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0268B1 - 우산꽂이를 갖는 휠체어 - Google Patents

우산꽂이를 갖는 휠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0268B1
KR101300268B1 KR1020120013843A KR20120013843A KR101300268B1 KR 101300268 B1 KR101300268 B1 KR 101300268B1 KR 1020120013843 A KR1020120013843 A KR 1020120013843A KR 20120013843 A KR20120013843 A KR 20120013843A KR 101300268 B1 KR101300268 B1 KR 1013002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umbrella
wheelchair
user
safety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3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2233A (ko
Inventor
강희경
Original Assignee
강희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희경 filed Critical 강희경
Priority to KR1020120013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0268B1/ko
Publication of KR20130092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22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0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02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7/00Chairs and seats
    • Y10S297/04Wheelch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의자 형태의 프레임 및 프레임의 양 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휠(wheel)을 갖는 휠체어는, 사용자의 양 팔에 대응하여 프레임의 양 측에 마련되는 팔받이, 팔받이 중 어느 일측에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상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안전 손잡이, 및 안전 손잡이에 우산을 결합시킬 수 있도록 제공되는 우산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우산꽂이를 갖는 휠체어{WHEELCHAIR HAVING UMBRELLA STAND}
본 발명은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의 이동을 보조할 수 있는 휠체어에 관한 것이다.
휠체어는 자력으로 움직이기가 불편한 노약자가 보다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것으로, 통상 시트의 양측에 장착된 휠(wheel)을 이용자가 직접 손으로 회전시키는 수동방식의 휠체어가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팔의 근력이 떨어지는 사용자는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는 이용이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최근에는 휠체어에 설치된 모터에 의해 바퀴를 구동시켜 줌으로써, 사용자의 직접적인 힘을 필요로 하지 않도록 하는 전동방식의 휠체어가 많이 개발되고 있다.
수동이든 전동방식이든 휠체어는 차체를 이루는 프레임 상에 시트와 등받이가 놓여져 있으며, 팔받이와 팔받이에 장착된 손잡이, 및 발판 등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전동방식의 휠체어에는 팔받이 일측에 휠체어의 이동 방향이나 속도 등을 조절할 수 있는 작동레버가 마련되어 있고, 사용자는 이를 조작하여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수동방식 휠체어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두 손으로 휠체어 양측에 장착된 휠을 직접 손으로 회전시키는 바, 비나 눈이 오거나 햇볕이 따가워 우산을 사용하고자 할 때는 한 손에 우산을 들어야 하는 관계로 이동이 매우 힘겨워지게 된다.
물론, 전동방식 휠체어의 경우에 사용자는 한 손으로 작동레버를 조작하여, 다른 한 손은 자유로울 수 있으나, 사용자가 우산을 들고 휠체어의 이동을 조작하는 것이 편하지는 않다. 또한, 전동방식 휠체어를 보면 작동레버가 장착되는 팔받이 외에 다른 쪽 팔받이에는 이동 시 휠체어의 흔들림에도 사용자가 시트에 잘 앉아 있을 수 있도록 사용자가 꽉 잡아 쥘 수 있는 안전 손잡이가 마련되어 있다.
즉, 전동방식 휠체어의 경우에도 사용자는 레버를 조작하는 손 말고 다른 손 또한 휠체어에 앉아 있는 사용자의 안전한 이동을 위해서 반드시 안전 손잡이를 잡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수동 혹은 전동방식 휠체어 모두 사용자의 양 손이 자유롭지 않은 관계로 우산을 들고 있을 수 없고, 설령, 들고 있더라도 장시간 들고 있는 것은 여간 불편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휠체어의 사용자가 우천시 혹은 햇볕이 너무 강해 우산을 사용하고자 할 때에 이를 직접 들고 이동할 필요가 없는 우산꽂이를 갖는 휠체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의자 형태의 프레임 및 프레임의 양 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휠을 갖는 휠체어는, 사용자의 양 팔에 대응하여 프레임의 양 측에 마련되는 팔받이, 팔받이 중 어느 일측에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상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안전 손잡이, 및 안전 손잡이에 우산을 결합시킬 수 있도록 제공되는 우산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인 휠체어에는 우산을 고정시기 불편하나,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는 우산을 결합시킬 수 있는 우산 결합부가 제공되기 때문에, 휠체어의 사용자가 우천시 혹은 햇볕이 강해 우산을 사용하고자 할 때 우산을 직접 들고 이동할 필요가 없고, 양 손이 모두 자유로워 한 손으로는 안전 손잡이를 꼭 잡고 이동하여 안전한 이동이 보장될 수 있고, 전동방식의 휠체어의 경우 다른 한 손으로 작동레버를 조작할 수 있다.
우산 결합부는 안전 손잡이의 상단면으로부터 하방으로 함몰되어 우산의 단부가 꼽아져 삽입될 수 있는 홈으로 제공될 수 있다. 물론, 우산 결합부는 우산을 안전 손잡이에 고정시킬 수 있는 여타의 다른 형태, 예를 들면, 클립이나 고무 밴드, 클램프(clamp) 등과 같은 고정수단을 이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만, 수동 혹은 전동방식 휠체어 모두 안전 손잡이는 구비되어 있는 관계로, 본 발명에서는 우산 결합부를 가장 간단하게 제공할 수 있는 방법으로 휠체어의 안전 손잡이에 홈을 파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팔받이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가이드 레일을 장착하고, 가이드 레일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는 가이드 이동부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안전 손잡이는 가이드 이동부의 단부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 이동부를 가이드 레일을 따라서 이동시켜 우산 결합부를 팔받이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이는 휠체어의 시트에 앉아 있는 사용자와 우산의 거리를 조정하는데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이동부는 가이드 레일을 따라서 이동하는 제1 가이드 및 제1 가이드를 기준으로 휠체어 바깥쪽 또는 안쪽으로 회전 가능하게 제1 가이드에 장착되는 제2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가이드를 회전시켜 휠체어 시트에 앉아 있는 사용자의 가슴 쪽으로 우산을 당겨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제2 가이드가 제1 가이드에 대해서 회동하는 것을 구속하는 잠금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가이드가 서로 포개져 결합되고, 포개진 부분을 관통하며, 일단은 포개진 부분의 일면을 지지하고, 타면으로 일부가 노출되는 회전축을 포함하는 경우, 잠금 부재는 회전축의 노출된 부분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피회동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피회동부의 회전 시, 제1 및 제2 가이드의 서로 포개진 부분이 밀착 또는 이격되도록 피회동부의 회전축은 피회동부의 중심에 대해서 편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는 우산을 결합시킬 수 있는 우산 결합부가 제공되기 때문에, 휠체어의 사용자가 우천시 혹은 햇볕이 강해 우산을 사용하고자 할 때 우산을 직접 들고 이동할 필요가 없고, 양 손이 모두 자유로워 한 손으로는 안전 손잡이를 꼭 잡고 이동하여 안전한 이동이 보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는 우산 결합부의 위치를 사용자로부터 가깝게 멀리 조정할 수 있고, 휠체어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우산을 배치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안전 손잡이의 위치를 사용자로부터 이격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4는 안전 손잡이를 사용자의 가슴 쪽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안전 손잡이 및 가이드 이동부의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A부분을 확대한 부분 확대도로, 제2 가이드의 회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제2 가이드의 회전을 구속할 수 있는 잠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이러한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휠체어(100)는 의자 형태의 프레임(101), 시트(102), 휠(103), 팔받이(110), 안전 손잡이(120), 작동레버(130), 및 우산 결합부(140)를 포함한다.
팔받이(110)는 휠체어(100)의 시트(102)에 앉은 사용자의 양 팔에 대응하여 프레임(101)의 양 측에 마련될 수 있고, 안전 손잡이(120)는 작동레버(130)가 마련되는 팔받이(110)의 반대편에 마련될 수 있다. 안전 손잡이(120)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상부를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일반적인 휠체어에는 우산을 고정시키기 불편하나,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100)는 우산을 결합시킬 수 있는 우산 결합부(140)가 제공되기 때문에, 휠체어(100)의 사용자가 우천시 혹은 햇볕이 너무 강해 우산을 사용하고자 할 때 우산을 직접 들고 이동할 필요가 없고, 양 손이 모두 자유로워 한 손으로는 안전 손잡이(120)를 꼭 잡고 이동하여 안전한 이동이 보장될 수 있고, 전동방식의 휠체어의 경우 다른 한 손으로 작동레버(130)를 조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우산 결합부(140)는 안전 손잡이(120)의 상단면으로부터 하방으로 함몰되어 우산의 단부가 꼽아져 삽입되는 홈으로 제공될 수 있다. 물론, 우산 결합부는 우산을 안전 손잡이게 고정시킬 수 있는 여타의 다른 형태, 예를 들면, 클립이나 클램프 등과 같은 고정수단을 이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만, 수동 혹은 전동방식 휠체어 모두 안전 손잡이는 구비되어 있는 관계로, 본 발명에서는 우산 결합부(140)를 가장 간단하게 제공할 수 있는 방법으로 휠체어(100)의 안전 손잡이(120)에 홈을 파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받이(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가이드 레일(150)을 장착하고, 가이드 레일(150)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는 가이드 이동부(160)를 제공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150)은 사용자의 팔에 거치적 거리지 않도록 팔받이(110)의 저부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안전 손잡이(120)는 가이드 이동부(160)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 이동부(160)를 가이드 레일(150)을 따라서 이동시켜 우산 결합부(140)를 팔받이(110)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이동부(160)가 시트 쪽으로 당겨져 있는 경우, 우산 결합부(140)가 상대적으로 사용자에 가깝게 배치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이동부(160)가 시트 쪽으로 멀리 이동된 경우, 우산 결합부(140)가 상대적으로 사용자에게 멀리 배치될 수 있다.
즉, 팔받이(110) 밑에 가이드 레일(150)을 제공하고, 가이드 레일(150)을 내측에 수용되어 이동하는 가이드 이동부(160)에 우산 결합부(140)가 마련된 안전 손잡이(120)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간단하게 자신과 우산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참고로, 가이드 레일에는 가이드 이동부의 슬라이드 이동을 제한할 수 있는 잠금장치가 별도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는 가이드 레일을 관통하여 가이드 이동부의 외면에 밀착 또는 이격되는 나사로 제공될 수 있고, 가이드 이동부의 외면에 형성된 홈에 고정되는 후크로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잠금장치는 가이드 이동부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우산을 자신에 더 가깝게 배치할 수 있도록 우산을 사용자의 가슴 쪽으로 당길 수 있도록 가이드 이동부를 이동시킬 수도 있으며, 이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가이드 이동부(160)는 제1 가이드(161) 및 제2 가이드(162)를 포함한다.
먼저, 제1 가이드(161)는 앞서 설명한 가이드 레일(150)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으며, 제2 가이드(162)는 제1 가이드(161)를 기준으로 휠체어 바깥쪽 또는 안쪽으로 회전 가능하게 제1 가이드(161)에 장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가이드(162)를 회전시켜 시트(102)에 앉아 있는 사용자의 가슴 쪽으로 우산을 당겨 배치할 수 있다.
도 5는 안전 손잡이 및 가이드 이동부 부분만을 부분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도 5의 A부분을 확대한 부분 확대도로, 제2 가이드의 회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살펴보면, 제1 가이드(161) 및 제2 가이드(162)는 상호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가이드(161) 및 제2 가이드(162)는 그 단부가 일부 서로 포개져 배치되고, 포개진 부분(B)에 회전축(170)이 두께 방향으로 관통 삽입되어 회전축(170)을 기준으로 제2 가이드(162)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제2 가이드(162)가 제1 가이드(161)에 대해서 회전하는 것을 구속하는 잠금 부재(180)를 포함할 수 있는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가이드(161) 및 제2 가이드(162)가 서로 포개져 결합될 때, 포개진 부분을 관통하며, 일단은 포개진 부분의 일면을 지지하고, 타면으로 일부가 노출되는 회전축(170)이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잠금 부재(180)는 회전축(184)이 제1 가이드(161) 및 제2 가이드(162)의 타면으로 노출된 부분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피회동부(182)를 포함할 수 있는데, 피회동부(182)의 회전 시, 제1 가이드(161) 및 제2 가이드(162)의 서로 포개진 부분이 밀착 또는 이격되도록 피회동부(182)의 회전축(184)은 피회동부(182)의 중심에 대해서 편심될 수 있다. 참고로, 피회동부(182)의 회전축(184)은 제1 및 제2 가이드(161, 162)를 관통하는 회전축(170)에 연결되어 있다.
피회동부(182)가 회전하면, 피회동부(182)가 회전축(170)이 노출되는 제1 및 제2 가이드(161, 162)의 외면에 밀착 또는 이격되도록, 피회동부(182)의 중심과 피회동부(182)의 회전축(184)은 상호 편심 또는 불일치할 수 있으며, 캠 형상과 같이 피회동부의 단면은 원형이 아닌 타원형 또는 다각형, 불규칙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피회동부(182)가 제1 및 제2 가이드(161, 162)의 외면에 이격된다는 것은 반드시 피회동부가 외면에서 떨어져 있는 것은 아닐 수 있으며, 밀착된 상태보다 상대적으로 피회동부(182)가 보다 약하게 외면에 밀착되는 것으로도 이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회동부(182)의 두께게 얇은 부분(C)이 제1 및 제2 가이드(161, 162)의 포개진 부분의 외면에 밀착되는 경우, 제1 가이드(161) 및 제2 가이드(162)를 관통하는 회전축(170)이 피회동부(182) 방향으로 덜 당겨져, 상대적으로 제1 및 제2 가이드(161, 162)의 포개진 부분은 비교적 느슨하게 밀착될 수 있고, 제2 가이드(162)가 제1 가이드(161)에 대해서 회동 가능한 상태로 있을 수 있다.
반면에,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회동부(182)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꺼운 부분(D)이 제1 및 제2 가이드(161, 162)의 포개진 부분의 외면에 밀착되는 경우, 제1 가이드(161) 및 제2 가이드(162)를 관통하는 회전축(170)이 피회동부(182) 방향으로 더 많이 당겨져, 상대적으로 제1 및 제2 가이드(161, 162)의 포갠진 부분은 비교적 꽉 밀착되고, 이에 제2 가이드(162)가 제1 가이드(161)에 대해서 회동이 불가능한 상태로 있게 된다.
여기서, 피회동부(182)의 두께게 얇은 부분(C) 및 피회동부(182)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꺼운 부분(D)은 각각 피회동부의 회전축(184)을 중심으로 피회동부의 외면까지의 길이를 지칭한다. 본 실시예에서 C < D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잠금 부재(180)를 통해서 제2 가이드(162)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가능하게 혹은 불가능하게 함으로써, 제2 가이드(162)의 단부에 결합된 우산 결합부(14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의 단면도로, 특히, 우산 결합부 주변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휠체어의 프레임, 시트, 휠, 팔받이, 안전 손잡이, 작동레버, 및 우산 결합부와 같은 구성요소는 사실상 앞선 실시예와 차이가 없어 앞선 실시예의 설명이나 도면을 참조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앞선 실시예와 차이가 있는 조임부재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먼저, 앞선 실시예에서 우산 결합부(140)는 안전 손잡이(120)에 우산의 단부가 꼽아져 삽입될 수 있는 홈 형상으로 제공되었다. 본 실시예에서 우산 결합부(240) 역시 앞선 실시예와 같이 홈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 안전 손잡이의 상면에서 하면까지 온전하게 관통하는 홀 형상으로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9를 참조하면, 우산 결합부(240)에 우산이 꼽아져 있는데, 우산의 직경이 우산 결합부(240)의 내경보다 작은 경우, 휠체어의 이동 시 우산(10)이 좌우로 흔들리거나 경우에 따라선 우산 결합부에서 우산이 빠져 버릴 수도 있다.
이러한 우산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해서 본 실시예에서는 조임부재(290)를 더 제공한다. 조임부재(290)는 안전 손잡이(220)의 측벽을 관통하여 우산 결합부(240)에 위치하는 우산의 외면을 지지할 수 있다. 조임부재(290)가 관통할 수 있게 마련된 홀의 내면에는 나사산이 마련될 수 있고, 조임부재(290)는 상기 홀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우산의 직경이 우산 결합부의 내경보다 작더라도 나사를 이용하여 우산의 외면을 지지할 수 있고, 이에 우산의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조임부재는 상하로 관통 홀에 삽입되는 2개의 나사를 포함하며, 위아래로 2개의 나사를 제공하는 것은 보다 안정적으로 우산을 고정하기 위함이며, 그 수에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휠체어 101:프레임
102:시트 103:휠
110:팔받이 120:안전 손잡이
130:작동레버 140:우산 결합부
150:가이드 레일 160:가이드 이동부
161:제1 가이드 162:제2 가이드
170:회전축 180:잠금 부재
182:피회동부

Claims (6)

  1. 의자 형태의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양 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휠(wheel)을 갖는 휠체어에 있어서,
    사용자의 양 팔에 대응하여 상기 프레임의 양 측에 마련되는 팔받이;
    상기 팔받이 중 어느 일측에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상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안전 손잡이;
    상기 안전 손잡이에 우산을 결합시킬 수 있도록 제공되는 우산 결합부; 및
    상기 팔받이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장착되는 가이드 레일 및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하며, 상기 안전 손잡이가 장착되는 가이드 이동부;
    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이동부를 이동시켜 상기 우산 결합부를 상기 팔받이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 이동부는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서 이동하는 제1 가이드 및 상기 제1 가이드를 기준으로 휠체어 바깥쪽 또는 안쪽으로 회전 가능하게 제1 가이드에 장착되는 제2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가이드가 상기 제1 가이드에 대해서 회전하는 것을 구속하는 잠금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가 서로 포개져 결합되고, 상기 포개진 부분을 관통하며, 일단은 상기 포개진 부분의 일면을 지지하고, 타면으로 일부가 노출되는 회전축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잠금 부재는 상기 회전축의 노출된 부분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피회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피회동부의 회전 시,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의 서로 포개진 부분이 밀착 또는 이격되도록 상기 피회동부의 회전축은 상기 피회동부의 중심에 대해서 편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산 결합부는 상기 안전 손잡이의 상단면으로부터 하방으로 함몰되어 우산의 단부가 꼽아져 삽입되는 홈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우산 결합부를 관통하여 상기 우산 결합부 내에 위치하는 우산의 외면을 지지하는 조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KR1020120013843A 2012-02-10 2012-02-10 우산꽂이를 갖는 휠체어 KR1013002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3843A KR101300268B1 (ko) 2012-02-10 2012-02-10 우산꽂이를 갖는 휠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3843A KR101300268B1 (ko) 2012-02-10 2012-02-10 우산꽂이를 갖는 휠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2233A KR20130092233A (ko) 2013-08-20
KR101300268B1 true KR101300268B1 (ko) 2013-08-23

Family

ID=49217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3843A KR101300268B1 (ko) 2012-02-10 2012-02-10 우산꽂이를 갖는 휠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026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6261A (ja) * 1993-06-30 1995-01-20 Taira Okamoto 車椅子の肘掛け
JP2000302079A (ja) * 1999-04-19 2000-10-31 Bridgestone Cycle Co 折畳み自転車
JP2003135530A (ja) * 2001-10-30 2003-05-13 Ikuko Sato 車椅子の傘立て用保持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6261A (ja) * 1993-06-30 1995-01-20 Taira Okamoto 車椅子の肘掛け
JP2000302079A (ja) * 1999-04-19 2000-10-31 Bridgestone Cycle Co 折畳み自転車
JP2003135530A (ja) * 2001-10-30 2003-05-13 Ikuko Sato 車椅子の傘立て用保持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2233A (ko) 2013-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20672B2 (en) Foldable walker apparatus
US6378642B1 (en) Motorized scooter
US8313118B2 (en) Children&#39;s ride-on vehicle with parent steering assist handle and stationary canopy
US6729422B2 (en) Detachable transmission mechanism for a wheel chair and driving device thereof
US8505936B2 (en) Foldable walker apparatus
KR101901997B1 (ko) 휠체어용 전동장치
US20200000657A1 (en) Wheelchair power apparatus for electronic driving conversion
KR20160049778A (ko) 클램프형 휠체어 전동 바이크
WO2022052421A1 (zh) 可折叠轮椅
KR101300268B1 (ko) 우산꽂이를 갖는 휠체어
KR101619239B1 (ko) 접이식 휠체어
KR20120134256A (ko) 휠체어
JP2009045147A (ja) 介助装置
CN210083314U (zh) 折叠控制装置及可折叠可调整角度的婴儿车座椅架
US10966896B2 (en) Rollator braking system
US2469359A (en) Portable support
KR100932840B1 (ko) 보행보조장치
JP6298614B2 (ja) 歩行車
JP2003135530A (ja) 車椅子の傘立て用保持具
KR200465717Y1 (ko) 레그프레임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휠체어
CN207311728U (zh) 一种折叠车
KR102522213B1 (ko) 우산이 구비된 휠체어
JP3188074U (ja) 歩行車の制動機構
KR102532981B1 (ko) 휠체어와 휠체어동력보조장치의 연결구조
KR101538407B1 (ko) 상지 근력 강화 보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