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6355B1 - 나선형 홈이 형성된 런너를 갖는 사출금형 - Google Patents

나선형 홈이 형성된 런너를 갖는 사출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6355B1
KR101296355B1 KR1020110080216A KR20110080216A KR101296355B1 KR 101296355 B1 KR101296355 B1 KR 101296355B1 KR 1020110080216 A KR1020110080216 A KR 1020110080216A KR 20110080216 A KR20110080216 A KR 20110080216A KR 101296355 B1 KR101296355 B1 KR 1012963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nner
resin
spiral groove
injection mold
ca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0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7648A (ko
Inventor
류민영
김혁
Original Assignee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80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6355B1/ko
Publication of KR20130017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76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6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63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7Sprue channels ; Runner channels or runner nozzles
    • B29C45/30Flow control means disposed within the sprue channel, e.g. "torpedo"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7Sprue channels ; Runner channels or runner nozzles
    • B29C45/2701Details not specific to hot or cold runner chan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45/77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of velocity or pressure of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45/78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of 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2045/2683Plurality of independent mould cavities in a singl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 B29C29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5/76655Location of control
    • B29C2945/76765Mould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선형 홈이 형성된 런너를 갖는 사출금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런너의 내주면에 나선형 홈을 형성하여, 형상과 크기가 동일한 복수의 캐비티로 충전되는 수지의 충진속도를 균일하도록 하거나, 형상과 크기가 상이한 캐비티로 충전되는 수지의 충진속도 차이를 조절함으로써, 캐비티에서 성형되는 성형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나선형 홈이 형성된 런너를 갖는 사출금형{Injection mold having runners with helical groove}
본 발명은 사출성형을 위한 사출금형에 관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사출성형이란 플라스틱 성형법 중의 한 방법으로서, 열가소성 수지를 가열해서 유동상태로 되었을 때 금형의 캐비티에 가압 주입한 후, 금형 내에서 냉각시킴으로써 금형의 캐비티의 형상에 상당하는 성형품을 만드는 방법이다.
통상적으로 사출성형시 생산성 향상을 위해, 하나의 사출금형 내에 복수의 캐비티를 형성하여 한 번의 성형으로 복수 개의 성형제품이 생산될 수 있도록 금형을 설계하며, 이때 복수의 캐비티에서 성형된 제품의 성형 품질이 균일하기 위해서는 수지의 주입 속도 및 온도 분포를 고려한 금형설계가 필요하다.
도 1은 종래 사출금형의 성형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출금형의 성형부는 용융된 수지가 노즐을 통해 공급되며, 수직으로 형성된 스프루(sprue)(1)와, 상기 스프루(1)를 거친 수지를 수평방향으로 유동시키는 런너(runner)(2)와, 상기 런너(2)를 통과한 수지가 캐비티(4)에 들어가기 전의 입구에 해당하는 게이트(gate)(3)와, 상기 게이트(3)를 통해 유입된 수지가 충전되는 공간으로, 수지가 냉각, 고화되어 성형품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캐비티(cavity)(4)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캐비티(4)는 제품의 종류에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되는데, 도면상에는 편의상 좌, 우측에 각각 4개, 즉 8개의 캐비티(4)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제품의 특성상 동일부품이 많이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캐비티(4)의 형상 및 크기를 동일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종부품이 많이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캐비티(4)의 형상 및 크기를 상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의 사출금형의 성형부는, 잘 건조된 수지가 사출 성형기의 호퍼(hopper)에 투입되어 일정량 만큼씩 가열되어 실린더 안에서 용융되고, 용융된 수지가 플런저(plunger)(미도시)에 의하여 노즐을 거쳐 스프루(1), 런너(2), 게이트(3)를 통해 캐비티(4)를 채우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캐비티가 동일한 형상과 크기를 갖는 경우, 스프루(1)를 통과한 수지는 일측의 런너(2)를 통과하여 게이트를 거쳐 캐비티에 충진되며, 스프루(1)에서 각 캐비티(4)의 런너까지의 기하학적인 거리가 차이가 있다면 각 캐비티 간의 수지가 충전되는 충진 시간이 불균형을 이룰 것이고, 스프루(1)에서 각 캐비티(4)의 런너(2)까지의 기하학적인 거리가 동일하다면, 각 캐비티(4)에 채워지는 속도가 균일할 것이다. 따라서 균일한 성형 품질을 얻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스프루(1)에서 각 캐비티(4) 까지의 거리가 동일하도록 런너(2)를 설계하여 충진 속도가 같게 하여야 한다.
그러나 스프루(1)에서 각 캐비티(4)까지 거리가 동일하고 캐비티(4)의 형상과 크기가 동일한 경우에도 런너(2)의 단면에서의 온도 불균일, 즉 런너의 중심부분과 런너(2)의 벽부분의 온도차이 때문에 런너(2)의 방향이 바뀌면서 방향이 꺾인 런너의 단면 좌우 온도가 다르게 된다. 이에 따라 런너(2)의 단면에서 수지의 점도가 달라지며, 이에 따라 수지의 흐름 즉 속도가 영향을 받아 복수의 캐비티(4) 간에 수지가 채워지는 순서가 달라진다. 즉, 캐비티(4) 간 충진 불균형을 일으킨다. 이는 앞서 언급한 성형 품질의 불균형을 나타내는 주요 원인이 된다.
또한, 복수의 캐비티(4)의 형상과 크기가 상이한 경우에, 특히, 스프루(1)에서 멀리 위치한 캐비티(4)의 크기가 가까이 위치한 캐비티(4) 보다 큰 경우에는 충진속도의 불균형의 심화되게 되며, 이는 성형 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평5-185470호(1993. 07. 27. 공개)에서는 런너의 분기부에 돌기상 단차를 두어 수지의 충진 밸런스를 개선하고자 하였고, 등록특허 10-0798373호(2008. 01. 28. 공고)에서는 러너의 단면 형상이 변화하는 단면 변화부를 형성시켜 수지의 온도구배를 변경함으로써, 복수의 캐비티 간의 균일한 충진을 얻고자 하였다.
그러나, 특개평5-185470호에 기재된 발명은 돌기상 단차의 형상 및 크기를 성형 조건에 맞게 결정하는 것이 쉽지 않다는 단점이 있으며, 등록특허 10-0798373호에 기재된 발명 또한 단면 형상이 변하는 런너를 제작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다는 단점과 단면 형상의 변화가 수지 흐름에 큰 영향을 주어 성형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수지 흐름을 개선하여 복수의 캐비티 간에 균일한 충진이 이루어질 수 있는 사출금형을 제공하되, 성형 조건에 따라 용이하게 설계 가능하며, 제작이 용이한 런너를 설계가능하며, 런너의 내주면에 나선형 홈을 형성하여 각 케비티에 공급되는 수지가 런너 단면에서 균일 온도로 혼련(混鍊)하여 등온성을 가진 수지를 케비티로 이송시 충전속도를 균일하게 유지하도록 하여 생산성을 향상함과 동시에 균일한 품질을 유지하여 생산비를 절감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노즐을 통해 공급되는 용융된 수지가 주입되는 스프루와, 상기 스프루를 거친 수지를 수평방향으로 유동시키는 런너와, 상기 런너를 통과한 수지가 캐비티에 들어가기 전의 입구에 해당하는 게이트와, 상기 게이트를 통해 유입된 수지가 충전되는 공간으로, 수지가 냉각, 고화되어 성형품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캐비티를 포함하는 사출금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캐비티의 형상 및 크기가 동일하게 이루어지고, 상기 런너의 내주면에 나선형 홈을 형성하여 각 캐비티에 공급되는 수지가 런너 단면에서 균일 온도로 혼련(混鍊)하여 등온성을 가진 수지를 케비티로 이송시 충전속도를 균일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노즐을 통해 공급되는 용융된 수지가 주입되는 스프루와, 상기 스프루를 거친 수지를 수평방향으로 유동시키는 런너와, 상기 런너를 통과한 수지가 캐비티에 들어가기 전의 입구에 해당하는 게이트와, 상기 게이트를 통해 유입된 수지가 충전되는 공간으로, 수지가 냉각, 고화되어 성형품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캐비티를 포함하는 사출금형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캐비티의 형상 및 크기가 상이하게 이루어지고, 상기 런너의 적어도 어느 일측의 런너의 내주면에 나선형 홈을 형성하여 각 캐비티에 공급되는 수지가 런너 단면에서 균일 온도로 혼련(混鍊)하여 등온성을 가진 수지를 케비티로 이송시 충전속도를 균일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런너의 나선형 홈의 단면은 사각, 삼각, 원형, 사다리꼴, 톱니형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런너의 나선형 홈은 적어도 한 줄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런너의 나선형 홈의 높이는 런너 지름의 2%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런너의 나선형 홈은 2피치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복수의 캐비티에 용융 수지를 전달하기 위한 복수의 런너를 포함하는 수지 충전 장치에 있어서, 상기 런너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되, 런너의 내주면에 나선형 홈이 형성되며, 상기 나선형 홈의 단면은 사각, 삼각, 원형, 사다리꼴, 톱니형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나선형 홈이 형성된 런너를 갖는 사출금형은, 스프루를 통과한 수지가 캐비티에 충전되기 전에 형성된 런너의 내주면에 나선형 홈을 형성하여 런너의 유로 내에서 균일 온도로 혼련(混鍊)하여 등온성을 가진 수지를 조성하여 벽면과 중심부 간의 수지의 온도 격차를 줄여, 각 캐비티에 공급되는 수지의 충전속도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함으로서, 복수의 캐비티로 충전되는 수지의 충진시간을 균일하게 하여 생산성을 향상함과 동시에 성형 품질을 향상하여 생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나선형 홈이 형성된 런너를 갖는 사출금형은, 스프루를 통과한 수지가 캐비티에 충전되기 전에 형성된 런너의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나선형 홈을 형성하여 각 캐비티에 공급되는 수지의 충전속도을 조절하도록 함으로서, 형상과 크기가 상이한 복수의 캐비티로 충전되는 수지의 속도를 원하는 속도로 조절하여 캐비티에서 성형되는 성형품의 품질을 향상하여 생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사출금형의 성형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출금형의 성형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출금형의 런너부 단면형상의 다양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출금형의 런너부에 형성된 나선형 줄수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출금형의 성형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사출금형의 성형부 해석자료의 제1실시예의 런너 구조도
도 7은 도 6의 충전패턴도
도 8은 도 6의 온도분포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사출금형의 성형부 해석자료의 제2실시예의 런너 구조도
도 10은 도 9의 충전패턴도
도 11은 도 9의 온도분포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출금형의 성형부 해석자료의 제3실시예의 런너 구조도
도 13은 도 12의 충전패턴도
도 14는 도 12의 온도분포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사출금형의 성형부 해석자료의 제4실시예의 런너 구조도
도 16은 도 15의 충전패턴도
도 17은 도 15의 온도분포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사출금형의 성형부 해석자료의 제5실시예의 런너 구조도
도 19는 도 18의 충전패턴도
도 20은 도 18의 온도분포도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출금형의 성형부 해석자료의 제6실시예의 런너 구조도
도 22는 도 21의 충전패턴도
도 23은 도 21의 온도분포도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출금형의 성형부 해석자료의 제7실시예의 런너 구조도
도 25는 도 24의 충전패턴도
도 26은 도 24의 온도분포도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사출금형의 성형부 해석자료의 제8실시예의 런너 구조도
도 28은 도 27의 충전패턴도
도 29는 도 27의 온도분포도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사출금형의 성형부 해석자료의 제9실시예의 런너 구조도
도 31은 도 30의 충전패턴도
도 32는 도 31의 온도분포도
도 3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출금형의 성형부 해석자료의 제10실시예의 런너 구조도
도 34는 도 33의 충전패턴도
도 35는 도 33의 온도분포도
도 36은 본 발명에 따른 사출금형의 성형부 해석자료의 제11실시예의 런너 구조도
도 37은 도 36의 충전패턴도
도 38은 도 36의 온도분포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출금형의 성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나선형 런너를 갖는 사출금형은, 노즐을 통해 공급되는 용융된 수지가 주입되는 스프루(10)와, 상기 스프루(10)를 거친 수지를 수평방향으로 유동시키는 런너(20)와, 상기 런너(20)를 통과한 수지가 캐비티(40)에 들어가기 전의 입구에 해당하는 게이트(30)와, 상기 게이트(30)를 통해 유입된 수지가 충전되는 공간으로, 수지가 냉각, 고화되어 성형품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캐비티(4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캐비티(40)의 형상 및 크기가 동일하게 이루어지고, 상기 런너(20)의 내주면에 나선형 홈(S)을 형성하여 각 캐비티(40)에 공급되는 수지가 런너 단면에서 균일 온도로 혼련(混鍊)하여 등온성을 가진 수지를 케비티로 이송시 충전속도를 균일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런너(20)는 제1런너(21) 및 제2런너(22)로 구분되며, 상기 제1런너(21) 및 제2런너(22)에 각각 나선형의 홈(S)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런너(20)의 나선형 홈(S)의 단면은 사각, 삼각, 원형, 사다리꼴, 톱니형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3의 (가) 내지 (마) 참조)
또한, 상기 런너(20)의 나선형 홈(S)은 적어도 한 줄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참고로 도 4에서는 두 줄 나사를 일례로 나타냄)
즉, 나선형 홈(S)은 한 줄, 두 줄, 세 줄 등 성형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실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런너(20)의 나선형 홈(S)의 높이는 0.25mm 이상으로 형성되어야 수지의 유동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런너(20)의 나선형 홈(S)은 2피치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출금형의 성형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일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의 복잡화를 방지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는 캐비티(40)의 형상 및 크기가 상이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면상에는 우측의 상측 부위 및 좌측의 하측 부위의 제2런너(21)에 나선형 홈(S)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즉, 스프루(10)에서 유입된 수지가 양측의 제1런너(21)를 통과함과 아울러 각각 제2런너(22)를 통과하게 하면서 나선형 홈(S)이 형성된 제2런너(22)에 의해 캐비티(40)의 형상 및 크기가 상대적으로 큰 도면상 d 및 a'의 캐비티(40)의 수지 충전속도가 c 및 b'의 캐비티 보다 빠르게 충진되도록 하는 것이고, 종래와 같이 나선형 홈(S)이 형성되지 않은 제2런너(22)는 도면상 b 및 c' 보다 a 및 d' 의 크기를 작게 하여 수지의 충전속도를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런너에 나선형 홈을 형성시킨 경우의 성형 결과를 해석하기 위하여 Moldex3D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나선형 홈의 형상과 크기 및 배열 등의 조건을 다양하게 적용하였다.
이를 하기에서 살펴보기로 하며, 설명에 앞서, 수지 종류는 PC Trirex 3500 G30으로 하고, 용융온도 300이고, 금형온도는 105이며, 사출속도는 150mm/se로 동일하게 적용하였다.
도 6 내지 8은 본 발명에 따른 사출금형의 성형부 해석자료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자료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는 일측의 제1런너에 나선형 홈이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나사산 높이는 0.25mm, 피치는 3mm(2바퀴)를 나타내고 있다.
도 7의 충전 패턴도에서 알 수 있듯이 나선형 홈이 형성된 일측의 런너(도면상 우측 부분)의 외측과 내측 캐비티의 충전 편차가 타측의 런너(도면상 좌측 부분) 보다 작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8의 온도 분포도를 보면 나선형 홈이 형성된 일측의 런너(도면상 우측 부분)의 수지가 흘러가는 방향으로 관찰하여 보면 C - C'에서 D - D'로 진행되면서 온도 불균형이 작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반해 타측의 런너(도면상 좌측 부분)의 수지가 흘러가는 방향으로 관찰하여 보면 B - B'에서 A - A'로 진행되면서 온도 불균형이 여전히 존재하는 상태를 알 수 있다.
도 9 내지 1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출금형의 성형부 해석자료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자료이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실시예는 일측의 제2런너에 나선형 홈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나사산 높이는 0.25mm, 피치는 3mm (2바퀴)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의 충전 패턴도에서 알 수 있듯이 나선형 홈이 형성된 일측의 런너(도면상 우측 상 부분)의 외측과 내측 캐비티의 충전 편차가 타측의 런너(도면상 좌측 부분 및 우측 하 부분) 보다 작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11의 온도 분포도를 보면 나선형 홈이 형성된 일측의 런너(도면상 우측 상 부분)의 수지가 흘러가는 방향으로 관찰하여 보면 D - D'에서 C - C'로 진행되면서 온도 불균형이 작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반해 타측의 런너(도면상 좌측 상 부분)의 수지가 흘러가는 방향으로 관찰하여 보면 B - B'에서 A - A'로 진행되면서 온도 불균형이 여전히 존재하는 상태를 알 수 있다.
도 12 내지 1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출금형의 성형부 해석자료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자료이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실시예는 일측의 제1런너 및 제2런너에 나선형 홈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나사산 높이는 0.25mm, 피치는 3mm (2바퀴)를 나타내고 있다.
도 13의 충전 패턴도에서 알 수 있듯이 나선형 홈이 형성된 일측의 제1런너(도면상 우측 부분)의 외측과 내측 캐비티의 충전 편차가 타측의 제1런너(도면상 좌측 부분)보다 작게 나타남과 아울러 일측의 제1런너를 지나면서 나선형의 유로가 형성된 일측의 제2런너(도면상 우측 하 부분)가 타측의 제2런너(도면상 우측 상 분)보다 더욱 더 충전편차가 줄어드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14의 온도 분포도를 보면 나선형 홈이 형성된 일측의 제1런너(도면상 우측 부분)와 일측의 제2런너(도면상 우측 하부분)의 수지가 흘러가는 방향으로 관찰하여 보면 E - E'에서 F - F'로 진행되면서 온도 불균형이 작어지고, G - G'에서 H - H'로 진행하면서 온도가 거의 균형을 이루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반해 타측의 런너(도면상 좌측 부분)의 수지가 흘러가는 방향으로 관찰하여 보면 B - B' A - A' C - C' D - D'로 진행되면서 온도 불균형이 여전히 존재하는 상태를 알 수 있다.
이하에서는 나선형 홈을 제2런너에 설치하고, 나사산 높이, 피치, 나사길이 등을 변경한 제4실시예 내지 제11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5 내지 17은 본 발명에 따른 사출금형의 성형부 해석자료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자료이다.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4실시예는 제2실시예에서 나사산의 높이를 변경한 실시예이며, 즉, 일측의 제2런너에 나선형 홈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피치는 3mm (2바퀴)를 나타내고 있으며, 나사산 높이는 0.25mm에서 0.5mm로 변경한 실시예이다.
도 16의 충전 패턴도에서 알 수 있듯이 나선형 홈이 형성된 일측의 런너(도면상 우측 상 부분)의 외측과 내측 캐비티의 충전 편차가 타측의 런너(도면상 좌측 부분 및 우측 하 부분) 보다 작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는 제2실시예의 나사산 높이가 0.25mm일 때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7의 온도 분포도를 보면 나선형 홈이 형성된 일측의 런너(도면상 우측 상 부분)의 수지가 흘러가는 방향으로 관찰하여 보면 D - D'에서 C - C'로 진행되면서 온도 불균형이 작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반해 타측의 런너(도면상 좌측 상 부분)의 수지가 흘러가는 방향으로 관찰하여 보면 B - B'에서 A - A'로 진행되면서 온도 불균형이 여전히 존재하는 상태를 알 수 있다.
도 18 내지 20은 본 발명에 따른 사출금형의 성형부 해석자료의 제5실시예를 나타낸 자료이다.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5실시예는 제2실시예에서 나사산의 높이와 피치를 변경한 실시예이며, 즉, 일측의 제2런너에 나선형 홈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피치는 3mm (2바퀴)에서 2mm(3바퀴)를 나타내고 있으며, 나사산 높이는 0.25mm에서 0.5mm로 변경한 실시예이다.
도 19의 충전 패턴도에서 알 수 있듯이 나선형 홈이 형성된 일측의 런너(도면상 우측 상 부분)의 외측과 내측 캐비티의 충전 편차가 타측의 런너(도면상 좌측 부분 및 우측 하 부분) 보다 작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는 제5실시예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20의 온도 분포도를 보면 나선형 홈이 형성된 일측의 런너(도면상 우측 상 부분)의 수지가 흘러가는 방향으로 관찰하여 보면 D - D'에서 C - C'로 진행되면서 온도 불균형이 작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반해 타측의 런너(도면상 좌측 상 부분)의 수지가 흘러가는 방향으로 관찰하여 보면 B - B'에서 A - A'로 진행되면서 온도 불균형이 여전히 존재하는 상태를 알 수 있다.
도 21 내지 2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출금형의 성형부 해석자료의 제6실시예를 나타낸 자료이다.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6실시예는 제2실시예에서 나사산의 높이와 나사길이를 변경한 실시예이며, 즉, 일측의 제2런너에 나선형 홈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피치는 3mm (2바퀴)에서 3mm(3.3바퀴)로 나사길이를 변경하였으며, 나사산 높이는 0.25mm에서 0.5mm로 변경한 실시예이다.
도 22의 충전 패턴도에서 알 수 있듯이 나선형 홈이 형성된 일측의 런너(도면상 우측 상 부분)의 외측과 내측 캐비티의 충전 편차가 타측의 런너(도면상 좌측 부분 및 우측 하 부분) 보다 작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는 제5실시예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23의 온도 분포도를 보면 나선형 홈이 형성된 일측의 런너(도면상 우측 상 부분)의 수지가 흘러가는 방향으로 관찰하여 보면 D - D'에서 C - C'로 진행되면서 온도 불균형이 작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반해 타측의 런너(도면상 좌측 상 부분)의 수지가 흘러가는 방향으로 관찰하여 보면 B - B'에서 A - A'로 진행되면서 온도 불균형이 여전히 존재하는 상태를 알 수 있다.
도 24 내지 26은 본 발명에 따른 사출금형의 성형부 해석자료의 제7실시예를 나타낸 자료이다.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7실시예는 제2실시예에서 나사산의 높이와 나사길이, 및 피치를 변경한 실시예이며, 즉, 일측의 제2런너에 나선형 홈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피치는 3mm(2바퀴)에서 2mm(5바퀴)로 피치와 나사길이를 변경하였으며, 나사산 높이는 0.25mm에서 0.5mm로 변경한 실시예이다.
도 25의 충전 패턴도에서 알 수 있듯이 나선형 홈이 형성된 일측의 런너(도면상 우측 상 부분)의 외측과 내측 캐비티의 충전 편차가 타측의 런너(도면상 좌측 부분 및 우측 하 부분) 보다 작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는 제6실시예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26의 온도 분포도를 보면 나선형 홈이 형성된 일측의 런너(도면상 우측 상 부분)의 수지가 흘러가는 방향으로 관찰하여 보면 D - D'에서 C - C'로 진행되면서 온도 불균형이 작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반해 타측의 런너(도면상 좌측 상 부분)의 수지가 흘러가는 방향으로 관찰하여 보면 B - B'에서 A - A'로 진행되면서 온도 불균형이 여전히 존재하는 상태를 알 수 있다.
도 27 내지 29는 본 발명에 따른 사출금형의 성형부 해석자료의 제8실시예를 나타낸 자료이다.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8실시예는 제2실시예에서 나사산의 높이를 변경한 실시예이며, 즉, 일측의 제2런너에 나선형 홈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피치는 3mm(2바퀴)이며, 나사산 높이는 0.25mm에서 1mm로 변경한 실시예이다.
도 28의 충전 패턴도에서 알 수 있듯이 나선형 홈이 형성된 일측의 런너(도면상 우측 상 부분)의 외측과 내측 캐비티의 충전 편차가 타측의 런너(도면상 좌측 부분 및 우측 하 부분) 보다 작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는 제7실시예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29의 온도 분포도를 보면 나선형 홈이 형성된 일측의 런너(도면상 우측 상 부분)의 수지가 흘러가는 방향으로 관찰하여 보면 D - D'에서 C - C'로 진행되면서 온도 불균형이 작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반해 타측의 런너(도면상 좌측 상 부분)의 수지가 흘러가는 방향으로 관찰하여 보면 B - B'에서 A - A'로 진행되면서 온도 불균형이 여전히 존재하는 상태를 알 수 있다.
도 30 내지 3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출금형의 성형부 해석자료의 제9실시예를 나타낸 자료이다.
도 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9실시예는 제2실시예에서 나사산의 높이와 나사길이 및 피치를 변경한 실시예이며, 즉, 일측의 제2런너에 나선형 홈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피치는 3mm(2바퀴)에서 10mm(3바퀴)로 피치와 나사길이를 변경하였으며, 나사산 높이는 0.25mm에서 1.5mm로 변경한 실시예이다.
도 31의 충전 패턴도에서 알 수 있듯이 나선형 홈이 형성된 일측의 런너(도면상 우측 상 부분)의 외측과 내측 캐비티의 충전 편차가 타측의 런너(도면상 좌측 부분 및 우측 하 부분) 보다 작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는 제7실시예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32의 온도 분포도를 보면 나선형 홈이 형성된 일측의 런너(도면상 우측 상 부분)의 수지가 흘러가는 방향으로 관찰하여 보면 J - J' I - I' H - H' G - G' F - F'로 진행되면서 온도 불균형이 작아지는 것을 알 수 있있으며, 나사선의 두바퀴째, 즉, H - H' 부터 온도 분포가 균일하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반해 타측의 런너(도면상 좌측 상 부분)의 수지가 흘러가는 방향으로 관찰하여 보면 E - E' D - D' C - C' B - B' A - A'로 진행되면서 온도 불균형이 여전히 존재하는 상태를 알 수 있다.
도 33 내지 35는 본 발명에 따른 사출금형의 성형부 해석자료의 제10실시예를 나타낸 자료이다.
도 3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0실시예는 제2실시예에서 나사산의 높이와 나사길이 및 피치를 변경한 실시예이며, 즉, 일측의 제2런너에 나선형 홈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피치는 3mm(2바퀴)에서 10mm(3바퀴)로 피치와 나사길이를 변경하였으며, 나사산 높이는 0.25mm에서 3mm로 변경한 실시예이다.
도 34의 충전 패턴도에서 알 수 있듯이 나선형 홈이 형성된 일측의 런너(도면상 우측 상 부분)의 외측과 내측 캐비티의 충전 편차가 타측의 런너(도면상 좌측 부분 및 우측 하 부분) 보다 작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는 제7실시예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35의 온도 분포도를 보면 나선형 홈이 형성된 일측의 런너(도면상 우측 상 부분)의 수지가 흘러가는 방향으로 관찰하여 보면 J - J' I - I' H - H' G - G' F - F'로 진행되면서 온도 불균형이 작아지는 것을 알 수 있있으며, 나사선의 두바퀴째, 즉, G - G' 부터 온도 분포가 균일하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반해 타측의 런너(도면상 좌측 상 부분)의 수지가 흘러가는 방향으로 관찰하여 보면 E - E' D - D' C - C' B - B' A - A'로 진행되면서 온도 불균형이 여전히 존재하는 상태를 알 수 있다.
도 36 내지 38은 본 발명에 따른 사출금형의 성형부 해석자료의 제11실시예를 나타낸 자료이다.
도 3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1실시예는 제2실시예에서 나사산의 높이와 나사길이 및 피치를 변경한 실시예이며, 즉, 일측의 제2런너에 나선형 홈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피치는 3mm(2바퀴)에서 6mm(5바퀴)로 피치와 나사길이를 변경하였으며, 나사산 높이는 0.25mm에서 1.5mm로 변경한 실시예이다.
도 37의 충전 패턴도에서 알 수 있듯이 나선형 홈이 형성된 일측의 런너(도면상 우측 상 부분)의 외측과 내측 캐비티의 충전 편차가 타측의 런너(도면상 좌측 부분 및 우측 하 부분) 보다 작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는 제7실시예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38의 온도 분포도를 보면 나선형 홈이 형성된 일측의 런너(도면상 우측 상 부분)의 수지가 흘러가는 방향으로 관찰하여 보면 J - J' I - I' H - H' G - G' F - F'로 진행되면서 온도 불균형이 작아지는 것을 알 수 있있으며, 나사선의 세바퀴째, 즉, G - G' 부터 온도 분포가 균일하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반해 타측의 런너(도면상 좌측 상 부분)의 수지가 흘러가는 방향으로 관찰하여 보면 E - E' D - D' C - C' B - B' A - A'로 진행되면서 온도 불균형이 여전히 존재하는 상태를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나선형 홈이 형성된 런너를 갖는 사출금형은, 스프루를 통과한 수지가 캐비티에 충전되기 전에 형성된 런너의 내주면에 나선형 홈을 형성하여 런너의 유로 내에서 균일 온도로 혼련(混鍊)하여 등온성을 가진 수지를 조성하여 벽면과 중심부 간의 수지의 온도 격차를 줄여, 각 캐비티에 공급되는 수지의 충전속도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함으로서, 복수의 캐비티로 충전되는 수지의 충진시간을 균일하게 하여 생산성을 향상함과 동시에 성형 품질을 향상하여 생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 균일온도로 혼련하는 것은 나선형의 홈을 통하여 수지의 유동을 혼련시킬 수 있다. 나선형의 홈은 성형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나선형 홈이 형성된 런너를 갖는 사출금형은, 스프루를 통과한 수지가 캐비티에 충전되기 전에 형성된 런너의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나선형 홈을 형성하여 각 캐비티에 공급되는 수지의 충전속도을 조절하도록 함으로서, 형상과 크기가 상이한 복수의 캐비티로 충전되는 수지의 속도를 원하는 속도로 조절하여 캐비티에서 성형되는 성형품의 품질을 향상하여 생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다.
10 : 스프루 20 : 런너
21 : 제1런너 22 : 제2런너
30 : 게이트 40 : 캐비티
S : 나선형 홈

Claims (10)

  1. 노즐을 통해 공급된 용융 상태의 수지가 주입되는 스프루와, 상기 스프루를 통과한 수지를 수평방향으로 유동시키는 복수 개의 런너와, 상기 런너를 통과한 수지가 캐비티에 들어가는 입구에 형성된 게이트와, 상기 게이트를 통해 유입된 수지가 충전되는 공간으로, 용융 수지가 냉각, 고화되어 성형품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캐비티를 포함하는 사출금형에 있어서,
    상기 런너는 제1런너와 제2런너로 구분하고, 그 내주면에 나선형 홈을 형성하여 복수의 캐비티의 형상 및 크기가 모두 동일하게 이루어지고, 각 캐비티에 공급되는 수지가 런너 단면에서 균일 온도로 혼련(混鍊)하여 등온성을 가진 수지를 케비티로 이송시 충전속도를 균일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것과, 상기 런너의 나선형 홈은 적어도 한 줄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홈이 형성된 런너를 갖는 사출금형

  2. 노즐을 통해 공급된 용융 상태의 수지가 주입되는 스프루와, 상기 스프루를 통과한 수지를 수평방향으로 유동시키는 복수 개의 런너와, 상기 런너를 통과한 수지가 캐비티에 들어가는 입구에 형성된 게이트와, 상기 게이트를 통해 유입된 수지가 충전되는 공간으로, 용융 수지가 냉각, 고화되어 성형품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캐비티를 포함하는 사출금형에 있어서,
    상기 런너는 제1런너와 제2런너로 구분하고, 상기 복수 개의 런너 중 일부 런너의 내주면에 나선형 홈을 형성하여 복수의 캐비티의 형상 및 크기가 각각 상이하게 이루어지고, 각 캐비티에 공급되는 수지가 런너 단면에서 균일 온도로 혼련(混鍊)하여 등온성을 가진 수지를 케비티로 이송시 충전속도를 균일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것과,
    상기 런너의 나선형 홈은 적어도 한 줄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홈이 형성된 런너를 갖는 사출금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런너의 나선형 홈의 단면은 사각, 삼각, 원형, 사다리꼴, 톱니형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홈이 형성된 런너를 갖는 사출금형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런너의 나선형 홈의 높이는 런너 지름의 2%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홈이 형성된 런너를 갖는 사출금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런너의 나선형 홈은 2피치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홈이 형성된 런너를 갖는 사출금형
  7. 복수의 캐비티에 용융 수지를 전달하기 위한 복수의 런너를 포함하는 수지 충전 장치에 있어서, 상기 런너는 제1런너와 제2런너로 구분하고, 상기 런너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되, 런너의 내주면에 나선형 홈이 형성되며, 상기 나선형 홈의 단면은 사각, 삼각, 원형, 사다리꼴, 톱니형 중 어느 하나인 것과,
    상기 런너의 나선형 홈은 적어도 한 줄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충전 장치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런너의 나선형 홈의 높이는 런너 지름의 2%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충전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런너의 나선형 홈은 2피치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충전 장치
KR1020110080216A 2011-08-11 2011-08-11 나선형 홈이 형성된 런너를 갖는 사출금형 KR1012963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0216A KR101296355B1 (ko) 2011-08-11 2011-08-11 나선형 홈이 형성된 런너를 갖는 사출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0216A KR101296355B1 (ko) 2011-08-11 2011-08-11 나선형 홈이 형성된 런너를 갖는 사출금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7648A KR20130017648A (ko) 2013-02-20
KR101296355B1 true KR101296355B1 (ko) 2013-08-14

Family

ID=47896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0216A KR101296355B1 (ko) 2011-08-11 2011-08-11 나선형 홈이 형성된 런너를 갖는 사출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635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3143B1 (ko) 2015-08-25 2017-07-03 주식회사 유도 난류 발생부재가 구비된 핫런너 시스템
KR20230130328A (ko) 2022-03-03 2023-09-12 (주)비엠아이 사출금형용 런너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96110B (zh) * 2013-09-26 2016-05-25 高精科技(苏州)有限公司 电子笔芯的塑料模具
KR20170138021A (ko) * 2016-06-06 2017-12-14 최현범 리드를 구비한 음판 몰드금형 및 이를 이용한 음판
CN112848114B (zh) * 2021-01-07 2021-12-28 东莞市元立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公模胶口模仁一体化的导光板成型模具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0734U (ko) * 1998-11-25 2000-06-26 전주범 사출성형용 금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0734U (ko) * 1998-11-25 2000-06-26 전주범 사출성형용 금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3143B1 (ko) 2015-08-25 2017-07-03 주식회사 유도 난류 발생부재가 구비된 핫런너 시스템
KR20230130328A (ko) 2022-03-03 2023-09-12 (주)비엠아이 사출금형용 런너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7648A (ko) 2013-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6355B1 (ko) 나선형 홈이 형성된 런너를 갖는 사출금형
RU2565176C2 (ru) Система подачи без естественного баланса для устройства инжекционного формования
RU2573483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инжекционного формования при низком постоянном давлении
TW201400268A (zh) 具有一簡化冷卻系統之射出模具
US7857615B2 (en) Injection mold having a buffer region
KR20090093042A (ko) 나선형 런너를 갖는 사출금형
JP5715492B2 (ja) 射出成形金型
EP1488906B1 (en) Stack mold having a melt homogenizing element
KR101927482B1 (ko) 중앙 사출 구조를 갖는 다이캐스팅 금형
CN203726732U (zh) 流动均衡的注塑模具翻转流道
CN207388232U (zh) 一种精密复杂注塑模具
CN103043276A (zh) 抗静电包装盒及其模具和制造方法
KR20150110190A (ko) 멀티 캐비티 사출 금형의 최적 설계 방법
JP5860058B2 (ja) 途切れのない溶融物チャネルを画定するマニホールド本体を有する金型工具システム
KR100798373B1 (ko) 사출성형 충진장치
CA3101869C (en) Hot runner apparatus, method for branching molten resin in the hot runner apparatus, and injection stretch blow molding machine
CN104626450A (zh) 适用于多穴模具的注塑工艺及其注塑设备
CN203752466U (zh) 3d适形冷却装置
KR101404997B1 (ko) 사출성형 장치
CN213891064U (zh) 一种分流式热咀结构
CN108372633A (zh) 一种热流道注塑模具
CN214926639U (zh) 一种多模腔注塑模具
CN105150464A (zh) 带绝热流道的注塑模具
CN113400592B (zh) 具有翻转流道的模具
Shikalgar et al. A Simulation Study on Warpage Analysis of Injection Moulded Plastic Pa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