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2839B1 - 자동차 워셔탱크 성형용 금형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 워셔탱크 성형용 금형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2839B1
KR101302839B1 KR1020110035380A KR20110035380A KR101302839B1 KR 101302839 B1 KR101302839 B1 KR 101302839B1 KR 1020110035380 A KR1020110035380 A KR 1020110035380A KR 20110035380 A KR20110035380 A KR 20110035380A KR 101302839 B1 KR101302839 B1 KR 1013028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molding
slide
washer tank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5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7565A (ko
Inventor
강창식
Original Assignee
강창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창식 filed Critical 강창식
Priority to KR1020110035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2839B1/ko
Publication of KR20120117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75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2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28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4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 B29C45/4435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using inclined, tiltable or flexible undercut forming elements driven by the ejecto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3Moulds having transversely, e.g. radially, movable moul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6Moulds having means for locating or centering 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워셔탱크 성형용 금형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형 금형에 의해 스프링 탄성으로 상승 및 하강하는 슬라이드 코어를 이용하여 워셔탱크의 결합 돌기에 형성된 구멍을 형성함과 동시에 언더 컷(under cut)을 해소함으로써, 하나의 금형을 통해 워셔탱크를 사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워셔탱크 성형용 금형 제조 방법은, (a) 자동차 워셔탱크(이하, "워셔탱크"라고 한다)(10)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 성형물을 사출하는 슬라이드 부재(210)를 하형 금형(200)의 성형물 형상부(201)에 슬라이딩시키는 단계와, (b) 상기 하형 금형(200)에 상형 금형(100)을 결합하는 단계와, (c) 상기 상형 및 하형 금형(100,200)이 결합 될 때 상기 상형 금형(100)의 누르는 힘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부재(210)의 슬라이드 코어(220)가 하강하여 성형물 형성 홈에 밀착시키는 단계와, (d) 상기 상형 및 하형 금형(100)(200)에 용융 수지를 주입하여 성형물을 성형하는 단계와, (e) 상기 하형 금형(200)에서 상형 금형(100)을 분리하는 단계와, (f) 상기 하형 금형(200)에서 상기 상형 금형(100)이 분리될 때 상기 슬라이드 부재(210)의 슬라이드 코어(220)가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상승하면서 상기 성형물 형성 홈에서 분리되어 언더컷을 해소하는 단계와, (g) 상기 슬라이드 부재(210)를 유압 실린더(230)로 슬라이딩시켜 상기 하형 금형(200)의 성형물 형상부(201)에서 분리시키는 단계 및, (h) 상기 슬라이드 코어(220)에 의해 구멍이 형성된 성형물을 상기 하형 금형(200)에서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워셔탱크 성형용 금형 및 그 제조 방법{The dies for forming washer tank of cars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 same}
본 발명은 자동차 워셔탱크 성형용 금형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금형을 통해 워셔탱크를 사출할 수 있는 자동차 워셔탱크 성형용 금형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전면유리에 먼지가 쌓여서 운전자의 전방시계가 미약하게 되면 워셔액을 분사하여 세착을 이룰 수 있도록 워셔액을 보관하는 워셔탱크가 엔진룸에 장착되어 워셔액을 분사하도록 되어 있음은 보편적이다.
이러한 워셔액 분사장치는 도 1에서와 같이 엔진룸(1)의 일측에 마련된 서스타워(2) 전방에 배치되는 워셔탱크(10)에 호스(5)가 소정간격 배치된 클립(6)으로 연결되어서 본넷트(4)를 통하여 전방유리로 분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은 자동차 워셔탱크(이하, "워셔탱크"라고 한다)(10)의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워셔탱크의 일부 확대도이다.
상기 워셔탱크(10)는 차량의 엔진룸에 설치되어 워셔액을 저장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차량의 복잡한 엔진룸 구조에 따라 외부 형상이 복잡하게 굴곡지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굴곡지게 형성된 외주면의 내측에는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결합돌기(11,12) 등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결합돌기(12)에는 구멍(13)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복잡한 구조로 인해, 종래에는 하나의 금형을 통해 상기와 같은 구조의 워셔탱크(10)를 사출하기가 불가능하였다. 즉, 종래의 금형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워셔탱크(10)를 사출할 경우 상기 워셔탱크(10) 내측에 형성된 결합돌기(12)의 구멍(13)으로 인해 언더컷이 해소되지 않아 하나의 금형으로 사출하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형 금형에 의해 스프링 탄성으로 상승 및 하강하는 슬라이드 코어를 이용하여 워셔탱크의 결합 돌기에 형성된 구멍을 형성함과 동시에 언더 컷(under cut)을 해소함으로써, 하나의 금형을 통해 워셔탱크를 사출할 수 있는 자동차 워셔탱크 성형용 금형 및 그 제조 방법을 제시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형 및 하형 금형이 결합 될 때 하형 금형에 설치된 슬라이드 코어가 상형 금형에 의해 하강하여 워셔탱크에 형성된 결합 돌기 구멍을 형성하고, 상형 및 하형 금형이 분리될 때 슬라이드 코어가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상승하여 결합 돌기 구멍의 언더 컷(under cut)을 해소하는 자동차 워셔탱크 성형용 금형 및 그 제조 방법을 제시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슬라이드 코어를 구비한 슬라이드 부재를 하형 금형의 성형 형성부에 슬라이딩시켜 성형물을 사출하고, 상기 성형물이 사출된 후 상형 및 하형 금형이 분리되면 상기 슬라이드 부재를 원위치로 슬라이딩시켜 성형물의 언더 컷을 해소하는 자동차 워셔탱크 성형용 금형 및 그 제조 방법을 제시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워셔탱크 성형용 금형 제조 방법은, (a) 자동차 워셔탱크(이하, "워셔탱크"라고 한다)(10)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 성형물을 사출하는 슬라이드 부재(210)를 하형 금형(200)의 성형물 형상부(201)에 슬라이딩시키는 단계와, (b) 상기 하형 금형(200)에 상형 금형(100)을 결합하는 단계와, (c) 상기 상형 및 하형 금형(100,200)이 결합 될 때 상기 상형 금형(100)의 누르는 힘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부재(210)의 슬라이드 코어(220)가 하강하여 성형물 형성 홈에 밀착시키는 단계와, (d) 상기 상형 및 하형 금형(100)(200)에 용융 수지를 주입하여 성형물을 성형하는 단계와, (e) 상기 하형 금형(200)에서 상형 금형(100)을 분리하는 단계와, (f) 상기 하형 금형(200)에서 상기 상형 금형(100)이 분리될 때 상기 슬라이드 부재(210)의 슬라이드 코어(220)가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상승하면서 상기 성형물 형성 홈에서 분리되어 언더컷을 해소하는 단계와, (g) 상기 슬라이드 부재(210)를 유압 실린더(230)로 슬라이딩시켜 상기 하형 금형(200)의 성형물 형상부(201)에서 분리시키는 단계 및, (h) 상기 슬라이드 코어(220)에 의해 구멍이 형성된 성형물을 상기 하형 금형(200)에서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워셔탱크 성형용 금형은, 워셔탱크(10)를 사출하기 위한 성형물 형상부(110)가 일체로 형성된 상형 금형(100) 및, 상기 워셔탱크(10)를 사출하기 위한 성형물 형상부(20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워셔탱크(10)에 돌출 형성된 성형물을 성형하는 슬라이드 부재(210)가 유압실린더(230)에 의해 슬라이딩 되도록 구성된 하형 금형(200);을 포함하며, 상기 워셔탱크(10)는 외주면 내측에 제 1 및 제 2 결합 돌기(11,1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및 제 2 결합 돌기(11,12) 중 어느 하나에 구멍(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드 부재(210)는 상기 성형물 형상부(201)와 결합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결합 돌기(11,12)를 제 1 및 제 2 성형 홈(213,214)을 통해 형성하되, 상기 상형 및 하형 금형(100,200)의 결합 및 분리에 의해 상하로 슬라이딩 되는 슬라이딩 코어(210)에 의해 상기 제 2 결합 돌기(12)의 구멍(13)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드 부재(210)는, 상기 하형 금형의 성형물 형상부(201)와 결합하는 성형물 형상부(216)와, 상기 성형물 형상부(216)의 상부에 절개된 수평면에 형성된 슬라이드 구멍(217)과, 상기 절개된 수평면에 형성된 스프링 설치구멍(218)과, 상기 성형물 형상부(216)의 전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드 구멍(217)을 통해 슬라이딩 된 상기 슬라이드 코어(220)에 의해 상기 제 2 결합 돌기(12)와 구멍(13)을 성형하는 제 2 성형 홈(214)과, 상기 성형물 형상부(216)의 수평면상에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드 코어(220)를 설치하기 위한 구멍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어 있고, 전면에 상기 제 1 결합 돌기(11)를 사출하기 위한 제 1 성형 홈(213)이 형성되어 있는 코어 지지체(212)와, 상기 스프링 설치구멍(218)에 설치된 스프링을 설치하기 위한 스프링 설치구멍(224)이 하면 내측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구멍(217)을 통해 상기 제 2 성형 홈(214)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슬라이드 바(221)가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결합 돌기(11)를 사출하기 위한 성형물 형상부(225)가 하면에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드 코어(220) 및, 상기 성형물 형상부(216)의 상부 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드 코어(220)의 슬라이딩 동작을 제어하는 멈춤 쇠(211)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형 금형의 움직임에 따라 스프링 탄성으로 상승 및 하강하는 슬라이드 코어를 이용하여 성형물에 형성된 구멍을 형성함과 동시에 언더 컷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형물이 사출된 후 상형 및 하형 금형이 분리되면 하형 금형의 성형 형상부로 슬라이딩 된 슬라이드 부재를 원위치로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성형물의 언더 컷을 해소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워셔탱크와 같이 외형 형상이 복잡하고 구멍이 형성된 성형물을 하나의 금형을 통해 간단하고 쉽게 사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자동차의 워셔액 분사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 및 도 3은 자동차 워셔탱크의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워셔탱크의 일부 확대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자동차 워셔탱크 성형용 상형 금형(100)을 나타낸 사시도 및 평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자동차 워셔탱크 성형용 하형 금형(200)을 나타낸 사시도 및 평면도
도 9는 하형 금형(200)의 슬라이드 부재(210)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슬라이드 부재(210)의 제 1 및 제 2 성형 홈(213,214)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도 11은 슬라이드 부재(210)의 슬라이드 코어(220)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
도 12는 코어 지지체(212)를 제거한 슬라이드 부재(210)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3 및 도 14는 슬라이드 코어(220)를 제거한 슬라이드 부재(210)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5 내지 도 17은 슬라이드 코어(220)를 나타낸 도면
도 18은 슬라이드 코어(220)의 하면 구성을 나타낸 도면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워셔탱크 성형용 금형에서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 내측에 제 1 및 제 2 결합 돌기(11,1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결합 돌기(12)에 구멍(13)이 형성되어 있는 워셔탱크(10)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하지만, 이러한 구조를 갖는 워셔탱크 뿐만 아니라 구멍이 일체로 형성된 모든 성형물에 적용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에서 실시하고자 하는 구체적인 기술내용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자동차 워셔탱크 성형용 상형 금형의 실시 예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자동차 워셔탱크 성형용 상형 금형(100)을 나타낸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상기 상형 금형(10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워셔탱크(10)를 사출하기 위한 성형물 형상부(10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성형물 형상부(101)로 하형 금형(200)의 슬라이드 부재(도 7 및 도 8의 210 참조)를 슬라이딩하기 위한 슬라이드 홈(10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부재(210)가 슬라이딩 되는 상기 성형물 형상부(101)의 바닥면에는 푸시 핀(push pin)(103)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푸시 핀(103)은 상기 상형 금형(100)이 상기 하형 금형(200)과 결합 될 때 상기 하형 금형(200)에 설치된 상기 슬라이드 부재(210)의 슬라이드 코어(220)를 위에서 누르도록 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드 부재(210) 및 슬라이드 코어(220)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 7 이하의 하형 금형(200)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자동차 워셔탱크 성형용 하형 금형의 실시 예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자동차 워셔탱크 성형용 하형 금형(200)을 나타낸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상기 하형 금형(200)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워셔탱크(10)를 사출하기 위한 성형물 형상부(201)가 상기 상형 금형(100)의 성형물 형상부(101)와 대응되도록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워셔탱크(10)에 돌출 형성된 성형물과 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슬라이드 부재(210)가 유압실린더(230)에 의해 슬라이딩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드 부재(210)는 상기 성형물 형상부(201)와 결합하여 상기 워셔탱크(10)의 제 1 및 제 2 결합 돌기(11,12)를 형성하고, 또한 상기 제 2 결합 돌기(12)에 형성된 구멍(13)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 부재(210)는 상기 구멍(13)을 형성한 후 언더 컷을 해소하기 위해 스프링 탄성에 의해 상승 및 하강하는 슬라이드 코어(22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슬라이드 코어(220)는 앞에서 잠깐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상형 금형(100)의 결합시 상기 상형 금형(100)의 바닥면에 형성된 상기 푸시 핀(103)에 의해 동작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슬라이드 코어(220)는 상기 상형 금형(100)이 상기 하형 금형(200)과 결합할 때 상기 상형 금형(100)의 푸시 핀(103)에 의해 눌러져서 상기 제 2 결합 돌기(12)를 형성하는 제 2 성형 홈(도 9 및 도 10의 214 참조)의 바닥면에 밀착되도록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 2 성형 홈(214)에 용융 수지가 주입되면 상기 성형 홈(214)의 형상에 따라 상기 워셔탱크(10)의 제 2 결합 돌기(12)가 사출되고, 상기 제 2 성형 홈(214)의 바닥면에 밀착된 상기 슬라이드 코어(220)의 슬라이드 바(도 12 및 도 16의 221 참조)에 의해 상기 제 2 결합 돌기(12)에 구멍(13)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워셔탱크(10)의 사출이 완료된 후 상기 상형 금형(100)을 위로 들어올리면 상기 상형 금형(100)의 푸시 핀(103)에 의해 눌러져 있던 상기 슬라이드 코어(220)가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위로 상승하면서 상기 제 2 결합 돌기(12)의 구멍(13)을 형성함과 함께 언더 컷을 해소하게 된다. 그 후, 상기 워셔탱크(10)의 제 1 및 제 2 결합 돌기(11,12)를 형성하는데 사용되었던 상기 슬라이드 부재(210)를 유압 실린더(230)로 슬라이딩하여 원위치시키면, 상기 제 1 및 제 2 결합 돌기(11,12)에 대한 언더 컷이 해소된다.
도 7 및 도 8에서, 미설명된 도면번호 211은 스프링 탄성에 의해 위로 상승하는 슬라이드 코어(220)를 제동하기 위한 멈춤 쇠(211)이고, 도면번호 212는 상기 슬라이드 코어(220)가 수직으로 상승 및 하강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코어 지지체(212)이다. 상기 코어 지지체(212)는 상기 워셔탱크(10)의 제 1 결합 돌기(11)를 사출하기 위한 제 1 성형 홈(213)을 하단에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이하, 상기 슬라이드 부재(210) 및 상기 슬라이드 코어(220)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슬라이드 부재(210)의 실시 예
도 9는 하형 금형(200)의 슬라이드 부재(210)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슬라이드 부재(210)의 제 1 및 제 2 성형 홈(213,214)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슬라이드 부재(210)의 슬라이드 코어(220)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12는 코어 지지체(212)를 제거한 슬라이드 부재(210)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 및 도 14는 슬라이드 코어(220)를 제거한 슬라이드 부재(210)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5 내지 도 17은 슬라이드 코어(22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8은 슬라이드 코어(220)의 하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상기 슬라이드 부재(210)는 상기 유압 실린더(230)에 의해 전후(또는, 좌우)로 슬라이딩하여 상기 하형 금형(200)의 성형물 형상부(201)와 결합 및 분리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드 부재(210)가 상기 하형 금형(200)의 성형물 형상부(201)로 슬라이딩 된 후 용융수지를 주입하면, 상기 슬라이드 부재(210)의 제 1 및 제 2 성형 홈(213,214)을 통해 상기 워셔탱크(10)의 제 1 및 제 2 결합 돌기(11,12)와 상기 제 2 결합 돌기(12)에 형성된 구멍(13)을 형성한다.
상기 슬라이드 부재(210)는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형 금형(200)의 성형물 형상부(201)와 결합하는 성형물 형상부(216)가 전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성형물 형상부(216)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수평으로 절개된 면을 형성하고 있고, 상기 절개된 수평면상에 상기 슬라이드 코어(220)의 상하 슬라이딩 동작을 지지 및 가이드 하는 코어 지지체(212)가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코어 지지체(212)는 상기 슬라이드 코어(220)를 설치하기 위한 구멍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어 있고, 전면 하단에 상기 워셔탱크(10)의 제 1 결합 돌기(11)를 사출하기 위한 제 1 성형 홈(213)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드 부재(210)는 상기 코어 지지체(212)와 상기 성형물 형상부(216) 사이에 상기 워셔탱크(10)의 제 1 결합 돌기(11)를 사출하기 위한 제 1 성형 홈(21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성형 홈(213)의 아래쪽에 상기 성형물 형상부(216)의 내측으로 상기 워셔탱크(10)의 제 2 결합 돌기(12)를 사출하기 위한 제 2 성형 홈(21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 성형 홈(213)에는 상기 제 1 결합 돌기(11)를 지지 및 보강하는 성형물을 형성하기 위해 제 3 성형 홈(도 10 및 도 12의 215 참조)이 상기 제 1 성형 홈(213)에서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다.
계속해서, 상기 성형물 형상부(216)의 수평면에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결합 돌기(12)의 구멍(13)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슬라이드 부재(220)의 슬라이드 바(221)가 슬라이딩 되는 슬라이딩 구멍(217)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드 코어(220)의 하면 내측으로 연결되는 스프링(도시되지 않음)을 설치하기 위한 스프링 설치구멍(21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드 바(221)의 하면에는 도 16과 같이, 상기 제 2 결합 돌기(12)의 구멍(13)을 형성하기 위한 삽입 턱(222)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성형물 형상부(216)의 수평면 상부 측면에는 상기 슬라이드 코어(220)의 슬라이딩 동작을 제어하는 멈춤 쇠(21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드 코어(220)는 도 15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 설치구멍(218)에 설치된 스프링에 의해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스프링을 설치하기 위한 스프링 설치구멍(224)이 하면 내측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구멍(217)을 통해 상기 제 2 성형 홈(214)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슬라이드 바(221)가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결합 돌기(11)를 사출하기 위한 성형물 형상부(225)가 하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코어(220)에는 스프링 탄성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코어(220)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멈춤 쇠(211)를 체결하는 슬라이드 홈(228)이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드 코어(220)는 도 11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 구멍(217)에 상기 슬라이드 바(221)가 삽입되어 상하로 슬라이딩 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스프링 설치홈(218)에 설치된 스프링을 하면 내측으로 형성된 스프링 설치구멍(224)에 연결하여 상기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수직으로 상승 및 하강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코어(220)는 상기 코어 지지체(212)에 의해 지지 및 안내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드 부재(210)의 상부에 설치된 상기 멈춤 쇠(211)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드 코어(220)는 상기 상형 금형(100)의 결합시 상기 상형 금형(100)의 바닥면에 형성된 상기 푸시 핀(103)에 의해 동작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슬라이드 코어(220)는 상기 상형 금형(100)이 상기 하형 금형(200)과 결합할 때 상기 상형 금형(100)의 푸시 핀(103)에 의해 눌러져서 상기 제 2 결합 돌기(12)를 형성하는 제 2 성형 홈(도 9 및 도 10의 214 참조)의 바닥면에 밀착되도록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 2 성형 홈(214)에 용융 수지가 주입되면 상기 성형 홈(214)의 형상에 따라 상기 워셔탱크(10)의 제 2 결합 돌기(12)가 사출되고, 상기 제 2 성형 홈(214)의 바닥면에 밀착된 상기 슬라이드 코어(220)의 슬라이드 바(도 12 및 도 16의 221 참조)에 의해 상기 제 2 결합 돌기(12)에 구멍(13)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워셔탱크(10)의 사출이 완료된 후 상기 상형 금형(100)을 위로 들어올리면 상기 상형 금형(100)의 푸시 핀(103)에 의해 눌러져 있던 상기 슬라이드 코어(220)가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위로 상승하면서 상기 제 2 결합 돌기(12)의 구멍(13)을 형성함과 함께 언더 컷을 해소하게 된다. 그 후, 상기 워셔탱크(10)의 제 1 및 제 2 결합 돌기(11,12)를 형성하는데 사용되었던 상기 슬라이드 부재(210)를 유압 실린더(230)로 슬라이딩하여 원위치시키면, 상기 제 1 및 제 2 결합 돌기(11,12)에 대한 언더 컷이 해소됨으로써, 하나의 금형을 통해 상기 워셔탱크(10)를 사출할 수가 있다.
자동차 워셔탱크 성형용 금형 제조 방법의 실시 예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워셔탱크 성형용 금형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다.
상기 워셔탱크(10)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 성형물을 사출하는 슬라이드 부재(210)를 하형 금형(200)의 성형물 형상부(201)에 슬라이딩시킨 후 상기 하형 금형(200)에 상형 금형(100)을 결합한다. 이때, 상기 상형 및 하형 금형(100,200)이 결합 될 때 상기 상형 금형(100)의 누르는 힘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부재(210)의 슬라이드 코어(220)가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하강하면서 상기 제 2 형성 홈(214)의 바닥면에 밀착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상형 및 하형 금형(100)(200)에 용융 수지를 주입하여 성형물(워셔탱크)을 성형한다.
그 후, 상기 하형 금형(200)에서 상기 상형 금형(100)을 들어올려 분리한다. 이때, 상기 하형 금형(200)에서 상기 상형 금형(100)이 분리될 때 상기 슬라이드 부재(210)의 슬라이드 코어(220)가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상승하면서 상기 제 2 형성 홈(214)에서 분리된다. 이에 의해, 상기 제 2 형성 홈(214)에서 사출된 상기 제 2 결합 돌기(12)에는 상기 슬라이드 코어(220)의 삽입 턱(222)으로 인해 구멍(13)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2 결합 돌기(12)에 구멍(13)을 형성한 후 상기 슬라이드 코어(220)가 상기 구멍(13)에서 빠져나옴으로써, 상기 구멍(13)으로 인한 언더 컷이 해소된다.
끝으로, 상기 슬라이드 부재(210)를 유압 실린더(230)로 슬라이딩시켜 상기 하형 금형(200)의 성형물 형상부(201)에서 분리시킨 다음, 상기 슬라이드 코어(220)에 의해 구멍이 형성된 성형물을 상기 하형 금형(200)에서 분리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자동차 워셔탱크 성형용 금형 및 그 제조 방법은, 상형 금형에 의해 스프링 탄성으로 상승 및 하강하는 슬라이드 코어를 이용하여 워셔탱크의 결합 돌기에 형성된 구멍을 형성함과 동시에 언더 컷(under cut)을 해소함으로써,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시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자동차 워셔탱크 성형용 금형 및 그 제조 방법에 대해서만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형 금형의 동작에 의해 상승 및 하강하는 슬라이드 코어를 이용하여 사출물에 형성된 구멍을 형성하고 언더 컷을 해소하는 모든 금형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10 : 워셔탱크 11 : 제 1 결합 돌기
12 : 제 2 결합 돌기 13 : 구멍
100 : 상형 금형 101 : 성형물 형상부
102 : 슬라이드 홈 103 : 푸시 핀(push pin)
200 : 하형 금형 201 : 성형물 형상부
210 : 슬라이드 부재 211 : 멈춤 쇠
212 : 코어 지지체 213 : 제 1 성형 홈
214 : 제 2 성형 홈 215 : 제 3 성형 홈
216 : 성형물 형성부 217 : 슬라이딩 구멍
218 : 스프링 설치구멍 220 : 슬라이드 코어
221 : 슬라이드 바 222 : 삽입 턱
223 : 하면 224 : 스프링 설치구멍
225 : 성형물 형상부 226 : 절개부
227 : 체결나사 228 : 슬라이드 홈
230 : 유압실린더

Claims (3)

  1. (a) 자동차 워셔탱크(이하, "워셔탱크"라고 한다)(10)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 성형물을 사출하는 슬라이드 부재(210)를 하형 금형(200)의 성형물 형상부(201)에 슬라이딩시키는 단계와;
    (b) 상기 하형 금형(200)에 상형 금형(100)을 결합하는 단계와;
    (c) 상기 상형 및 하형 금형(100,200)이 결합 될 때 상기 상형 금형(100)의 누르는 힘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부재(210)의 슬라이드 코어(220)가 하강하여 성형물 형성 홈에 밀착시키는 단계와;
    (d) 상기 상형 및 하형 금형(100)(200)에 용융 수지를 주입하여 성형물을 성형하는 단계와;
    (e) 상기 하형 금형(200)에서 상형 금형(100)을 분리하는 단계와;
    (f) 상기 하형 금형(200)에서 상기 상형 금형(100)이 분리될 때 상기 슬라이드 부재(210)의 슬라이드 코어(220)가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상승하면서 상기 성형물 형성 홈에서 분리되어 언더컷을 해소하는 단계와;
    (g) 상기 슬라이드 부재(210)를 유압 실린더(230)로 슬라이딩시켜 상기 하형 금형(200)의 성형물 형상부(201)에서 분리시키는 단계; 및
    (h) 상기 슬라이드 코어(220)에 의해 구멍이 형성된 성형물을 상기 하형 금형(200)에서 분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동차 워셔탱크 성형용 금형 제조 방법.
  2. 워셔탱크(10)를 사출하기 위한 성형물 형상부(110)가 일체로 형성된 상형 금형(100); 및
    상기 워셔탱크(10)를 사출하기 위한 성형물 형상부(20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워셔탱크(10)에 돌출 형성된 성형물을 성형하는 슬라이드 부재(210)가 유압실린더(230)에 의해 슬라이딩 되도록 구성된 하형 금형(200);을 포함하며,
    상기 워셔탱크(10)는 외주면 내측에 제 1 및 제 2 결합 돌기(11,1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및 제 2 결합 돌기(11,12) 중 어느 하나에 구멍(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드 부재(210)는 상기 성형물 형상부(201)와 결합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결합 돌기(11,12)를 제 1 및 제 2 성형 홈(213,214)을 통해 형성하되, 상기 상형 및 하형 금형(100,200)의 결합 및 분리에 의해 상하로 슬라이딩 되는 슬라이딩 코어(210)에 의해 상기 제 2 결합 돌기(12)의 구멍(13)을 형성하는 자동차 워셔탱크 성형용 금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부재(210)는:
    상기 하형 금형의 성형물 형상부(201)와 결합하는 성형물 형상부(216)와;
    상기 성형물 형상부(216)의 상부에 절개된 수평면에 형성된 슬라이드 구멍(217)과;
    상기 절개된 수평면에 형성된 스프링 설치구멍(218)과;
    상기 성형물 형상부(216)의 전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드 구멍(217)을 통해 슬라이딩 된 상기 슬라이드 코어(220)에 의해 상기 제 2 결합 돌기(12)와 구멍(13)을 성형하는 제 2 성형 홈(214)과;
    상기 성형물 형상부(216)의 수평면상에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드 코어(220)를 설치하기 위한 구멍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어 있고, 전면에 상기 제 1 결합 돌기(11)를 사출하기 위한 제 1 성형 홈(213)이 형성되어 있는 코어 지지체(212)와;
    상기 스프링 설치구멍(218)에 설치된 스프링을 설치하기 위한 스프링 설치구멍(224)이 하면 내측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구멍(217)을 통해 상기 제 2 성형 홈(214)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슬라이드 바(221)가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결합 돌기(11)를 사출하기 위한 성형물 형상부(225)가 하면에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드 코어(220); 및
    상기 성형물 형상부(216)의 상부 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드 코어(220)의 슬라이딩 동작을 제어하는 멈춤 쇠(211);
    를 포함하는 자동차 워셔탱크 성형용 금형.
KR1020110035380A 2011-04-15 2011-04-15 자동차 워셔탱크 성형용 금형 및 그 제조 방법 KR1013028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5380A KR101302839B1 (ko) 2011-04-15 2011-04-15 자동차 워셔탱크 성형용 금형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5380A KR101302839B1 (ko) 2011-04-15 2011-04-15 자동차 워셔탱크 성형용 금형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7565A KR20120117565A (ko) 2012-10-24
KR101302839B1 true KR101302839B1 (ko) 2013-09-02

Family

ID=47285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5380A KR101302839B1 (ko) 2011-04-15 2011-04-15 자동차 워셔탱크 성형용 금형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28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6769A (ko) 2018-12-19 2020-06-30 에스. 피. 엘 (주) 차량용 일체형 워셔 컨테이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워셔 컨테이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1883A (ja) * 1994-03-01 1995-09-19 Mitsubishi Materials Corp 金型装置
JPH081680A (ja) * 1994-06-21 1996-01-09 Mitsubishi Materials Corp 成形用金型装置
JP3236801B2 (ja) 1997-07-18 2001-12-10 アスモ株式会社 樹脂製タンクの製造方法
JP2003089140A (ja) 2001-09-18 2003-03-25 Denso Corp タンク成形用の成形型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1883A (ja) * 1994-03-01 1995-09-19 Mitsubishi Materials Corp 金型装置
JPH081680A (ja) * 1994-06-21 1996-01-09 Mitsubishi Materials Corp 成形用金型装置
JP3236801B2 (ja) 1997-07-18 2001-12-10 アスモ株式会社 樹脂製タンクの製造方法
JP2003089140A (ja) 2001-09-18 2003-03-25 Denso Corp タンク成形用の成形型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6769A (ko) 2018-12-19 2020-06-30 에스. 피. 엘 (주) 차량용 일체형 워셔 컨테이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워셔 컨테이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7565A (ko) 2012-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62273A (ko) 프레스 장치
CN205310722U (zh) 一种新型二级顶出机构
CN203863916U (zh) 注塑模具
KR101302839B1 (ko) 자동차 워셔탱크 성형용 금형 및 그 제조 방법
KR101407644B1 (ko) 성형품 탈거부를 포함하는 금형
CN102152444B (zh) 汽车油泵左模式风道注塑模具及其使用方法
TW201300995A (zh) 電子裝置面板組合及其製造方法
CN201950774U (zh) 汽车油泵左模式风道注塑模具
CN107379431B (zh) Z型顶杆抽芯机构
CN103909630A (zh) 司筒顶出机构
CN207549337U (zh) 一种定模滑块式模具
CN211542182U (zh) 一种微倒扣扣位脱模结构
JPH1024424A (ja) 樹脂成形用金型
CN103552209A (zh) 一种注塑模具
KR20090073851A (ko) 금형조립체
KR20090051645A (ko) 금형조립체
KR100846851B1 (ko) 금형조립체의 밀핀장치
US11400629B2 (en) Injection molding die
CN202922906U (zh) 汽车空调出风口注塑模具的侧壁斜孔抽芯装置
CN209704261U (zh) 一种壳体的销轴结构以及生产该结构的模具
CN203726769U (zh) 一种中大型模具斜顶大角度升角组合滑座
CN203141785U (zh) 一种注塑模具的双斜导柱开模机构
CN110919984A (zh) 一种微倒扣扣位脱模结构及其成型注塑件的方法
CN107791463B (zh) 母模斜抽芯退出结构
KR100722446B1 (ko) 사출성형 금형의 가변코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