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1585B1 - 유휴동력을 이용한 워터제트직기의 원단탈수장치 - Google Patents

유휴동력을 이용한 워터제트직기의 원단탈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1585B1
KR101291585B1 KR1020110112365A KR20110112365A KR101291585B1 KR 101291585 B1 KR101291585 B1 KR 101291585B1 KR 1020110112365 A KR1020110112365 A KR 1020110112365A KR 20110112365 A KR20110112365 A KR 20110112365A KR 101291585 B1 KR101291585 B1 KR 1012915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suction
dewatering
blower
jet l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2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7378A (ko
Inventor
신건호
Original Assignee
임정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정규 filed Critical 임정규
Priority to KR1020110112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1585B1/ko
Publication of KR20130047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73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1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15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JAUXILIARY WEAVING APPARATUS; WEAVERS' TOOLS; SHUTTLES
    • D03J1/00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 D03J1/06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for treating fabric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28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the weft itself is projected into the shed
    • D03D47/32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the weft itself is projected into the shed by liquid je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9/00Details or constructional features not specially adapted for looms of a particular typ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5/00Removing liquids, gases or vapours from textile materials in association with treatment of th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7/00Heating or cooling textile fabr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uxiliary Weaving Apparatuses, Weavers' Tools, And Shutt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워터제트직기(2)의 메인모터(5)의 구동축(9)에 보조 구동풀리(7)가 추가 장착되고, 보조 구동풀리(7)에 벨트(18)로 연결된 피동풀리(14)가 구비되고, 피동풀리(14)에 연결된 피동축(16)의 회전동력으로 탈수브로워(12)가 구동되고, 탈수브로워(12)에는 흡입부(20)와 배출부(22)가 상단에 구성되고, 워터제트직기(2)에서 제직되어 배출되는 원단(4) 상측에는 흡입장공(48)을 갖는 흡입튜브(24)가 원단(4)과 접촉하도록 설치되고, 흡입튜브(24)에 의해 원단(4)으로부터 흡입된 물과 공기를 분리하는 기수분리기(28)가 장치되고, 기수분리기(28)에 의해 분리된 공기는 흡입관(36)을 통하여 탈수브로워(12)의 흡입부(20)로 흡입되고, 탈수브로워(12)의 배출부(22)에는 토출장공(52)을 갖는 건조튜브(26)가 배출관(38)으로 연결되며, 탈수브로워(12)로부터 토출되는 바람이 건조튜브(26)의 토출장공(52)을 통하여 불어나가며 원단(4)을 건조하도록 구성함으로서, 전력소모량 대비 건조효율이 매우 우수하다.

Description

유휴동력을 이용한 워터제트직기의 원단탈수장치{TEXTURE DEWATERING APPARATUS OF WATER JET LOOM USING IDLE POWER}
본 발명은 워터제트직기의 원단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워터제트직기 동력장치의 유휴동력을 이용한 워터제트직기의 원단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워터제트직기를 이용한 직물의 제직은 개구된 경사 사이로 분사수에 의한 위사의 위입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제직된 원단은 분사수에 의해 상시 젖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분사수에 의해 젖은 상태의 직물을 그대로 권취한 다음 보관 적재할 경우에는 원단에 곰팡이가 발생하게 될 우려가 높고 이러한 경우 제품의 품질을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워터제트직기에 젖은 원단의 물기를 제거하기 위한 건조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워터제트직기의 건조장치는 워터제트직기의 원단 배출부에 설치되며, 흡입 브로워와 연결된 공기흡입식 탈수관과 송풍기와 연결된 공기분사식 공기토출관으로 구성된다.
상기의 워터제트직기의 건조장치는 공기흡입식 탈수관의 공기흡입력에 의해 원단의 물기가 1차적으로 흡출 제거되고, 또한 공기분사식 공기토출관의 토출공을 통하여 토출되는 공기에 의해 원단이 2차 건조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워터제트직기의 건조장치는 흡입 브로워용 모터와 송풍용 모터를 모두 사용하여야 하므로 전력비가 많이 소모되며, 소모되는 전력비에 비하여 건조효율은 오히려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상기 2차 건조수단인 공기토출관은 원단의 후방에서 토출공으로부터 분사되는 공기가 원단을 통과하지 못하고 대부분 원단에 부딪힌 다음 상하방향으로 퍼지게 되므로 효과적인 원단의 건조가 이루어지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젖은 상태의 원단이 원단 권취롤러에 권취되고, 상기 원단은 다시 검사공정을 거친 다음 재권취하여 적재보관하게 되므로 보관중 원단에 곰팡이 발생 우려가 높은 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는 별도의 건조공정을 거칠 수도 있겠으나 공정준비에 따른 설비비와 건조공정운영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므로 사실상 건조공정의 운영은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워터제트직기의 동력장치의 유휴동력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탈수브로워를 가동시켜서 원단을 탈수하고 탈수브로워로부터 토출되는 바람을 이용하여 탈수된 원단을 건조함으로써 전력소모량 대비 건조효율이 높은 워터제트직기의 원단탈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워터제트직기의 메인모터의 구동축에 보조 구동풀리가 추가 장착되고, 보조 구동풀리에 벨트로 연결된 피동풀리가 구비되고, 피동풀리에 연결된 피동축의 회전동력으로 탈수브로워가 구동되고, 탈수브로워에는 흡입부와 배출부가 상단에 구성되고, 워터제트직기에서 제직되어 배출되는 원단 상측에는 흡입장공을 갖는 흡입튜브가 원단과 접촉하도록 설치되고, 흡입튜브에 의해 원단으로부터 흡입된 물과 공기를 분리하는 기수분리기가 장치되고, 기수분리기에 의해 분리된 공기는 흡입관을 통하여 탈수브로워의 흡입부로 흡입되고, 탈수브로워의 배출부에는 토출장공을 갖는 건조튜브가 배출관으로 연결되며, 탈수브로워로부터 토출되는 바람이 건조튜브의 토출장공을 통하여 불어나가며 원단을 건조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탈수브로워 전용의 모터를 설치하지 않고 워터제트직기의 동력장치의 유휴동력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탈수브로워를 가동시켜 원단을 탈수하고 탈수브로워로부터 토출되는 바람을 이용하여 탈수된 원단을 건조함으로써 전력소모량 대비 건조효율이 매우 높아 전기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장치가 고장이 잘 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워터제트직기의 원단탈수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단탈수장치의 주요부분의 상세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수브로워가 구동되는 모습을 나타낸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단탈수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입튜브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튜브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별도의 탈수브로워 전용의 구동모터 없이 워터제트직기 메인모터의 유휴동력을 이용하여서 탈수브로워를 구동시켜 워터제트직기에 젖은 원단으로부터 물과 공기를 흡입하여서 기수 분리한 후 분리된 공기를 탈수브로워로 흡입시키며, 탈수브로워로부터 토출되는 바람을 이용하여서 원단을 2차로 건조하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워터제트직기의 원단탈수장치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단탈수장치의 주요부분의 상세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수브로워가 구동되는 모습을 나타낸 상세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단탈수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및 도 4과 같은 워터제트직기(2)는 대부분 직기가 최대로 필요로 하는 동력보다 15∼20% 상향 선정되어 구동된다. 또한, 메인모터(5)를 생산함에 있어서도 10∼15%의 여유가 있게 만들어진다.
또한, 메인모터(5)를 구동시킬 때도 예를 들어 최대 회전수가 1000R.P.M이라 하여도 기계의 수명을 고려하여 보통 600R.P.M 정도의 수준으로 돌리는 것이 통상적이다.
그러므로 메인모터(5)에는 적어도 최소한 10∼15%의 유휴 동력(여유 동력)이 있다.
본원 발명에서는 이러한 워터제트직기(2)의 메인모터(5)의 유휴동력을 직기의 가동에 무리가 가지 않는 범위 내에서 최대한 활용하여 원단탈수장치(10)를 구동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워터제트직기(2)의 원단탈수장치(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워터제트직기(2)의 본체(3)에 장착되어서 구성되며, 워터제트직기(2)에는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주 구동풀리(6)를 갖는 메인모터(5)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원단탈수장치(10)는 메인모터(5)에 벨트 풀리로 연결되어서 그 전달동력으로 구동하는 탈수브로워(12)와, 탈수브로워(12)의 흡입부(20)에 연결되어 원단(4)의 수분을 흡수하는 흡입튜브(24)와, 흡입튜브(24)를 통하여 흡입한 원단(4)의 공기와 수분을 기수 분리하는 기수분리기(28)와, 탈수브로워(12)의 배출부(22)와 연결되어 원단(4)을 건조하는 건조튜브(26)로 구성된다.
워터제트직기(2)에서 제직되어 배출되는 원단(4)은 공급롤러(60)와 안내롤러(62)를 거쳐 배출롤러(64)로 배출되도록 장치된다. 이때, 원단탈수장치(10)의 흡입튜브(24)는 공급롤러(60)의 입구에 장치되어 원단(4)을 1차로 탈수하는 역할을 하고, 원단탈수장치(10)의 건조튜브(26)는 배출롤러(64)의 출구에 장치되어 탈수된 원단(4)을 2차로 건조하는 역할을 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모터(5)의 유휴동력을 최대한 이용하기 위해서 설비로 동력 전달하기 위한 주 구동풀리(6)를 갖는 메인모터(5)의 구동축(9)에 보조 구동풀리(7)를 추가로 구비하고, 탈수브로워(12)와 연결되는 피동축(16)에는 피동풀리(14)를 설치하며, 보조 구동풀리(7)와 피동풀리(14) 간은 벨트(18)로 연결 구성한다.
보조 구동풀리(7)와 피동풀리(14)는 외경의 크기를 달리하여 회전비를 조정하고 메인모터(5)의 유휴동력을 배가하여 탈수브로워(12)에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탈수브로워(12)의 회전수를 높이기 위해서는 피동풀리(14)보다 보조 구동풀리(7)가 직경을 더 크게 하는 것이 양호하다.
특히 보조 구동풀리(7)와 피동풀리(14)의 회전비는 유휴동력을 대략적으로 계산하여 탈수브로워(12)가 적정한 토크를 유지할 수 있으면서, 메인모터(5)에 부하를 주지 않는 범위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탈수브로워(12)의 동력을 메인모터(5)의 최소한의 유휴동력 15∼20%를 고려하여서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피동풀리(14)와 보조 구동풀리(7)의 회전비는 2 : 1 ∼ 6 : 1로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의 회전비 수치가 하한치에 미치지 못하면 원단 탈수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상한치를 초과하면 메인모터(5)에 과부하가 걸리고 전력비가 오히려 증가할 수 있다.
보조 구동풀리(7)와 피동풀리(14)간에 연결 구성되는 벨트(18)는 동력전달이 용이한 브이벨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메인모터(5)의 동력이 대형이나 초대형이거나 저속회전하는 경우에는 풀리 벨트를 대신하여 스프로킷 체인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벨트(18)는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늘어져서 슬립현상이 일어나 효율적인 에너지 전달이 되지 않고 벨트(18)가 미끄러지면서 열이 발생하고 벨트(18)의 수명이 줄어되게 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현상을 줄이기 위하여 벨트 장력 조절부(40)를 설치할 수 있다.
벨트 장력 조절부(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수 브로워(12)가 장착된 케이싱(68) 상단을 워터제트직기(2) 본체(3)에 축 연결하고, 탈수 브로워(12)의 케이싱(68) 일측을 워터제트직기(2) 본체(3)에 탄성적으로 연결하여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2개의 인장 스프링(42)을 탈수 브로워(12)의 케이싱(68)과 워터제트직기(2) 본체(3)에 각각 장치한 후 인장 스프링들(42) 간을 연결고리(44)로 연결하여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트 장력 조절부(40)는 메인모터(5)의 보조 구동풀리(7)와 탈수브로워(12)의 피동풀리(14)에 연결된 벨트(18)를 미세하게 잡아주어 상시 긴장력이 가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메인모터(5)에서 주 구동풀리(6)가 직기를 가동하기 위해 사용함에 불구하고 여전히 남아 있는 유휴동력의 회전력은 보조 구동풀리(7)와 벨트(18) 및 피동풀리(14)를 통하여 피동축(16)으로 전달되고, 탈수브로워(12)는 피동축(16)의 회전력을 이용해서 구동된다. 이때, 보조 구동풀리(7)의 내경부에는 클러치 베어링(70)을 장착하여 구동함으로써 탈수브로워(12)를 보호할 수 있다.
한편, 탈수브로워(12)의 상측에는 도 2 및 도 3과 같은 흡입부(20)와 배출부(22)가 구비된다.
흡입부(20)와 배출부(22)가 탈수브로워(12)의 하측에 장치될 경우에는 원단(4)에 묻어있던 이물질들이 하부로 가라앉으면서 탈수브로워(12)의 임펠러에 끼여서 탈수브로워(12)의 구동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흡입부(20)와 배출부(22)를 탈수브로워(12)의 상측에 설치하여 원단(4)에 묻어있던 이물질들이 탈수브로워(12)의 임펠러 측으로 가라앉기 전에 상측의 배출부(22)로 바로 빠져나가도록 한다.
탈수브로워(12)의 흡입부(20)에는 흡입튜브(24)가 흡입관(36)을 통하여 연결된다.
흡입튜브(36)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관 형태의 본체 상면에 흡입장공(48)이 형성되어서 구성될 수 있다. 흡입튜브(36)는 공급롤러(60) 입구의 원단 (4)후면에 폭방향으로 길게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원단(4)은 워터제트직기(2)에서 흡입튜브(24)를 거쳐서 공급롤러(60)로 배출되도록 설치되며, 흡입튜브(24)의 흡입장공(48) 상면으로 원단(4)이 덮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흡입튜브(24) 상면에 형성된 흡입장공(48)은 길이방향으로 좁고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흡입튜브(24)는 내측에 직경이 흡입장공(48) 입구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좁아지도록 형성된 제트기류 유도부(50)가 장치된다. 워터제트직기(2)에서 제직되어 배출되는 원단(4)에 함유된 수분과 공기는 제트기류 유도부(50)에 의해 흡입장공(48)으로 더 빠른 속도로 흡입된다.
흡입튜브(24)의 일측에는 원단(4)의 폭이 흡입튜브(24)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원단(4)이 덮히지 않는 부분이 형성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원단(4)이 덮히지 않는 흡입튜브(24)의 흡입장공(48)을 실링하는 실링부(46)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실링부(46)는 흡입장공(48)만을 실링하는 형태로 형성되거나, 흡입장공 및 흡입뷰브를 함께 커버하는 캡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실링부(46)는 불필요하게 소모되는 흡입 에너지를 최소화하고 원단(4)으로 흡입력을 집중시키는 역할을 한다. 실링부(46)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흡입튜브(24)에 덮히는 원단(4)의 폭에 따라 조절 가능하다.
흡입튜브(24)의 흡입장공(48) 상측에 위치한 원단(4)에는 원단(4)을 상면에서 살짝 눌러서 원단(4)에 함유된 수분의 계면장력을 높혀서 흡입튜브(24)의 원단(4)의 탈수효과를 증진시키는 집수대(34)가 장치된다.
집수대(3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닐튜브(56)의 끝단에 지지대(58)가 부착되어서 형성된다. 집수대(34)는 흡입튜브(24)의 상측에 위치한 원단(4)을 가로방향으로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집수대(34)의 비닐튜브(56)는 사각형태로 형성되고, 비닐튜브(56)의 끝단에는 금속 소재로 된 지지대(58)가 부착될 수 있다. 금속 소재로 된 지지대(58)는 원단(4)을 눌러주고 원단(4)에 함유된 수분은 비닐튜브(56) 하측에 뭉쳐져서 흡입튜브(24)의 흡입장공(48)으로 신속하게 흡입된다.
그리고, 흡입튜브(24)는 흡입관(36)에 의해 탈수브로워(12)의 흡입부(20)와 연결되는데, 흡입튜브(24)와 탈수브로워(12)의 흡입부(20) 사이에는 도 1과 같이 기수분리기(28)가 더 장치된다.
기수분리기(28)는 흡입튜브(24)에서 흡입된 원단(4)의 수분과 공기를 분리하여서 수분은 하부로 배출하며 공기는 다시 흡입관(36)을 통해 탈수브로워(12)의 흡입부(20)로 보낸다. 이때, 기수분리기(28)의 출구에는 필터부(30)가 장치되어 기수분리기(28)에서 분리된 공기가 필터부(30)를 거쳐서 탈수브로워(12)의 흡입부(20)로 흡입될 수 있다.
그리고, 탈수브로워(12)는 기수분리기(28)에서 분리된 공기를 흡입한 후 배출부(22)로 배출하게 된다. 이때, 탈수브로워(12)의 배출부(22)에는 건조튜브(26)가 배출관(38)으로 연결 구성된다.
건조튜브(26)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관 형태로 된 본체 전면에 제트기류 유도부(54)가 돌출 형성되어서 구성된다. 제트기류 유도부(54)는 전면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직경이 좁아지게 형성된다. 제트기류 유도부(54)의 끝단에는 탈수브로워(12)에서 토출되는 바람이 나오는 토출장공(52)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건조튜브(26)는 배출롤러(64)의 출구에 장치되어 흡입튜브(24)에서 탈수된 원단(4)을 다시 한번 건조해주는 역할을 한다. 탈수브로워(12)의 배출부(22)에서 토출되는 바람은 건조튜브(26)의 제트기류 유도부(54)를 거치면서 강력하면서도 빠른 속도로 변화되어 원단(4)을 신속하게 건조시킬 수 있다.
그리고, 배출관(38)과 건조튜브(26) 사이에는 도 1과 같이, 탈수브로워(12)로부터 토출되는 바람을 70∼90℃로 가열하는 히팅부(32)를 더 연결 구성할 수 있다. 히팅부(32)는 탈수브로워(12)의 배출부(22)로부터 토출되는 바람을 열풍으로 가열하여서 건조튜브(26)의 원단 건조 효율을 더욱 더 증진시킬 수 있다.
이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단탈수장치(2)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탈수브로워(12)는 별도의 전용 구동모터가 구비되지 않고 메인모터(5)의 보조 구동풀리(7)에 벨트 풀리로 연결되어서 메인모터(5)의 유휴동력으로 구동된다. 탈수브로워(12)에는 흡입부(20)와 배출부(22)가 상측에 구비되고, 흡입부(20)에는 흡입관(36)이 연결되고 배출부(22)에는 배출관(38)이 연결된다.
워터제트직기(2)에서 제직되어 물기를 머금고 있는 원단(4)은 공급롤러(60)와 안내롤러(62)를 거쳐 배출롤러(64)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공급롤러(60)의 입구에는 탈수브로워(12)의 흡입튜브(24)가 장치되어서 흡입장공(48)으로 원단(4)에 함유된 수분을 공기와 함께 흡입한다. 흡입튜브(24)는 제트노즐 형태로 형성되어 원단(4)의 수분을 빠른 속도로 흡입할 수 있다.
흡입튜브(24)로부터 함유된 수분과 공기는 흡입관(36)을 통해 기수분리기(28)를 거치면서 기수분리되고, 기수분리된 공기는 필터부(30)를 거쳐 정화된 후 다시 흡입관(36)을 통해 탈수브로워(12)의 흡입부(20)로 유입된다.
그리고, 탈수브로워(12)의 배출부(22)로 토출되는 바람은 히팅부(32)에 의해 열풍으로 가열된 후 배출관(38)을 거쳐 건조튜브(26)로 이송된다.
건조튜브(26)는 원단(4)의 배출롤러(64)의 출구에 위치하여 흡입튜브(24)를 통해 1차로 탈수되어 배출되는 원단(4)에 열풍을 불어주어 2차로 건조한다. 건조튜브(26)도 제트노즐 형태로 형성되어 원단(4)에 신속하면서 강력한 열풍을 불어주어 원단(4)을 신속하게 건조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단탈수장치(10)의 성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기존의 원단탈수장치와 소요 전력량과 건조된 원단의 함수율을 비교하여 시험해 보았다.
예를 들어 바짝 마른 원단의 무게가 76g이라고 할 때, 기존의 원단탈수장치로 건조한 원단은 86.1g으로 함수율이 13.289%가 나오고, 소요 전력량은 0.35∼0.75㎾가 산출되었다.
그러나, 그에 반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단탈수장치(10)로 건조한 원단(4)은 79.2g으로 함수율이 4.21%가 나오고, 소요 전력량은 0.1㎾가 산출되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단탈수장치(10)는 기존의 원단탈수장치의 전력량의 ⅓ ∼⅛로 함수율은 30∼40%로 줄어들어 전력소모량 대비 건조효율이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원단 탈수와 원단 건조를 위하여 흡입기 및 송풍기 전용의 구동모터를 별도로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기기고장이 잘 일어나지 않는다는 장점도 있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2 : 워트제트직기 4 : 원단
5 : 메인모터 7 : 보조 구동풀리
10 : 원단탈수장치 12 : 탈수브로워
14 : 피동풀리 18 : 벨트
20 : 흡입부 22 : 배출부
24 : 흡입튜브 26 : 건조튜브
28 : 기수분리기 30 : 필터부
32 : 히팅부 34 : 집수대
40 : 벨트장력조절부 46 : 실링부
48 : 흡입장공 50,54 : 제트기류 유도부
52 : 토출장공 56 : 비닐튜브

Claims (6)

  1. 워터제트직기(2)의 메인모터(5)의 구동축(9)에 보조 구동풀리(7)가 추가 장착되고, 보조 구동풀리(7)에 벨트(18)로 연결된 피동풀리(14)가 구비되고, 피동풀리(14)에 연결된 피동축(16)의 회전동력으로 탈수브로워(12)가 구동되고, 탈수브로워(12)에는 흡입부(20)와 배출부(22)가 상단에 구성되고, 워터제트직기(2)에서 제직되어 배출되는 원단(4) 상측에는 흡입장공(48)과 흡입장공(48)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도록 제트기류 유도부(50)를 갖는 흡입튜브(24)가 원단(4)과 접촉하도록 설치되고, 흡입튜브(24)에 의해 원단(4)으로부터 흡입된 물과 공기를 분리하는 기수분리기(28)가 장치되고, 기수분리기(28)에 의해 분리된 공기는 흡입관(36)을 통하여 탈수브로워(12)의 흡입부(20)로 흡입되고, 탈수브로워(12)의 배출부(22)에는 토출장공(52)과 토출장공(52)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제트기류 유도부(54)를 갖는 건조튜브(26)가 배출관(38)으로 연결되며, 탈수브로워(12)로부터 토출되는 바람이 건조튜브(26)의 토출장공(52)을 통하여 불어나가며 원단(4)을 건조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제트직기의 원단탈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탈수브로워(12)를 통하여 토출되는 바람은 히팅부(32)에 의해 열풍으로 가열된 후 건조튜브(26)로 이송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제트직기의 원단탈수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탈수브로워(12)의 일측을 워터 제트직기 본체(3)에 탄성적으로 연결하여서 메인모터(5)의 보조 구동풀리(7)와 탈수브로워(12)의 피동풀리(14)에 연결된 벨트(18)에 상시 긴장력을 가하는 벨트 장력 조절부(40)를 더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제트직기의 원단탈수장치.
  5. 워터제트직기(2)의 메인모터(5)의 구동축(9)에 보조 구동풀리(7)가 추가 장착되고, 보조 구동풀리(7)에 벨트(18)로 연결된 피동풀리(14)가 구비되고, 피동풀리(14)에 연결된 피동축(16)의 회전동력으로 탈수브로워(12)가 구동되고, 탈수브로워(12)에는 흡입부(20)와 배출부(22)가 상단에 구성되고, 워터제트직기(2)에서 제직되어 배출되는 원단(4) 상측에는 흡입장공(48)을 갖는 흡입튜브(24)가 원단(4)과 접촉하도록 설치되고, 흡입튜브(24)의 흡입장공(48) 상측에 위치한 원단(4)에는 비닐튜브(56)의 밑단에 지지대(58)가 부착되어서 형성된 집수대(34)가 덮히도록 장치되고, 흡입튜브(24)에 의해 원단(4)으로부터 흡입된 물과 공기를 분리하는 기수분리기(28)가 장치되고, 기수분리기(28)에 의해 분리된 공기는 흡입관(36)을 통하여 탈수브로워(12)의 흡입부(20)로 흡입되고, 탈수브로워(12)의 배출부(22)에는 토출장공(52)을 갖는 건조튜브(26)가 배출관(38)으로 연결되며, 탈수브로워(12)로부터 토출되는 바람이 건조튜브(26)의 토출장공(52)을 통하여 불어나가며 원단(4)을 건조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제트직기의 원단탈수장치.
  6. 제1항 내지 제2항, 제4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수분리기(28)에서 분리된 공기는 필터부(30)에 의하여 정화되어 탈수브로워(12)의 흡입부(20)로 흡입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제트직기의 원단탈수장치.
KR1020110112365A 2011-10-31 2011-10-31 유휴동력을 이용한 워터제트직기의 원단탈수장치 KR1012915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2365A KR101291585B1 (ko) 2011-10-31 2011-10-31 유휴동력을 이용한 워터제트직기의 원단탈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2365A KR101291585B1 (ko) 2011-10-31 2011-10-31 유휴동력을 이용한 워터제트직기의 원단탈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7378A KR20130047378A (ko) 2013-05-08
KR101291585B1 true KR101291585B1 (ko) 2013-08-01

Family

ID=48658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2365A KR101291585B1 (ko) 2011-10-31 2011-10-31 유휴동력을 이용한 워터제트직기의 원단탈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15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1131B1 (ko) * 2013-06-25 2014-07-22 이귀영 워터제트직기 원단탈수를 위한 흡배기 관리장치
CN105803644A (zh) * 2016-04-28 2016-07-27 长兴如龙纺织有限公司 一种布料复卷装置
CN117906351B (zh) * 2024-03-18 2024-05-28 福建锦宇纺织科技实业有限公司 一种喷水织机用脱水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1003U (ko) * 1997-03-14 1998-11-05 최병현 워터제트직기의 제직직물지 건조장치
KR200264817Y1 (ko) * 2001-11-27 2002-02-21 대흥정밀공업 주식회사 워터 제트직기 본체의 원단을 건조하는 동력전달장치
KR200276012Y1 (ko) 2002-02-15 2002-05-18 젯트기연 주식회사 워터제트직기의 원단건조장치
KR20020072953A (ko) * 2001-03-14 2002-09-19 권연이 마이크로파 유전가열을 이용한 워터제트직기용직물건조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1003U (ko) * 1997-03-14 1998-11-05 최병현 워터제트직기의 제직직물지 건조장치
KR20020072953A (ko) * 2001-03-14 2002-09-19 권연이 마이크로파 유전가열을 이용한 워터제트직기용직물건조방법 및 그 장치
KR200264817Y1 (ko) * 2001-11-27 2002-02-21 대흥정밀공업 주식회사 워터 제트직기 본체의 원단을 건조하는 동력전달장치
KR200276012Y1 (ko) 2002-02-15 2002-05-18 젯트기연 주식회사 워터제트직기의 원단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7378A (ko) 2013-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1585B1 (ko) 유휴동력을 이용한 워터제트직기의 원단탈수장치
CN101907388A (zh) 薄膜挤干机
CN107354644A (zh) 一种新型布料烘干机
CN103388249A (zh) 一种湿布真空脱水机
CN102706113B (zh) 一种自热型羽毛脱水机
CN209214279U (zh) 一种具有调节功能的纺织面料专用烘干设备
CN218073327U (zh) 一种茶叶智能萎凋机
CN107034578A (zh) 喷水织机脱水烘干装置
CN208349704U (zh) 离心脱水机
CN109520257A (zh) 一种新型纺织烘干机
CN208108754U (zh) 一种碳化硅微粉用烘干设备
CN216977439U (zh) 一种针织布高效脱水装置
KR101094242B1 (ko) 유휴동력을 이용한 워터제트직기의 원단탈수장치
CN109520258A (zh) 一种纺织用烘干机
CN102583941A (zh) 一种气动推进式固液分离装置
CN210154264U (zh) 一种高效清洁的纺织染整生产线纱线烘干机
US5935386A (en) Suction roll box
CN209116675U (zh) 一种鸭绒干燥器
CN110558587B (zh) 用于食品甩干的加工设备
CN201757579U (zh) 薄膜挤干机
CN117268086B (zh) 一种金属冶炼用尾渣干燥装置及干燥方法
CN220602075U (zh) 一种布料烘干机
CN209485005U (zh) 用于散纤维的烘干机
CN219064044U (zh) 一种无纺布生产用烘干装置
CN214168408U (zh) 一种纺织加工用织布干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