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9010B1 - 쌀 국수 제조 장치 및 쌀 국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쌀 국수 제조 장치 및 쌀 국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9010B1
KR101299010B1 KR1020090099638A KR20090099638A KR101299010B1 KR 101299010 B1 KR101299010 B1 KR 101299010B1 KR 1020090099638 A KR1020090099638 A KR 1020090099638A KR 20090099638 A KR20090099638 A KR 20090099638A KR 101299010 B1 KR101299010 B1 KR 1012990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thin film
liquid
flour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9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2802A (ko
Inventor
이상귀
Original Assignee
이병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철 filed Critical 이병철
Priority to KR1020090099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9010B1/ko
Publication of KR20110042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28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9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90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24Apparatus for cutting out noodles from a sheet or ribbon of dough by an engaging pair of grooved roller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12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directly from grain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22Apparatus with rollers and cutting discs or blades for shaping noodle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3/00Machines or apparatus for shaping batches of dough before subdivision
    • A21C3/02Dough-sheeters; Rolling-machines; Rolling-p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9Types of pasta, e.g. macaroni or nood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oodles (AREA)

Abstract

세척된 쌀을 고농축 액상 쌀가루로 분쇄하고, 고농축 액상 쌀가루를 박막의 형태로 공급하여 스팀을 이용하여 가열시켜 고형화하고, 다층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고형화된 쌀 박막에 포함된 습기를 제거한 후 냉각시키고 소정 사이즈의 쉬트(sheet)로 절단한 후, 세면(細麵)의 형태로 절단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쌀 국수 제조방법 및 그 제조 장치.
고농축, 쌀 박막, 쌀 쉬트, 쌀 국수

Description

쌀 국수 제조 장치 및 쌀 국수 제조 방법{A rice noodle manufacturing system and a manufacturing method of rice noodle}
본 발명은 쌀 국수 제조 장치 및 쌀 국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농축 액상 쌀 국수를 박막의 형태로 공급하여 가열한 후, 소정 사이즈의 쌀 쉬트로 절단한 후, 세면(細麵)으로 절단하는 쌀 국수 제조 장치 및 쌀 국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수는 밀가루를 적당한 물과 혼합하여 반죽한 재료를 일정한 굵기로 뽑아낸 것을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국수는 사계절, 다양한 요리를 행하면서 즐기는 식품으로서, 주로 서민들이 값싸고 맛나게 즐길 수 있는 대중 식품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국수는 단순히 밀가루만을 사용하므로서 타 음식물에 비해 영양이나 건강의 유익면에서 다소 부족한 부분이 있었다. 이러한 이유에서 상기 국수에 다양한 재료를 부가하므로서 다양한 맛과 함께 영양이나 건강에 유익을 증대하는 건강 국수가 다양하게 개시된바 있다.
일반적인 국수면은 쌀로 만든 국수의 단점 때문에 주로 밀가루(소맥분)를 이용하여 만들어 왔으나, 영양 성분의 면에서 쌀이 우수하고 문화적인 특성상 한국사 람에게는 쌀이 더 적합하다는 등의 여러 이유에서, 쌀을 이용하여 국수면을 제조하고자 하려는 여러 가지 제안이 있어 왔다.
그러나, 쌀국수면은 마른 상태의 면이 뚝뚝 끊어짐이 많고, 오래 삶으면 쉽게 퍼지며, 입에 들어갔을 때 다소 거칠고, 쫄깃함이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쌀국수면으로서 제안되어 있는 예를 살펴보면, 대한민국 특허출원 번호 10-1992-0006009 (특허권자: 성호정) "즉석 쌀국수의 제조방법"의 특허등록공보에는 쌀가루와 소맥분을 혼합한 곡물가루를 이용하여 만든 쌀국수면이 기재되어 있다. 여기서 기재된 쌀국수면은 끊는 물에 넣어 3분정도 지나면 취식이 가능하게 제조된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번호 10-2002-0035628 (출원인: 김용규, 김윤규) "쌀국수의 제조방법"의 공개공보에는, 쌀가루를 주성분으로 하고 여기에 콩가루, 버섯가루, 다시마가루, 옥수수가루, 홍화씨가루를 일정비율로 첨가하여 제조되는 쌀국수가 기재되어 있다.
그런데, 쌀국수의 경우 면이 뚝뚝 끊어지고 약간만 오래 삶아도 퍼지기 쉽기 때문에 목넘김이 나쁘고 삶는 시간을 맞추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는데, 상기한 종래의 쌀국수면의 경우에는 이러한 종래 쌀국수의 단점을 전혀 해결하고 있지 않다.
지금까지 공개된 쌀국수 제조 방법은 공통적으로 쌀 가루에 물을 넣고, 이를 반죽하여 국수 면발의 지름을 갖는 구멍이 다수 개 형성된 노즐에 고압으로 밀착시켜 세면(細麵)을 만드는 방법을 통해 생산된다.
따라서, 반죽과정에 따른 시간 및 에너지의 소요와 함께, 반죽된 쌀 가루가 시간이 경과하면서 고형화되어 노즐이 막히는 등 불편한 요소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반죽 과정을 거치지 않고 쌀 국수를 제조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분 함유량을 쉽게 조절할 수 있는 쌀 국수 제조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쌀 국수의 점성을 조절할 수 있는 쌀 국수 제조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쌀 국수 제조장치는 반죽 과정을 위한 구성이 불필요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쌀 국수 제조장치는 습기가 다량 함유된 고농축 액상 쌀가루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쌀 국수 제조 장치는 쌀 박막을 스팀으로 가열하므로써 제조 시간이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쌀 국수 제조 장치의 세부적 구성의 특징은 쌀을 세척하여 분쇄하고 소정 점성 물질을 첨가한 액상 쌀가루를 준비하는 전처리 시스템; 상기 전처리 시스템을 통해 준비된 액상 쌀가루를 연속된 박막의 형태로 공급하는 공급장치; 상기 공급장치를 통해 공급되는 박막의 액상 쌀가루(rice film)를 고온의 스 팀을 이용하여 가열하는 가열 장치; 상기 가열장치에 의해 고형화되고 컨베이어를 통해 전달되는 쌀 박막(rice film)에 포함된 습기를 제거하는 건조 장치; 상기 건조 장치에 의해 습기가 제거된 쌀 박막(rice film)을 냉각시키는 냉각 장치; 상기 냉각 장치에 의해 냉각된 쌀 박막(rice film)을 소정 사이즈의 쌀 쉬트(sheet)로 절단하는 제 1 절단 장치; 및 상기 쌀 쉬트를 가는 세면(細麵)의 형태로 절단하는 제 2 절단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쌀 국수 제조 장치의 세부적 구성의 특징은 상기 전처리 시스템이, 공급된 쌀을 물과 고압의 공기를 이용하여 세척하는 쌀 세척장치; 상기 쌀 세척장치에 의해 세척된 쌀을 고속으로 회전하는 회전판을 이용하여 분쇄하는 쌀 분쇄장치; 상기 쌀 분쇄장치를 통해 분쇄된 액상 쌀가루에 포함된 이물질 또는 소정 크기 이상의 쌀가루를 제거하는 필터; 및 상기 필터를 거쳐 제공되는 액상 쌀가루에 점성을 높이기 위한 물질을 첨가하는 점성액 혼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쌀 국수 제조 장치의 세부적 구성의 특징은 상기 쌀 분쇄장치가, 소정 간격을 두고 상·하로 맞물린 한 쌍의 원형 석판과; 상기 원형 석판 중 아래에 위치한 석판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쌀 국수 제조 장치의 세부적 구성의 특징은 상기 고농축 액상 쌀가루에 타피오카(Tapioca)를 혼합하여 점성을 증가시키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쌀 국수 제조 장치의 세부적 구성의 특징은 상기 공급장치가 회전 롤러를 이용하여 표면에 점착된 소량의 액상 쌀가루를 박막의 형태로 공급하 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쌀 국수 제조 장치의 세부적 구성의 특징은 상기 가열 장치가 쌀 박막의 하단부에 고온의 스팀을 제공하여 쌀 박막을 고형화하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쌀 국수 제조 장치의 세부적 구성의 특징은 상기 건조 장치가 다층의 컨베이어를 이용한 진행 경로에 고온의 스팀을 공급하여 쌀 박막에 포함된 습기를 제거하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쌀 국수 제조 장치의 세부적 구성의 특징은 상기 제 1 절단장치는 회전하는 롤러의 일단에 형성된 칼날을 이용하여 상기 냉각장치를 거쳐 전달되는 쌀 박막을 소정 간격으로 절단하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쌀 국수 제조 방법은 세척된 쌀을 분쇄하여 고농축 액상의 형태로 준비하는 전처리 과정; 상기 고농축 액상 쌀가루를 박막의 형태로 공급하는 공급과정; 상기 박막 쌀가루를 가열하여 익히는 가열과정; 상기 가열과정을 거쳐 고형화된 쌀 박막(rice film)에 포함된 습기를 제거하는 건조과정; 상기 건조과정을 통해 습기가 제거된 쌀 박막(rice film)을 냉각시키는 냉각 과정; 상기 냉각과정을 통해 냉각된 쌀 박막(rice film)을 소정 사이즈의 쌀 쉬트(sheet)로 절단하는 제 1 절단과정; 및 상기 쌀 쉬트를 가는 세면(細麵)의 형태로 절단하는 제 2 절단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쌀 국수 제조 방법은 상기 전처리 과정이, 공급된 쌀을 물과 고압의 공기를 이용하여 세척하는 쌀 세척단계; 상기 세척된 쌀을 고속으로 회전하는 회전판을 이용하여 고농축 액상 쌀가루로 분쇄하는 쌀 분쇄단계; 분쇄된 액상 쌀가루에 포함된 이물질 또는 소정 크기 이상의 쌀가루를 제거하는 필터링 단계; 상기 고농축 액상 쌀가루에 점성을 높이기 위해 타피오카 전분을 첨가하는 점성액 혼합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쌀 국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반죽 과정이 불필요로 하므로 쌀 국수 제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둘째, 고농축 액상 쌀가루를 이용함으로써 제조 원료의 불필요한 낭비를 막을 수 있다.
셋째, 고농축 액상 쌀가루에 첨가되는 점성 증가 물질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쌀 국수의 탄성을 쉽게 조절할 수 있다.
넷째, 박막의 쌀가루 농축액을 이용함으로써 쌀 국수 생산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쌀 국수 제조장치 및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쌀국수 제조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쌀 국수 제조 장치는 크게 고농도의 현탁액과 같이 액상의 형태로 쌀가루를 준비하는 전처리 과정과, 액상 쌀가루를 가열 및 건조하여 면(麵)의 형태로 제조하는 후처리 과정으로 나눌 수 있다. 이는 발명의 설명을 위한 것이며, 실제 제조 장치에서 각각 분리된 상태에서 기간이 유지되거나 별도의 제품으로 생산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종래 기술과 달리 쌀가루에 물을 가수(加水)하여 반죽하는 과정이 없다.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롤러(roller)를 이용하여 고농도의 쌀가루 현탁액을 그 표면에 묻혀 이를 얇은 막의 형태로 연속 공급하여 가열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따라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인 "쌀 박막(rice film)"은 상기 롤러(roller) 표면에 묻은 고농도 쌀 현탁액이 연속적으로 판(panel)의 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나타내고, "쌀 쉬트(rice sheet)"는 가열, 건조 및 냉각과정을 걸친 상기 쌀 박막을 마치 페이퍼의 형태로 잘라낸 것을 의미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쌀국수 제조 장치의 개략적 구성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쌀을 물과 고압의 공기를 이용하여 세척하는 쌀 세척장치(10)와, 상기 쌀 세척장치(10)에 의해 세척된 분쇄하는 쌀 분쇄장치(20)와, 분쇄된 액상 쌀가루에 포함된 이물질 또는 소정 크기 이상의 쌀가루를 제거하는 필터(30)와, 이물질이 제거된 액상 쌀가루에 점성을 높이기 위한 물질을 첨가하는 점성액 혼합장치(40)와, 점성이 증가된 액상 쌀가루를 회전하는 롤러를 이용하여 박막의 형태로 공급하는 공급장치(50)와, 상기 공급장치를 통해 공급되는 박막의 액상 쌀가루(rice film)를 고온의 스팀을 이용하여 가열하는 가열 장치(60)와, 상기 가열장치에 의해 고형화되고 컨베이어를 통해 전달되는 쌀 박막(rice film)에 포함된 습기를 제거하는 건조 장치(70)와, 상기 건조 장치에 의해 습기가 제거된 쌀 박막(rice film)을 냉각시키는 냉각 장치(80)와, 상기 냉각 장치에 의해 냉각된 쌀 박막(rice film)을 소 정 사이즈의 쌀 쉬트(sheet)로 절단하는 제 1 절단 장치(90)와, 상기 쌀 쉬트를 가는 세면(細麵)의 형태로 절단하는 제 2 절단장치(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는 쌀국수 제조 공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면에서 화살표는 쌀 -> 고농축 액상 쌀가루 -> 쌀 박막 -> 쌀 쉬트 -> 쌀 세면(細麵)의 변화 과정에서의 처리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쌀 세척 장치(10)에 의해 세척된 쌀은 분쇄 장치(20)에 전달된다. 상기 쌀 분쇄 장치(20)는 소정 간격을 두고 상·하로 맞물린 한 쌍의 원형 석판과, 상기 원형 석판 중 아래에 위치한 석판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맞물린 압연 롤러 사이에 쌀을 공급하여 가루로 분쇄하는 기술과는 다르다. 분쇄 장치(20)의 하단부에는 필터(30)가 구비되어, 분쇄되지 않은 쌀이나 이물질 등을 걸러낸다. 필터를 거쳐 이물질이 제거된 고농도 액상(液相) 쌀가루는 혼합장치(40)에 전달되어 타피오카 전분과 혼합된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고농도 액상 쌀가루는 모터에 의해 상기 혼합장치(40)에 전달된다.
혼합 장치(40)에 의해 일정 점성을 가진 고농도 액상 쌀가루는 공급장치(50)에 전달된다. 상기 공급장치(50)는 액상 쌀가루의 높이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조를 가진다. 또한, 액상 쌀가루가 임시 저장되는 용기에는 롤러가 구비된다.
공급장치(50)를 통해 제공되는 고농도 액상 박막은 무한궤도를 통해 가열장치(60)로 이송된다. 상기 가열장치(60)로는 보일러(200)에 의해 생성된 고온의 스 팀이 스팀 파이프(210)를 통해 제공된다. 상기 가열장치(60)의 내부 온도는 약 95℃를 유지해야 액상 쌀 박막이 익게 된다.
가열장치(60)에 의해 익혀진 쌀 박막은 컨베이어(61)를 통해 건조 장치(70)로 이송된다. 건조장치(70)의 내부에는 다층의 컨베이어가 구비되어 쌀 박막은 화살표의 방향과 같이 이송된다. 상기 건조장치(70)에도 상기 보일러(200)에 의해 생성된 고온의 스팀이 스팀 파이프(210)를 통해 제공되어 건조에 필요한 열을 공급한다. 상기 건조장치(70)의 내부 온도는 약 70℃를 유지하도록 제어된다.
건조장치(70)에 의해 건조된 쌀 박막은 다시 컨베이어(71)를 통해 냉각장치(80)로 전달된다. 상기 냉각장치(80)에는 냉각 팬 등이 구비되어 다층의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쌀 박막의 온도를 낮춘다. 이때의 쌀 박막의 이송 경로는 화살표의 방향과 같다.
냉각장치(80)에 의해 냉각된 쌀 박막은 다시 컨베이어(81)를 통해 제1 절단장치(90)에 전달되어 종이 형태의 사이즈를 갖도록 절단된다. 이때의 절단 방법은 회전하는 롤러의 일측에 형성된 칼날을 이용하여 컨베이어를 통해 공급되는 쌀 박막을 절단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제 1 절단장치(90)에 의해 절단된 쌀 쉬트(rice sheet)는 적재되어 일정 시간동안 서냉 과정을 거친 후, 제 2 절단 장치(100)에 의해 세면(細麵)으로 절단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쌀국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흐름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종래 기술에 따른 쌀국수 제조 방법과 두드러지게 다른 점은 반죽 과정이 없다는 것이다. 즉, 쌀가루에 적당량의 물을 가수하여 소정 시간동안 교반시키는 반죽과정에 따른 시간 소요와 생산비가 증가하게 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먼저, 용기에 쌀을 공급하고 소정 량의 물을 공급하고, 고압의 공기를 이용하여 쌀을 세척한다. 세척이 완료된 상태에서 30분동안 침수 상태를 유지시켜 쌀에 수분이 흡수될 수 있도록 한다 (S301).
고속으로 회전하는 회전판을 이용하여 충분히 불려진 쌀을 분쇄시켜 고농축 액상 쌀가루로 분쇄한다 (S302).
이때, 분쇄된 액상 쌀가루에 포함된 이물질 또는 소정 크기 이상의 쌀가루를 제거한다 (S303).
고농축 액상 쌀가루에 점성을 높이기 위한 물질을 첨가한다. 쌀가루만으로 제조된 국수면은 점성이 없어 뚝뚝 끊어진다. 따라서, 쌀 고유의 맛을 유지하면서 점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타피오카(Tapioca) 전분을 첨가한다. 타피오카 전분은 열대작물인 타피오카의 뿌리에서 채취한 식용 녹말이다 (S304).
상기 고농축 액상 쌀가루를 일정 수면의 높이를 유지하면서 공급 용기에 공급한다. 상기 액상 쌀가루 공급 용기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롤러(roller)의 표면에 액상 쌀가루가 점착된다. 상기 롤러의 회전방향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판에 의해 상기 롤러 표면에 점착된 액상 쌀가루가 박막(film)의 형태로 분리된다 (S305).
박막 형태의 액상 쌀가루는 무한 궤도를 이루는 천위에 전달된다. 상기 천 재질의 무한궤도는 가열장치 내에서 무한 궤도를 이룬다. 상기 무한궤도의 천 하부에는 다수의 스팀 분출관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팀 분출관을 통해 고온의 스팀이 상기 박막 형태의 액상 쌀가루를 가열한다 (S306).
상기 가열과정을 거치면 쌀 박막은 열에 의해 고형화된다. 고형화된 쌀 박막은 다단의 컨베이어를 통해 건조 장치에 제공된다. 건조 장치를 통해 상기 고형화된 쌀 박막(rice film)에 포함된 습기가 제거된다 (S307).
상기 건조과정(S307)은 뜨거운 열기로 박막을 건조한다. 따라서, 건조과정을 거친 쌀 박막은 온도가 높다. 차가운 공기를 이용하여 다단의 컨베이어를 통해 쌀 박막(rice film)을 냉각시킨다 (S308).
상기 냉각과정을 통해 냉각된 쌀 박막(rice film)을 소정 사이즈의 쌀 쉬트(sheet) 형태로 절단한다. 즉, 연속되어 제공되는 쌀 박막을 회전하는 롤러 표면에 형성된 절단용 칼에 맞물리도록 하여 절단한다 (S309).
쌀 쉬트는 적재된 상태에서 일정 기간을 거친 후 다시 제 2 절단장치를 이용하여 가느다란 세면(細麵)의 형태로 절단된다 (S310).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쌀국수 제조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는 쌀국수 제조 공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쌀국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쌀을 세척하여 분쇄하고 소정 점성 물질을 첨가한 액상 쌀가루를 준비하는 전처리 장치;
    상기 전처리 장치를 통해 준비된 액상 쌀가루를 연속된 박막의 형태로 공급하는 공급장치;
    상기 공급장치를 통해 공급되는 박막의 액상 쌀가루(rice film)를 고온의 스팀을 이용하여 가열하는 가열 장치;
    상기 가열장치에 의해 고형화되고 컨베이어를 통해 전달되는 쌀 박막(rice film)에 포함된 습기를 제거하는 건조 장치;
    상기 건조 장치에 의해 습기가 제거된 쌀 박막(rice film)을 냉각시키는 냉각 장치;
    상기 냉각 장치에 의해 냉각된 쌀 박막(rice film)을 소정 사이즈의 쌀 쉬트(sheet)로 절단하는 제 1 절단 장치; 및
    상기 쌀 쉬트를 가는 세면(細麵)의 형태로 절단하는 제 2 절단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전처리 장치는,
    공급된 쌀을 물과 고압의 공기를 이용하여 세척하는 쌀 세척장치;
    상기 쌀 세척장치에 의해 세척된 쌀을 소정 간격을 두고 상·하로 맞물린 한 쌍의 원형 석판을 이용하여 분쇄하는 쌀 분쇄장치;
    상기 쌀 분쇄장치를 통해 분쇄된 액상 쌀가루에 포함된 이물질 또는 소정 크기 이상의 쌀가루를 제거하는 필터; 및
    상기 필터를 거쳐 제공되는 액상 쌀가루에 점성을 높이기 위한 물질을 첨가하는 점성액 혼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건조 장치는 다층의 컨베이어를 이용한 진행 경로에 스팀 파이프를 통해 고온의 스팀을 공급하여 쌀 박막에 포함된 습기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국수 제조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절단장치는 회전하는 롤러의 일단에 형성된 칼날을 이용하여 상기 냉각장치를 거쳐 전달되는 쌀 박막을 소정 간격으로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국수 제조 시스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090099638A 2009-10-20 2009-10-20 쌀 국수 제조 장치 및 쌀 국수 제조 방법 KR1012990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9638A KR101299010B1 (ko) 2009-10-20 2009-10-20 쌀 국수 제조 장치 및 쌀 국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9638A KR101299010B1 (ko) 2009-10-20 2009-10-20 쌀 국수 제조 장치 및 쌀 국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2802A KR20110042802A (ko) 2011-04-27
KR101299010B1 true KR101299010B1 (ko) 2013-08-23

Family

ID=44048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9638A KR101299010B1 (ko) 2009-10-20 2009-10-20 쌀 국수 제조 장치 및 쌀 국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90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7643B1 (ko) * 2012-03-29 2014-02-27 한국식품연구원 쌀면발 제조장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쌀면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6673A (ko) * 1998-01-24 1999-08-16 최유식 전동 맷돌식 분쇄기
KR100855363B1 (ko) * 2005-12-20 2008-09-04 윤양지 떡 보쌈 피 제조장치
KR100892985B1 (ko) * 2007-12-28 2009-04-10 임홍택 라이스 페이퍼 및 그 제조방법
KR20090105104A (ko) * 2008-04-01 2009-10-07 한국식품연구원 기능성 소재가 포함된 즉석 쌀국수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6673A (ko) * 1998-01-24 1999-08-16 최유식 전동 맷돌식 분쇄기
KR100855363B1 (ko) * 2005-12-20 2008-09-04 윤양지 떡 보쌈 피 제조장치
KR100892985B1 (ko) * 2007-12-28 2009-04-10 임홍택 라이스 페이퍼 및 그 제조방법
KR20090105104A (ko) * 2008-04-01 2009-10-07 한국식품연구원 기능성 소재가 포함된 즉석 쌀국수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2802A (ko) 2011-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17935B1 (fr) Céréales aux légumes
CN101791105B (zh) 一种低聚木糖复合的蓬松颗粒状无糖甜味剂及其制备方法
US4344975A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agglomerated bread crumbs
ES2726749T3 (es) Producto alimenticio elaborado hecho de puré de patatas frescas
US10798964B2 (en) Method for improving moldability and 3D precision printing performance of high-fiber dough system by adding functional carbohydrate
CN201821855U (zh) 多功能节能河粉凉皮机
CN102806131A (zh) 一种竹笋全粉机及竹笋粉的生产工艺
CA2889531C (fr) Procede de fabrication de compositions proteiques a faible solubilite, compositions obtenues et leur utilisation dans les produits de panification
CN106473525A (zh) 可长期保存的完全可生物降解的可食用餐具
KR101299010B1 (ko) 쌀 국수 제조 장치 및 쌀 국수 제조 방법
KR101150015B1 (ko) 쌀국수 제조용 쌀박막 가열장치
CN104783071A (zh) 一种马铃薯刀削面及其制作方法
JP2010279307A (ja) 高アミロース米を原料とした米粉50%以上の米シートの製造方法
CN105962320B (zh) 一种蔗糖与l-阿拉伯糖共晶体产品的制备方法
CN2792189Y (zh) 面皮生产设备
CN1288985C (zh) 面皮生产设备
CN1981602A (zh) 一种玉米速食米的加工方法
JP4571896B2 (ja) 乾燥食品の製造方法
CN102599620A (zh) 宠物食品的制作装置及宠物食品的制作方法
CN206895763U (zh) 河粉加工装置和河粉加工系统
SE425138B (sv) Forfarande for framstellning av djupfryst, koncentrerat potatismos
CN105433092A (zh) 一种薏仁米沙琪玛及其生产方法
CN203219883U (zh) 一种高活性蝇蛆蛋白粉连续生产设备
CN108029719A (zh) 一种百合糕的制备方法
CN102669298A (zh) 豆皮制造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