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8495B1 - 보온 덮개의 제조장치 및 보온 덮개 - Google Patents

보온 덮개의 제조장치 및 보온 덮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8495B1
KR102348495B1 KR1020190063429A KR20190063429A KR102348495B1 KR 102348495 B1 KR102348495 B1 KR 102348495B1 KR 1020190063429 A KR1020190063429 A KR 1020190063429A KR 20190063429 A KR20190063429 A KR 20190063429A KR 102348495 B1 KR102348495 B1 KR 1023484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unit
supply
thermal insulation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3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5360A (ko
Inventor
김상현
Original Assignee
김상현
(주)비엔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현, (주)비엔케이 filed Critical 김상현
Publication of KR20200125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53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8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84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04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apparatus
    • B32B37/0053Constructional details of laminating machines comprising rollers;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heating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10/00Agriculture-related art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Thermal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단위 부재가 적층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보온 덮개의 제조장치 및 보온 덮개에 관한 것으로서, 상하로 각각 배치되며 히팅부가 내장되는 압축 회전롤; 보온 덮개의 단위 부재와 단위 부재 사이에 접착제를 공급하기 위해 설치되는 접착제 공급부; 및, 상기 접착제 공급부에 연결되는 공급 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보온 덮개의 제조장치 및 보온 덮개{Warming Cover Maunfacturing Apparatus and the Warming Cover}
본 발명은 보온 덮개의 제조장치 및 보온 덮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 층으로 구성된 보온 덮개를 고착하되 부착성이 우수하여 분리되기 어렵고 제조가 용이한 보온 덮개의 제조장치 및 보온 덮개에 관한 것이다.
보온 덮개는 농작물이나 기타 물건을 덮어서 물건으로부터 열이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보온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보온 덮개가 농업용 하우스 등에서 사용될 경우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융착된 외피 사이에 충전재가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외피로는 비닐이나 부직포 등이 사용되고, 충전재로는 솜이나 보온사 등이 채택된다.
이와 같은 보온 덮개를 제조하는 장치가 한국 등록특허 제10-1604008호("선행문헌" 이라 함)에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장치는 상하 외피 사이에 충전재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동시에 공급하고 융착 헤드를 이용하여 상기 상하 외피와 충전재를 융착하는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문헌의 보온 덮개의 제조장치에 따르면, 단지 융착에 의해서만 제조되기 때문에 5층 이상 다수의 단위 부재로 적층되어 두께가 두꺼워진 부위를 융착할 경우 접합 강도가 약하여 사용중 분리되는 경우가 많았다.
특히, 5층 이상의 단위 부재로 이루어진 보온 덮개의 경우, 두께가 매우 커지게 되는 것에 의해 융착에 요구되는 온도도 높아지게 되면서 융착 도중 외피가 녹거나 타버리는 현상이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문헌 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04008호(2016.03.10)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층의 단위 부재로 이루어진 보온 덮개에서 사용중 단위 부재와 단위 부재 사이의 밀착성이 높아 분리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는 보온 덮개의 제조장치 및 보온 덮개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단위 부재가 적층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보온 덮개의 제조장치는,
상기 보온 덮개가 통과하도록 상하로 각각 이격되게 배치되는 압축 회전롤;
접착제 공급부; 및,
복수의 단위 부재 층으로 구성된 보온 덮개의 단위 부재와 단위 부재 사이에 접착제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접착제 공급부에 연통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공급 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축 회전롤의 내부에는 히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온 덮개의 이송방향을 가로지르는 폭방향으로 복수 세트의 공급 노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단위 부재가 적층되는 보온 덮개는,
상기 단위 부재와 단위 부재 사이에 일방향으로 접착제가 도포되어 상호 접착된 접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평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접착부는 상기 일방향에 직교하는 폭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되며, 상기 일방향에 직교하는 횡단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접착부는 상기 폭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보온 덮개를 구성하는 단위 부재와 단위 부재 사이가 접착제의 의해 접착된 상태로 융착 및 밀착이 이루어지므로 사용중 서로 분리되는 경우가 없다.
특히, 부직포와 비닐이 융착되는 부분만 접착제를 공급하여 접착할 수 있으므로 과도한 접착제의 사용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소비자가 원하는 넓이의 보온 덮개로 절단하여 노즐의 위치를 접착 부분에 위치하여 접착할 수 있다.
또한, 플라스틱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 접착 후 비닐, 부직포 및 마대 원단 사이의 밀착성이 우수하다.
또한, 압축 회전롤이 가열된 상태에서 보온 덮개를 누르게 되므로 접착성 및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제 공급부에서 접착제 공급량을 조절하여 접착제가 적당량 공급될 수 있도록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노즐을 보온 덮개의 폭 방향으로 복수개 배치하여 노즐 사이의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면, 접착부의 간격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공급 노즐을 보온 덮개의 두께 방향으로 복수개 배치하여 복수의 단위 부재 사이에 접착제가 동시에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압축 회전롤의 길이를 길게 형성하면 보온 덮개의 폭을 비교적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작업 환경에 따라 주문 생산이 가능하다는 이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온 덮개의 제조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온 덮개의 제조장치에서 공급 노즐 주변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보온 덮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온 덮개의 제조장치(1000)는, 복수의 단위 부개가 적층되는 보온 덮개(100)를 제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보온 덮개(100)가 통과하도록 상하로 각각 이격되게 배치되는 압축 회전롤(200), 접착제 공급부(300) 및, 복수의 단위 부재(110)로 구성된 보온 덮개(100)의 단위 부재(110)와 단위 부재(110) 사이에 접착제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접착제 공급부(300)에 연통되게 설치되는 복수의 공급 노즐(400)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보온 덮개(100)를 구성하는 복수의 단위 부재(110)가 각각 공급롤(500)로부터 풀려서 각각 별도로 공급되어 상기 압축 회전롤(200)에 도달하게 된다.
상기 복수의 단위 부재(110)가 상기 압축 회전롤(200)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복수의 단위 부재(110)와 단위 부재(110) 사이에 접착제를 공급하게 된다.
이를 위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보온 덮개(100)를 구성하는 단위 부재(110)와 단위 부재(110) 사이에 상기 접착제 공급부(300)로부터 이송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접착제 분배모듈(350)을 연장배치하고, 상기 접착제 분배모듈(350)의 연장방향을 따라 복수의 공급 노즐(400)을 이격 배치할 수 있다.
평면에서 바라볼 때,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공급 노즐(400)은 보온 덮개(100)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복수의 공급 노즐(400)이 이격되게 일직선상에 설치되어 단위 부재(110)와 단위 부재(110) 사이에 공급되는 접착제는 보온 덮개(100)의 폭방향에서 동일한 위치에서 이송방향을 따라 도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보온 덮개(100)를 횡단면상에서 바라볼 때 폭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에서 단위 부재(110)와 단위 부재(110) 사이에 접착제가 도포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공급 노즐(400)이 상기 단위 부재(110)와 단위 부재(110) 사이의 중간 부분, 또는 상부의 단위 부재(100) 또는 하부의 단위 부재(100) 중 어느 한 쪽을 향해 접착제를 분사할 수 있도록, 상기 공급 노즐(400)의 방향이 설정될 필요가 있다.
즉, 상기 공급 노즐(400)은 상기 접착제 공급부(300)에 연통된 상태로 이송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 배치되는 접착제 분배모듈(350)의 외주면에 대하여 적절한 각도로 조정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접착제 분배모듈(350)은 상기 접착제 공급부(300)에 대하여 상대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에도 상기 접착제 분배모듈(350)과 접착제 공급부(300) 사이의 누설은 방지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접착제 분배모듈(350)의 외주면에는 이웃하는 상기 공급 노즐(400)들 사이에 가이드 플레이트(351)를 형성하여 상기 공급 노즐(400)로부터 분사되는 접착제가 보온 덮개(100)개의 폭방향, 즉 이송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분산되어 접착력이 저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제 공급부(300)는 일종의 케이스와 같은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그 내부에는 접착제 저장탱크(미도시), 상기 접착제 저장탱크로부터 상기 접착제 분배모듈(350)로 접착제를 각각 공급하기 위한 공급 라인(미도시), 및 상기 공급라인을 통해 접착제를 공급하는 펌프(미도시) 등이 내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접착제가 미리 도포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압축 회전롤(200) 사이에 들어가 압축되면서 상기 접착제에 의해 보온 덮개(100)를 구성하는 단위 부재(110)와 단위 부재(110) 사이가 견고하게 고착된다.
물론,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직선 부분만 부착되며 나머지 부분은 압축만 될 뿐 서로 분리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압축 회전롤(200)은 상부에 1개, 하부에 2개가 배치되어 2번의 압축 작용에 의해 보온 덮개(100)를 구성하는 단위 부재(110)와 단위 부재(110)의 한층 확실한 접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압축 회전롤(200)은 상부와 하부에 각각 1개씩만 배치되어도 압축 및 접착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롤(500)들은 상호 적절한 간격으로 떨어진 상태에서 배치되도록 하여 공급 노즐(400)과의 간섭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공급 노즐(400)의 앞쪽에는 보온 덮개(100)를 구성하는 각각의 단위 부재(110)를 지지하는 복수의 받침대(800)를 설치하고, 뒤쪽에는 상기 복수의 단위 부재(110)를 모아서 상기 압축 회전롤(200)로 이송시키기 위한 가이드 부재(90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대(800)를 통해 상기 보온 덮개(100)를 구성하는 단위 부재(110)와 단위 부재(110) 사이 사이를 한층 넓게 벌려서 상기 공급 노즐(400)이 배치되기 위한 충분한 공간을 마련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 부재(900)를 통해 복수의 단위 부재(110)를 모아서 상기 압축 회전롤(200)에 공급되므로 한층 균일하게 단위 부재(110) 층들이 서로 접착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공급롤(500)의 양단은 프레임(미도시) 등 적절한 지지수단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압축 회전롤(200)의 내부에는 히팅부(650)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접착제가 한층 균일하게 고착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접착제가 도포된 부분 중 굳어 있는 정도가 다른 부분을 가열하여 균일한 점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보온 덮개(100)의 이송방향을 가로지르는 폭방향으로 복수 세트의 공급 노즐(200)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온 덮개(100)의 폭방향으로 소정의 폭으로 이격된 상태로 접착제가 도포되어, 접착제에 의해 고착된 부분이 폭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나머지 부분은 분리되어 약간 부풀어오르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보온 덮개(100)를 이송방향과 직교하는 횡단면에서 바라볼 때 요철이 있는 형태를 갖게 된다.
상기 압축 회전롤(200)은 축방향으로 직경이 일정한 평롤로 구성될 수 있어 제조설비의 구성비용이 저감될 수 있고 제조가 용이하다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축 회전롤(200)을 구성하는 상부 롤 또는 하부 롤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미세한 간격조정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압축 회전롤(200)을 통과한 보온 덮개(100)는 권취롤(600)에 감겨져서 제품화가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보온 덮개의 제조장치(1000)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온 덮개의 제조장치(1000)는, 상하로 각각 이격되게 배치되는 압축 회전롤(200), 복수의 단위 부재(110)가 적층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보온 덮개(100)의 단위 부재(110)와 단위 부재(110) 사이에 접착제를 공급하기 위해 설치되는 접착제 공급부(300), 및 상기 접착제 공급부(300)에 연통되는 공급 노즐(400)을 포함하므로, 상기 보온 덮개(100)의 폭방향으로 임의의 간격으로 단위 부재(110)와 단위 부재(110) 사이에 접착제가 공급된 상태에서 상기 압축 회전롤(200)에 공급되어 압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압축 회전롤(200)에 의해 보온 덮개(100)가 압착되면서 접착제가 도포된 부분이 밀착되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 보온 덮개(100)가 중앙의 마대 원단을 중심으로 부직포와 비닐이 양측에 차례로 적층된 구조로 되어 있으나, 솜으로 이루어진 충전재 등 다른 소재가 추가로 적층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단면 구조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압축 회전롤(200)에 히팅부(650)가 내장되는 경우 접착제에 의한 한층 균일한 고착이 가능하다.
상기 히팅부(650)는 전기 저항 히팅부가 내장된 방식이거나, 상기 압축 회전롤(200)의 내부에 형성된 연통공을 통해 유동하는 고온수 또는 스팀에 의해 가열되는 방식 등 다양한 공지의 방식이 채택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보온 덮개(100)의 단위 부재(110)와 단위 부재(110) 사이가 접착제의 의해 접착된 상태에서 열이 가해지므로 밀착성 및 접착성이 좋아 서로 분리되는 경우가 없다.
즉, 상기 압축 회전롤(200)에 내장된 히팅부(650)는 외피를 융착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접착제의 접착력이 균일하고 높아지도록 소정의 온도로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5층 이상 다수의 층이 적층되어 두께가 커지더라도 보온 덮개(100)의 폭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접착된 구성이 가능하며 장기간 사용시에도 분리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예시적으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온 덮개 제조장치(1000)를 통해 배출된 보온 덮개(100)에서 접착제가 공급되는 부분은 서로 접착되어 두께가 줄어들고, 접착제가 공급되지 않는 부분은 서로 분리되어 다소 부풀어 올라 전체적으로 요철이 있는 형상으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보온 덮개(100)의 폭을 따라 접착제가 도포되는 접착부(700)의 간격은 상기 공급 노즐(400)의 세트 간격을 조절하는 것에 의해 간단히 조절 가능하다.
즉, 상기 공급 노즐(400)은 보온 덮개(100)의 폭 방향으로도 다수 개의 세트로 마련되어 있어 그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접착부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심지어, 상기 공급 노즐(400)의 간격을 촘촘히 배치할 경우 단위 부재(110)의 전면(全面)이 도포되는 상태의 보온 덮개(100)를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접착부(700)는 상기 일방향에 직교하는 폭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되며, 상기 일방향에 직교하는 횡단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접착부(700)는 상기 폭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에 각각 형성된다.
또한, 소비자가 원하는 폭의 보온 덮개(100)로 절단한 후 공급 노즐(400)의 위치를 접착 부분에 위치하여 접착할 수 있다.
또한, 플라스틱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 접착 후 단위 부재(110)와 단위 부재(110) 사이, 즉 비닐, 부직포 및 마대 원단 사이의 밀착성이 우수하다.
또한, 압축 회전롤(200)이 가열된 상태에서 보온 덮개(100)를 누르게 되면 접착성 및 품질을 우수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제 공급부(300)에서 접착제 공급량을 조절하여 접착제가 적당량 공급될 수 있도록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공급 노즐(400)을 보온 덮개(100)의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 배치하여 노즐 사이의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면 접착부(700)의 간격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공급 노즐(400)을 보온 덮개(100)의 두께 방향으로 복수개 배치하여 다양한 단위 부재(110)와 단위 부재(110) 사이에 접착제가 각각 별도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압축 회전롤(200)의 길이를 길게 형성하면 보온 덮개(100)의 폭이 넓더라도 작업이 가능하며 비교적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주문 생산도 가능하다는 이점도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보온 덮개가 노즐과 압축 회전롤 등을 포함하는 보온 덮개의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되는 예가 기술되었으나, 브러시, 붓 또는 양면 테이프 등 공지의 다양한 접착 방법에 의해 제조되어도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0... 보온 덮개
200... 압축 회전롤
300... 접착제 공급부
400... 공급 노즐
500... 공급롤
650... 히팅부
700... 접착부
1000... 보온 덮개의 제조장치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복수의 단위 부재가 적층되는 보온 덮개에 있어서,
    상기 단위 부재와 단위 부재 사이에 일방향으로 접착제가 도포되어 상호 접착된 접착부가 형성되되,
    평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접착부는 상기 일방향에 직교하는 폭방향으로 복수개가 이격되게 형성되며, 상기 일방향에 직교하는 횡단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접착부는 상기 폭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 덮개.
  5. 삭제
KR1020190063429A 2019-04-25 2019-05-29 보온 덮개의 제조장치 및 보온 덮개 KR1023484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8563 2019-04-25
KR20190048563 2019-04-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5360A KR20200125360A (ko) 2020-11-04
KR102348495B1 true KR102348495B1 (ko) 2022-01-07

Family

ID=73571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3429A KR102348495B1 (ko) 2019-04-25 2019-05-29 보온 덮개의 제조장치 및 보온 덮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849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4008B1 (ko) * 2015-08-31 2016-03-16 엠에프테크 주식회사 농업용 보온 덮개 제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7838B1 (ko) * 2011-04-07 2013-08-19 주식회사 일신산업 시설재배용 보온커버 제조방법 및 장치
KR101478670B1 (ko) * 2013-01-21 2015-01-02 장순길 내, 외부의 온도차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되는 보온덮개
KR101802356B1 (ko) * 2016-02-18 2017-12-28 김대영 합지 처리 장치 및 합지 처리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4008B1 (ko) * 2015-08-31 2016-03-16 엠에프테크 주식회사 농업용 보온 덮개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5360A (ko) 2020-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71875T3 (es) Estera de tela no tejida de fibras, procedimiento para su fabricacion y material fibroso compuesto.
CN101842528B (zh) 缓冲底材及其用途
CN100571601C (zh) 清扫片
CN102666089A (zh) 经粘合的基底以及用于粘合基底的方法
TW201143697A (en) Cleaning sheet and cleaning tool
AU2011200245A1 (en) Cleaning device comprising a strip mop with strips covered with microfiber for cleaning floors
TW200813280A (en) Nonwoven fabric, nonwoven fabric manufacturing method, and nonwoven fabric manufacturing apparatus
RU2017124099A (ru) Абсорбирующее изделие
US4081579A (en) Pile composite fabric with foamed adhesive
KR102348495B1 (ko) 보온 덮개의 제조장치 및 보온 덮개
CZ2016612A3 (cs) Spunbondová netkaná textilie pro akvizičně distribuční vrstvu a absorpční výrobek
KR20150134615A (ko) 에어가 충진된 온열 매트리스
WO2022093826A1 (en) Floor underlayment that allows water flow therethrough in only one direction
JP2720764B2 (ja) 表面に凹凸を有する繊維製クッション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3953269A (en) Method of making composite fabric
JP4673153B2 (ja) 液体塗布用シート、液体塗布用シート製造装置
KR101207291B1 (ko) 단열재의 제조방법
CN110652049A (zh) 用于电子烟雾化器的复合材料、电子烟雾化器及电子烟
KR20160046008A (ko) 멜트블로운 섬유웹의 부직포 합지 장치 및 방법
JP2020128602A (ja) 複合型不織布とその製造方法
KR101415558B1 (ko) 합포원단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1498961B1 (ko) 전기 매트 제조 방법과 그 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전기 매트
KR20080079517A (ko) 드라이라미 방식의 면상발열체 제조 장치
JP2016199919A (ja) コンクリート養生装置
KR100590282B1 (ko) 방수 및 보온용 천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