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1701B1 - 동전 계수기 - Google Patents

동전 계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1701B1
KR101291701B1 KR1020120001173A KR20120001173A KR101291701B1 KR 101291701 B1 KR101291701 B1 KR 101291701B1 KR 1020120001173 A KR1020120001173 A KR 1020120001173A KR 20120001173 A KR20120001173 A KR 20120001173A KR 101291701 B1 KR101291701 B1 KR 1012917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n
unit
coins
counter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1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0328A (ko
Inventor
박철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오아이씨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오아이씨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오아이씨피
Priority to KR1020120001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1701B1/ko
Publication of KR20130080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03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1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17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3/00Sorting a mixed bulk of coins into denominations
    • G07D3/02Sorting coins by means of graded apertures
    • G07D3/04Sorting coins by means of graded apertures arranged on an inclined rail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20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devices; Data handling
    • G07D11/22Means for sensing or detec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5/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coins, e.g. for segregating coins which are unacceptable or alien to a currenc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9/00Counting coins; Handling of coin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7D9/04Hand- or motor-driven devices for counting coins

Abstract

본 발명은 동전 계수기에 관한 것으로, 동전이 투입되는 입금부; 상기 동전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 상에 구비되어, 상기 동전의 이동속도가 일정하게 되도록 상기 동전의 양면을 구속하고 배출시키는 속도조절부; 및 상기 가이드부 상에 구비되되, 상기 속도조절부를 경유한 상기 동전의 이상 유무를 감지하여 상기 동전을 분류시키는 주화분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타격오차를 줄이도록 동일한 속도로 동전을 이동시킴으로써, 각각의 불량주화를 동일한 지점으로 타격하여 불량주화를 정확히 걸러낼 수 있는 동전 계수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동전 계수기{Coin counter}
본 발명은 동전 계수기에 관한 것이다.
은행, 마트 및 게임장과 같이 대량의 동전을 취급하여 계수를 하는 경우, 많은 양의 동전을 취급하고자 할 때엔 일정 액수 단위로 미리 정리되어 있는 롤 형태를 사용하게 되면 편리하다.
하지만, 동전이 미리 정리가 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수작업으로 동전을 계수하게 되므로, 불량주화를 걸러내면서 동전을 계수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장시간 대기하는 고객의 불만이 접수될 우려가 있고, 작업의 지연 및 업무의 효율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이에 따라, 불량주화를 걸러내면서 빠르게 동전을 계수하는 동전 계수기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한편, 동전 계수기가 불량주화를 걸러내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불량주화는 일반주화와 함께 가이드부를 지나가게 되는데, 센서가 불량주화로 인식하는 경우 솔레노이드가 불량주화를 타격하여 별도의 보관함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종래 기술에 따른 동전 계수기는 가이드부를 통과하는 동전의 속도가 일정하지 않아 불량주화가 제대로 걸러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솔레노이드가 불량주화를 타격할 때, 동전의 속도가 일정하지 않은 경우, 동전 내의 타격지점이 각기 다를 수 있으며, 이때 솔레노이드가 불량주화의 사이드 부분을 타격하는 경우 불량주화가 가이드부를 벗어나지 않고 정상주화와 함께 이동하여 정상주화로 인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동전의 이동속도를 조절하여 동일한 속도로 동전을 이동시킴으로써, 각각의 불량주화를 동일한 지점으로 타격할 수 있는 동전 계수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전 계수기는, 동전이 투입되는 입금부; 상기 동전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 상에 구비되어, 상기 동전의 이동속도가 일정하게 되도록 상기 동전의 양면을 구속하고 배출시키는 속도조절부; 및 상기 가이드부 상에 구비되되, 상기 속도조절부를 경유한 상기 동전의 이상 유무를 감지하여 상기 동전을 분류시키는 주화분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속도조절부는, 상기 동전의 적어도 어느 일면을 밀착하여 상기 동전을 밀어내도록, 상기 동전의 측면에 대향하는 구속부재; 상기 구속부재에 연결되는 벨트; 및 상기 벨트에 연결되어 상기 벨트를 통해 상기 구속부재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속부재는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스폰지롤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터는 분당회전수를 조절하여 상기 동전의 이동속도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화분리부는, 상기 동전의 이상유무를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에 의해 이상이 감지된 동전을 가격하는 밀침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를 통해 이동되는 동전이 분류되어 적재되는 주화수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화수거부는, 상기 동전 중 상기 주화분리부에 의해 타격된 불량동전이 수거되는 불량동전수거함; 및 상기 가이드부와 연통되어 상기 동전 중 상기 주화분리부에 의해 타격되지 않은 정상동전이 수거되는 정상동전수거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전 계수기는, 타격오차를 줄이도록 동일한 속도로 동전을 이동시킴으로써, 각각의 불량주화를 동일한 지점으로 타격하여 불량주화를 정확히 걸러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전 계수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전 계수기의 주화공급부와, 가이드부 및 속도조절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전 계수기의 속도조절부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전 계수기(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전 계수기(100)의 주화공급부(130)와, 가이드부(140) 및 속도조절부(155)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전 계수기(100)의 속도조절부(155)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동전 계수기(1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전 계수기(100)는 케이스(111), 입금부(113), 이동부(120), 주화공급부(130), 가이드부(140), 주화분리부(151), 속도조절부(155) 및 주화수거부(16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 및 이해의 편의상 계수하고자 하는 규정된 동전을 정상주화로 하고, 규정되지 않은 유사주화나 변형된 주화를 불량주화로 지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는 사용자가 계수하고자 하는 특정 동전 예를 들어, 다량의 500원을 계수하고자 할 경우, 500원을 정상주화로 하고, 정상주화가 찌그러지거나 위조주화 또는 외국주화를 불량주화로 할 수 있다. 한편, 500원의 동전을 계수하는 경우, 500원 이외의 10원, 50원, 100원을 포함한 동전을 불량주화로 할 수 있다.
이와 달리, 게임장 등에서 게임용 칩을 계수하기 위한 경우 게임용 칩을 정상주화로 하는 등 그 변형예는 다양할 수 있다.
케이스(111)는 외관을 형성하며, 입금부(113), 이동부(120), 주화공급부(130), 가이드부(140), 주화분리부(151), 속도조절부(155) 및 주화수거부(160)가 내장되는 박스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동전 계수기(100)에 동전을 투입할 수 있도록, 케이스(111)의 외부로 입금부(113)가 노출되게 형성된다.
입금부(113)는 동전이 투입되는 개구부로서, 예를 들어, 동전을 낙하시켜 동전의 투입이 용이하도록 케이스(111)의 상면 일부가 절개된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때, 입금부(113)는 다량의 동전이 동시에 투입될 수 있도록 동전의 넓이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동전 계수기(100)를 사용하지 않을 시, 먼지 등의 이물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입금부(113)에는 슬라이딩 타입의 도어(115)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동전 계수기(100)는 다량의 동전을 단시간에 계수할 수 있도록 하지만, 입금부(113)를 통해 투입된 동전이 동시다발적으로 주화공급부(130)로 투입되면 주화공급부(130)의 과부하 또는 막힘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이동부(120)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부(120)는 컨베이어 벨트일 수 있다.
여기서, 이동부(120)가 컨베이어 벨트인 경우, 모터 등의 동력장치(미도시)를 통해 회전하는 다수의 롤러 외측 둘레면에 롤러의 회전을 따라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입금부(113)와 주화공급부(130)의 사이에 구비되어, 입금부(113)를 통해 투입되는 동전을 주화공급부(130)로 이송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직으로 낙하되는 동전이 바로 적재될 수 있도록, 개구된 입금부(113)에 대향하여 입금부(113)의 하측에 이동부(120)의 일단부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이동부(120)의 회전에 따라 이동부(120)의 일단부 상의 동전이 이송되어 주화공급부(130)로 낙하될 수 있도록, 이동부(120)의 타단부의 외측에 연통하여 주화공급부(13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이동부(120)는 이동부(120) 상에 동전이 나열되어, 주화공급부(130)로 투입되는 시간차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이동부(120)는 이동부(120) 상에서 동전이 굴러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고, 이동부(120)의 회전에 따라 동전이 이송되도록 지면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주화공급부(130)는 입금부(113)와 연통되어, 입금부(113) 및 이동부(120)를 통해 투입된 동전이 적재된다. 주화공급부(130)는 일 예로서, 거치부(133) 및 회전체(135)를 포함할 수 있다.
거치부(133)는 주화공급부(130)를 빠져나가기 이전에 회전체(135)에 배치되지 못하고 순차를 대기하는 동전을 임시로 저장하는 공간으로서, 투입된 동전이 낙하되어 적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치부(133)는 내측 공간이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게 경사를 이루어, 동전이 중력에 의해 하단부로 쏠려 내려갈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회전체(135)는 동전을 낱개로 배출시키는 구성으로서, 거치부(133) 내에 하단부가 삽입되어 거치부(133)의 하단부로 쏠려 내려가는 동전을 가이드부(140)로 배출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체(135)는 원형판부재(135A)와 방사편(135B)을 포함할 수 있다.
원형판부재(135A)는 별도의 동력장치에 의해 회전될 수 있으며, 거치부(133)의 하단부로 쏠리는 동전을 받치도록 거치부(133)의 하단부 내측에 구비되되, 세워진 동전이 쓰러지지 않도록 원형판부재(135A)의 상부가 거치부(133)와 멀어지도록 젖혀진 형태가 되어, 동전을 기울어진 형태로 세워서 받칠 수 있다.
방사편(135B)은 원형판부재(135A)의 일면에 동전이 낱개로 받쳐지면서 원형판부재(135A)의 회전시 동전이 떨어지지 않도록 들어올려 상부로 이동시킬 수 있게 지지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방사편(135B)은 거치부(133)에 대향하는 원형판부재(135A)의 일면에 일정간격으로 서로 이격되게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방사편(135B)은 예를 들어, 원형판부재(135A)의 외곽에 대응하여 밑면을 이루고 좌우 각이 동일한 삼각형의 판형태로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삼각형 판들 사이에는 동전이 하나씩 배치되어, 방사편(135B)이 동전을 하나씩 분리할 수 있다.
가이드부(140)는 낱개로 이동하는 동전의 이동경로로서, 주화공급부(130)에 연결되어, 주화공급부(130)로부터 배출되는 동전이 하나씩 굴러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부(140)의 이동경로는 중력에 의해 동전이 구를 수 있도록, 주화공급부(130)에서 주화수거부(160)로 하향경사질 수 있다.
한편, 가이드부(140)는 원형판부재(135A)로부터 동전이 연이어 구를 수 있도록, 원형판부재(135A)와 동일한 각도로 젖혀진 형태가 될 수 있으며, 가이드부(140)에는 동전의 이동경로를 따라 단턱(141)이 형성되고, 단턱(141)은 동전이 굴러가는 바닥면이 될 수 있다(도 3 참조; 도 3은 도 2의 측면 일부).
속도조절부(155)는 가이드부(140) 상에 구비되되, 동전의 이동속도가 일정하게(이동되는 모든 동전의 속도가 동일하게) 되도록 동전의 양면을 구속한 후 배출시킨다. 여기서, 속도조절부(155)는 주화분리부(151)로 이동되기 전에 동전을 구속할 수 있도록 동전이 주화분리부(151)로 이동하는 경로의 상부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속도조절부(155)가 주화공급부(130)와 주화분리부(151) 사이에 구비되어, 동전 각각의 이동속도를 동일하게 맞춘 후 동전을 주화분리부(151)로 이동시켜 타격지점이 일정하게 맞춰질 수 있으므로 불량주화의 타격오류를 줄일 수 있다.
여기서, 속도조절부(155)는 구속부재(157), 벨트(159A) 및 모터(15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속부재(157)는 적어도 동전의 어느 일면을 밀착하여 동전을 밀어내도록, 동전의 적어도 어느 일측면(본 실시예에서는 양면)에 대향할 수 있다. 구속부재(157)는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스폰지롤러(157A, 157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폰지롤러(157A, 157B)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한 쌍의 스폰지롤러(157A, 157B) 사이로 동전이 굴러 들어가 동전의 양면은 스폰지롤러(157A, 157B)에 의해 밀려서 굴러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도 2의 측면일부), 한 쌍의 스폰지롤러(157A, 157B) 중 하나의 스폰지롤러(157A)는 가이드부(140) 상의 외측(동전의 반대편)에 배치되고, 다른 하나의 스폰지롤러(157B)는 가이드부(140) 상의 동전에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스폰지롤러(157A)가 동전에 접촉될 수 있도록, 가이드부(140)는 스폰지롤러(157A)에 대응하여 절단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벨트(159A)는 구속부재(157)로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폐곡선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 쌍의 스폰지롤러(157A, 157B) 중 하나의 스폰지롤러(157B)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다른 하나의 스폰지롤러(157A)는 동전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동전을 지지할 수 있으며, 벨트(159A)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벨트(159A)와 연결되는 구속부재(157)의 단부에는 풀리가 구비될 수 있다.
모터(159)는 벨트(159A)에 연결되어 벨트(159A)를 통해 구속부재(157)에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모터(159)는 예를 들어, 스폰지롤러(157B)의 일단부(예를 들어 스폰지롤러에 구비되는 풀리)에 연결되는 벨트(159A)로 구동력을 전달하여, 가이드부(140) 상을 경로하는 각각의 동전을 동일한 속도로 밀수 있다.
또한, 모터(159)가 다른 하나의 스폰지롤러(157A)와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때 스폰지롤러(157B)와 다른 하나의 스폰지롤러(157A)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동전을 밀어낼 수 있다.
게다가, 모터(159)의 분당 회전수(revolution per minute; RPM)를 조절하여, 동전의 이동속도를 더 빠른 속도 또는 더 느린 속도로 모두 일정하게 맞출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 따른 속도조절부(155)는 주화공급부(130)로부터 배출되는 다량의 개별 동전이 각기 다른 속도로 이동하더라도, 속도조절부(155)에 의해 구속된 후 속도조절부(155)를 통과하면서 동일한 속도로 배출됨으로써, 동전 각각의 속도를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
주화분리부(151)는 가이드부(140) 상에 구비되어, 동전의 이상 유무를 감지하여 동전을 분류시킨다. 여기서, 동전의 이상 유무는 사용자가 계수하고자 하는 동전이면 이상 없음으로 판별하고, 사용자가 계수하고자 하는 동전 이외의 동전이면 이상 있음으로 판별하여 이를 불량주화로 한다.
여기서, 주화분리부(151)는 이동경로를 따라 일렬로 센서(151A)와 밀침부재(151B)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151A)는 동전의 이상 유무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151A)는 동전의 재질 등을 감지하여 동전의 이상을 감지할 수 있다.
밀침부재(151B)는 센서(151A)에 의해 이상이 감지된 동전을 가격하여 가이드부(140) 상에서 이탈시켜 분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밀침부재(151B)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하는 몸체와 몸체에 연결되어 불량주화를 향해 돌출되어 밀치는 바(bar) 형태의 돌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주화수거부(160)는 가이드부(140)를 통해 이동되는 동전이 분류되어 적재되는 공간으로서, 동전이 투입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구되는 박스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주화수거부(160)는, 각각이 박스 형태로 이루어지는 불량동전수거함(161) 및 정상동전수거함(165)을 포함할 수 있다.
불량동전수거함(161)은 이상이 감지된 불량주화가 주화분리부(151)에 의해 타격되어 수거되도록 주화분리부(151)에 대향하여 구비되고, 정상동전수거함(165)은 이상이 감지된 동전 이외의 정상주화가 주화분리부(151)에 의해 타격되지 않은 아 수거되도록 가이드부(140)의 하단부에 연통될 수 있다.
한편, 주화수거부(160)는 임시보관함(163)을 더 포함하여, 정상동전수거함(165)으로 동전이 수거되기 이전에 이를 임시로 보관할 수 있다. 임시보관함(163)에 보관된 동전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어부에 의해 정상동전수거함(165)으로 전달되거나, 반납될 수 있다.
게다가,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가이드부(140)의 일단부에는 동전을 계수하는 계수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계수부는 센서를 포함하여, 이동되는 동전의 수를 셀 수 있다. 이와 달리, 임시보관함 또는 정상동전수거함에 계수부가 구비되어 동전을 계수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동전 계수기(100)에 의해 동전이 계수되는 일련의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다량의 동전이 개구된 입금부(113)로 투입되어 이동부(120)의 일단부 상에 쌓여서 이동부(120)의 타단부로 이송된다.
다음, 거치부(133) 일측벽을 이루는 원형판부재(135A)에 거치부(133)의 내측면을 따라 쏠려 내려가는 동전이 낱개로 기울어져 세워진다. 그리고, 동력장치에 의해 원형판부재(135A)가 일방향 예를 들어,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원형판부재(135A) 하단부에 세워진 동전은 방사편(135B)에 의해 들어 올려져 상부로 이동하고 상부로 이동한 동전은 중력에 의해 가이드부(140)로 낙하되어 가이드부(140)를 따라 주화공급부(130) 외측으로 순차적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나서, 주화공급부(130)에서 낱개로 배출된 동전이 가이드부(140)로 떨어져, 하향경사진 이동경로를 따라 기울어지게 세워진 상태로 굴러 내려간다. 여기서, 가이드부(140) 상에 구비된 속도조절부(155)를 동전이 지나간다.
이때, 속도조절부(155)는 동전의 양면을 구속한 후 각각의 동전을 동일한 속도로 배출시킨다. 속도조절부(115)를 지난 동전은 센서(151A)에 의해 동전의 이상 유무가 감지되고, 이상이 있는 불량주화면, 가이드부(140) 상의 밀침부재(151B)에 의해 가격되어 불량동전수거함(161)으로 떨어진다. 여기서, 밀침부재(151B)의 돌출부재는 정상주화가 이동시에는 가이드부(140)의 홀 내에 삽입된 형태로 있으며, 불량주화가 감지되면, 불량주화를 향해 돌출되어 불량주화를 낙하시킨다.
한편, 정상주화가 이동시에는 가이드부(140)의 이동경로를 따라 하단부까지 동전이 이동하여 임시보관함(163)으로 적재될 수 있다. 여기서, 임시보관함(163)에 적재된 동전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반환되거나 정상동전수거함(165)으로 이동하여 입금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 따른 동전 계수기는 동일한 속도로 이동하는 동전을 동일한 위치에서 타격하여 타격오차를 줄임으로써, 불량주화를 정확히 걸러내면서 동전을 자동으로 계수하여, 업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 동전 계수기 111 : 케이스
113 : 입금부 120 : 이동부
130 : 주화공급부 133 : 거치부
135 : 회전체 135A : 원형판부재
135B : 방사편 140 : 가이드부
141 : 단턱 151 : 주화분리부
151A : 센서 151B : 밀침부재
155 : 속도조절부 157 : 구속부재
160 : 주화수거부 161 : 불량동전수거함
163 : 임시보관함 165 : 정상동전수거함

Claims (7)

  1. 동전이 투입되는 입금부;
    상기 동전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 상에 구비되어, 상기 동전의 이동속도가 일정하게 되도록 상기 동전의 양면을 구속하고 배출시키는 속도조절부; 및
    상기 가이드부 상에 구비되되, 상기 속도조절부를 경유한 상기 동전의 이상 유무를 감지하여 상기 동전을 분류시키는 주화분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속도조절부는,
    상기 동전의 적어도 어느 일면을 밀착하여 상기 동전을 밀어내도록, 상기 동전의 측면에 대향하는 구속부재;
    상기 구속부재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 계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조절부는,
    상기 구속부재에 연결되는 벨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터는, 상기 벨트에 연결되어 상기 벨트를 통해 상기 구속부재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 계수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재는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스폰지롤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 계수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분당회전수를 조절하여 상기 동전의 이동속도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 계수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화분리부는,
    상기 동전의 이상유무를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에 의해 이상이 감지된 동전을 가격하는 밀침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 계수기.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를 통해 이동되는 동전이 분류되어 적재되는 주화수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 계수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주화수거부는,
    상기 동전 중 상기 주화분리부에 의해 타격된 불량동전이 수거되는 불량동전수거함; 및
    상기 가이드부와 연통되어 상기 동전 중 상기 주화분리부에 의해 타격되지 않은 정상동전이 수거되는 정상동전수거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 계수기.
KR1020120001173A 2012-01-04 2012-01-04 동전 계수기 KR1012917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1173A KR101291701B1 (ko) 2012-01-04 2012-01-04 동전 계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1173A KR101291701B1 (ko) 2012-01-04 2012-01-04 동전 계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0328A KR20130080328A (ko) 2013-07-12
KR101291701B1 true KR101291701B1 (ko) 2013-08-01

Family

ID=48992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1173A KR101291701B1 (ko) 2012-01-04 2012-01-04 동전 계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17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8916A (ko) * 2022-04-19 2023-10-26 (주)에이텍모빌리티 동전입금모듈의 동전인출 유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61528B (zh) * 2017-05-27 2021-04-13 山东新北洋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硬币分离装置及分离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5909A (ja) 1999-12-21 2001-06-29 Toyo Commun Equip Co Ltd 硬貨等の取扱装置
KR200363334Y1 (ko) 2004-07-14 2004-10-01 안병모 무인 동전수집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5909A (ja) 1999-12-21 2001-06-29 Toyo Commun Equip Co Ltd 硬貨等の取扱装置
KR200363334Y1 (ko) 2004-07-14 2004-10-01 안병모 무인 동전수집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8916A (ko) * 2022-04-19 2023-10-26 (주)에이텍모빌리티 동전입금모듈의 동전인출 유도장치
KR102631538B1 (ko) * 2022-04-19 2024-01-31 (주)에이텍모빌리티 동전입금모듈의 동전인출 유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0328A (ko) 2013-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682410B2 (ja) 硬貨包装機
KR100910963B1 (ko) 카메라를 이용한 동전계수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2023301B1 (en) Coin receiving and dispensing machine
KR101291701B1 (ko) 동전 계수기
EP2325810B1 (en) Coin feeder and coin processing machine
SE505314C2 (sv) Myntförpacknings- och förpackningsmaskin
CN217289349U (zh) 片剂自动包装机中使用的片剂掉落检测装置
WO2017048894A1 (en) Coin serializer with filter disk for filtering debris and foreign objects
KR101306050B1 (ko) 동전 계수기
JP3231603B2 (ja) 硬貨起立装置,金種別硬貨収納繰出装置及び循環式硬貨入出金機
JP6393977B2 (ja) 硬貨処理装置
CN108320376A (zh) 一种硬币回收找零装置
JP2001283278A (ja) 硬貨選別計数機
JP2516632Y2 (ja) 硬貨処理機における硬貨繰出装置
JP6105889B2 (ja) 包装硬貨受渡装置
JP3086681B2 (ja) 硬貨処理装置
JP3086575B2 (ja) 硬貨処理装置
JP3867763B2 (ja) 硬貨処理機
JP2018092257A (ja) 硬貨繰出装置
JPH067422Y2 (ja) 硬貨収納繰出装置
KR101556379B1 (ko) 자동 주화분류장치 및 방법
JP2017173862A (ja) 紙幣処理装置
JP3187557B2 (ja) 円板状体揚送装置
JPH08212425A (ja) 硬貨処理機の硬貨保留機構
JP4139086B2 (ja) 硬貨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