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0151B1 - 흑색 점판암으로부터 우라늄 및 바나듐의 회수방법 - Google Patents

흑색 점판암으로부터 우라늄 및 바나듐의 회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0151B1
KR101290151B1 KR1020130017919A KR20130017919A KR101290151B1 KR 101290151 B1 KR101290151 B1 KR 101290151B1 KR 1020130017919 A KR1020130017919 A KR 1020130017919A KR 20130017919 A KR20130017919 A KR 20130017919A KR 101290151 B1 KR101290151 B1 KR 1012901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nadium
uranium
solid
leaching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7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수
이후인
이진영
정경우
쿠마 라제쉬
박형규
Original Assignee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지질자원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017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01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0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01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43/00Compounds of uran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1/00Solvent extraction
    • B01D11/04Solvent extraction of solutions which are liquid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31/00Compounds of vanadiu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흑색 점판암으로부터 우라늄 및 바나듐의 회수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흑색 점판암을 파쇄 및 분쇄하는 단계; 상기 파쇄 및 분쇄된 흑색 점판암을 제1 침출시키는 단계; 상기 제1 침출 후 고체와 액체로 분리하는 제1 고액분리하는 단계; 상기 제1 고액분리로 분리된 액체로부터 우라늄을 용매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우라늄의 용매추출 후 잔류하는 유기 용액과 라피네이트 중 라피네이트에서 바나듐을 산화시킨 후 바나듐을 용매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흑색 점판암으로부터 우라늄 및 바나듐의 회수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흑색 점판암으로부터 우라늄 및 바나듐의 회수방법{Recovery method of uranium and vanadium from black shale ore}
본 발명은 흑색 점판암으로부터 우라늄 및 바나듐의 회수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라늄은 원자력 발전소에서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주원료 물질이다. 이러한 이유로 광물로부터 우라늄을 분리 및 회수하는 기술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지표에 있는 우라늄광은 표토만을 제거하는 노천채굴법에 의하여 채취되고, 지하의 광맥을 이루는 우라늄광은 일반 금속 광산과 마찬가지로 갱도채굴법에 의하여 채취된다. 우라늄광으로부터 우라늄 성분을 분리해 내는 과정을 제련이라고 하며, 우라늄광으로부터 우라늄을 녹여내는 과정을 침출이라고 하는데 침출제로는 산 또는 알카리 용액이 사용된다. 산침출법에서는 일반적으로 황산이, 알칼리 침출법에서는 탄산나트륨이 침출제로 쓰이고 있다. 황산 용액으로부터 우라늄을 회수하기 위해서 아민을 추출제로 사용하는데 이 방법을 아민추출법이라 한다. 상기와 같이 우라늄이 추출되고 남은 용액에서 바나듐을 회수할 수 있다.
한편, 국내의 저품위 광물로부터 우라늄 및 바나듐을 추출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우라늄 및 바나듐을 저비용으로 효율적으로 회수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발명에 관련된 종래 기술로는 미국 등록특허 제4,241,027호(발명의 명칭: "Reductive stripping process for the recovery of either or both uranium and vanadium, 공고 일자: 1980.12.23.)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흑색 점판암에 포함되어 있는 우라늄 및 바나듐의 효과적인 침출과 침출 후 잔류하는 용액에서 우라늄 및 바나듐을 경제적으로 회수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는 이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흑색 점판암을 파쇄 및 분쇄하는 단계; 상기 파쇄 및 분쇄된 흑색 점판암을 제1 침출시키는 단계; 상기 제1 침출 후 고체와 액체로 분리하는 제1 고액분리하는 단계; 상기 제1 고액분리로 분리된 액체로부터 우라늄을 용매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우라늄의 용매추출 후 잔류하는 라피네이트에서 바나듐을 산화시킨 후 바나듐을 용매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흑색 점판암으로부터 우라늄 및 바나듐의 회수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최적의 침출 조건을 통해 흑색 점판암으로부터 우라늄 및 바나듐의 침출율을 증가시킬 수 있고, 흑색 점판암으로부터 우라늄 및 바나듐을 효율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특히, 유용원소의 함유량이 적은 저품위 광물로부터 본 발명의 침출공정을 통해 우라늄 및 바나듐의 침출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우라늄의 추출 공정 후 라피네이트의 pH를 조절하여 바나듐을 용매추출함으로써 저비용으로 우라늄 및 바나듐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우라늄 및 바나듐의 용매추출 후 본 발명에 따른 회수공정을 사용하여 저품위 광물로부터 우라늄 및 바나듐의 회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흑색 점판암으로부터 우라늄 및 바나듐의 회수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수방법에서 침출시 흑색 점판암의 입자 크기에 따른 침출율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할 실시예에 따른 회수방법에서 침출시 광액 농도에 따른 침출율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수방법에서 침출시 산 농도에 따른 침출율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수방법에서 침출시 침출 시간에 따른 침출율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수방법에서 침출시 침출 온도에 따른 침출율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수방법에서 제1 고액분리하여 분리된 액체의 pH에 따른 우라늄의 추출율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수방법에서 우라늄의 용매추출 후 잔류하는 유기 용액의 세정시 세정제 pH에 따른 세정율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수방법에서 우라늄의 용매추출 후 잔류하는 유기 용액의 스트리핑시 탈거제 농도에 따른 스트리핑율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수방법에서 과산화수소수 당량에 따른 우라늄의 침전율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수방법에서 우라늄 침전시 pH의 변화에 따른 우라늄의 회수율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수방법에서 바나듐을 산화시킨 후 pH에 따른 바나듐의 추출율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수방법에서 바나듐의 용매추출 후 잔류하는 유기 용액의 세정시 세정제 pH에 따른 세정율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수방법에서 바나듐의 용매추출 후 잔류하는 유기 용액의 스트리핑시 탈거제 농도에 따른 스트리핑율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수방법에서 염화암모늄 당량에 따른 바나듐의 침전율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수방법에서 바나듐 침전시 pH의 변화에 따른 바나듐의 회수율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흑색 점판암을 파쇄 및 분쇄하는 단계;
상기 파쇄 및 분쇄된 흑색 점판암을 제1 침출시키는 단계;
상기 제1 침출 후 고체와 액체로 분리하는 제1 고액분리하는 단계;
상기 제1 고액분리로부터 분리된 액체로부터 우라늄을 용매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우라늄의 용매추출 후 잔류하는 라피네이트에서 바나듐을 산화시킨 후 바나듐을 용매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흑색 점판암으로부터 우라늄 및 바나듐의 회수방법을 제공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흑색 점판암으로부터 우라늄 및 바나듐의 회수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흑색 점판암으로부터 우라늄 및 바나듐의 회수방법은 흑색 점판암을 파쇄 및 분쇄하는 단계(S1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흑색 점판암으로부터 우라늄 및 바나듐의 회수방법에 있어서, 흑색 점판암은 대한민국의 충북 괴산, 옥천, 금산군과 대전 동구 등에 넓게 분포되어 있으며, 미량의 우라늄과 바나듐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흑색 점판암은 48 내지 150 메쉬의 입자 크기로 파쇄 및 분쇄할 수 있고, 상기 범위로 파쇄 및 분쇄할 수 있는 장치나 방법이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흑색 점판암의 입자 크기가 48 메쉬 미만인 경우에는 침출율이 저하될 수 있고, 150 메쉬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추후 고체와 액체로 분리하는 고액분리가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흑색 점판암의 광액 농도(pulp density, 광액(광석과 물과의 혼합물) 중에 함유된 광석 입자의 무게와 광액전체 무게(물+고체)의 비율을 백분율로 나타냄)는 40 내지 60%일 수 있다. 상기 광액 농도가 40% 미만인 경우에는 유용금속의 함량이 낮을 수 있고, 6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침출율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흑색 점판암으로부터 우라늄 및 바나듐의 회수방법은 상기 파쇄 및 분쇄된 흑색 점판암을 제1 침출시키는 단계(S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침출은 2 내지 4M의 강산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침출 시간은 2 내지 3 시간일 수 있고, 침출 온도는 60 내지 80 ℃일 수 있다. 상기 제1 침출에서 강산의 농도 및 침출온도가 상기 하한값 미만인 경우에는 침출율이 낮을 수 있고, 상한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침출율이 크게 증가하지 않아 에너지 효율의 측면에서 비효율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흑색 점판암으로부터 우라늄 및 바나듐의 회수방법은 상기 제1 침출 후 고체와 액체로 분리하는 제1 고액분리하는 단계(S3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고액분리는 응집제를 첨가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응집제로는 유기고분자 응집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흑색 점판암으로부터 우라늄 및 바나듐의 회수방법은 상기 제1 고액분리로 분리된 액체로부터 우라늄을 용매추출하는 단계(S4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고액분리를 통해 상기 제1 침출 후 고체와 액체로 분리되며 분리된 액체의 pH는 0.4 내지 0.6으로 조절될 수 있고, 상기 pH의 범위에서 우라늄을 용매추출한다. 상기 pH의 범위가 0.4 미만인 경우에는 우라늄 추출량이 낮을 수 있고, 0.6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바나듐, 철 및 알루미늄의 추출량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매추출은 추출제(extractant), 상분리제(modifier) 및 희석제(diluent)를 포함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추출제는 아민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상분리제는 이소데카놀(isodecanol)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희석제는 케로신(kerosin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흑색 점판암으로부터 우라늄 및 바나듐의 회수방법은 상기 우라늄의 용매추출 후 잔류하는 라피네이트에서 바나듐을 산화시킨 후 바나듐을 용매추출하는 단계(S50)를 포함한다.
상기 라피네이트는 이산화망간(MnO2), 망간산칼륨(KMnO4) 및 염소산나트륨(NaClO3) 등을 사용하여 산화시켜 음이온화될 수 있고, 염소산나트륨을 사용하여 산화시키는 것이 적절하다. 예를 들어, 염소산나트륨을 사용한 경우의 바나듐의 이온 변화는 하기 화학식 1 및 2와 같다.
[화학식 1]
VO2 + + NaClO3 + H+ → VO2 + + NaCl + H2O
[화학식 2]
VO2 + + H2O → H3V2O7 - + H+
상기 라피네이트에서 바나듐을 산화시킨 후의 pH는 0.7 내지 0.9로 조절될 수 있다. 상기 pH가 0.7 미만인 경우에는 추출되는 바나듐의 양이 낮을 수 있고, 0.9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철과 알루미늄이 과도하게 추출될 수 있다.
상기 바나듐의 용매추출 또한 전술한 우라늄의 용매추출과 유사하게 추출제, 상분리제 및 희석제를 포함하여 수행될 수 있고, 추출제는 아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분리제는 이소데카놀 등을 사용할 수 있고, 희석제는 케로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흑색 점판암으로부터 우라늄 및 바나듐의 회수방법은 상기 우라늄의 용매추출 후 잔류하는 유기 용액을 세정하고 스트리핑(stripping)하는 단계(S60); 및 상기 스트리핑 후 잔류하는 스트리핑 수용액에서 우라늄을 침전시키고 고액분리한 후 건조시켜 우라늄을 회수하는 단계(S6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 용액의 세정(scrubbing)은 유기 용액에 잔류하는 철, 알루미늄 등과 같은 불순물을 제거하는 공정으로 세정제(scrubbing agent)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상기 세정제는 pH 0.5~2.0의 약산(H2SO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 용액은 세정 후 스트리핑 공정을 수행하게 되는데 스트리핑 공정은 탈거제(stripping agent)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탈거제는 염화나트륨(NaCl), 황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트리핑 공정 후 잔류하는 스트리핑 수용액의 우라늄을 침전시키고 pH를 조절한 후 고액분리하고 건조시켜 우라늄 화합물(yellow cake)을 회수할 수 있다.
상기 우라늄의 침전은 과산화수소(H2O2), 수산화암모늄(NH4OH) 및 수산화나트륨(NaOH)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여 수행될 수 있고, 상기 pH는 2 내지 5로 조절될 수 있다. 상기 pH가 2 미만인 경우에는 우라늄의 침전율이 낮을 수 있고, 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침전율이 증가하지 않아 에너지 효율의 측면에서 비효율적일 수 있다.
상기 스트리핑 수용액은 유기 용액과 구별되는 스트리핑 공정 후의 용액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흑색 점판암으로부터 우라늄 및 바나듐의 회수방법은 상기 바나듐의 용매추출 후 잔류하는 유기 용액을 세정하고 스트리핑(S51)하는 단계; 및 상기 스트리핑 후 잔류하는 스트리핑 수용액에서 바나듐을 침전시키고 고액분리한 후 하소(calcination)하여 바나듐을 회수하는 단계(S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 용액은 유기 용액에 잔류하는 철, 알루미늄 등과 같은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해 세정될 수 있고, pH 1~2의 약산(H2SO4) 등을 포함하는 세정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트리핑은 탈거제(stripping agent)의 의해 수행될 수 있고, 상기 탈거제는 0.4~0.8M의 산 용액, 특히 H2SO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트리핑 공정 후 잔류하는 스트리핑 수용액의 바나듐을 침전시키고 pH를 조절한 후 고액분리하고 하소(calcinations)하여 바나듐 화합물(NH4VO3)을 회수할 수 있다. 상기 스트리핑 수용액은 전술한 바와 같이 유기 용액과 구별되는 스트리핑 공정 후의 용액을 의미한다.
상기 바나듐의 침전은 염화암모늄(NH4Cl) 등을 포함하여 수행될 수 있고, 상기 pH는 8 내지 9로 조절될 수 있다. 상기 pH가 8 미만인 경우에는 바나듐의 침전율이 낮을 수 있고, 9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침전율이 증가하지 않아 에너지 효율의 측면에서 비효율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흑색 점판암으로부터 우라늄 및 바나듐의 회수방법은 상기 제1 고액분리에서 분리된 고체를 제2 침출시킨 후 제2 고액분리하여 분리된 액체를 상기 파쇄 및 분쇄된 흑색 점판암과 함께 다시 제1 침출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고액분리에서 분리된 고체에는 우라늄 및 바나듐 성분이 잔류하고 있다. 따라서, 더욱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추출을 위해 상기 제1 고액분리에서 분리된 고체는 제2 침출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2 침출은 2 내지 4M의 강산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침출 시간은 2 내지 3 시간일 수 있고, 침출 온도는 60 내지 80 ℃일 수 있다. 상기 강산은 황산이 적절할 수 있다. 제2 침출 공정을 수행한 후 상기 제1 고액분리와 동일한 공정으로 제2 고액분리를 수행하여 고체와 액체로 분리하고, 분리된 액체는 파쇄 및 분쇄된 흑색 점판암과 함께 다시 제1 침출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흑색 점판암으로부터 우라늄 및 바나듐의 회수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액분리하여 분리된 고체를 세척한 다음, 남은 액체를 상기 제1 고액분리하여 분리된 고체와 함께 다시 제2 침출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고액분리는 전술한 제1 고액분리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고, 상기 세척은 pH 2의 묽은 황산 용액 또는 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흑색 점판암으로부터 우라늄 및 바나듐의 회수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액분리하여 분리된 고체를 세척한 다음, 세척된 고체를 재세척하고 잔류하는 액체를 제1 고액분리 단계에 포함시킬 수 있다.
실시예 1: 흑색 점판암으로부터 우라늄 및 바나듐의 회수 1
하기 표 1의 성분으로 이루어진 흑색 점판암을 48 메쉬 크기로 파쇄 및 분쇄하였다. 상기 파쇄 및 분쇄된 흑색 점판암을 2 내지 4M의 황산으로 제1 침출시켰으며, 이때 침출 시간은 2 시간 동안 수행하였고, 침출 온도는 80℃에서 수행하였다. 상기 제1 침출 후 응집제(Accofloc N100S)를 투입하여 농축기에서 제1 고액분리시킨 후 상기 제1 고액분리로 분리된 액체에서 미립자를 진공여과기로 여과시켰다. 상기 제1 고액분리로 분리된 액체의 pH를 0.6으로 조절하였으며, 0.2M의 아민(Alamine 336), 5%의 이소데카놀 및 케로신을 투입하여 우라늄을 용매추출하였다. 상기 우라늄의 용매추출 후 잔류하는 라피네이트를 염소산 나트륨으로 산화시키고 pH를 0.8로 조절하였으며, 다시 0.2M의 아민(alamine 336), 5%의 이소데카놀 및 케로신을 투입하여 바나듐을 용매추출하였다.
성분 함량(%) 성분 함량(%)
U3O8 0.058 P2O5 0.25
V2O5 0.16 ZnO 0.03
SiO2 55.1 NiO 0.08
Al2O3 7.45 S 0.19
Fe2O3 3.47 고정 탄소 26.9
CaO 0.35 H2O 5.1
MgO 0.85 - -
상기 제1 고액분리로 분리된 액체의 성분 및 함량을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성분 U V Al Fe Mg Cu Zn Ni
함량(ppm) 568 880 13460 12560 151 123 15 35
실시예 2: 흑색 점판암으로부터 우라늄 및 바나듐의 회수 2
흑색 점판암을 48 메쉬 크기로 파쇄 및 분쇄하였다. 상기 파쇄 및 분쇄된 흑색 점판암을 2 내지 4M의 약산으로 제1 침출시켰으며, 이때 침출 시간은 2 시간 동안 수행하였고, 침출 온도는 80℃에서 수행하였다. 상기 제1 침출 후 응집제(Accofloc N100S)를 투입하여 제1 고액분리시켰다. 상기 제1 고액분리로 분리된 액체의 pH를 0.6으로 조절하였으며, 0.2M의 아민(alamine 336), 5%의 이소데카놀 및 케로신을 투입하여 우라늄을 용매추출하였다.
상기 우라늄의 용매추출 후 잔류하는 유기 용액을 pH 0.8의 산으로 세정하고 1.0M의 NaCl로 스트리핑하였다. 스트리핑 후 잔류하는 스트리핑 수용액에 2 내지 3 당량의 과산화수소수를 첨가하여 우라늄을 침전시키고 수산화나트륨 용액으로 pH를 2 내지 5로 유지시켜 4 시간 동안 방치한 후 고액분리한 다음 얻어진 침전물을 건조시켜 우라늄 화합물(yellow cake)을 얻었다.
상기 우라늄의 용매추출 후 잔류하는 라피네이트를 염소산 나트륨으로 산화시키고 pH를 0.8로 조절하였으며, 0.2M의 아민(alamine 336), 5%의 이소데카놀 및 케로신을 투입하여 바나듐을 용매추출하였다.
상기 바나듐의 용매추출 후 잔류하는 유기 용액을 약산으로 세정하고, 1.0M의 H2SO4로 스트리핑하였다. 스트리핑 후 잔류하는 스트리핑 수용액에 5 내지 8 당량의 NH4Cl를 첨가하여 바나듐을 침전시키고 수산화암모늄 용액으로 pH를 8 내지 9로 유지시켜 4시간 동안 방치한 후 고액분리한 다음 하소하여 바나듐을 얻었다.
실험예 1: 침출 공정에서의 흑색 점판암의 입자 크기 및 광액 농도에 따른 침출율 분석
흑색 점판암의 입자 크기 및 광액 농도에 따른 침출율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도 3 및 4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입자 크기가 48 메쉬에 도달할 때까지 침출율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고, 48 메쉬 이상의 크기에서는 침출율이 일정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나 바와 같이, 광액 농도에 따른 침출율에 대한 실험에서는 20 내지 60%의 다양한 광액 농도에 따라 미미한 침출율 변화가 관찰되었다.
실험예 2: 침출 공정에서의 산 농도, 침출 시간 및 침출 온도에 따른 침출율 분석
침출 공정에서의 산 농도, 침출 시간 및 침출 온도에 따른 침출율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도 5, 6 및 7에 나타내었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산 농도가 1.0M에서 2.0M으로 변화하였을 때 침출율이 급격하게 증가하였으며, 2.0M 이상에서의 농도에서는 침출율의 변화가 미미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침출 시간을 2시간 동안 수행하였을 때 침출율이 급격하게 증가하였으며, 2시간 이상으로 침출 공정이 수행되는 경우에는 침출율이 거의 일정하게 나타났다.
또한,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침출 온도는 80 ℃에서 가장 높은 침출율이 나타났으나, 60 내지 80 ℃에서의 침출율 변화가 크지 않았다.
실험예 3: 우라늄의 회수시 각각의 공정에서 사용된 물질의 pH, 농도 및 당량에 따른 결과 분석
본 발명에 따른 우라늄의 회수방법에서 추출, 세정, 역추출(스트리핑, 탈거) 및 회수 각각의 공정에서 사용되는 물질의 pH, 농도 및 당량에 따른 추출율, 세정율, 스트리핑율, 침전율 및 회수율 변화를 알아보고, 그 결과를 도 8, 9, 10, 11 및 12에 나타내었다.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고액분리하여 분리된 액체의 pH가 증가함에 따라 우라늄의 추출율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고, pH가 0.4에서 80% 이상의 우라늄 추출율을 나타내고, pH가 0.6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우라늄의 추출율 변화가 미미하므로, 우라늄 추출 전의 제1 고액분리하여 분리된 액체의 pH는 0.4 내지 0.6가 적절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우라늄의 용매추출 후 잔류하는 유기 용액의 세정은 묽은 황산으로 수행되며, 묽은 황산 용액의 pH가 0.5 내지 1.0인 경우 철과 알루미늄에 대한 세정이 가장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우라늄의 용매추출 후 잔류하는 유기 용액의 스트리핑은 염화나트륨(NaCl)으로 수행되며, 염화나트륨의 농도가 0.75 내지 1.0M에서 스트리핑이 가장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스트리핑 공정 후 잔류하는 스트리핑 수용액에서 우라늄의 침전율은 과산화수소수(H2O2)의 당량이 2에서 약 95%를 나타내므로, 2 이상 3 이하의 당량인 것이 적절하다.
도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스트리핑 공정 후 잔류하는 스트리핑 수용액에서 우라늄의 회수율은 침전시 과산화수소수의 당량을 2로 가하고, NH4OH로 pH 2.0을 유지시키면 약 80%로 나타나고, pH가 증가할수록 회수율이 증가하므로, NH4OH에 의한 pH는 2 이상 5 이하가 적절한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4: 바나듐의 회수시 각각의 공정에서 사용된 물질의 pH, 농도 및 당량에 따른 결과 분석
본 발명에 따른 우라늄의 회수방법에서 추출, 세정, 역추출(스트리핑, 탈거) 및 회수 각각의 공정에서 사용되는 물질의 pH, 농도 및 당량에 따른 추출율, 세정율, 스트리핑율, 침전율 및 회수율 변화를 알아보고, 그 결과를 도 13, 14, 15, 16 및 17에 나타내었다.
도 1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산화 후 바나듐 함유 모액의 pH가 증가함에 따라 바나듐의 추출율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고, pH가 0.8에서 약 70%의 바나듐 추출율이 나타나고, pH가 0.8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바나듐의 추출율 변화가 미미하므로, 우라늄의 용매추출 후 잔류하는 라피네이트에서 바나듐을 산화시킨 후의 바나듐 모액 pH는 0.7 내지 0.9가 적절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1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바나듐의 용매추출 후 잔류하는 유기 용액의 세정은 묽은 황산으로 수행되며, 황산의 pH가 1.0 내지 1.5인 경우 철과 알루미늄에 대한 세정율이 가장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도 1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바나듐의 용매추출 후 잔류하는 유기 용액의 스트리핑은 황산으로 수행되며, 황산의 농도가 0.5 내지 0.8M에서 스트리핑율이 가장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1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스트리핑 공정 후 잔류하는 스트리핑 수용액에서 바나듐의 침전율은 염화암모늄(NH4Cl)의 당량이 4에서 약 95%로 나타나므로, 당량 범위는 4 이상 6 이하가 적절하다.
도 1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스트리핑 공정 후 잔류하는 스트리핑 수용액에서 바나듐의 침전율은 침전시 사용된 NH4Cl의 당량을 5로 하고 스트리핑 수용액의 pH가 8에서 약 95%로 나타나고, pH가 증가할수록 침전율 변화가 미미하므로 pH는 8 내지 9가 적절한 것을 알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흑색 점판암으로부터 우라늄 및 바나듐의 회수방법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2)

  1. 흑색 점판암을 파쇄 및 분쇄하는 단계;
    상기 파쇄 및 분쇄된 흑색 점판암을 제1 침출시키는 단계;
    상기 제1 침출 후 고체와 액체로 분리하는 제1 고액분리하는 단계;
    상기 제1 고액분리로 분리된 액체로부터 우라늄을 용매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우라늄의 용매추출 후 잔류하는 라피네이트에서 바나듐을 산화시킨 후 바나듐을 용매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흑색 점판암으로부터 우라늄 및 바나듐의 회수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우라늄의 용매추출 후 잔류하는 유기 용액을 세정하고 스트리핑하는 단계; 및 상기 스트리핑 후 잔류하는 스트리핑 수용액에서 우라늄을 침전시키고 고액분리한 후 건조시켜 우라늄을 회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색 점판암으로부터 우라늄 및 바나듐의 회수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나듐의 용매추출 후 잔류하는 유기 용액을 세정하고 스트리핑하는 단계; 및 상기 스트리핑 후 잔류하는 스트리핑 수용액에서 바나듐을 침전시키고 고액분리한 후 하소하여 바나듐을 회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색 점판암으로부터 우라늄 및 바나듐의 회수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흑색 점판암의 광액 농도는 40 내지 6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색 점판암으로부터 우라늄 및 바나듐의 회수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침출은 2 내지 4M의 강산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색 점판암으로부터 우라늄 및 바나듐의 회수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침출은 침출 시간이 2 내지 3 시간이고, 침출 온도가 60 내지 8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색 점판암으로부터 우라늄 및 바나듐의 회수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액분리된 액체의 pH는 0.4 내지 0.6으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색 점판암으로부터 우라늄 및 바나듐의 회수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라피네이트에서 바나듐을 산화시킨 후의 pH는 0.7 내지 0.9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색 점판암으로부터 우라늄 및 바나듐의 회수방법.
  9. 삭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액분리에서 분리된 고체를 제2 침출시킨 후 제2 고액분리하여 고체와 액체로 분리하고 분리된 액체를 상기 파쇄 및 분쇄된 흑색 점판암과 함께 다시 제1 침출시키고,
    상기 제2 침출은 2 내지 4M의 강산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색 점판암으로부터 우라늄 및 바나듐의 회수방법.
  11. 삭제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액분리에서 분리된 고체를 제2 침출시킨 후 제2 고액분리하여 고체와 액체로 분리하고 분리된 액체를 상기 파쇄 및 분쇄된 흑색 점판암과 함께 다시 제1 침출시키고,
    상기 제2 고액분리하여 분리된 고체를 세척한 다음, 세척된 고체를 재세척하여 잔류하는 액체를 제1 고액분리 단계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색 점판암으로부터 우라늄 및 바나듐의 회수방법.
KR1020130017919A 2013-02-20 2013-02-20 흑색 점판암으로부터 우라늄 및 바나듐의 회수방법 KR1012901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7919A KR101290151B1 (ko) 2013-02-20 2013-02-20 흑색 점판암으로부터 우라늄 및 바나듐의 회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7919A KR101290151B1 (ko) 2013-02-20 2013-02-20 흑색 점판암으로부터 우라늄 및 바나듐의 회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0151B1 true KR101290151B1 (ko) 2013-08-07

Family

ID=49219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7919A KR101290151B1 (ko) 2013-02-20 2013-02-20 흑색 점판암으로부터 우라늄 및 바나듐의 회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015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41027A (en) 1978-11-16 1980-12-23 Kerr-Mcgee Corporation Reductive stripping process for the recovery of either or both uranium and vanadium
KR100961832B1 (ko) 2008-04-25 2010-06-08 한국원자력연구원 고 알카리 탄산염 용액 계를 사용하는 사용후핵연료의우라늄 분리회수방법과 그 장치
KR101061481B1 (ko) 2010-05-25 2011-09-02 한국원자력연구원 우라늄 산화물 스크랩으로부터 핵연료용 우라늄 분말을 제조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41027A (en) 1978-11-16 1980-12-23 Kerr-Mcgee Corporation Reductive stripping process for the recovery of either or both uranium and vanadium
KR100961832B1 (ko) 2008-04-25 2010-06-08 한국원자력연구원 고 알카리 탄산염 용액 계를 사용하는 사용후핵연료의우라늄 분리회수방법과 그 장치
KR101061481B1 (ko) 2010-05-25 2011-09-02 한국원자력연구원 우라늄 산화물 스크랩으로부터 핵연료용 우라늄 분말을 제조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60054B (zh) 从铅锌冶炼后的废渣中提取金属铟的方法
CN102244309B (zh) 一种从电动汽车锂系动力电池中回收锂的方法
CN106868307B (zh) 一种硫酸烧渣除砷富集金银的综合利用工艺
CN103205570B (zh) 石煤钒矿和软锰矿联合制取五氧化二钒副产硫酸锰的方法
US8911696B1 (en) Recycle process for alkaline and carbon zinc batteries
CN103739005B (zh) 一种以铅锌矿冶炼废水为原料制备氯化亚铊的方法
CN103805789B (zh) 一种铜镍渣的综合回收有价金属的方法
CN102329956B (zh) 红土镍矿湿法提取镍元素的工艺
CN101760652B (zh) 选冶联合流程处理难选复杂型钼矿的工艺方法
CN113846214B (zh) 一种湿法炼锌生产中含锌物料的处理方法
CN102030355A (zh) 利用钛白粉厂的废酸提取三氧化二钪的工艺
KR101303959B1 (ko) 우라늄 및 바나듐 분리의 연속회수방법
CN108239701B (zh) 一种综合回收高泥碳酸盐型氧化铅锌矿中铅锌的方法
CN105110300A (zh) 一种含硫化锰的复合锰矿提取锰及硫的方法
CN110643808B (zh) 一种从低品位钨铁矿中提取钨的方法
CN111575485A (zh) 一种降低稀土渣放射性的回收处理方法
CN100400687C (zh) 从磷酸盐中提取放射性铀的方法
KR101290151B1 (ko) 흑색 점판암으로부터 우라늄 및 바나듐의 회수방법
KR101291146B1 (ko) 연속 침출공정을 이용한 흑색 점판암으로부터 우라늄 및 바나듐의 추출방법
Kim Uranium mining and milling
CN104178644B (zh) 从铁尾矿中回收铷的方法
CA2596708A1 (en) Chemical beneficiation of raw material, containing tantalum-niobium
CN105018726A (zh) 一种铅锌共生矿处理方法
CN101955226B (zh) 采用微波法碱液浸出钒矿石中钒的提取工艺
CN105849291A (zh) 将铟和砷互相分离的方法及工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