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2023B1 - 콤바인 엔진 냉각팬 정역전 장치 - Google Patents

콤바인 엔진 냉각팬 정역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2023B1
KR101292023B1 KR1020110144523A KR20110144523A KR101292023B1 KR 101292023 B1 KR101292023 B1 KR 101292023B1 KR 1020110144523 A KR1020110144523 A KR 1020110144523A KR 20110144523 A KR20110144523 A KR 20110144523A KR 101292023 B1 KR101292023 B1 KR 1012920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cooling fan
reverse
output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4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6097A (ko
Inventor
김상우
Original Assignee
대동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동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동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44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2023B1/ko
Publication of KR20130076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60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20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20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7/00Controlling of coolant flow
    • F01P7/02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cooling-air
    • F01P7/04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cooling-air by varying pump speed, e.g. by changing pump-drive gear ratio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5/00Pumping cooling-air or liquid coolants
    • F01P5/02Pumping cooling-air; Arrangements of cooling-air pumps, e.g. fans or blowers
    • F01P5/04Pump-driving arrangements
    • F01P5/043Pump revers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5/00Harvesting of standing crops
    • A01D45/04Harvesting of standing crops of r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1/00Clutches in which the members have interengaging parts
    • F16D11/08Clutches in which the members have interengaging parts actuated by moving a non-rotating part axially
    • F16D11/10Clutches in which the members have interengaging parts actuated by moving a non-rotating part axially with clutching members movable only axi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Combines (AREA)

Abstract

콤바인 엔진 냉각팬의 회전방향을 전환시키는 냉각팬 정역전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각팬 정역전 장치는, 냉각팬 구동을 위한 동력이 입력축을 통해 장치 내부로 입력되며, 입력된 동력은 운전자 레버 조작에 연동하는 도그 클러치 동작으로 정방향 또는 역방향 측 전동축에 선택적으로 전달되고, 냉각팬과 전동 가능하게 연결된 출력축이 상기 정방향 또는 역방향 측 전동축에 의해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면서 냉각팬을 회전시키기 위한 정·역방향 회전동력을 출력하도록 된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콤바인 엔진 냉각팬 정역전 장치{Engine cooling fan device for combine}
본 발명은 콤바인 엔진 냉각팬 정역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엔진 냉각을 위한 외부공기 도입과정에서 방진커버에 쌓인 미세 먼지나 검불 등을 불어낼 수 있도록 냉각팬의 역회전을 구현시키는 콤바인 엔진 냉각팬 정역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콤바인(combine)으로 불리우는 수확기는 보리 또는 벼와 같은 주곡 작물을 수확함에 있어 이용된다. 종래 일반적인 콤바인은 도 1과 같이 크게, 기체 전방측 운전석 하방에 배치되는 엔진(12)과, 엔진을 포함한 본체 전방에 배치되며 작물을 끌어들여 수확하는 예취부(30)와, 엔진(12) 후방에 배치되어 수확 작물로부터 곡물을 털어내는 탈곡부(20)와, 기체 주행을 위한 크롤러(crawler, 41)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엔진(12) 측방으로는 도 2와 같이, 엔진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출하기 위한 라디에이터(radiator, 13)가 장착되어 있으며, 엔진(12)과 상기 라디에이터(13) 사이에는 외부공기를 도입해 엔진(12) 쪽으로 불어넣는 냉각팬(11)이 장치된다. 냉간팬(11)은 일반적으로 엔진에서 뻗어 나온 크랭크축 한 쪽 말단에 장치되며, 따라서 엔진 구동시 이에 연동하여 회전하면서 외부 공기를 엔진(12) 쪽으로 강제로 도입시킨다.
위와 같은 구성의 콤바인은, 보리 또는 벼를 수확하는 기계인 관계로, 그 주위에는 예취 또는 탈곡 과정을 통해 생겨난 다량의 검불과 지푸라기, 미세 먼지를 포함한 기타 이물질 등이 흩날리게 되고, 이들 검불과 지푸라기를 포함하는 이물질은 상기 냉각팬(11)이 회전중 일으키는 흡인력 때문에 엔진(12)쪽으로 빨려 들어가게 된다. 따라서 엔진 측방에 방진 커버(19)를 장착하여 이들이 기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작업 특성상 작업 중 기체 주변으로 부상하는 검불, 지푸라기 등이 워낙 많아, 조금만 작업하더라도 방진 커버(19)에는 상당양의 이물(d)이 쌓이게 되고, 이처럼 방진커버에 많은 이물이 쌓이게 되면, 도입되는 외부공기의 양이 크게 줄거나 차단됨으로써, 냉각팬(11)에 의한 방열 기능이 크게 저하되고 결국 과열로 인한 엔진 고장 등 장치 성능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가 발행하게 된다.
위와 같은 방열 기능의 저하 및 그에 따른 엔진 과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냉각팬(11)을 정역전 가능한 구조, 즉 팬을 수시로 역회전시켜 엔진(12)쪽이 아닌 방진 커버(19)쪽으로 바람을 불어냄으로써, 상기 방진 커버에 달라붙은 다량의 지푸라기 등의 이물을 날려보낼 수 있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다. 아래 선행문헌(한국공개특허 2003-0003170)에 개시된 냉각팬 정역전 장치가 대표적인 예이다.
하지만 아래 선행문헌에 나타난 정역전 장치는, 다수의 풀리와, 조를 이루는 풀리들을 감아도는 여러 개의 벨트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이를 구성하는 부품이 너무 많고, 따라서 유지보수에 어려움이 있으며, 장치 구조 또한 너무 복잡하여 생산성이 떨어지고, 회전방향을 전환함에 있어 중간과정이 길어 상당한 동력 손실이 발생하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3-0003170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는, 구성이 크게 복잡하지 않고,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대량생산에 유리하면서도 회전방향 전환에 있어 동력 손실이 크지 않은 구조의 콤바인 엔진 냉각팬 정역전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콤바인 엔진 냉각팬의 회전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한 냉각팬 정역전 장치로서, 냉각팬 구동을 위한 동력이 입력축을 통해 장치 내부로 입력되며, 입력된 동력은 운전자 레버 조작에 연동하는 도그 클러치 동작으로 정방향 또는 역방향 측 전동축에 선택적으로 전달되고, 냉각팬과 전동 가능하게 연결된 출력축이 상기 정방향 또는 역방향 측 전동축에 의해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면서 냉각팬을 회전시키기 위한 정·역방향 회전동력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엔진 냉각팬 정역전 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엔진 냉각팬 정역전 장치는, 케이스; 엔진 풀리와 전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입력 풀리를 상기 케이스 밖으로 노출되는 말단에 갖는 입력축; 입력축 중간에 마련되며 이 입력축과 함께 회전하는 구동기어; 상기 구동 기어와 연결되고 입력축과 평행한 변환축 상에 장치되는 도그 클러치(Dog clutch); 상기 도그 클러치의 정·역 측에 각각 전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정방향 전동축과 역방향 전동축; 및 냉각팬 측 풀리와 전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출력 풀리를 상기 케이스 밖으로 노출되는 말단에 가지며, 상기 정방향 전동축 또는 역방향 전동축에서 전달된 동력으로 회전하여 상기 냉각팬을 정·역회전시키는 회전동력을 출력하는 출력축;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입력축과 출력축은, 속이 빈 중공축(입력축)을 중실축(출력축)이 관통하는 구조를 이룸으로써 같은 회전중심을 갖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출력 풀리와 대향되는 측의 상기 출력축 다른 선단에는, 정방향 전동축과 역방향 전동축 각각에 전동 가능하게 접속하는 두 개의 종동 기어가 일정 간격을 두고 동축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정방향 전동축과 역방향 전동축은 각각 하나 이상이며, 각각의 전동축은 상기 도그 클러치에 의해 선택적으로 제공되는 회전동력을 상기 출력축으로 전달하기 위한 중간 기어를 둘 이상 구비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도그 클러치는, 변속포크와, 상기 변환축 상에 축결합되고, 상기 변속포크에 물려진 상태로 축방향으로 이동되는 시프터와, 상기 시프터를 사이에 두고 좌, 우측의 상기 변환축 상에 회전 자유롭게 장치되고, 시프터와 마주하는 측면에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시프터와 치합하는 치차를 갖는 정방향 및 역방향 도그기어로 구성되는 것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콤바인 엔진 냉각팬 정역전 장치에 따르면, 운전자 조작에 연동하여 외기를 엔진 쪽으로 도입시키는 방향에서 그 반대방향으로 냉각팬의 회전을 전환시키는 장치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외기 도입 측에 장치된 방진 커버에 검불, 지푸라기 등 상당한 이물이 쌓이더라도 이를 수작업이 아닌 냉각팬 역회전 조작만으로 간단게 제거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콤바인을 구현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 냉각팬 정역전 장치는, 그 구성이 크게 복잡하지 않아 이를 유지 및 보수함에 있어 용이하며, 종래 기술에 비해 보다 컴팩트 한 구조를 이루고 있어 설치 환경에 즉, 공간적 측면에서 큰 제약이 없어 유리하고, 대량생산에 유리하면서도 벨트 전동에 비해 전동효율이 높은 기어전동을 채택함으로써 회전방향 전환에 있어서도 동력 손실이 크지 않다는 구조적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콤바인 측면도.
도 2는 도 1의 콤바인 엔진의 외부공기 도입측에 적용되는 냉각팬 및 라디에이터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팬 정역전 장치가 적용된 콤바인 엔진의 외부공기 도입측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의 엔진과 냉각팬 정역전 장치가 벨트로서 전동 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팬 정역전 장치의 주요부 구성을 보여주기 위해 케이스를 제거한 상태의 내부 사시도.
도 6, 도 7은 도 5의 냉각팬 정역전 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팬 정역전 장치 주요부 구성의 정면도.
도 9는 도 5에 나타난 주요부 구성을 A-A선 방향에서 바라본 절개 단면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팬 정역전 장치의 작동 상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또한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소지가 있는 구성에 대해서도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팬 정역전 장치가 적용된 콤바인 엔진의 외부공기 도입측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도 3의 엔진과 냉각팬 정역전 장치가 벨트로서 전동 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먼저,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냉각팬 정역전 장치의 적용에 대해 간단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면과 같이, 상기 냉각팬(3) 정역전 장치(7)는 엔진(1)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라디에이터(2) 후방에 위치하며, 엔진(1) 측에서 제공된 회전동력의 회전방향을 전환 출력하여 냉각팬(3) 측으로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벨트를 매개로 엔진(1) 크랭크 축(10a)과 전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회전동력을 제공받으며, 그 제공된 회전동력을 정회전 방향 또는 역회전 방향으로 전환 출력한 뒤 이를 벨트 전동을 통해 냉각팬(3)으로 제공한다.
도면에서 두 개의 벨트 중 엔진(1) 가까이에 위치한 벨트가 크랭크 축(10a)과 연결되는 입력측 벨트(4)이고, 바깥쪽에 위치한 벨트가 전환 출력된 동력을 냉각팬(3)으로 전달하기 위한 출력측 벨트(5)이다. 그리고 두 개의 벨트가 감아 도는 두 개의 풀리 중 입력측 벨트(4)가 경유하는 엔진 풀리(1a)는 크랭크 축(10a)과 함께 회전하며, 출력측 벨트(5)가 경유하는 냉각팬 풀리(1b)는 상기 크랭크 축(10a)에 공회전 가능하게 직결된 축에 결합된다.
따라서 엔진(1) 크랭크 축(10a)을 통해 출력된 냉각팬(3) 회전을 위한 회전동력은, 엔진 풀리(1a)와 입력측 벨트(4)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냉각팬(3) 정역전 장치(7)로 제공되며, 이러한 정역전 장치(7)를 경유하면서 정회전 또는 역회전 방향으로 선택 전환된 후, 상기 출력측 벨트(5) 및 냉각팬 풀리(1b), 그리고 크랭크 축(10a)과 공회전 가능하게 직결된 상기 축(10b)을 거쳐 냉각팬(3)으로 전달된다.
도 1에서 도면부호 9는 상기 냉각팬(3)을 통해 엔진(1) 측으로 공기를 도입함에 있어 지푸라기나 검불 등과 같은 이물을 걸러 내기 위한 방진 커버를 가리킨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엔진 냉각팬 정역전 장치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팬 정역전 장치의 주요부 구성을 보여주기 위해 케이스를 제거한 상태의 내부 사시도이며, 도 6, 도 7은 도 5의 냉각팬 정역전 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팬 정역전 장치 주요부 구성의 정면도이며, 도 9는 도 5에 나타난 주요부 구성을 A-A선 방향에서 바라본 절개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엔진 풀리(1a)와 전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입력축(71)을 포함한다. 입력축(71)은 속이 빈 중공축의 구조로서, 케이스(70) 밖으로 노출되는 말단에는 상기한 입력측 벨트(4)가 걸리는 입력 풀리(6a)를 갖는다. 입력축(71) 중간에는 이 입력축(71)과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구동 기어(73)가 스플라인 결합 방식 등으로 축 상에 마련되고, 구동 기어(73)는 입력축(71)과 평행한 변환축(74) 상에 장치되는 도그 클러치(Dog clutch, 75)와 연결된다.
도그 클러치(75)는 운전자 선택적 레버 조작에 따라 상기 입력축(71) 및 구동 기어(73)를 통해 입력된 회전동력을 정방향 측 또는 역방향 측으로 선택적 절환시켜 해당 측과 동력이 접속될 수 있도록 하는 정·역 측 절환구조를 갖고, 이러한 도그 클러치(75)의 정·역 측 각각에는, 도그 클러치(75)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접속된 회전동력을 후술되는 출력축(78)에 전달하는 정방향 전동축(76)과 역방향 전동축(77)이 전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정방향 전동축(76)과 역방향 전동축(77)은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져 동방향 전동축끼리 상호 전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각각의 전동축에는 상기 도그 클러치(75)에 의해 선택적으로 제공되는 회전동력을 상기 출력축(78)으로 전달하기 위한 중간 기어(부호 생략)를 둘 이상 구비한다. 도면에서는 정방향 전동축(76)이 둘이고 역방향 전동축(77)이 하나인 구성을 예로서 도시하고 있으나, 정방향 전동축(76)의 개수 보다 역방향 전동축(77) 개수가 하나 더 많은 구조이면 된다.
도그 클러치(75)는, 레버와 연동되는 변속포크(75a)와, 상기 변환축(74) 상에 축결합되고 변속포크(75a)에 물려진 상태로 축방향으로 이동되는 시프터(75b)와, 시프터(75b)를 사이에 두고 좌, 우측의 상기 변환축(74) 상에 회전 자유롭게 장치되고 시프터(75b)와 마주하는 측면에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시프터(75b)와 치합하는 치차(750)를 갖는 정방향 및 역방향 도그기어(75c)(75d)로 이루어진 구성이 바림직하다.
도면을 통해 예시된 도그 클러치(75) 구성에서 도면부호 75e는, 정·역 측 도그기어와 시프터 사이에 개입되는 마찰판으로서, 이 마찰판(75e)은 정회전에서 역회전 방향으로 동력전환이 이루어짐에 있어, 중립구간을 확보하는 기능과 함께, 정에서 역으로 동력전환이 곧 바로 이루어질 경우의 출력축(78)에 가해지는 비틀림 응력(전단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시프터(75b)와 도그기어(75c)(75d)의 급작스런 동력접속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출력축(78)은 상기 전동축을 거치면서 방향이 전환된 회전동력을 외부로 출력하는 기능을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출력축(78)은, 냉각팬 풀리(1b)와 전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출력 풀리(6b)를 상기 케이스(70) 밖으로 노출되는 말단에 갖고, 출력 풀리(6b)와 대향되는 측의 케이스(70) 내에 위치하는 반대쪽 선단에, 정방향 전동축(76)과 역방향 전동축(77) 각각에 전동 가능하게 접속하는 두 개의 종동 기어(79a)(79b)가 일정 간격을 두고 동축 배치된 구성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출력축(78)은 중실축으로서, 속이 빈 중공축 구조의 전술한 입력축(71)을 관통하여 케이스(70) 밖으로 연장되는 구조를 가지며, 따라서 상기 입력축(71)과 회전축은 회전중심이 동일한 이중관 형태의 구조를 이루게 된다. 이때 출력축은(78)은 상대 회전이 자유롭게 입력축(71)을 관통하며, 입력축(71)의 중공부를 출력축(78)이 관통하는 구조를 가지면, 출력축(78) 설치를 위한 공간을 생략할 수 있어 장치를 소형화시킴에 있어 유리하다.
도면에서 미설명 부호 B는 각각의 축을 케이스(70)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을 가리킨다.
다음은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냉각팬 정역전 장치에 의해 행해지는 냉각팬 정역구동에 대해 본 발명에 따른 냉각팬 정역전 장치 동작과 연계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0 및 도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팬 정역전 장치의 작동 상태도로서, 도 10은 엔진에서 제공된 회전동력을 입력된 회전방향 그대로 출력시킴으로써 냉각팬을 정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작동에 관련하며, 도 11은 엔진에서 제공된 회전동력을 역방향으로 전환 출력함으로써 냉각팬을 역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작동에 관련된 도면이다.
먼저, 앞서 첨부된 도 9와 상기 도 10을 참조하여 정방향 출력에 대해 살펴 보면, 엔진(1)에서 출력된 회전동력은 입력 풀리(6a)를 통해 입력축(71)에 전달되고, 입력축(71) 상에 결합된 구동 기어(73)를 통해 도그 클러치(75)를 구성하는 시프터(75b)에 전달된다. 이때 시프터(75b)는 변속포크(75a) 조작으로 일측(도면에서 우측)으로 이동하여 정방향 도그기어(75c)와 물려 있으며, 정방향 도그기어(75c)는 정방향 전동축(76)과 전동 가능하게 물려 있다.
따라서 시프터(75b)에 전달된 상기 회전동력은, 정방향 도그기어(75c), 두 개의 정방향 전동축(76)을 차례로 거쳐 출력축(78)으로 전달되고(화살표 방향 참조), 출력 풀리(6b) 및 출력측 벨트(5)를 거쳐 냉각팬(3)으로 제공된다.
구체적으로는, 시프터(75b)를 거치면서 한번 역으로 전환된 회전동력이 다시, 두 개의 정방향 전동축(76)을 거치면서 정, 역 순으로 회전방향이 전환되고, 마지막 출력축(78)에서 다시 입력축(71) 회전과 같은 방향인 정방향으로 전환되어 출력됨으로써 냉각팬(3)은 정회전을 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 도 11의 역방향 출력에 대해 살펴 보면, 엔진(1)에서 출력된 회전동력이 입력 풀리(6a), 입력축(71), 구동 기어(73)를 통해 도그 클러치(75)를 구성하는 시프터(75b)에 전달되기 까지는 전술한 정방향 구동과 동일하다. 그러나 여기서는 시프터(75b)가 전술한 정방향 구동과는 반대측(도면에서 좌측)으로 이동하여 역방향 도그기어(75d)와 물려 있으며, 역방향 도그기어(75d)는 역방향 전동축(77)과 전동 가능하게 물려 있다.
따라서 시프터(75b)에 전달된 상기 회전동력은, 역방향 도그기어(75d), 하나의 역방향 전동축(77)을 차례로 거쳐 출력축(78)으로 전달되고(화살표 방향 참조), 출력 풀리(6b) 및 출력측 벨트(5)를 거쳐 냉각팬(3)으로 제공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시프터(75b)에서 한번 역으로 전환된 회전동력은 다시, 역방향 전동축(77)을 거치면서 정방향으로 전환되고, 마지막 출력축(78)에서 다시 입력축(71) 회전과 반대 방향인 역방향으로 전환되어 출력됨으로써 냉각팬(3)은 역회전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인 콤바인 엔진 냉각팬 정역전 장치에 따르면, 운전자 조작에 연동하여 외기를 엔진 쪽으로 도입시키는 방향에서 그 반대방향으로 냉각팬의 회전을 전환시키는 장치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외기 도입 측에 장치된 방진 커버에 검불, 지푸라기 등 상당한 이물이 쌓이더라도 이를 수작업이 아닌 냉각팬 역회전 조작만으로 간단게 제거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콤바인을 구현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 냉각팬 정역전 장치는, 그 구성이 크게 복잡하지 않아 이를 유지 및 보수함에 있어 용이하며, 종래 기술에 비해 보다 컴팩트 한 구조를 이루고 있어 설치 환경에 즉, 공간적 측면에서 큰 제약이 없어 유리하고, 대량생산에 유리하면서도 벨트 전동에 비해 전동효율이 높은 기어전동을 채택함으로써 회전방향 전환에 있어서도 동력 손실이 크지 않다는 구조적 장점이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엔진 1a : 엔진 풀리
1b : 냉각팬 풀리 2 : 라디에이터
3 : 냉각팬 4 : 입력측 벨트
5 : 출력측 벨트 6a : 입력 풀리
6b : 출력 풀리 7 : 정역전 장치
10a : 크랭크 축 70 : 케이스
71 : 입력축 73 : 구동 기어
74 : 변환축 75 : 도그 클러치
76 : 정방향 전동축 77 : 역방향 전동축
78 : 출력축
79a, 79b : 종동기어

Claims (6)

  1. 삭제
  2. 케이스;
    엔진 풀리와 전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입력 풀리를 상기 케이스 밖으로 노출되는 말단에 갖는 입력축;
    상기 입력축 중간에 마련되며 이 입력축과 함께 회전하는 구동기어;
    상기 구동 기어와 연결되고 상기 입력축과 평행한 변환축 상에 장치되는 도그 클러치(Dog clutch);
    상기 도그 클러치의 정·역 측에 각각 전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정방향 전동축과 역방향 전동축; 및
    냉각팬 풀리와 전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출력 풀리를 상기 케이스 밖으로 노출된 말단에 가지며, 상기 정방향 전동축 또는 역방향 전동축에서 전달된 동력으로 회전하여 상기 냉각팬을 정·역회전시키는 회전동력을 출력하는 출력축;을 포함하는 콤바인 엔진 냉각팬 정역전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축과 출력축은, 속이 빈 중공축(입력축)을 중실축(출력축)이 관통하는 구조를 이룸으로써 회전중심이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엔진 냉각팬 정역전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출력 풀리와 대향되는 측의 상기 출력축 다른 선단에는, 정방향 전동축과 역방향 전동축 각각에 전동 가능하게 접속하는 두 개의 종동 기어가 일정 간격을 두고 동축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엔진 냉각팬 정역전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방향 전동축과 역방향 전동축은 각각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전동축은 상기 도그 클러치에 의해 선택적으로 제공되는 회전동력을 상기 출력축으로 전달하기 위한 중간 기어를 둘 이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엔진 냉각팬 정역전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그 클러치는,
    변속포크와,
    상기 변환축 상에 축결합되고, 상기 변속포크에 물려진 상태로 축방향으로 이동되는 시프터와,
    상기 시프터를 사이에 두고 좌, 우측의 상기 변환축 상에 회전 자유롭게 장치되고, 시프터와 마주하는 측면에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시프터와 치합하는 치차를 갖는 정방향 및 역방향 도그기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엔진 냉각팬 정역전 장치.
KR1020110144523A 2011-12-28 2011-12-28 콤바인 엔진 냉각팬 정역전 장치 KR1012920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4523A KR101292023B1 (ko) 2011-12-28 2011-12-28 콤바인 엔진 냉각팬 정역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4523A KR101292023B1 (ko) 2011-12-28 2011-12-28 콤바인 엔진 냉각팬 정역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6097A KR20130076097A (ko) 2013-07-08
KR101292023B1 true KR101292023B1 (ko) 2013-08-01

Family

ID=48989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4523A KR101292023B1 (ko) 2011-12-28 2011-12-28 콤바인 엔진 냉각팬 정역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202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23533A (zh) * 2017-10-27 2019-05-07 迪尔公司 用于风扇的旋转驱动单元
CN112735491A (zh) * 2021-04-01 2021-04-30 南京万伦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人力资源用数字档案管理终端设备及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9464A (ja) * 1993-10-25 1995-05-09 Kubota Corp エンジン冷却装置
JPH084528A (ja) * 1994-06-16 1996-01-09 Sumitomo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に於けるラジエータ及びオイルクーラの塵埃除去装置
JP2009092046A (ja) * 2007-10-12 2009-04-30 Caterpillar Japan Ltd 建設機械における冷却ファンの正逆転切換え機構
JP2010280324A (ja) * 2009-06-05 2010-12-16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コンバインのエンジンカバー除塵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9464A (ja) * 1993-10-25 1995-05-09 Kubota Corp エンジン冷却装置
JPH084528A (ja) * 1994-06-16 1996-01-09 Sumitomo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に於けるラジエータ及びオイルクーラの塵埃除去装置
JP2009092046A (ja) * 2007-10-12 2009-04-30 Caterpillar Japan Ltd 建設機械における冷却ファンの正逆転切換え機構
JP2010280324A (ja) * 2009-06-05 2010-12-16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コンバインのエンジンカバー除塵構造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23533A (zh) * 2017-10-27 2019-05-07 迪尔公司 用于风扇的旋转驱动单元
US11111850B2 (en) 2017-10-27 2021-09-07 Deere & Company Rotational drive unit for a fan
CN109723533B (zh) * 2017-10-27 2022-09-02 迪尔公司 用于风扇的旋转驱动单元
CN112735491A (zh) * 2021-04-01 2021-04-30 南京万伦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人力资源用数字档案管理终端设备及系统
CN112735491B (zh) * 2021-04-01 2021-07-20 佛山市高明区追日人力资源有限公司 一种人力资源用数字档案管理终端设备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6097A (ko) 2013-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85802A1 (en) Drive Assembly for an Operating Unit of an Agricultural Implement or an Agricultural Machine
US20120055131A1 (en) Corn picker
CA2646872A1 (en) Snow blower belt driven transmission
JP2012070709A (ja) コンバインの原動部構造
WO2008084790A1 (ja) コンバインおよびこれに搭載可能な脱穀装置
KR101292023B1 (ko) 콤바인 엔진 냉각팬 정역전 장치
JP2012056448A (ja) 作業車輌の原動部構造
TW201225834A (en) Prime mover portion structure of working vehicle
WO2016093201A1 (ja) コンバイン
CA1285394C (en) Reverser for harvesting apparatus
JP5472648B2 (ja) 作業車輌
WO2011048710A1 (ja) コンバイン
JP6270283B2 (ja) コンバイン
JP5517077B2 (ja) 作業車輌の原動部構造
JP5443450B2 (ja) コンバイン
JP2008054622A (ja) コンバインの伝動構造
JP6208651B2 (ja) コンバイン伝動構造
JP5059510B2 (ja) コンバイン
TWI430744B (zh) The original part of the working vehicle
JP5373589B2 (ja) コンバイン
JP7274968B2 (ja) コンバイン
JP5225737B2 (ja) コンバイン
JP5818712B2 (ja) 汎用コンバイン
JP2015208269A (ja) 作業車両の原動部構造
CN104335757B (zh) 稻麦联合收割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