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7838B1 - 시설재배용 보온커버 제조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시설재배용 보온커버 제조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7838B1
KR101297838B1 KR1020110032323A KR20110032323A KR101297838B1 KR 101297838 B1 KR101297838 B1 KR 101297838B1 KR 1020110032323 A KR1020110032323 A KR 1020110032323A KR 20110032323 A KR20110032323 A KR 20110032323A KR 101297838 B1 KR101297838 B1 KR 1012978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air pocket
fabrics
feed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2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4659A (ko
Inventor
송정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신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신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신산업
Priority to KR1020110032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7838B1/ko
Publication of KR20120114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46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7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78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1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5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feeding movement of the parts to be jo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40General aspects of 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plates, sheets or web-like materials;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Joining single elements to substantially flat surfaces
    • B29C66/41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9C66/43Joining a relatively small portion of the surface of said articles
    • B29C66/439Joining sheets for making inflated articles without using a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3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 B29C66/834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moving with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8341Roller, cylinder or drum types; Band or belt types; Ball types
    • B29C66/83411Roller, cylinder or drum ty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heating method
    • B32B37/065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heating method resulting in the laminate being partially bon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0Agricultural usage or equipment
    • B29L2031/7006Agricultural usage or equipment for greenho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10/00Agriculture-related art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rotection Of Pla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루미늄박판의 내측면에 라미네이팅 가능한 필름을 합지하고, 알루미늄박판의 외면에 부식과 산화를 방지하기 위한 코팅층을 형성하거나 또는, 필름의 표면에 알루미늄을 증착하여 보온커버를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원단을 준비하고, 준비된 원단을 보온커버를 제조하고자 하는 폭 만큼에 해당하는 원단을 펼쳐서 가장자리 부위가 소정의 폭 만큼 겹쳐진 상태로 공급하고, 가장자리가 겹쳐지도록 공급되는 다수 개의 원단에 열을 가하여 겹쳐지는 부위의 원단을 접착하여 각각 넓은 폭을 가지는 상부원단과 하부원단으로 만들고, 상,하부원단을 열접착을 통하여 합지하여 접합부와 이격부에 의하여 에어포켓과 통로를 형성하고, 에어포켓이 형성된 상,하부원단의 가장자리를 접합하여 주입된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보온커버를 완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시설재배용 보온커버 제조방법 및 장치{HEATING COVER MANUFACTURING METHOD AND ITS DEVICE}
본 발명은 시설재배용 보온커버 제조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비닐하우스를 구성하는 피복비닐 또는 피복된 비닐의 내,외부에 부가적으로 피복하여 보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보온용 등으로 활용할 수 있는 보온커버를 만드는 방법과 그 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계절보다 앞서 작물이나 과일, 채소 등을 조기에 출하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 유리온실 또는 비닐하우스와 같은 시설재배이며, 이러한 시설재배에는 외부기온이 낮은 실외에 비하여 절대적으로 높은 온도를 유지하여야 하는 특성으로 인하여 난방과 보온이 필요하게 된다.
이와 같이 우리나라의 시설재배 면적은 약 53,000 헥타르에 이르게 되며, 이와 같은 많은 면적의 시설재배시에는 내부 온도를 높이기 위하여 난방을 수행함과 아울러, 난방으로 발생한 열원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2중 또는 3중으로 하우스를 설치하거나 다층의 보온커버를 사용하고 있다.
상기 보온커버는 일출시에는 햇빛이 시설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덮고 있던 보온커버를 권취하여 고정하고, 일몰시에는 실내의 난방 열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보온커버를 덮어주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종래에도 이러한 시설의 보온성을 높이기 위하여 비닐 또는 보온커버의 내부에 공기 또는 가스를 주입하여 공기층(가스층)에 의하여 단열성을 높이도록 한 보온재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보온커버(1)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비닐(2)과 내부비닐(3) 및 접합부(4)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외부비닐(2)과 내부비닐(3) 및 접합부(4)에 의해 형성되는 중공부(5)를 형성하고, 상기 중공부(5)에는 보온을 위한 공기 또는 가스를 주입하는 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보온커버의 또 다른 예로서는, 비닐의 외면에 반사시트를 접착부로 일체로 형성하고, 비닐과 반사시트 사이에는 접착부에 의하여 연결된 형태의 공기통로를 형성하여 비닐하우스에 피복한 후 블로워로 공기를 주입시켜 팽창된 상태를 유지시켜 보온성을 높이도록 하고, 피복상태를 해제하고자 할 경우에는 블로워 연결을 해제하여 공기주입을 차단하여 쉽게 개,폐할 수 있도록 제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보온커버는 실제 현장에서 접목되지 못하고 아이디어로만 제공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 보온커버를 생산하기 위한 설비나 장치 또한 제공되고 있지 않은 상태이다.
그리고, 보온커버가 비닐재질로 2중 구성하는 경우에는 열접착을 통하여 쉽게 접착할 수 있는 특성은 있으나, 결국에는 비닐을 2겹으로 구성하기 때문에 중량이 무거워 전반적인 취급이 용이하지 못하고 생산원가가 높아지는 단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비닐과 반사시트를 부착하여 구성하는 경우에는 반사시트가 알루미늄재질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종(異種)의 재질을 접합 되게 하기 위한 기술적인 해결수단이 강구되지 않아 현실성 있게 적용하는 것이 불가능한 실정이다.
특히, 시설재배를 위한 비닐하우스에 적용되는 비닐의 경우에는 폭이 8m 이상에 이르고 있으나 반사시트의 경우에는 현재 공급되는 최대폭이 1.5m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넓은 폭의 비닐에 맞게 반사시트를 부착하는 기술과 방법이 제시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현실성이 없는 기술내용이라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조의 문제점을 차치하고라도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보온커버를 시설재배를 위한 비닐하우스에 적용할 경우, 반사시트의 특성상 외부의 열이 유입되는 것은 차단할 수 있으나, 실내의 열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원만하게 차단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일몰시 실내의 열기를 외부에 빼앗기지 않도록 하는 목적 달성이 어려워지는 등 여러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보온커버를 만들기 위한 원단을 공급하기 위한 피더와, 제조 완료된 보온커버를 권취하기 위한 와인더를 양측에 가지는 프레임과, 상기 피더의 전방에 설치하여 피더로부터 인출된 원단의 가장자리를 겹칩 부위를 접합하여 하여 하나의 상부원단과 하부원단으로 만드는 합지기와, 상기 합지기의 전방에 설치하여 합지된 상,하부원단에 공기가 유통할 수 있는 에어포켓을 형성하는 에어포켓성형기와, 상기 에어포켓성형기와 와인더 사이에 설치하여 에어포켓이 형성된 상,하부원단의 가장자리를 접합하기 위한 가장자리접합기로 구성하는 시설재배용 보온커버 제조장치와,
알루미늄박판의 내측면에 라미네이팅 가능한 필름을 합지하고, 알루미늄박판의 외면에 부식과 산화를 방지하기 위한 코팅층을 형성하거나 또는, 필름의 표면에 알루미늄을 증착하여 보온커버를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원단을 준비하는 원단준비단계(S1)와, 보온커버를 제조하고자 하는 폭 만큼에 해당하는 원단을 펼쳐서 가장자리 부위가 소정의 폭 만큼 겹쳐진 상태로 공급하는 원단공급단계(S2)와, 가장자리가 겹쳐지도록 공급되는 다수 개의 원단에 열을 가하여 겹쳐지는 부위의 원단을 접착하여 각각 넓은 폭을 가지는 상부원단과 하부원단으로 만드는 원단합지단계(S3)와, 상,하부원단을 열접착을 통하여 합지하여 접합부와 이격부에 의하여 에어포켓과 통로를 형성하는 에어포켓형성단계(S4)와, 에어포켓이 형성된 상,하부원단의 가장자리를 접합하여 주입된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보온커버를 완성하는 가장자리접합단계(S5)로 이루어지는 시설재배용 보온커버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고반사 및 저방사 기능을 가지는 알루미늄필름과 PE필름과의 접착성을 향상시켜 보온커버의 제조 용이성을 제공하면서 비닐하우스 내부의 열기가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기능을 향상시켜 보온커버의 품질을 향상시켜 결국에는 시설재배의 열손실을 최소화하여 작물 등의 재배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시설재배용 보온커버 제조장치를 도시한 측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시설재배용 보온커버 제조장치의 피더 부위를 발췌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시설재배용 보온커버 제조장치의 합지기를 발췌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시설재배용 보온커버 제조장치의 에어포켓성형기를 발췌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시설재배용 보온커버 제조장치의 가장자리합지기를 발췌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인 시설재배용 보온커버 제조장치에 의하여 제조된 보온커버를 발췌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인 시설재배용 보온커버 제조장치에 의하여 제조된 보온커버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시설재배용 보온커버 제조과정을 도시한 공정 블록도.
도 9는 종래 기술이 적용된 보온커버를 도시한 예시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과 제조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시설재배용 보온커버 제조장치를 도시한 측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시설재배용 보온커버 제조장치의 피더 부위를 발췌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시설재배용 보온커버 제조장치의 합지기를 발췌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시설재배용 보온커버 제조장치의 에어포켓성형기를 발췌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시설재배용 보온커버 제조장치의 가장자리합지기를 발췌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인 시설재배용 보온커버 제조장치에 의하여 제조된 보온커버를 발췌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인 시설재배용 보온커버 제조장치에 의하여 제조된 보온커버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시설재배용 보온커버 제조과정을 도시한 공정 블록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시설재배용 보온커버 제조장치(100)는, 프레임(101)의 길이방향 양측에 보온커버(102)를 만들기 위한 원단(103)을 공급하기 위한 피더(104)와, 제조 완료된 보온커버(102)를 권취하기 위한 와인더(105)를 가지도록 한다.
상기 피더(104)는 프레임(101)의 폭 방향 양측에 프레임(101)의 길이방향으로 전,후진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피더안치구(106)에 원단롤(107)과 결합할 수 있도록 롤샤프트(108)를 구비한다.
상기 롤샤프트(108)를 가지는 피더안치구(106)는 다수 개 다단으로 구비하는 데, 보온커버(102)를 구성할 때 상부원단(109)을 만들기 위한 상부원단피더(UF)와 하부원단(110)을 만들기 위한 하부원단피더(LF)로 구분하여 원단(103)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피더(104)의 전방(도 1에서 보았을 때 우측 방향)에는 피더(104)로부터 인출된 원단(103)의 장력을 일정하게 조절하면서 평평하게 펼쳐진 상태로 공급하기 위한 통상적인 확포수단(111)을 설치한다.
상기 확포수단(111)의 전방에는 다수 매가 폭 방향으로 펼쳐진 상태로 공급되는 원단(103)의 겹칩부위 즉, 원단(103)의 가장자리와 인접한 다른 원단(103)의 가장자리 부위의 겹쳐진 부분을 접한하여 하나의 상부원단(109)과 하부원단(110)으로 만드는 합지기(113)를 설치한다.
상기 합지기(113)의 전방에는 합지된 상,하부원단(109,110)에 공기가 유통할 수 있는 에어포켓(114)을 형성하는 에어포켓성형기(115)를 설치하고, 상기 에어포켓성형기(115)와 와인더(105) 사이에는 상,하부원단(109,110)의 가장자리를 접합하기 위한 가장자리접합기(116)를 설치하여 구성한다.
상기 합지기(113)는, 상부원단피더(UF)로부터 다수 개의 원단(103)을 공급받아 하나의 상부원단(109)을 만드는 상부합지기(120)와, 하부원단피더(LF)로부터 다수 개의 원단(103)을 공급받아 하나의 하부원단(110)을 만드는 하부합지기(121)를 프레임(101)의 상,하측에 이격된 상태로 설치한다.
상기 상,하부합지기(120,121)는 프레임(101)의 상,하측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히팅롤러(123,124)와, 상기 히팅롤러(123,124)의 상,하측에서 실린더와 같은 승강수단(125)에 의하여 히팅롤러(123,124)와 연접 및 이탈되면서 원단(103)의 겹치는 부분을 가압하여 접합시키는 접합롤러(126,127)로 구성한다.
상기 접합롤러(126,127)는 공급되는 원단(103)이 겹치는 위치를 가압하여 접합할 수 있도록 원단(103)이 겹치는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접합롤러(126,127)의 외표면보다 돌출된 형태의 접합링(128,129)을 가지도록 한다.
상기 에어포켓성형기(115)는, 프레임(101)의 상측에 고정설치되어 접착에 필요한 열을 발생시키는 성형롤러(130)와, 상기 성형롤러(130)의 하측에 실린더와 같은 승강수단(131)에 의하여 성형롤러(130)와 연접 및 이탈하면서 공급되는 상부원단(109)과 하부원단(110)을 가압하여 합지하면서 에어포켓(114)이 형성되도록 하는 가압롤러(132)로 구성한다.
상기 성형롤러(130) 또는 가압롤러(132)의 표면에는 에어포켓(114)을 형성하기 위한 접합부(133)를 형성하기 위한 접합돌기(134)를 형성하고, 상기 접합돌기(134)는 성형롤러(130) 또는 가압롤러(132)의 폭 전체에 대하여 일체형으로 형성하지 않고 에어포겟(114)이 모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소정간격의 이격부(135)를 두어 에어포켓(114)에 주입되는 공기 또는 가스(이하 공기라 한다.)의 통로(136)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접합돌기(134)는 성형롤러(130) 또는 가압롤러(132)의 중심에서 양측으로 가면서 ∨형상 또는 ∧형상이 되도록 배열하는 것이 상,하부원단(109,110)을 접합하면서 에어포켓(114)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상,하부원단(109,110)이 어느 한 방향으로 편중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접합돌기(134)의 양단부에는 접합돌기(134)의 전,후측(원단의 진행방향)에 상,하부원단(109,110)을 관통할 수 있는 천공핀(137)을 더 구비하여 에어포켓(114)에 토출공(138)을 형성하여 주입되는 공기를 접합부(133)의 내,외측으로 토출시켜 에어포켓(114)보다 낮은 온도를 가지는 접합부(133)에 결로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가장자리접합기(116)는, 프레임(101)의 상측 또는 하측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히팅롤러(140)와, 상기 히팅롤러(140)의 상,하측에서 실린더와 같은 승강수단(141)에 의하여 히팅롤러(140)와 연접 및 이탈되면서 에어포켓(114)이 형성된 상,하부원단(109,110)의 가장자리를 가압하여 접합시키는 접합롤러(142)로 구성한다.
상기 접합롤러(142)는 공급되는 상,하부원단(109,110)의 폭 방향 양측 가장자리를 가압하여 접합할 수 있도록 상,하부원단(109,110)의 가장자리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접합롤러(142)의 외표면보다 돌출된 형태의 접합링(143)을 가지도록 한다.
물론, 상기 피더(104)와 합지기(113) 사이, 합지기(113)와 에어포켓성형기(115) 사이, 에어포켓성형기(115)와 가장자리접합기(116) 사이 및 가장자리접합기(116)와 와인더(105) 사이에는 원단(103)과 제조된 보온커버(102)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롤러(145)를 설치함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시설재배용 보온커버 제조장치(100)를 이용하여 보온커버(102)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보온커버(102)는 원단준비단계(S1)와, 원단공급단계(S2), 원단합지단계(S3), 에어포켓형성단계(S4) 및 가장자리접합단계(S5)로 이루어진다.
원단준비단계(S1)에서는, 본 발명의 보온커버(102)를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원단(103)은 알루미늄박판(150)의 내측면(보온커버로 사용될 때의 내측면)에는 라미네이팅 가능한 PE계열의 필름(151)을 합지하고, 알루미늄박판(150)의 외면에는 햇빛 등에 의하여 부식이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한 코팅층(152)을 형성한 것을 사용한다.
상기 원단(103)에 사용되는 알루미늄박판(150)는 시설재배를 위한 비닐하우스의 내,외부의 열기를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방사율이 0.5 이하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알루미늄박판(150) 대용으로 필름(151)의 외표면에 알루미늄을 증착시켜 적용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원단공급단계(S2)에서는, 보온커버(102)를 제조하고자 하는 폭만큼의 원단(103)을 공급하는 데, 원단(103)의 폭이 1미터이기 때문에 최소 1개 이상의 원단(103)을 공급하게 된다.
제조하고자 하는 보온커버(102)의 폭에 따라 롤샤프트(108)에 결합 되는 원단롤(107)의 수가 달라지게 되는 데, 예를 들어 3미터 폭의 보온커버(102)를 제조하고자 할 경우에는 1미터 폭을 가지는 원단롤(107)을 상부원단피더(UF)에 3개를 결합하고, 하부원단피더(LF)에도 3개의 원단롤(107)을 결합하게 된다.
이때, 상,하부원단피더(UP,LP)에 각각 2개의 원단롤(107)은 앞 또는 뒤쪽의 롤샤프트(108)에 결합하고, 1개의 원단롤(107)은 앞 또는 뒤쪽의 롤샤프트(108)에 결합하여 3개의 원단롤(107)로부터 인출되는 원단(103)은 소정의 폭만큼 겹치는 구간이 발생하도록 하여 각각의 원단(103)의 겹치는 부위를 합지하여 3미터 폭의 원단을 만들 수 있도록 한다.
물론, 보온커버(102)의 폭이 예시적으로 설명한 3미터보다 넓거나 좁은 경우에는 롤샤프트(108)에 결합 되는 원단롤(107)의 수를 가감하여 원하는 폭으로 합지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원단합지단계(S3)에서는, 가장자리가 겹쳐지도록 공급되는 다수 개의 원단(103)에 열을 가하여 겹쳐지는 부위의 원단을 접착하여 각각 넓은 폭을 가지는 상부원단(109)과 하부원단(110)으로 만들게 된다.
에어포켓형성단계(S4)에서는, 소폭의 원단(103)을 접착하여 넓게 된 상,하부원단(109,110)을 합지하여 열접착을 통하여 접합부(113)와 이격부(135)에 의하여 에어포켓(114)과 통로(136)가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의 에어포켓(114)의 형상은 보온커버(102)의 폭 방향 중심에 대하여 ∨형상 또는 ∧형상을 가지도록 하여 보온커버(102)를 만드는 과정에서 상,하부원단(109,110)이 어느 한 방향으로 편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하부원단(109,110)을 합지하면서 에어포켓(114)을 형성할 때에는 원단(103)을 구성하는 알루미늄박판(150)의 내측면에 접합 되는 필름(151)층이 서로 연접되게하여 열접착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 상,하부원단(109,110)을 합지하여 에어포켓(114)을 형성할 때에는 접합부(133)와 인접한 위치인 에어포켓(114)의 가장자리 부위에 토출공(138)을 형성하여 에어포켓(114)으로 주입되는 공기가 토출 되어 공기층이 없어 에어포켓(114) 보다 낮은 기온을 유지하는 접합부(133)에 결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가장자리접합단계(S5)에서는, 합지 되면서 에어포켓(114)이 형성된 상,하부원단(109,110)의 가장자리를 접합하여 주입된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보온커버(102)를 완성한다.
상기와 같은 각 단계에 맞게 보온커버 제조장치(100)를 이용하여 보온커버(102)를 만드는 과정을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조하고자 하는 보온커버(102)의 폭에 맞게 원단(103)을 피더(104)의 롤샤프트(108)에 결합하는 데, 상부원단(109)과 하부원단(110) 공히 동일한 수로 구비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공급시에는 각각의 원단(103)은 열접합 가능하도록 가장자리가 소정의 폭만큼 겹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공급되는 원단(103)은 확포수단(111)과 가이드롤러(145)를 경유하면서 합지기(113)로 공급되는 데, 상부원단피더(UF)로부터 공급되는 원단(103)은 상부합지기(120)로 공급되어 겹치는 부위가 합지 됨으로써 상부원단(109)으로 만들어지고, 하부원단피더(LF)로부터 공급되는 원단(103)은 하부합지기(121)로 공급되어 겹치는 부위가 합지되어 하부원단(110)으로 만들어지게 된다.
상기 원단(103)의 합지는 상,하부합지기(120,121)를 구성하는 히팅롤러(123,124)와 접합롤러(126,127) 사이를 경유하므로 원단(103)을 구성하는 알루미늄박판(150)의 내면에 접합된 필름(151)이 용융되면서 넓은 폭을 가지는 상,하부원단(109,110)으로 만들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상,하부원단(109,110)은 원단(103)을 최초로 공급할 때 필름(151)부위가 서로 마주볼 수 있도록 공급함으로써 열접착에 의하여 합지 가능하게 됨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 합지기(113)에 의하여 만들어진 상부원단(109)과 하부원단(110)은 가이드롤러(145)를 경유하여 에어포켓성형기(115)로 합지되면서 공급되고, 에어포켓성형기(115)를 구성하는 성형롤러(130)와 가압롤러(132)에 의하여 상,하부원단(109,110) 전체폭에 대하여 열을 가하면서 가압하여 에어포켓(114)을 형성하게 된다.
즉, 성형롤러(130) 또는 가압롤러(132)에 형성되는 접합돌기(134)에 의하여 상,하부원단(109,110)이 열과 함께 가압되어 접합부(133)가 형성되고, 결합돌기(134)와 결합돌기(134)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부(135)에 의해서는 상,하부원단(109,110)이 접합되지 않으므로 차후 공기가 유통할 수 있는 통로(136)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동시에 결합돌기(134)의 양단부 전,후측에 일체로 더 구비되는 천공핀(137)에 의하여 접합부(133) 양측을 관통하여 토출공(138)을 형성하게 되므로, 차후 시설재배를 구성하는 비닐하우스 등에 설치하였을 때 에어포켓(114)으로 공급되는 공기가 토출공(138)을 통하여 토출되어 접합부(133)로 토출되어 에어포켓(114)과 접합부(133)의 온도차이로 발생할 수 있는 결로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하부원단(109,110)을 에어포켓(114)을 형성하면서 접합시킨 후에는 가장자리접합기(116)로 이동되어 히팅롤러(140)와 접합롤러(142) 사이를 경유하게 되므로 상,하부원단(109,110)의 가장자리부위를 접합함으로써 보온커버(102)를 제조하게 되며, 이와 같이 완성된 보온커버(102)는 와인더(105)에 롤타입으로 권취하면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시설재배시 피복되는 보온커버를 제조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과 장치를 제공하여 보온커버 제조 효율성을 높이면서 안정된 품질을 유지하여 저렴한 가격에 공급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시설재배 이외의 보온 또는 단열을 목적으로 하는 용도로도 활용가능한 장점을 가진다.
100; 보온커버 제조장치 102; 보온커버
104; 피더 108; 롤샤프트
109; 상부원단 110; 하부원단
113; 합지기 114; 에어포켓
115; 에어포켓성형기 116; 가장자리접합기
120; 상부합지기 121; 하부합지기
133; 접합부 134; 접합돌기
136; 통로 137; 천공핀
138; 토출공

Claims (7)

  1. 보온커버를 만들기 위한 원단을 공급하기 위한 피더와, 제조 완료된 보온커버를 권취하기 위한 와인더를 양측에 가지는 프레임과;
    상기 피더의 전방에 설치하여 피더로부터 인출된 원단의 가장자리를 겹칩 부위를 접합하여 하여 하나의 상부원단과 하부원단으로 만드는 합지기와;
    상기 합지기의 전방에 설치하여 합지된 상,하부원단에 공기가 유통할 수 있는 에어포켓을 형성하는 에어포켓성형기와;
    상기 에어포켓성형기와 와인더 사이에 설치하여 에어포켓이 형성된 상,하부원단의 가장자리를 접합하기 위한 가장자리접합기로 구성하고;
    상기 피더는 프레임의 폭 방향 양측에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전,후진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피더안치구와;
    상기 피더안치구에 원단롤을 결합할 수 있도록 구비하는 롤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피더안치구는 다수 개 구비하여 보온커버를 구성할 때 상부원단을 만들기 위한 상부원단피더와 하부원단을 만들기 위한 하부원단피더로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재배용 보온커버 제조장치.
  2. 알루미늄박판의 내측면에 라미네이팅 가능한 필름을 합지하고, 알루미늄박판의 외면에 부식과 산화를 방지하기 위한 코팅층을 형성하거나 또는, 필름의 표면에 알루미늄을 증착하여 보온커버를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원단을 준비하는 원단준비단계(S1)와;
    보온커버를 제조하고자 하는 폭 만큼에 해당하는 원단을 펼쳐서 가장자리 부위가 소정의 폭 만큼 겹쳐진 상태로 공급하는 원단공급단계(S2)와;
    가장자리가 겹쳐지도록 공급되는 다수 개의 원단에 열을 가하여 겹쳐지는 부위의 원단을 접착하여 각각 넓은 폭을 가지는 상부원단과 하부원단으로 만드는 원단합지단계(S3)와;
    상,하부원단을 열접착을 통하여 합지하여 접합부와 이격부에 의하여 에어포켓과 통로를 형성하는 에어포켓형성단계(S4)와;
    에어포켓이 형성된 상,하부원단의 가장자리를 접합하여 주입된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보온커버를 완성하는 가장자리접합단계(S5)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재배용 보온커버 제조방법.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합지기는, 상부원단피더로부터 다수 개의 원단을 공급받아 하나의 상부원단을 만드는 상부합지기와;
    하부원단피더로부터 다수 개의 원단을 공급받아 하나의 하부원단을 만드는 하부합지기로 구성하고;
    상기 상,하부합지기는 프레임의 상,하측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히팅롤러와;
    상기 히팅롤러의 상,하측에서 승강수단에 의하여 히팅롤러와 연접 및 이탈되면서 원단의 겹치는 부분을 가압하여 접합시키는 접합롤러와;
    상기 접합롤러에는 공급되는 원단이 겹치는 위치를 가압하여 접합할 수 있도록 원단이 겹치는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접합롤러의 외표면보다 돌출되는 접합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재배용 보온커버 제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포켓성형기는, 프레임의 상측에 고정설치되어 접착에 필요한 열을 발생시키는 성형롤러와;
    상기 성형롤러의 하측에 승강수단에 의하여 성형롤러와 연접 및 이탈하면서 공급되는 상부원단과 하부원단을 가압하여 합지하면서 에어포켓이 형성하는 가압롤러로 구성하고;
    상기 성형롤러 또는 가압롤러의 표면에 형성하여 에어포켓을 만드는 접합부를 형성하는 접합돌기와;
    상기 접합돌기와 접합돌기 사이에 형성하여 에어포켓에 주입되는 공기 통로를 만드는 이격부와;
    상기 접합돌기는 상,하부원단이 접합되면서 어느 한 방향으로 편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성형롤러 또는 가압롤러의 중심에서 양측으로 가면서 ∨형상 또는 ∧형상이 되도록 배열하고;
    상기 접합돌기의 양단부 위치 전,후측에는 에어포켓에 토출공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비하는 천공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재배용 보온커버 제조장치.
  6. 삭제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포켓형성단계(S4)에서 에어포켓은의 형상은 보온커버를 만드는 과정에서 상,하부원단이 어느 한 방향으로 편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보온커버의 폭 방향 중심에 대하여 ∨형상 또는 ∧형상을 가지도록 하고;
    상기 상,하부원단을 합지하여 에어포켓을 형성할 때에는 접합부와 인접한 에어포켓의 가장자리 부위에 접합부 결로방지를 위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토출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재배용 보온커버 제조방법.
KR1020110032323A 2011-04-07 2011-04-07 시설재배용 보온커버 제조방법 및 장치 KR1012978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2323A KR101297838B1 (ko) 2011-04-07 2011-04-07 시설재배용 보온커버 제조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2323A KR101297838B1 (ko) 2011-04-07 2011-04-07 시설재배용 보온커버 제조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4659A KR20120114659A (ko) 2012-10-17
KR101297838B1 true KR101297838B1 (ko) 2013-08-19

Family

ID=47283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2323A KR101297838B1 (ko) 2011-04-07 2011-04-07 시설재배용 보온커버 제조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78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3857B1 (ko) * 2014-01-22 2016-06-07 박현창 다층 에어캡 원단 제조장치
KR101670042B1 (ko) * 2016-03-23 2016-10-27 (주) 영농 공극 유지관을 포함한 다겹 부직포
KR101628679B1 (ko) * 2016-05-02 2016-06-09 최재훈 파이프용 보온커버 제조장치
CN107364150B (zh) * 2017-09-15 2024-03-15 邵东市邵仙五金工具有限公司 一种胶柄用理料输送加热设备
KR102097866B1 (ko) * 2018-05-15 2020-04-06 유재윤 에어 캡 접합장치
KR102348495B1 (ko) * 2019-04-25 2022-01-07 김상현 보온 덮개의 제조장치 및 보온 덮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7547A (ko) * 1991-03-27 1992-10-21 이용구 비닐하우스용 보온재, 그 제조방법 및 장치
KR200307486Y1 (ko) * 2002-12-02 2003-03-26 전일프라스틱(주) 비닐하우스용 보온팩의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7547A (ko) * 1991-03-27 1992-10-21 이용구 비닐하우스용 보온재, 그 제조방법 및 장치
KR200307486Y1 (ko) * 2002-12-02 2003-03-26 전일프라스틱(주) 비닐하우스용 보온팩의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4659A (ko) 2012-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7838B1 (ko) 시설재배용 보온커버 제조방법 및 장치
US8328976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root of megawatt wind-turbine blade
CA1312540C (en) Forming corrugated board structures
CN208529866U (zh) 双面机的包括前置双重弧形热板的加热装置及双面机
EP2418332B1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reflective heat insulator
KR200433209Y1 (ko) 단열재 시트 제조 장치
CN103841820A (zh) 温室帘幕
EP2085218B1 (en) Machine for bonding films made of different materials and the corresponding method
EP1029665A2 (en) Method and machine for making sandwich panels
CN104855178B (zh) 索膜热合制造方法
EP2792478B1 (en) Assembly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corrugated board
CN106272748A (zh) 热熔胶膜复合拼接单板及应用其的胶合板生产工艺
CN104180320B (zh) 一种快速贴胶设备及贴胶方法
CN101722686A (zh) 轻质复合材料的制备方法
KR20190001892U (ko) 4층 합지기의 접착제 도포장치
CN102510983B (zh) 真空元件和其制造方法
EP1336471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urved furnishing components, particularly door panels for furniture, and article obtainable with the method
WO2021227226A1 (zh) 一种用于加热的复合布及其生产设备
CN210820973U (zh) 一种无醛热塑性胶膜复合单板敷膜装置
KR101896912B1 (ko) 단열벽지 제조장치
CN101121275A (zh) 胶合板单板修补的连接方法
KR20060021127A (ko) 복합기능성 방음보온단열판넬 및 그 제조방법
CN200974271Y (zh) 一种胶合板单板
CN206970478U (zh) 一种拼接式夹胶玻璃
US20090324960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bituminous membra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