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5367B1 - 떡갈나무추출물을 포함하는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 Google Patents

떡갈나무추출물을 포함하는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5367B1
KR101295367B1 KR1020110006329A KR20110006329A KR101295367B1 KR 101295367 B1 KR101295367 B1 KR 101295367B1 KR 1020110006329 A KR1020110006329 A KR 1020110006329A KR 20110006329 A KR20110006329 A KR 20110006329A KR 101295367 B1 KR101295367 B1 KR 101295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oak
red ginseng
fe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6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4975A (ko
Inventor
양선아
이은주
강공원
정호순
지광환
이은정
이인선
Original Assignee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06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5367B1/ko
Publication of KR201200849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49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5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53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9Fagaceae (Beech family), e.g. oak or chestnu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61K8/9761Cupressaceae [Cypress family], e.g. juniper or cypr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06Antidandruff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icro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염증 효과 및 비듬균에 대한 항균효과를 가지는 화장료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생약 복합추출물, 구체적으로는 떡갈나무, 인진쑥, 홍삼, 형개, 회향 및 측백엽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복합추출물은 인진쑥, 홍삼, 형개, 회향, 측백엽 및 떡갈나무를 각각 70 ~ 90 : 1 ~ 3 : 7 ~ 10 : 1 ~ 5 : 1 ~ 3 : 2 ~ 6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추출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매우 안전할 뿐만 아니라, 알러지성 염증 반응에 대한 항염증 효과 및 비듬생성 억제효과가 있어 화장료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떡갈나무추출물을 포함하는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Quercus dentata}
본 발명은 떡갈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복합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떡갈나무, 인진쑥, 홍삼, 형개, 회향 및 측백엽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항비듬 및 항염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러지(allergy)는 인체에서 아토피성 피부염, 기관지 천식, 알러지성 비염, 알러지성 각막염, 피부 두드러기 등의 형태로 나타나며, 비만세포가 1차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약 70%의 아토피 피부염은 IgE 매개에 의한 비만세포 활성화(mast cell activation)가 원인이 된다. 지금까지는 아토피 피부염과 같은 염증성 피부질환을 치료하기 위해서 주로 항히스타민제, 비타민 연고 또는 부신피질호르몬제가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약물은 효과가 일시적이며, 부작용이 심한 경우도 있다.
한편 최근 들어 천연물을 소재로하여 아토피 피부염과 같은 알러지 증상을 개선하고자 하는 많은 연구들이 발표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4-97026호에는 생솔잎, 느릅나무 유피, 생오가피 등의 각종 천연물을 이용한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 및 치료에 관한 조성물이 알려져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5-9172호에도 숙지황(熟地黃), 산약, 산수유 등의 생약 추출물을 이용한 아토피성 피부질환 환자의 체질개선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5-22586호에는 질경이 추출물을 이용한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제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자들도 인진쑥, 홍삼, 형개, 회향 및 측백엽의 혼합추출물이 히스타민 유리 억제 효과 및 항염증 효과가 탁월함을 확인하여 특허출원한 바 있다. 후속 연구를 통하여 본 발명자들은 떡갈나무 추출물을 상기 추출물과 함께 사용하는 경우에 알러지성 피부염에 대한 항염 효과 및 항균 효과 등이 우수하여 두피 건강의 회복 및 유지 등에 유용함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생약재인 떡갈나무, 인진쑥, 홍삼, 형개, 회향 및 측백엽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안전하면서도, 알러지성 피부염에 대한 항염 효과 및 항 비듬효과가 우수한 화장료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떡갈나무, 인진쑥, 홍삼, 형개, 회향 및 측백엽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며, 상기 생약 복합추출물은 인진쑥, 홍삼, 형개, 회향, 측백엽 및 떡갈나무를 각각 70 ~ 90 : 1 ~ 3 : 7 ~ 10 : 1 ~ 5 : 1 ~ 3 : 2 ~ 6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추출되며, 상기 떡갈나무 추출물은 떡갈나무의 뿌리 추출물이 사용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생약 복합추출물은 정제수,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글리세롤, 프로필렌글리콜 및 1,3-부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용매로 추출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떡갈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생약복합추출물은 조성물 전체중량에 대하여 0.02 ~ 35 중량%의 비율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항염 및 항비듬 활성을 가지는 화장료조성물은 생약재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므로 안전하면서도, 알러지성 피부염에 대한 항염증 효과 및 비듬균에 대한 항균효과가 우수하여 화장료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 떡갈나무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생약복합추출물 및 떡갈나무 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생약복합추출물의 베타-헥소사미니데이즈(β-hexosaminidase) 방출 억제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 떡갈나무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생약복합추출물 및 떡갈나무 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생약복합추출물의 사이토카인 활성 억제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떡갈나무(Quercus dentata)와 특정비율로 혼합된 인진쑥, 홍삼, 형개, 회향 및 측백엽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 및 항비듬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떡갈나무 추출물과 특정비율로 혼합된 인진쑥, 홍삼, 형개, 회향 및 측백엽의 추출물은 상승효과를 발휘하여 알러지성 염증질환 및 비듬을 완화한다.
본 발명 조성물에 있어서 유효 성분으로서 첨가되는 이들 생약의 복합추출물은 이들 식물의 뿌리, 잎, 줄기, 열매 또는 이들의 혼합체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떡갈나무(Quercus dentata)는 표고 800m 이하의 해변가의 야산이나 섬에 주로 분포하는 참나무과의 낙엽활엽교목이다. 목질이 단단하므로 용재와 신탄재로 사용하고, 나무껍질은 타닌 함량이 많으므로 타닌 원료로 사용된다. 떡갈나무의 줄기추출물은 미백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떡갈나무추출물은 뿌리, 줄기 또는 잎 추출물이며, 바람직하게는 뿌리 추출물이다.
인진쑥(Artemisia capillaries Thunb)은 주요 성분으로 β-피넨(β-pinene), 캐필라린(capillarin), 캐필론(capillone), 캐필린(capilline), 엽산(folic acid) 등을 포함하며, 생명력이 강한 야생초로 항염증작용, 항균작용(Biosci. Biotechnol. Biochem. 1998 Feb;62(2)363-5), 혈관확장작용, 항산화효과(Arch. Pharm. Res. 2000 Jun;23(3):237-9)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홍삼은 수삼을 증숙한 것으로서 홍삼의 주요 성분인 사포닌은 식물의 뿌리, 줄기, 잎, 껍질, 씨 등에 흔히 함유되어 있는 물질로 의약품 및 건강식품등에 널리 활용되고 있다. 홍삼의 주성분인 사포닌은 화학적으로 배당체라 부르는 화합물의 일종으로서 사포닌이란 흔들면 비누처럼 거품을 낸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며 사포닌 함유 식물은 예로부터 세정, 거담, 진해를 목적으로 의약품에 활용되었으며 최근에는 소염, 해열, 건위, 배농, 항종양, 이뇨, 강장, 강정 등에 널리 활용되고 있다. 사포닌은 당부분(sugar 또는 glycone), 비당부분(non-sugar 또는 aglycone)으로 구성되어있는 배당체로서 홍삼 사포닌은 트리테르페노이드(triterpenoid)계의 담마란(dammarane)계의 사포닌으로 인삼속 식물에만 존재한다. 홍삼은 증숙 등 제조과정 중 비효소적 갈색화 반응이 촉진되어 많은 갈색화 반응 생성물이 형성되고 그 중 말톨(maltol) 등과 같은 항산화 성분도 다량 생성되어 암세포 증식을 억제하는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와 파낙시트리올(panaxytrol)등과 같은 성분이 생성된다. 사포닌은 도라지나 콩, 은행에도 들어있는 성분으로 특히 인삼, 홍삼, 산삼에 함유된 사포닌 성분을 진세노사이드라고 부른다. 이중 진세노사이드 Rh2와 Rg3는 인삼에는 전혀 없고 산삼과 홍삼에만 극미량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홍삼 성분의 피부 작용으로는 피부기능을 개선시키고, 피부탄력 및 노화방지, 피부세포 부활, 보습작용, 피부트러블 해결, 지친 피부개선, 유해한 환경으로부터 건강한 피부를 유지할 수 있게 도와 주는 역할을 한다.
형개(Schizonepeta tenuifolia Briq)의 주요 성분은 멘쏜(d-menthone 및 dl-menthone), α-리모넨(α-Limonone), α-피넨(α-piene) 등이며, 해열작용, 소염작용, 항균작용, 지혈작용 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회향(Foeniculum vulgare Mill)은 회향풀(fennel)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모유촉진 및 배앓이 치료제 등으로 사용되어 왔다. 그 주요 성분은 휘발성 오일류(anethole, fenchone), 플라보노이드류, 스테롤류, 비타민과 미네랄 등이며 진정작용 외 항염증 및 항균작용(Int J Antimicrob Agents 1997 Jan;9(3):195-9. Phytother Res 1996;10:33-6. Plan Med 2000;66:687-93)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측백엽(側柏葉)은 측백과에 속한 상록교목인 측백나무의 잎으로써, 진해거담작용, 기관지평활근 이완, 안정작용, 항균작용 등의 약리작용이 있다. 모낭 상피와 말초혈관에 작용하여 모세포를 활성화시켜 모발 생성을 촉진시키고 두피도 개선시키는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떡갈나무, 인진쑥, 홍삼, 형개, 회향 및 측백엽을 특정 혼합비로 혼합 한 후, 정제수,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글리세롤, 프로필렌글리콜 및 1,3-부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하여 생약 복합추출물을 제조하였으며, 이 추출물은 알러지성 염증 질환 및 비듬균에 대한 탁월한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상기 복합추출물의 제조에 있어서 혼합비는 건조중량을 기준으로 인진쑥, 홍삼, 형개, 회향, 측백엽 및 떡갈나무가 70 ~ 90 : 1 ~ 3 : 7 ~ 10 : 1 ~ 5 : 1 ~ 3 : 2 ~ 6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이다. 상기의 혼합비를 가지는 추출물이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 2 : 8 : 4 : 2 : 4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떡갈나무를 포함하는 생약 복합 추출물은 상기와 같이 각각의 생약재를 혼합 후 추출할 수도 있고, 각각의 생약재 추출물을 얻은 후 혼합할 수도 있다. 상기 추출 용매로는 정제수,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글리세롤, 프로필렌글리콜 및 1,3-부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용매를, 바람직하게는 에탄올로 열수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출 방법은 중탕 추출, 환류냉각 추출, 초음파 추출 등의 추출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중탕 추출의 추출방법으로 1회 내지 5회 추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염증 및 항균활성을 가지는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생약 복합추출물을 0.02 ~ 35 중량%로 포함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10중량%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장료조성물은 헤어토너, 헤어로션, 헤어크림, 헤어스프레이, 헤어무스, 헤어젤, 헤어비누, 헤어샴푸, 헤어린스, 헤어팩 및 헤어트리트먼트 등의 모발용 화장품의 제형 또는 크림, 로션, 스킨에센스와 같은 피부외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생약복합 추출물에 추가로 지방,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 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외용제에 통상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하기의 실시예와 시험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 예들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생약 복합추출물의 제조
인진쑥, 홍삼, 형개, 회향, 측백엽 및 떡갈나무 뿌리를 준비하고, 인진쑥, 홍삼, 형개, 회향, 측백엽 및 떡갈나무 뿌리를 각각 80 : 2 : 8 : 4 : 2 : 4의 건조중량비로 혼합하였다. 상기 생약혼합물의 건조 중량의 7∼8배 가량의 에탄올로 40∼60℃에서 5시간 정도 추출한 후, 50℃에서 추출액의 1/8이 되도록 감압 농축하였다.
농축된 추출액에 교반을 하는 동시에, 농축된 추출액 중량의 10배 가량의 정제수를 적가하였다. 정제수 적가를 마치고 5℃에서 30분간 방치 후, 진공 여과를 진행하여, 진공 여과를 통해 석출되어지는 분말을 얻었다. 그 분말을 50∼60℃에서 진공 건조하여 생약 복합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생약 복합추출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떡갈나무 뿌리 대신에 떡갈나무 잎을 사용한 것외에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생약 복합추출물을 용매(DMSO)에 녹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시험예 1:항균활성시험
비듬원인균인 피티로스포룸 오발레(Pityrosporum ovale)를 피티로스포룸(pityrosporum) 액체배지에 30℃에서 11일간 전 배양하여 활성화시켰다. 상기 실시예의 시료는 최고 농도 0.5 mg/disc에서 최저 농도 0.005 mg/disc에 이르도록 단계적으로 희석하였다. 항균 시험용 평판배지는 피티로스포룸(pityrosporum) 고체배지를 사용하였으며 페트리 디쉬에 15 mL씩 분주하여 굳힌 후, 미리 활성화 시킨 균주를 200 mL씩 도말하였다. 멸균된 여지(disc diameter: 8 mm)를 균이 접종된 배지 표면에 놓고 밀착 시킨 후, 상기 실시예 1, 2의 추출물을 50 ul씩 분주하였다. 대조구로는 비듬균치료제인 1%-zincpyrithione용액을 사용하였다. 30℃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 후, 디스크 주변에 생성된 저해환(inhibition zone diameter)의 크기(mm)를 측정하여 항균 활성 정도를 측정하였다. 그람양성균인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를 가지고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항균활성을 시험하였으며, 대조구로는 젠타마이신(gentamycin)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Pityrosporum ovale Staphylococcus aureus
실시예 1의 복합추출물(0.1 g/mL) 21.9 ± 1.3a) 11.4 ± 1.2
실시예 2의 복합추출물(0.1 g/mL) 35.9 ± 0.6 18.6 ± 1.5
Gentamycin (0.005 g/mL) - 19.8 ± 0.7
Zinc pyrithione(0.01 g/mL) 29.4 ± 3.5 -
* a) Inhibition zone in diameter(mm)
* Disc diameter 8 mm
* Zincpyrithione : 500 ㎍/disc
* Gentamycin : 25 ㎍/disc
상기 표 1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떡갈나무 추출물이 포함된 생약추추출물인 상기 실시예 1 및 2를 사용한 경우 비듬 치료제로 알려진 Zinc pyrithione보다 우수한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또한 떡갈나무 잎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실시예 2의 추출물이, 떡갈나무 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실시예 1의 추출물보다 더 우수한 항균활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포도상 구균에 대해서는 떡갈나무 잎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실시예 2의 추출물이 대조군으로 사용된 젠타마이신(gentamycin)과 비슷한 효과가 있었다.
시험예 2 : β- Hexosaminidase 방출에 대한 억제효과 측정
RBL-2H3 세포(2 × 105 cells/well)를 450 ng/mL의 IgE와 함께 CO2 인큐베이터에서 12시간 배양하여 세포를 감작시켰다. 감작시킨 세포를 siraganian buffer(119 mM NaCl, 5 mM KCl, 0.4 mM MgCl2, 25 mM PIPES, 40 mM NaOH, pH 7.2)로 세척한 후, 각 웰당 160μL의 siraganian buffer(119 mM NaCl, 5 mM KCl, 0.4 mM MgCl2, 25 mM PIPES, 40 mM NaOH, 5.6 mM glucose, 1 mM CaCl2, 0.1% bovine serum albumin, pH 7.2)를 넣고 20분간 배양하였다.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각 농도별 생약 복합추출물 시료와 5 μM의 wortmannin(Wako Pure Chemical Industries, Tokyo, Japan)을 넣어 10분간 반응시키고, 10 ㎍/mL의 DNP-BSA(Alpha Diagnostic International, San Antonio, TX78244, USA)를 첨가한 후 다시 10분간 배양하여 세포를 활성화시켰으며 ice bath에서 반응을 정지시켰다. 상층액 25 μL를 96-well plate에 옮기고, substrate buffer(p-nitrophenyl-N-acetyl-β-D-glucosaminide 1 mM in Citrate buffer 0.1 M, pH4.5) 25 μL를 넣은 후 37℃에서 1시간 반응시켰다. 반응 후, 각 웰에 stop solution(0.1 M Na2CO3/NaHCO3, pH 10) 200μL를 첨가하여 반응을 정지시키고, ELISA reader(Spectra MAX 340 pc, Molecular Device, Sunnyvale, CA, USA)를 사용하여 4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비만세포가 함유하고 있는 과립에는 히스타민 및 트립타제(tryptase) 등 다양한 알레르기 증상을 유발하는 매개체들이 함유되어 있어 항원에 의한 이러한 매개체들의 분비를 확인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β-Hexosaminidase는 비만세포가 면역학적으로 활성화될 때 히스타민과 함께 부수적으로 분비되므로 비만세포 탈과립의 표지인자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RBL-2H3 세포에서 분비되는 β-hexosaminidase의 활성을 측정하였으며, 생약 복합추출물에 의한 β-hexosaminidase 방출 억제 효과를 검색하였다. 그 결과를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내었다.
100, 200, 400 ㎍/mL 농도의 떡갈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생약복합추출물이 처리된 세포에서 유리되는 β-hexosaminidase의 활성은 대조군에 비해 잎의 경우 각각 82.1%, 60.0%, 48.3%를, 뿌리의 경우 각각 75.2%, 62.2%, 42.4%를 나타내어 유의적인 억제효과를 나타냈으며 잎과 뿌리 추출물은 비슷한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시험예 3: TNF -α 생성 억제 효과 측정
RBL-2H3 세포를 24-well plate(2 × 105 cells/well)에 분주한 후 12시간 배양한 후 새로운 MEM 배지에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생약 복합추출물 시료를 농도별로 처리하고, A23187(1 μM)과 PMA(50 ng/mL)를 처리하여 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이 끝난 후 상층액을 분리하여 -70℃에 보관하였다가 TNF-α ELISA kit(Invitrogen Corporation, CA, USA)를 사용하여 배지에 방출된 량을 측정하였다. ELISA reader(Spectra MAX 340 pc, Molecular Device, Sunnyvale, CA, USA)를 사용하여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생성된 TNF-α의 양을 계산하였다.
TNF-α는 비만세포와 대식세포 등에서 생성되어 많은 염증반응을 유발하는 인자로, 국소적인 알레르기 염증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생약 복합추출물이 활성화된 비만세포로부터 분비되는 염증사이토카인인 TNF-α의 생성을 억제시켜줄 수 있는지 ELISA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내었다. RBL-2H3 세포에서 분비된 TNF-α의 양은 아무런 처리를 하지 않은 경우 6.15 pg/mL로 매우 낮았으며, A23187와 PMA를 처리한 경우 80.55 pg/mL로 현저히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100, 400, 1000 ㎍/mL의 떡갈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생약복합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A23187와 PMA만 처리한 대조군에 비해 잎의 경우는 각각 75.3%, 61.2%, 48.0%로, 뿌리의 경우는 각각 70.5%, 57.6%, 46.1%로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나 농도 의존적으로 TNF-α의 분비를 억제시켜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잎보다는 뿌리에서 약간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하기와 같은 조성비로 본 발명의 생약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제재를 제조하였으나, 본 발명은 하기의 제형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형 실시예 1: 샴푸
하기의 표 2와 같은 조성을 가지는 샴푸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 분 함량(중량%)
암모늄 라우레스 설페이트 12.0
암모늄 라우릴 설페이트 4.0
코카미도프로필 베타인 7.0
알킬폴리글리코사이드 1.5
폴리쿼터늄 10 0.5
글리세린 1.5
생약 복합추출물(실시예 1) 20.0
향료 0.2
정제수 잔 량
합계 100
제형 실시예 2: 헤어 컨디셔너
하기의 표 3과 같은 조성을 가지는 헤어 컨디셔너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 분 함량(중량%)
세탄올 3.5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1.5
프로필렌 글리콜 2.5
염화스테아릴메틸벤질 암모늄 7.0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0.5
생약 복합추출물(실시예 1) 10.0
색소 적량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
제형 실시예 3: 바디로션
하기의 표 4와 같은 조성을 가지는 바디로션을 제조하였다.
성 분 함량(중량%)
생약 복합추출물(실시예 2) 20
편백정유 2.5
C14~22 알코올/C12~20 알킬글루코시드 1.5
베헤닐 알코올 1.0
스쿠알란 8.5
1,3-부틸렌글리콜 4.0
향,색소 미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

Claims (5)

  1. 떡갈나무, 인진쑥, 홍삼, 형개, 회향 및 측백엽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며, 상기 복합추출물은 인진쑥, 홍삼, 형개, 회향, 측백엽 및 떡갈나무를 각각 70 ~ 90 : 1 ~ 3 : 7 ~ 10 : 1 ~ 5 : 1 ~ 3 : 2 ~ 6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추출되며,
    상기 떡갈나무 추출물은 떡갈나무의 뿌리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추출물은 정제수,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글리세롤, 프로필렌글리콜 및 1,3-부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용매로 추출하여 제조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추출물은 전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0.02~35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조성물.
  5. 삭제
KR1020110006329A 2011-01-21 2011-01-21 떡갈나무추출물을 포함하는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1012953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6329A KR101295367B1 (ko) 2011-01-21 2011-01-21 떡갈나무추출물을 포함하는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6329A KR101295367B1 (ko) 2011-01-21 2011-01-21 떡갈나무추출물을 포함하는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4975A KR20120084975A (ko) 2012-07-31
KR101295367B1 true KR101295367B1 (ko) 2013-08-09

Family

ID=46715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6329A KR101295367B1 (ko) 2011-01-21 2011-01-21 떡갈나무추출물을 포함하는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53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5348B1 (ko) * 2019-01-08 2020-03-31 이인숙 계수나무 껍질 추출물 또는 인진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세제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0344A (ja) 2000-02-09 2001-08-14 Ichimaru Pharcos Co Ltd 植物水蒸気蒸留水含有化粧料組成物
KR20040051255A (ko) * 2002-12-12 2004-06-18 (주)케피로스 화장료 조성물
KR100701222B1 (ko) * 2006-04-19 2007-03-29 (주)케피로스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0344A (ja) 2000-02-09 2001-08-14 Ichimaru Pharcos Co Ltd 植物水蒸気蒸留水含有化粧料組成物
KR20040051255A (ko) * 2002-12-12 2004-06-18 (주)케피로스 화장료 조성물
KR100701222B1 (ko) * 2006-04-19 2007-03-29 (주)케피로스 화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식품과학회 제77차 학술대회 포스터 발표, 이은주외 5인, p87, P11-154, 2010년 10월 *
한국식품과학회 제77차 학술대회 포스터 발표, 이은주외 5인, p87, P11-154, 2010년 10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5348B1 (ko) * 2019-01-08 2020-03-31 이인숙 계수나무 껍질 추출물 또는 인진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세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4975A (ko) 2012-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amil et al. Centella asiatica (Linn.) Urban—a review
KR100633380B1 (ko) 특정 생약추출 혼합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용 한방화장료 조성물
Mala et al. Therapeutic efficacy of Centella asiatica (L.) and Momordica charantia: As traditional medicinal plant
KR100762965B1 (ko) 생리활성 성분 Rb1, Rb2, Rc 및 Rd의 함량이 증가된 인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1367423B1 (ko) 피부 개선용 약학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Rohini et al. A review on phytopharmacological profile of traditionally used medicinal plant Parkia biglandulosa (Mimosaceae)
KR100821842B1 (ko) 피부 알러지 완화 및 예방용 피부외형제 조성물
KR20180041887A (ko) 고욤잎 및 포도송이 가지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97858B1 (ko)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150927B1 (ko) 조릿대 추출물 및 우레아를 포함하는 화장료 및 약학적 조성물
KR101812559B1 (ko) 세린-팔미토일 전이효소 활성화를 통한 세라마이드 생합성 촉진과 항염효과를 갖는 제주 산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17651B1 (ko) 항산화, 주름개선 또는 염증개선용 한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94006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개선용 조성물
KR101295367B1 (ko) 떡갈나무추출물을 포함하는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102455238B1 (ko) 한방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듬 및 두피 케어용 조성물
KR101152654B1 (ko)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알러지 개선용 조성물
KR101981678B1 (ko) 모발 성장 촉진 및 두피 및 모발 개선용 복합 항산화 추출물 및 화장료 조성물
CN109010182B (zh) 一种防脱发组合物及其在制备洗护发产品中的应用
KR102127771B1 (ko) 한방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산화, 항염증, 항노화 또는 피부진정을 위한 조성물
Nyeem et al. Ashoka (saraca indica) as women friendly plant: a review
KR20220162570A (ko) 동백나무꽃, 쑥잎 및 영지버섯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염, 피부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092922A (ko) 나노 리포좀으로 안정화된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040659A (ko) 고염 미생물의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684869B1 (ko) 세리포리아락세라타 추출물 함유 목욕용제
KR100900197B1 (ko) 특정 식물추출 혼합물을 함유하는 피부면역억제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