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8994B1 - 벨트 컨베이어의 낙탄 회수 처리시스템 - Google Patents

벨트 컨베이어의 낙탄 회수 처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8994B1
KR101298994B1 KR1020130077113A KR20130077113A KR101298994B1 KR 101298994 B1 KR101298994 B1 KR 101298994B1 KR 1020130077113 A KR1020130077113 A KR 1020130077113A KR 20130077113 A KR20130077113 A KR 20130077113A KR 101298994 B1 KR101298994 B1 KR 1012989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very
deck plate
support
belt conveyor
co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7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연
정희봉
이완철
Original Assignee
한일종합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일종합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일종합기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77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89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8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89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10Cleaning devices
    • B65G45/12Cleaning devices comprising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6Rigid blades, e.g. scrapers; Flexible blades, e.g. wipers
    • B08B1/165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6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10Cleaning devices
    • B65G45/26Cleaning devices for gathering residue after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009Common features for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18Gathering means for material falling from the convey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벨트 컨베이어(10)의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하는 데크 플레이트(20)와; 상기 데크 플레이트(20)의 상부면에 안착한 상태로 전방 및 후방에 와이어로프(30)를 연결하여 윈치 등과 같은 구동부재의 작동으로 와이어로프(30)를 감거나 풀어서 이동시키면서 데크 플레이트(20)의 상부면에 떨어진 낙탄을 걷어내기 위한 스크래퍼(100)로 이루어지는 벨트 컨베이어의 낙탄 회수 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크래퍼(100)는 양측에 데크 플레이트(20)의 표면에 맞닿아 회전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다수의 지지롤러(111,112)를 구비하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전방 및 후방 양측에 설치하는 다수의 가이드부재(120)와; 상기 몸체(110)의 전방 및 후방에 설치하는 다수의 위치조절부재(130)와; 상기 위치조절부재(130)와 와이어로프(30)의 사이를 연결하는 탄성부재(140)와; 상기 몸체(110)의 전방 및 후방 하부에 설치하되 항상 데크 플레이트(20)의 표면에 밀착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발생시켜 데크 플레이트(20)의 표면에 떨어진 낙탄을 걷어내기 위한 제1회수부재(150)와; 상기 몸체(110)의 중간 하부에 설치하여 데크 플레이트(20)의 표면에 떨어진 낙탄을 쓸어내기 위한 제2회수부재(160)로 이루어지고, 상기 데크 플레이트(20)의 하부 길이방향으로 설치하는 회수호퍼(200)와; 상기 회수호퍼(200)의 하부 일측에 설치하는 압송부재(210)와; 상기 압송부재(210)의 타측에서 벨트 컨베이어(10)의 상부로 연결하여 회수된 낙탄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관(220)을 포함하는 벨트 컨베이어의 낙탄 회수 처리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스크래퍼와 와이어로프의 연결위치를 조절하여 충돌 및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낙탄을 걷어내기 위한 회수날의 높이를 조절하여 낙탄의 회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다양한 부피를 갖는 낙탄을 남김없이 걷어낼 수 있으므로 작업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본 발명은 회수되는 낙탄을 다시 벨트 컨베이어로 자동으로 공급하여 재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벨트 컨베이어의 낙탄 회수 처리시스템{System recovery processing fallen coal of belt conveyor}
본 발명은 벨트 컨베이어의 낙탄 회수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데크 플레이트의 상부면에 떨어지는 낙탄을 남김없이 회수하여 다시 벨트 컨베이어로 공급하여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벨트 컨베이어의 낙탄 회수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벨트 컨베이어의 낙탄 회수 처리시스템은 발전소 또는 제철소에서 사용하는 벨트 컨베이어에서 떨어지는 낙탄을 회수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이러한 종래 벨트 컨베이어의 낙탄 회수 처리시스템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벨트 컨베이어(10)의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하는 데크 플레이트(20)와; 상기 데크 플레이트(20)의 상부면에 안착한 상태로 전방 및 후방에 와이어로프(30)를 연결하여 윈치 등과 같은 구동부재의 작동으로 와이어로프(30)를 감거나 풀어서 이동시키면서 데크 플레이트(20)의 상부면에 떨어진 낙탄을 걷어내기 위한 스크래퍼(10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재는 와이어로프(30)를 감거나 풀어서 상기 스크래퍼(100)를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윈치 또는 모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스크래퍼(100)의 양측에 연결하는 와이어로프(30)의 연결위치를 조절할 수 없으므로 스크래퍼(100)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데크 플레이트(20)와 쉽게 부딪치면서 파손됨은 물론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특히 종래에는 스크래퍼(100)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충격 및 진동이 발생할 경우 이를 해소할 수 없으므로 내구성 및 사용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또한, 종래에는 시간이 지날수록 마모되는 스크래퍼(100)의 회수날 높이를 조절할 수 없으므로 낙탄을 남김없이 걷어내어 포집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아울러 종래에는 일정부피를 갖는 낙탄은 걷어낼 수 있으나, 이와 달리 부피가 작은 낙탄은 남김없이 걷어낼 수 없으므로 사용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그리고 종래에는 회수되는 낙탄을 다시 벨트 컨베이어로 자동으로 공급하여 재활용할 수 없으므로 작업효율은 물론 활용범위가 극히 제한되는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0729088호(2007.06.14) 특허문헌 2: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049869호(2010.05.13)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스크래퍼와 와이어로프의 연결위치 및 스크래퍼의 회수날 높이를 조절하여 데크 플레이트의 상부면에 떨어진 낙탄을 남김없이 회수할 수 있는 벨트 컨베이어의 낙탄 회수 처리시스템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수되는 낙탄을 다시 벨트 컨베이어로 자동으로 공급하여 재활용할 수 있는 벨트 컨베이어의 낙탄 회수 처리시스템을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벨트 컨베이어의 낙탄 회수 처리시스템은,
벨트 컨베이어(10)의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하는 데크 플레이트(20)와; 상기 데크 플레이트(20)의 상부면에 안착한 상태로 전방 및 후방에 와이어로프(30)를 연결하여 윈치 등과 같은 구동부재의 작동으로 와이어로프(30)를 감거나 풀어서 이동시키면서 데크 플레이트(20)의 상부면에 떨어진 낙탄을 걷어내기 위한 스크래퍼(100)로 이루어지는 벨트 컨베이어의 낙탄 회수 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크래퍼(100)는 양측에 데크 플레이트(20)의 표면에 맞닿아 회전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다수의 지지롤러(111,112)를 구비하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전방 및 후방 양측에 설치하는 다수의 가이드부재(120)와; 상기 몸체(110)의 전방 및 후방에 설치하는 다수의 위치조절부재(130)와; 상기 위치조절부재(130)와 와이어로프(30)의 사이를 연결하는 탄성부재(140)와; 상기 몸체(110)의 전방 및 후방 하부에 설치하되 항상 데크 플레이트(20)의 표면에 밀착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발생시켜 데크 플레이트(20)의 표면에 떨어진 낙탄을 걷어내기 위한 제1회수부재(150)와; 상기 몸체(110)의 중간 하부에 설치하여 데크 플레이트(20)의 표면에 떨어진 낙탄을 쓸어내기 위한 제2회수부재(160)로 이루어지고, 상기 데크 플레이트(20)의 하부 길이방향으로 설치하는 회수호퍼(200)와; 상기 회수호퍼(200)의 하부 일측에 설치하는 압송부재(210)와; 상기 압송부재(210)의 타측에서 벨트 컨베이어(10)의 상부로 연결하여 회수된 낙탄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관(2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재(120)는 상기 몸체(110)의 전방 및 후방 양측에 설치하는 힌지축(122)를 중심으로 내측 또는 외측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가이드몸체(121)를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몸체(121)의 일측에 스프링(123)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140)는 상기 위치조절부재(130)의 일측에 본체(141)를 설치하고, 상기 와이어로프(30)의 일측에 지지축(142)을 결합하며, 상기 지지축(142)의 타측에는 상기 본체(141)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지지판(143)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141)의 내부에 삽입하여 상기 지지판(143)과 맞닿도록 지지스프링(144)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1회수부재(150)는 상기 몸체(110)의 일측에 지지대(151)를 설치하고, 상기 지지대(151)의 일측에는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축(152)을 구비하며, 상기 지지축(152)의 하부에는 이동몸체(154)를 설치하고, 상기 지지축(152)의 외경에 삽입한 상태로 상기 지지대(151)와 이동몸체(154)의 사이에 맞닿도록 보조스프링(153)을 구비하며, 상기 이동몸체(154)의 하부에 회수날(155)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제2회수부재(160)는 상기 몸체(110)의 일측에 보조지지대(161)를 설치하고, 상기 보조지지대(161)의 하부에 브러쉬(162)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압송부재(210)와 공급관(220)의 사이에 이젝터(230)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스크래퍼와 와이어로프의 연결위치를 조절하여 충돌 및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낙탄을 걷어내기 위한 회수날의 높이를 조절하여 낙탄의 회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다양한 부피를 갖는 낙탄을 남김없이 걷어낼 수 있으므로 작업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본 발명은 회수되는 낙탄을 다시 벨트 컨베이어로 자동으로 공급하여 재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 벨트 컨베이어의 낙탄 회수 처리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
도 2는 본 발명 벨트 컨베이어의 낙탄 회수 처리시스템에서 스크래퍼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 벨트 컨베이어의 낙탄 회수 처리시스템에서 스크래퍼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 벨트 컨베이어의 낙탄 회수 처리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 벨트 컨베이어의 낙탄 회수 처리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 벨트 컨베이어의 낙탄 회수 처리시스템에서 스크래퍼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벨트 컨베이어의 낙탄 회수 처리시스템에서 스크래퍼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 벨트 컨베이어의 낙탄 회수 처리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벨트 컨베이어의 낙탄 회수 처리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벨트 컨베이어(10)의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하는 데크 플레이트(20)와; 상기 데크 플레이트(20)의 상부면에 안착한 상태로 전방 및 후방에 와이어로프(30)를 연결하여 윈치 등과 같은 구동부재의 작동으로 와이어로프(30)를 감거나 풀어서 이동시키면서 데크 플레이트(20)의 상부면에 떨어진 낙탄을 걷어내기 위한 스크래퍼(100)로 이루어지는 벨트 컨베이어의 낙탄 회수 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크래퍼(100)는 양측에 데크 플레이트(20)의 표면에 맞닿아 회전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다수의 지지롤러(111,112)를 구비하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전방 및 후방 양측에 설치하는 다수의 가이드부재(120)와; 상기 몸체(110)의 전방 및 후방에 설치하는 다수의 위치조절부재(130)와; 상기 위치조절부재(130)와 와이어로프(30)의 사이를 연결하는 탄성부재(140)와; 상기 몸체(110)의 전방 및 후방 하부에 설치하되 항상 데크 플레이트(20)의 표면에 밀착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발생시켜 데크 플레이트(20)의 표면에 떨어진 낙탄을 걷어내기 위한 제1회수부재(150)와; 상기 몸체(110)의 중간 하부에 설치하여 데크 플레이트(20)의 표면에 떨어진 낙탄을 쓸어내기 위한 제2회수부재(160)로 이루어지고, 상기 데크 플레이트(20)의 하부 길이방향으로 설치하는 회수호퍼(200)와; 상기 회수호퍼(200)의 하부 일측에 설치하는 압송부재(210)와; 상기 압송부재(210)의 타측에서 벨트 컨베이어(10)의 상부로 연결하여 회수된 낙탄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관(22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몸체(110)는 데크 플레이트(20)의 상부에 안착한 상태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양측에 다수의 지지롤러(111,112)를 구비하였다.
이때 상기 지지롤러(111,112)는 데크 플레이트(20)의 표면과 맞닿는 위치에 따라서 각도 및 설치위치가 달라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120)는 상기 몸체(110)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데크 플레이트(20)의 양측면에 낙탄이 묻어있을 경우 이를 제거하여 상기 몸체(110)가 낙탄의 간섭없이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보조한다.
이러한 상기 가이드부재(12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10)의 전방 및 후방 양측에 설치하는 힌지축(122)를 중심으로 내측 또는 외측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가이드몸체(121)를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몸체(121)의 일측에 스프링(123)을 설치하였다.
이때 상기 스프링(123)은 협소한 공간에 설치할 수 있도록 코일스프링을 사용하였다.
따라서 평소에는 상기 스프링(123)의 탄성력으로 상기 가이드몸체(121)가 데크 플레이트(20)의 표면에 맞닿은 상태로 이동하면서 낙탄을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위치조절부재(130)는 와이어로프(30)의 위치가 상기 몸체(110)의 중간에 위치하도록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와이어로프(30)가 상기 몸체(110)의 중간에 위치하지 못할 경우 이동하는 과정에서 일측으로 치우치는 사행이 발생하여 마찰 및 충돌로 인한 안전사고가 발생한다.
이를 위해 상기 위치조절부재(130)는 상기 몸체(110)의 전방 및 후방 양측에서 와이어로프(30)와 연결하여 작업자가 손쉽게 회전시켜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와이어로프(3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공지의 텀버클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140)는 상기 몸체(110)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진동 및 충격을 최소화하고 정지상태의 상기 몸체(110)가 갑자기 이동할 경우 발생하는 과부하를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탄성부재(140)의 구성은 상기 위치조절부재(130)의 일측에 본체(141)를 설치하고, 상기 와이어로프(30)의 일측에 지지축(142)을 결합하며, 상기 지지축(142)의 타측에는 상기 본체(141)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지지판(143)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141)의 내부에 삽입하여 상기 지지판(143)과 맞닿도록 지지스프링(144)을 설치한다.
이때 상기 지지스프링(144)은 상기 몸체(110)가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진동 및 충격을 완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상기 지지판(143)은 평소에는 상기 지지스프링(144)과 맞닿은 상태로 지지하다가 와이어로프(30)가 당겨질 경우 동시에 이동하면서 상기 지지스프링(144)을 압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와이어로프(30)가 당겨질 경우 상기 지지축(142)이 이동하고 동시에 상기 지지판(143)이 상기 지지스프링(144)을 압축하면서 상기 몸체(1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회수부재(150)는 회수날(155)을 항상 데크 플레이트(20)의 표면에 밀착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낙탄을 걷어내기 위한 회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회수부재(150)의 구성은 상기 몸체(110)의 일측에 지지대(151)를 설치하고, 상기 지지대(151)의 일측에는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축(152)을 구비하며, 상기 지지축(152)의 하부에는 이동몸체(154)를 설치하고, 상기 지지축(152)의 외경에 삽입한 상태로 상기 지지대(151)와 이동몸체(154)의 사이에 맞닿도록 보조스프링(153)을 구비하며, 상기 이동몸체(154)의 하부에 회수날(155)을 설치한다.
이때 상기 지지축(152)은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구조상 상기 보조스프링(153)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이동몸체(154) 및 회수날(155)을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수날(155)은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 등으로 제작하여 금속재질인 데크 플레이트(20)와 맞닿으면서 발생하는 마찰을 방지함은 물론 낙탄을 남김없이 걷어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조스프링(153)의 탄성력으로 상기 이동몸체(154) 및 회수날(155)이 항상 하강하면서 데크 플레이트(20)의 표면에 밀착하여 낙탄을 원활하게 걷어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회수부재(160)는 상기 제1회수부재(150)를 통해서 걷어내고 남은 낙탄을 다시 한번 쓸어내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몸체(110)의 일측에 보조지지대(161)를 설치하고, 상기 보조지지대(161)의 하부에 브러쉬(162)를 설치한다.
이때 상기 브러쉬(162)는 미세한 입자의 낙탄을 쓸어내기 위한 구성이다.
또한, 상기 회수호퍼(20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데크 플레이트(20)의 하부 길이방향으로 설치하여 상기 제1회수부재(150) 및 제2회수부재(160)를 통해서 걷어내면서 떨어지는 낙탄을 받아내는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상기 압송부재(210)는 상기 회수호퍼(200)에 모이는 낙탄을 고압공기를 이용하여 상기 공급관(220)을 통해서 낙탄을 벨트 컨베이어(10)의 상부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압송부재(210)는 고압공기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링 브러워(Ring Blower) 등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압송부재(210)와 공급관(220)의 사이에 이젝터(230)를 설치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압송부재(210)의 작동으로 발생하는 압축공기가 상기 이젝터(230)를 통과하면서 배출속도가 증가시켜 낙탄을 벨트 컨베이어(10)의 상부로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이처럼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포함되는 것은 당연하다.
10: 벨트 컨베이어 20: 데크 플레이트
30: 와이어로프
100: 스크래퍼
110: 몸체 111,112: 지지롤러
120: 가이드부재 121: 가이드몸체
122: 힌지축 123: 스프링
130: 위치조절부재
140: 탄성부재 141: 본체
142: 지지축 143: 지지판
144: 지지스프링
150: 제1회수부재 151: 지지대
152: 지지축 153: 보조스프링
154: 이동몸체 155: 회수날
160: 제2회수부재 161: 보조지지대
162: 브러쉬
200: 회수호퍼 210: 압송부재
220: 공급관 230: 이젝터

Claims (6)

  1. 벨트 컨베이어(10)의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하는 데크 플레이트(20)와; 상기 데크 플레이트(20)의 상부면에 안착한 상태로 전방 및 후방에 와이어로프(30)를 연결하여 윈치 등과 같은 구동부재의 작동으로 와이어로프(30)를 감거나 풀어서 이동시키면서 데크 플레이트(20)의 상부면에 떨어진 낙탄을 걷어내기 위한 스크래퍼(100)로 이루어지는 벨트 컨베이어의 낙탄 회수 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크래퍼(100)는 양측에 데크 플레이트(20)의 표면에 맞닿아 회전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다수의 지지롤러(111,112)를 구비하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전방 및 후방 양측에 설치하는 다수의 가이드부재(120)와; 상기 몸체(110)의 전방 및 후방에 설치하는 다수의 위치조절부재(130)와; 상기 위치조절부재(130)와 와이어로프(30)의 사이를 연결하는 탄성부재(140)와; 상기 몸체(110)의 전방 및 후방 하부에 설치하되 항상 데크 플레이트(20)의 표면에 밀착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발생시켜 데크 플레이트(20)의 표면에 떨어진 낙탄을 걷어내기 위한 제1회수부재(150)와; 상기 몸체(110)의 중간 하부에 설치하여 데크 플레이트(20)의 표면에 떨어진 낙탄을 쓸어내기 위한 제2회수부재(160)로 이루어지고, 상기 데크 플레이트(20)의 하부 길이방향으로 설치하는 회수호퍼(200)와; 상기 회수호퍼(200)의 하부 일측에 설치하는 압송부재(210)와; 상기 압송부재(210)의 타측에서 벨트 컨베이어(10)의 상부로 연결하여 회수된 낙탄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관(2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의 낙탄 회수 처리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120)는 상기 몸체(110)의 전방 및 후방 양측에 설치하는 힌지축(122)를 중심으로 내측 또는 외측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가이드몸체(121)를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몸체(121)의 일측에 스프링(123)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의 낙탄 회수 처리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140)는 상기 위치조절부재(130)의 일측에 본체(141)를 설치하고, 상기 와이어로프(30)의 일측에 지지축(142)을 결합하며, 상기 지지축(142)의 타측에는 상기 본체(141)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지지판(143)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141)의 내부에 삽입하여 상기 지지판(143)과 맞닿도록 지지스프링(144)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의 낙탄 회수 처리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수부재(150)는 상기 몸체(110)의 일측에 지지대(151)를 설치하고, 상기 지지대(151)의 일측에는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축(152)을 구비하며, 상기 지지축(152)의 하부에는 이동몸체(154)를 설치하고, 상기 지지축(152)의 외경에 삽입한 상태로 상기 지지대(151)와 이동몸체(154)의 사이에 맞닿도록 보조스프링(153)을 구비하며, 상기 이동몸체(154)의 하부에 회수날(155)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의 낙탄 회수 처리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수부재(160)는 상기 몸체(110)의 일측에 보조지지대(161)를 설치하고, 상기 보조지지대(161)의 하부에 브러쉬(162)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의 낙탄 회수 처리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송부재(210)와 공급관(220)의 사이에 이젝터(230)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의 낙탄 회수 처리시스템.
KR1020130077113A 2013-07-02 2013-07-02 벨트 컨베이어의 낙탄 회수 처리시스템 KR1012989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7113A KR101298994B1 (ko) 2013-07-02 2013-07-02 벨트 컨베이어의 낙탄 회수 처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7113A KR101298994B1 (ko) 2013-07-02 2013-07-02 벨트 컨베이어의 낙탄 회수 처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8994B1 true KR101298994B1 (ko) 2013-08-23

Family

ID=49221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7113A KR101298994B1 (ko) 2013-07-02 2013-07-02 벨트 컨베이어의 낙탄 회수 처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89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3250A (ko) 2014-10-31 2016-05-13 (주)하남스틸써비스 낙탄 회수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72508U (ko) * 1984-10-15 1986-05-17
JPH11255323A (ja) * 1998-03-09 1999-09-21 Mitsui Miike Mach Co Ltd ばら物用ベルトコンベヤの落粉回収装置
KR20090030516A (ko) * 2007-09-20 2009-03-25 주식회사 포스코 컨베이어 리턴벨트 표면의 이물질 제거장치
KR20100049869A (ko) * 2008-11-04 2010-05-13 한국동서발전(주) 벨트 컨베이어의 낙탄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72508U (ko) * 1984-10-15 1986-05-17
JPH11255323A (ja) * 1998-03-09 1999-09-21 Mitsui Miike Mach Co Ltd ばら物用ベルトコンベヤの落粉回収装置
KR20090030516A (ko) * 2007-09-20 2009-03-25 주식회사 포스코 컨베이어 리턴벨트 표면의 이물질 제거장치
KR20100049869A (ko) * 2008-11-04 2010-05-13 한국동서발전(주) 벨트 컨베이어의 낙탄 제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3250A (ko) 2014-10-31 2016-05-13 (주)하남스틸써비스 낙탄 회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7605B1 (ko) 벨트 컨베이어의 낙탄 회수 처리시스템
KR101298993B1 (ko) 벨트 컨베이어의 낙탄 회수 처리시스템
CN205517927U (zh) 一种磁选机
KR101298994B1 (ko) 벨트 컨베이어의 낙탄 회수 처리시스템
KR102046915B1 (ko) 벨트 컨베이어용 클리너
KR20210004384A (ko) 자주식 계사청소기
US3936004A (en) Material reducer
CN209379156U (zh) 一种选矿设备
KR20120006503U (ko) 컨베이어 벨트 장치
CN112495835A (zh) 矿产分选机
KR102168370B1 (ko) 쇼트 블라스터
CN209599652U (zh) 一种用于粉碎机的进料装置
KR200434291Y1 (ko) 충격력을 이용한 컨베이어 벨트 클리너
KR20010073353A (ko) 컨베이어 벨트 크리너의 스크랩퍼
KR101228684B1 (ko) 잔류물 제거 장치
CN212291644U (zh) 一种振动式给料装置
CN109388037B (zh) 用于打印机碳粉加工的环保型生产设备
CN207591950U (zh) 钢丸破碎装置
KR102079549B1 (ko) 부착탄 제거장치
KR101424456B1 (ko) 벨트 컨베이어
KR101259372B1 (ko) 슈트 부착탄 처리 장치
CN203158739U (zh) 带式输送机胶带清扫装置
KR20110057826A (ko) 스크린 매트 청소장치
CN105729324A (zh) 一种用于海绵磨块的重力植砂机
KR20160047723A (ko) 벨트 컨베이어용 롤러 및 이를 이용한 벨트 컨베이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