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3459B1 - 플랜지용 트레이 - Google Patents

플랜지용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3459B1
KR101873459B1 KR1020160103395A KR20160103395A KR101873459B1 KR 101873459 B1 KR101873459 B1 KR 101873459B1 KR 1020160103395 A KR1020160103395 A KR 1020160103395A KR 20160103395 A KR20160103395 A KR 20160103395A KR 101873459 B1 KR101873459 B1 KR 1018734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flange
flange
tray body
tray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3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9267A (ko
Inventor
박경민
최민석
박성국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03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3459B1/ko
Publication of KR20180019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92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3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34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9/00Hull protection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3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 B63B27/3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using pipe-l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03Auxiliar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플랜지용 트레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용 트레이는 상호 상하방향으로 마주보며 결합되는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의 결합부위에서 누설되는 액체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트레이 몸체; 및 상기 트레이 몸체에서 상기 하부 플랜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하부 플랜지에 지지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플랜지용 트레이{Tray for flange}
본 발명은 플랜지용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플랜지의 결합부위에서 누설되는 액체를 수용하는 플랜지용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해상구조물에는 운항이나 거주 구역의 위생, 액체 화물의 이동 등을 위하여 다양한 파이프들이 설치된다. 최근 LNG FPSO와 같이 LNG의 생산 및 이동을 위한 해상구조물이 사용되고 있고, 이와 같은 해상구조물에 LNG의 이동을 위한 파이프들이 설치된다.
해양구조물에 설치되는 파이프들은 상하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연결되어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상호 연결되는 파이프들은 플랜지(flange)를 사용하여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된 파이프들을 이동하는 액체는 플랜지의 결합부위에서 누설될 수 있다. 예컨대, LNG FPSO와 같은 해상구조물의 경우, 극저온 상태의 LNG가 플랜지를 통해 연결된 파이프들을 고압으로 이동할 수 있다. 고압으로 이동하는 LNG는 플랜지의 결합부위에서 누설될 수 있다.
이때, 누설되는 LNG에 의해 주변 장치나 설비, 구조물 등이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플랜지의 결합부위에서 누설되는 액체에 의해 플랜지 주변의 장치나 구조물 등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플랜지용 트레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호 상하방향으로 마주보며 결합되는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의 결합부위에서 누설되는 액체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트레이 몸체; 및 상기 트레이 몸체에서 상기 하부 플랜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하부 플랜지에 지지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플랜지용 트레이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위와 가까운 상기 수용 공간의 일측벽 상단은 상기 결합부위보다 낮게 위치되고, 상기 결합부위와 먼 상기 수용 공간의 타측벽 상단은 상기 결합부위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 몸체는 아래로 오목한 U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트레이 몸체에는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된 액체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액체는 액화가스이고, 상기 수용 공간에는 상기 결합부위에서 누설되어 상기 수용 공간으로 유입되는 액화가스가 접촉하여 기화되는 기화촉진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화촉진부재는 다공성 재질로 제작되거나 메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기화촉진부재는 상기 트레이몸체에 대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 몸체는 상기 하부 플랜지의 상하방향 중심선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 몸체는 다수의 트레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트레이 유닛은 상기 하부 플랜지의 상하방향 중심선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으로 이웃하여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하방향으로 마주보고 결합하는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의 결합부위에서 누설되는 액체를 수용함으로써, 결합부위에서 누설되는 액체에 의한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 주변의 장치 또는 구조물 등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부 플랜지에 지지되는 구조로 제공됨으로써, 바닥면에서 소정의 높이에 위치한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의 결합부위에도 설치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용 트레이가 하부 플랜지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플랜지용 트레이를 위에서 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수용 공간에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의 결합부위에서 누설되는 액체가 유입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용 트레이가 설치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용 트레이를 위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트레이 유닛이 하부 플랜지에서 분리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용 트레이가 하부 플랜지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플랜지용 트레이를 위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수용 공간에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의 결합부위에서 누설되는 액체가 유입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참고로, 도 3에는 하부 파이프(20)에서 상부 파이프(10)로 이동하는 액체가 누설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용 트레이(100)는 상하방향으로 마주보며 결합되는 상부 플랜지(11)와 하부 플랜지(21)의 결합부위에서 누설되는 액체를 수용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부 플랜지(11)와 하부 플랜지(21)는 도 1과 같이 상하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는 한 쌍의 파이프(10, 20)를 상호 연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부 플랜지(11)와 하부 플랜지(21)는 각각 상부 파이프(10)와 하부 파이프(2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제작되어 각각 상부 파이프(10)와 하부 파이프(20)에 결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하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는 파이프와 피팅류를 상호 연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피팅류는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는 각각 파이프와 피팅류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제작되어 각각 파이프와 피팅류에 결합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부 플랜지(11)와 하부 플랜지(21)를 통해 연결된 한 쌍의 파이프(10, 20)는 액체가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상하방향으로 연결된 한 쌍의 파이프(10, 20)를 이동하는 액체는 상하방향으로 마주보며 결합되는 상부 플랜지(11)와 하부 플랜지(21)의 결합부위에서 누설될 수 있다. 이때, 결합부위에서 누설되는 액체는 도 3과 같이 액적 형태(D)로 누설되거나 스프레이 형태(S)로 누설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용 트레이(100)는 트레이 몸체(110) 및 지지부(150)를 포함한다.
트레이 몸체(110)는 상호 상하방향으로 마주보며 결합되는 상부 플랜지(11)와 하부 플랜지(21)의 결합부위에서 외부로 누설되는 액체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120)을 형성한다.
트레이 몸체(110)는 도 1과 같이 하부 플랜지(21)의 측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결합부위에서 누설되는 액체가 트레이 몸체(110)에 형성되는 수용 공간(120)에 수용됨으로써, 상부 플랜지(11)와 하부 플랜지(21) 주변의 장치 또는 구조물 등이 결합부위에서 누설되는 액체에 의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트레이 몸체(110)는 도 1과 같이 아래로 오목한 U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트레이 몸체(110)의 단면은 아래로 오목한 U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트레이 몸체(110)는 상측이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트레이 몸체(110)는 하부 플랜지(21)의 상하방향 중심선(C1)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트레이 몸체(110)는 도 2와 같이 중앙에 파이프가 배치될 수 있도록 중공부가 형성된 링 형상을 가지고, 하부 플랜지(21)의 둘레를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트레이 몸체(110)는 하부 플랜지(21)의 둘레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연장되는 수용 공간(120)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트레이 몸체(110)는 결합부위에서 누설되는 액체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 플랜지(11) 및 하부 플랜지(21)의 형상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결합부위와 가까운 상기 수용 공간(120)의 일측벽 상단은 결합부위보다 낮게 위치되고, 결합부위와 먼 수용 공간(120)의 타측벽 상단은 결합부위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예컨대, 트레이 몸체(110)의 결합부위와 가까운 일측벽 상단은 도 1과 같이 하부 플랜지(21)보다 낮게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결합부위에서 누설된 액체(D, S)는 도 3과 같이 트레이 몸체(110)의 일측벽을 지나 수용 공간(120)으로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트레이 몸체(110)의 결합부위와 먼 타측벽 상단은 도 1과 같이 상부 플랜지(11)보다 높게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트레이 몸체(110)의 타측벽은 도 3과 같이 결합부위에서 누설되는 액체 중 스프레이 형태로 누설되는 액체(S)가 트레이 몸체(110)를 벗어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스프레이 형태로 누설되는 액체(S)는 트레이 몸체(110)의 타측벽에 충돌하여 수용 공간(120)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트레이 몸체(110)의 타측벽의 높이는 연결된 한 쌍의 파이프(10, 20)를 이동하는 액체의 압력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트레이 몸체(110)는 지지부(150)를 통해 하부 플랜지(21)에 지지될 수 있다.
지지부(150)는 트레이 몸체(110)에서 하부 플랜지(21)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예컨대, 지지부(150)는 트레이 몸체(110)의 일측벽에서 하부 플랜지(21)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부(150)는 도 1과 같이 트레이 몸체(110)의 일측벽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지지부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별도로 제작되어 트레이 몸체의 일측벽에 결합될 수 있다.
지지부(150)는 트레이 몸체(110)가 링 형상을 가지는 경우, 트레이 몸체(110)에 대응하여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지지부(150)는 하부 플랜지(21)에 지지된다.
지지부(150)는 도 1과 같이 하부 플랜지(21)의 아래에 배치되어, 하부 플랜지(21)와 상하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지지부(150)는 하부 플랜지(21)에 대해 트레이 몸체(110)를 지지할 수 있다.
예컨대, 지지부(150)는 하부 플랜지(21)와 볼트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부(150)는 도 1과 같이 상부 플랜지(11) 및 하부 플랜지(21)와 함께 볼트(B)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부 플랜지(11), 하부 플랜지(21), 및 지지부(150)에는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볼트(B)가 삽입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외에도 지지부(150)는 다양한 방법으로 하부 플랜지(21)와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된 한 쌍의 파이프(10, 20)를 이동하는 액체는 LNG와 같은 액화가스일 수 있다. 이 경우, 결합부위에서 누설되는 액화가스 중 적어도 일부는 상온에서 기화될 수 있다.
트레이 몸체(110)의 수용 공간(120)에는 기화촉진부재(170)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결합부위에서 누설되어 수용 공간(120)으로 유입되는 액화가스는 기화촉진부재(170)에 접촉하여 기화될 수 있다.
기화촉진부재(170)는 도 2와 같이 메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수용 공간(120)으로 유입되는 액화가스는 기화촉진부재(170)와 접촉하는 단면적이 증가하여 기화가 촉진될 수 있다.
또는, 기화촉진부재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다공성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용 공간(120)으로 유입되는 액화가스 중 적어도 일부가 기화되는 경우, 수용 공간(120)에 수용되는 액화가스의 양이 저감될 수 있다.
기화촉진부재(170)는 트레이 몸체(110)에 대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기화촉진부재(170)는 도 2와 같이 수용 공간(120) 전체를 커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는, 기화촉진부재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수용 공간의 일부 영역을 커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트레이 몸체(110)에는 수용 공간(120)에 수용된 액체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13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배출구(130)는 플러그(131)를 통해 개폐될 수 있다.
예컨대, 배출구(130)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트레이 몸체(110)의 타측벽의 하부에 2개가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결합부위에서 누설되는 액체가 수용 공간(120)에 유입되는 동안, 배출구(130)는 도 1과 같이 플러그(131)가 삽입되어 폐쇄될 수 있다.
또는, 수용 공간에 수용된 액체를 배출할 필요가 있는 경우, 배출구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플러그가 제거되어 개방될 수 있다. 이때,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액체는 별도의 저장수단에 저장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용 트레이(100)는, 상부 플랜지(11)와 하부 플랜지(21)의 결합부위에서 누설되는 액체를 수용함으로써, 결합부위에서 누설되는 액체에 의한 상부 플랜지(11)와 하부 플랜지(21) 주변의 장치 또는 구조물 등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부 플랜지(21)에 지지되는 구조로 제공됨으로써, 바닥면에서 소정의 높이에 위치한 상부 플랜지(11)와 하부 플랜지(21)의 결합부위에도 설치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용 트레이(100)가 설치되는 과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참고로, 도 4 내지 도 6에서는 기화촉진부재(170)가 생략되어 도시되어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용 트레이(100)가 설치되는 과정의 일례를 설명한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상부 파이프(10)와 하부 파이프(20)는 상하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부 파이프(10)의 일단에 형성된 상부 플랜지(11)와 하부 파이프(20)의 일단에 형성된 하부 플랜지(21)는 서로 마주보고 배치되어, 볼트(미도시)로 가결합될 수 있다.
이후,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용 트레이(100)는 하부 파이프(20)의 하단부를 통해 삽입되어, 하부 플랜지(21)를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하부 파이프(20)는 트레이 몸체(110)의 중공부에 삽입될 수 있다.
이후,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용 트레이(100)는 하부 플랜지(21)의 하측에 위치되어, 하부 플랜지(21)에 지지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용 트레이(100)는 도 6과 같이 지지부(150), 하부 플랜지(21), 상부 플랜지(11)를 순차로 관통하는 볼트(B)를 통해 하부 플랜지(21)에 지지될 수 있다. 또는 본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용 트레이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부 플랜지를 관통하지 않고 지지부와 하부 플랜지를 관통하는 볼트로 하부 플랜지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용 트레이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하부 파이프가 상부 파이프에 결합할 때 하부 플랜지에 결합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과 같이 다양한 방법으로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용 트레이를 위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트레이 유닛이 하부 하부 플랜지에서 분리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용 트레이(200)는 트레이 몸체(210) 및 지지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용 트레이(200)는 트레이 몸체(210)가 다수의 트레이 유닛(211)을 포함하는 점에서 앞선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이하,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앞선 실시예와 차이가 있는 점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몸체(210)는 다수의 트레이 유닛(21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각 트레이 유닛(211)에는 상부 플랜지(51)와 하부 플랜지(61)의 결합부위에서 누설되는 액체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220)이 형성될 수 있다.
다수의 트레이 유닛(211)은 하부 플랜지(61)의 상하방향 중심선(C2)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으로 이웃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다수의 트레이 유닛(211)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다수의 수용 공간(220)은 하부 플랜지(61)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트레이 유닛(211)은 도 7과 같이 4개가 제공되고, 4개의 트레이 유닛(211)은 하부 플랜지(61)의 중심선(C2)을 중심으로 하부 플랜지(61)의 원주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4개의 트레이 유닛(211)은 하부 플랜지(61)를 중심으로 배치되는 4개의 수용 공간(220)을 제공할 수 있다. 4개의 수용 공간(220)은 하부 플랜지(61)의 원주방향을 따라 4개의 영역으로 구획되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250)는 도 8과 같이 각 트레이 유닛(211)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부(250)는 각 트레이 유닛(211)의 결합부위와 가까운 일측벽에서 하부 플랜지(61)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각 트레이 유닛(211)은 지지부(250)를 통해 하부 플랜지(61)에 지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트레이 유닛(211)에 지지부(250)가 형성되는 경우, 임의의 한 트레이 유닛(211)은 다른 트레이 유닛(211)에 간섭되지 않고 하부 플랜지(61)에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다.
예컨대, 이미 설치가 완료된 상부 플랜지(51)와 하부 플랜지(61)의 결합부위에서 누설이 발생하는 경우, 다수의 트레이 유닛(211)은 상부 플랜지(51)와 하부 플랜지(61)를 분리하지 않고 하부 플랜지(61)에 결합될 수 있다.
또는, 하부 플랜지(61)에 결합된 다수의 트레이 유닛(211) 중 하나가 손상된 경우, 손상된 트레이 유닛(211)은 상부 플랜지(51)와 하부 플랜지(61)를 분리하지 않고 하부 플랜지(61)에서 분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트레이 유닛(211)의 수용 공간(220)에는 기화촉진부재(270)가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다수의 트레이 유닛(211)이 제공되는 경우, 기화촉진부재(270)는 트레이 유닛(211)의 수에 대응하여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각 트레이 유닛(211)에는 수용 공간(220)에 수용된 액체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23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각 배출구(230)는 플러그(231)를 통해 개폐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상부 파이프
11, 51: 상부 플랜지
20: 하부 파이프
21, 61: 하부 플랜지
100, 200: 플랜지용 트레이
110, 210: 트레이 몸체
211: 트레이 유닛
120, 220: 수용 공간
130, 230: 배출구
131, 231: 플러그
150, 250: 지지부
170, 270: 기화촉진부재

Claims (8)

  1. 상호 상하방향으로 마주보며 결합되는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의 결합부위에서 누설되는 액체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트레이 몸체; 및
    상기 트레이 몸체에서 상기 하부 플랜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하부 플랜지에 지지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위와 가까운 상기 수용 공간의 일측벽 상단은 상기 결합부위보다 낮게 위치되고,
    상기 결합부위와 먼 상기 수용 공간의 타측벽 상단은 상기 결합부위보다 높게 위치되는, 플랜지용 트레이.
  2. 상호 상하방향으로 마주보며 결합되는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의 결합부위에서 누설되는 액체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트레이 몸체; 및
    상기 트레이 몸체에서 상기 하부 플랜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하부 플랜지에 지지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액체는 액화가스이고,
    상기 수용 공간에는 상기 결합부위에서 누설되어 상기 수용 공간으로 유입되는 액화가스가 접촉하여 기화되는 기화촉진부재가 배치되는, 플랜지용 트레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화촉진부재는 다공성 재질로 제작되거나 메시 구조를 가지는, 플랜지용 트레이.
  4. 상호 상하방향으로 마주보며 결합되는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의 결합부위에서 누설되는 액체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트레이 몸체; 및
    상기 트레이 몸체에서 상기 하부 플랜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하부 플랜지에 지지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 몸체는 상기 하부 플랜지의 상하방향 중심선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플랜지용 트레이.
  5. 상호 상하방향으로 마주보며 결합되는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의 결합부위에서 누설되는 액체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트레이 몸체; 및
    상기 트레이 몸체에서 상기 하부 플랜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하부 플랜지에 지지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 몸체는 다수의 트레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트레이 유닛은 상기 하부 플랜지의 상하방향 중심선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으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플랜지용 트레이.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몸체의 단면은 아래로 오목한 U자 형상을 가지는, 플랜지용 트레이.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몸체에는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된 액체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되는, 플랜지용 트레이.
  8. 삭제
KR1020160103395A 2016-08-16 2016-08-16 플랜지용 트레이 KR1018734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3395A KR101873459B1 (ko) 2016-08-16 2016-08-16 플랜지용 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3395A KR101873459B1 (ko) 2016-08-16 2016-08-16 플랜지용 트레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9267A KR20180019267A (ko) 2018-02-26
KR101873459B1 true KR101873459B1 (ko) 2018-08-02

Family

ID=61531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3395A KR101873459B1 (ko) 2016-08-16 2016-08-16 플랜지용 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34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8254B1 (ko) * 2018-06-29 2020-03-13 우정설비건설(주) 배관 누수받침 장치
JP2022103901A (ja) * 2020-12-28 2022-07-08 川崎重工業株式会社 極低温液体用配管構造及びそれを備えた船舶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615Y1 (ko) * 2009-12-28 2011-12-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빌지 웰 구조
KR20130003336A (ko) * 2011-06-30 2013-01-0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드립 팬 장치
KR102027154B1 (ko) * 2012-10-31 2019-11-0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Gre 파이프의 수직하중용 지지장치
KR20140003489U (ko) * 2012-11-26 2014-06-1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배관 플랜지 전용 서포트 클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9267A (ko) 2018-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82229C2 (ru) Герметичный и изолированный резервуар, расположенный в плавучем двойном корпусе
RU2448245C1 (ru) Сепарирование и улавливание жидкостей мультифазного потока
KR101873459B1 (ko) 플랜지용 트레이
KR20210003145A (ko) 선박용으로 구성된 액체 가스 화물용 저장 및/또는 운송 탱크
RU2704184C2 (ru) Система резервуаров
CA288431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sludge deposits from oil storage tanks
US7073976B1 (en) Under-dispenser containment system
RU2643965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подводной обработки флюида из скважины
KR101906270B1 (ko) 급유장치
US8298309B2 (en) Liquid separator and tank system comprising a liquid separator
KR101246908B1 (ko) 액상화물 저장 탱크의 휘발성 유기 화합물 저감 장치
CA2838445C (en) Transportable water storage system
CA2513084C (en) Cleaning apparatus for exhaust system and method
KR20060008293A (ko) 액체 저장용 탱크 장치
KR101159234B1 (ko) 선박용 드레인 오일 탱크
KR101005103B1 (ko) 산소용해장치
JP6145284B2 (ja) 副弁付き空気弁とその連結機構
NO20150488A1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conveying and recovering hydrocarbons from an underwater well or from an underwater pipeline in uncontrolled release (blowout) conditions.
JP6793015B2 (ja) 船舶の置きタンクの液体漏洩防止装置
KR101291361B1 (ko) 액상화물 저장 설비
RU2134225C1 (ru) Резервуар для жидкостей
US8978684B2 (en) Water knock out bottle and process for making the same
JPH08155284A (ja) 液体のガス混合装置
KR102516311B1 (ko) 분리기
RU2123145C1 (ru) Воздухоотводчи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