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1361B1 - 액상화물 저장 설비 - Google Patents
액상화물 저장 설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91361B1 KR101291361B1 KR1020110066872A KR20110066872A KR101291361B1 KR 101291361 B1 KR101291361 B1 KR 101291361B1 KR 1020110066872 A KR1020110066872 A KR 1020110066872A KR 20110066872 A KR20110066872 A KR 20110066872A KR 101291361 B1 KR101291361 B1 KR 10129136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quid
- auxiliary tank
- outlet
- tank
- liquid cargo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2—Arrangement of bulkheads, e.g. defining cargo spa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34—Large containers having floating covers, e.g. floating roofs or blanke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34—Large containers having floating covers, e.g. floating roofs or blankets
- B65D88/40—Large containers having floating covers, e.g. floating roofs or blankets with support for aground cov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22—Safety features
- B65D90/28—Means for preventing or minimising the escape of vapou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액상화물 저장 설비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액상화물 저장 설비는, 격벽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인접한 제1 및 제2 액상화물 저장 탱크와, 격벽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격벽을 기준으로, 어느 한쪽은 제1 액상화물 저장 탱크 내부에 위치하고, 다른 한쪽은 제2 액상화물 저장 탱크 내부에 위치하는 보조 탱크와, 수직 배관의 하단부로부터 제1 액상화물 저장 탱크와 보조 탱크를 관통하여 제2 액상화물 저장 탱크의 내부까지 수평으로 연장된 하부 수평 배관을 구비한다. 하부 수평 배관에는, 제1 액상화물 저장 탱크 내부에 배치된 제1 출구와, 제2 액상화물 저장 탱크 내부에 배치된 제2 출구와, 보조 탱크 내부에 배치된 제3 출구가 마련된다. 제1, 제2 및 제3 출구에는 제1, 제2 및 제3 제어 밸브가 각각 설치된다. 하부 수평 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액상화물은 제3 출구를 통해 보조 탱크 내부를 먼저 채운 후 보조 탱크의 상단을 오버 플로우하여 액상화물 저장 탱크 내부로 유입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액상화물 저장 설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액상화물 저장 탱크 내에 액상화물을 적재할 때 수직 배관 내에서 발생하는 휘발성 유기 화합물을 저감할 수 있도록 구성된 액상화물 저장 설비에 관한 것이다.
육상 또는 해상의 원유 생산 시설이나 원유 저장 시설과 정유 시설 또는 원유 운반선 등에는 원유나 석유, 액화 가스 또는 기타 광물성 액상화물 등의 비교적 증기압이 높은 액상화물을 저장하는 액상화물 저장 탱크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액상화물 저장 탱크 내에 액상화물을 적재(loading)할 때, 액상화물로부터 상당량의 휘발성 유기 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 이하, VOC라 칭한다)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VOC는 액상화물의 적재 시 수직 배관 내에서 많이 발생하게 된다. 예컨대, 원유 운반선에는, 원유를 저장하는 원유 저장 탱크와, 원유 저장 탱크 내에 원유를 적재하기 위한 배관들로서, 원유 저장 탱크의 상부에 수평으로 배치된 수평 배관과, 수평 배관으로부터 수직으로 하향 연장된 수직 배관을 포함하는 원유 저장 설비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수평 배관을 통해 공급된 원유는 수직 배관에서 중력에 의해 급격히 낙하하게 되는데, 이때 수직 배관 내의 상단부에서 과도한 압력 강하가 일어나게 된다. 이때, 수직 배관 내의 상단부 압력이 증기압보다 낮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수직 배관 내의 상단부에서 원유로부터 VOC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발생된 VOC는 다양한 유기 화합물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들은 인체에 유해하고, 대기 중으로 배출될 경우 스모그 등의 원인이 되어 대기오염을 유발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VOC는 대기 중에서 이동성이 강하고, 냄새를 유발할 뿐만 아니라, 잠재적인 독성 및 발암성을 가지고 있으며, 산화질소 및 다른 화합물질과 광화학적으로 반응하여 오존을 형성하기 때문에 이들에 의한 환경오염은 특별히 관심을 집중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이와 같이 발생된 VOC를 대기 중으로 배출할 경우, 그만큼 원유 등 액상화물의 손실이 일어나는 것이다.
따라서, 액상화물 저장 탱크 내에 액상화물을 적재할 때 VOC가 발생되는 것을 저감하여, VOC의 배출을 억제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액상화물 저장 탱크 내에 액상화물을 적재할 때 수직 배관 내에서 발생하는 휘발성 유기 화합물을 저감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진 액상화물 저장 설비를 제공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격벽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인접한 제1 및 제2 액상화물 저장 탱크; 상기 격벽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격벽을 기준으로, 어느 한쪽은 상기 제1 액상화물 저장 탱크 내부에 위치하고, 다른 한쪽은 상기 제2 액상화물 저장 탱크 내부에 위치하는 보조 탱크: 상기 제1 및 제2 액상화물 저장 탱크의 상부에 수평으로 배치된 상부 수평 배관; 상기 상부 수평 배관으로부터 수직으로 하향 연장된 수직 배관; 상기 수직 배관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제1 액상화물 저장 탱크와 상기 보조 탱크를 관통하여 상기 제2 액상화물 저장 탱크의 내부까지 수평으로 연장된 하부 수평 배관; 상기 하부 수평 배관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제1 액상화물 저장 탱크 내부에 배치된 제1 출구, 상기 제2 액상화물 저장 탱크 내부에 배치된 제2 출구 및 상기 보조 탱크 내부에 배치된 제3 출구; 및 상기 제1, 제2 및 제3 출구에 각각 설치된 제1, 제2 및 제3 제어 밸브;를 구비하며,
상기 하부 수평 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액상화물은 상기 제3 출구를 통해 상기 보조 탱크를 채운 후, 상기 보조 탱크의 상단을 오버 플로우하여 상기 제1 및 제2 액상화물 저장 탱크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화물 저장 설비가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 탱크의 하단은 상기 제1 및 제2 액상화물 저장 탱크의 바닥면에 밀착 지지되고, 그 상단에는 상기 보조 탱크 내부의 액상화물을 배출하기 위한 제1 상부 배출구와 제2 상부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상부 배출구는 상기 격벽의 양측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상부 배출구에는 액상화물의 배출을 단속하는 제1 및 제2 상부 밸브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탱크의 외부에 상기 보조 탱크와 간격을 두고 상기 보조 탱크의 상단과 측면을 둘러싸는 케이스가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와 상기 보조 탱크 사이에 상기 보조 탱크의 상단을 오버 플로우한 액상화물이 흘러내리는 내부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의 하단부에는 상기 내부 통로를 통해 흘러내리는 액상화물을 배출하기 위한 제1 하부 배출구와 제2 하부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벽을 기준으로, 상기 제1 하부 배출구는 상기 제1 액상화물 저장 탱크 쪽에 형성되며, 상기 제2 하부 배출구는 상기 제2 액상화물 저장 탱크 쪽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의 상단에는 다수의 가스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탱크는 하단으로부터 상단으로 가면서 점차 좁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탱크의 외측면에는 상기 보조 탱크의 상단으로부터 하단까지 연장된 다수의 가이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탱크의 상부에는, 상기 보조 탱크의 상단과 간격을 두고 상기 보조 탱크의 상단을 덮는 커버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의 중간부는 평판 형상을 가지며, 외주부는 아래쪽으로 꺾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는 상기 격벽에 고정되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탱크의 높이는 상기 수직 배관 내의 상단부 압력이 액상화물의 증기압 이상이 되도록 하는 액상화물의 높이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탱크의 단면적은 상기 하부 수평 배관의 단면적보다 넓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제2 및 제3 출구는 아래쪽으로 향하도록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탱크의 바닥에는 상기 제3 출구를 통해 상기 보조 탱크 내부로 유입되는 액상화물의 흐름을 안내하는 오목한 가이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수평 배관의 제3 출구는 위쪽으로 향하도록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수평 배관의 일부분에는 "U" 자 형상으로 아래로 꺾여 높이가 낮아진 높이 저하부가 형성되고, 상기 높이 저하부가 상기 보조 탱크를 관통하며, 상기 높이 저하부에 상기 제3 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탱크의 하단부에는 상기 보조 탱크 내부의 액상화물을 배출하기 위한 보조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보조 배출구에는 상기 보조 배출구를 개폐하기 위한 보조 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액상화물 저장 설비에 의하면, 액상화물 저장 탱크 내에 설치된 보조 탱크 내에 액상화물이 먼저 채워지면서 보조 탱크 내의 액상화물의 높이에 따른 유체 정압이 수직 배관 내에 미치게 되므로, 수직 배관 내의 상단부 압력이 보다 빠른 시간 내에 증기압에 도달하게 된다. 따라서, 액상화물의 적재 시 수직 배관 내의 상단부에서 급격한 압력 강하에 따른 VOC의 발생이 감소될 수 있다. 그리고, 하나의 보조 탱크가 두 개의 액상화물 저장 탱크에 공유되므로, 구조가 단순화되고 설치 비용이 저감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OC 저감 수단이 마련된 액상화물 저장 설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액상화물 저장 설비에서, 보조 탱크 내부에 액상화물이 채워진 다음의 액상화물의 적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액상화물 저장 설비에서, 액상화물 저장 탱크 내의 액상화물을 하역할 때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액상화물 저장 설비에서, 보조 탱크 외부에 케이스가 설치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VOC 저감 수단이 마련된 액상화물 저장 설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액상화물 저장 설비의 보조 탱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액상화물 저장 설비에서, 보조 탱크 상부에 커버가 설치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액상화물 저장 설비에서, 하부 수평 배관과 제3 출구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액상화물 저장 설비에서, 보조 탱크 내부에 액상화물이 채워진 다음의 액상화물의 적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액상화물 저장 설비에서, 액상화물 저장 탱크 내의 액상화물을 하역할 때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액상화물 저장 설비에서, 보조 탱크 외부에 케이스가 설치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VOC 저감 수단이 마련된 액상화물 저장 설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액상화물 저장 설비의 보조 탱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액상화물 저장 설비에서, 보조 탱크 상부에 커버가 설치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액상화물 저장 설비에서, 하부 수평 배관과 제3 출구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VOC 저감 수단이 마련된 액상화물 저장 설비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가리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OC 저감 수단이 마련된 액상화물 저장 설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육상 또는 해상의 원유 생산 시설이나 원유 저장 시설과 정유 시설 또는 원유 운반선 등에는 원유나 석유, 액화 가스 또는 기타 광물성 액상화물 등의 비교적 증기압이 높은 액상화물을 저장하기 위한 액상화물 저장 설비(100)가 마련된다.
상기 액상화물 저장 설비(100)는, 액상화물을 저장하는 액상화물 저장 탱크(111, 112)와, 상기 액상화물 저장 탱크(111, 112) 내에 액상화물을 적재(loading)하기 위한 배관들(120, 130, 140)을 포함한다. 상기 배관들(120, 130, 140)은, 상기 액상화물 저장 탱크(111, 112)의 상부에 수평으로 배치된 상부 수평 배관(120)과, 상기 상부 수평 배관(120)으로부터 수직으로 하향 연장된 수직 배관(130)과, 상기 수직 배관(130)과 액상화물 저장 탱크(111, 112)를 연결하는 하부 수평 배관(140)을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액상화물 저장 설비(100)가 원유 운반선에 마련된 것인 경우에는, 상기 상부 수평 배관(120)은 원유 생산지의 원유 저장 탱크와 연결되며, 이를 통해 원유가 공급된다. 상기 상부 수평 배관(120)을 통해 공급되는 액상화물은 상기 수직 배관(130)과 하부 수평 배관(140)을 거쳐 액상화물 저장 탱크(111, 112) 내로 유입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액상화물 저장 탱크(111, 112) 내에 액상화물을 적재할 때, 상기 수직 배관(130) 내의 상단부(A로 표시된 부분)에서 중력에 의한 가속에 의해 압력이 증기압 아래로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VOC가 많이 발생된다.
일반적으로, 액상화물 저장 탱크(111, 112) 내에 액상화물이 채워지면서 액상화물 저장 탱크(111, 112) 내의 액상화물의 높이가 높아지게 되면, 액상화물의 높이에 상응하는 유체 정압이 상기 수직 배관(130) 내에도 미치게 되므로, 상기 수직 배관(130) 내의 상단부(A) 압력도 높아지게 된다. 이때, 상기 수직 배관(130) 내의 상단부(A) 압력이 액상화물의 증기압 이상이 되면 VOC의 발생이 급격히 감소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수직 배관(130) 내의 상단부(A) 압력이 액상화물의 증기압 이상이 되도록 하는 액상화물 저장 탱크(111, 112) 내의 액상화물의 높이를 임계 높이(critical level)라고 한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액상화물 저장 탱크(111, 112) 내에서 액상화물의 높이가 임계 높이에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상당히 길기 때문에, 그 동안 상당량의 VOC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액상화물 저장 탱크(111, 112) 내에서 액상화물의 높이가 임계 높이에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게 되면, 즉 상기 수직 배관(130) 내의 상단부(A) 압력이 액상화물의 증기압 이상이 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게 되면, VOC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화물 저장 설비(100)는, 격벽(113)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인접한 제1 및 제2 액상화물 저장 탱크(111, 112) 사이에 설치된 보조 탱크(160)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 수평 배관(140)은 상기 수직 배관(130)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제1 액상화물 저장 탱크(111)와 보조 탱크(160)를 관통하여 상기 제2 액상화물 저장 탱크(112)의 내부까지 수평으로 연장된다. 상기 하부 수평 배관(140)에는 액상화물을 배출하기 위한 3개의 출구(141, 142, 143)가 마련되는데, 제1 출구(141)는 제1 액상화물 저장 탱크(111) 내부에 배치되고, 제2 출구(142)는 제2 액상화물 저장 탱크(112) 내부에 배치되며, 제3 출구(143)는 상기 보조 탱크(160)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제1, 제2 및 제3 출구(141, 142, 143)는 모두 아래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제2 및 제3 출구(141, 142, 143)에는 액상화물의 배출을 단속하는 제1, 제2 및 제3 제어 밸브(151, 152, 153)가 각각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조 탱크(160)는 수직으로 세워진 관 형상을 가지며, 또한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사각형이나 다각형 등의 다양한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보조 탱크(160)는 제1 및 제2 액상화물 저장 탱크(111, 112)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된다. 즉, 상기 보조 탱크(160)는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제1 및 제2 액상화물 저장 탱크(111, 112) 사이의 격벽(113)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보조 탱크(160)는, 상기 격벽(113)을 기준으로 어느 한쪽은 제1 액상화물 저장 탱크(111) 내부에 위치하고, 다른 한쪽은 제2 액상화물 저장 탱크(112)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보조 탱크(160)의 하단은 상기 제1 및 제2 액상화물 저장 탱크(111, 112)의 바닥면에 밀착 지지되고, 그 상단에는 보조 탱크(160) 내부의 액상화물을 배출하기 위한 제1 상부 배출구(161)와 제2 상부 배출구(162)가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상부 배출구(161, 162)는 상기 격벽(113)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격벽(113)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상부 배출구(161)는 제1 액상화물 저장 탱크(111) 쪽에 형성되며, 제2 상부 배출구(172)는 제2 액상화물 저장 탱크(112) 쪽에 형성된다. 상기 제1 상부 배출구(161)와 제2 상부 배출구(162)에는 액상화물의 배출을 단속하는 제1 상부 밸브(163)와 제2 상부 밸브(164)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하부 수평 배관(140)이 상기 보조 탱크(160)를 수평으로 관통하여 설치된다. 상기 하부 수평 배관(140)의 제3 출구(143)를 통해 상기 보조 탱크(160) 내부로 액상화물이 유입되는데, 이러한 액상화물의 흐름을 원활하게 만들어 주기 위해, 상기 보조 탱크(160)의 바닥에는 액상화물의 흐름을 안내하는 오목한 가이드(165)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보조 탱크(160)는 일정한 높이(H)를 가지는데, 그 높이(H)는 상기 수직 배관(130) 내의 상단부(A로 표시된 부분) 압력이 액상화물의 증기압 이상이 되도록 하는 액상화물의 높이, 즉 임계 높이와 동일하거나 그 보다 높을 수 있다.
상기 보조 탱크(160)의 단면적은 상기 하부 수평 배관(140)의 단면적보다 커야 하지만, 그 범위는 아래의 사항을 고려하여 적정하게 정해질 수 있다.
상기 보조 탱크(160)의 단면적이 너무 작으면, 상기 보조 탱크(160) 내에서 액상화물의 원활한 흐름이 방해를 받을 수 있으므로, 이를 고려하여 상기 보조 탱크(160)의 단면적의 하한치가 정해질 수 있다. 반대로, 상기 보조 탱크(160)의 단면적이 너무 크면, 상기 보조 탱크(160) 내에서 액상화물의 높이가 상기한 임계 높이에 도달하는 시간이 길어지게 되어, 수직 배관(130) 내에서의 VOC의 저감 효과가 낮아질 수 있으므로, 이를 고려하여 상기 보조 탱크(160)의 단면적의 상한치가 정해질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액상화물 저장 탱크(111, 112) 내에 액상화물을 적재할 때, 먼저 상기 하부 수평 배관(140)의 제3 출구(143)에 설치된 제3 제어 밸브(153)를 열고, 상기 제1 및 제2 출구(141, 142)에 설치된 제1 및 제2 제어 밸브(151, 152)는 닫힌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면, 상기 하부 수평 배관(140)을 통해 공급되는 액상화물은 제3 출구(143)를 통해 상기 보조 탱크(160)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보조 탱크(160) 내부를 보조 탱크(160)의 높이(H)까지 먼저 채우게 되고, 그 이후에 보조 탱크(160)의 제1 및 제2 상부 배출구(161, 162)를 통해 오버 플로우되어 제1 및 제2 액상화물 저장 탱크(111, 112) 내부를 채우게 된다. 이때, 상기 보조 탱크(160)의 제1 및 제2 상부 배출구(161, 162)에 설치된 제1 및 제2 상부 밸브(163, 164)는 열린 상태로 유지된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 상부 밸브(163, 164)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함께 열린 상태로 유지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상기 제1 및 제2 상부 밸브(163, 164) 중 어느 하나만 열린 상태로 유지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 및 제2 액상화물 저장 탱크(111, 112) 중 어느 하나에만 액상화물을 적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상부 밸브(163, 164)를 순차적으로 열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 및 제2 액상화물 저장 탱크(111, 112)에 순차적으로 액상화물을 적재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부 수평 배관(140)을 통해 공급되는 액상화물이 상기 보조 탱크(160) 내부를 먼저 채우게 됨으로써, 상기 보조 탱크(160) 내의 액상화물의 높이가 빠르게 높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액상화물의 높이에 상응하는 액상화물의 유체 정압이 하부 수평 배관(140)을 통해 수직 배관(130)의 내부에도 미치게 되어 수직 배관(130) 내의 상단부(A) 압력도 빠르게 높아지게 된다. 상기 보조 탱크(160) 내부의 액상화물이 보조 탱크(160)의 높이(H)에 도달하게 되면, 수직 배관(130) 내의 상단부 압력이 액상화물의 증기압에 도달하게 되므로, VOC의 발생이 현저하게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액상화물의 적재 시 수직 배관(130) 내의 상단부(A)에서 급격한 압력 강하에 따른 VOC의 발생이 저감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액상화물 저장 탱크(111, 112)에 각각 보조 탱크(160)가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보조 탱크(160)만 설치되어 공유되므로, 구조가 단순화되고 설치 비용이 저감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액상화물 저장 설비에서, 보조 탱크 내부에 액상화물이 채워진 다음의 액상화물의 적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및 제2 상부 배출구(161, 162)를 통해 상기 보조 탱크(160)의 상단을 오버 플로우한 액상화물이 제1 및 제2 액상화물 저장 탱크(111, 112) 내부를 채우게 되면서, 제1 및 제2 액상화물 저장 탱크(111, 112) 내부의 액상화물의 높이도 점차 상승하여 보조 탱크(160)의 높이에 도달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보조 탱크(160) 내부의 액상화물의 높이가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하부 수평 배관(140) 및 수직 배관(130)에는 일정한 유체 정압이 미치게 된다. 따라서, 하부 수평 배관(140)을 통해 제1 및 제2 액상화물 저장 탱크(111, 112) 내부로 유입되는 액상화물의 유량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으므로, 액상화물 적재 과정의 제어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액상화물 저장 탱크(111, 112) 내의 액상화물의 높이가 보조 탱크(160)의 높이에 도달하면, 상기 하부 수평 배관(140)의 제3 출구(143)에 설치된 제3 제어 밸브(153)를 닫고 제1 및 제2 출구(141, 142)에 설치된 제1 및 제2 제2 제어 밸브(151, 152)를 열어서 하부 수평 배관(140)을 통해 공급되는 액상화물이 제1 및 제2 출구(141, 142)를 통해 제1 및 제2 액상화물 저장 탱크(111, 112) 내로 직접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하부 수평 배관(140)을 통해 공급되는 액상화물이 제1 및 제2 액상화물 저장 탱크(111, 112) 내로 보다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다. 이때에는, 제1 및 제2 액상화물 저장 탱크(111, 112) 내의 액상화물의 높이가 이미 임계 높이에 도달한 상태이므로, 수직 배관(130) 내의 상단부(A)에서 압력의 저하가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제 및 제2 액상화물 저장 탱크(111, 112) 내의 액상화물의 높이가 보조 탱크(160)의 높이에 도달하면, 상기 하부 수평 배관(140)의 제3 출구(143)에 설치된 제3 제어 밸브(153)를 열린 상태로 유지하고, 제1 및 제2 출구(141, 142)에 설치된 제1 및 제2 제어 밸브(151, 152)도 열어서 하부 수평 배관(140)을 통해 공급되는 액상화물이 제1 , 제2 및 제3 출구(141, 142, 143) 모두를 통해 제1 및 제2 액상화물 저장 탱크(111, 112) 내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상기 액상화물 저장 탱크(111, 112) 내의 액상화물의 높이가 보조 탱크(160)의 높이에 도달하더라도, 상기 하부 수평 배관(140)의 제3 출구(143)에 설치된 제3 제어 밸브(153)만 열린 상태로 유지하고, 제1 및 제2 출구(141, 142)에 설치된 제1 및 제2 제어 밸브(151, 152)는 닫힌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하부 수평 배관(140)을 통해 공급되는 액상화물은 제3 출구(143)와 보조 탱크(160)를 통해 제1 및 제2 액상화물 저장 탱크(111, 112) 내로 유입된다.
그리고, 위에서는 제1 및 제2 액상화물 저장 탱크(111, 112) 내부에 액상화물을 동시에 적재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액상화물의 적재는 순차적으로 진행될 수도 있다. 예컨대, 전술한 바와 같이, 보조 탱크(160)의 상단에 설치된 제1 상부 밸브(163)만 열고, 제2 상부 밸브(164)를 닫게 되면, 보조 탱크(160) 내부의 액상화물은 제1 액상화물 저장 탱크(111)로만 오버 플로우되어, 제1 액상화물 저장 탱크(111) 내부로만 액상화물이 유입된다. 상기 제1 액상화물 저장 탱크(111) 내의 액상화물의 높이가 보조 탱크(160)의 높이에 도달하면, 제2 제어 밸브(152)는 닫힌 상태로 유지하고, 제1 제어 밸브(151)를 열어서 제1 액상화물 저장 탱크(111) 내부로 액상화물이 계속 유입되도록 한다. 이때, 제3 제어 밸브(153)만 열린 상태로 유지하거나, 제1 제어 밸브(151)와 제3 제어 밸브(153)를 함께 열 수도 있다. 상기 제1 액상화물 저장 탱크(111) 내부에 액상화물의 적재가 완료된 후, 상기 제2 액상화물 저장 탱크(112)에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 방법으로 액상화물을 적재할 수 있다. 상기 제1 액상화물 저장 탱크(111)와 제2 액상화물 저장 탱크(112)에 액상화물을 적재하는 순서는 바뀔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액상화물 저장 설비에서, 액상화물 저장 탱크 내의 액상화물을 하역할 때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상부 수평 배관(120), 수직 배관(130) 및 하부 수평 배관(140)은 제1 및 제2 액상화물 저장 탱크(111, 112) 내부와 보조 탱크(160) 내부에 적재된 액상화물의 하역을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하부 수평 배관(140)의 제1, 제2 및 제3 출구(141, 142, 143)에 설치된 제1, 제2 및 제3 밸브(151, 152, 153)를 모두 열게 된다. 그러면, 제1 및 제2 액상화물 저장 탱크(111, 112) 내부와 보조 탱크(160) 내부의 액상화물은 상기 제1, 제2 및 제3 출구(141, 142, 143)를 통해 하부 수평 배관(140) 내로 유입될 수 있으며, 수직 배관(130)과 상부 수평 배관(120)을 거쳐 하역될 수 있다.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제2 및 제3 출구(141, 142, 143)가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제1 및 제2 액상화물 저장 탱크(111, 112)의 바닥 가까이의 액상화물과 보조 탱크(160)의 바닥 가까이의 액상화물도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제2 및 제3 밸브(151, 152, 153)를 동시에 열어서 제1 및 제2 액상화물 저장 탱크(111, 112) 내부와 보조 탱크(160) 내부에 적재된 액상화물을 동시에 하역할 수도 있으나, 이러한 액상화물의 하역은 순차적으로 진행될 수도 있다. 예컨대, 먼저 제1 밸브(151)만 열어서 제1 액상화물 저장 탱크(111) 내부의 액상화물을 하역한 뒤에, 제2 밸브(152)만 열어서 제2 액상화물 저장 탱크(112) 내부의 액상화물을 하역하고, 마지막으로 제3 밸브(153)만 열어서 보조 탱크(160) 내부의 액상화물을 하역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제2 및 제3 밸브(151, 152, 153)를 여는 순서는 상기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어떠한 순서라도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보조 탱크(160) 내의 액상화물도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하역할 수 있으나, 보조 탱크(160) 내부의 액상화물은 하역하지 않고 다음의 액상화물 적재를 위해 그대로 유지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제3 제어 밸브(153)는 닫힌 상태로 유지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액상화물 저장 설비에서, 보조 탱크 외부에 케이스가 설치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보조 탱크(160)의 외부에, 상기 보조 탱크(160)와 소정 간격을 두고 상기 보조 탱크(160)의 상단과 측면을 둘러싸는 케이스(170)가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하부 수평 배관(140)은 상기 케이스(170)도 관통하게 된다.
상기 케이스(170)는, 하단이 제1 및 제2 액상화물 저장 탱크(111, 112)의 바닥면에 지지되고, 상단은 상기 보조 탱크(160)의 상단을 덮도록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170)는 상기 보조 탱크(160)의 형상과 상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케이스(170)의 하단부에는 액상화물을 배출하기 위한 제1 및 제2 하부 배출구(171, 17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격벽(113)을 기준으로, 상기 제1 하부 배출구(171)는 제1 액상화물 저장 탱크(111) 쪽에 형성되며, 제2 하부 배출구(172)는 제2 액상화물 저장 탱크(112) 쪽에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170)의 상단에는 다수의 가스 배출구(174)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다수의 가스 배출구(174)는 이미 발생된 VOC를 제1 및 제2 액상화물 저장 탱크(111, 112) 내의 상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케이스(170)와 보조 탱크(160) 사이의 공간에는 내부 통로(173)가 형성된다. 상기 보조 탱크(160)의 상단을 오버 플로우한 액상화물은, 상기 내부 통로(173)를 통해 흘러내리게 되고, 상기 케이스(170)의 하단에 형성된 제1 및 제2 하부 배출구(171, 172)를 통해 배출되어 제1 및 제2 액상화물 저장 탱크(111, 112) 내로 유입된다.
상기 보조 탱크(160)의 상단을 오버 플로우하는 액상화물은 보조 탱크(160)의 상단에서 수직으로 낙하하면서 비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주변 공기와의 접촉 면적이 넓어지면서 증발되어 VOC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보조 탱크(160)의 외부에 상기 케이스(170)가 설치되면, 보조 탱크(160)의 상단을 오버 플로우한 액상화물은, 보조 탱크(160)와 케이스(170) 사이에 형성된 내부 통로(173)를 통해 흘러내리게 되므로, 액상화물의 비산이 제한되고, 주변 공기와의 접촉이 최소화되어, VOC의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VOC 저감 수단이 마련된 액상화물 저장 설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액상화물 저장 설비의 보조 탱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와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상화물 저장 설비(200)는, 격벽(113)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인접한 제1 및 제2 액상화물 저장 탱크(111, 112) 사이에 설치된 보조 탱크(260)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 수평 배관(140)은 상기 수직 배관(130)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제1 액상화물 저장 탱크(111)와 보조 탱크(260)를 관통하여 상기 제2 액상화물 저장 탱크(112)의 내부까지 수평으로 연장된다. 상기 하부 수평 배관(140)에는 액상화물을 배출하기 위한 3개의 출구(141, 142, 143)가 마련되는데, 제1 출구(141)는 제1 액상화물 저장 탱크(111) 내부에 배치되고, 제2 출구(142)는 제2 액상화물 저장 탱크(112) 내부에 배치되며, 제3 출구(143)는 상기 보조 탱크(260)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제1, 제2 및 제3 출구(141, 142, 143)에는 액상화물의 배출을 단속하는 제1, 제2 및 제3 제어 밸브(151, 152, 153)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보조 탱크(260)는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제1 및 제2 액상화물 저장 탱크(111, 112) 사이의 격벽(113)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상기 보조 탱크(260)의 하단은 상기 제1 및 제2 액상화물 저장 탱크(111, 112)의 바닥면에 밀착 지지되고, 그 상단에는 보조 탱크(260) 내부의 액상화물을 배출하기 위한 제1 상부 배출구(261)와 제2 상부 배출구(262)가 형성된다. 상기 제1 상부 배출구(261)와 제2 상부 배출구(262)는 상기 격벽(113)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상부 배출구(261)와 제2 상부 배출구(262)에는 액상화물의 배출을 단속하는 제1 상부 밸브(263)와 제2 상부 밸브(264)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탱크(260)의 바닥에는, 하부 수평 배관(140)의 제3 출구(143)를 통해 보조 탱크(260) 내부로 유입되는 액상화물의 흐름을 원활하게 만들어 주기 위해, 오목한 가이드(265)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보조 탱크(260)의 단면적은 상기 하부 수평 배관(140)의 단면적보다 크고, 그 높이(H)는 상기 수직 배관(130) 내의 상단부(A로 표시된 부분) 압력이 액상화물의 증기압 이상이 되도록 하는 액상화물의 높이, 즉 임계 높이와 동일하거나 그 보다 높을 수 있다.
상기한 액상화물 저장 설비(200)의 구성은, 상기 보조 탱크(260)의 형상을 제외하고는 도 1에 도시된 액상화물 저장 설비(100)와 동일하며, 이에 따라 그 작용 및 효과도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액상화물 저장 설비(200)에 있어서, 상기 보조 탱크(260)는 하단으로부터 상단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형상을 가진다. 상기 보조 탱크(260)의 단면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원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사각형이나 다각형 등의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 탱크(260)의 외측면에는 상기 보조 탱크(260)의 상단으로부터 하단까지 연장된 다수의 가이드 홈(26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가이드 홈(266)은 상기 보조 탱크(260)의 외주를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보조 탱크(260)가 하단으로부터 상단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형상을 가짐으로써, 보조 탱크(260)의 외측면은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보조 탱크(260)의 상단을 오버 플로우한 액상화물이 수직으로 낙하하지 않고 상기 보조 탱크(260)의 경사진 외측면을 따라 자연스럽게 흘러내리게 되므로, 액상화물의 비산이 억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 탱크(260)의 상단을 오버 플로우한 액상화물은 상기 보조 탱크(260)의 외측면에 형성된 다수의 가이드 홈(266)을 따라 흘러내리게 되므로, 보조 탱크(260)의 외측면 전체에 넓게 퍼져 흘러내리는 경우에 비해 액상화물과 주변 공기 사이의 접촉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조 탱크(260)의 상단을 오버 플로우한 액상화물이 흘러내리는 과정에서, 액상화물의 비산이 억제되고, 주변 공기와의 접촉이 최소화되므로, VOC의 발생이 감소될 수 있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액상화물 저장 설비에서, 보조 탱크 상부에 커버가 설치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보조 탱크(260)의 상부에는, 상기 보조 탱크(260)의 상단과 소정 간격을 두고 상기 보조 탱크(260)의 상단을 덮는 커버(27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270)의 중간부는 평판 형상을 가지며, 외주부는 아래쪽으로 꺾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커버(270)는 상기 격벽(113)에 고정되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보조 탱크(260)의 상단부의 단면적이 좁거나 또는 액상화물의 유량이 급격히 증가할 경우, 액상화물이 상기 제1 상부 배출구(261)와 제2 상부 배출구(262)를 통해 분출되어 비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주변 공기와의 접촉 면적이 넓어지면서 증발되어 VOC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보조 탱크(260)의 상부에 상기 커버(270)를 배치하면, 상기 커버(270)에 의해 액상화물의 비산이 제한되고, 주변 공기와의 접촉이 최소화되어, VOC의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액상화물 저장 설비에서, 하부 수평 배관과 제3 출구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하부 수평 배관(140)의 제3 출구(143)가 아래쪽을 향해 돌출된 경우, 제3 출구(143)를 통해 배출되는 액상화물에 의해 보조 탱크(160)의 바닥면이 침식될 수 있으며, 또한 액상화물의 흐름이 하향에서 다시 상향으로 변하게 되어 이러한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가이드(145)가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수평 배관(140)의 제3 출구(143)가 위쪽으로 향하도록 돌출된 경우에는, 제3 출구(143)를 통해 배출되는 액상화물이 위쪽을 향하게 되므로, 보조 탱크(160) 내부에서의 액상화물의 상향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보조 탱크(160) 바닥면의 침식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가이드(도 1의 145)를 필요로 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수평 배관(140)의 일부분에는 "U" 자 형상으로 아래로 꺾여 높이가 낮아진 높이 저하부(145)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높이 저하부(145)가 상기 보조 탱크(160)를 관통하고, 이 높이 저하부(145)에 상기 제3 출구(143)가 위쪽으로 향하도록 돌출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3 출구(143)의 위치가 과도하게 높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3 출구(143)를 통해 상기 보조 탱크(160) 내부의 액상화물을 하역할 수 있으나, 상기 제3 출구(143)가 위쪽으로 향하도록 돌출 형성됨에 따라, 제3 출구(143) 아래의 액상화물은 하역이 힘들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상기 보조 탱크(160)의 하단부에 액상화물을 배출하기 위한 보조 배출구(16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 배출구(167)를 통해 보조 탱크(160) 내부의 액상화물을 제1 또는 제2 액상화물 저장 탱크(111, 112) 내부로 배출함으로써, 보조 탱크(160) 내부의 액상화물을 완전히 하역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 배출구(167)에는 상기 보조 배출구(167)를 개폐하기 위한 보조 밸브(168)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 밸브(168)는 액상화물의 적재 시에는 닫힌 상태를 유지하고, 액상화물의 하역 시에만 열리게 된다.
한편, 상기한 하부 수평 배관(140)과 제3 출구(143)의 변형예와, 보조 탱크(160)의 하단부에 형성된 보조 배출구(167) 및 여기에 설치된 보조 밸브(168)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뿐만 아니라, 도 4,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200...액상화물 저장 설비 111...제1 액상화물 저장 탱크
112...제2 액상화물 저장 탱크 113...격벽
120...상부 수평 배관 130...수직 배관
140...하부 수평 배관 141...제1 출구
142...제2 출구 143...제3 출구
145...높이 저하부 151...제1 제어 밸브
152...제2 제어 밸브 153...제3 제어 밸브
160,260...보조 탱크 161,261...제1 상부 배출구
162,262...제2 상부 배출구 163,263...제1 상부 밸브
164,264...제2 상부 밸브 165,265...가이드
167...보조 배출구 168...보조 밸브
170...케이스 171...제1 하부 배출구
172...제2 하부 배출구 173...내부 통로
174...가스 배출구 266...가이드 홈
270...커버
112...제2 액상화물 저장 탱크 113...격벽
120...상부 수평 배관 130...수직 배관
140...하부 수평 배관 141...제1 출구
142...제2 출구 143...제3 출구
145...높이 저하부 151...제1 제어 밸브
152...제2 제어 밸브 153...제3 제어 밸브
160,260...보조 탱크 161,261...제1 상부 배출구
162,262...제2 상부 배출구 163,263...제1 상부 밸브
164,264...제2 상부 밸브 165,265...가이드
167...보조 배출구 168...보조 밸브
170...케이스 171...제1 하부 배출구
172...제2 하부 배출구 173...내부 통로
174...가스 배출구 266...가이드 홈
270...커버
Claims (19)
- 격벽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인접한 제1 및 제2 액상화물 저장 탱크;
상기 격벽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격벽을 기준으로, 어느 한쪽은 상기 제1 액상화물 저장 탱크 내부에 위치하고, 다른 한쪽은 상기 제2 액상화물 저장 탱크 내부에 위치하는 보조 탱크:
상기 제1 및 제2 액상화물 저장 탱크의 상부에 수평으로 배치된 상부 수평 배관;
상기 상부 수평 배관으로부터 수직으로 하향 연장된 수직 배관;
상기 수직 배관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제1 액상화물 저장 탱크와 상기 보조 탱크를 관통하여 상기 제2 액상화물 저장 탱크의 내부까지 수평으로 연장된 하부 수평 배관;
상기 하부 수평 배관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제1 액상화물 저장 탱크 내부에 배치된 제1 출구, 상기 제2 액상화물 저장 탱크 내부에 배치된 제2 출구 및 상기 보조 탱크 내부에 배치된 제3 출구; 및
상기 제1, 제2 및 제3 출구에 각각 설치된 제1, 제2 및 제3 제어 밸브;를 구비하며,
상기 하부 수평 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액상화물은 상기 제3 출구를 통해 상기 보조 탱크를 채운 후, 상기 보조 탱크의 상단을 오버 플로우하여 상기 제1 및 제2 액상화물 저장 탱크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화물 저장 설비.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탱크의 하단은 상기 제1 및 제2 액상화물 저장 탱크의 바닥면에 밀착 지지되고, 그 상단에는 상기 보조 탱크 내부의 액상화물을 배출하기 위한 제1 상부 배출구와 제2 상부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상부 배출구는 상기 격벽의 양측에 각각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화물 저장 설비.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상부 배출구에는 액상화물의 배출을 단속하는 제1 및 제2 상부 밸브가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화물 저장 설비.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탱크의 외부에 상기 보조 탱크와 간격을 두고 상기 보조 탱크의 상단과 측면을 둘러싸는 케이스가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와 상기 보조 탱크 사이에 상기 보조 탱크의 상단을 오버 플로우한 액상화물이 흘러내리는 내부 통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화물 저장 설비.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하단부에는 상기 내부 통로를 통해 흘러내리는 액상화물을 배출하기 위한 제1 하부 배출구와 제2 하부 배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화물 저장 설비.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을 기준으로, 상기 제1 하부 배출구는 상기 제1 액상화물 저장 탱크 쪽에 형성되며, 상기 제2 하부 배출구는 상기 제2 액상화물 저장 탱크 쪽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화물 저장 설비.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상단에는 다수의 가스 배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화물 저장 설비.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탱크는 하단으로부터 상단으로 가면서 점차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화물 저장 설비.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탱크의 외측면에는 상기 보조 탱크의 상단으로부터 하단까지 연장된 다수의 가이드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화물 저장 설비.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탱크의 상부에는, 상기 보조 탱크의 상단과 간격을 두고 상기 보조 탱크의 상단을 덮는 커버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화물 저장 설비.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중간부는 평판 형상을 가지며, 외주부는 아래쪽으로 꺾인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화물 저장 설비.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격벽에 고정되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화물 저장 설비. - 제 1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탱크의 높이는 상기 수직 배관 내의 상단부 압력이 액상화물의 증기압 이상이 되도록 하는 액상화물의 높이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화물 저장 설비. - 제 1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탱크의 단면적은 상기 하부 수평 배관의 단면적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화물 저장 설비. - 제 1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및 제3 출구는 아래쪽으로 향하도록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화물 저장 설비. -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탱크의 바닥에는 상기 제3 출구를 통해 상기 보조 탱크 내부로 유입되는 액상화물의 흐름을 안내하는 오목한 가이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화물 저장 설비. - 제 1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수평 배관의 제3 출구는 위쪽으로 향하도록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화물 저장 설비. -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수평 배관의 일부분에는 "U" 자 형상으로 아래로 꺾여 높이가 낮아진 높이 저하부가 형성되고, 상기 높이 저하부가 상기 보조 탱크를 관통하며, 상기 높이 저하부에 상기 제3 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화물 저장 설비. -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탱크의 하단부에는 상기 보조 탱크 내부의 액상화물을 배출하기 위한 보조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보조 배출구에는 상기 보조 배출구를 개폐하기 위한 보조 밸브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화물 저장 설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66872A KR101291361B1 (ko) | 2011-07-06 | 2011-07-06 | 액상화물 저장 설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66872A KR101291361B1 (ko) | 2011-07-06 | 2011-07-06 | 액상화물 저장 설비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05467A KR20130005467A (ko) | 2013-01-16 |
KR101291361B1 true KR101291361B1 (ko) | 2013-07-30 |
Family
ID=47836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66872A KR101291361B1 (ko) | 2011-07-06 | 2011-07-06 | 액상화물 저장 설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91361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233922A (en) | 1979-02-09 | 1980-11-18 | Conway Charles S | Fluid transfer system for tanker vessels |
US5039425A (en) | 1990-01-11 | 1991-08-13 | Deltech Engineering, L.P. | Purification of compressed air discharge condensate |
JPH04238733A (ja) * | 1991-01-10 | 1992-08-26 | Mazda Motor Corp | 車両の燃料タンク装置 |
KR20090123742A (ko) * | 2008-07-16 | 2009-12-02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원유 운반선의 휘발성 유기화합물 저감 시스템 및 방법 |
-
2011
- 2011-07-06 KR KR1020110066872A patent/KR10129136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233922A (en) | 1979-02-09 | 1980-11-18 | Conway Charles S | Fluid transfer system for tanker vessels |
US5039425A (en) | 1990-01-11 | 1991-08-13 | Deltech Engineering, L.P. | Purification of compressed air discharge condensate |
JPH04238733A (ja) * | 1991-01-10 | 1992-08-26 | Mazda Motor Corp | 車両の燃料タンク装置 |
KR20090123742A (ko) * | 2008-07-16 | 2009-12-02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원유 운반선의 휘발성 유기화합물 저감 시스템 및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05467A (ko) | 2013-01-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572142A1 (en) | Ship desulfurization apparatus and ship with installed ship desulfurization apparatus | |
JP2014514212A (ja) | 液化物貯蔵タンク及びこれを含む船舶 | |
KR101918906B1 (ko) | 해양 선박의 연료 탱크 배열체 | |
KR101228065B1 (ko) | 액상화물 저장 탱크의 휘발성 유기 화합물 저감 장치 | |
KR101246908B1 (ko) | 액상화물 저장 탱크의 휘발성 유기 화합물 저감 장치 | |
KR101291361B1 (ko) | 액상화물 저장 설비 | |
KR101665320B1 (ko) | 휘발성 유기화합물 저감 장치 | |
KR102327405B1 (ko) | 벤트 마스트 | |
KR101303138B1 (ko) | 원유 운반선의 휘발성 유기 화합물 저감 장치 | |
KR101873459B1 (ko) | 플랜지용 트레이 | |
KR101281179B1 (ko) | 원유 운반선의 휘발성 유기 화합물 저감 장치 | |
KR20130000223A (ko) | 액상화물 저장 탱크의 휘발성 유기 화합물 저감 장치 | |
US9359131B2 (en) | Floating roof tank having support structures for protecting the peripheral seal | |
KR101447872B1 (ko) | 가스 통로 구조 | |
CN101788105A (zh) | 一种用于低温液体容器的限位充装装置及低温液体容器 | |
KR100577115B1 (ko) | 액체 밀봉식 압력 진공 밸브장치 | |
KR20140041197A (ko) | 오일 적하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오일 운반선 | |
KR20170022410A (ko) | 펌프타워 | |
KR101792830B1 (ko) | 액상화물 저장탱크 | |
KR20130045433A (ko) | 액화물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 |
KR200385269Y1 (ko) | 액체 밀봉식 압력 진공 밸브장치 | |
KR101465685B1 (ko) | 오일 적하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오일 운반선 | |
JP2019183861A (ja) | ドレン水排出装置における弁開閉方法、及び、ドレン水排出装置 | |
KR101259060B1 (ko) | Voc 저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 |
KR101215608B1 (ko) | Voc 저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