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0035B1 - (s)―오메프라졸 마그네슘염의 고체형태 및 그 제조과정 - Google Patents

(s)―오메프라졸 마그네슘염의 고체형태 및 그 제조과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0035B1
KR101290035B1 KR1020077000063A KR20077000063A KR101290035B1 KR 101290035 B1 KR101290035 B1 KR 101290035B1 KR 1020077000063 A KR1020077000063 A KR 1020077000063A KR 20077000063 A KR20077000063 A KR 20077000063A KR 101290035 B1 KR101290035 B1 KR 1012900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meprazole
magnesium salt
methanol
solvated
omeprazole magnes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0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1992A (ko
Inventor
라몬 베렌구에르 마이모
라우라 코피
욜란다 가산츠 기옌
호르헤 메드라노 루페레츠
Original Assignee
에스티브 퀴미카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티브 퀴미카 에스.에이. filed Critical 에스티브 퀴미카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070031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19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0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00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1/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4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ulcers, gastritis or reflux esophagitis, e.g. antacids, inhibitors of acid secretion, mucosal protecta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Abstract

S-오메프라졸의 활성요소 마그네슘염의 신규 고체 형태는: a) S-오메프라졸 시작물질의 마그네슘염 중 0.01 ml/g 이상인 물의 양을 지닌 메탄올/물의 혼합물을 구성하는 용매시스템에서 S-오메프라졸 마그네슘염의 용액으로부터 S-오메프라졸 마그네슘염을 결정시키는 단계, b) 이전 단계에서 나타나는 S-오메프라졸 마그네슘염을 분리시키는 단계, c) 획득된 S-오메프라졸 마그네슘염으로부터 자유 유기용매를 분리시키는 단계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자유 용매 및 용매화 용매 둘 다를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과정으로 얻어질 수 있다. 신규 고체형성은, 높은 수율 및 높은 광학 순도를 가지고, 상기 활성성분을 포함하는 의약제품의 제조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재생가능하고 확고한 처리에 의해 얻어지게 된다.
Figure R1020077000063
S-오메프라졸 마그네슘염, 제네릭, 라세미산, 디프랙토그램, (C1-C4)-알킬 에스테르, 아세토니트릴, 공용매

Description

(S)―오메프라졸 마그네슘염의 고체형태 및 그 제조과정{SOLID FORMS OF THE MAGNESIUM SALT OF(S)―OMEPRAZOLE AND PROCESSES FOR THEIR PREPARATION}
본 발명은, S-오메프라졸 마그네슘염의 신규 고체형태 및 그 제조에 대한 중간체뿐만 아니라, 그 제조과정에 관한 것이다.
오메프라졸이라 칭하는 제네릭을 가진 화학물 5-메토시-2-[(4-메토시-3, 5-디메틸-2-피리디닐)메틸]설피닐-1H-벤지미다졸(5-methoxy-2-[[(4-methoxy-3, 5-dimethyl-2-pyridinyl)methyl]sulfinyl-1H-benzimidazole)은 문서 EP 5.129-A에서 처음 개시되었다. 오메프라졸은 황 원자에서 비대칭 중심으로 구성된 술폭시화물(sulphoxide)이기 때문에, R-오메프라졸 및 S-오메프라졸의 2 개 거울상 이성질체의 라세미산(racemic) 혼합으로서 존재한다.
오메프라졸은 산성 및 중성 용액에서 저하되기 쉽다. 안정성은 습도, 온도 및 유기 용매와 같은 다른 요인에 의해 영향받기도 쉽다. 저장동안에, 오메프라졸의 특정 염이 오메프라졸의 중성 형태보다 더 안정하다고 EP 124.495-A에서 개시되어있다.
오메프라졸 및 그 알칼리성의 염은 위산분비의 효과적인 억제제이기 때문에, 위산에 관여한 장애 및 염증성 위장병(예를 들면,위궤양,십이지장의 궤양,역류 성 식도염 및 위염)의 방지 및 치료에 도움이 된다. 게다가, 그것들은 방어인자(cytoprotectant) 및/또는 항-위선분비(anti-gastric secretion) 효과(예를 들면, 다발성 위궤양을 지닌 환자, 급성 위쪽 위장내의 출혈을 가진 환자, 및 만성이고 음주가 과한 환자)가 필요한 다른 염증성 위장병 장애의 치료에 사용될 수도 있다.
EP 652.872-A는, 아래에 포함된 화학공식의 S-오메프라졸 마그네슘염을 기술하고,S-오메프라졸 마그네슘염이 약동학과, 개선된 치료 프로필을 주는 대사속성을 소유한다고 개시되어 있다. S-오메프라졸 마그네슘염의 다른 고체형태를 기술한 다른 문서가 있다. EP 984.957-A는 S-오메프라졸 마그네슘염의 3 수화물(trihydrate)을 기술한다. WO 04/20436은 비결정 고체형태에서 S-오메프라졸 마그네슘염의 수산화물을 기술한다. 최종으로, EP 1.375.497-A는, 67% 미만의 결정도 등급을 지닌 S-오메프라졸 마그네슘염 및, 7% 미만의 유기용매의 양을 가지는 S-오메프라졸 마그네슘염을 기술한다.
Figure 112007000358928-pct00001
약학적 활성요소의 다른 고체형태는 다른 속성을 가질 수 있고,예를 들면, 용해도 및 생물학적 이용가능성에 관하여 특정한 이점을 준다. 그러므로, 몇몇 형태는 공식화 중 하나의 형태에 더 적절할 수 있고, 나머지 다른 공식화에 다른 형태가 있기 때문에, 신규 고체형태의 발견은 활성요소의 약제공식화의 속성을 개선시키도록 한다. 또한, 치료 지시에 의존하여, 하나 또는 또 다른 약제공식화가 바람직할 수 있기 때문에, 오메프라졸은, 예를 들면, 캡슐 및 바이알의 형태, 그리고가스트로레지스턴드 알약으로서 S-오메프라졸로 시판될 수 있다. 그러므로, S-오메프라졸 마그네슘염의 신규 고체형태를 가지는 것은 중요하다.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라, 도 1에서 도시된 X-레이 디프랙토그램을 주는 S-오메프라졸 마그네슘염의 형태를 제공한다. 상기 디프랙토그램은 기술분야에서 알려진 S-오메프라졸 마그네슘염의 다른 형태의 것과는 다르다. 이 S-오메프라졸 마그네슘염의 신규 고체형태는, 2 세타도, 즉 2θ(o)으로 표시되는, 가루 X-레이 디프랙토그램내의 피크 패턴을 나타나게 하는 특징을 가지게 되며, 다음 표와 같다:
2θ(o) d(Å) 농도(%)
5.9 15.1 100
6.5 13.6 81
7.6 11.7 90
8.2 10.8 40
이 형태는, 자유롭든지 용매화든지 간에 본질적으로 유기용매로부터 자유롭다. "본질적으로 유기용매로부터 자유"표현으로는, 용매의 존재에 대한 관련 제약규약을 따른다고 이해하면 된다. 자유용매로는, 생성물의 결정구조 일부를 형성하지 못한다고 이해하면 되고, 그리고 용매화 용매로는, 동일 결정구조로 병합된다고 이해하면 된다.
X-레이 디프랙토그램은, Cu-Kα1 방사(λ=1.5406Å) 및 40 kV―30 mA의 전력으로 데브예-셰레르(Debye-Scherrer)INEL CPS120 기하 디프랙토미터를 사용하여 얻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제 2 관점은, 본질적으로 유기용매로부터 자유로운 S-오메프라졸 마그네슘염의 제조에 대한 과정에 관한 것이며, S-오메프라졸 마그네슘염처리 단계는: a) S-오메프라졸 시작물질의 마그네슘염 중 0.01 ml/g 이상인 물의 양을 지닌 메탄올/물의 혼합물을 구성하는 용매시스템에서 S-오메프라졸 마그네슘염의 용액으로부터 S-오메프라졸 마그네슘염을 결정시키는 단계, b) 이전 단계에서 나타나는 S-오메프라졸 마그네슘염을 분리시키는 단계, c) 획득된 S-오메프라졸 마그네슘염으로부터 용매를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용매시스템의 물의 양은 S-오메프라졸 시작물질의 마그네슘염 중 0.01과 4 ml/g 사이에 있다. 물의 양은 S-오메프라졸 시작물질의 마그네슘염 중 0.01과 2 ml/g 사이에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용매시스템의 물의 양은 S-오메프라졸 시작물질의 마그네슘염 중 0.01과 0.5 ml/g 사이에 있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용매시스템의 물의 양은 S-오메프라졸 시작물질의 마그네슘염 중 0.01과 0.1 ml/g 사이에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물의 양은, 사용된 용매시스템의 S-오메프라졸 마그네슘염의 용액 희석에 따라, 그리고 상기 용매시스템의 일부를 형성하는 용매에 따라 변화하며, 그리고 시작시점에서, 또는 생성물의 결정화가 시작되는 시점에서 첨가될 수 있다. 물의 양이 상한에서의 마지막 가능성은 S-오메프라졸 마그네슘염의 양을 2ml/g 이상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생성물의 분리는, 여과법 같은 종래의 방법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용매의 분리는, 물에서 S-오메프라졸 마그네슘염의 서스펜션에 의해 행해진 후, 획득된 S-오메프라졸 마그네슘염을 분리시킨 다음 건조를 한다. 일반적으로, 물에서 마그네슘염의 서스펜션은 30-60분 동안 2-30℃ 사이의 온도에서 실행된다. 더 높은 온도에서는 서스펜션 시간이 덜 든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용매의 분리는 60-120℃ 사이의 온도에서 건조시킴으로 행해진다.
이 제조과정의 한 특별한 실시예에서, (C1-C4)-알킬 에스테르 및 아세토니트릴(acetonitrile)로부터 선택된 공용매는 메탄올/물에서 S-오메프라졸 마그네슘염의 용액에 첨가된다. 바람직하게, 공용매는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아세토니트릴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본질적으로 유기용매로부터 자유로운 S-오메프라졸 마그네슘염은, 탈용매화의 과정을 통해, S-오메프라졸의 메탄올-용매화된 마그네슘염으로부터 얻어질 수도 있다. 바람직한 S-오메프라졸의 메탄올-용매화된 마그네슘염은, 2 세타도, 즉 2θ(o)으로 표시되는 X-레이 디프랙토그램에서 피크의 패턴화를 보여주며, 다음 표와 같다:
2θ(o) d(Å) 농도(%)
5.6 15.9 69
6.5 13.7 61
7.3 12.1 100
8.0 11.1 15
10.6 8.4 10
10.8 8.2 11
11.3 7.9 13
12.6 7.0 21
13.3 6.7 10
13.8 6.4 15
14.7 6.0 13
15.3 5.8 10
16.4 5.4 13
16.8 5.3 21
17.5 5.1 26
17.8 5.0 14
18.3 4.9 14
18.8 4.7 15
19.1 4.7 23
19.6 4.5 23
20.1 4.4 18
20.4 4.4 26
21.7 4.1 12
21.9 4.1 13
22.1 4.0 14
23.4 3.8 16
24.2 3.7 16
24.8 3.6 16
25.2 3.5 15
25.3 3.5 15
26.2 3.4 11
27.1 3.3 12
28.3 3.2 9
29.1 3.1 9
29.3 3.1 10
31.7 2.8 10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탈용매 과정은, 일반적으로 30-60분 동안 2-30℃ 사이의 온도로 물에서 서스펜션으로 수행된 후, 획득된 S-오메프라졸 마그네슘염을 분리시킨 다음 건조를 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탈용매 과정은 60-120℃ 사이의 온도에서 건조함으로써 실행된다.
고체형태의 과정에 대한 중간체로서 작용하는, 본 발명의 본질적으로 유기용매로부터 자유로운 S-오메프라졸의 메탄올-용매화된 마그네슘염은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처리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그 다음 단계는: a) S-오메프라졸 시작물질의 마그네슘염 중 0.01 ml/g 이상인 물의 양을 지닌 메탄올/물의 혼합물을 구성하는 용매시스템에서 S-오메프라졸 마그네슘염의 용액으로부터 S-오메프라졸의 상기 마그네슘염을 결정시키는 단계; b) 제 1 단계에서 획득된 S-오메프라졸 마그네슘염을 분리시키는 단계; 및 c) 60℃ 미만인 온도에서 획득된 S-오메프라졸 마그네슘염을 건조시키는 단계이다. 바람직한 건조온도는 실내 온도이다.
바람직하게, 용매시스템의 물의 양은 S-오메프라졸 시작물질의 마그네슘염 중 0.01과 4 ml/g 사이에 있다. 물의 양은 S-오메프라졸 시작물질의 마그네슘염 중 0.01과 2 ml/g 사이에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용매시스템의 물의 양은 S-오메프라졸 시작물질의 마그네슘염 중 0.01과 0.5 ml/g 사이에 있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용매시스템의 물의 양은 S-오메프라졸 시작물질의 마그네슘염 중 0.01과 0.1 ml/g 사이에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물의 양은, 사용된 용매시스템의 S-오메프라졸 마그네슘염의 용액 희석에 따라, 그리고 용매시스템의 일부를 형성하는 용매에 따라 변화하며, 그리고 시작시점에서, 또는 생성물의 결정화가 시작되는 시점에서 첨가될 수 있다. 물의 양이 상한에서의 마지막 가능성은 S-오메프라졸 마그네슘염의 양을 2ml/g 이상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제조과정의 한 특별한 실시예에서, (C1-C4)-알킬 에스테르 및 아세토니트릴을 구성하고 있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공용매는 메탄올/물에서의 S-오메프라졸 마그네슘염의 용액에 첨가된다. 바람직하게는 공용매는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아세토니트릴로부터 선택된다.
상기 과정을 수행하기 위해 최적의 조건은, 예를 들면, 시작물질의 농도, 온도, 사용된 공용매 등과 같은 기술분야에서 실험에 의해 고려되는 변수에 의존하여 변화한다. 이러한 것은 일상 시험으로 기술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그리고 이 설명에서 주어진 예의 당업자 도움으로 손쉽게 판별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 관점에 따라, 제조과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S-오메프라졸 마그네슘염의 고체형태를 획득하도록 제공되며, 그 다음 단계는: a) S-오메프라졸 시작물질의 마그네슘염 중 0.01 ml/g 이상인 물의 양을 지닌 메탄올/물의 혼합물을 구성하는 용매시스템에서 S-오메프라졸 마그네슘염의 용액으로부터 S-오메프라졸 마그네슘염을 결정시키는 단계, b) 이전 단계에서 나타나는 S-오메프라졸 마그네슘염을 분리시키는 단계, c) 획득된 S-오메프라졸 마그네슘염으로부터 유기용매를 분리시키는 단계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이 제조과정으로 획득가능한 S-오메프라졸 마그네슘염의 여러 고체형태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은, 약학적으로 적당한 수용가능한 첨가제 또는 운반체와 더불어, 본 발명의 본질적으로 유기용매로부터 자유로운 S-오메프라졸 마그네슘염의 치료학적 효과적인 양을 활성요소로 구성하는 약제성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고체형태의 이점은, 고체 약제공식화의 제조를 위해 조작을 효과적으로 하도록 높은 안정성과 물리-기계적 속성을 갖는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고체형태의 이점은 높은 수율과 상승된 함유량, 즉, 99% 이상의 순도로, 그리고 0.10% 이하인 시작레벨보다 현저하게 열등한 술폰 및 N-산화물 술폰(프라졸)의 합성에서 제거하기 어려운 공통 불순물)의 레벨로 획득된다는 사실이다. 이와 같이, 시작물질이 광학적으로 오염된 S-오메프라졸 마그네슘염일지라도, 상승된 광학 순도로, 즉, 99% 이상의 거울상 이성질체 과잉(e.e)으로 획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고체형태는, 그 제조과정이 재생가능하고 확고하여 손쉽게 산업화가 가능하다는 또 다른 추가 이점을 가진다.
상세한 설명 및 청구항 단어 "구성한다" 및 그 변화들은 다른 기술적 특성, 첨가물, 구성요소 또는 단계를 배제시키기 위한 의미는 아니다. 이 출원의 요점은 참조로 여기에 포함된다. 이 기술분야의 해당업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다른 목적, 이점 및 특성은, 설명으로부터 일부에서, 본 발명의 실행으로부터 일부 추론될 수 있다. 다음의 예는 설명수단으로 제공되며, 그리고 본 발명에 국한된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본질적으로 유기용매로부터 자유로운 S-오메프라졸 마그네슘염의 X-레이 회절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예시
예 1은 S- 오메프라졸의 메탄올- 용매화된 마그네슘염의 신규 고체형태의 제조
20g의 S-오메프라졸 마그네슘염(90.6% ee;칼-피셔:2.3%)은 실내온도에서 60 ml의 메탄올에 용해된다. 300 ml의 아세토니트릴이 첨가된다. 서스펜션에서의 고체는 여과되어, 실내온도에서 그리고 감압건조된다. 17g의 타이틀 화합물을 획득한 다(85%의 수율; 99.3% ee; 기체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메탄올의 4.3% p/p).
예 2는 본질적으로 유기용매로부터 자유로운 S-오메프라졸 마그네슘염의 신규 고체형태의 제조
예 1에서 획득된 S-오메프라졸 마그네슘염의 5.0 g은 70℃에서, 그리고 감압으로 건조되어, 4.9 g의 타이틀 화합물이 획득된다. X-레이 회절 분석은 도 1에서 도시된 디프랙토그램을 보여준다.
예 3은 본질적으로 유기용매로부터 자유로운 S-오메프라졸 마그네슘염의 신규 고체형태의 제조
고함량(richness) 97.7% a/a의 S-오메프라졸 마그네슘염으로부터 예 1에 따라 획득된 10.0g의 S-오메프라졸 마그네슘염(N-산화물 술폰 불순물: 0.6% a/a 및 술폰 불순물: 0.4% a/a)은 50 ml의 물에 떠있게 된다. 실내온도에서 약 45분 동안 휘저어준 후, 서스펜션에서 고체는 여과된다. 50℃ 온도에서, 그리고 감압으로 건조된다. 9.5 g의 타이틀 화합물은 획득된다(95%의 수율; 고함량: 99.7% a/a, N-산화물 술폰 불순물: 0.02% a/a; 술폰 불순물: 0.05% a/a). X-레이 회절분석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디프랙토그램을 보여준다.
예 4는 본질적으로 유기용매로부터 자유로운 S-오메프라졸 마그네슘염의 신규 고체형태의 제조
15.0g의 S-오메프라졸 마그네슘염(90.6% ee;칼-피셔:9.2%)은 실내온도에서 45 ml의 메탄올에 용해된다. 270 ml의 에틸 아세테이트는 첨가된다. 서스펜션에서의 고체로 나타날 때까지 휘저어준다. 고체는 여과되어, 90℃에서 그리고 감압으로 건조된다. 12.8g의 S-오메프라졸 마그네슘염(85%의 수율, 99.2% ee)이 획득되며, 도 1에서 도시된 것과 동일한 X-레이 디프랙토그램을 보여준다.
예 5는 본질적으로 유기용매로부터 자유로운 S-오메프라졸 마그네슘염의 신규 고체형태의 제조
2.0g의 S-오메프라졸 마그네슘염(칼-피셔:2.3%)은 6 ml의 메탄올에 용해된다. 서스펜션에서의 고체로 나타날 때까지 휘저어준다. 여과되어, 70℃에서, 그리고 감압으로 건조된다. 1.2g의 S-오메프라졸 마그네슘염(60%의 수율)은 획득되며, 도 1에서 도시된 것과 동일한 X-레이 디프랙토그램을 보여준다.
예 6은 본질적으로 유기용매로부터 자유로운 S-오메프라졸 마그네슘염의 신규 고체형태의 제조
20.0g의 S-오메프라졸 마그네슘염(칼-피셔:9.7%)은 100 ml의 메탄올에 용해된다. 300 ml의 아세토니트릴 및 40 ml의 물이 첨가된다. 서스펜션에서의 고체는 여과되어, 70℃에서, 그리고 감압으로 건조된다. 12.7g의 S-오메프라졸 마그네슘염(64%의 수율)은 획득되며, 도 1에서 도시된 것과 동일한 X-레이 디프랙토그램을 보여준다.
다양한 실시예 및 변경들은 본 발명의 기술요점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구성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영역을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기술영역은 실시예보다 첨부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된다. 다양한 수정들은 본 발명의 균등한 청구항 의미내에서, 그리고 본 발명 의 영역에서 고려되는 청구항내에서 구성된다.

Claims (27)

  1. 다른 어떤 뚜렷한 피크없이, Cu-Kα1 방사 λ=1.5406Å에서 5.9, 6.5, 7.6 및 8.2도 2세타 특성 피크를 포함하는 X-레이 디프랙토그램을 가지고,
    S-오메프라졸의 메탄올-용매화된 마그네슘염으로부터 상기 S-오메프라졸의 메탄올-용매화된 마그네슘염을 탈용매화하여 얻어지며,
    상기 S-오메프라졸의 메탄올-용매화된 마그네슘염은 5.6, 6.5, 7.3, 8.0; 10.8; 12.6; 13.8; 14.7; 16.8; 17.5; 17.8; 19.1; 19.6; 20.1; 20.4; 22.1; 23.4; 24.2; 25.2의 2 세타도에서 특징 피크를 포함하는 X-레이 디프랙토그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오메프라졸 마그네슘염의 고체형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다른 어떤 뚜렷한 피크없이, Cu-Kα1 방사 λ=1.5406Å에서 5.9, 6.5, 7.6 및 8.2도 2세타 특성 피크를 포함하는 X-레이 디프랙토그램을 갖는 것에 의해 특징화되는 S-오메프라졸 마그네슘염의 고체 형성의 제조과정으로서,
    상기 과정은,
    S-오메프라졸의 메탄올-용매화된 마그네슘염으로부터 상기 S-오메프라졸의 메탄올-용매화된 마그네슘염을 탈용매화하여 얻어지며,
    상기 S-오메프라졸의 메탄올-용매화된 마그네슘염은 5.6, 6.5, 7.3, 8.0; 10.8; 12.6; 13.8; 14.7; 16.8; 17.5; 17.8; 19.1; 19.6; 20.1; 20.4; 22.1; 23.4; 24.2; 25.2의 2 세타도에서 특징 피크를 포함하는 X-레이 디프랙토그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오메프라졸 마그네슘염의 고체 형성의 제조과정.
  14. 삭제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탈용매화는 물에서 상기 S-오메프라졸 마그네슘염을 서스펜션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S-오메프라졸 마그네슘염을 분리시키는 단계, 그리고, 그 후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오메프라졸 마그네슘염의 고체 형성의 제조과정.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탈용매화는 60 ℃ ~ 120 ℃ 사이에 포함된 온도에서 건조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오메프라졸 마그네슘염의 고체 형성의 제조과정.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S-오메프라졸의 메탄올-용매화된 마그네슘염의 고체형태는:
    a) S-오메프라졸 시작물질의 마그네슘염 중 0.01 ml/g와 4 ml/g 사이인 물의 양을 지닌 메탄올/물의 혼합물을 구성하는 용매시스템에서 상기 S-오메프라졸 마그네슘염의 용액으로부터 상기 S-오메프라졸 마그네슘염을 결정시키는 단계;
    b) 이전 단계에서 나타나는 상기 S-오메프라졸 마그네슘염을 분리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획득된 S-오메프라졸 마그네슘염을 실온과 60℃ 미만 사이의 온도에서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과정에 의해 사전에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S-오메프라졸 마그네슘염의 고체 형성의 제조과정.
  18. 삭제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S-오메프라졸 시작물질의 마그네슘염 중 0.01과 2 ml/g 사이에 포함되는 상기 물의 양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오메프라졸 마그네슘염의 고체 형성의 제조과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S-오메프라졸 시작물질의 마그네슘염 중 0.01과 0.5 ml/g 사이에 포함되는 상기 물의 양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오메프라졸 마그네슘염의 고체 형성의 제조과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S-오메프라졸 시작물질의 마그네슘염 중 0.01과 0.1 ml/g 사이에 포함되는 상기 물의 양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오메프라졸 마그네슘염의 고체 형성의 제조과정.
  22.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시키는 온도는 실내 온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S-오메프라졸 마그네슘염의 고체 형성의 제조과정.
  23. 제 17항에 있어서,
    (C1-C4)-알킬 에스테르 및 아세토니트릴을 구성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공용매는 메탄올/물에서 상기 S-오메프라졸 마그네슘염의 상기 용액에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오메프라졸 마그네슘염의 고체 형성의 제조과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공용매는 에틸아세테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S-오메프라졸 마그네슘염의 고체 형성의 제조과정.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공용매는 아세토니트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S-오메프라졸 마그네슘염의 고체 형성의 제조과정.
  26. 삭제
  27. 다른 어떤 뚜렷한 피크없이, Cu-Kα1 방사 λ=1.5406Å에서 5.9, 6.5, 7.6 및 8.2도 2세타 특성 피크를 포함하는 X-레이 디프랙토그램을 갖는 것에 의해 특징화되는 S-오메프라졸 마그네슘염의 고체 형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위산 관여 장애 및 염증성 위장병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S-오메프라졸 마그네슘염의 고체 형태는 S-오메프라졸의 메탄올-용매화된 마그네슘염으로부터 상기 S-오메프라졸의 메탄올-용매화된 마그네슘염을 탈용매화하여 얻어지며,
    상기 S-오메프라졸의 메탄올-용매화된 마그네슘염은 5.6, 6.5, 7.3, 8.0; 10.8; 12.6; 13.8; 14.7; 16.8; 17.5; 17.8; 19.1; 19.6; 20.1; 20.4; 22.1; 23.4; 24.2; 25.2의 2 세타도에서 특징 피크를 포함하는 X-레이 디프랙토그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오메프라졸 마그네슘염의 고체 형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위산 관여 장애 및 염증성 위장병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0077000063A 2004-07-02 2005-06-29 (s)―오메프라졸 마그네슘염의 고체형태 및 그 제조과정 KR1012900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S200401729A ES2246149B1 (es) 2004-07-02 2004-07-02 Formas solidas de la sal magnesica de s-omeprazol y procedimientos para su preparacion.
ESP200401729 2004-07-02
PCT/EP2005/053062 WO2006003163A1 (en) 2004-07-02 2005-06-29 Solid forms of the magnesium salt of (s)-omeprazole and processes for their prepar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1992A KR20070031992A (ko) 2007-03-20
KR101290035B1 true KR101290035B1 (ko) 2013-07-30

Family

ID=34972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0063A KR101290035B1 (ko) 2004-07-02 2005-06-29 (s)―오메프라졸 마그네슘염의 고체형태 및 그 제조과정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1) US7902370B2 (ko)
EP (1) EP1765807B1 (ko)
JP (2) JP5575366B2 (ko)
KR (1) KR101290035B1 (ko)
CN (1) CN1976923B (ko)
AT (1) ATE425975T1 (ko)
AU (1) AU2005259205B2 (ko)
CA (1) CA2570559C (ko)
CY (1) CY1109048T1 (ko)
DE (1) DE602005013382D1 (ko)
DK (1) DK1765807T3 (ko)
ES (2) ES2246149B1 (ko)
HR (1) HRP20090211T1 (ko)
MX (1) MXPA06014736A (ko)
NO (1) NO20070635L (ko)
NZ (1) NZ552458A (ko)
PT (1) PT1765807E (ko)
WO (1) WO2006003163A1 (ko)
ZA (1) ZA20070086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246149B1 (es) * 2004-07-02 2007-06-01 Esteve Quimica, S.A. Formas solidas de la sal magnesica de s-omeprazol y procedimientos para su preparacion.
FR2920428B1 (fr) * 2007-08-29 2012-06-15 Univ Rouen Procede de dedoublement de sels de l'omeprazole
EP2147918A1 (en) * 2008-07-21 2010-01-27 LEK Pharmaceuticals D.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S-omeprazole magnesium in a stable form
CN103044400A (zh) * 2012-12-21 2013-04-17 北京华禧联合科技发展有限公司 埃索美拉唑镁盐及其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41114A1 (en) 1996-04-26 1997-11-06 Astra Aktiebolag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 magnesium salt of a substituted sulphinyl heterocycle
EP1375497A1 (en) * 2002-05-17 2004-01-02 Bernard Charles Sherman Magnesium salt of s-omeprazole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9302396D0 (sv) * 1993-07-09 1993-07-09 Ab Astra A novel compound form
KR100384960B1 (ko) * 1994-07-08 2003-08-21 아스트라제네카 악티에볼라그 다단위정제투여형i
SE510666C2 (sv) * 1996-12-20 1999-06-14 Astra Ab Nya Kristallmodifikationer
SE510650C2 (sv) 1997-05-30 1999-06-14 Astra Ab Ny förening
US6326384B1 (en) * 1999-08-26 2001-12-04 Robert R. Whittle Dry blend pharmaceutical unit dosage form
KR100712039B1 (ko) * 1999-08-26 2007-04-27 에이에이아이파머 인코포레이티드 알콕시로 치환된 벤즈이미다졸 화합물, 상기 화합물을포함하는 약학적 제제, 및 상기 화합물의 이용방법
US6312712B1 (en) * 1999-08-26 2001-11-06 Robert R. Whittle Method of improving bioavailability
AU5248601A (en) 2000-05-15 2001-11-26 Ranbaxy Laboratories Limited Novel amorphous form of omeprazole salts
CA2417311C (en) * 2000-08-04 2012-07-10 Takeda Chemical Industries, Ltd. Crystalline alkali metal salts of lansoprazole and their production and use
SI20875A (sl) * 2001-04-25 2002-10-31 LEK, tovarna farmacevtskih in kemi�nih izdelkov, d.d. Kristalna oblika omeprazola
WO2003089408A2 (en) * 2002-04-22 2003-10-30 Sun Pharmaceutical Industries Limited Optically active substituted pyridinylmethyl-sulphinyl-benzimidazole and salts
US6894066B2 (en) * 2002-05-09 2005-05-17 Bernard Charles Sherman Magnesium salt of S-omeprazole
CA2501424A1 (en) 2002-08-30 2004-03-11 Dr. Reddy's Laboratories Limited Amorphous hydrates of esomeprazole magnesium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EA200500673A1 (ru) * 2002-10-22 2005-12-29 Рэнбакси Лабораториз Лимитед Аморфная форма соли эзомепразола, способ ее получения и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на её основе
US20040242642A1 (en) * 2002-11-18 2004-12-02 Dr. Reddy's Laboratories Limited Crystalline esomeprazole compounds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AU2003238671A1 (en) * 2003-04-10 2004-11-01 Hetero Drugs Limitd Novel crystalline forms of s-omeprazole magnesium
ES2246149B1 (es) * 2004-07-02 2007-06-01 Esteve Quimica, S.A. Formas solidas de la sal magnesica de s-omeprazol y procedimientos para su preparac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41114A1 (en) 1996-04-26 1997-11-06 Astra Aktiebolag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 magnesium salt of a substituted sulphinyl heterocycle
EP1375497A1 (en) * 2002-05-17 2004-01-02 Bernard Charles Sherman Magnesium salt of s-omeprazo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65807B1 (en) 2009-03-18
US7902370B2 (en) 2011-03-08
EP1765807A1 (en) 2007-03-28
ATE425975T1 (de) 2009-04-15
WO2006003163A1 (en) 2006-01-12
JP2014169302A (ja) 2014-09-18
JP5575366B2 (ja) 2014-08-20
DK1765807T3 (da) 2009-06-08
CN1976923A (zh) 2007-06-06
MXPA06014736A (es) 2007-06-25
ES2323319T3 (es) 2009-07-13
ZA200700865B (en) 2009-09-30
KR20070031992A (ko) 2007-03-20
DE602005013382D1 (de) 2009-04-30
AU2005259205A1 (en) 2006-01-12
JP2008505160A (ja) 2008-02-21
CA2570559A1 (en) 2006-01-12
CA2570559C (en) 2012-08-28
PT1765807E (pt) 2009-04-13
CY1109048T1 (ko) 2014-07-02
ES2246149A1 (es) 2006-02-01
AU2005259205B2 (en) 2011-01-27
US20070249684A1 (en) 2007-10-25
HRP20090211T1 (en) 2009-05-31
NO20070635L (no) 2007-03-20
NZ552458A (en) 2010-07-30
ES2246149B1 (es) 2007-06-01
CN1976923B (zh) 2011-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62816A (en) Crystalline form of the S-enantiomer of omeprazole
US7482463B2 (en) Amorphous form of esomeprazole salts
JP2002501529A (ja) S−オメプラゾールの新規な形態
KR20000035477A (ko) 술폭시드 화합물과 아세톤 착화합물, 그리고 그것의제조방법
CA2570795C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crystal modifications for use in the preparation of esomeprazole sodium salt
KR101290035B1 (ko) (s)―오메프라졸 마그네슘염의 고체형태 및 그 제조과정
US20100280077A1 (en) Process for Preparation of Stable Amorphous R-Lansoprazole
US8404854B2 (en) Barium salt of benzimidazole derivative
WO2005082888A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magnesium salt of omeprazole
US8124779B2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esomeprazole non-salt form
HRP980251A2 (en) New form of a compou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