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0241B1 - 철분 회수 장치 - Google Patents

철분 회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0241B1
KR101290241B1 KR1020110075361A KR20110075361A KR101290241B1 KR 101290241 B1 KR101290241 B1 KR 101290241B1 KR 1020110075361 A KR1020110075361 A KR 1020110075361A KR 20110075361 A KR20110075361 A KR 20110075361A KR 101290241 B1 KR101290241 B1 KR 1012902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pper
slag particles
iron
electromagnet
sl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5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3634A (ko
Inventor
김인수
권혁기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75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0241B1/ko
Publication of KR20130013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36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02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02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03C1/04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with the material carriers in the form of trays or with tables
    • B03C1/06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with the material carriers in the form of trays or with tables with magnets moving during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03C1/26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with free falling material

Landscapes

  • Furnace Details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Abstract

철분 회수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라 철분이 포함된 슬래그 입자를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 일 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이송부로부터 이송된 상기 슬래그 입자를 수용하며, 이송된 상기 슬래그를 회전시키는 호퍼; 및 상기 호퍼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호퍼에 수용된 상기 슬래그에서 상기 철분을 회수하는 전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분 회수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철분 회수 장치 {An apparatus for regaining iron particle}
본 발명은 철분 회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철을 제련하는 제철 과정에서 광석으로부터 금속을 빼내고 남은 슬래그는 파쇄되어 별도로 수거된다. 이 때, 슬래그 속에는 미처 회수되지 못한 철이 남아 있기 때문에, 이를 회수하는 것 역시 자원의 효율적 활용 측면에 있어 중요하다 할 것이다. 슬래그에 남아있는 철을 회수하기 위하여 슬래그를 작은 단위로 파쇄한 뒤, 전자석을 이용하여 슬래그와 함께 작은 단위로 파쇄된 철분을 회수할 수 있다.
슬래그 속의 철분을 회수하는 장치에 관련된 기술로는, 공개번호 제2011-0060015호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철분 회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철분이 포함된 슬래그 입자를 이송하는 이송부, 이송부 일 단부에 배치되어, 이송부로부터 이송된 슬래그 입자를 수용하며, 이송된 슬래그를 회전시키는 호퍼 및 호퍼 상부에 위치하여, 호퍼에 수용된 슬래그에서 철분을 회수하는 전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분 회수 장치가 제공된다.
호퍼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철분 회수 장치는 호퍼에 결합되어 호퍼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철분 회수 장치는 호퍼에 수용되는 슬래그 입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는, 호퍼의 상부에 위치하여, 슬래그 입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제1 감지부 및 호퍼의 하부에 위치하여, 슬래그 입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제2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철분 회수 장치는 전자석의 자력의 세기 및 슬래그 입자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철분 회수 장치는 복수 개의 상기 전자석을 이동시키는 전자석 컨베이어벨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철분 회수 장치는 상기 전자석이 회수한 상기 철분을 수집하는 수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철분 회수 장치는 상기 전자석의 상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전자석의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 감지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철분 회수 장치는 상기 이송부로부터 상기 철분 및 상기 슬래그 입자가 수용되는 경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자석은, 하나 이상의 기둥 형상인 회수봉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철분 회수 장치에 따르면, 슬래그 입자 속에 포함된 철분을 보다 효율적으로 회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분 회수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수봉을 포함한 전자석을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철분 회수 장치의 일 실시예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철분 회수 장치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분 회수 장치(100)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분 회수 장치(100)는 철분이 포함된 슬래그 입자를 이송하는 이송부(110), 이송부(110)의 일 단부에 배치되어, 이송부(110)로부터 이송된 슬래그 입자를 수용하며, 이송된 슬래그 입자를 회전시키는 호퍼(120) 및 호퍼(120) 상부에 위치하여, 호퍼(120)에 수용된 슬래그 입자에서 철분을 회수하는 전자석(1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송부(110)는 분쇄된 슬래그 입자를 이송한다. 일 예로, 컨베이어 벨트가 이송부(110)로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분쇄된 슬래그 입자에서 철분을 회수할 수 있도록, 이송부(110)는 호퍼(120)로 슬래그 입자를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이송부(110)의 단부에는 이송부(110)로부터 호퍼(120)로 이동하는 슬래그 입자가 이탈되지 않도록 경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180)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가이드부(180)는 판 형상일 수 있으며, 보다 효과적으로 슬래그 입자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양측 면에 이탈 방지용 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호퍼(120)는 이송된 슬래그 입자를 수용하여 이를 회전시킨다. 이송부(110)에 의하여 이송되는 슬래그 입자는, 이송부(110)의 일 단부에 배치되는 호퍼(120)에 수용된다. 수용된 슬래그 입자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호퍼(120)는 별도의 회전 장치(미도시)인 회전봉, 프로펠러, 벨트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호퍼(120) 자체가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호퍼(120)를 회전시키는 구동부(140)가 더 포함되며, 호퍼(120) 자체가 회전을 통하여, 이에 수용된 슬래그 입자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전자석(130)은 자기력의 형성을 제어할 수 있으며, 슬래그 입자에 포함된 철분을 회수하여, 별도의 저장을 위해 이송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호퍼(120)의 상부에 슬래그 입자에 포함된 철분을 회수하기 위하여, 자기력이 형성되는 전자석(130)을 배치한다. 호퍼(120) 상부에서 전자석(130)에 자기력이 형성되어 있는 동안, 회전하는 슬래그 입자에 포함된 철분이 자기력에 의하여 전자석(130)에 부착되어 슬래그 입자로부터 회수된다.
전자석(130)은, 철분을 회수하는 표면적을 넓히고, 호퍼(120)의 내부까지 삽입되어 효과적으로 철분을 회수하기 위하여 기둥 형상의 회수봉(134)을 포함할 수 있다. 회수봉(134)은 한 개 이상으로 전자석(130)에 결합되며, 회수봉(134)에도 자기력이 작용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전자석(130)은 복수 개가 구비되어, 전자석 이송부(160), 예를 들면 전자석 컨베이어 벨트와 같은 장치에 의하여 이동될 수 있다. 철분이 일정량 이상 회수되면 전자석 이송부(160)가 이동하여, 다음 전자석(130)이 철분을 회수하기 위하여 배치된다.
이 때, 전자석(130)의 상부에서 회수된 철분의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 감지기(132)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전자석(130)에 의하여 회수되는 철분의 중량을 계속적으로 측정하며, 일정량 이상의 철분이 회수되면 철분 회수를 마친 해당 전자석(130)을 이동시키고 다른 전자석(130)이 철분의 회수를 시작하도록 전자석 컨베이어 벨트(160)의 이동 시기를 조절한다.
회수된 철분은 수집부(170)에 수집된다. 철분의 회수를 마친 전자석(130)이 수집부(170) 상부로 이동하게 되고, 전자석(130)에 작용하는 자기력의 세기가 감소하면 회수된 철분이 수집부(170)에 수집된다.
전자석(130)에 작용하는 자기력의 세기는 제어부(150)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전자석(130)은 전기가 통할 때만 자기력을 가지게 되므로, 철분 회수 시에는 자기력이 증가하도록 하고, 철분 수집 시에는 자기력이 감소하도록 제어부(150)는 전자석(130)에 가해지는 전류 혹은 전압을 제어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150)는 전자석(130)에 작용하는 자기력의 세기 외에도 호퍼(120) 내에서 회전하는 슬래그 입자의 회전 속도도 제어할 수 있다. 슬래그 입자의 회전 속도가 너무 빠르면 철분 외의 입자들도 함께 튀어올라 전자석(130)의 철분 회수를 방해하게 되며, 반대로 슬래그 입자의 회전 속도가 너무 느리면 철분이 미처 회수되지 않은 슬래그 입자가 호퍼(120) 외부로 배출되어 버리거나, 하부로 갈수록 점차 폭이 좁아지는 호퍼(120)의 구조상 슬래그 입자들이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는 정체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제어부(150)는 이러한 현상들을 방지하기 위하여, 호퍼(120) 내에서 회전하고 있는 철분이 포함된 슬래그 입자의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슬래그 입자를 회전시키는 회전 장치(미도시)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게 된다.
효과적인 회전 속도의 제어를 위하여 회전하는 슬래그 입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감지부(122)가 본 발명에 따른 철분 회수 장치에 설치될 수 있다.
감지부(122)는, 호퍼(120)의 상부에서 슬래그 입자가 튀어올라 철분의 회수를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슬래그 입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제1 감지부(122a) 및 호퍼(120)의 하부에서 슬래그 입자가 호퍼(120) 외부로 방출되지 못하고 정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슬래그 입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제2 감지부(12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감지부(122a)가 호퍼(120) 상부로 튀어 오르는 슬래그 입자를 감지하면, 감지된 결과를 제어부(150)에 전송하고, 제어부(150)는 슬래그 입자를 회전시키는 회전 장치(미도시)의 속도를 감소시켜 슬래그 입자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키며, 제2 감지부(122b)가 호퍼(120) 외부로 방출되지 못하고 정체되어 있는 슬래그 입자를 감지하면, 감지된 결과를 제어부(150)에 전송하고, 제어부(150)는 슬래그 입자를 회전시키는 회전 장치(미도시)의 회전 속도를 증가시켜 슬래그 입자의 회전 속도를 증가시키게 된다.
이러한 감지부(122)는 포토센서일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마그네틱 센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철분 회수 장치
110: 이송부
120: 호퍼
122: 감지부
122a: 제1 감지부
122b: 제2 감지부
130: 전자석
132: 중량 감지기
134: 회수봉
140: 구동부
150: 제어부
160: 전자석 이송부
170: 수집부
180: 가이드부

Claims (10)

  1. 철분이 포함된 슬래그 입자를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 일 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이송부로부터 이송된 상기 슬래그 입자를 수용하며,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이송된 상기 슬래그 입자를 회전시키는 호퍼;
    상기 호퍼에 결합되어 상기 호퍼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호퍼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호퍼에 수용된 상기 슬래그 입자에서 상기 철분을 회수하는 전자석;
    상기 호퍼에 수용되는 상기 슬래그 입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 및
    상기 전자석의 자력의 세기 및 상기 슬래그 입자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호퍼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슬래그 입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제1 감지부; 및
    상기 호퍼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슬래그 입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제2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감지부에 의해 상기 호퍼의 상부로 튀어오르는 상기 슬래그 입자가 감지되면 상기 호퍼의 회전속도를 감소시키고, 상기 제2 감지부에 의해 상기 호퍼의 하부에 정체되어 있는 상기 슬래그 입자가 감지되면 상기 호퍼의 회전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분 회수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전자석을 이동시키는 전자석 이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분 회수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이 회수한 상기 철분을 수집하는 수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분 회수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의 상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전자석의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 감지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분 회수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로부터 상기 슬래그 입자가 수용되는 경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분 회수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은,
    기둥 형상인 회수봉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분 회수 장치.
KR1020110075361A 2011-07-28 2011-07-28 철분 회수 장치 KR1012902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5361A KR101290241B1 (ko) 2011-07-28 2011-07-28 철분 회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5361A KR101290241B1 (ko) 2011-07-28 2011-07-28 철분 회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3634A KR20130013634A (ko) 2013-02-06
KR101290241B1 true KR101290241B1 (ko) 2013-07-30

Family

ID=47894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5361A KR101290241B1 (ko) 2011-07-28 2011-07-28 철분 회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024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5012A (ko) * 2001-12-26 2003-07-02 주식회사 포스코 수재의 철분분리장치
JP2004290856A (ja) * 2003-03-27 2004-10-21 Sumitomo Bakelite Co Ltd 不純物の除去装置
KR20050038235A (ko) * 2003-10-21 2005-04-27 주식회사 포스코 수재 철분 분리장치
KR20060010211A (ko) * 2004-07-27 2006-02-02 (주)정우기전 철물 선별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5012A (ko) * 2001-12-26 2003-07-02 주식회사 포스코 수재의 철분분리장치
JP2004290856A (ja) * 2003-03-27 2004-10-21 Sumitomo Bakelite Co Ltd 不純物の除去装置
KR20050038235A (ko) * 2003-10-21 2005-04-27 주식회사 포스코 수재 철분 분리장치
KR20060010211A (ko) * 2004-07-27 2006-02-02 (주)정우기전 철물 선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3634A (ko) 2013-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21978B2 (ja) 連続式のコンベア式ショットピーニング装置及びショットピーニング方法
CN202343319U (zh) 磁选装置及垃圾回收机械
KR101433461B1 (ko) 벨트 컨베이어로 이송되는 원료로부터의 철편 추출장치
CN112495836A (zh) 矿产分选机
KR101290241B1 (ko) 철분 회수 장치
KR101355561B1 (ko) 비산 철성분 회수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7161731A (zh) 装载设备以及装载物料的方法
KR102089144B1 (ko) 벨트컨베이어용 철편제거장치
JP2000343044A (ja) 物体の供給装置
KR102237626B1 (ko) 철편 제거장치
KR101140854B1 (ko) 철편 검출 장치 및 방법
US9950324B2 (en) Separator by foucault current
KR101529196B1 (ko) 연원료 이송장치
KR101277490B1 (ko)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
KR101344337B1 (ko) 철편 선별장치
CN101116860A (zh) 输料系统去除非磁性金属装置和方法
KR101289173B1 (ko) 컨베이어벨트 사행감지장치
JP2011190089A (ja) スタッカー
KR20120110318A (ko) 슈트 감지장치
KR20060119419A (ko) 켄베이어라인에서의 광석역수송감지장치
JP5494184B2 (ja) ランドリモニタシステム
JP3112812U (ja) 鉱石搬送装置
KR102166593B1 (ko) 벨트컨베이어용 파손 감지장치
US20240100542A1 (en) Material separation system
KR101441475B1 (ko) 이물질 처리장치 및 이물질 처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