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7405B1 - 벤트 마스트 - Google Patents

벤트 마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7405B1
KR102327405B1 KR1020170056822A KR20170056822A KR102327405B1 KR 102327405 B1 KR102327405 B1 KR 102327405B1 KR 1020170056822 A KR1020170056822 A KR 1020170056822A KR 20170056822 A KR20170056822 A KR 20170056822A KR 102327405 B1 KR102327405 B1 KR 1023274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discharge pipe
drip pan
gas
m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6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2793A (ko
Inventor
김민호
윤준영
이재봉
옥민우
황상욱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56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7405B1/ko
Publication of KR20180122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27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7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74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02Ventilation; Air-conditioning
    • B63J2/08Ventilation; Air-conditioning of ho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12Arrangements or mounting of devices for preventing or minimising the effect of explosion ; Other safety meas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7/00Transfer of fluids, i.e. method or means for transferring the fluid; 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4Methods for emptying or filling
    • F17C2227/044Methods for emptying or filling by purg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5/00Effects achieved by gas storage or gas handling
    • F17C2265/03Treating the boil-off
    • F17C2265/031Treating the boil-off by dischar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05S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Separating Particles In Gases By Inertia (AREA)

Abstract

벤트 마스트의 구조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벤트 마스트는, 저장탱크에서 배출되는 가스가 이송되는 배출관; 배출관의 상부에 설치되는 헤드; 헤드 내부에 설치되는 드립 팬(Drip pan); 헤드 내부에서 드립 팬의 하부에 설치되는 드레인 박스(Drain box); 및 헤드 하부에 설치되는 막음판; 을 포함하여, 벤트 마스트에 헤드에서 일부 가스가 하강 분출되는 다운 플로우 현상(Down Flow)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한다.

Description

벤트 마스트 {Vent mast}
본 발명은 벤트 마스트의 헤드에서 일부 가스가 하강 분출되는 다운 플로우(Down Flow)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벤트 마스트에 관한 것이다.
천연가스는 육상, 해상의 가스배관을 통해 가스 상태로 운반되거나, 액화천연가스(LNG) 또는 액화석유가스(LPG)의 상태로 LNG 수송선에 저장되어 원거리의 소비처로 운반된다.
LNG 이송을 위한 선박으로는 LNG 수송선(LNG Carrier), LNG RV(Regasification Vessel)이 있다.
또한, LNG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LNG FSRU(Floating Storage and Regasification Unit), F(Floating)-LNG 플랜트 등은 LNG를 저장하기 위한 해양 플랜트이다.
이와 같이 LNG와 같은 액체 화물을 해상에서 수송하는 LNG 수송선 또는 LNG를 저장하기 위한 해상 구조물 내에는 LNG를 극저온 상태로 저장하기 위한 저장 탱크가 설치되고, 각각의 저장 탱크에 상응하는 벤트 마스트(Vent mast)가 설치되어, 필요시 벤트 마스트를 통해 저장 탱크 내에서 발생하는 각종 가스를 대기중으로 방출한다.
도 1은 벤트 마스트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 (a)는 측면도, (b)는 단면도, (c)는 사시도이다.
도 1의 (a) 내지 (c)를 참조하면, 벤트 마스트(1)는 배출관(10)과 배출관의 상부에 설치되는 헤드(20)를 포함한다. 저장 탱크에서 발생하는 각종 가스는 배출관(10)을 거쳐 헤드(20)로 보내지고, 헤드(20)의 상부에 형성된 배출구(21)를 통해 대기중으로 방출된다.
한편, 헤드(20)의 내부에는 배출관(10)으로 빗물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드립 팬(Drip pan, 30)이 설치된다.
드립 팬(30)은 배출관(10)으로 빗물 등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배출구(21)보다 큰 직경을 가지되, 가스가 배출구(21)로 배출되는 경로를 완전히 막지 않도록 헤드(20)의 내부 직경보다는 작은 직경을 가져야 한다.
배출관(10)으로부터 헤드(20)의 내부로 이송된 가스는 드립 팬(30)과 헤드(20)의 내벽 사이의 공간을 통해 배출구(21)로 배출된다.
드립 팬(30)은 드립 팬(30)으로 유입된 빗물이 중심부로 모일 수 있도록 깔때기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드립 팬(30)의 하부에는 중심부로 모인 빗물을 벤트 마스트(1) 외부로 배출하도록 배수관(31)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헤드(20)의 하부 직경과 배출관(10)의 직경의 차이로 인하여, 헤드(20)의 하부 내벽은 배출관(10)의 둘레 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되며, 이에 따라 헤드(20) 내벽과 배출관(10) 사이에 이격 공간(22)이 형성되는데, 이는 드립 팬(30)에 빗물이 과다하게 유입되어 드립 팬(30)으로부터 빗물이 넘치는 경우, 넘치는 빗물이 배출관(110)으로 유입되지 않고, 헤드(20)의 하부에 형성된 이격 공간(22)을 통해 자연스럽게 배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에 구비되는 벤트 마스트는 GTT사 제품을 적용하고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벤트 마스트 구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도 1을 계속 참조하면, 헤드(20) 내부에서, 배출관(10)과 드립 팬(30)의 사이에는 빈 공간(E)이 존재하며, 배출관(10)을 통해 이송된 가스는 이 빈 공간(E)에서 모인 후, 헤드(20)의 내벽과 드립 팬(30) 사이의 이격된 공간을 통해 배출구(21)로 배출된다.
그런데 상기 빈 공간(E)에서는 화살표 A로 표시된 부분과 같이, 가스 중 일부가 다시 배출관(10) 쪽을 향해 하강하는 재순환영역이 발생하기 쉬우며, 재순환영역을 따라 순환하는 일부 가스가 헤드(20) 하부에 형성된 이격 공간(22)을 통해 데크 측으로 분출되는 다운 플로우(Down Flow)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도 1에 도시된 벤트 마스트에서 발생하는 다운 플로우 현상이 도 2에 나타나 있다. 가연성의 가스가 데크 측을 향하여 하강 분출되는 것은 매우 위험하며, 심각한 안전상의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벤트 마스트 헤드의 구조를 변경함으로써, 벤트 마스트 헤드에서 일부 가스가 하강 분출되는 다운 플로우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고, 폭발 등의 위험성을 낮추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벤트 마스트의 헤드 내부에 설치되는 드립 팬(Drip pan)의 하부에 드레인 박스(Drain box)를 설치하여, 상기 드레인 박스가 상기 헤드 내부의 공간을 차지함으로써, 상기 헤드 내부에서 가스의 재순환 영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헤드의 하부 내벽과 벤트 마스트의 배출관 사이에 존재하는 이격된 공간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이격된 위치에, 상기 배출관의 둘레를 따라 막음판을 설치하여, 상기 헤드의 하방으로 배출되는 가스의 흐름을 수평방향으로 전환한다.
상기 드레인박스는 하부가 깔때기 모양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헤드 내부의 가스가 상기 헤드 상부에 형성된 배출구에 이르는 원활한 흐름을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벤트마스트는, 배출관으로부터 이송된 가스가 모여서 배출되는 헤드; 상기 헤드 내부에 설치되어 빗물이 상기 배출관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드립 팬(Drip pan); 상기 드립 팬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헤드 내부의 공간을 차지하여 가스의 재순환 흐름을 방지하는 드레인 박스(Drain box); 및 상기 헤드 하부에 설치되는 막음판;을 포함한다.
상기 드레인 박스는, 둘레 면이 헤드의 내벽 면과 평행하도록 구비되고, 하부는 깔때기 형상을 가진다.
상기 드레인 박스는, 벤트 마스트를 통해 배출되는 가스가 배출관으로부터 상기 헤드 상부에 형성된 배출구로 유동하는 동안 일정한 유량을 유지하도록 직경 및 깊이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드립 팬은, 상기 헤드의 내벽을 따라 설치되는 복수의 제1 설치부재에 의하여 상기 헤드의 내벽과 이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벤트마스트는, 상기 드립 팬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드립 팬으로 유입된 빗물을 벤트 마스트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관은 상기 드레인 박스 및 상기 헤드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박스는, 상기 헤드의 내벽을 따라 설치되는 복수의 제2 설치부재에 의하여 상기 헤드 내벽과 이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드립 팬은 상기 드레인 박스의 상부에 안착된 상태로, 상기 드립 팬과 상기 드레인 박스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설치부재 및 상기 제2 설치부재도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헤드는 상기 배출관의 둘레 벽을 따라 설치되는 복수의 제3 설치부재에 의하여 상기 배출관의 둘레 벽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막음판은 상기 헤드 하부 내벽과 상기 배출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이격되어 상기 배출관의 둘레를 따라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3 설치부재는 상기 헤드 하부에 돌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막음판은 상기 제3 설치부재 각각의 하단면에 접하면서 상기 배출관의 둘레를 따라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막음판은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벤트 마스트를 포함하는 해양 구조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벤트 마스트는, 벤트 마스트 헤드의 구조를 변경함으로써, 벤트 마스트 헤드에서 일부 가스가 하강 분출되는 다운 플로우(Down Flow)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여 폭발 등의 위험성을 낮출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데크 상에 구비되어야 하는 방폭 설비의 양을 줄일 수 있어 생산비 절감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벤트 마스트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 (a)는 측면도, (b)는 단면도, (c)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벤트 마스트에서 발생하던 일부 가스의 다운 플로우(Down Flow) 현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벤트 마스트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 (a)는 측면도, (b)는 단면도, (c)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벤트 마스트 내부에서 가스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으로, (a)는 도 1에 도시된 벤트 마스트 내부의 가스 흐름을, (b)는 본 발명에 따른 벤트 마스트 내부의 가스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벤트 마스트에서 분출되는 가스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으로, (a)는 도 1에 도시된 벤트 마스트에서 분출되는 가스의 흐름을, (b)는 본 발명에 따른 벤트 마스트에서 분출되는 가스의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벤트 마스트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 (a)는 측면도, (b)는 단면도, (c)는 사시도이다.
도 3의 (a) 내지 (c)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벤트 마스트(100)는, 저장 탱크에서 배출되는 가스가 이송되는 배출관(110); 배출관(110)의 상부에 설치되는 헤드(120); 헤드(120)의 내부에 설치되는 드립 팬(130); 드립 팬(130)의 하부에 설치되는 드레인 박스(Drain box, 140); 및 헤드(120) 하부에 설치되는 막음판(150);을 포함한다.
헤드(120)의 상부에는 저장 탱크로부터 배출관(110)을 통해 이송된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121)가 형성된다.
헤드(120)의 내부에는 배출관(110)으로 빗물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드립 팬(Drip pan, 130)이 설치된다.
드립 팬(13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마찬가지로, 배출관(110)으로 빗물 등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헤드(120)의 상부에 형성된 배출구(121)보다 큰 직경을 가지되, 가스가 배출구(121)로 배출되는 경로를 완전히 막지 않도록 헤드(120)의 내부 직경보다는 작은 직경을 갖는다.
드립 팬(130)은 제1 설치부재(101)에 의하여 헤드(12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는데, 드립 팬(130)이 제1 설치부재(101)에 의해 헤드(120)의 내벽과 이격되도록 설치됨으로써, 이 이격된 공간을 통해 가스가 배출되는 통로가 제공된다.
드립 팬(130)은 드립 팬(130)으로 유입되는 빗물 등이 중심부로 모일 수 있도록 깔때기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드립 팬(130)의 하부에는 유입된 빗물 등을 벤트 마스트(100)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배수관(131)이 설치될 수 있다. 배수관(131)은 드레인 박스(140) 및 헤드(120)를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드레인 박스(140)는 드립 팬(130)의 하부에 설치된다. 드레인 박스(140)는 드립 팬(130)과 마찬가지로, 드레인 박스(140)와 헤드(120) 내벽 사이에 이격된 공간이 존재하도록, 제2 설치부재(102)에 의해 헤드(120)의 내벽과 이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드레인 박스(140)는 상부에 드립 팬(130)이 안착된 상태로 상호 용접되어, 드립 팬(130)과 드레인 박스(140)가 일체로 제작된 후, 헤드(120)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때, 드립팬(130)을 헤드(120) 내부에 고정시키는 제1 설치부재(101)와 드레인 박스(140)을 헤드(120) 내부에 고정시키는 제2 설치부재(102) 역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드레인 박스(140)의 하단부는 드립 팬(130)과 마찬가지로 깔때기 형상을 가짐으로써, 배출관(110)으로부터 헤드(120) 내부로 이송된 가스가 헤드(120) 상부의 배출구(121)로 이르도록 원활한 흐름을 형성할 수 있다.
드레인 박스(140)는 둘레 면이 헤드(120)의 내벽 면과 평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하단부의 일부가 배출관(110)의 내부 공간을 침범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드레인 박스(140)는, 벤트 마스트(100)를 통해 배출되는 가스가 도 3의 (b)에 도시된 화살표를 따라 유동하는 동안, 최대한 일정한 유량을 유지하면서 유동할 수 있도록 직경, 깊이 등이 결정될 수 있다.
드레인 박스(140)는 헤드(120) 내부에서 드립 팬(130)과 배출관(110) 사이의 대부분의 공간을 차지하게 된다. 따라서, 헤드(120) 내부에는 가스가 헤드(120) 상부의 배출구(121)에 이르도록 하는 통로 공간을 제외하면 빈 공간이 거의 존재하지 않으므로, 헤드(120) 내부에서 가스의 재순환 영역이 발생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가스의 다운 플로우(Down Flow) 현상도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헤드(120)가 배출관(110)의 상부에 설치되는 구조를 자세히 살펴보면, 헤드(120) 하부 직경은 배출관(110)의 직경보다 크게 구비되고, 헤드(120)는 제3 설치부재(103)에 의해 배출관(110)의 둘레 벽으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된다.
따라서, 헤드(120) 하부에는 헤드(120) 내벽과 배출관(110) 사이에 이격된 공간인 이격 공간(122)이 형성된다.
막음판(150)은 헤드(120) 하부에 형성된 이격 공간(122)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출관(110)의 둘레를 따라 설치된다.
복수의 제3 설치부재(103)는 헤드(120) 하부에 돌출되게 구비될 수 있고, 막음판(150)은 제3 설치부재(103) 각각의 하단면에 접하면서 배출관(100)의 둘레를 따라 설치될 수 있다. 막음판(150)은 배출관(110)의 둘레를 따라 링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막음판(150)은, 헤드(120) 내에서 하강 기류가 발생하여, 일부 가스가 헤드(120) 하단의 이격 공간(122)을 통하여 하방으로 분출되는 흐름을 수평 방향의 흐름으로 바꾸어 주는 역할을 한다.
도 3을 계속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벤트 마스트(100)를 통하여 가스가 배출되는 작용을 살펴본다.
선박 내의 저장 탱크에서 발생하는 각종 가스를 배출해야 할 필요성이 발생하면, 배출될 가스는 벤트 마스트(100)의 배출관(110)을 따라 이송되어 헤드(120)를 거쳐 헤드(120) 상단의 배출구(121)를 통해 대기로 방출된다.
이때, 배출관(110)으로부터 헤드(120)의 내부로 이송된 가스는 도 3의 (b)에서 화살표로 표시된 것과 같이, 드립 팬(130) 및 드레인 박스(140)와 헤드(120) 내벽 사이의 공간을 통해 배출구(121)로 배출된다.
헤드(120) 내부에는 드립 팬(130) 및 드레인 박스(140)와 헤드(120) 내벽 사이의 공간, 즉 가스가 배출구(121)로 이동하기 위한 통로를 제외하고는 빈 공간이 거의 없으며,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120) 내부에서 가스의 재순환 영역이 발생할 우려가 거의 없다.
또한, 만약 배출관(110)을 통해 배출되는 가스의 양이 과다하여 헤드(120) 내부에서 가스의 재순환 영역이 발생하여 일부 가스가 하강하는 다운 플로우가 발생한다 하더라도, 이 일부 가스는 이격 공간(122)의 하부에 설치된 막음판(150)에 의하여 수평 방향으로 배출되므로, 가스가 데크 측을 향하여 하강하는 흐름은 발생하지 않는다.
도 4는 벤트 마스트 내부에서 가스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으로, (a)는 도 1에 도시된 벤트 마스트 내부의 가스 흐름을, (b)는 본 발명에 따른 벤트 마스트 내부의 가스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도 1에 도시된 벤트 마스트와 본 발명에 따른 벤트 마스트 내부의 가스 흐름을 비교한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도 1에 도시된 벤트 마스트에서는 배기관을 통해 상승한 가스가 헤드 상부의 배출구를 통해 대기로 방출되는 동시에, 헤드 내부의 빈 공간에서 가스의 재순환 영역이 발생하여, 가스가 헤드 하부의 이격 공간을 통하여 하방으로 분출되는 흐름(화살표로 표시한 흐름)이 발생한다.
도 1에 도시된 벤트 마스트에서는 헤드 내부에 빈 공간이 많이 존재하고, 가스가 이 빈 공간으로부터 드립 팬과 헤드 내벽 사이의 좁은 공간으로 이동하면서, 갑자기 유동 면적이 줄어들기 때문에, 헤드 내부에서 가스의 재순환 영역이 발생하기 쉽다.
반면, 도 4의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벤트 마스트 헤드 내부의 대부분의 공간은 드립 팬 및 드레인 박스가 차지하고 있으므로, 헤드 내벽을 따라 가스가 배출되기 위한 공간을 제외하고는 빈 공간이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배출관을 통해 이송된 가스는 배출관의 상부(또는 헤드의 하부)에서부터 좁은 공간을 따라 빠른 속도로 헤드 상부의 배출구로 방출되며, 헤드 내부에서 가스의 재순환 영역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헤드 내부의 압력 등의 요인으로 인하여, 일부 가스가 헤드 하부의 이격 공간을 통하여 하방으로 배출될 수 있는데, 그 양이 매우 미미한 것을 도 4의 (b)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이격 공간을 통하여 배출되는 일부 가스가 데크를 향한 직하방을 향하여 배출되는 것이 아니라, 막음판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흐름이 전환되어 배출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5는 벤트 마스트에서 분출되는 가스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으로, (a)는 도 1에 도시된 벤트 마스트에서 분출되는 가스의 흐름을, (b)는 본 발명에 따른 벤트 마스트에서 분출되는 가스의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도 1에 도시된 벤트 마스트에서는 헤드의 상부로 배출되는 가스와 유사한 양의 가스가 헤드의 하부에서 데크 측을 향하여 배출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도 5의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벤트 마스트에서는 헤드의 하부에서 배출되는 가스가 도 1에 도시된 벤트 마스트에 비해 현저히 줄어든 것을 알 수 있으며, 헤드의 하부로 배출되는 일부 가스도 데크를 향한 직하방이 아니라 수평 방향으로 배출 흐름이 형성되기 때문에 데크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도 1에 도시된 벤트 마스트에서 배출되는 가스의 흐름과 본 발명에 따른 벤트 마스트에서 배출되는 가스의 흐름을 계산한 결과는 다음 [표 1]과 같다.

Mass Flow Rate [kg/s]

Distribution Rate [%]

Inlet

Down Flow

Up Flow

Down Flow

Up Flow

도 1

53.01

21.31

31.70

40.20

59.80

본 발명

53.01

5.59

47.42

10.55

89.45
도 4, 도 5 및 표 1을 참조하면, 도 1에 도시된 벤트 마스트에서는 전체 가스 중 무려 40.2%에 달하는 가스가 벤트 마스트 헤드의 하방으로 분출된 반면, 본 발명의 벤트 마스트에서는 전체 가스의 10.55%의 가스만이 벤트 마스트 헤드 하단의 이격 공간을 통하여 수평방향으로 분출된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를 중심으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취지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변경 또는 수정이 당해 기술 분야에 있을 수 있으며, 따라서 전술한 설명 및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닌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벤트 마스트
110 : 배출관
120 : 헤드
121 : 배출구
122 : 이격 공간
130 : 드립 팬(Drip pan)
131 : 배수관
140 : 드레인 박스(Drain box)
150 : 막음판

Claims (13)

  1. 삭제
  2. 삭제
  3. 배출관으로부터 이송된 가스가 모여서 배출되는 헤드;
    상기 헤드 내부에 설치되어 빗물이 상기 배출관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드립 팬(Drip pan);
    상기 드립 팬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헤드 내부의 공간을 차지하여 가스의 재순환 흐름을 방지하는 드레인 박스(Drain box); 및
    상기 헤드 하부에 설치되는 막음판;을 포함하고,
    상기 헤드는 상기 배출관의 둘레 벽을 따라 설치되는 복수의 제3 설치부재에 의하여 상기 배출관의 둘레 벽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막음판은 상기 헤드 하부 내벽과 상기 배출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이격되어 상기 배출관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벤트 마스트.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박스는, 둘레 면이 헤드의 내벽 면과 평행하도록 구비되고, 하부는 깔때기 형상을 가지는,
    벤트 마스트.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박스는, 벤트 마스트를 통해 배출되는 가스가 배출관으로부터 상기 헤드 상부에 형성된 배출구로 유동하는 동안 일정한 유량을 유지하도록 직경 및 깊이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트 마스트.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드립 팬은,
    상기 헤드의 내벽을 따라 설치되는 복수의 제1 설치부재에 의하여 상기 헤드의 내벽과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벤트 마스트.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드립 팬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드립 팬으로 유입된 빗물을 벤트 마스트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수관은 상기 드레인 박스 및 상기 헤드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벤트 마스트.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박스는,
    상기 헤드의 내벽을 따라 설치되는 복수의 제2 설치부재에 의하여 상기 헤드 내벽과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벤트 마스트.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드립 팬은 상기 드레인 박스의 상부에 안착된 상태로, 상기 드립 팬과 상기 드레인 박스는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설치부재 및 상기 제2 설치부재도 일체로 형성되는,
    벤트 마스트.
  10. 삭제
  11.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3 설치부재는 상기 헤드 하부에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막음판은 상기 제3 설치부재 각각의 하단면에 접하면서 상기 배출관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벤트 마스트.
  12.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막음판은 링 형상을 가지는,
    벤트 마스트.
  13.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9, 청구항 11 및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의 벤트 마스트를 갖는 해양 구조물.
KR1020170056822A 2017-05-04 2017-05-04 벤트 마스트 KR1023274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6822A KR102327405B1 (ko) 2017-05-04 2017-05-04 벤트 마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6822A KR102327405B1 (ko) 2017-05-04 2017-05-04 벤트 마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2793A KR20180122793A (ko) 2018-11-14
KR102327405B1 true KR102327405B1 (ko) 2021-11-17

Family

ID=64328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6822A KR102327405B1 (ko) 2017-05-04 2017-05-04 벤트 마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74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6052B1 (ko) * 2019-03-18 2019-09-26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기체혼합과 소용돌이를 이용한 벤트 마스트 시스템
JP2021185056A (ja) * 2020-05-25 2021-12-09 川崎重工業株式会社 ベントマスト
KR102538596B1 (ko) * 2021-08-11 2023-05-3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가스 벤팅 및 퍼징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7772Y1 (ko) * 2004-06-21 2004-11-17 한국하이프레스주식회사 선박의 폭발성가스 배출팬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0477U (ko) * 2014-07-31 2016-02-1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에어 벤트용 오일역류방지장치 및 이를 가지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7772Y1 (ko) * 2004-06-21 2004-11-17 한국하이프레스주식회사 선박의 폭발성가스 배출팬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2793A (ko) 2018-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7405B1 (ko) 벤트 마스트
KR101672606B1 (ko) 수성 및/또는 유성 액체들 및 극저온 액체를 수집하고 분리하기 위한 디바이스
US20190031435A1 (en) Liquid-stabilizing apparatus for liquid cargo tank
KR101532035B1 (ko) 일체형 벤트 마스트 구조
KR20100112857A (ko) Lng가 저장되는 해상 부유 구조물과 lng 증발 가스의 배출 장치 및 방법
KR101147364B1 (ko) 독립형 저장탱크의 누출액 수집장치
CN108020024B (zh) 液化天然气再冷凝装置
KR20160148309A (ko)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누출액 수집장치 및 이를 구비한 해양구조물
KR20200082578A (ko) 카고 매니폴드를 갖는 액체화물 운반선
KR20200093819A (ko) 독립형 저장탱크의 돔 방벽구조
EP3850199A1 (en) A compartmentalized header tank for liquid coolant, a multi-engine header tank arrangement, and a power plant and a marine vessel equipped with such multi-engine header tank arrangement
KR20150059940A (ko) Lng 저장탱크용 드립 트레이 구조체
CN101788105A (zh) 一种用于低温液体容器的限位充装装置及低温液体容器
KR102348463B1 (ko) 액화가스 화물창 및 그 액화가스 화물창을 구비하는 운반선
KR200480972Y1 (ko) Lng fpso의 극저온 유체 선외 배출구조 및 이를 가지는 lng 운반선
KR20160001388A (ko) 원통형 연료 저장 탱크 및 선박
AU2014255682B2 (en) Storage tank for liquefied flammable gases
KR20170037081A (ko) 워터 커튼 설비 및 이를 구비한 선박
KR200462375Y1 (ko) 독립형 저장탱크의 누출액 수집장치
KR20100113293A (ko) Lng 증발 가스의 배출 장치 및 방법과 lng가 저장되는 해상 부유 구조물
KR20170022667A (ko)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누출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651094B1 (ko) 펌프타워 로우어 서포트
KR20140045736A (ko) Lng 저장 탱크의 슬로싱 저감 장치
KR102351596B1 (ko) Flng의 선체 보호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flng
KR20220070770A (ko) 화물 적재양이 증가된 독립형 저장탱크의 구조 및 이를 구비한 부유식 해상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