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5598Y1 - 내외부 설치용 다겹보온커튼 - Google Patents

내외부 설치용 다겹보온커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5598Y1
KR200475598Y1 KR2020140005315U KR20140005315U KR200475598Y1 KR 200475598 Y1 KR200475598 Y1 KR 200475598Y1 KR 2020140005315 U KR2020140005315 U KR 2020140005315U KR 20140005315 U KR20140005315 U KR 20140005315U KR 200475598 Y1 KR200475598 Y1 KR 2004755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olyethylene
foam
pad layer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53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훈
Original Assignee
김철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철훈 filed Critical 김철훈
Priority to KR20201400053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55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55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559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1Arrangement of opening or closing systems for windows and ventilation panels
    • A01G9/242Arrangement of opening or closing systems for windows and ventilation panels for greenhouses with flexible cove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07Greenhouses of flexible synthetic material
    • A01G9/1415Greenhouses of flexible synthetic material with double or multiple wa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38Covering materials therefor; Materials for protective coverings used for soil and plants, e.g. films, canopies, tunnels or cloc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23/00Curtains; Draperies
    • A47H23/02Shapes of curtains;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for curtains
    • A47H23/08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 A47H23/10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the material being plastics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외부 설치용 다겹보온커튼에 관한 것으로서, 겉감재(12), 제1 폴리에틸렌(PE)폼(14), 솜(15), 및 제2 폴리에틸렌(PE)폼(16)이 적층되어 구성된 제1 패드층(10); 겉감재(22), 제1 폴리에틸렌(PE)폼(24), 솜(25), 및 제2 폴리에틸렌(PE)폼(26)이 적층되어 구성된 제2 패드층(20); 및 상기 제1 패드층과 제2 패드층 사이에 합성수지를 일정두께로 도포하여 형성되되, 상기 제1 패드층과 상기 제2 패드층을 상하면에 열압착 접착시켜 일체화하는 필름층(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내외부 설치용 다겹보온커튼은 제1 패드층과 제2 패드층, 각 패드층에 삽입된 솜층 및 패드 사이에 삽입되는 필름층에 의해 단열기능, 냉해 및 단열효과 저하방지, 및 보온과 단열이 강화되어 동절기 유류절감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내외부 설치용 다겹보온커튼{Multi-layered warm cutton for setting at inner and outer of vynilhouse }
본 고안은 보온덮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비닐하우스의 내부와 외부를 단열시켜 내부열을 보호하고 내외부 온도차에 따른 결로현상에 의해 생성되는 비닐하우스의 내부면에 맺히는 습기를 흡수하거나 하부로 흘러보내도록 할 수 있으면서 형성된 공기층에 의해 보온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내외부 설치용 다겹보온커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닐하우스는 농작물등의 조기출하를 위하여 외부 기후의 영향을 받지 않고 농작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한 온실의 일종으로서, 비닐시트를 이용하여 내부와 외부를 분리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비닐하우스는 금속재질의 봉을 휘어서 형성한 폴대를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설치하여 형틀을 만들고, 상기 폴대의 상부에 여러겹으로 적층된 비닐시트를 구비함으로써 여러겹의 비닐시트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어 외부의 한기가 내부로 전달되거나 내부의 열이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비닐시트는 비닐시트 내외부의 온도차에 따른 결로현상이 발생하고 그 결과 내부에 맺힌 물방울이 작물에 낙하되어 손해를 입히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한국등록특허 제10-0606468호에는 결로현상을 차단하여 단열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다수개로 적층된 비닐시트 사이의 공간부에 보온재를 안치하고 공간부의 공기를 제거하여 밀폐시키고 습도 높은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비닐하우스용 보온덮개를 소개하고 있으나, 대류에 의한 열손실 방지를 위해 밀폐시키기 위해서는 공기빼기 작업을 필수적으로 수행하여야 하므로 제조단가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비닐하우스의 내부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해서 비닐하우스의 비닐시트는 그대로 둔채 내부나 외부에 별도의 보온덮개를 설치하기도 하나, 이와 같은 보온덮개는 대부분 부직포와 보온재를 여러겹 적층한 후 일정간격으로 재봉한 것으로 두껍고 무겁기 때문에 사용상 불편함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등록실용신안 제20-0127469호에는 표면재를 만드는 부직포와 같은 섬유로 만든 솜을 일정두께로 펀칭한 섬유심재를 가운데 두고 그 양면에 각각 다수매의 장섬유 부직포, 합성수지제 필름 및 장섬유 부직포로 된 표면재를 적층한 후 일정간격으로 니들펀칭하여 결착부를 형성시킨 것을 소개하고 있으나, 펀칭된 부분에 공기가 관통됨에 따른 단열효과 저하 및 작물이 냉해를 입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606468호 등록실용신안 제20-0127469호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단섬유 부직포나 섬유원단으로 이루어진 겉감재와 폴리에틸렌폼 또는 솜을 적층한 후 일정간격으로 펀칭하여 결착시켜 이루어진 제1 패드와 제2 패드를 구비하고 이들 패드 사이에 폴리에틸렌 필름을 게재한 후 열압착시킴으로써 패드층에 삽입되는 솜에 의해 단열기능이 수행되도록 하고, 결착부의 니들구멍에 의한 냉해 및 단열효과 저하가 필름에 의해 방지되도록 함으로써 보온과 단열이 강화되고 동절기 유류절감효과를 가져오는 내외부 설치용 다겹보온커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내외부 설치용 다겹보온커튼은,
겉감재(12), 제1 폴리에틸렌(PE)폼(14), 솜(15), 및 제2 폴리에틸렌(PE)폼(16)이 적층되어 구성된 제1 패드층(10); 겉감재(22), 제1 폴리에틸렌(PE)폼(24), 솜(25), 및 제2 폴리에틸렌(PE)폼(26)이 적층되어 구성된 제2 패드층(20); 및 상기 제1 패드층과 제2 패드층 사이에 합성수지를 일정두께로 도포하여 형성되되, 상기 제1 패드층과 상기 제2 패드층을 상하면에 열압착 접착시켜 일체화하는 필름층(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내외부 설치용 다겹보온커튼에서,
상기 제1 패드층(10) 또는 상기 제2 패드층(20)의
상기 겉감재(12,22)는 폴리에스터 원단을 포함한 합성섬유원단 또는 T/C 원단을 포함한 혼방섬유원단, 또는 마대나 마트나 TP, 또는 장섬유 부직포로 이루어지고, 상기 폴리에틸렌(PE)폼(14,16,24,26)은 내부에 폐쇄된 형태의 기포셀이 무수히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솜(15,25)은 카시미론이나 폴리에스터 재질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내외부 설치용 다겹보온커튼에서,
상기 제1 패드층(10) 또는 상기 제2 패드층(20)은 니들펀칭으로 형성되는 결착부가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내외부 설치용 다겹보온커튼에서,
상기 제1 패드층(10)은 겉감재(12)와 솜(15)만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겉감재(12)와 제1 폴리에틸렌(PE)폼(14)과 솜(15)만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겉감재(12)와 솜(15)과 제2 폴리에틸렌(PE)폼(16)만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겉감재(12)와 제1 폴리에틸렌(PE)폼(14)과 솜(15)과 제2 폴리에틸렌(PE)폼(16)만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겉감재(12)만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패드층(20)은 겉감재(22)와 솜(25)만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겉감재(22)와 제1 폴리에틸렌(PE)폼(24)과 솜(25)만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겉감재(22)와 솜(25)과 제2 폴리에틸렌(PE)폼(26)만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겉감재(22)와 제1 폴리에틸렌(PE)폼(24)과 솜(25)과 제2 폴리에틸렌(PE)폼(26)만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겉감재(22)만으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내외부 설치용 다겹보온커튼은,
제1 패드층(10), 필름층(30), 및 제2 패드층(20)이 순서대로 적층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1 패드층(10)의 겉감재(12)와 솜(15); 필름층(30); 및 상기 제2 패드층(20)의 솜(25)과 겉감재(22);가 순서대로 적층되어 구성되거나, 상기 제1 패드층(10)의 겉감재(12)와 솜(15); 필름층(30); 및 상기 제2 패드층(20)의 솜(25)과 제1 폴리에틸렌(PE)폼(24)과 겉감재(22);가 순서대로 적층되어 구성되거나, 상기 제1 패드층(10)의 겉감재(12)와 솜(15); 필름층(30); 및 상기 제2 패드층(20)의 제2 폴리에틸렌(PE)폼(26)과 솜(25)과 겉감재(22);가 순서대로 적층되어 구성되거나, 상기 제1 패드층(10)의 겉감재(12)와 솜(15); 필름층(30); 및 상기 제2 패드층(20)의 제2 폴리에틸렌(PE)폼(26)과 솜(25)과 제1 폴리에틸렌(PE)폼(24)과 겉감재(22);가 순서대로 적층되어 구성되거나, 상기 제1 패드층(10)의 겉감재(12)와 솜(15); 필름층(30); 및 상기 제2 패드층(20)의 겉감재(22);가 순서대로 적층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내외부 설치용 다겹보온커튼은,
제1 패드층(10), 필름층(30), 및 제2 패드층(20)이 순서대로 적층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1 패드층(10)의 겉감재(12)와 제1 폴리에틸렌(PE)폼(14)과 솜(15); 필름층(30); 및 상기 제2 패드층(20)의 솜(25)과 제1 폴리에틸렌(PE)폼(24)과 겉감재(22);가 순서대로 적층되어 구성되거나, 상기 제1 패드층(10)의 겉감재(12)와 제1 폴리에틸렌(PE)폼(14)과 솜(15); 필름층(30); 및 상기 제2 패드층(20)의 제2 폴리에틸렌(PE)폼(26)과 솜(25)과 겉감재(22);가 순서대로 적층되어 구성되거나, 상기 제1 패드층(10)의 겉감재(12)와 제1 폴리에틸렌(PE)폼(14)과 솜(15)과 제2 폴리에틸렌(PE)폼(16); 필름층(30); 및 상기 제2 패드층(20)의 제2 폴리에틸렌(PE)폼(26)과 솜(25)과 제2 폴리에틸렌(PE)폼(26)과 겉감재(22);가 순서대로 적층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내외부 설치용 다겹보온커튼은,
제1 패드층(10), 필름층(30), 및 제2 패드층(20)이 순서대로 적층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1 패드층(10)은 겉감재(12)와 솜(15)과 제2 폴리에틸렌(PE)폼(16)을 순서대로 적층한 후 전체를 니들펀칭시킨 결착부만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 패드층(20)은제2 폴리에틸렌(PE)폼(26)과 솜(25)과 겉감재(22)를 순서대로 적층한 후 전체를 니들펀칭시킨 결착부만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내외부 설치용 다겹보온커튼은,
제1 패드층(10), 필름층(30), 및 제2 패드층(20)이 순서대로 적층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1 패드층(10)의 겉감재(12); 필름층(30); 및 상기 제2 패드층(20)의 겉감재(22);가 순서대로 적층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내외부 설치용 다겹보온커튼은,
제1 패드층(10), 필름층(30), 제3 패드층(40), 필름층(30), 및 제2 패드층(20)이 순서대로 적층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1 패드층과 상기 제2 패드층은 겉감재만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제3 패드층(40)은 겉감재만으로 구성되거나, 겉감재와 솜만으로 구성되거나, 겉감재와 폴리에틸렌(PE)폼과 솜만으로 구성되거나, 겉감재와 폴리에틸렌(PE)폼과 솜과 폴리에틸렌(PE)폼만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폴리에틸렌(PE)폼(44)과 솜(45)과 폴리에틸렌(PE)폼(44)만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내외부 설치용 다겹보온커튼에서,
상기 필름층은 두겹의 필름층(31, 32)으로 형성되되, 내측필름층(32)은 엠보싱 형상을 이루고 외측필름층(31)과는 다수개의 공기층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다수개의 공기층들은 인접한 공기층과 관통홈(30a)으로 연통되어 있고 상기 관통홈은 엇갈리는 구조로 되어 전체 공기층들이 서로서로 연통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내외부 설치용 다겹보온커튼에서,
상기 필름층은 상기 제1 패드층과 제2 패드층을 상하면에 열압착 접착시켜 일체화하는 필름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내외부 설치용 다겹보온커튼은 제1 패드층과 제2 패드층, 각 패드층에 삽입된 솜층 및 패드 사이에 삽입되되 이들 패드층을 상하면에 열압착 접착시켜 일체화한 필름층에 의해 단열기능, 냉해 및 단열효과 저하방지, 및 보온과 단열이 강화되어 동절기 유류절감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내외부 설치용 다겹보온커튼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다겹보온커튼의 다른 실시예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다겹보온커튼의 또 다른 실시예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다겹보온커튼의 또 다른 실시예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다겹보온커튼의 또 다른 실시예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다겹보온커튼의 또 다른 실시예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다겹보온커튼의 또 다른 실시예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다겹보온커튼의 또 다른 실시예도,
도 9는 도 1에 도시된 다겹보온커튼의 또 다른 실시예도,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다겹보온커튼의 또 다른 실시예도,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내외부 설치용 다겹보온커튼의 구성요소인 필름층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내외부 설치용 다겹보온커튼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인 내외부 설치용 다겹보온커튼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내외부 설치용 다겹보온커튼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다겹보온커튼의 다른 실시예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다겹보온커튼의 또 다른 실시예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다겹보온커튼의 또 다른 실시예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다겹보온커튼의 또 다른 실시예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다겹보온커튼의 또 다른 실시예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다겹보온커튼의 또 다른 실시예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다겹보온커튼의 또 다른 실시예도, 도 9는 도 1에 도시된 다겹보온커튼의 또 다른 실시예도,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다겹보온커튼의 또 다른 실시예도,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내외부 설치용 다겹보온커튼의 구성요소인 필름층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내외부 설치용 다겹보온커튼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외부 설치용 다겹보온커튼은 제1 패드층(10)과 제2 패드층(20), 각 패드층 사이에 형성되되 제1 패드층과 제2 패드층을 상하면에 열압착 접착시켜 일체화하는 필름층(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패드층(10)은 폴리에스터 원단을 비롯한 합성섬유원단 또는 T/C 원단을 비롯한 혼방섬유원단, 또는 마대나 마트나 TP, 또는 장섬유 부직포 등으로 이루어진 겉감재(12)와 내부에 폐쇄된 형태의 기포셀이 무수히 형성되어 있어 보온효과가 종래의 비닐시트보다 우수한 제1 폴리에틸렌(PE)폼(14)과 카시미론이나 폴리에스터 재질로 된 솜(15) 그리고 제1 폴리에틸렌폼과 같은 재질의 제2 폴리에틸렌(PE)폼(16)이 순서대로 적층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겉감재와 제1 폴리에틸렌(PE)폼, 솜, 제2 폴리에틸렌(PE)폼을 결속시키기 위하여 이들을 순서대로 겹친 후 폭방향으로 소정간격(예:7~10cm)을 두고 길이 방향을 따라 니들펀칭하여 결착부(18)를 형성하거나 일직선의 봉제선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패드층(10)은 겉감재(12)와 솜(15)만으로 구성되거나, 겉감재(12)와 제1 폴리에틸렌(PE)폼(14)과 솜(15)만으로 구성되거나, 겉감재(12)와 솜(15)과 제2 폴리에틸렌(PE)폼(16)만으로 구성되거나, 겉감재(12)와 제1 폴리에틸렌(PE)폼(14)과 솜(15)과 제2 폴리에틸렌(PE)폼(16)만으로 구성되거나, 겉감재(12)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2 패드층(20) 역시 폴리에스터 원단을 비롯한 합성섬유원단 또는 T/C 원단을 비롯한 혼방섬유원단, 또는 마대나 마트나 TP, 또는 장섬유 부직포 등으로 이루어진 겉감재(22)와 내부에 폐쇄된 형태의 기포셀이 무수히 형성되어 있어 보온효과가 종래의 비닐시트보다 우수한 제1 폴리에틸렌(PE)폼(24)과 카시미론이나 폴리에스터 재질로 된 솜(25)과 제2 폴리에틸렌(PE)폼(26)이 순서대로 적층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겉감재와 제1 폴리에틸렌(PE)폼, 솜, 제2 폴리에틸렌(PE)폼을 결속시키기 위하여 이들을 순서대로 겹친 후 폭방향으로 소정간격(예:7~10cm)을 두고 길이 방향을 따라 니들펀칭하여 결착부(28)를 형성하거나 일직선의 봉제선을 형성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패드층(20)은 겉감재(22)와 솜(25)만으로 구성되거나, 겉감재(22)와 제1 폴리에틸렌(PE)폼(24)과 솜(25)만으로 구성되거나, 겉감재(22)와 솜(25)과 제2 폴리에틸렌(PE)폼(26)만으로 구성되거나, 겉감재(22)와 제1 폴리에틸렌(PE)폼(24)과 솜(25)과 제2 폴리에틸렌(PE)폼(26)만으로 구성되거나, 겉감재(22)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패드층 및 제2 패드층은 각각의 구성요소들을 겹친후 니들펀칭하여 형성된 결착부(18, 28)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필름층(30)은 제1 패드층과 제2 패드층의 사이에 내재되는 필름층으로, 기 성형된 필름을 제1 패드층과 제2 패드층 사이에 삽입한 후 이들 패드층을 상하면에 열압착 접착시켜 제1 패드층과 제2 패드층이 서로 일체로 합지되어 결속됨과 동시에 필름층에 의해 밀폐되도록 하거나, 또는 제1 패드층과 제2 패드층의 재질이 각각 권취되어 있는 롤을 서로 연접된 풀어지도록 배치한 후, 권취되어 풀리는 제1 패드층이 제2 패드층과 결착되는 제1 패드층의 최내층이나 제2 패드층이 제1 패드층과 결합되는 제2 패드층의 최내층에 접착기능을 할 수 있는 PE계 합성수지를 일정두께로 도포하여 접착층을 형성하여 이 접착층에 의해 제1 패드층과 제2 패드층이 접착됨과 동시에 이 접착층이 필름층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PE계 수지 이외에 기타 다른 합성수지를 도포하여 접착층과 필름층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PE계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접착하고 밀폐필름층을 형성하도록 하는 경우에는, 고형의 PE계 수지를 열을 가해 액화한 다음 롤 무지의 일측면에 일정두께, 일반적으로는 대략 1~20㎛ 두께, 바람직하게는 대략 5~10㎛ 두께로 분사하여 도포한다. 이 경우에는 제1 패드층과 제2 패드층이 권취된 한쌍의 도포롤러 사이를 통과하면서 제1 패드층과 제2 패드층은 접착됨과 동시에 필름형성이 되므로, 별도의 열압착공정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내외부 설치용 다겹보온커튼의 제조과정을 다겹보온커튼을 구성하는 제1 패드층(10)과 필름층(30) 및 제2 패드층(20)의 적층순서를 각 구성요소의 조합되는 순서대로 분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 겉감재(12)와 솜(15)만으로 구성된 제1 패드층(10)과 겉감재(22)와 솜(25)만으로 구성된 제2 패드층(20), 필름층(30)
이 경우 본 다겹보온커튼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겉감재(12),솜(15), 필름층(30), 솜(25), 겉감재(22)가 순서대로 적층되어 구성되며, 제1 패드층과 제2 패드층은 각각 구성요소들을 소정간격으로 펀칭결속한 결착부(18,28)를 구비할 수 있다. 물론, 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
A-1. 겉감재(12)와 솜(15)만으로 구성된 제1 패드층(10)과 겉감재(22)와 제1 폴리에틸렌(PE)폼(24)과 솜(25)만으로 구성된 제2 패드층(20), 필름층(30)
이 경우 본 다겹보온커튼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겉감재(12),솜(15), 필름층(30), 솜(25), 제1 폴리에틸렌(PE)폼(24), 겉감재(22)가 순서대로 적층되어 구성되며, 제1 패드층과 제2 패드층은 각각 구성요소들을 소정간격으로 펀칭결속하여 사용될 수 있다. 물론, 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
A-2. 겉감재(12)와 솜(15)만으로 구성된 제1 패드층(10)과 겉감재(22)와 솜(25)과 제2 폴리에틸렌(PE)폼(26)만으로 구성된 제2 패드층(20), 필름층(30)
이 경우 본 다겹보온커튼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겉감재(12),솜(15), 필름층(30), 제2 폴리에틸렌(PE)폼(26), 솜(25), 겉감재(22)가 순서대로 적층되어 구성되며, 제1 패드층과 제2 패드층은 각각 구성요소들을 소정간격으로 펀칭결속하여 사용될 수 있다. 물론, 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
A-3. 겉감재(12)와 솜(15)만으로 구성된 제1 패드층(10)과 겉감재(22)와 제1 폴리에틸렌(PE)폼(24)과 솜(25)과 제2 폴리에틸렌(PE)폼(26)만으로 구성된 제2 패드층(20), 필름층(30)
이 경우 본 보온덮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겉감재(12),솜(15), 필름층(30), 제2 폴리에틸렌(PE)폼(26), 솜(25), 제1 폴리에틸렌(PE)폼(24), 겉감재(22)가 순서대로 적층되어 구성되며, 제1 패드층과 제2 패드층은 각각 구성요소들을 소정간격으로 펀칭결속하여 사용될 수 있다. 물론, 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
A-4. 겉감재(12)와 솜(15)만으로 구성된 제1 패드층(10)과 겉감재(22)만으로 구성된 제2 패드층(20), 필름층(30)
이 경우 본 다겹보온커튼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겉감재(12),솜(15), 필름층(30), 겉감재(22)가 순서대로 적층되어 구성되며, 제1 패드층은 구성요소들을 소정간격으로 펀칭결속하여 사용될 수 있다. 물론, 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
B. 겉감재(12)와 제1 폴리에틸렌(PE)폼(14)과 솜(15)만으로 구성된 제1 패드층(10)과 겉감재(22)와 제1 폴리에틸렌(PE)폼(24)과 솜(25)만으로 구성된 제2 패드층(20), 필름층(30)
이 경우 본 다겹보온커튼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겉감재(12), 제1 폴리에틸렌(PE)폼(14), 솜(15), 필름층(30), 솜(25), 제1 폴리에틸렌(PE)폼(24), 겉감재(22)가 순서대로 적층되어 구성되며, 제1 패드층과 제2 패드층은 각각 구성요소들을 소정간격으로 펀칭결속하여 사용될 수 있다. 물론, 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
B-1. 겉감재(12)와 제1 폴리에틸렌(PE)폼(14)과 솜(15)만으로 구성된 제1 패드층(10)과 겉감재(22)와 솜(25)과 제2 폴리에틸렌(PE)폼(26)만으로 구성된 제2 패드층(20), 필름층(30)
이 경우 본 다겹보온커튼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겉감재(12), 제1 폴리에틸렌(PE)폼(14), 솜(15), 필름층(30), 제2 폴리에틸렌(PE)폼(26), 솜(25), 겉감재(22)가 순서대로 적층되어 구성되며, 제1 패드층과 제2 패드층은 각각 구성요소들을 펀칭결속하여 사용될 수 있다. 물론, 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
B-2. 겉감재(12)와 제1 폴리에틸렌(PE)폼(14)과 솜(15)과 제2 폴리에틸렌(PE)폼(16)만으로 구성된 제1 패드층(10)과 겉감재(22)와 제1 폴리에틸렌(PE)폼(24)과 솜(25)과 제2 폴리에틸렌(PE)폼(26)만으로 구성된 제2 패드층(20), 필름층(30)
이 경우 본 다겹보온커튼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겉감재(12), 제1 폴리에틸렌(PE)폼(14), 솜(15), 제2 폴리에틸렌(PE)폼(16), 필름층(30), 제2 폴리에틸렌(PE)폼(26), 솜(25), 제1 폴리에틸렌(PE)폼(24), 겉감재(22)가 순서대로 적층되어 구성되며, 제1 패드층과 제2 패드층은 각각 구성요소들을 펀칭결속하여 사용될 수 있다. 물론, 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
B-3. 겉감재(12)와 솜(15)과 제2 폴리에틸렌(PE)폼(16)으로 구성되고 이를 니들펀칭시킨 결착부만으로 된 제1 패드층(10)과, 겉감재(22)와 솜(25)과 제2 폴리에틸렌(PE)폼(26)으로 구성되고 이를 니들펀칭시킨 결착부만으로 된 제2 패드층(20), 필름층(30)
이 경우 본 다겹보온커튼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겉감재(12), 솜(15), 제2 폴리에틸렌(PE)폼(16)을 순서대로 적층한 후 전체를 니들펀칭시켜 형성된 결착부와, 필름층(30)과, 제2 폴리에틸렌(PE)폼(26), 솜(25), 겉감재(22)를 순서대로 적층한 후 전체를 니들펀칭시켜 형성된 결착부를 열접착시켜 제조한다.
B-4. 겉감재(12)만으로 구성된 제1 패드층(10)과 겉감재(22)만으로 구성된 제2 패드층(20), 필름층(30)
이 경우 본 다겹보온커튼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겉감재(12), 필름층(30), 겉감재(22)가 순서대로 적층되어 구성된다.
또한, 필름층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겹의 필름층(31, 32)으로 형성되되, 내측필름층(32)은 엠보싱 형상을 이루고 외측필름층(31)과는 공기층(Ha,Hb,Hc,Hd,...)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공기층(Ha,Hb,Hc,Hd,...)들은 인접한 공기층과 관통홈(30a)으로 연통되어 있고 이 관통홈은 엇갈리는 구조, 즉 첫번째 공기층 줄의 2번째와 3번째, 4번째와 5번째, 7번째와 8번째 공기층이 연통되어 있는 경우에 두번째 공기층 줄에서는 3번째와 4번째, 6번째와 7번째 공기층이 연통되는 식으로 전체 공기층들은 서로서로 연통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공기층에 의해 보온효과는 극대화되고 실내외 온도차에 따라 결로되는 물방울은 외측필름의 내측 공기층에 맺히게 되고 이 물방울은 관통홈을 따라 하부로 흘러내리게 되므로, 필름층을 기준으로 실내쪽으로는 결로현상이 방지되므로, 외기에 의한 작물냉해가 방지되고 결로현상에 따라 작물에 피해를 주는 것이 방지되게 된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겹보온커튼은 제1 패드층(10), 필름층(30), 제3 패드층(40), 필름층(30), 제2 패드층(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패드층과 제2 패드층은 겉감재만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3 패드층(40)은 겉감재만으로 구성되거나, 겉감재와 솜만으로 구성되거나, 겉감재와 폴리에틸렌(PE)폼과 솜만으로 구성되거나, 겉감재와 폴리에틸렌(PE)폼과 솜과 폴리에틸렌(PE)폼만으로 구성되거나,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에틸렌(PE)폼(44)과 솜(45)과 폴리에틸렌(PE)폼(44)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고안은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제1 패드층 20: 제2 패드층
30: 필름층

Claims (11)

  1. 겉감재(12), 제1 폴리에틸렌(PE)폼(14), 솜(15), 및 제2 폴리에틸렌(PE)폼(16)이 적층되어 구성된 제1 패드층(10);
    겉감재(22), 제1 폴리에틸렌(PE)폼(24), 솜(25), 및 제2 폴리에틸렌(PE)폼(26)이 적층되어 구성된 제2 패드층(20); 및
    상기 제1 패드층과 제2 패드층 사이에 합성수지를 일정두께로 도포하여 형성되되, 상기 제1 패드층과 상기 제2 패드층을 상하면에 열압착 접착시켜 일체화하는 필름층(3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필름층은 두겹의 필름층(31, 32)으로 형성되되, 내측필름층(32)은 엠보싱 형상을 이루고 외측필름층(31)과는 다수개의 공기층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다수개의 공기층들은 인접한 공기층과 관통홈(30a)으로 연통되어 있고 상기 관통홈은 엇갈리는 구조로 되어 전체 공기층들이 서로서로 연통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부 설치용 다겹보온커튼.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드층(10) 또는 상기 제2 패드층(20)의
    상기 겉감재(12,22)는 폴리에스터 원단을 포함한 합성섬유원단 또는 T/C 원단을 포함한 혼방섬유원단, 또는 마대나 마트나 TP, 또는 장섬유 부직포로 이루어지고,
    상기 폴리에틸렌(PE)폼(14,16,24,26)은 내부에 폐쇄된 형태의 기포셀이 무수히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솜(15,25)은 카시미론이나 폴리에스터 재질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부 설치용 다겹보온커튼.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드층(10) 또는 상기 제2 패드층(20)은 니들펀칭으로 형성되는 결착부가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부 설치용 다겹보온커튼.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드층(10)은
    겉감재(12)와 솜(15)만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겉감재(12)와 제1 폴리에틸렌(PE)폼(14)과 솜(15)만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겉감재(12)와 솜(15)과 제2 폴리에틸렌(PE)폼(16)만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겉감재(12)와 제1 폴리에틸렌(PE)폼(14)과 솜(15)과 제2 폴리에틸렌(PE)폼(16)만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겉감재(12)만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패드층(20)은
    겉감재(22)와 솜(25)만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겉감재(22)와 제1 폴리에틸렌(PE)폼(24)과 솜(25)만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겉감재(22)와 솜(25)과 제2 폴리에틸렌(PE)폼(26)만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겉감재(22)와 제1 폴리에틸렌(PE)폼(24)과 솜(25)과 제2 폴리에틸렌(PE)폼(26)만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겉감재(22)만으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부 설치용 다겹보온커튼.
  5. 제1 패드층(10), 필름층(30), 및 제2 패드층(20)이 순서대로 적층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1 패드층(10)의 겉감재(12)와 솜(15); 필름층(30); 및 상기 제2 패드층(20)의 솜(25)과 겉감재(22);가 순서대로 적층되어 구성되거나,
    상기 제1 패드층(10)의 겉감재(12)와 솜(15); 필름층(30); 및 상기 제2 패드층(20)의 솜(25)과 제1 폴리에틸렌(PE)폼(24)과 겉감재(22);가 순서대로 적층되어 구성되거나,
    상기 제1 패드층(10)의 겉감재(12)와 솜(15); 필름층(30); 및 상기 제2 패드층(20)의 제2 폴리에틸렌(PE)폼(26)과 솜(25)과 겉감재(22);가 순서대로 적층되어 구성되거나,
    상기 제1 패드층(10)의 겉감재(12)와 솜(15); 필름층(30); 및 상기 제2 패드층(20)의 제2 폴리에틸렌(PE)폼(26)과 솜(25)과 제1 폴리에틸렌(PE)폼(24)과 겉감재(22);가 순서대로 적층되어 구성되거나,
    상기 제1 패드층(10)의 겉감재(12)와 솜(15); 필름층(30); 및 상기 제2 패드층(20)의 겉감재(22);가 순서대로 적층되어 구성되며,
    상기 필름층은 두겹의 필름층(31, 32)으로 형성되되, 내측필름층(32)은 엠보싱 형상을 이루고 외측필름층(31)과는 다수개의 공기층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다수개의 공기층들은 인접한 공기층과 관통홈(30a)으로 연통되어 있고 상기 관통홈은 엇갈리는 구조로 되어 전체 공기층들이 서로서로 연통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부 설치용 다겹보온커튼.
  6. 제1 패드층(10), 필름층(30), 및 제2 패드층(20)이 순서대로 적층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1 패드층(10)의 겉감재(12)와 제1 폴리에틸렌(PE)폼(14)과 솜(15); 필름층(30); 및 상기 제2 패드층(20)의 솜(25)과 제1 폴리에틸렌(PE)폼(24)과 겉감재(22);가 순서대로 적층되어 구성되거나,
    상기 제1 패드층(10)의 겉감재(12)와 제1 폴리에틸렌(PE)폼(14)과 솜(15); 필름층(30); 및 상기 제2 패드층(20)의 제2 폴리에틸렌(PE)폼(26)과 솜(25)과 겉감재(22);가 순서대로 적층되어 구성되거나,
    상기 제1 패드층(10)의 겉감재(12)와 제1 폴리에틸렌(PE)폼(14)과 솜(15)과 제2 폴리에틸렌(PE)폼(16); 필름층(30); 및 상기 제2 패드층(20)의 제2 폴리에틸렌(PE)폼(26)과 솜(25)과 제2 폴리에틸렌(PE)폼(26)과 겉감재(22);가 순서대로 적층되어 구성되며,
    상기 필름층은 두겹의 필름층(31, 32)으로 형성되되, 내측필름층(32)은 엠보싱 형상을 이루고 외측필름층(31)과는 다수개의 공기층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다수개의 공기층들은 인접한 공기층과 관통홈(30a)으로 연통되어 있고 상기 관통홈은 엇갈리는 구조로 되어 전체 공기층들이 서로서로 연통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부 설치용 다겹보온커튼.
  7. 제1 패드층(10), 필름층(30), 및 제2 패드층(20)이 순서대로 적층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1 패드층(10)은 겉감재(12)와 솜(15)과 제2 폴리에틸렌(PE)폼(16)을 순서대로 적층한 후 전체를 니들펀칭시킨 결착부만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 패드층(20)은제2 폴리에틸렌(PE)폼(26)과 솜(25)과 겉감재(22)를 순서대로 적층한 후 전체를 니들펀칭시킨 결착부만으로 구성되며,
    상기 필름층은 두겹의 필름층(31, 32)으로 형성되되, 내측필름층(32)은 엠보싱 형상을 이루고 외측필름층(31)과는 다수개의 공기층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다수개의 공기층들은 인접한 공기층과 관통홈(30a)으로 연통되어 있고 상기 관통홈은 엇갈리는 구조로 되어 전체 공기층들이 서로서로 연통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부 설치용 다겹보온커튼.
  8. 제1 패드층(10), 필름층(30), 및 제2 패드층(20)이 순서대로 적층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1 패드층(10)의 겉감재(12); 필름층(30); 및 상기 제2 패드층(20)의 겉감재(22);가 순서대로 적층되어 구성되며,
    상기 필름층은 두겹의 필름층(31, 32)으로 형성되되, 내측필름층(32)은 엠보싱 형상을 이루고 외측필름층(31)과는 다수개의 공기층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다수개의 공기층들은 인접한 공기층과 관통홈(30a)으로 연통되어 있고 상기 관통홈은 엇갈리는 구조로 되어 전체 공기층들이 서로서로 연통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부 설치용 다겹보온커튼.
  9. 제1 패드층(10), 필름층(30), 제3 패드층(40), 필름층(30), 및 제2 패드층(20)이 순서대로 적층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1 패드층과 상기 제2 패드층은 겉감재만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제3 패드층(40)은 겉감재만으로 구성되거나, 겉감재와 솜만으로 구성되거나, 겉감재와 폴리에틸렌(PE)폼과 솜만으로 구성되거나, 겉감재와 폴리에틸렌(PE)폼과 솜과 폴리에틸렌(PE)폼만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폴리에틸렌(PE)폼(44)과 솜(45)과 폴리에틸렌(PE)폼(44)만으로 구성되며,
    상기 필름층은 두겹의 필름층(31, 32)으로 형성되되, 내측필름층(32)은 엠보싱 형상을 이루고 외측필름층(31)과는 다수개의 공기층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다수개의 공기층들은 인접한 공기층과 관통홈(30a)으로 연통되어 있고 상기 관통홈은 엇갈리는 구조로 되어 전체 공기층들이 서로서로 연통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부 설치용 다겹보온커튼.
  10. 삭제
  11. 제1 항 내지 제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층은 상기 제1 패드층과 제2 패드층을 상하면에 열압착 접착시켜 일체화하는 필름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부 설치용 다겹보온커튼.
KR2020140005315U 2014-07-15 2014-07-15 내외부 설치용 다겹보온커튼 KR2004755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315U KR200475598Y1 (ko) 2014-07-15 2014-07-15 내외부 설치용 다겹보온커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315U KR200475598Y1 (ko) 2014-07-15 2014-07-15 내외부 설치용 다겹보온커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5598Y1 true KR200475598Y1 (ko) 2014-12-17

Family

ID=53537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5315U KR200475598Y1 (ko) 2014-07-15 2014-07-15 내외부 설치용 다겹보온커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5598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2478B1 (ko) * 2016-02-15 2016-04-14 주식회사 다윈 비닐하우스용 연결용 보온덮개
KR101670042B1 (ko) * 2016-03-23 2016-10-27 (주) 영농 공극 유지관을 포함한 다겹 부직포
KR101900331B1 (ko) 2017-07-28 2018-09-20 주식회사 화인지오텍 다겹 보온커튼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75239A (ko) 2018-12-18 2020-06-26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다겹보온커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056240A (ko) * 2021-10-20 2023-04-27 김회성 온실용 보온 커버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2478B1 (ko) * 2016-02-15 2016-04-14 주식회사 다윈 비닐하우스용 연결용 보온덮개
KR101670042B1 (ko) * 2016-03-23 2016-10-27 (주) 영농 공극 유지관을 포함한 다겹 부직포
KR101900331B1 (ko) 2017-07-28 2018-09-20 주식회사 화인지오텍 다겹 보온커튼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75239A (ko) 2018-12-18 2020-06-26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다겹보온커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056240A (ko) * 2021-10-20 2023-04-27 김회성 온실용 보온 커버 및 그 제조 방법
KR102646206B1 (ko) * 2021-10-20 2024-03-11 김회성 온실용 보온 커버 및 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5598Y1 (ko) 내외부 설치용 다겹보온커튼
US7000729B2 (en) Five-layer sound absorbing pad: improved acoustical absorber
EP1819509B1 (en) Multi-layer thermal insulation system
US7521386B2 (en) Moldable heat shield
RU2006139024A (ru) Декоративная интерьерная звукопоглощающая панель
JP4950288B2 (ja) 屋根下遮蔽材
US20130291990A1 (en) Duct insulation laminat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and installation
US4230057A (en) Thermal insulating material
KR101521474B1 (ko) 단열성이 개선된 단열재
KR101393557B1 (ko) 자동차용 카페트 및 그 제조 방법
JP4708356B2 (ja) パイプシェル
WO2019083910A1 (en) ACOUSTIC SANDWICH PANEL INSULATOR
KR101558953B1 (ko) 단열성이 개선된 반사형 단열재
US4232620A (en) Thermal insulating material
JP5301013B1 (ja) 止水性透湿防水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882740B2 (ja) 成形複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EP1304409A1 (en) Two-layer laminate
KR101446261B1 (ko) 흡음성이 우수한 자동차용 바닥재
KR20100006468U (ko) 비닐하우스용 보온덮개
US10738397B2 (en) Adhesive propagation control using blocking sub-layers
KR20160089060A (ko) 단열성이 향상된 반사형 단열재
KR100968847B1 (ko) 음소거기능을 가지며 사용이 간편한 일체형 후렉시블 닥트
JP3667411B2 (ja) 断熱施工用通気部材及び通気部材付き断熱材
US20120315436A1 (en) Leather Cushion Back Covering Material For Planar Surfaces
JP7337789B2 (ja) バッテリーカバーおよびその構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