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2245B1 - 운반 장치, 보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보관 창고 - Google Patents

운반 장치, 보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보관 창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2245B1
KR101292245B1 KR1020120117479A KR20120117479A KR101292245B1 KR 101292245 B1 KR101292245 B1 KR 101292245B1 KR 1020120117479 A KR1020120117479 A KR 1020120117479A KR 20120117479 A KR20120117479 A KR 20120117479A KR 101292245 B1 KR101292245 B1 KR 1012922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nveyor
transfer
frame
conve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7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재원
Original Assignee
(주)강성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강성산업 filed Critical (주)강성산업
Priority to KR1020120117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22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2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22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07Storage devices mechanical using stacker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26Racks equipped with a displaceable load carrying surface to facilitate loading or unlo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07Storage devices mechanical using stacker cranes
    • B65G1/0435Storage devices mechanical using stacker cranes with pulling or pushing means on either stacking crane or stacking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6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means for presenting articles for removal at predetermined position or level
    • B65G1/065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means for presenting articles for removal at predetermined position or level with self propelled 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137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53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between conveyors which cross one another
    • B65G47/54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between conveyors which cross one another at least one of which is a roller-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7Sheet handling, means, e.g. manipulators, devices for turning or tilting sheet g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8Stacking or destacking devices; Means for preventing damage to stacked sheets, e.g. spaces

Abstract

본 발명은 보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진 적층 유닛, 상기 적층 유닛 일측에 위치하고 보관할 보관 대상물을 선택된 어느 하나의 상기 층으로 입고시키는 입고 유닛, 그리고 상기 적층 유닛 타측에 위치하고 어느 하나의 상기 층에서 보관된 보관 대상물이 유입될 수 있고 유입된 상기 보관 대상물을 운반하는 운반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운반 장치, 보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보관 창고{Carrying apparatus, storage apparatus and storehouse including the storage apparatus}
본 발명은 운반 장치, 보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보관 창고에 관한 것이다.
액화천연가스(liquefied natural gas; LNG)를 운반하는 선박에 저장 탱크를 보냉하는 소재가 보관 대상물이며 이 보냉재는 -168도 이하로 냉동하여 액화천연가스를 운반하며 온도가 올라가면 액화천연가스가 기화하여 대기 중에 방출되어 폭발의 위험이 있다.
보냉재인 운반 대상물 생산 과정 중 폼을 발포하여 다양한 크기로 절단(최대: 폭1000MMX 길이3100MMX 두께350MM, 무게 160KG)하여 일정한 장소에 약 8-10시간 일정한 온도로 숙성하여야 한다. 그런데 보관 대상물을 보관할 때 좁은 장소에 겹쳐서 숙성시키거나 적절한 온도에서 숙성되지 않으면 내부 크랙이 발생할 수 있어 안전성의 문제를 야기한다.
실용신안등록공보 제20-0292667호 (2002.10.08.) 등록특허공보 제10-1097192호 (2011.12.15.)
본 발명은 좁은 장소에서도 많은 보관 대상물을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운반 장치, 보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보관 창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보관 장치는,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진 적층 유닛, 상기 적층 유닛 일측에 위치하고 보관할 보관 대상물을 선택된 어느 하나의 상기 층으로 입고시키는 입고 유닛, 그리고 상기 적층 유닛 타측에 위치하고 어느 하나의 상기 층에서 보관된 보관 대상물이 유입될 수 있고 유입된 상기 보관 대상물을 운반하는 운반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적층 유닛은, 적층 골조부 및 상기 적층 골조부 내부에 배치되어 있고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어 복수의 층을 이루며 보관할 상기 보관 대상물이 놓이는 적층 컨베이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적층 컨베이어는 상기 보관 대상물을 상기 적층 골조부의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적층 유닛은, 상기 적층 컨베이어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적층 컨베이어 놓이는 상기 보관 대상물을 가이드 지지하는 가이드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층 유닛은, 상기 적층 컨베이어 후방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적층 컨베이어에 놓인 보관 대상물이 상기 적층 컨베이어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적층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고 유닛은, 보관할 상기 보관 대상물을 상기 적층 유닛 일측으로 이송하는 이송 컨베이어, 상기 이송 컨베이어와 상기 적층 유닛 사이에 위치하고 보관할 보관 대상물은 선택된 어느 하나의 상기 층으로 입고 시키는 입고부, 그리고 상기 이송 컨베이어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적층 유닛과 마주하고 상기 이송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된 보관할 상기 보관 대상물을 상기 입고부로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 컨베이어는, 이송 골조부, 상기 이송 골조부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적층 유닛과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이송 롤러들, 상기 제1 이송 롤러들 사이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적층 유닛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제2 롤러들, 그리고 상기 이송 골조부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이송 롤러들을 승강 시키는 이송 승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고부는, 입고 서포터, 상기 입고 서포터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선택된 어느 하나의 상기 층과 마주할 수 있는 입고 골조부, 그리고 상기 입고 골조부 상면에 배열되어 있고 상기 적층 유닛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입고 롤러들, 그리고 상기 입고 롤러를 회전시키는 입고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는, 이동 골조부, 상기 이동 골조부 상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적층 유닛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대상물 가압부, 그리고 상기 이동 골조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대상물 가압부를 직선 이동 시키는 이동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반 유닛은, 선택된 어느 하나의 상기 층에서 보관된 상기 보관 대상물이 유입될 수 있는 운반부, 상기 운반부와 이웃하고 상기 운반부로 유입된 상기 보관 대상물이 놓일 수 있고 상기 보관 대상물을 운반하는 운반 컨베이어, 그리고 상기 운반부에 위치한 상기 보관 대상물을 상기 운반 컨베이어로 옮기는 대상물 옮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반부는, 운반 서포터, 상기 운반 서포터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선택된 어느 하나의 상기 층과 마주할 수 있는 운반 골조부, 그리고 상기 운반 골조부 상면에 배열되어 있고 상기 적층 유닛에서 상기 보관 대상물이 운반되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운반 롤러들, 그리고 상기 운반 롤러를 회전시키는 운반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반부는, 상기 운반 롤러들 양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운반 롤러로 위로 운반된 상기 보관 대상물을 정렬하는 정렬 클램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렬 클램프는, 상기 운반 골조부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정렬 로드바, 상기 정렬 로드바 외측 단부에 수직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운반 롤러 위로 운반된 상기 보관 대상물에 접할 수 있는 정렬 파지바,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정렬 로드바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정렬 로드바를 직선 이동시키는 정렬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반부는, 상기 운반 골조부 타측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적층 유닛에서 일측을 통해 상기 운반 롤러들 위로 유입된 상기 보관 대상물의 낙하를 방지하는 운반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상물 옮김부는, 상기 운반 컨베이어와 이웃한 옮김 서포터, 상기 운반 컨베이어 위에 위치하고 상기 옮김 서포터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옮김 승강부, 그리고 상기 옮김 승강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운반부로 유입된 상기 보관 대상물을 잡을 수 있는 옮김 클램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옮김 클램핑부는, 일측이 상기 옮김 승강부와 연결되어 있고 길이가 가변 될 수 있는 신장부, 상기 신장부 타측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운반부 또는 상기 운반 컨베이어 중 선택된 어느 하나와 마주할 수 있는 클램핑 베이스, 그리고 상기 클램핑 베이스에 간격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보관 대상물을 잡을 수 있는 옮김 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옮김 파지부는, 상기 클램핑 베이스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로드바, 상기 한 쌍의 로드바 외측 단부에 각각 수직하게 설치되어 서로 마주하며 있고 보관 대상물에 접할 수 있는 옮김 파지바, 그리고 상기 한 쌍의 로드바 외측 단부가 서로 근접되거나 멀어지도록 하여 상기 옮김 파지바의 간격을 조절하는 파지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관 장치는 상기 적층 유닛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어 있는 커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관 장치는 상기 적층 유닛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히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 따른 보관 대상물 보관 창고는 위와 같이 기재된 보관 장치 및 상기 보관 장치가 위치하는 보관 공간을 갖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운반 장치는, 운반 대상물이 유입될 수 있는 운반부, 상기 운반부와 이웃하게 배치되어 있고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운반부 위에 위치하는 운반 골조부, 상기 운반 골조부에 직선 이동 및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대상물 옮김부, 그리고 상기 대상물 옮김부에 간격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운반 대상물을 잡을 수 있는 클램핑부를 포함한다.
상기 클램핑부는, 상기 대상물 옮김부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정렬 로드바, 한 쌍의 상기 정렬 로드바 외측 단부에 각각 수직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운반부로 유입된 상기 운바 대상물에 접할 수 있는 정렬 파지바,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정렬 로드바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정렬 로드바를 직선 이동시키는 정렬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정렬 구동부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정렬 로드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면서 상기 정렬 파지바의 간격이 벌어지거나 좁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입고 유닛이 보관할 보관 대상물을 적층 유닛으로 유입시키고, 적층 유닛은 보관 대상물을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일정 시간 동안 보관된다. 이때 보관 대상물이 숙성물일 경우 보관 대상물은 안정적으로 숙성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운반부가 적층 유닛에서 보관된 보관 대상물을 하우징 외부로 운반하게 되면서 모든 과정이 무인 자동화로 이루어져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의 보관 공간 내에 입고 유닛, 적층 유닛, 그리고 운반 유닛이 순차적으로 설치되므로 좁은 장소에서도 보관 대상물을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적층 유닛의 하부에 히팅부가 위치하고 적층 유닛의 둘레를 따라 배치된 커튼부가 히팅부에서 발생한 열이 적층 유닛 외부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므로 최상의 보관 온도를 유지할 수 있어 보관 대상물의 보관 효율이 우수하다. 더욱이, 보관 대상물이 숙성물일 경우 숙성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보관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보관 장치 정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적층 유닛을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적층 유닛 정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한 B 부분 확대도.
도 6은 도 3에 도시한 A 부분 확대도.
도 7은 도 4에 도시한 C 부분 확대도.
도 8은 도 1에 도시한 입고 유닛을 나타낸 평면도.
도 9은 도 2에 도시한 입고 유닛을 나타낸 정면도.
도 10는 도 9에 도시한 이송부를 나타낸 확대도.
도 11은 도 9에 도시한 이동부를 나타낸 확대도.
도 12는 도 1에 도시한 운반 유닛을 나타낸 평면도.
도 13은 도 2에 도시한 운반 유닛을 나타낸 정면도.
도 14는 도 13에 도시한 운반부를 나타낸 확대도.
도 15는 도 13에 도시한 운반 골조부 측면도.
도 16은 도 15에 도시한 운반 골조부 평면도.
도 17은 도 13에 도시한 대상물 옮김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18은 도 17에 도시한 옮김 클램핑부를 나타낸 평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반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20은 도 19에 도시한 운반 장치의 클램핑부를 나타낸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보관 장치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보관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보관 장치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보관 장치는 하우징(1), 적층 유닛(2), 입고 유닛(3), 그리고 운반 유닛(4)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관 장치는 히팅부(5) 및 커튼부(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은 외벽과 지붕으로 이루어져 있다. 외벽과 지붕은 샌드위치 패널 따위로 형성될 수 있다. 외벽과 지붕을 샌드위치 패널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하우징(1)의 내부에는 보관 공간(11)이 형성되어 있다. 지붕에는 보관 공간(11)의 환기를 위한 모니터(monitor) 장치(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모니터 장치는 생략될 수도 있다.
외벽의 일측에는 입구(12)가 타측에는 출구(13)가 형성되어 있다. 입구(12)와 출구(13)에는 각각 도어(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입구(12)와 출구(13)의 위치는 서로 바뀔 수 있다. 입구(12)와 출구(13)의 위치를 한정하지 않는다. 입구(12)를 통하여 보관할 보관 대상물(urethane foam; Uf)이 보관 공간(11)으로 유입될 수 있고, 출구(13)를 통하여 보관 공간(11)에서 보관된 보관 대상물이 보관 공간(11) 외부로 운반될 수 있다. 그러나 하우징(1)은 생략될 수도 있다.
적층 유닛(2)은 보관할 보관 대상물이 놓일 수 있는 것으로 보관 공간(11)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보관 대상물은 성형 후 일정 온도에서 일정시간 동안 보관되어 숙성이 이루어지는 우레탄폼일 수 있다. 본원 발명은 보관 대상물을 우레탄폼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본원 발명의 보관 대상물은 각종 적재 물품일 수 있다.
이러한 적층 유닛(2)을 도 3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적층 유닛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적층 유닛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한 B 부분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4에 도시한 A 부분 확대도이며, 도 7은 도 4에 도시한 C 부분 확대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적층 유닛(2)은 적층 골조부(21) 및 적층 컨베이어(22)를 포함한다. 적층 유닛(2)은 이탈 방지 부재(25), 가이드 지지부(23) 그리고 적층 스토퍼(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층 골조부(21)는 적층 유닛(2)의 뼈대로서 한 쌍의 수직 프레임(211)이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다. 한 쌍의 수직 프레임(211)은 상하 방향으로 배열된 수평 프레임(212)으로 연결되어 있다. 수평 프레임(212)으로 연결된 수직 프레임(211)은 일 방향(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 수직 프레임(211)의 하단부는 지면에 볼트 따위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수직 프레임(211)의 상부에는 배열된 수직 프레임(211)들을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213)이 결합되어 있다. 연결 프레임(213)은 수직 프레임(211)에 볼트 따위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그러나 연결 프레임(213)은 생략될 수 있다.
적층 컨베이어(22)는 보관할 보관 대상물(UF)을 지지하는 것으로 적층 골조부(21)의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적층 골조부(21)의 내부에는 적층 컨베이어(22)가 복수의 층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적층 컨베이어(22)에는 보관할 보관 대상물(UF)이 위치할 수 있으며, 원동 치차(221a), 치차 구동부(222), 종동 치차(223a), 연결 체인(224), 그리고 처짐 방지 부재(225)를 포함한다.
적층 골조부(21)의 타측에는 폭 방향으로 원동 샤프트(221)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때 원동 샤프트(221)는 베어링 하우징으로 지지되어 있다. 이러한 원동 샤프트(2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원동 치차(221a)가 배열되어 있다. 아울러, 원동 치차(221a)가 결합된 원동 샤프트(221)는 수직 프레임(211)의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치차 구동부(222)는 도 1 및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적층 골조부(21)의 타측 일측에 배치된 프레임에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어 원동 샤프트(221) 마다 연결되어 있다. 치차 구동부(222)는 도 7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에 위치 조절부(222a)로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치차 구동부(222)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치차 구동부(222)의 위치 조절로 치차 구동부(222)와 원동 치차(221a)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치차 구동부(222)의 구동에 의하여 원동 샤프트(221)가 회전할 수 있다.
종동 치차(223a)는 적층 골조부(21)의 일측에 베어링 하우징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종동 샤프트(223)에 결합되어 있다. 종동 치차(223a)가 결합된 종동 샤프트(223)는 적층 골조부(21)의 폭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 종동 치차(223a)와 원동 치차(221a)는 동일한 개수로 이루어져 있다. 종동 샤프트(223)는 적층 골조부(21)의 타측에 위치한 원동 샤프트(221)와 동일 선상에 위치하여 서로 마주한다.
한편, 종동 치차(223a)가 결합된 종동 샤프트(223)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종동 샤프트(223)는 장력 조절부(226)에 설치되어 있다.
장력 조절부(226)는 적층 골조부(21)의 일측에 위치한 수평 프레임(212)에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장력 조절부(226)는 장력 프레임(226a), 이동 블록(226b), 조절 스크류(226c)를 포함한다.
장력 프레임(226a)은 일측이 수평 프레임(212)에 결합되어 수평 프레임(212) 전방으로 수직하게 돌출되어 있다. 장력 프레임(226a)은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어 한 쌍으로 이루어져 있다. 아울러, 상하 방향으로 배열된 한 쌍의 장력 프레임(226a)은 도 1의 확대도 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 프레임(212) 길이 방향으로 떨어져 있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장력 프레임(226a)은 2개 1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동 블록(226b)은 각 한 쌍의 장력 프레임(226a) 사이에 위치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아울러, 장력 프레임(226a)과 이동 블록(226b)이 서로 접하는 부분은 가이드 돌기와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돌기와 가이드 홈에 의하여 이동 블록(226b)은 장력 프레임(226a)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반듯하게 직선이동 할 수 있다. 아울러, 종동 샤프트(223)의 양단부는 각 이동 블록(226b)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조절 스크류(226c)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어 있으며 볼트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조절 스크류(226c)의 일측은 이동 블록(226b)에 결합되어 있고 타측은 수평 프레임(212)에 체결되어 있다. 즉, 수평 프레임(212)에는 조절 스크류(226c)가 체결되는 너트가 결합되어 있다. 조절 스크류(226c)의 체결 정도에 따라 이동 블록(226b)의 위치가 설정될 수 있다. 즉, 조절 스크류(226c)의 일측이 수평 프레임(212)에 가까워질수록 종동 치차(223a)와 원동 치차(221a)의 거리가 가까워질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조절 스크류(226c)의 일측이 수평 프레임(212)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종동 치차(223a)와 원동 치차(221a)의 거리가 멀어질 수 있다.
연결 체인(224)은 종동 치차(223a)와 원동 치차(221a)에 감아걸기 되어 있다. 연결 체인(224)에는 보관할 보관 대상물(UF)이 놓일 수 있다. 한편, 치차 구동부(222)에 의하여 원동 치차(221a)가 구동하면 연결 체인(224)은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연결 체인(224)에 놓은 보관 대상물(UF)은 적층 유닛(2)의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연결 체인(224)의 장력이 느슨할 경우 조절 스크류(226c)의 위치를 조절하여 연결 체인(224)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조절 스크류(226c)의 일측이 수평 프레임(212)으로부터 멀어지면 종동 치차(223a)가 원동 치차(221a)로부터 멀어지므로 연결 체인(224)의 장력은 팽팽하게 이루어지고, 조절 스크류(226c)의 일측이 수평 프레임(212)에 가까워지면 종동 치차(223a)가 원동 치차(221a)와 가까워지므로 연결 체인(224)의 장력은 느슨해질 수 있다.
아울러, 원동 치차(221a)와 종동 치차(223a)에 감아걸기된 연결 체인(224)이 자신의 중량과 보관 대상물(UF)의 중량에 의하여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원동 치차(221a)와 종동 치차(223a) 사이에는 처짐 방지 부재(225)가 설치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처짐 방지 부재(225)는 수평 프레임(212)의 상면과 저면에 각각 지지되어 있다. 처짐 방지 부재(225)가 연결 체인(224)을 지지함으로 연결 체인(224)은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아울러, 처짐 방지 부재(225)는 연결 체인(224)이 흔들리지 않도록 가이드 역할도 할 수 있다.
이탈 방지 부재(25)는 적층 컨베이어(22)에 놓인 보관 대상물(UF)이 이웃한 수직 프레임(211) 사이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수직 프레임(211)의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각 이탈 방지 부재(25)는 이웃한 적층 컨베이어(22)의 사이 마다 위치한다. 그러나 이탈 방지 부재(25)는 생략될 수도 있다.
가이드 지지부(23)는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장력 프레임(226a)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가이드 지지부(23)는 장력 프레임(226a)에 결합된 지지 브래킷(231)과 지지 브래킷(2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지지 롤러(232)를 포함한다. 지지 롤러(232)는 무동력 상태로 지지 브래킷(231)에 결합되어 있다. 가이드 지지부(23)는 보관할 보관 대상물(UF)이 적층 컨베이어(22)의 연결 체인(224) 위로 올려질 때 연결 체인(224)에 안정적으로 올려지도록 한다. 그러나 가이드 지지부(23)는 생략될 수도 있다.
적층 스토퍼(24)는 연결 체인(224)에 놓여 보관된 보관 대상물(UF)이 적층 골조부(21)의 타측에서 지면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적층 스토퍼(24)는 도 7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스토퍼 엑추에이터(241) 및 스토퍼 브래킷(242)을 포함한다.
스토퍼 엑추에이터(241)는 적층 골조부(21)의 타측에 위치한 수평 프레임(212)에 브래킷으로 연결되어 있다. 스토퍼 엑추에이터(241)는 원동 샤프트(221) 보다 후방에 위치한다. 스토퍼 엑추에이터(241)는 압축공기에 의하여 작동할 수 있다. 이때 스토퍼 엑추에이터(241)의 하우징은 상부측에 위치한 처짐 방지 부재(225)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한다.
스토퍼 브래킷(242)은 스토퍼 엑추에이터(241)의 작동 로드에 결합되어 있다. 이때 스토퍼 브래킷(242)의 상면은 원동 치차(221a)의 상사점(P) 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한다. 그러나 스토퍼 엑추에이터(241)의 작동 로드가 하우징으로부터 운반되면 스토퍼 브래킷(242)의 상면은 원동 치차(221a)의 상사점(P) 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스토퍼 브래킷(242)의 상면이 원동 치차(221a)의 상사점(P) 보다 놓은 위치에 위치하면 연결 체인(224)에 놓인 보관 대상물(UF)은 스토퍼 브래킷(242)에 접할 수 있다. 연결 체인(224)에 놓인 보관 대상물(UF)이 스토퍼 브래킷(242)에 접하면 연결 체인(224)이 움직이더라도 보관 대상물(UF)은 연결 체인(224)에서 떨어지지 않고 그대로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적층 스토퍼(24)는 보관 대상물(UF)의 보관 중에는 작동 로드가 하우징에서 운반된 상태를 유지하며, 보관 대상물(UF)의 보관이 완료되어 운반시 보관 대상물(UF)이 스토퍼 브래킷(242)에 걸리지 않도록 작동 로드는 하우징 내부로 입고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적층 스토퍼(24)는 생략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적층 유닛(2)은 도 1 및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보관 공간(11) 내에서 연속 연결될 수도 있다. 적층 유닛(2)이 연속 연결되면 보관 대상물(UF)의 보관 수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아울러, 적층 유닛(2)이 연속 연결될 경우 적층 스토퍼(24)는 가장 외측에 위치한 적층 유닛(2)에만 결합된다.
다음으로 도 8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입고 유닛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도 1에 도시한 입고 유닛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9은 도 2에 도시한 입고 유닛을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10는 도 9에 도시한 이송부를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11은 도 9에 도시한 이동부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입고 유닛(3)은 하우징(1)의 입구를 통해 보관 공간(11)으로 들어온 보관 대상물(UF)을 적층 유닛(2)의 각 적층 컨베이어(22)로 유입 시키는 것으로, 이송 컨베이어(31), 이동부(32), 그리고 입고부(33)를 포함한다.
도 10을 참고하면, 이송 컨베이어(31)는 적층 유닛(2)의 일측에 위치하여 하우징(1)의 입구(12)와 이웃하게 배치되어 있다. 성형된 후 입구(12)를 통해 보관 공간(11)으로 들어온 보관 대상물(UF)이 올려질 수 있다. 이러한 이송 컨베이어(31)는 이송 골조부(311), 제1 이송 롤러(312), 이송 승강부(314), 그리고 제2 이송 롤러(313)를 포함한다.
이송 골조부(311)는 적층 유닛(2)의 일측으로부터 떨어져 있으며, 수직바와 수평바가 복합적으로 결합되어 소정의 틀을 이룬다. 이송 골조부(311)의 하부는 지면에 접하고 있으며 높이 조절 부재(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높이 조절 부재에 의하여 이송 골조부(311)의 상면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높이 조절 부재에 의하여 이송 골조부(311)의 수직, 수평 상태를 조절할 수도 있다.
제1 이송 롤러(312)는 이송 골조부(311)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배열되어 있다. 제1 이송 롤러(312)들의 일측 단부에는 치차가 결합되어 있으며 치차들은 체인으로 연결되어 있다. 아울러, 적어도 하나의 제1 이송 롤러(312)는 제1 구동 모터(312a)가 연결되어 있다. 제1 구동 모터(312a)의 동력에 의하여 제1 이송 롤러(312)들은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제1 이송 롤러(312)들은 이송 컨베이어(31)와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보관 대상물(UF)은 이송 골조부(311)의 일측에서 제1 이송 롤러(312)로 올려진다.
이송 승강부(314)는 이송 골조부(311)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송 승강부(314)는 승강 프레임(314b) 및 이송 승강 구동부(314a)를 포함한다.
승강 프레임(314b)은 제1 이송 롤러(312) 사이에 위치하여 제1 이송 롤러(312)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이송 승강 구동부(314a)는 승강 프레임(314b)의 하부에 위치하여 이송 골조부(311)의 수평바에 결합되어 있다. 이송 승강 구동부(314a)는 엑추에이터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엑추에이터는 압축공기의 압력에 의해 작동할 수 있다. 이송 승강 구동부(314a)의 작동 로드는 승강 프레임(314b)에 결합되어 있다. 이송 승강 구동부(314a)의 작동 상태에 따라 승강 프레임(314b)은 이송 골조부(311)의 상하 방향으로 승강할 수 있다.
제2 이송 롤러(313)는 승강 프레임(314b)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 제2 이송 롤러(313)는 승강 프레임(314b)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때 제2 이송 롤러(313)는 무동력 상태로 승강 프레임(314b)에 결합되어 있다.
제2 이송 롤러(313)는 승강 프레임(314b)이 상승하면 제1 이송 롤러(312) 사이를 통하여 제1 이송 롤러(312) 상부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이송 롤러(313)가 상승하면 제1 이송 롤러(312)에 접한 보관 대상물(UF)을 지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이송 롤러(312)에 지지된 보관 대상물(UF)은 제1 이송 롤러(312)에서 떨어지게 된다.
한편, 이송 골조부(311)의 일측은 적층 유닛(2)과 마주하며 타측은 적층 유닛(2)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다. 이송 골조부(311)의 타측에는 제1 이송 롤러(312) 위로 보관 대상물(UF)이 올려질 때 가이드하는 이송 가이드 브래킷(315)이 결합되어 있다.
아울러, 이송 골조부(311)의 타측에는 제1 이송 롤러(312)로 올려지는 보관 대상물(UF)의 유무를 감지하는 센서부(316)가 배치되어 있다. 센서부(316)는 이송 컨베이어(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센서부(316)는 보관 대상물(UF)의 크기에 따라 그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센서부(316)가 보관 대상물(UF)을 감지하게 되면 이송 승강부(314)가 승강할 수 있다.
한편, 이송 골조부(311)의 일측 전방에는 성형된 보관 대상물(UF)을 이송 컨베이어(31)로 옮기는 공급 컨베이어(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아울러 공급 컨베이어와 이송 컨베이어(31) 사이에는 공급 컨베이어와 이송 컨베이어(31)를 연결하는 턴 테이블(도시하지 않음)이 위치할 수 있다. 턴 테이블에도 턴 컨베이어(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이동부(32)는 이송 컨베이어(31)에 올려진 보관 대상물(UF)을 적층 유닛(2) 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으로 이송 컨베이어(31)를 사이에 두고 적층 유닛(2)과 마주한다. 이러한, 이동부(32)는 이동 골조부(321), 대상물 가압부(322), 그리고 이동 구동부(323)를 포함한다.
이동 골조부(321)는 이송 골조부(311)와 이웃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수직바와 수평바가 복합적으로 결합되어 틀을 형성한다.
대상물 가압부(322)는 이동 골조부(321)의 상면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대상물 가압부(322)는 적층 유닛(2) 방향으로 직선이동 할 수 있다. 이동 골조부(321)의 상면에는 직선이동하는 대상물 가압부(322)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322a)이 설치되어 있다.
이동 구동부(323)는 대상물 가압부(322)를 직선 이동 시키는 것으로, 이동 스크류(232b) 및 이동 모터(323a)를 포함한다.
이동 스크류(232b)는 이동 골조부(321)의 상면에서 가이드 레일(322a)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이동 스크류(232b)의 양단부는 베어링 하우징으로 이동 골조부(32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아울러, 이동 스크류(232b)에는 이동 스크류(232b) 회전시 이동 스크류(232b)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 블록(226b)이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이동 블록(226b)은 대상물 가압부(322)와 연결되어 있다.
이동 모터(323a)는 이동 골조부(321)의 내부에 위치하여 이동 스크류(232b)와 동력 연결되어 있다. 이동 모터(323a)의 동력에 의하여 이동 스크류(232b)가 회전할 수 있다. 이동 스크류(232b)의 회전 방향에 따라 대상물 가압부(322)가 이송 컨베이어(31)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이송 컨베이어(3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대상물 가압부(322)가 이송 컨베이어(31)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이송 컨베이어(31)에 올려진 보관 대상물(UF)을 적층 유닛(2) 방향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때 이송 승강부(314)가 상승하여 제2 이송 롤러(313)가 보관 대상물(UF)에 지지되어 있으면 보관 대상물(UF)은 적층 유닛(2)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동부(32)는 센서부(316)가 보관 대상물(UF)을 감지하게 되면 동작하게 된다.
입고부(33)는 이송 컨베이어(31)와 적층 유닛(2) 사이에 위치하며 이동부(32)가 이송 컨베이어(31)에 위치한 보관 대상물(UF)을 적층 유닛(2) 방향으로 가압할 때 보관 대상물(UF)이 입고부(33)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입고부(33)는 보관 대상물(UF)을 각 적층 컨베이어(22)로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입고부(33)는 도 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입고 서포터(331), 입고 골조부(332), 입고 승강부(333), 입고 롤러(334), 그리고 입고 구동부(335)를 포함한다. 입고부(33)는 입고 스토퍼(3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고 서포터(331)는 하부가 지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수직하게 배치되어 있다. 입고 서포터(331)는 한 쌍의 수직 프레임(211)과 동일하게 한 쌍으로 이루어져 있다. 입고 서포터(331)는 일측에 위치한 한 쌍의 수직 프레임(211)과 마주한다. 아울러, 한 쌍의 입고 서포터(331)는 상부 연결바(도시하지 않음)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입고 골조부(332)는 세로 프레임과 가로 프레임이 서로 연결되어 틀을 형성한다. 이러한 입고 골조부(332)는 한 쌍의 입고 서포터(331) 사이에 위치한다. 입고 골조부(332)는 입고 서포터(331)의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아울러, 입고 골조부(332)와 입고 서포터(331) 사이에는 입고 골조부(332)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과 가이드 블록에 위치한다. 가이드 레일은 입고 서포터(3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으며 가이드 블록은 입고 골조부(332)에 결합되어 있다.
입고 승강부(333)는 입고 골조부(332)를 승강 시키는 것으로 입고 승강 모터(333a) 및 입고 체인(333d)을 포함한다. 아울러, 입고 승강부(333)는 입고 엑추에이터(333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고 승강 모터(333a)는 상부 연결바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으며 감속기(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감속기의 양측으로 샤프트(도시하지 않음)가 결합되어 있다. 샤프트의 단부는 한 쌍의 입고 서포터(331)의 상부 측에 각각 위치한다. 아울러, 입고 승강 모터(333a)의 샤프트는 입고 서포터(331)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1 치차(333b)와 동력 연결되어 있다. 한편 입고 서포터(331)의 하단부에는 제1 치차(333b)와 마주하는 제2 치차(333c)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입고 체인(333d)은 제1 치차(333b)와 제2 치차(333c)에 감아걸기 되어있다. 입고 체인(333d)의 적어도 일부분 입고 골조부(332)와 연결되어 있다. 입고 체인(333d)이 움직이면 입고 골조부(332)는 입고 서포터(331)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승강할 수 있다. 입고 서포터(331)를 따라 이동하는 입고 골조부(332)는 복수의 적층 컨베이어(22) 중 어느 하나의 적층 컨베이어(22) 부분에서 멈출 수 있다.
입고 롤러(334)는 입고 골조부(332)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배열되어 있다. 이때 입고 롤러(334)의 회전은 적층 컨베이어(22)와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한편, 입고 롤러(334)들은 서로 동력 연결되어 있다. 아울러, 이동부(32)에 의해 이송 컨베이어(31)에서 적층 유닛(2) 방향으로 가압된 보관 대상물(UF)이 입고 롤러(334) 위로 이동할 수 있다.
입고 구동부(335)는 입고 골조부(332)의 하부에 장착되어 있으며, 입고 롤러(334)의 어느 하나와 동력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입고 구동부(335)의 동력이 입고 롤러(334)에 전달되면 입고 롤러(334)들은 회전하게 된다. 이때 입고 롤러(334) 위로 이동한 보관 대상물(UF)은 어느 하나의 적층 컨베이어(22) 위로 이동할 수 있다. 입고 롤러(334)에서 적층 컨베이어(22)로 보관 대상물(UF)이 이동할 때 보관 대상물(UF)은 가이드 지지부(23)의 지지 롤러(232)에 지지되면서 적층 컨베이어(22)로 이동하게 된다.
아울러, 입고 롤러(334) 위에 올려진 보관 대상물(UF)이 적층 컨베이어(22)로 이동할 때 보관 대상물(UF)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이탈 방지 부재(25)의 일측 부분은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 방향으로 벌어져 있다.
입고 스토퍼(336)는 적층 유닛(2)과 이웃한 입고 골조부(332)에 결합되어 있다. 입고 스토퍼(336)는 입고 롤러(334)로 위로 올려진 보관 대상물(UF)이 입고 롤러(334)에서 적층 유닛(2) 방향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입고 스토퍼(336)는 적층 스토퍼(24)와 동일한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입고 엑추에이터(333e)는 입고 승강부(333)에 의해 입고 서포터(331) 길이 방향을 따라 승강하는 입고 골조부(332)를 지지하는 것으로 하우징과 작동 로드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입고 엑추에이터(333e)는 공기압으로 작동한다. 입고 엑추에이터(333e)의 하우징은 입고 서포터(331)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입고 엑추에이터(333e)의 작동 로드는 하우징에 연결된 상태에서 입고 골조부(332)에 연결되어 있다. 입고 엑추에이터(333e)의 작동 로드는 입고 골조부(332)의 승강 방향에 따라 하우징 내부로 입고되거나 운반될 수 있다.
아울러, 보관 대상물(UF)이 올려진 입고 골조부(332)가 하강할 때, 보관 대상물(UF), 입고 골조부(332), 입고 롤러(334), 입고 구동부(335)의 중량에 의하여 입고 승강부(333)에 과부하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입고 엑추에이터(333e)가 입고 골조부(332)를 지지하고 있으므로 입고 승강부(333)에 발생하는 과부하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입고 승강부(333)가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입고부(33)에 의해 적층 유닛(2)의 적층 컨베이어(22)로 이동한 보관 대상물(UF)은 적층 유닛(2)의 타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보관시간을 갖게 된다.
다음으로 도 12 내지 도 18을 참고하여 운반 유닛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도 1에 도시한 운반 유닛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3은 도 2에 도시한 운반 유닛을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14는 도 13에 도시한 운반부를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15는 도 13에 도시한 운반 골조부 측면도이며, 도 16은 도 15에 도시한 운반 골조부 평면도이고, 도 17은 도 13에 도시한 대상물 옮김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18은 도 17에 도시한 옮김 클램핑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8을 참고하면, 운반 유닛(4)은 적층 유닛(2)에서 보관된 보관 대상물(UF)을 하우징(1)의 외부로 이동 시키는 것으로, 운반부(41), 대상물 옮김부(42), 그리고 운반 컨베이어(43)를 포함한다.
운반부(41)는 적층 골조부(21)의 타측에 배치되어 있다. 운반부(41)로 스토퍼 브래킷(242)이 하강한 상태에서 이송 컨베이어(31)가 구동하게 되면 이송 컨베이어(31)에 올려져 보관된 보관 대상물(UF)이 올려진다. 이러한 운반부(41)는 운반 서포터(412), 운반 골조부(412), 운반 승강부(413), 운반 롤러(414), 운반 구동부(415), 운반 스토퍼(417), 운반 엑추에이터(415e), 그리고 정렬 클램프(416)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운반부(41)는 도11에 도시한 입고부(33)의 실시예와 구체적으로 동일하다. 이에 따라 운반부(41)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운반 서포터(412)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적층 골조부(21)의 타측에 위치한 한 쌍의 수직 프레임(211)과 마주한다. 한 쌍의 운반 서포터(412)는 상부 연결바(도시하지 않음)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운반 골조부(412)는 세로 프레임과 가로 프레임이 서로 연결되어 틀을 형성한다. 운반 골조부(412)는 한 쌍의 운반 서포터(412) 사이에 위치한다. 운반 골조부(412)의 양단부는 운반 서포터(412)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운반 승강부(413)는 운반 골조부(412)를 승강 시키는 것으로 운반 승강 모터(415a) 및 운반 체인(415d)을 포함한다. 아울러, 운반 승강부(413)는 운반 엑추에이터(415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운반 승강 모터(415a)는 운반 서포터(412)의 상부 연결바의 중앙에 위치하며 감속기가 결합되어 있다. 감속기의 양측으로 샤프트가 결합되어 있으며 샤프트의 단부는 한 쌍의 운반 서포터(412)의 상부 측에 각각 위치한다. 샤프트의 단부는 운반 서포터(412)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3 치차(415b)와 동력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운반 서포터(412)의 하단부에는 제3 치차(415b)와 마주하는 제4 치차(415c)가 결합되어 있다.
운반 체인(415d)은 제3 치차(415b)와 제4 치차(415c)에 감아걸기 되어있다. 운반 체인(415d)의 적어도 일부분은 운반 골조부(412)와 연결되어 있다. 운반 체인(415d)이 움직이면 운반 골조부(412)는 운반 서포터(412)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승강할 수 있다. 운반 서포터(412)를 따라 이동하는 운반 골조부(412)는 복수의 적층 컨베이어(22) 중 어느 하나의 적층 컨베이어(22) 부분에서 멈출 수 있다.
운반 롤러(414)는 운반 골조부(412)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배열되어 있으며, 운반 롤러(414)들은 서로 동력 연결되어 있다. 운반 롤러(414)의 회전 방향은 적층 컨베이어(22)의 회전 방향과 동일하다. 적층 유닛(2)의 타측을 통과한 보관 대상물이 운반 롤러(414) 위로 올려질 수 있다. 한편, 첨부된 도면 및 전술한 설명에서 운반 골조부(412)에 운반 롤러(414)가 회전 가능 설치된 것으로 하였으나, 운반 롤러(414) 대신 운반 골조부(412)의 상면에 플레이트(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될 수 있다.
운반 스토퍼(417)는 적층 유닛(2)의 타측과 떨어져 있는 운반 골조부(412)의 일측에 장착되어 운반 롤러(414)를 사이에 두고 적층 컨베이어(22)와 마주한다. 이러한 운반 스토퍼(417)는 운반 롤러(414) 위로 올려진 보관 대상물(UF)이 운반 롤러(414) 위에서 지면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운반 스토퍼(417)는 적층 스토퍼(24)와 동일한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운반 엑추에이터(415e)는 운반 골조부(412)를 지지하는 것으로 하우징과 작동 로드로 이루어져 있다. 운반 엑추에이터(415e)의 하우징은 운반 서포터(412)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작동 로드는 하우징에 연결된 상태에서 운반 골조부(412)에 연결되어 있다. 운반 엑추에이터(415e)가 운반 골조부(412)를 지지하고 있으므로 운반 골조부(412)의 중량에 의하여 운반 승강부(413)에 발생하는 과부하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운반 승강부(413)가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정렬 클램프(416)는 운반 롤러(414) 위로 올려진 보관 대상물(UF)을 정렬하고, 보관 대상물(UF)이 운반 롤러(414) 위에서 지면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정렬 클램프(416)는 도 15 및 도 1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정렬 로드바(416a), 정렬 파지바(416b), 그리고 정렬 구동부(416c)를 포함한다.
정렬 로드바(416a)는 운반 골조부(412)의 하부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때 정렬 로드바(416a)는 운반 롤러(414)와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정렬 로드바(416a)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 상의 정렬 로드바(416a)는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마주하고 있다. 이때 한 쌍의 정렬 로드바(416a)는 적어도 일부분이 서로 마주한다. 정렬 로드바(416a)의 마주하는 부분에는 랙 기어(rack gear)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한 쌍의 정렬 로드바(416a)는 운반 골조부(412)의 저면 양측에 배열되어 있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정렬 로드바(416a)는 2개 1조로 이루어져 있다.
정렬 파지바(416b)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운반 롤러(414)의 양단부에 각각 배치되어 운반 롤러(414) 위에 위치한다. 정렬 파지바(416b)는 한 쌍의 정렬 로드바(416a)에 연결되어 있다.
정렬 구동부(416c)는 정렬 로드바(416a)를 직선 이동 시키는 것으로, 구동 피니언(416d), 구동 샤프트(416e), 구동 랙(416g), 그리고 정렬 엑추에이터(416h)를 포함한다.
구동 피니언(416d)은 한 쌍의 정렬 로드바(416a) 사이에 위치하여 랙 기어 부분에 결합되어 있다. 구동 피니언(416d)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정렬 로드바(416a)의 직선 이동 방향이 달라질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정렬 로드바(416a)의 이동 방향은 동일한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지 않고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직선이동 한다.
구동 샤프트(416e)는 운반 골조부(412)의 저면에 베어링하우징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때 구동 샤프트(416e)는 양측으로 떨어진 한 쌍의 정렬 로드바(416a) 사이에 위치한다. 그리고 구동 샤프트(416e)의 양단부에는 각각 한 쌍의 정렬 로드바(416a) 사이에 위치한 구동 피니언(416d)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구동 샤프트(416e)의 중앙에는 원동 피니언(416f)이 결합되어 있다.
구동 랙(416g)는 구동 샤프트(416e)를 회전 시키는 것으로 운반 골조부(412)의 저면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때 구동 랙(416g)은 구동 샤프트(416e)의 중앙에서 구동 샤프트(416e)와 수직하게 배치되어 있다. 구동 랙(416g)은 원동 피니언(416f)과 접하며 원동 피니언(416f)과 접하는 구동 랙(416g) 부분에는 랙 기어들이 형성되어 있다. 구동 랙(416g)이 직선 이동하게 되면 원동 피니언(416f)에 의하여 구동 샤프트(416e)가 회전할 수 있다.
정렬 엑추에이터(416h)는 구동 랙(416g)을 직선 이동 시키는 것으로 공기압에 의하여 작동한다. 정렬 엑추에이터(416h)의 하우징은 운반 골조부(412)의 저면에 결합되어 있으며 작동 로드는 하우징에 연결된 상태에서 구동 랙(416g)에 결합되어 있다. 작동 로드의 이동 방향에 따라 구동 랙(416g)이 직선 이동하여 원동 피니언(416f)이 결합된 구동 샤프트(416e)를 회전 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정렬 엑추에이터(416h)에 의하여 원동 피니언(416f)이 구동하면 한 쌍의 정렬 로드바(416a)가 움직일 수 있다. 이때 정렬 로드바(416a)의 움직이는 방향에 따라 한 쌍의 정렬 파지바(416b)의 간격이 좁혀지거나 넓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정렬 파지바(416b)는 운반 롤러(414) 위에 올려진 보관 대상물(UF)의 양측면에 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렬 파지바(416b)에 의하여 운반 롤러(414) 위로 올려진 보관 대상물(UF)이 정렬되며, 보관 대상물(UF)이 운반 롤러(414)에서 지면으로 낙하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대상물 옮김부(42)는 운반부(41) 위에 놓인 보관 대상물(UF)을 옮기는 것으로, 도 17 및 도 1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대상물 옮김부(42)는 옮김 서포터(421), 옮김 승강부(422), 그리고 옮김 클램핑부(423)를 포함한다.
옮김 서포터(421)는 운반 서포터(412)와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다. 옮김 서포터(421)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하부측이 지면에 견고히 고정되어 있다. 아울러, 첨부된 도면에서 옮김 서포터(421)가 상하 방향으로 수직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옮김 서포터(421)는 좌우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옮김 서포터(421)는 운반부(41)와 운반 컨베이어(43)에 걸쳐 배치된다.
옮김 승강부(422)는 승강 플레이트(422a), 옮김 구동 모터(422b), 그리고 옮김 체인(422c)을 포함한다.
승강 플레이트(422a)는 옮김 서포터(421)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때 승강 플레이트(422a)의 일측이 옮김 서포터(421)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측은 운반부(41)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승강 플레이트(422a)와 옮김 서포터(421)가 서로 접하는 부분에는 가이드 레일(424)과 가이드 롤러(425)가 배치되어 있다. 가이드 롤러(425)는 승강 플레이트(422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가이드 레일(424)은 옮김 서포터(421)의 상하 길이 방향을 따라 결합되어 있다. 가이드 롤러(425)와 가이드 레일(424)에 의하여 승강 플레이트(422a)는 옮김 서포터(421)에서 흔들리지 않고 반듯하게 승강할 수 있다.
옮김 구동 모터(422b)는 승강 플레이트(422a)가 옮김 서포터(421)를 따라 승강할 수 있도록 동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옮김 서포터(421)의 하부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옮김 구동 모터(422b)는 옮김 서포터(421)의 상부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아울러 옮김 구동 모터(422b)의 회전비를 조절하는 감속기가 결합되어 있다.
옮김 체인(422c)은 옮김 구동 모터(422b)와 승강 플레이트(422a)를 연결한다. 옮김 체인(422c)은 2개1조로 이루어져 있다. 옮김 체인(422c)의 일측은 옮김 구동 모터(422b)에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옮김 서포터(421)의 상부를 통하여 승강 플레이트(422a)에 연결되어 있다. 옮김 체인(422c)의 제1 옮김 체인 타측은 승강 플레이트(422a)의 일측에 연결되어 있고 제2 옮김 체인의 타측은 승강 플레이트(422a)의 타측에 연결되어 있다.
아울러, 옮김 서포터(421)의 상부에는 옮김 체인(422c)이 걸리는 도르래가 결합되어 있다. 도르래에 의하여 승강 플레이트(422a)를 승강 시키는 힘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옮김 구동 모터(422b)의 구동 방향에 따라 옮김 체인(422c)이 이동하며 이때 옮김 체인(422c)의 이동방향에 따라 승강 플레이트(422a)가 옮김 서포터(421)를 따라 승강할 수 있다.
옮김 클램핑부(423)는 운반 롤러(414) 위에 놓은 보관 대상물(UF)을 파지하여 옮기는 것으로 신장부(423b), 클램핑 베이스(423c), 그리고 옮김 파지부(423d)를 포함한다.
신장부(423b)는 승강 플레이트(422a)에 연결되어 있으며 길이가 가변 될 수 있는 것으로 신장 로드(426) 및 신장 구동부(428)를 포함한다.
신장 로드(426)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승강 플레이트(422a)의 타측 하부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신장 로드(426)는 각각 제1 로드(426a), 제2 로드(426b), 그리고 제3 로드(426c)를 포함한다.
제1 로드(426a)는 승강 플레이트(422a)의 하부에 결합되어 있다. 제1 로드(426a)의 저면은 길이방향을 따라 개방되어 있다. 아울러, 제1 로드(426a)의 내부에는 제1 로드(426a)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제1 롤러(427a)들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아울러, 제1 로드(426a)의 중앙에는 제1 신장 피니언(427b)들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제2 로드(426b)는 제1 로드(426a)의 내부에 위치하여 제1 로드(426a) 내부에 결합된 제1 롤러(427a)들에 지지되어 있다. 제2 로드(426b)는 제1 롤러(427a)들에 의하여 제1 로드(426a)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이동 할 수 있다. 아울러, 제2 로드(426b)의 상면에는 제1 신장 피니언(427b)에 맞물리는 랙 기어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신장 피니언(427b)의 회전에 의하여 제2 로드(426b)가 제1 로드(426a) 내에서 직선이동 할 수 있다. 이때 제1 신장 피니언(427b)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제2 로드(426b)가 제1 로드(426a) 내부로 삽입되거나 내부에서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로드(426b)의 중앙 부분에는 제2 로드(426b) 길이방향을 따라 제2 신장 피니언(427d)들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제2 신장 피니언(427d)은 제2 로드(426b)가 제1 로드(426a) 내부로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만 제1 신장 피니언(427b)에 맞물릴 수 있다. 아울러 제2 신장 피니언(427d)과 제1 신장 피니언(427b)의 기어 비율은 다르다. 제2 신장 피니언(427d)이 제1 신장 피니언(427b) 보다 기어 비율이 적다.
제3 로드(426c)는 제2 로드(426b)의 내부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제3 로드(426c)와 제2 로드(426b)가 접하는 부분에는 로드 길이 방향을 따라 제2 롤러(427c)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제2 롤러(427c)에 의하여 제3 로드(426c)는 로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이동 할 수 있다. 아울러, 제3 로드(426c)의 상면에는 제2 신장 피니언(427d)들에 맞물리는 랙 기어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신장 피니언(427d)의 회전에 의하여 제3 로드(426c)가 제2 로드(426b) 내에서 직선이동 할 수 있다. 제2 신장 피니언(427d)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제3 로드(426c)가 제2 로드(426b) 내부로 삽입되거나 내부에서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아울러, 제2 신장 피니언(427d)은 제1 신장 피니언(427b)에 맞물린 상태에서만 회전한다.
신장 구동부(428)는 신장부(423b)의 길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제1 신장 피니언(427b)을 동작 시키는 것으로, 승강 플레이트(422a)의 타측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신장 구동부(428)는 구동 모터 및 구동 샤프트를 포함한다. 구동 모터는 승강 플레이트(422a)의 타측 중앙에 배치되어 있다. 구동 모터는 감속기를 포함한다. 구동 샤프트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감속기의 양측에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구동 샤프트의 단부에는 제1 로드(426a)에 결합된 제1 신장 피니언(427b)에 결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신장 구동부(428)에 의하여 제1 신장 피니언(427b)이 동작할 수 있다.
한편, 제1 로드(426a)의 단부에는 제2 로드(426b)의 인출 정도를 감지하는 센서(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제3 로드(426c)가 제2 로드(426b) 내부에 위치하고, 제2 로드(426b)가 제1 로드(426a) 내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1 신장 피니언(427b)이 동작하면, 제2 로드(426b)가 제1 로드(426a) 외부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로드(426b)가 이동할 때 제2 신장 피니언(427d)이 제1 신장 피니언(427b)에 맞물리게 되면 제2 신장 피니언(427d)이 동작하게 된다. 이때 제3 로드(426c)는 제2 로드(426b) 내부에서 외부로 이동하게 된다. 제2 로드(426b)가 이동하면서 제2 신장 피니언(427d)이 제1 신장 피니언(427b)을 벗어나게 되면 제2 신장 피니언(427d)은 더 이상 회전되지 않고 제3 로드(426c)는 제2 로드(426b) 외부로 인출되지 않는다. 이때 제3 로드(426c)의 적어도 일부분은 제2 신장 피니언(427d)에 물려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제1 신장 피니언(427b)은 지속적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제2 로드(426b)는 제1 로드(426a) 외부로 지속적으로 인출된다. 이때 센서가 제2 로드(426b)의 인출 정도를 감지하게 된다. 제2 로드(426b)가 설정된 길이만큼 인출되면 센서는 이를 감지하여 신장 구동부(428)가 멈추도록 한다. 이때 제2 로드(426b)의 적어도 일부분은 제1 신장 피니언(427b)에 물려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이렇게 제2 로드(426b), 제3 로드(426c)가 인출되면 제3 로드(426c)의 단부는 운반부(41)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제2 로드(426b), 제3 로드(426c)가 각각 입고되면 제3 로드(426c)의 단부는 운반부(41)의 상부에서 벗어나게 된다.
한편, 위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신장부(423b)가 복수의 로드가 움직여 신장부(423b)의 길이가 조절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신장부(423)는 가이드 레일(도시하지 않음)을 따라 직선 이동하는 프레임으로 형성될 수 있다.
클램핑 베이스(423c)는 제3 로드(426c)의 단부에 결합되어 있다. 클램핑 베이스(423c)는 세로바와 가로바가 서로 연결되어 틀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클램핑 베이스(423c)는 제3 로드(426c)를 따라 이동하여 운반부(41) 상부에 위치하거나, 운반부(41)의 상부에서 벗어날 수 있다.
옮김 파지부(423d)는 운반부(41)에 놓인 보관 대상물(UF)을 잡는 것으로, 로드바(428a), 옮김 파지바(428b), 그리고 파지 구동부(428c)를 포함한다.
로드바(428a)는 클램핑 베이스(423c)의 저면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로드바(428a)와 클램핑 베이스(423c)가 접하는 부분에는 가이드블록이 형성되어 있다. 로드바(428a)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소정의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다. 이때 한 쌍의 로드바(428a)는 좌우 방향으로 떨어져 있다. 한 쌍의 로드바(428a)는 적어도 일부분이 서로 중첩되어 있다. 한 쌍의 로드바(428a)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직선 이동한다. 이러한 한 쌍의 로드바(428a)는 클램핑 베이스(423c)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옮김 파지바(428b)는 한 쌍의 로드바(428a) 양단부에 결합되어 있다. 옮김 파지바(428b)는 클램핑 베이스(423c)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로드바(428a)의 양측 단부를 서로 연결한다. 옮김 파지바(428b)는 운반부(41)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옮김 파지바(428b)는 로드바(428a)를 따라 이동한다. 로드바(428a)의 이동 방향에 따라 로드바(428a) 양단부에 결합된 옮김 파지바(428b)의 간격은 좁혀지거나 멀어질 수 있다. 옮김 파지바(428b)의 간격은 보관 대상물(UF)의 부피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파지 구동부(428c)는 한 쌍의 로드바(428a)를 직선 이동 시키는 것으로, 파지 피니언(429a), 파지 랙(429b), 그리고 파지 엑추에이터(429c)를 포함한다.
파지 피니언(429a)은 한 쌍의 로드바(428a)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파지 피니언(429a)의 회전에 의하여 한 쌍의 로드바(428a)가 직선 이동한다. 파지 피니언(429a)의 회전 방향에 따라 로드바(428a)의 직선 이동 방향이 달라질 수 있다.
파지 랙(429b)은 클램핑 베이스(423c)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파지 랙(429b)과 클램핑 베이스(423c)가 접하는 부분에는 가이드 블록이 결합되어 있다. 직선이동 하는 파지 랙(429b)은 가이드 블록의 가이드로 반듯하게 이동할 수 있다. 아울러, 파지 랙(429b)은 클램핑 베이스(423c)의 양측에 위치한 한 쌍의 로드바(428a)를 걸쳐 배치되어 있다. 파지 랙(429b)은 한 쌍의 로드바(428a) 사이에 위치한 파지 피니언(429a)에 맞물려 있다.
파지 엑추에이터(429c)는 파지 랙(429b)과 평행하게 연결되어 있다. 파지 엑추에이터(429c)는 공기압에 의해 작동한다. 파지 엑추에이터(429c)의 작동 로드는 파지 랙(429b)과 연결되어 있다. 파지 엑추에이터(429c)의 작동 로드의 동작에 따라 파지 랙(429b)은 직선이동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옮김 파지부(423d)가 운반부(41)에 놓인 보관 대상물(UF)을 잡기 위하여 신장 로드(426)는 길이가 늘어난 상태이며 옮김 파지바(428b)는 운반부(41) 위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옮김 파지바(428b)가 최대로 벌어진 상태에서 파지 엑추에이터(429c)의 작동 로드가 하우징에서 인출되면 파지 랙(429b)은 일방향으로 직선 이동하게 된다. 파지 랙(429b)과 맞물린 파지 피니언(429a) 또한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파지 피니언(429a)이 회전하면 한 쌍의 로드바(428a)는 직선 이동하게 된다. 이때 한 쌍의 로드바(428a)는 점차적으로 서로 중첩되며 옮김 파지바(428b)의 간격이 좁혀지게 된다. 간격이 좁혀진 옮김 파지바(428b)는 운반부(41)에 놓인 보관 대상물(UF)의 측면에 접하면서 보관 대상물(UF)을 파지하게 된다.
옮김 파지바(428b)가 운반부(41)에 놓인 보관 대상물(UF)을 잡게 되면 신장 로드(426)의 길이가 줄어들게 된다. 그러면 옮김 클램핑부(423)는 운반부(41)를 벗어나게 된다. 그리고 옮김 승강부(422)가 하강하면 옮김 클램핑부(423)는 지면을 향하여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파지 엑추에이터(429c)의 작동 로드가 하우징 내부로 인입되면 한 쌍의 로드바(428a)의 중첩 부분이 점차적으로 벗어나게 되며 옮김 파지바(428b)의 간격은 점차적으로 멀어지게 된다. 간격이 멀어지는 옮김 파지바(428b)는 파지하고 있던 보관 대상물(UF)을 내려 놓게 된다.
운반 컨베이어(43)는 운반 서포터(412)와 옮김 서포터(421) 사이에 위치하여 옮김 파지바(428b)가 내려 놓은 보관 대상물(UF)이 놓인다. 이러한 운반 컨베이어(43)의 일측은 보관 공간(11)에 위치하고 타측은 출구(13)를 통하여 하우징(1)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이에 따라 운반 컨베이어(43)는 보관된 보관 대상물(UF)을 하우징(1)의 외부로 운반한다.
이러한 운반 컨베이어(43)는 컨베이어 골조(431), 컨베이어 롤러(432), 그리고 컨베이어 구동부(433)를 포함한다.
컨베이어 골조(431)는 수직바, 세로바, 가로바가 서로 연결되어 틀을 이룬다. 컨베이어 골조(431)는 일측이 보관 공간(11)에 위치하고 타측이 하우징(1)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아울러, 하우징(1) 외부로 노출된 컨베이어 골조(431)의 타측 부분은 다수개로 구획되어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다.
컨베이어 롤러(432)는 컨베이어 골조(431)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컨베이어 롤러(432)는 컨베이어 골조(4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 컨베이어 롤러(432)는 적층 컨베이어(22)와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아울러, 컨베이어 롤러(432)는 서로 동력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하나의 컨베이어 롤러(432)가 회전하면 모든 컨베이어 롤러(432)가 동시에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컨베이어 롤러(432) 위로 대상물 옮김부(42)에 의해 운반부(41)에서 옮겨진 보관 대상물(UF)이 놓일 수 있다.
컨베이어 구동부(433)는 컨베이어 골조(431)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컨베이어 롤러(432)와 동력 연결되어 있다. 컨베이어 구동부(433) 구동으로 컨베이어 롤러(432)가 회전하면 보관 대상물(UF)은 보관 공간(11)에서 하우징(1)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아울러, 하우징(1) 외부로 인출된 보관 대상물(UF)은 컨베이어 골조(431)의 구획된 부분에 위치하면, 지게차와 같은 장비를 이용하여 보관 대상물(UF)을 운반 컨베이어(43)에서 들어내어 보관 장소로 운반할 수 있다.
아울러, 위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 운반 유닛(4)은 적층 유닛(2)의 타측에 설치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운반 유닛(4)은 적층 유닛(2)의 타측에 설치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즉, 운반 유닛(4)이 독립적으로 사용될 경우 운반부(41)에 놓인 대상물을 대상물 옮김부(42)가 대상물을 잡아 들어 올려 컨베이어 또는 팔레트(도시하지 않음) 위에 놓아 적층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적층 유닛(2)의 하부에는 적층 유닛(2) 내부로 열을 가하는 히팅부(5)가 설치되어 있다. 히팅부(5)는 열선 따위로 형성될 수 있다. 히팅부(5)는 20ㅀ내지 30ㅀ 정도로 발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적층 유닛(2)의 내부는 20ㅀ내지 30ㅀ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아울러 적층 유닛(2)의 내부 온도가 20ㅀ이하로 형성될 경우 적층 컨베이어(22)에 위치한 보관 대상물(UF)의 보관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이때 보관 대상물이 숙성물인 경우 보관 대상물(UF)에 크랙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적층 유닛(2)의 둘레를 따라 히팅부(5)에서 발생한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커튼부(6)가 설치되어 있다. 아울러, 적층 유닛(2)의 일측과 타측 부분에 위치한 커튼부(6)는 각 적층 컨베이어(22) 마다 구획되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커튼부(6)는 합성수지, 에어 커튼 따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커튼부(6)의 종류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입고 유닛(3), 적층 유닛(2), 그리고 운반 유닛(4)에는 보관 대상물(UF)을 감지하는 센서(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센서는 컨트롤러(도시하지 않음)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컨트롤러의 조작에 의하여 입고 유닛(3), 적층 유닛(2), 그리고 운반 유닛(4)들이 동작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 및 도 2를 다시 참고하여 보관 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히팅부(5)의 작동으로 적층 유닛(2) 내부가 보관 대상물(UF)의 보관 온도를 유지한다. 그리고 보관할 보관 대상물(UF)이 보관 공간(11)으로 유입되어 입고 유닛(3)의 이송 컨베이어(31) 위로 올려질 수 있다. 보관 대상물(UF)이 이송 컨베이어(31)에 올려지면 이동부(32)가 작동하여 이송 컨베이어(31) 위에 올려진 보관 대상물(UF)을 입고부(33) 위로 이동시킨다. 보관 대상물(UF)이 이송 컨베이어(31)에서 입고부(33)로 이동할 때 보관 대상물(UF)은 제2 이송 롤러에 지지된 상태가 된다.
보관한 보관 대상물(UF)이 입고부(33)에 위치하면 입고부(33)는 승강하여 적층 유닛(2)의 복수의 적층 컨베이어(22)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적층 컨베이어(22)로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져 보관할 보관 대상물(UF)이 적층 컨베이어(22) 위로 순차적으로 공급된다. 적층 컨베이어(22) 위로 올려진 보관 대상물(UF)은 적층 유닛(2)의 일측에서부터 타측으로 이동하면서 보관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보관 대상물(UF)이 숙성물인 경우 숙성물은 숙성이 이루어진다. 아울러, 보관 대상물이 숙성물이면 숙성물의 숙성을 위해 보관 시간은 시간은 대략 8시간 내지 10시간 동안 이루어질 수 있다.
보관 대상물(UF)의 보관이 완료되면 보관 대상물(UF)이 적층 유닛(2)의 타측을 통과할 수 있도록 적층 스토퍼(24)는 하강한다. 그리고 운반하고자 하는 보관 대상물(UF)이 위치한 적층 컨베이어(22)와 동일 선상으로 운반부(41)의 운반 골조부를 위치시킨다. 운반 골조부(412)가 위치하면 적층 컨베이어(22)를 구동시켜 보관 대상물(UF)은 운반부(41) 운반 롤러 위로 이동시킨다.
보관 대상물(UF)이 운반부(41)에 위치하면 대상물 옮김부(42)의 옮김 클램핑부(423)의 옮김 파지부(423d)를 운반부(41) 위로 위치시켜 옮김 파지부(423d)가 보관 대상물(UF)을 파지하도록 한다. 옮김 파지부(423d)가 보관 대상물(UF)을 파지면 옮김 파지부(423d)는 운반 컨베이어(43) 위로 이동하여 운반 컨베이어(43)에 보관 대상물(UF)을 내려 놓도록 한다.
보관 대상물(UF)이 운반 컨베이어(43)에 놓이면 운반 컨베이어(43)는 보관 대상물(UF)은 보관 공간(11) 외부로 운반한다.
이와 같은 입고 유닛(3)이 보관할 보관 대상물(UF)을 적층 유닛(2)으로 유입시키고, 적층 유닛(2)은 보관 대상물(UF)을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일정 시간 동안 보관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운반부(41)가 적층 유닛(2)에서 보관된 보관 대상물(UF)을 하우징 외부로 운반하게 되면서 모든 과정이 무인 자동화로 이루어져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하우징(1)의 보관 공간(11) 내에 입고 유닛(3), 적층 유닛(2), 그리고 운반 유닛(4)이 수차적으로 설치되므로 좁은 장소에서도 보관 대상물(UF)을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다. 또한 보관 대상물이 숙성물인 경우 보관 대상물은 안정적으로 숙성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관 창고는 도 1 내지 도 18에 도시한 실시예의 하우징(1), 입고 유닛(3), 적층 유닛(2), 그리고 운반 유닛(4)과 동일한 것이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보관 대상물 보관 창고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반 장치에 대하여 도 19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반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9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운반 장치(7)는 우레탄폼, 압력 용기 따위로 이루어지는 대상물(UF)을 운반하여 적층하는 것으로 운반 골조부(71), 대상물 옮김부 그리고 적재부(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적재부는 이송 컨베이어 또는 팔레트 따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운반 골조부(71)는 적층하기 위하여 유입되는 대상물(UF)를 지지한다. 운반 골조부(71)에는 대상물(UF)의 유입을 도모하는 롤러들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롤러들은 생략될 수 있다. 이때 운반 골조부에는 대상물(UF)을 지지하는 플레이트가 설치될 수 있다.
운반 골조부(71)에는 유입된 대상물(UF)을 기설정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정렬하는 정렬 클램프(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정렬 클램프는 한 쌍의 정렬 로드바, 정렬 파지바, 그리고 정렬 구동부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정렬 클램프는 도 15 및 도 16에서 도시한 한 쌍의 정렬 로드바, 정렬 파지바, 그리고 정렬 구동부와 같은 구성 및 작용을 가지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대상물 옮김부는 운반 골조부(71)로 운반된 대상물(UF)을 잡아 적재부로 옮기는 것으로 옮김 서포터(72), 옮김 승강부(73), 옮김 클램핑부(74)를 포함한다.
옮김 서포터(72)는 운반부(71)와 적재부를 걸쳐 배치되어 있다. 옮김 승강부(73)는 옮김 서포터(72)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옮김 클램핑부(74)는 옮김 승강부(73)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운반 골조부(72)로 유입된 대상물(UF)을 잡을 수 있다. 즉, 옮김 승강부(73)가 운반 골조부(71) 위에 있는 상태에서 운반 골조부(71)로 유입된 대상물(UF)을 옮김 클램핑부(74)가 잡으면 옮김 승강부(73)는 적재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옮김 클램핑부(74)는 잡고 있는 대상물(UF)을 적재부()에 내려 놓게 된다.
이와 같은 대상물 옮김부의 옮김 서포터(72), 옮김 승강부(73), 옮김 클램핑부(74)는 도 17 및 도 18에 도시한 옮김 서포터, 옮김 승강부, 그리고 옮김 클램핑부와 같은 구성 및 작용을 가지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도 17 및 도 18에 도시한 옮김 서포터가 상하 방향으로 수직한 것이라면 본 실시예에 따른 옮김 서포터(72)는 좌우 방향으로 평행할 수 있다.
도 1 및 도 18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살펴본 많은 특징들이 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하우징 11: 보관 공간
12: 입구 13: 출구
2: 적층 유닛
21: 적층 골조부 211: 수직 프레임
212: 수평 프레임 213: 연결 프레임
22: 적층 컨베이어 221: 원동 샤프트
221a: 원동 치차 222: 치차 구동부
223: 종동 샤프트 223a: 종동 치차
224: 연결 체인 225: 처짐 방지 부재
226: 장력 조절부 226a: 장력 프레임
226b: 이동 블록 226c: 조절 스크류
23: 가이드 지지부 231: 지지 브래킷
232: 지지 롤러 24: 적층 스토퍼
241: 스토퍼 엑추에이터 242: 스토퍼 브래킷
25: 이탈 방지 부재
3: 입고 유닛
31: 이송 컨베이어 311: 이송 골조부
312: 제1 이송 롤러 312a: 제1 구동 모터
313: 제2 이송 롤러 314: 이송 승강부
314a: 승강 모터 314b: 승강 프레임
315: 이송 가이드 브래킷 316: 센서부
32: 이동부 321: 이동 골조부
322: 대상물 가압부 322a: 가이드 레일
323: 이동 구동부 323a: 이동 모터
232b: 이동 스크류 323c: 이동 블록
33: 입고부 331: 입고 서포터
332: 입고 골조부 333: 입고 승강부
333a: 입고 승강 모터 333b: 제1 치차
333c: 제2 치차 333d: 입고 체인
333e: 입고 엑추에이터 334: 입고 롤러
335: 입고 구동부 336: 입고 스토퍼
4: 운반 유닛
41: 운반부 411: 운반 서포터
412: 운반 골조부 413: 운반 승강부
414: 운반 롤러 415: 운반 구동부
415a: 운반 승강 모터 415b: 제3 치차
415c: 제4 치차 415d: 운반 체인
415e: 운반 엑추에이터 416: 정렬 클램프
416a: 정렬 로드바 416b: 정렬 파지바
416c: 정렬 구동부 416d: 구동 피니언
416e: 구동 샤프트 416f: 원동 피니언
416g: 구동 랙 416h: 정렬 엑추에이터
417: 운반 스토퍼 42: 대상물 옮김부
421: 옮김 서포터 422: 옮김 승강부
422a: 승강 플레이트 422b: 옮김 구동 모터
422c: 옮김 체인 423: 옮김 클램핑부
424: 가이드 레일
425: 가이드 롤러 423b: 신장부
426: 신장 로드 426a: 제1 로드
427a: 제1 롤러 427b: 제1 신장 피니언
426b: 제2 로드 427c: 제2 롤러
427d: 제2 신장 피니언 426c: 제3 로드
428: 신장 구동부 423c: 클램핑 베이스
423d: 옮김 파지부 428a: 로드바
428b: 옮김 파지바 428c: 파지 구동부
429a: 파지 피니언 429b: 파지 랙
429c: 파지 엑추에이터 43: 운반 컨베이어
431: 컨베이어 골조 432: 컨베이어 롤러
433: 컨베이어 구동부
5: 히팅부 6: 커튼부
UF: 운반 대상물 P: 원동 치차 상사점

Claims (21)

  1. 적층 골조부와, 상기 적층 골조부에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어 복수의 층을 이루는 적층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적층 유닛,
    상기 적층 유닛 일측에 위치하고 선택된 어느 하나의 상기 적층 컨베이어에 보관 대상물을 입고시키는 입고 유닛, 그리고
    상기 적층 유닛 타측에 위치하고 선택된 어느 하나의 상기 적층 컨베이어에서 배출되는 상기 보관 대상물을 운반하는 운반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적층 컨베이어는 상기 보관 대상물을 지지하고, 지지하는 상기 보관 대상물을 이동시키는
    보관 장치.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적층 유닛은,
    상기 적층 컨베이어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입고 유닛에서 상기 적층 컨베이어로입고되는 상기 보관 대상물을 지지하는 가이드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보관 장치.
  4. 제1항에서,
    상기 적층 유닛은,
    상기 적층 컨베이어 후방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적층 컨베이어로 입고된 상기 보관 대상물이 상기 적층 컨베이어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적층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보관 장치.
  5. 제1항에서,
    상기 입고 유닛은,
    상기 입고 유닛에 입고하기 위한 상기 보관 대상물이 올려지는 이송 컨베이어,
    상기 이송 컨베이어와 상기 적층 골조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보관 대상물을 선택된 어느 하나의 상기 적층 컨베이어로 입고 시키는 입고부, 그리고
    상기 이송 컨베이어를 사이에 두고 상기 입고부와 마주하고, 상기 이송 컨베이어에 올려진 상기 보관 대상물을 상기 입고부로 이동시키는 이동부
    를 포함하는
    보관 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이송 컨베이어는,
    이송 골조부,
    상기 이송 골조부 상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적층 유닛과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제1 이송 롤러들,
    상기 제1 이송 롤러들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적층 유닛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제2 롤러들, 그리고
    상기 이송 골조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2 이송 롤러들을 승강 시키는 이송 승강부
    를 포함하는
    보관 장치.
  7. 제5항에서,
    상기 입고부는,
    입고 서포터,
    상기 입고 서포터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선택된 어느 하나의 상기 적층 컨베이어와 마주할 수 있는 입고 골조부,
    상기 입고 골조부 상면에 배열되어 있고 상기 적층 유닛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입고 롤러들, 그리고
    상기 입고 롤러를 회전시키는 입고 구동부
    를 포함하는
    보관 장치.
  8. 제5항에서,
    상기 이동부는,
    이동 골조부,
    상기 이동 골조부 상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이송 컨베이어에 올려진 상기 보관 대상물을 상기 입고부로 가압하는 대상물 가압부, 그리고
    상기 이동 골조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대상물 가압부를 직선 이동 시키는 이동 구동부
    를 포함하는
    보관 장치.
  9. 제1항에서,
    상기 운반 유닛은,
    선택된 어느 하나의 상기 적층 컨베이어에 보관된 상기 보관 대상물이 유입될 수 있는 운반부,
    상기 운반부와 이웃하고 상기 운반부로 유입된 상기 보관 대상물이 놓일 수 있고, 놓인 상기 보관 대상물을 운반하는 운반 컨베이어, 그리고
    상기 운반부에 위치한 상기 보관 대상물을 상기 운반 컨베이어로 옮기는 대상물 옮김부
    를 포함하는
    보관 장치.
  10. 제9항에서,
    상기 운반부는,
    운반 서포터 및 상기 운반 서포터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선택된 어느 하나의 상기 적층 컨베이어와 마주할 수 있는 운반 골조부를 포함하는 보관 장치.
  11. 제10항에서,
    상기 운반부는,
    상기 운반 골조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열되어 있고, 상기 적층 유닛에서 유입된 상기 보관 대상물이 올려질 수 있는 운반 롤러들,
    상기 운반 롤러들을 회전시키는 운반 구동부, 그리고
    상기 운반 롤러들 양측에 위치하고, 상기 운반 롤러 위로 운반된 상기 보관 대상물을 정렬하는 정렬 클램프를
    더 포함하는 보관 장치.
  12. 제11항에서,
    상기 정렬 클램프는,
    상기 운반 골조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정렬 로드바,
    상기 정렬 로드바에 수직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운반 롤러 위로 운반된 상기 보관 대상물에 접할 수 있는 정렬 파지바, 그리고
    한 쌍의 상기 정렬 로드바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정렬 로드바를 직선 이동시켜 간격을 조절하는 정렬 구동부
    를 포함하는
    보관 장치.
  13. 제11항에서,
    상기 운반부는,
    상기 운반 골조부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운반 롤러들에 올려진 상기 보관 대상물의 낙하를 방지하는 운반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보관 장치.
  14. 제9항에서,
    상기 대상물 옮김부는,
    상기 운반부와 상기 운반 컨베이어 사이에 배치된 옮김 서포터,
    상기 옮김 서포터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옮김 승강부, 그리고
    상기 옮김 승강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운반부로 유입된 상기 보관 대상물을 이동시킬 수 있는 옮김 클램핑부
    를 포함하는
    보관 장치.
  15. 제14항에서,
    상기 옮김 클램핑부는,
    일측이 상기 옮김 승강부와 연결되어 있고 길이가 가변 될 수 있는 신장부,
    상기 신장부 타측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운반부 또는 상기 운반 컨베이어 중 선택된 어느 하나와 마주할 수 있는 클램핑 베이스, 그리고
    상기 클램핑 베이스에 간격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운반부에 위치한 상기 보관 대상물을 잡을 수 있는 옮김 파지부
    를 포함하는
    보관 장치.
  16. 제15항에서,
    상기 옮김 파지부는,
    상기 클램핑 베이스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로드바,
    상기 한 쌍의 로드바 외측 단부에 각각 수직하게 설치되어 서로 마주하며 상기 보관 대상물에 접할 수 있는 옮김 파지바, 그리고
    상기 한 쌍의 로드바 외측 단부가 서로 근접되거나 멀어지도록 하여 상기 옮김 파지바의 간격을 조절하는 파지 구동부
    를 포함하는
    보관 장치.
  17. 제1항에서,
    상기 적층 유닛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어 있는 커튼부를 더 포함하는 보관 장치.
  18. 제1항에서,
    상기 적층 유닛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히팅부를 더 포함하는 보관 장치.
  19. 제1항, 제3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되어 있는 보관 장치 및
    상기 보관 장치가 위치하는 보관 공간을 갖는 하우징
    을 포함하는 보관 창고.
  20. 삭제
  21. 삭제
KR1020120117479A 2012-10-22 2012-10-22 운반 장치, 보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보관 창고 KR1012922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7479A KR101292245B1 (ko) 2012-10-22 2012-10-22 운반 장치, 보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보관 창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7479A KR101292245B1 (ko) 2012-10-22 2012-10-22 운반 장치, 보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보관 창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2245B1 true KR101292245B1 (ko) 2013-08-01

Family

ID=49219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7479A KR101292245B1 (ko) 2012-10-22 2012-10-22 운반 장치, 보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보관 창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224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29147A (zh) * 2016-10-26 2017-02-22 广州市杰兴制衣有限公司 一种婴童服装抽湿房自动仓储系统
CN111637677A (zh) * 2020-07-01 2020-09-08 中国水产科学研究院渔业机械仪器研究所 一种循环冷却过程中的转运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6442B1 (ko) * 1986-12-25 1992-08-06 가부시기가이샤 이도오기 고오사꾸쇼 물품의 자동보관 검색장치
JPH11137071A (ja) * 1997-11-06 1999-05-25 Daifuku Co Ltd 農水産物処理システム
KR200368508Y1 (ko) * 2004-06-08 2004-11-20 조성각 거푸집패널의 자동적재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6442B1 (ko) * 1986-12-25 1992-08-06 가부시기가이샤 이도오기 고오사꾸쇼 물품의 자동보관 검색장치
JPH11137071A (ja) * 1997-11-06 1999-05-25 Daifuku Co Ltd 農水産物処理システム
KR200368508Y1 (ko) * 2004-06-08 2004-11-20 조성각 거푸집패널의 자동적재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29147A (zh) * 2016-10-26 2017-02-22 广州市杰兴制衣有限公司 一种婴童服装抽湿房自动仓储系统
CN106429147B (zh) * 2016-10-26 2019-03-01 广州市杰兴制衣有限公司 一种婴童服装抽湿房自动仓储系统
CN111637677A (zh) * 2020-07-01 2020-09-08 中国水产科学研究院渔业机械仪器研究所 一种循环冷却过程中的转运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027555A1 (en) Palletizer with box layer preparation
CN211517832U (zh) 一种地板生产线的单层地板上料设备
KR101292245B1 (ko) 운반 장치, 보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보관 창고
CN113291830A (zh) 一种码垛流水线
KR101776095B1 (ko) 중력 가압셔틀부를 이용한 진공단열재 자동화 제조장치
CN109733893A (zh) 矿棉生产线自动码垛系统
KR101361106B1 (ko) 박스묶음 자동 적재장치
KR102395253B1 (ko) 압출프레임 자동제조시스템
CN216140901U (zh) 高速周转箱拆垛机
CN114435896A (zh) 一种复判缓存设备及复判缓存方法
US3203560A (en) Article layer stacking apparatus
KR101985306B1 (ko) 샌드위치패널 적층장치
KR0125110Y1 (ko) 자동화물 적재기
CN219791470U (zh) 一种托板转运循环系统
US6209709B1 (en) Dunnage infeed station
CN114013154B (zh) 一种夹层玻璃的生产设备及生产方法
CN218083817U (zh) 一种压制板材下料装置
CN214779098U (zh) 一种单台辊台并板装置
CN217376276U (zh) 物流自动化装卸机器人
KR102438879B1 (ko) 보드 밴딩장치
CN220924640U (en) Reciprocating type packing and offline system for AAC (advanced ceramic) plate finished products
CN217457602U (zh) 双向升降输送机
CN214003094U (zh) 一种多工位入库摆渡车
CN217755796U (zh) 一种下料机构
CN217426701U (zh) 一种多层缓存巷道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