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5890B1 - Bburied support foundation of support facility including road and tele-communication facility - Google Patents

Bburied support foundation of support facility including road and tele-communication facilit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5890B1
KR101295890B1 KR1020130054046A KR20130054046A KR101295890B1 KR 101295890 B1 KR101295890 B1 KR 101295890B1 KR 1020130054046 A KR1020130054046 A KR 1020130054046A KR 20130054046 A KR20130054046 A KR 20130054046A KR 101295890 B1 KR101295890 B1 KR 1012958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ase pocket
base
pocket
fac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40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난주
Original Assignee
강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난주 filed Critical 강난주
Priority to KR1020130054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589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5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589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2Foundations for poles, masts or chimney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undations (AREA)

Abstract

PURPOSE: A pillar embedded foundation assembly unit of telecommunication facilities including road and electrical communication facilities is provided to prevent the interference of pedestrians caused by a pillar and to allow a user to easily and stably install a pillar for a road guidance facility. CONSTITUTION: A pillar embedded foundation assembly unit of telecommunication facilities including road and electrical communication facilities comprises a pipe-shaped base pocket (10), a concrete finishing plate (30), a cover (60), an assembly guide support unit, and a shear connector. The base pocket is embedded into a concrete foundation unit (20) on the ground and supports a pillar (1) by being connected to the pillar. The concrete finishing plate blocks the inside of the base pocket by being inserted into the base pocket. The concrete finishing plate sets a placing position of concrete filled into the base pocket. The cover encloses the base pocket and the pillar and blocks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soil, and infiltration water. The assembly guide support unit guides the assembly of the pillar and the base pocket. The shear connector is combined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base pocket.

Description

도로 및 전기통신 시설물을 포함하는 지주시설물의 지주 매립형 기초 조립체{Bburied support foundation of support facility including road and tele-communication facility}Buried support foundation of support facility including road and tele-communication facility

본 발명은 지주시설물의 기초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 종 정보수집기, 가로등, 신호등, 표지판, CCTV, 방음벽지주, 전기통신지주 및 철탑지주 등을 포함하는 각종 지주에 대하여, 제작 설치 시공의 간편성을 제공하고, 견고하게 설치되며, 지주하단 주각부가 노출되지 않아 보행자와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고, 미관을 극대화할 수 있는 도로 및 전기통신 시설물을 포함하는 지주시설물의 지주 매립형 기초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sic assembly of the holding facilities, and more specifically, manufacturing and installation of various types of posts, including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collectors, street lights, traffic lights, signs, CCTV, soundproof wall holding, telecommunication holding and steel tower holding, etc. Strand-filled foundation assembly of strut facilities, including road and telecommunication facilities, to provide simplicity, to be firmly installed,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pedestrians due to unexposed plinths at the bottom of struts, and to maximize aesthetics. It is about.

도로의 가장자리에는 도로상에서 발생될 수 있는 각종 정보를 운전자와 보행자에게 알림으로써 안전하고 원활한 도로교통을 확보함과 동시에 도로구조의 보전(保全)을 도모하기 위한 각종 도로시설물, 예를 들어 도로정보수집기, 신호위반단속기, 기상정보수집기, 영상검지기, 가로등, 신호등, 도로표지판, 안내표지판, 방음벽 등이 설치되어 있다.
At the edges of roads, various road facilities, for example, road information collectors, are provided to inform drivers and pedestrians of various information that may occur on the roads, to ensure safe and smooth road traffic, and to preserve road structures. It is equipped with signal violation breaker, weather information collector, image detector, street light, traffic light, road sign, guide sign and soundproof wall.

대부분 사람들은 전기 및 유.무선통신 단말기, 예를 들어 텔레비전, 컴퓨터, 전화기, 휴대폰, DMB, 네비게이션, PDA 등을 필수적으로 사용 또는 휴대하고 있으며, 전기 및 유.무선통신 단말기는 기지국과 연결되어 데이터의 전송, 정보의 교환 및 개인 간의 소통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도로시설물, 전기 또는 유.무선단말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도로, 지상, 건물옥상, 개활지 및 임야 등에 도로시설물 지주, 전기통신 지주 및 철탑 지주 등이 설치되어야 한다.Most people use or carry electric and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s such as televisions, computers, telephones, mobile phones, DMB, navigation, PDAs, etc. The transmission of information, exchang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between individuals. As such, in order to use road facilities, electricity, or wired / wireless terminals, road property pillars, telecommunication props, and steel tower props must be installed on roads, ground, building roofs, open areas, and forests.

따라서 도로 및 전기통신 지주시설물(이하 "지주시설물"이라 통칭함)은 도로, 지상, 건물옥상, 개활지 및 임야 등에 지주를 적정높이로 설치하여 도로의 기능을 수행케 하거나, 전기 및 유.무선통신 등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Therefore, road and telecommunication holding faciliti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holding facilities") are installed on the roads, ground, building roofs, open areas and forests at appropriate heights to perform the functions of the roads, or to perform electric and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And so on.

이들 지주는 기초콘크리트 위에 중력방향으로 설치되는데, 종래에는 지주하단부에 베이스판(BASE PLATE) 및 다수의 수직보강리브를 용접하고, 기초콘크리트 내부에 미리 매립된 앵커 볼트(ANCHOR BOLT)를 상기 베이스판(BASE PLATE)의 홀에 관통시켜 너트를 체결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These pillars are installed in the direction of gravity on the foundation concrete. Conventionally, a base plate and a plurality of vertical reinforcement ribs are welded to the lower ends of the foundation concrete, and anchor bolts (ANCHOR BOLT) pre-embedded inside the foundation concrete are mounted on the base plate. It is structured to fasten the nut through the hole of the base plate.

도 1은 종래 지주시설물의 지주의 설치 구조를 도시한 예로서, 지주(1)의 설치를 위하여 지주(1)의 하단부에는 지면에 안착되는 베이스판(2)이 형성되고, 지중에는 베이스판(2)을 관통하는 다수의 앵커 볼트(3)가 매설되며, 베이스판(2)의 상부에서 앵커 볼트(3)에 너트(4)가 체결됨으로써 지주(1)를 설치한다.1 is a view illustrating an installation structure of a strut of a conventional strut facility, and a base plate 2 seated on the ground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trut 1 for installation of the strut 1, and a base plate ( A plurality of anchor bolts 3 penetrating 2) are embedded, and the support post 1 is installed by fastening the nuts 4 to the anchor bolts 3 at the top of the base plate 2.

지주(1)의 기초는 지주(1)에 설치되는 시설물의 중량이나 구조 및 이들에 가하여지는 풍압 등의 조건을 감안하여 그에 따른 구조계산을 실시하고 그 수치에 기반한 중량과 구조를 갖도록 한 후 지중에 매립 설치하게 된다. 이때 앵커 볼트(3)는 기초의 상면에 노출된다.The foundation of the support (1) is based on the weight and structure of the facilities installed in the support (1), and the conditions such as wind pressure applied to them, the structural calculation is performed accordingly and the weight and structure based on the numerical value It will be installed in landfill. At this time, the anchor bolt 3 is expos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oundation.

또한, 지주(1)의 보강을 위하여 지주(1)와 베이스판(2)에는 다수의 수직보강리브(5)가 구성된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vertical reinforcing ribs 5 are formed on the support 1 and the base plate 2 to reinforce the support 1.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지주시설물의 기초에 따르면, 지주(1)의 베이스판(2)과 앵커 볼트(3) 및 다수의 보강리브(5)가 지면 외부로 돌출 및 노출되었기 때문에 외관이 매우 조잡해 보이고 노출된 앵커 볼트(3) 및 보강리브(5)에 보행자가 걸려 넘어지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과 도시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foundation of the support facilities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appearance is very coarse because the base plate 2, the anchor bolt 3 and the plurality of reinforcing ribs 5 of the support 1 protrude and are exposed out of the grou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afety accidents such as pedestrians trip over the exposed anchor bolt (3) and reinforcing ribs (5) and harm the city view.

그리고, 지주(1)의 견고한 결합을 위해서는 많은 앵커 볼트(3)가 구비되어야 하며 이에 따라 많은 너트(4)를 체결하므로 그 작업이 더딜 수밖에 없고, 또 지주(1)의 하단에 설치된 베이스판(2)이나 보강리브(5)를 구성하기 위한 강재수량 및 강재중량이 많이 소요되며, 강재의 재단 및 용접 등 일련의 작업들로 인해 시간 및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a lot of anchor bolts (3) should be provided for the firm coupling of the support (1), and accordingly fastening many nuts (4), the operation is inevitable, and the base plate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support (1) 2) or the steel quantity and steel weight for constructing the reinforcing rib (5) takes a lot, there is a problem that takes time and money due to a series of operations such as cutting and welding of the steel.

또한, 보강리브(5)를 재단하고 남은 삼각형 모양의 강재는 버려져 자재의 손실이 많은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triangle-shaped steel material left after cutting the reinforcing rib (5) is discarded, there is a problem of a lot of material loss.

또한, 지주(1)를 운반할 때 지주(1)의 하단부에 결합된 베이스판(2)과 보강리브(5)로 인해 보관과 운반 등에 제약을 받아 왔다.
In addition, when carrying the support (1) has been limited to storage and transport due to the base plate 2 and the reinforcing rib (5)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1).

등록실용신안 제20-0263965호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63965 등록특허 제10-0996734호Patent Registration No. 10-0996734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도시미관을 개선하는 효과가 뛰어나며, 도로 및 전기통신 지주시설물의 제작과 설치 시공이 간편하면서도 견고한 설치가 가능하고, 경제적인 측면에서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지주 하단 주각부가 노출되지 않아 보행자와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도로 및 전기통신 시설물을 포함하는 지주시설물의 지주 매립형 기초 조립체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it is excellent in improving the urban aesthetics, easy to install and install the road and telecommunication holding facilities, yet robust installation, economically reduced cost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ndfill base assembly of landscaping facilities including roads and telecommunications facilities that can be prevented from interfering with pedestrians because the lower pillars of the props are not exposed.

본 발명에 의한 도로 및 전기통신 시설물을 포함하는 지주시설물의 지주 매립형 기초 조립체는, 지중의 콘크리트 기초부에 매설되며, 도로 및 지중에 세워지는 지주가 삽입되면서 체결구 또는 용접으로 고정되는 관형의 베이스 포켓과; 상기 베이스 포켓의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베이스 포켓 내부에 채워지는 상기 콘크리트 기초부의 콘크리트의 타설 위치를 설정하는 콘크리트 마감판과; 상기 베이스 포켓의 상면과 상기 베이스 포켓에 삽입된 지주를 감싸 고정하며 저부가 콘크리트 기초 상면에 닿고 흙과 침투수 및 이물질의 유입을 막아주는 커버와; 상기 베이스 포켓과 지주의 조립을 안내하는 조립 가이드받침수단과; 상기 베이스 포켓에 형성되는 전단 연결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landfill base assembly of the strut facility including the road and telecommunication facilit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buried in the concrete foundation of the underground, and the tubular base fixed by the fastener or welding while the struts built on the road and the ground are inserted With pockets; A concrete finishing plate mounted inside the base pocket and setting a placing position of the concrete of the concrete foundation portion filled in the base pocket; A cover that wraps and secures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ocket and the support inserted into the base pocket, and a bottom thereof contacts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foundation and prevents inflow of soil, water, and foreign matter; Assembly guide support means for guiding the assembly of the base pocket and the support;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shear connecting material formed in the base pocket.

본 발명에 의한 도로 및 전기통신 시설물을 포함하는 지주시설물의 지주 매립형 기초 조립체에 의하면, 지주의 삽입을 고려한 단면의 베이스 포켓을 지중 콘크리트 기초부에 매설하고, 이 베이스 포켓의 내부에 지주의 저부를 삽입 및 용접(또는 체결구) 결합함으로써 종래와 대비하여 베이스판 및 보강리브의 재단에 따른 강재의 손실을 없앨 수 있으며, 베이스판 및 보강리브와 지주를 연결하기 위한 용접작업을 줄일 수 있고, 앵커볼트와 지주 베이스판을 고정하기 위한 너트의 체결작업이 간편해지므로 지주의 설치 작업이 매우 용이하며, 경제적이고, 공기를 단축할 수 있으며, 아울러, 지주의 기초부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리브가 없고 지주 이외에 지면 위로 돌출되는 부분이 없으므로 도시미관을 개선하는 효과가 뛰어나며, 보행자의 보행을 간섭하지 않으므로 보행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landfill-type foundation assembly of a support facility including a road and a telecommunication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base pocket having a cross section in consideration of the insertion of a support is embedded in the underground concrete foundation, and the bottom of the support is located inside the base pocket. By inserting and welding (or fasteners),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loss of steel due to the cutting of the base plate and the reinforcing rib, and to reduce the welding work for connecting the base plate and the reinforcing rib and the support, and to anchor Since the fastening of the nut for fixing the bolt and the support base plate is simple, installation of the support is very easy, economical, and shorten the air, and there is no reinforcing rib to reinforce the foundation of the support, Since there is no protruding part, the effect of improving the urban aesthetics is excellent, and i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pedestrian's walking. Therefore, the safety of pedestrians can be improved.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지주시설물용 지주의 기초 조립체의 설치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도로 및 전기통신 시설물을 포함하는 지주시설물의 지주 매립형 기초 조립체의 시공 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도로 및 전기통신 시설물을 포함하는 지주시설물의 지주 매립형 기초 조립체에 적용된 지주 및 베이스 포켓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도로 및 전기통신 시설물을 포함하는 지주시설물의 지주 매립형 기초 조립체에 적용된 배수구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도로 및 전기통신 시설물을 포함하는 지주시설물의 지주 매립형 기초 조립체에 적용된 가이드돌기의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도로 및 전기통신 시설물을 포함하는 지주시설물의 지주 매립형 기초 조립체에 적용된 베이스포켓과 지주의 다른 체결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도로 및 전기통신 시설물을 포함하는 지주시설물의 지주 매립형 기초 조립체에 적용된 베이스포켓과 지주의 다른 체결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도로 및 전기통신 시설물을 포함하는 지주시설물의 지주 매립형 기초 조립체에 적용된 지주와 베이스 포켓이 용접 조립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한 도로 및 전기통신 시설물을 포함하는 지주시설물의 지주 매립형 기초 조립체에 스페이서가 적용된 도면.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한 도로 및 전기통신 시설물을 포함하는 지주시설물의 지주 매립형 기초 조립체에 적용된 스페이서의 사시도와 정면도 및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한 도로 및 전기통신 시설물을 포함하는 지주시설물의 지주 매립형 기초 조립체에 적용된 스페이서의 다른 조립 상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한 도로 및 전기통신 시설물을 포함하는 지주시설물의 지주 매립형 기초 조립체에 적용된 스페이서의 정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의한 도로 및 전기통신 시설물을 포함하는 지주시설물의 지주 매립형 기초 조립체의 지주내부에 철근 콘크리트 보강이 적용된 도면.
1 is a state diagram of the installation of the base assembly of the struts for support facilities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struction state of a landfill base assembly of a support facility including a road and a telecommunication facility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upport and a base pocket applied to a landfill base assembly of a support facility including a road and a telecommunication facility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rain applied to the landfill base assembly of the strut facility including the road and telecommunication facilitie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nlarged view of a guide protrusion applied to a landfill-based foundation assembly of a support facility including a road and a telecommunication facility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fastening state of the base pocket and the strut applied to the landfill base assembly of the strut facility including the road and telecommunication facilitie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fastening state of the base pocket and the strut applied to the landfill base assembly of the strut facility including the road and telecommunication facilitie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view in which a support and a base pocket applied to a support embedded base foundation of a support facility including a road and a telecommunication facility according to Embodiment 2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welded and assembled.
Figure 9 is a spacer applied to the landfill base assembly of the strut facility including the road and telecommunications facilitie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to 12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front view and a plan view of a spacer applied to the landfill foundation assembly of the support facilities including the road and telecommunication facilitie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nother assembly state diagram of a spacer applied to a landfill base assembly of a support facility including a road and a telecommunication facility according to Embodiment 3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front view of a spacer applied to a landfill foundation assembly of a support facility including a road and a telecommunication facility according to Embodiment 3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view in which reinforced concrete reinforcement is applied to a pillar of a strut embedded foundation assembly of a strut facility including a road and a telecommunication facility according to Embodiment 4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실시예 1>&Lt; Example 1 >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도로 및 전기통신 시설물을 포함하는 지주시설물의 지주 매립형 기초 조립체는, 지주(1)를 지면 위에 견고하게 설치함과 아울러 설치 작업이 용이하도록 하는 베이스 포켓(1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 the landfill base assembly of the support facility including the road and the telecommunication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base pocket for installing the support 1 firmly on the ground and facilitating installation work. (10).

먼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지주(1)는 베이스 포켓(10)에 삽입된 후 볼트(50)와 너트(51)를 체결하여 고정되며, 저부에 내측 보강링(1a)이 적용된다. First, the strut 1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by fastening the bolt 50 and the nut 51 after being inserted into the base pocket 10, and the inner reinforcing ring 1a is applied to the bottom.

내측 보강링(1a)은 지주(1) 하단부의 국부좌굴에 대해 보강하기 위한 최적의 위치(예를 들어 최하단 등)에 설치되어 지주(1)를 보강하고, 배수구와 전력선, 통신선 등의 배선을 고려하여 홀이 구비된 링 형태가 바람직하다.The inner reinforcement ring 1a is installed at an optimal position (for example, the bottom end) to reinforce the local buckling of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1 to reinforce the support 1, and to provide wiring for drains, power lines, and communication lines. In consideration of this, a ring shape having a hole is preferable.

내측 보강링(1a)은 지주(1)의 내경부에 용접 설치될 수 있다. 도 15의 실시예 4와 같이 지주(1) 내부에 철근콘크리트 보강부(80)가 적용된 경우 내측 보강링(1a)은 설치되지 않는다.
The inner reinforcing ring 1a may be welded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support 1. When the reinforced concrete reinforcement portion 80 is applied to the inside of the support 1 as in the fourth embodiment of FIG. 15, the inner reinforcement ring 1a is not installed.

본 발명이 적용되는 콘크리트 기초부(20)는 현장 타설 및 공장제작(프리캐스트 제작) 등으로 이루어지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로서 축력, 비틀림, 전단력, 휨모멘트 등의 응력에 저항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향으로 기초 철근이 배근된다.
The concrete foundation 20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a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composed of on-site casting and factory manufacturing (precast production), etc., so that the basic reinforcing bars can be resisted in various directions to resist stress such as axial force, torsion, shear force, and bending moment. This is the stomach.

베이스 포켓(10)은 지중에 형성되는 콘크리트 기초부(20)의 내부에 밀착되도록 매설되면서 지주(1)와 조립, 체결되어 지주(1)를 지지하는 것이다.The base pocket 10 is assembled and fastened with the support 1 while being buri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concrete foundation 20 formed in the ground to support the support 1.

도 2와 도 3에서 보이는 것처럼, 베이스 포켓(10)은 내부에 지주(1)가 삽입되는 공간을 갖는 관의 형태이다. 지주(1)는 베이스 포켓(10)의 상부에서 삽입되기 때문에 베이스 포켓(10)은 상부만이 개방된 구조이면 가능하다. 단, 베이스 포켓(10)의 하부가 막힌 구조의 경우 배수구, 전력선 및 통신선 등의 배선을 위한 공간이 구비될 것이다.As shown in FIGS. 2 and 3, the base pocket 10 is in the form of a tube having a space into which the support 1 is inserted. Since the support 1 is inserted in the upper part of the base pocket 10, the base pocket 10 can be a structure in which only the upper part is open. However, in the case where the lower portion of the base pocket 10 is blocked, a space for wiring such as a drain hole, a power line, and a communication line will be provided.

베이스 포켓(10)을 콘크리트 기초부(20)와 더욱 견고하게 합성할 수 있도록 베이스 포켓(10)은 상부와 하부 모두가 개방된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며, 콘크리트 기초부(20)의 콘크리트가 베이스 포켓(10) 내부의 콘크리트 마감판(30) 하단까지 채워지도록 한다.Preferably, the base pocket 10 has a structure in which both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thereof are open so that the base pocket 10 can be more firmly combined with the concrete foundation 20. The concrete of the concrete foundation 20 is the base pocket. (10) to be filled up to the bottom of the concrete finishing plate (30) inside.

베이스 포켓(10)은 콘크리트 기초부(20)의 시공시 콘크리트 기초부(20)의 기초 철근에 고정된 상태에서 콘크리트 기초부(20)의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콘크리트 기초부(20)에 합성된다.The base pocket 10 is synthesized in the concrete foundation 20 by concrete pouring of the concrete foundation 20 in a state of being fixed to the foundation reinforcement of the concrete foundation 20 at the time of construction of the concrete foundation 20.

베이스 포켓(10)은 주강, 강관 등 다양한 재질과 지주의 단면형태에 따라서 다양한 단면(지주단면의 예를 들어 원통형, 사각통형, 육각통형, 팔각통형, 다각통형 등의 등단면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원통형, 사각통형, 육각통형, 팔각통형, 다각통형 등 양쪽의 단면규격이 다른 변단면으로 구성 가능)으로 구성될 수 있다.Base pocket 10 may be composed of a variety of cross-sections (such as cylindrical, rectangular, hexagonal, octagonal, polygonal, etc.) according to the cross-sectional shap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cast steel, steel pipes and struts. , Cylindrical, square cylinder, hexagonal cylinder, octagonal cylinder, polygonal cylinder, etc., both sides of the cross-sectional specification can be configured with different side cross-section).

베이스 포켓(10) 내부에 콘크리트가 채워지는 경우 콘코리트의 타설 위치를 설정할 수 있도록 즉, 콘크리트가 상부로 올라오지 못하도록 콘크리트 마감판(30)이 적용된다.When the concrete is filled in the base pocket 10, the concrete finishing plate 30 is applied to set the placing position of the concrete, that is, concrete does not rise to the top.

콘크리트 마감판(30)은 베이스 포켓(10)의 내부에 삽입되어 베이스 포켓(10) 내부를 막는 판상이다. The concrete finishing plate 30 is inserted into the base pocket 10 to block the inside of the base pocket 10.

즉, 베이스 포켓(10)은 콘크리트 마감판(30)을 중심으로 하여 저부에는 콘크리트가 채워지게 되어 콘크리트 기초부(20)와 일체로 합성되고, 상부에는 지주(1)가 삽입되며, 콘크리트 마감판(30)은 지주(1)를 저부에서 받쳐 지지하는 기능도 겸할 수 있다.That is, the base pocket 10 is the bottom is filled with concrete centered on the concrete finishing plate 30 is synthesized integrally with the concrete foundation 20, the top (1) is inserted into the top, the concrete finishing plate 30 can also serve as a function of supporting the support post 1 at the bottom.

베이스 포켓(10)과 지주(1)의 조립 및 설치 구조상 베이스 포켓(10) 내부에는 소량의 콘크리트만 타설되어도 설치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도 2에서처럼 콘크리트 마감판(30)은 베이스 포켓(10)의 저부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Due to the assembly and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base pocket 10 and the strut 1, the installation strength can be increased even if only a small amount of concrete is placed inside the base pocket 10, so that the concrete finishing plate 30 is the base pocket 10 as shown in FIG. It is also possible to be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콘크리트 마감판(30)은 배수구, 전력선, 통신선 등의 배선을 위하여 중앙에 구멍이 있는 링 형태의 판상이다.Concrete finishing plate 30 is a plate-shaped plate with a hole in the center for wiring such as drains, power lines, communication lines.

콘크리트 마감판(30)은 결로수의 배수를 감안하여 둘레부로 가면서 하향 경사진 구조가 바람직하고, 둘레부에 배수구(40)가 연결된다.Concrete finishing plate 30 is preferably inclined downward while going to the circumference in consideration of the drainage of the condensation water, the drain hole 40 is connected to the circumference.

도 2 내지 도 4에서 보이는 것처럼, 배수구(40)는 콘크리트 마감판(30)의 바닥부와 유체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어 콘크리트 마감판(30)에 집수된 결로수 및 침투수를 외부로 배수하는 관형일 수 있다.As shown in Figures 2 to 4, the drain 40 is connected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bottom of the concrete finishing plate 30 tubular for draining condensate and infiltration water collected in the concrete finishing plate 30 to the outside Can be.

물론, 배수구(40)는 관형으로 한정되지 아니하며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든 것을 포함한다.Of course, the drain 40 is not limited to tubular and includes everything that performs the same function.

콘크리트 마감판(30)과 배수구(40)는 유체 연통이 가능하도록 그 설치 위치가 동일할 것이며, 따라서, 콘크리트 마감판(30)과 배수구(40)는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The concrete finishing plate 30 and the drain hole 40 will be the same installation position to enable fluid communication, and therefore, the concrete finishing plate 30 and the drain hole 40 may be integrally configured.

한편, 지주(1)가 회전하지 않도록 하면서 지주(1) 저부세서 축력, 비틀림, 전단력, 휨모멘트 등의 응력에 저항하고, 지주(1)를 정위치에 조립하기 위한 조립 가이드받침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콘크리트 마감판(30)의 상부에는 산형 또는 반원형으로 이루어진 1개 이상의 조립 가이드돌기(31)가 형성된다. 조립 가이드돌기(31)는 지주(1)의 저부에 형성된 가이드홈(1b)에 끼워짐으로써 지주(1)를 정위치에 조립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while preventing the support (1) from rotating, the support guide means for resisting stresses such as axial force, torsion, shear force, bending moment, etc., and assembling the support (1) in place can be formed. Can be. As shown in FIG. 3, at least one assembly guide protrusion 31 formed of a mountain or semi-circle is formed on the concrete finishing plate 30. The assembly guide protrusion 31 is fitted into the guide groove 1b formed at the bottom of the support 1 so as to assemble the support 1 in place.

조립 가이드받침수단은 콘크리트 마감판(30)의 바닥부에 일체로 형성되지 않고 별개로 구성되어 베이스 포켓(10)의 내주면에 용접 등으로 고정될 수 있다.The assembly guide support means is not formed integrally with the bottom portion of the concrete finishing plate 30 may be configured separately may be fixed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ase pocket 10 by welding or the like.

상기 조립 가이드받침수단을 이용하여 지주(1)를 베이스 포켓(10)에 삽입할 때, 외부에서 가이드홈(1b)과 베이스 포켓(10)측의 가이드돌기(31)의 확인이 어려우므로 지주(1)의 외주면과 베이스 포켓(10)의 내,외주면에는 가이드홈(1b)과 가이드돌기(31)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표시선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inserting the support post 1 into the base pocket 10 using the assembly guide support means, it is difficult to check the guide groove 1b and the guide protrusion 31 on the side of the base pocket 10 from the outside.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1) and the inner an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base pocket 10, a display line for confirming the position of the guide groove 1b and the guide protrusion 31 is preferably formed.

이와 같은 상기 조립 가이드받침수단은 지주(1)와 베이스 포켓(10)이 원형 단면인 경우 더 효과적일 것이며, 왜냐하면, 가이드돌기(31)가 지주(1)의 가이드홈(1b)에 끼워져 지주(1)가 바람 등에 의해 회전하지 않도록 할 수 있기 때문이다.
Such assembling guide support means will be more effective if the support (1) and the base pocket 10 is a circular cross-section, because the guide projection 31 is fitted into the guide groove (1b) of the support (1) This is because 1) can be prevented from rotating by wind or the like.

한편, 도 5에서 보이는 것처럼, 지주(1)와 베이스 포켓(10)의 조립시 지주(1)와 베이스 포켓(10) 간의 직경에 미소한 차이가 있더라도 지주(1)가 베이스 포켓(10)의 중심에 배치되도록 가이드돌기(31)는 베이스 포켓(10)을 향해 하향 경사진 유도부(31a)가 형성될 수 있다. 유도부(31a)에 따르면, 지주(1)를 베이스 포켓(10)에 삽입할 때 지주(1)의 하단부가 유도부(31a)의 경사를 따라 하강하게 되어 지주(1)가 베이스 포켓(10)에 편심되지 않게 되며, 지주(1) 저부에서 발생하는 축력, 비틀림, 전단력, 휨모멘트 등 응력에 저항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5, even when there is a slight difference in the diameter between the support (1) and the base pocket 10 when assembling the support (1) and the base pocket 10, the support (1) of the base pocket (10) The guide protrusion 31 may be formed to have a guide part 31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base pocket 10 so as to be disposed at the center thereof. According to the induction part 31a, when inserting the support post 1 into the base pocket 10,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post 1 descends along the inclination of the guide section 31a so that the support post 1 extends to the base pocket 10. It is not eccentric and can resist stress such as axial force, torsion, shear force, and bending moment occurring at the bottom of the support 1.

유도부(31a)와 대응하는 지주(1)에는 유도부(31a)와 동일한 목적으로 하향 경사진 단면부가 형성될 수 있다.The post 1 corresponding to the induction part 31a may be formed with a cross section inclined downward for the same purpose as the induction part 31a.

실시예 1에서는 베이스 포켓(10)과 콘크리트 기초부(20)를 견고하게 합성하고 외력에 의한 베이스 포켓(10)의 변형과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단 연결재가 적용된다. 상기 전단 연결재는 스터드형, 볼트형, 철근형, 돌기형, 개구형 등이 사용 가능하다. In Embodiment 1, the shear connector is applied to firmly synthesize the base pocket 10 and the concrete foundation 20 and to prevent deformation and detachment of the base pocket 10 by external force. The shear connector may be stud type, bolt type, rebar type, protrusion type, opening type and the like.

베이스 포켓(10)의 외부에는 스터드(11)가 결합 형성[베이스 포켓(10)과 일체화 또는 용접 등의 방법으로]된다. 스터드(11)는 콘크리트 기초부(20)에 매설됨으로써 베이스 포켓(10)과 콘크리트 기초부(20)를 일체로 합성하며, 콘크리트 기초부(20)에 배근된 수직 철근이나 띠철근에 고정됨으로써 합성 효과를 배가할 수도 있다.On the outside of the base pocket 10, a stud 11 is formed to be engaged (by a method such as being integrated with or welded to the base pocket 10). The stud 11 is embedded in the concrete foundation 20 to synthesize the base pocket 10 and the concrete foundation 20 integrally, and is fixed by the vertical reinforcement or band reinforcing bar reinforced to the concrete foundation 20 You can also double the effect.

돌기형 전단 연결재는, 베이스 포켓(1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전단 연결링(12)이다. The protruding shear connector is a shear connection ring 12 that is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se pocket 10.

스터드(11)와 전단 연결링(12)은 일단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stud 11 and the shear connection ring 12 may be formed more than once.

도면에서 스터드(11)와 전단 연결링(12)이 함께 적용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어느 하나만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Although the stud 11 and the shear connection ring 12 are shown applied together in the figure, only one of them can be selected and used.

이하, 본 실시예에 의한 지주(1)와 베이스 포켓(10)의 조립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assembly structure of the support | pillar 1 and the base pocket 10 by this embodiment is demonstrated.

지주(1)와 베이스 포켓(10)은 볼트와 너트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체결구를 통해 조립된다. 단, 지주(1)와 베이스 포켓(10)의 크기에 따라 볼트와 너트의 설치 위치 및 방향이 달라지며 구체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대단면과 소단면은 너트를 지주(1)의 내주면에 고정할 수 있는 가를 기준으로 하는 것이며, 대단면은 너트를 지주(1)의 내주면에 고정할 수 있는 크기, 소단면은 공간이 협소하여 작업자에 의해 지주(1)의 내주면에 너트를 고정할 수 없는 크기를 말한다.
The strut 1 and the base pocket 10 are assembled through fasteners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bolts and nuts. However, the installation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bolts and nuts vary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support (1) and the base pocket (10) and the specific configuration is as follows. Large cross section and small cross section are based on whether the nut can be fix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1), large cross section is the size that can fix the nut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1), small cross section is small space It means the size which can not fix a nut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upport | pillar 1 by an operator.

1. 대단면의 경우.1. For large sections.

도 2에서 보는 것처럼 지주(1)의 안에 너트(51)를 용접 고정하고, 볼트(50)를 베이스 포켓(10)의 외부에서 횡방향으로 너트(51)에 체결함으로써 지주(1)와 베이스 포켓(10)을 조립한다. 볼트(50)와 너트(51)는 베이스 포켓(10)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적용된다. 베이스 포켓(10)과 지주(1)에는 볼트(50)가 관통되는 구멍이 형성된다.As shown in FIG. 2, the support 51 and the base pocket are welded and fixed in the support 1, and the bolt 50 is fastened to the nut 51 in the transverse direction from the outside of the base pocket 10. Assemble (10). A plurality of bolts 50 and nuts 51 are applied to the base pocket 10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base pocket 10 and the support 1 are formed with holes through which the bolt 50 penetrates.

베이스 포켓(10)은 콘크리트 기초부(20)에 미리 매설된 상태에서 지주(1)가 베이스 포켓(10)에 삽입된 후 볼트(50)가 체결될 것이며, 볼트(50)가 콘크리트 기초부(20)의 안에 배치되는 경우 볼트(50)의 체결을 위한 공간을 확보하여야 하고, 이를 위하여 볼트수용 포켓(52)이 적용된다. 볼트수용 포켓(52)은 콘크리트 기초부(20)의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가 유입되지 않도록 공간을 형성하는 형태이면서 볼트(50)의 체결이 가능하도록 상부가 개방된 형태이고, 일측이 베이스 포켓(10)에 용접 등으로 고정될 수 있다. 즉, 볼트수용 포켓(52)은 수평부와 수직부를 갖는 판상으로서 상기 수평부의 단부가 베이스 포켓(10)에 용접 등으로 고정됨으로써 베이스 포켓(10)의 둘레부에 공간[베이스 포켓(10), 수평부 및 수직부에 의해 상부를 향해 개방된 공간]을 형성하고, 공간에 콘크리트가 침투하지 못하도록 스폰지 등의 채움재가 채워질 수 있다.The base pocket 10 is pre-embedded in the concrete foundation 20, the bolt (50) will be fastened after the support (1) is inserted into the base pocket 10, the bolt 50 is the concrete foundation ( When disposed in the 20) to secure a space for the fastening of the bolt 50, the bolt receiving pocket 52 is applied for this purpose. The bolt receiving pocket 52 has a shape in which a space is formed so that concrete does not flow when concrete is poured in the concrete foundation 20, and an upper portion thereof is opened to allow the bolt 50 to be fastened, and one side of the base pocket 10 is formed. ) May be fixed by welding or the like. That is, the bolt receiving pocket 52 is a plate having a horizontal portion and a vertical portion, and an end portion of the horizontal portion is fixed to the base pocket 10 by welding or the like so that a space (base pocket 10, A space opened upward by the horizontal portion and the vertical portion, and a filler such as a sponge may be filled to prevent concrete from penetrating the space.

볼트수용 포켓(52)은 베이스 포켓(10)의 둘레부에 전체적으로 형성되는 링 형태가 바람직하고, 또는 볼트(50)가 체결되는 부분에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The bolt receiving pocket 52 is preferably in the form of a ring that is formed as a whole on the periphery of the base pocket 10, or may be formed only at a portion to which the bolt 50 is fastened.

베이스 포켓(10) 및 볼트수용 포켓(52)의 공간에 물이 침투하는 경우 배수를 위하여 예컨대 관형의 배수구(40, 53)가 적용될 수 있다. When water penetrates into the space of the base pocket 10 and the bolt receiving pocket 52, tubular drainage openings 40 and 53 can be applied for drainage, for example.

2. 소단면의 경우2. In case of small cross section

지주(1) 안에 너트(51)를 고정할 수 없는 경우에 도 6과 도 7에서처럼, 지주(1)의 둘레부와 베이스 포켓(10)의 상단부에 각각 플랜지(1c,13)를 형성하고 플랜지(1c,13)에 볼트(50)를 종방향으로 체결하여 지주(1)와 베이스 포켓(10)을 조립한다.If the nut 51 cannot be fixed in the support 1, as shown in FIGS. 6 and 7, flanges 1c and 13 are formed at the periphery of the support 1 and the upper end of the base pocket 10, respectively. The strut 1 and the base pocket 10 are assembled by fastening the bolt 50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1c, 13).

볼트수용 포켓(52)은 동일하게 적용된다.
The bolt receiving pocket 52 is equally applied.

본 발명은 지주(1)와 베이스 포켓(10)의 연결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커버(60)가 적용된다. 커버(60)는 대단면과 소단면 모두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ver 60 is applied so that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support 1 and the base pocket 10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Cover 60 is the same as both large and small cross-sec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커버(60)는 베이스 포켓(10)과 베이스 포켓(10)에 삽입된 지주(1)를 감싸는 모든 형태가 가능하고, 또한, 볼트수용 포켓(52)의 상부를 덮어 밀폐하는 형태가 가능하며, 저부가 콘크리트 기초부(20)의 상면에 닿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는 지중 침투수가 볼트수용 포켓(52)과 베이스 포켓(10)의 내부 및 콘크리트 기초부(20) 등에 침투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cover 60 may be any shape surrounding the base pocket 10 and the strut 1 inserted into the base pocket 10, and also may cover the top of the bolt receiving pocket 52 to be sealed. The bottom portion is preferably installed so as to contact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foundation 20, so that the underground infiltration water does not penetrate the interior of the bolt receiving pocket 52 and the base pocket 10 and the concrete foundation 20, etc. .

커버(60)는 침투수 유입을 방지하도록 볼트수용 포켓(52) 상부를 덮는 부분은 둘레부로 가면서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콘크리트 기초 상면은 커버(60)에서 흐르는 물이 볼트수용 포켓(52)으로 흘러들어가지 않도록 주주(1) 외주면에서 먼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ver 60 is preferably formed such that the portion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bolt receiving pocket 52 to be inclined downward while going to the circumference, and the water flowing from the cover 60 is the bolt receiving pocket ( 52, it is preferable to be inclined in a direction far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ockholder (1).

커버(60)는 단일 구조도 가능하지만, 조립성을 감안할 때 2개 이상으로 분할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2개 이상으로 분할된 커버부재는 체결구 등을 통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The cover 60 may be a single structure, but in view of assemblability, it is preferable that the cover 60 is divided into two or more. The cover member divided into two or more is detachably coupled through a fastener or the like.

<실시예 2><Example 2>

도 8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도로 및 전기통신 시설물을 포함하는 지주시설물의 지주 매립형 기초 조립체는, 지주(1)와 베이스 포켓(10)이 용접으로 조립된다.As shown in Fig. 8, in the strut embedded foundation assembly of the strut facility including the road and telecommunication facilitie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strut 1 and the base pocket 10 are assembled by welding.

그 이외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Since the other configuration is appli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first embodiment,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실시예 3><Example 3>

도 9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도로 및 전기통신 시설물을 포함하는 지주시설물의 지주 매립형 기초 조립체는, 합성형으로서 실시예 1,2는 지주(1)의 외경과 베이스 포켓(10)의 내경이 동일한 크기[베이스 포켓(10)을 지주(1)의 크기에 맞도록 주강 등으로 제작하는 경우]로 이루어져 지주(1)와 베이스 포켓(10)이 직접 조립되는 것이며, 본 실시예는 베이스 포켓(10)의 내부와 지주(1)의 외부 사이에 개재되어 지주(1)와 베이스 포켓(10)을 밀착 지지하는 스페이서(70)가 포함된다. As shown in Fig. 9, the landfill base assembly of the support facilities including the road and telecommunication facilitie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composite type, and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are the outer diameter and the base pocket 10 of the support 1. Inner diameter of the same (when the base pocket 10 is made of cast steel, etc. to fit the size of the support 1) consists of the support (1) and the base pocket 10 is directly assembled, this embodiment is A spacer 70 is interposed between the inside of the base pocket 10 and the outside of the support 1 to closely support the support 1 and the base pocket 10.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각각 기성품인 지주(1)와 베이스 포켓(10)의 사용시 베이스 포켓(10)이 지주(1)용으로 제작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지주(1)와 베이스 포켓(10)간에 틈이 생기며, 스페이서(70)는 지주(1)와 베이스 포켓(10) 사이의 틈을 채우면서 지주(1)와 베이스 포켓(10)에 밀착되어 이들을 견고하게 고정한다. 즉, 각각 기성품인 지주(1)와 베이스 포켓(10)의 사이에 개재될 수 있는 두께의 스페이서(70)만 제작함으로써 기성품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More specifically, since the base pocket 10 is not made for the support 1 when the ready-made prop 1 and the base pocket 10 are used, respectively, between the support 1 and the base pocket 10, respectively. A gap is formed, and the spacer 70 is tightly fixed to the support 1 and the base pocket 10 while filling the gap between the support 1 and the base pocket 10. That is, the ready-made product can be used by manufacturing only the spacer 70 of the thickness which can be interposed between the ready-made support | pillar 1 and the base pocket 10, respectively.

도 9 내지 도 12에서 보이는 것처럼, 예컨대 스페이서(70)는, 상하부 링(71,72) 및 상하부 링(71,72)을 연결하는 다수의 지지대(73)로 구성된 원통형이며, 지주(1)와 베이스 포켓(10)의 사이에 개재되어 이들(1,10) 사이의 공간을 채움한다.As shown in FIGS. 9 to 12, for example, the spacer 70 is cylindrical, composed of a plurality of supports 73 connecting upper and lower rings 71 and 72 and upper and lower rings 71 and 72, and a support 1 and a support 1. Interposed between the base pockets 10 to fill the space between them (1, 10).

스페이서(70)는 베이스 포켓(10)[또는 지주(1)]에 고정하기 전에 가조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부 링(71)에 베이스 포켓(10)의 상단부에 지지되는 지지턱(74)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턱(74)은 베이스 포켓(10)의 둘레부에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또는 2개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The spacer 70 is formed with a supporting jaw 74 supported on the upper end of the base pocket 10 in the upper ring 71 so that the spacer 70 can be temporarily assembled before being fixed to the base pocket 10 (or the strut 1). Can be. Support jaw 74 may be formed on the periphery of the base pocket 10 as a whole or two or more may be formed.

스페이서(70)의 조립은 지주(1)와 베이스 포켓(10)의 조립 구조에 따라 달라진다.The assembly of the spacer 70 depends on the assembly structure of the strut 1 and the base pocket 10.

도 9와 도 12는 대단면의 지주(1)와 베이스 포켓(10)의 조립시 도면으로, 스페이서(70)는 지주(1)와 베이스 포켓(10)을 조립하는 볼트(50)와 너트(51)에 의해 조립된다. 따라서, 상부 링(71)[또는 상하부 링(71,72)]에는 볼트(50)가 관통되는 볼트홀(71a)이 형성된다. 스페이서(70)는 지주(1) 혹은 베이스 포켓(10)에 미리 용접[예를 들어 상부링(70) 혹은 하부링(71)을 지주(1) 혹은 베이스 포켓(10)에 용접]할 수도 있고, 지주(1), 스페이서(70) 및 베이스포켓(10) 등을 밀착되게 하여 조립할 수도 있다.9 and 12 are views when assembling the large-sized posts 1 and the base pocket 10, and the spacer 70 is a bolt 50 and a nut (assembly) for assembling the posts 1 and the base pocket 10. 51). Therefore, a bolt hole 71a through which the bolt 50 penetrates is formed in the upper ring 71 (or upper and lower rings 71 and 72). The spacer 70 may be welded in advance to the support 1 or the base pocket 10 (for example, the upper ring 70 or the lower ring 71 may be welded to the support 1 or the base pocket 10). , The supporter 1, the spacer 70, the base pocket 10, and the like may be assembled in close contact.

도 13과 도 14는 소단면의 지주(1)와 베이스 포켓(10)의 조립시 도면으로, 지주(1) 둘레부에 플랜지(1c)를 형성하고, 스페이서(70)의 상부 링(71)에는 너트홀(75a)(너트의 조립에 의해 구성될 수 있음)을 갖는 플랜지(75)가 형성되어 지주(1)의 플랜지(1c) 저부에 개재되면서 체결구로 고정된다. 스페이서(70)는 베이스 포켓(10)에 미리 용접[예를 들어 상부링(70) 혹은 하부링(71)을 베이스 포켓(10)에 용접]된다.FIG. 13 and FIG. 14 are views of assembling the post 1 of the small cross section and the base pocket 10. The flange 1c is formed around the support 1, and the upper ring 71 of the spacer 70 is formed. A flange 75 having a nut hole 75a (which can be configured by assembling the nut) is formed therein and is fixed with a fastener while being interposed at the bottom of the flange 1c of the support 1. The spacer 70 is welded to the base pocket 10 in advance (eg, the upper ring 70 or the lower ring 71 to the base pocket 10).

스페이서(70)는 지주(1)와 베이스 포켓(10) 사이의 틈을 채우는 목적 달성을 위하여 탄성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상하부 링(71,72)은 탄성재질로 이루어지거나 탄성패드가 부착된 형태도 가능하다.Spacer 70 preferably has an elastic force to achieve the purpose of filling the gap between the support (1) and the base pocket 10, the upper and lower rings (71, 72)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or the elastic pad is attached Forms are also possible.

지주(1)와 베이스 포켓(10) 사이의 틈을 채우는 방법으로는 전술한 스페이서(70)의 기구 구조물만 가능한 것은 아니며 에폭시, 무수축몰탈 등의 충진재도 가능하다. 물론, 에폭시와 무수축몰탈의 주입시 에폭시와 무수축몰탈이 손실되지 않도록 마감 처리가 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는 조립 가이드받침수단이 이 기능을 겸할 수 있다.Filling the gap between the support (1) and the base pocket 10 is not only possible to the mechanism structure of the spacer 70 described above, but also a filler such as epoxy, non-shrink mortar. Of course, when the epoxy and the non-shrink mortar is injected, the finish should be treated so that the epoxy and the non-shrink mortar is lost,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ssembly guide support means may serve as this function.

<실시예 4><Example 4>

도 15에서 보이는 것처럼, 본 실시예에 의한 도로 및 전기통신 시설물을 포함하는 지주시설물의 지주 매립형 기초 조립체는, 지주(1)와 베이스 포켓(10) 및 콘크리트 기초부(20)의 견고한 합성과 강성 보강을 위하여 지주(1)의 내부에 철근콘크리트 보강부(80)가 형성된다.As shown in FIG. 15, the strut embedded foundation assembly of the strut facility including the road and the telecommunication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rigid composition and rigidity of the strut 1, the base pocket 10, and the concrete foundation 20. Reinforced concrete reinforcement 80 is formed inside the support (1) for reinforcement.

철근 콘크리트 보강부(80)는 철근과 콘크리트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지주(1)의 내부에 일정 높이로 형성되며 저부가 베이스 포켓(10)을 통해 콘크리트 기초부(20)와 일체로 합성됨으로써 지주(1)를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다.Reinforced concrete reinforcement portion 80 is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reinforcement and concrete is formed to a certain height in the interior of the support (1) and the bottom portion is synthesized integrally with the concrete foundation 20 through the base pocket 10 (1) ) Can be installed firmly.

콘크리트 보강부(80)는 전술한 실시예 1, 2, 3 모두에 적용 가능하다.
Concrete reinforcement 80 is applicable to all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1, 2, 3.

1 : 지주, 1a : 내측 보강링
1b : 가이드홈,
10 : 베이스 포켓,
20 : 콘크리트 기초부,
30 : 콘크리트 마감판, 31 : 가이드돌기
40, 53 : 배수구,
50 : 볼트, 51 : 너트
60 : 커버, 70 : 스페이서
80 : 철근 콘크리트 보강부,
1: Shoring, 1a: Inner Reinforcing Ring
1b: guide groove,
10: base pocket,
20: concrete foundation,
30: concrete finishing plate, 31: guide protrusion
40, 53: drain,
50: bolt, 51: nut
60: cover, 70: spacer
80: reinforced concrete reinforcement,

Claims (13)

지중의 콘크리트 기초부(20)에 매설되며, 도로 및 지중에 세워지는 지주(1)가 삽입되면서 체결구 또는 용접으로 고정되는 관형의 베이스 포켓(10)과;
상기 베이스 포켓의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베이스 포켓 내부에 채워지는 상기 콘크리트 기초부의 콘크리트의 타설 위치를 설정하는 콘크리트 마감판(30)과;
상기 베이스 포켓의 상면과 상기 베이스 포켓에 삽입된 지주를 감싸 고정하며 저부가 콘크리트 기초 상면에 닿고 흙과 침투수 및 이물질의 유입을 막아주는 커버(60)와;
상기 베이스 포켓과 지주의 조립을 안내하는 조립 가이드받침수단과;
상기 베이스 포켓에 형성되는 전단 연결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및 전기통신 시설물을 포함하는 지주시설물의 지주 매립형 기초 조립체.
Buried in the concrete foundation 20 of the underground, the base and the tubular base pocket 10 is fixed by the fastener or welding while the post (1) erected on the road and underground;
A concrete finishing plate (30) mounted inside the base pocket and setting a placing position of the concrete of the concrete foundation portion filled in the base pocket;
A cover 60 which wraps and secures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ocket and the props inserted into the base pocket, and a bottom portion of which touches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foundation and prevents inflow of soil, water and foreign matter;
Assembly guide support means for guiding the assembly of the base pocket and the support;
A landfill foundation assembly of a strut facility comprising a roadway and telecommunications facility comprising a shear connector formed in the base pocke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주와 상기 베이스 포켓은 다수의 볼트와 너트의 체결에 의해 조립되며, 상기 너트는 상기 지주의 내주면에 고정되는 한편 상기 볼트는 상기 베이스 포켓과 지주를 관통하면서 상기 너트에 횡방향으로 체결되어 상기 지주와 베이스 포켓이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및 전기통신 시설물을 포함하는 지주시설물의 지주 매립형 기초 조립체.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upport and the base pocket is assembled by fastening a plurality of bolts and nuts, the nut is fixed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upport while the bolt is transverse to the nut while passing through the base pocket and the support The landfill foundation assembly of a support facility including road and telecommunication facilities, characterized in that the fastening is coupled in the direction and the support and the base pocke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주와 상기 베이스 포켓은 다수의 볼트와 너트의 체결에 의해 조립되며, 상기 지주의 둘레부와 상기 베이스 포켓에는 외향의 플랜지가 각각 형성되는 한편 상기 볼트는 상기 플랜지들을 종방향으로 관통하여 체결되어 상기 지주와 베이스 포켓이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및 전기통신 시설물을 포함하는 지주시설물의 지주 매립형 기초 조립체.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upport and the base pocket is assembled by fastening a plurality of bolts and nuts, the outboard flange is formed on the periphery of the support and the base pocket, respectively, while the bolt is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landfill base assembly of a support facility including a road and a telecommunication facility, characterized in that the fastening penetrates into the support and the base pocket is assembled.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포켓의 둘레부에 고정되며 상기 볼트를 체결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볼트수용 포켓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및 전기통신 시설물을 포함하는 지주시설물의 지주 매립형 기초 조립체.4. The landfill foundation of a landscaping facility including a road and telecommunications facility according to claim 2 or 3, comprising a bolt receiving pocket fixed to a periphery of said base pocket and providing a space for fastening said bolts. Assembly.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포켓의 내부와 상기 지주의 외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지주와 베이스 포켓을 밀착 지지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및 전기통신 시설물을 포함하는 지주시설물의 지주 매립형 기초 조립체.The road and telecommunication facility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comprising a spacer interposed between the inside of the base pocket and the outside of the support to support the support and the base pocket in close contact. A landfill foundation assembly of a support facility.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70)는, 상하부 링(71,72), 상기 상하부 링의 사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세워지는 다수의 지지대(73)로 구성되며, 상기 지주와 상기 베이스 포켓의 사이에 개재되어 밀착, 용접 또는 체결구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및 전기통신 시설물을 포함하는 지주시설물의 지주 매립형 기초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pacer 70, the upper and lower rings (71, 72), the upper and lower rings are composed of a plurality of supports (73) set up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support and the A landfill foundation assembly of a support facility including a road and a telecommunication facility, which is interposed between the base pockets and assembled by close contact, welding, or fastener.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지주와 상기 베이스 포켓의 사이에 충진 경화되는 충진재 또는 충진용 탄성 고무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및 전기통신 시설물을 포함하는 지주시설물의 지주 매립형 기초 조립체.The landfill foundation assembly of claim 5, wherein the spacer is a filling material or an elastic rubber material for filling and curing between the support and the base pocke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립 가이드받침수단은, 상기 베이스 포켓의 내주면에 내경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돌기이며,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지주에 형성된 가이드홈(1b)에 끼워지면서 상기 지주와 상기 베이스 포켓의 조립을 안내 및 상기 지주(1) 저부에서 축력, 비틀림, 전단력, 휨모멘트의 응력에 저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및 전기통신 시설물을 포함하는 지주시설물의 지주 매립형 기초 조립체.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assembly guide support means, one or more guide protrusions protruding toward the inner diameter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ase pocket, the guide protrusion is fitted to the guide groove (1b) formed in the support and the support and the A landfill-type foundation assembly of a strut facility comprising road and telecommunication facilities, which guides the assembly of the base pocket and resists axial, torsional, shear, and bending moment stresses at the bottom of the strut (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베이스 포켓(10) 저부에서 용접연결 또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및 전기통신 시설물을 포함하는 지주시설물의 지주 매립형 기초 조립체.10. The landfill foundation assembly of claim 8, wherein the guide protrusion is welded or integrally formed at the bottom of the base pocket (10). 청구항 8 또는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지주를 센터에 유지하고 지주(1) 내주면에서 응력 및 수평응력에 저항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 포켓의 내주면을 향해 하향 경사지는 유도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및 전기통신 시설물을 포함하는 지주시설물의 지주 매립형 기초 조립체.10. The guide protrusion according to claim 8 or 9,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projection includes a guide portion which inclines downward towar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se pocket in order to keep the strut in the center and to resist stress and horizontal stress a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rut (1). A landfill foundation assembly of a support facility comprising a road and a telecommunications facilit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주의 하단부 내측에 결합되어 상기 지주를 보강하는 링 형상의 내측 보강링(1a)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및 전기통신 시설물을 포함하는 지주시설물의 지주 매립형 기초 조립체.The landfill foundation assembly of a support facility according to claim 1, comprising a ring-shaped inner reinforcement ring (1a)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to reinforce the support. 청구항 4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콘크리트 마감판 또는 볼트수용 포켓에 연결되면서 타측이 지중에 대응하여 상기 콘크리트 마감판 또는 볼트수용 포켓에 집수되는 물을 배수하는 배수구(40,53)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및 전기통신 시설물을 포함하는 지주시설물의 지주 매립형 기초 조립체.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concrete finishing plate or bolt receiving pocket while the other side includes drains 40, 53 for draining the water collected in the concrete finishing plate or bolt receiving pocket corresponding to the ground A landfill foundation assembly of a strut facility comprising a road and a telecommunications facilit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주의 내부에 일정 높이로 형성되는 철근 콘크리트 보강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및 전기통신 시설물을 포함하는 지주시설물의 지주 매립형 기초 조립체.The landfill foundation assembly of a support facilit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reinforced concrete reinforcement part including a predetermined height is included in the support.
KR1020130054046A 2013-05-13 2013-05-13 Bburied support foundation of support facility including road and tele-communication facility KR10129589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4046A KR101295890B1 (en) 2013-05-13 2013-05-13 Bburied support foundation of support facility including road and tele-communication facil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4046A KR101295890B1 (en) 2013-05-13 2013-05-13 Bburied support foundation of support facility including road and tele-communication facilit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5890B1 true KR101295890B1 (en) 2013-08-13

Family

ID=49220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4046A KR101295890B1 (en) 2013-05-13 2013-05-13 Bburied support foundation of support facility including road and tele-communication facilit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5890B1 (en)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6216B1 (en) * 2015-08-06 2016-07-04 주식회사 웰콘 Foundation structure for pillar
KR20170035329A (en) * 2016-09-20 2017-03-30 주식회사 창우 Linking structure for pole
KR101818405B1 (en) 2017-09-11 2018-01-15 수풍산업 주식회사 Assembly equipment for handrails
CN107859411A (en) * 2017-10-26 2018-03-30 广州电力设计院 Steel pipe pole rainwater, condensate collection row's structure and high-voltage power transmission tower
KR200490789Y1 (en) * 2018-10-22 2020-01-03 성부섭 Easy-installing and easy-disjointing rail support apparatus using single support stand
KR102250305B1 (en) * 2020-03-12 2021-05-07 윤재규 A supporting pole system for the installation of road facilities
KR102416619B1 (en) * 2021-08-04 2022-07-05 오재석 Street lamp holder
KR20220160180A (en) * 2021-05-27 2022-12-06 (주)세림철탑산업 Base assembly for supporting steel pillars for telecommunication facilities
KR20230026021A (en) 2021-08-17 2023-02-24 주식회사 새로운길 Road facility having self standing type column body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5131B1 (en) 2008-09-19 2009-02-24 대실종합건설 주식회사 A fixing structure of pilla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20100042446A (en) * 2008-10-16 2010-04-26 대실종합건설 주식회사 A fixing structure of pilla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20110137644A (en) * 2010-06-17 2011-12-23 대실테크 주식회사 A fixing structure of pilla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5131B1 (en) 2008-09-19 2009-02-24 대실종합건설 주식회사 A fixing structure of pilla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20100042446A (en) * 2008-10-16 2010-04-26 대실종합건설 주식회사 A fixing structure of pilla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20110137644A (en) * 2010-06-17 2011-12-23 대실테크 주식회사 A fixing structure of pilla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6216B1 (en) * 2015-08-06 2016-07-04 주식회사 웰콘 Foundation structure for pillar
KR20170035329A (en) * 2016-09-20 2017-03-30 주식회사 창우 Linking structure for pole
KR101955684B1 (en) * 2016-09-20 2019-03-08 주식회사 창우 Linking structure for pole
KR101818405B1 (en) 2017-09-11 2018-01-15 수풍산업 주식회사 Assembly equipment for handrails
CN107859411A (en) * 2017-10-26 2018-03-30 广州电力设计院 Steel pipe pole rainwater, condensate collection row's structure and high-voltage power transmission tower
KR200490789Y1 (en) * 2018-10-22 2020-01-03 성부섭 Easy-installing and easy-disjointing rail support apparatus using single support stand
KR102250305B1 (en) * 2020-03-12 2021-05-07 윤재규 A supporting pole system for the installation of road facilities
KR20220160180A (en) * 2021-05-27 2022-12-06 (주)세림철탑산업 Base assembly for supporting steel pillars for telecommunication facilities
KR102570715B1 (en) * 2021-05-27 2023-08-30 (주)세림철탑산업 Base assembly for supporting steel pillars for telecommunication facilities
KR102416619B1 (en) * 2021-08-04 2022-07-05 오재석 Street lamp holder
KR20230026021A (en) 2021-08-17 2023-02-24 주식회사 새로운길 Road facility having self standing type column bod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5890B1 (en) Bburied support foundation of support facility including road and tele-communication facility
KR100588445B1 (en) Method for installation of environment friendly electric utility pole
KR100926173B1 (en) Piping structur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KR101401057B1 (en) Method to build underground structures using the pillars and the stigma and steel beam and slab structures are formed
KR101365236B1 (en) Prefabricated modular foundation for fixing column
CN106451271B (en) A kind of cable passageway portal structure and its installation method
KR100756517B1 (en) Hollow type composite pier
KR100510092B1 (en) A one-piece type arch-shaped structure with the precast concrete pannel and the steel frame under the earth,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it
KR101259860B1 (en) Trench-type Water Conduit and Method for it
KR20110137644A (en) A fixing structure of pilla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095957B1 (en) Structure of bridge shaped road sign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165451B1 (en) Pillar foundation structure of street facility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594785B1 (en) Insert type transportation facilities steel pole fixed structure
KR20120020738A (en) Pillar foundatio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193312B1 (en) Three-segment assembly retaining wall
CN214302989U (en) Build assembled garage parking on ground additional
KR100686939B1 (en) Sleeve for connecting post and footing of traffic safety sign board and footing structure using the same
KR101217437B1 (en) Blocks for constructing structure and block integrating device and a rainwater undercurrent tank constructed for using it
KR200455034Y1 (en) Strut structures for road traffic facilities
KR101772938B1 (en) Precast foundation structure buried support of road facility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is same
KR20090084038A (en) A fabric of pillar and method for executing thereof
KR100920127B1 (en) A support structure object for a road traffic equipment and construction method
KR101029285B1 (en) Connecting Structure Steel Composite Bent and Cast In a Place Concrete Pil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KR20100042446A (en) A fixing structure of pilla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200402523Y1 (en) Sleeve for connecting post and footing of traffic safety sign board and footing structure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