설계분포군과, 상기 표준의 기본설계분포군보다도 원방시 영역을 넓게 하고, 중간시 영역으로부터 근방시 영역에 걸친 측방부분의 수차를 증가시키는 클리어 타입의 기본설계분포군을 준비하며,
    상기 제7 기본설계 선택포인트를 선정할 때,
    전회 사용한 안경렌즈가 누진굴절력렌즈이고, 상기 전회 사용한 누진굴절력렌즈의 만족도가 높은 경우는 상기 전회 사용한 누진굴절력렌즈가 소프트 타입이면 소프트 타입에서의 기본설계분포군을 선택하며, 상기 전회 사용한 누진굴절력렌즈가 클리어 타입이면 클리어 타입에서의 기본설계분포군을 선택하도록 상기 제7 기본설계 선택포인트를 선정하는 렌즈설계기준의 선택방법.
  2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코리도 길이로서, 표준의 코리도 길이와, 상기 표준의 코리도 길이보다 짧은 코리도 길이와, 상기 표준의 코리도 길이보다 긴 코리도 길이를 준비하고,
    상기 제1 코리도 길이 선택 포인트를 선정할 때,
    좌우의 구면 굴절력을 각각 SPHR 및 SPHL, 좌우의 원주 굴절력을 각각 CYLR 및 CYLL로 했을 때, 좌우의 평균도수 MPW를
    MPW = {(SPHR + CYLR/2) + (SPHL + CYLL/2)}/2
    로 하고,
    상기 MPW가 소정의 도수 미만인 경우는 상기 표준의 코리도 길이보다 짧은 코리도 길이를 선택하며,
    상기 MPW가 소정의 도수 이상인 경우는 상기 표준의 코리도 길이보다 긴 코리도 길이를 선택하도록 상기 제1 코리도 길이 선택 포인트를 선정하는 렌즈설계기준의 선택방법.
  2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코리도 길이로서, 표준의 코리도 길이와, 상기 표준의 코리도 길이보다 짧은 코리도 길이와, 상기 표준의 코리도 길이보다도 긴 코리도 길이를 준비하고,
    상기 제2 코리도 길이 선택 포인트를 선정할 때,
    상기 좌우의 세로방향 원용도수차가 큰 경우에 짧은 코리도 길이를 선택하도록 상기 제2 코리도 길이 선택 포인트를 선정하는 렌즈설계기준의 선택방법.
  2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코리도 길이로서, 표준의 코리도 길이와, 상기 표준의 코리도 길이보다 짧은 코리도 길이와, 상기 표준의 코리도 길이보다 긴 코리도 길이를 준비하고,
    상기 제3 코리도 길이 선택 포인트를 선정할 때,
    상기 좌우의 누진굴절력렌즈의 이면정점과 좌우의 안구각막정점과의 거리가 소정의 간격을 넘을 때에는 상기 표준의 코리도 길이보다 긴 코리도 길이를 선택하도록 하고, 소정의 간격보다 작을 때에는 상기 표준의 코리도 길이보다 짧은 코리도 길이를 선택하도록 상기 제3 코리도 길이 선택 포인트를 선정하는 렌즈설계기준의 선택방법.
  2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코리도 길이로서, 표준의 코리도 길이와, 상기 표준의 코리도 길이보다 짧은 코리도 길이와, 상기 표준의 코리도 길이보다 긴 코리도 길이를 준비하고,
    상기 제4 코리도 길이 선택 포인트를 선정할 때,
    상기 좌우의 누진굴절력렌즈와 전회 사용한 누진굴절력렌즈와의 가입도수차가 소정 도수 이상 때, 상기 표준의 코리도 길이보다 긴 코리도 길이를 선택하도록 상기 제4 코리도 길이 선택 포인트를 선정하는 렌즈설계기준의 선택방법.
  2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코리도 길이로서, 표준의 코리도 길이와, 상기 표준의 코리도 길이보다 짧은 코리도 길이와, 상기 표준의 코리도 길이보다 긴 코리도 길이를 준비하고,
    상기 제5 코리도 길이 선택 포인트를 선정할 때,
    전회 사용한 안경렌즈가 누진굴절력렌즈이며, 상기 전회 사용한 누진굴절력렌즈의 만족도가 높은 경우는 상기 전회 사용한 누진굴절력렌즈의 코리도 길이에 가까운 코리도 길이를 선택하도록 상기 제5 코리도 길이 선택 포인트를 선정하는 렌즈설계기준의 선택방법.
  25.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기본설계분포군으로서, 표준의 기본설계분포군과, 상기 표준의 기본설계분포보다도 원방시 영역을 좁게 하고, 중간시 영역으로부터 근방시 영역에 걸친 측방부분의 수차를 저감화하는 소프트 타입의 기본설계분포군과, 상기 표준의 기본설계분포군보다도 원방시 영역을 넓게 하고, 중간시 영역으로부터 근방시 영역에 걸친 측방부분의 수차를 증가시키는 클리어 타입의 기본설계분포군을 준비하며,
    전회 사용된 안경렌즈가 다초점 렌즈인 경우, 상기 클리어 타입에서의 기본설계분포군을 선택하도록 상기 제6 기본설계 선택포인트를 선정하는 렌즈설계기준의 선택방법.
  26.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코리도 길이로서, 표준의 코리도 길이와, 상기 표준의 코리도 길이보다 짧은 코리도 길이와, 상기 표준의 코리도 길이보다 긴 코리도 길이를 준비하고,
    상기 전회 사용된 안경렌즈가 다초점 렌즈인 경우, 상기 표준의 코리도 길이보다 짧은 코리도 길이를 선택하도록 상기 제5 코리도 길이 선택 포인트를 선정하는 렌즈설계기준의 선택방법.
KR1020107023155A 2008-04-28 2009-04-28 렌즈설계기준의 선택방법 KR1013028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117444 2008-04-28
JP2008117444 2008-04-28
PCT/JP2009/058351 WO2009133887A1 (ja) 2008-04-28 2009-04-28 レンズ設計基準の選択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4819A KR20100124819A (ko) 2010-11-29
KR101302857B1 true KR101302857B1 (ko) 2013-09-02

Family

ID=41255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3155A KR101302857B1 (ko) 2008-04-28 2009-04-28 렌즈설계기준의 선택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690323B2 (ko)
EP (1) EP2273306B1 (ko)
JP (1) JP5094968B2 (ko)
KR (1) KR101302857B1 (ko)
CN (1) CN102007445B (ko)
AU (1) AU2009241002C1 (ko)
WO (1) WO20091338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24190B2 (en) 2007-12-13 2017-08-08 Amo Groningen B.V. Customized multifocal ophthalmic lens
US8770748B2 (en) 2011-11-09 2014-07-08 Indo Internacional S.A. Procedure for designing a progressive ophthalmic lens and corresponding lens
EP2812858A2 (en) * 2012-02-10 2014-12-17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Générale D'Optique) System and method for real time segmentation
DE102012014399A1 (de) 2012-07-20 2014-05-15 Carl Zeiss Vision International Gmbh Vorrichtung zum Ermitteln und Ausgeben eines für einen Brillenträger geeigneten Brillenlinsentyp
US10032297B2 (en) 2013-02-06 2018-07-24 Hoya Corporation Simulation system, simulation device, and product explanation assistance method
EP3088938A4 (en) 2013-12-26 2017-08-02 Hoya Lens Thailand Ltd. Method, program,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progressive refractive power lens, progressive refractive power lens manufacturing method, and lens supply system
CN106030383B (zh) * 2014-02-19 2019-03-29 豪雅镜片泰国有限公司 眼镜镜片供应系统、其程序、棱镜量决定装置、棱镜量决定方法及眼镜镜片的制造方法
JP2015194511A (ja) * 2014-03-31 2015-11-05 ホヤ レンズ タイランド リミテッドHOYA Lens Thailand Ltd 眼鏡レンズを製造するための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眼鏡レンズの製造方法及びレンズ供給システム
EP3006991A1 (en) * 2014-10-08 2016-04-13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Generale D'optique) Method for determining a lens design of an optical lens adapted to a wearer
EP3455671A1 (en) 2016-05-10 2019-03-20 Materialise N.V. Method of designing and placing a lens within a spectacles frame
CN113325607A (zh) 2016-11-30 2021-08-31 株式会社尼康依视路 眼镜镜片的设计方法、制造方法、订购装置、订购接受装置、订购及订购接受系统
EP3650923A4 (en) 2017-07-03 2021-03-24 Nikon-Essilor Co., Ltd. METHOD OF DESIGNING EYEGLASSES, METHOD FOR MANUFACTURING EYEGLASSES, EYEGLASSES, EYEGLASSES ORDERING DEVICE, EYEGLASSES ORDERING DEVICE, AND EYEGLASSES ORDERING AND RECEIVING SYSTEM
US10007128B1 (en) * 2017-10-02 2018-06-26 Carl Zeiss Vision International Gmbh Method and device for establishing a target design
CN111512236B (zh) * 2017-12-22 2023-01-24 Asml荷兰有限公司 涉及光学像差的图案化过程改进
EP3599499A1 (en) * 2018-07-24 2020-01-29 Essilor International Method for determining an optical criterion for a design of a sport-adapted optical lens
EP4080270A4 (en) * 2019-12-20 2024-01-24 Nikon Essilor Co Ltd METHOD FOR DESIGNING A GLASSES LENS, METHOD FOR MANUFACTURING A GLASSES LENS, GLASSES LENS, DEVICE FOR DESIGNING A GLASSES LENS, SYSTEM FOR ORDERING AND RECEIVING AN ORDER FOR A GLASSES LENS, AND DESIGN PROGRA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3015A (ja) * 1992-08-25 1994-03-08 Hoya Corp 眼鏡レンズ選定方法及び眼鏡レンズ選定補助具
WO1998016862A1 (en) 1996-10-14 1998-04-23 Seiko Epson Corporation Method of manufacturing progressive multifocal lens
JP2006126877A (ja) 1996-10-14 2006-05-18 Seiko Epson Corp 累進多焦点レンズ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94500B2 (ja) 1990-01-09 1999-05-24 ホーヤ 株式会社 累進多焦点レンズ選択テーブル表
JPH0664015A (ja) * 1992-08-12 1994-03-08 Toshiba Mach Co Ltd 実稼動中の射出成形機の成形条件変更方法
US5691799A (en) * 1996-01-31 1997-11-25 Ramachandran; Narayana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vertical and horizontal pupillary decentration
EP1835328B1 (en) 1996-04-04 2012-10-17 Carl Zeiss Vision Australia Holdings Ltd. Progressive lens elements and methods for designing and using same
JP4088941B2 (ja) * 1996-10-14 2008-05-2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眼鏡レンズの選択方法及び選択装置
JP3276866B2 (ja) * 1996-12-27 2002-04-22 ホーヤ株式会社 眼鏡加工方法及び眼鏡フレーム
JP3881449B2 (ja) 1998-04-17 2007-02-14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累進多焦点レンズの加工方法
AU769864B2 (en) * 1999-02-12 2004-02-05 Hoya Corporation Eyeglass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AUPR949101A0 (en) * 2001-12-14 2002-01-24 Sola International Holdings Ltd Method for prescribing and/or dispensing ophthalmic lenses
AU2002953061A0 (en) 2002-11-20 2002-12-19 Sola International Holdings Ltd Method for designing progressive lenses
EP1877855B1 (en) * 2005-05-05 2015-07-01 Carl Zeiss Vision Australia Holdings Ltd. An array of progressive ophthalmic lens elements
DE102005038859A1 (de) * 2005-08-17 2007-03-01 Rodenstock Gmbh Tool zur Berechnung der Performance von Gleitsichtgläsern
FR2898993B1 (fr) * 2006-03-24 2008-08-01 Essilor Int Procede de determination d'une lentille ophtalmique progressiv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3015A (ja) * 1992-08-25 1994-03-08 Hoya Corp 眼鏡レンズ選定方法及び眼鏡レンズ選定補助具
WO1998016862A1 (en) 1996-10-14 1998-04-23 Seiko Epson Corporation Method of manufacturing progressive multifocal lens
JP2006126877A (ja) 1996-10-14 2006-05-18 Seiko Epson Corp 累進多焦点レンズ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9133887A1 (ja) 2011-09-01
AU2009241002C1 (en) 2013-05-16
WO2009133887A1 (ja) 2009-11-05
JP5094968B2 (ja) 2012-12-12
US8690323B2 (en) 2014-04-08
EP2273306B1 (en) 2017-12-27
CN102007445B (zh) 2012-11-28
KR20100124819A (ko) 2010-11-29
EP2273306A1 (en) 2011-01-12
EP2273306A4 (en) 2013-10-02
AU2009241002A1 (en) 2009-11-05
US20110043754A1 (en) 2011-02-24
CN102007445A (zh) 2011-04-06
AU2009241002B2 (en) 2012-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2857B1 (ko) 렌즈설계기준의 선택방법
JP3944914B2 (ja) 累進多焦点レンズの製造方法
JP6284553B2 (ja) 累進屈折力レンズ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プログラム及び装置並びに累進屈折力レンズの製造方法及びレンズ供給システム
JP6845795B2 (ja) 装用者に適合された光学レンズのレンズ設計を決定する方法
JP2007241276A (ja) 累進焦点眼鏡レンズの決定方法
CN104335103A (zh) 用于为佩戴者提供个性化眼镜片光学系统的方法
WO2020016382A1 (en) Method for determining an ophthalmic equipment and system associated
WO2010034727A1 (en) Method for determining the inset of a progressive addition lens
JP2006126877A (ja) 累進多焦点レンズの製造方法
JP5872785B2 (ja) 累進屈折力レンズの設計方法
JP5822483B2 (ja) 眼鏡用レンズ
WO2015125868A1 (ja) 眼鏡レンズ設計方法、眼鏡レンズ製造方法、眼鏡レンズ、眼鏡レンズ設計システム、眼鏡レンズ設計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11204511B2 (en) Progressive optical designs for different add powers
JP5822482B2 (ja) 眼鏡用レンズ
JP2008299168A (ja) 非球面眼鏡レンズ及び非球面眼鏡レンズの製造方法
JP6242013B2 (ja) 眼鏡レンズ、並びに眼鏡レンズの設計方法、製造方法及び製造システム
EP4080270A1 (en) Method for designing spectacle lens, method for manufacturing spectacle lens, spectacle lens, device for designing spectacle lens, system for ordering and receiving order of spectacle lens, and design program
EP4174560A1 (en) Method for determining a pair of progressive addition lenses
TW202101071A (zh) 計算方法、影像生成方法、眼鏡鏡片之設計方法、眼鏡鏡片之製造方法、眼鏡鏡片、眼鏡鏡片之販賣方法、計算裝置及程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