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0042B1 - 공극 유지관을 포함한 다겹 부직포 - Google Patents

공극 유지관을 포함한 다겹 부직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0042B1
KR101670042B1 KR1020160034488A KR20160034488A KR101670042B1 KR 101670042 B1 KR101670042 B1 KR 101670042B1 KR 1020160034488 A KR1020160034488 A KR 1020160034488A KR 20160034488 A KR20160034488 A KR 20160034488A KR 101670042 B1 KR101670042 B1 KR 1016700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s
air
nonwoven fabric
maintenance
ca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4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욱
강영록
Original Assignee
(주) 영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영농 filed Critical (주) 영농
Priority to KR1020160034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00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0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00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4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 D04H1/49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entanglement of layered web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38Covering materials therefor; Materials for protective coverings used for soil and plants, e.g. films, canopies, tunnels or clo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 B32B3/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characterised by an internal layer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which are juxtaposed side-by-side
    • B32B3/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characterised by an internal layer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which are juxtaposed side-by-side of hollow pieces, e.g. tubes; of pieces with channels or cav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3/00Other non-woven fabric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08Upholstery, mattres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극 유지관을 포함한 다겹 부직포에 관한 것으로서, 다겹 부직포에 공극 유지관들을 삽입함으로써 다겹 부직포의 보온 효과를 유지하기 위한 발명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극 유지관을 포함한 다겹 부직포는, 서로 겹쳐진 복수개의 부직포층들; 및 상기 부직포층들 사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공극 유지관들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공극 유지관들은 일단은 막혀 있고 타단에는 공기 주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기 주입구를 통해 공기가 주입되어 상기 공극 유지관들이 팽창되어 보온력이 향상된다.

Description

공극 유지관을 포함한 다겹 부직포 {MULTIPLY NON WOVEN FABRIC COMPRISING VOID MAINTAINING TUBES}
본 발명은 공극 유지관을 포함한 다겹 부직포에 관한 것으로서, 다겹 부직포에 공극 유지관들을 삽입함으로써 다겹 부직포의 보온 효과를 유지하기 위한 발명에 관한 것이다.
부직포란, 넓은 뜻으로는 기계 조작에 의하거나 열접착 혹은 화학 약품을 사용하여 섬유를 접착시키거나 엉키게 하여 만든 직물을 의미하며, 좁은 뜻으로는 랜덤에 겹친 웨브로 하고, 섬유끼리의 접점을 수지로 접착해서 심지 등에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현재 국내외에서 생산되는 부직포는 건식부직포(乾式不織布), 습식부직포(Wet Ray), 니들펀칭부직포(Needle Punching), 스판레스(수류결합법-Water Zet), 스판본드(Span Bond), 멜트블로운(Melt Blown), 스테치 본드(Stitch Bond)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건식부직포는 다시 케미컬 본딩 부직포(Chemical Bonding), 써멀 본딩 부직포(Thermal Bonding), 에어레이 부직포(Air Ray)의 3종류로 구분된다.
이러한 부직포는 보온을 위해 비닐 하우스의 외벽 혹은 내측에 덧씌우도록 이용된다. 부직포는 그 내부에 공극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이에 의해 보온력을 나타낼 수 있으며, 겨울에 비닐 하우스의 보온을 위해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보온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한 겹으로 이용하는 경우 보다는 다수의 합겹으로 두껍게 함으로써 내부 공극을 늘이고 이에 의해 보온력을 향상시키도록 이용하고 있다.
다만, 다겹으로 부직포를 제작한 경우, 처음에는 내부의 공극이 어느정도 유지되지만, 지속적인 사용(외부 채광, 강우등의 자연 요소에 의해 부직포를 펼치거나 접는 일이 반복됨)에 의해 다겹 부직포의 층과 층간에 서로 결합과 엉킴이 발생되고 이에 의해 결국 단일화되어 내부 공극이 감소되어 보온력이 처음보다 훨씬 떨어지게 된다. 이 경우 내부 공극을 다시 복원하기 위해 솜을 트는 것과 같이 부직포의 층과 층들을 서로 분리시키는 작업이 필요하나 현실적으로 이러한 작업을 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서 언급한 다겹 부직포를 이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사용에 의해 다겹 부직포의 내부 공극이 감소하여 보온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극 유지관을 포함한 다겹 부직포는, 서로 겹쳐진 복수개의 부직포층들; 및 상기 부직포층들 사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공극 유지관들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공극 유지관들은 일단은 막혀 있고 타단에는 공기 주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기 주입구를 통해 공기가 주입되어 상기 공극 유지관들이 팽창되어 보온력이 향상된다.
상기 공기 주입구는 다시 공극 유지관의 관 전체를 막는 내부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 구조물은 공기 주입기가 삽입 가능하도록 미세 구멍을 포함하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공기 주입기가 삽입되면 상기 미세 구멍이 확장되면서 상기 공기 주입기의 끝단이 상기 내부 구조물을 통과하여 공기를 주입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공극 유지관들 그룹은, 상기 부직포층들 사이에서 부직포층의 면과 평행하게 어느 일방향으로 나란히 서로 평행하게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공극 유지관들로 이루어진다.
상기 복수개의 공극 유지관들 그룹은, 일 공극 유지관들 그룹의 복수개의 공극 유지관들이 서로 인접한 공극 유지관들 그룹의 복수개의 공극 유지관들 사이의 이격 간격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개의 공극 유지관들 그룹은, 일 공극 유지관들 그룹의 복수개의 공극 유지관들이 서로 인접한 공극 유지관들 그룹의 복수개의 공극 유지관들과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겹 부직포를 이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사용에 의해 다겹 부직포의 내부 공극이 감소하여 보온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따라서, 손쉽게 항상 부직포의 보온력의 유지가 가능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극 유지관을 포함한 다겹 부직포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에서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극 유지관을 포함한 다겹 부직포의 A-A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극 유지관을 포함한 다겹 부직포의 공극 유지관의 모습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극 유지관을 포함한 다겹 부직포의 공극 유지관의 내부 모습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공극 유지관을 포함한 다겹 부직포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공극 유지관을 포함한 다겹 부직포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도 6에서 도시된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공극 유지관을 A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을 도시한다.
도 8은 도 6에서 도시된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공극 유지관을 B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을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이 이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며, 전체 도면에서 걸쳐 유사한 도면번호는 유사한 엘리먼트를 나타내기 위해서 사용된다. 설명을 위해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설명들이 본 발명의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들은 이러한 특정 설명 없이도 실행될 수 있음이 명백하다. 다른 예들에서, 공지된 구조 및 장치들은 실시예들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블록 다이아그램 형태로 제시된다.
하기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의 간략화된 설명을 제공한다. 본 섹션은 모든 가능한 실시예들에 대한 포괄적인 개요는 아니며, 모든 엘리먼트들 중 핵심 엘리먼트를 식별하거나, 모든 실시예의 범위를 커버하고자 할 의도도 아니다. 그 유일한 목적은 후에 제시되는 상세한 설명에 대한 도입부로서 간략화된 형태로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의 개념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극 유지관을 포함한 다겹 부직포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극 유지관을 포함한 다겹 부직포는, 복수개의 부직포층들(11, 12, 13); 하나 이상의 공극 유지관들 그룹을 포함한다.
복수개의 부직포층들(11, 12, 13)은 서로 아래 위로 겹쳐져 있으며, 이에 의해 다겹 부직포를 형성하게 된다. 이렇게 다겹 부직포를 형성하는 이유는 이미 종래 기술에서 언급한 것처럼, 다겹으로 만듦으로써 내부 공극을 형성하여 보온 유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부직포층은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으며, 그 개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고, 그 재질이나 결합 방식 역시 특별한 제한은 없다.
하나 이상의 공극 유지관들 그룹은 부직포층들 사이에 배치된다. 본 명세서에서 '공극 유지관들 그룹'은 같은 층에 배치된 공극 유지관들을 통칭하는 의미이다. 즉, 도 1에서 보는 것처럼, 부직포층(11) 및 부직포층(12) 사이에는 4개의 공극 유지관들(21)이 배치되어 있고, 이러한 4개의 공극 유지관들을 묶어서 공극 유지관들 그룹으로 지칭한 것이다.
이하의 명세서에서 공극 유지관들 그룹은 편의상 공극 유지관들(21)을 제 1 그룹, 공극 유지관들(22)을 제 2 그룹으로 지칭하도록 하겠다.
공극 유지관은 압력에 의해 공기의 빠짐과 유입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 관으로써, 그 재질은 비닐, 고무 등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공극 유지관은 공기를 주입하면 팽창할 수 있고, 공기를 빼내면 바람이 빠진 풍선과 같은 형태로 된다.
도 2는 도 1에서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극 유지관을 포함한 다겹 부직포의 A-A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2에서 보는 것처럼, 공극 유지관들은 상기 부직포의 면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일방향을 따라서 서로 나란히 평행하게 일정한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공극 유지관들 그룹은 부직포층들 사이에서 부직포층의 면과 평행하게 어느 일방향으로 나란히 서로 평행하게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공극 유지관들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공극 유지관에 대해서는 도 3 및 도 4에서 더욱 자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도 3에서 보는 것처럼, 공극 유지관(21)은 일단(25)은 막혀 있고, 타단(23)에는 공기 주입구가 형성되어 있다. 공기 주입구는 확대도에서 보는 것처럼 공극 유지관의 내부 구조물(30)에 의해 형성된다.
내부 구조물(30)은 공극 유지관(21)의 관 전체를 막도록 배치되며, 내부 구조물은 공기 주입기(40)가 삽입 가능하도록 미세 구멍을 포함하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이에 의해 평소에는 미세 구멍이 거의 막힌 채로 유지되다가 공기 주입기가 삽입되면 미세 구멍이 확장되면서 공기 주입기의 끝단이 내부 구조물(30)을 통과하여 공기를 공극 유지관 내부로 주입할 수 있게 된다.
공기의 주입 이후 공기 주입기를 다시 빼내게 되면 미세 구멍은 닫히게 되며 공기가 유출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한다.
주입된 공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극 유지관을 포함한 다겹 부직포를 접을 경우 공극 유지관 내부의 압력이 증가하게 되면서 외부 방향으로 공기가 유출되어 공극 유지관이 수축될 수 있어, 다겹 부직포를 접어야 할 경우 쉽게 접을 수 있고, 그 부피도 감소시킬 수 있다. 이후 다시 사용시 다겹 부직포를 편 이후 공기 주입구를 통해 공기를 주입함으로써 공극 유지관을 다시 팽창시켜 다겹 부직포의 보온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공극 유지관을 포함한 다겹 부직포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공극 유지관을 포함한 다겹 부직포의 경우 공극 유지관들 그룹의 배치가 도 1 및 2의 실시예와 상이한 점이 특징이다.
도 5에서 도시된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공극 유지관을 포함한 다겹 부직포에서, 복수개의 공극 유지관들 그룹은 일 공극 유지관들 그룹의 복수개의 공극 유지관들이 서로 인접한 공극 유지관들 그룹의 복수개의 공극 유지관들 사이의 이격 간격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도 1에서는 제 1 그룹의 공극 유지관들(21)과 제 2 그룹의 공극 유지관들(22)이 서로 부직포층의 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었지만, 도 5에서는 제 1 그룹의 공극 유지관들(21)과 제 2 그룹의 공극 유지관들(22)이 서로 부직포층의 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지 아니한다는 의미이다.
이와 같이 제 1 그룹의 공극 유지관들(21)과 제 2 그룹의 공극 유지관들(22)이 서로 부직포층의 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지 아니한 경우에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경우보다, 공극 유지관들에 공기를 주입하여 부직포의 이용시 더욱 보온 효과가 상승될 수 있다. 왜냐하면 공극 유지관들이 동일한 위치로 나란히 배열된 경우에는 공극 유지관들이 배치되지 않은 곳들은 부직포층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속하여 비어 있게 되고 따라서 해당 부분의 내부 공극에 의한 효과가 거의 없게 된다. 따라서, 일 공극 유지관들 그룹의 복수개의 공극 유지관들이 서로 인접한 공극 유지관들 그룹의 복수개의 공극 유지관들 사이의 이격 간격 사이에 배치될 경우 부직포층의 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공극 유지관들의 위치가 상호 보완적으로 배치되게 되며, 이에 의해 내부 공극에 의한 보온 유지 효과가 상승되는 것이다.
도 1 및 5의 실시예에서는 각 부직포층 사이의 공극 유지관들이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지만, 도 6 내지 8의 실시예에서는 각 층별로 공극 유지관들의 배치 방향이 교차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배치에 의해 도 5에서와 마찬가지로 내부 공극에 의한 보온 유지의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공극 유지관을 포함한 다겹 부직포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의 실시예에서는, 복수개의 공극 유지관들 그룹은 일 공극 유지관들 그룹의 복수개의 공극 유지관들이 서로 인접한 공극 유지관들 그룹의 복수개의 공극 유지관들과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도 6에서 보는 것처럼 공극 유지관들의 제 1 그룹(21)과 공극 유지관들의 제 2 그룹(22)은 각각 부직포층의 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서로 간에는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된다.
이 경우 서로 교차시 서로 수직으로 교차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이미 설명한 것처럼 내부 공극의 효과를 통한 보온 효과 상승을 위해서는 최대한 공극 유지관들이 서로 부직포층의 면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균일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서는 서로 수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도 7은 도 6에서 도시된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공극 유지관을 A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을 도시한다. A 방향에서 바라보았을때 공극 유지관들의 제 1 그룹(21)만 보이며, 제 2 그룹(22)은 보이지 않는다.
도 8은 도 6에서 도시된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공극 유지관을 B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을 도시한다. B 방향에서 바라보았을때 공극 유지관들의 제 2 그룹(22)만 보이며, 제 1 그룹(21)은 보이지 않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겹 부직포를 이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사용에 의해 다겹 부직포의 내부 공극이 감소하여 보온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따라서, 언제든지 손쉽게 부직포의 보온력의 유지가 가능하게 될 것이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서로 겹쳐진 복수개의 부직포층들; 및
    상기 부직포층들 사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공극 유지관들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공극 유지관들은 일단은 막혀 있고 타단에는 공기 주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기 주입구를 통해 공기가 주입되어 상기 공극 유지관들이 팽창되어 보온력이 향상되고,
    상기 공기 주입구는 다시 공극 유지관의 관 전체를 막는 내부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 구조물은 공기 주입기가 삽입 가능하도록 미세 구멍을 포함하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공기 주입기가 삽입되면 상기 미세 구멍이 확장되면서 상기 공기 주입기의 끝단이 상기 내부 구조물을 통과하여 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공극 유지관을 포함한 다겹 부직포.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공극 유지관들 그룹은,
    상기 부직포층들 사이에서 부직포층의 면과 평행하게 어느 일방향으로 나란히 서로 평행하게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공극 유지관들로 이루어진,
    공극 유지관을 포함한 다겹 부직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공극 유지관들 그룹은,
    일 공극 유지관들 그룹의 복수개의 공극 유지관들이 서로 인접한 공극 유지관들 그룹의 복수개의 공극 유지관들 사이의 이격 간격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공극 유지관을 포함한 다겹 부직포.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공극 유지관들 그룹은,
    일 공극 유지관들 그룹의 복수개의 공극 유지관들이 서로 인접한 공극 유지관들 그룹의 복수개의 공극 유지관들과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공극 유지관을 포함한 다겹 부직포.
KR1020160034488A 2016-03-23 2016-03-23 공극 유지관을 포함한 다겹 부직포 KR1016700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4488A KR101670042B1 (ko) 2016-03-23 2016-03-23 공극 유지관을 포함한 다겹 부직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4488A KR101670042B1 (ko) 2016-03-23 2016-03-23 공극 유지관을 포함한 다겹 부직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0042B1 true KR101670042B1 (ko) 2016-10-27

Family

ID=57247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4488A KR101670042B1 (ko) 2016-03-23 2016-03-23 공극 유지관을 포함한 다겹 부직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004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6468U (ko) * 2008-12-17 2010-06-25 김철훈 비닐하우스용 보온덮개
KR20120070265A (ko) * 2010-12-21 2012-06-29 (주)에어프라임 농업 하우스용 보온덮개
KR20120114659A (ko) * 2011-04-07 2012-10-17 주식회사 일신산업 시설재배용 보온커버 제조방법 및 장치
KR200475598Y1 (ko) * 2014-07-15 2014-12-17 김철훈 내외부 설치용 다겹보온커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6468U (ko) * 2008-12-17 2010-06-25 김철훈 비닐하우스용 보온덮개
KR20120070265A (ko) * 2010-12-21 2012-06-29 (주)에어프라임 농업 하우스용 보온덮개
KR20120114659A (ko) * 2011-04-07 2012-10-17 주식회사 일신산업 시설재배용 보온커버 제조방법 및 장치
KR200475598Y1 (ko) * 2014-07-15 2014-12-17 김철훈 내외부 설치용 다겹보온커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58398T3 (es) Tejidos compuestos
GB1474348A (en) Biaxially oriented non-woven fabrics and method of making same
CN104587837A (zh) 用于隔离流体的设备的空心纤维模块及其制造方法
US7579292B2 (en) Open-work knitted textile resin infusion medium and reinforcing composite lamina
KR101670042B1 (ko) 공극 유지관을 포함한 다겹 부직포
WO2016141902A1 (en) Method for producing a textile composite, especially for outdoor applications, which contains at least one layer of polymeric nanofibers, and a textile composite prepared by this method
JP6788627B2 (ja) トンネル用排水材およびトンネル用の構造物
KR101958658B1 (ko) 포장재 및 포장재 제조방법
PT104843A (pt) Estruturas de n?o-tecido tridimensionais com forma para isolamento ac?stico e m?todo de produ??o associado
AU2011101706A4 (en) Construction Safety Netting
ES2826723T3 (es) Preforma, pieza de armazón y procedimiento de fabricación de dicha preforma
US3180782A (en) Textile material and method for making same
KR102114672B1 (ko) 이불 제조방법
KR101275596B1 (ko) 건축용 부직포 하드보드의 제조방법, 건축용 바닥재 및 이를 포함하는 건축물의 바닥 시공구조
JP2012144952A (ja) セルロースファイバー系断熱材を充填した断熱用袋体、そ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CN208164464U (zh) 一种吸音无纺布
CN105667037A (zh) 两布一膜型复合土工膜
CN102108601B (zh) 立体织物的厚薄编织方法及其结构
US1345693A (en) Composite heat-insulating sheet
KR20090125558A (ko) 음소거기능을 가지며 사용이 간편한 일체형 후렉시블 닥트
JP6017268B2 (ja) 補強材
JPH0340164B2 (ko)
CN203739337U (zh) 防水透气布品
KR101739593B1 (ko) 소음 저감형 흡기 호스
CN106618137A (zh) 无纺布窗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