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7869B1 - 에어백 쿠션 구조 - Google Patents

에어백 쿠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7869B1
KR101287869B1 KR1020077017951A KR20077017951A KR101287869B1 KR 101287869 B1 KR101287869 B1 KR 101287869B1 KR 1020077017951 A KR1020077017951 A KR 1020077017951A KR 20077017951 A KR20077017951 A KR 20077017951A KR 101287869 B1 KR101287869 B1 KR 1012878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front panel
panels
threads
substantially rectang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7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4715A (ko
Inventor
래리 디. 로즈
로날드 비. 캐스퍼
트루디 루이스
Original Assignee
오토리브 에이에스피,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토리브 에이에스피, 인크. filed Critical 오토리브 에이에스피, 인크.
Publication of KR20070114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47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7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78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1Packaging straps or envelopes for inflatabl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artments; comprising two or more bag-like members, one within the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021/23123Heat protection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60R2021/23382Internal tethe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B60R2021/23504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characterised by material
    • B60R2021/23509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B60R2021/235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
    • B60R2021/23566Nesting of panels, i.e. for material utili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자동차 에어백에 관한 장치 및 방법의 실시예들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네 개의 주된 패널들을 갖는 에어백 쿠션이 제공된다. 실질적으로 사각형인 전방면을 갖는 전방 패널이 제공된다. 두 개의 실질적으로 삼각형인 측면들은 팽창된 에어백 쿠션에서 서로에 대해 반대측에 위치되는데, 이들 둘 다는 전방 패널과 연결된다. 상측 후방면과 하측 후방면을 포함하는 후방 패널도 제공된다. 상측 후방면은 제1 및 제2 측면들 둘 다의 제1 측부에 연결되고, 하측 후방면은 제1 및 제2 측면들 둘 다의 제2 측부에 연결된다.

Description

에어백 쿠션 구조{Airbag cushion construction}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자동차 보호 시스템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자동차용의 팽창가능한 에어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에어백 쿠션을 제공하는데, 상기 에어백 쿠션은, 팽창시:
실질적으로 사각형인 전방면, 실질적으로 사각형인 제1 전방 패널 측면, 및 상기 제1 전방 패널 측면의 반대측에 위치되고 실질적으로 사각형인 제2 전방 패널 측면을 포함하는, 전방 패널;
상기 전방 패널과 연결되고 실질적으로 삼각형인 제1 측부 패널;
상기 제1 측부 패널의 반대측에 위치되고 상기 전방 패널과 연결되며 실질적으로 삼각형인 제2 측부 패널; 및
상측 후방면과 하측 후방면을 포함하는 후방 패널;을 포함하고,
상측 후방면은 제1 및 제2 측부 패널들 둘 다의 제2 측부에 연결되며, 하측 후방면은 제1 및 제2 측부 패널들 둘 다의 제1 측부에 연결된다.
도면들은 본 발명의 전형적인 실시예들만을 예시할 뿐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고려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을 이해하면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추가적인 상세사항들과 함께 설명될 것이다.
도 1 은 일 실시예의 에어백 쿠션의 패널(panel)들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는 자동차 내에서 팽창된 에어백 쿠션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 은 패널들과 에어백 쿠션의 다른 구성요소들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a 는 에어백 쿠션을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패널들을 포함하는 직물롤(fabric roll)의 평면도이다.
도 4b 는 에어백 쿠션을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패널들을 포함하는 변형적인 직물롤의 평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자동차 에어백에 관한 방법 및 장치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완전한 이해를 위하여 많은 구체적인 사항들이 제공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하나 이상의 구체적 사항이 없는 채로, 또는 다른 방법, 구성요소, 소재 등과 함께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어떤 경우에서는, 잘 알려진 구조, 소재, 또는 작업들이 상세히 도시 또는 설명되지 않는데, 이는 본 발명의 특징적 사항들이 흐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나아가 설명된 특징들, 구조들, 또는 특성들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와 임의의 적합한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팽창시, 실질적으로 사각형의 전방면을 갖는 전방 패널(front panel)과, 상기 전방 패널과 연결되고 실질적으로 삼각형인 제1 및 제2 측면(side face)들을 갖는 에어백 쿠션이 제공된다. 상기 에어백 쿠션은 상측 후방면(upper rear face)과 하측 후방면(lower rear face)을 갖는 후방면을 갖는 후방 패널(rear panel)도 포함한다. 상기 상측 후방면은 제1 및 제2 측부 패널들 모두의 제1 측부(first side)에 연결될 수 있고, 하측 후방면은 제1 및 제2 측부 패널들 모두의 제2 측부(second side)에 연결될 수 있다.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들이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 에는 네 개의 주된 패널(primary panel)들을 갖는 에어백 쿠션(100)의 분해도가 도시되어 있다. 에어백 쿠션(100)은 전방 패널(110), 후방 패널(120), 제1 측부 패널(130), 및 제2 측부 패널(140)을 포함한다. 전방 패널(110)은 실질적으로 사각형인 전방면(front face; 112)을 포함하고, 실질적으로 사각형인 제1 및 제2 전방 패널 측면들(114, 116)을 각각 더 포함한다. 제1 전방 패널 측면(114)은 제2 전방 패널 측면(116)의 반대쪽에 위치되어 있다. 도 3 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방 패널(110)은 실질적으로 사각형인 하측면(bottom face; 118)도 포함한다.
도 1 에 도시된 실시예는 전방 패널과 일체를 이루는 다양한 면들을 갖지만, 다른 실시예는 서로 부착됨으로써 전방 패널을 이루는 면들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 고찰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물론, 이것은 여기에 논의되는 다른 패널들 및/또는 실시예들 중 임의의 것들에 대하여도 마찬가지이다.
후방 패널(120)은 최상면(top face; 122), 상측 후방면(124), 및 하측 후방 면(126)을 포함한다. 후방 패널(120)은, 세 개의 면들을 갖도록 재구성(reconfiguring)되고 실질적으로 사각형의 소재로 된 단일한 조각(piece)을 포함한다는 것이 유의된다. 후방 패널을 그렇게 재구성하는 것, 즉 하나 이상의 면을 갖도록 재구성하는 것은, 수많은 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후방 패널은 하나 이상의 선을 따라서 부분적으로 접힐 수 있다. 변형적으로, 둘 이상의 개별적인 소재의 조각들이 함께 부착되고, 그 각각이 후방 패널의 각 면을 구성할 수 있다. 물론, 이것은 전방 패널에 대하여도 마찬가지이다. 전방 패널은 하나 이상의 선들을 따라 접혀짐으로써 다양한 면들을 형성할 수 있는데, 변형적으로는 소재의 개별적인 조각들이 함께 부착되어서 전방 패널의 면들을 구성할 수 있다. 하측 후방면(126)은 팽창기 개구(inflator opening; 127)를 포함하는데, 이것은 팽창기(미도시)를 수용하도록 적합화된다.
제1 측부 패널(130) 및 제2 측부 패널(140)은 각각 실질적으로 삼각형인 형상을 갖는다. 제2 측부 패널(140)은 제1 측부 패널(130)으로부터 반대쪽에 배치된다. 삼각형의 측부 패널들 중의 하나 또는 둘 다는 도 1 에 도시된 통풍구 개구(vent opening; 131)와 같은 통풍구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1 측부 패널(130)은 제2 측부 패널(140)과 대략적으로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측부 패널들은,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함께 실질적으로 사각형의 형상으로 위치배정될 수 있다.
도 1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측부 패널(130)의 제1 측부(132)가 하 측 후방면(126)의 측부를 따라서 후방 패널(120)에 부착된다. 제1 측부 패널(130)의 제2 측부(134)는 상측 후방면(124)의 측부를 따라서 후방 패널(120)에 부착된다. 제1 측부 패널(130)의 제3 측부(136)는 전방 패널 측면(114)의 측부를 따라서 전방 패널(110)에 부착된다. 제2 측부 패널(140)은 유사한 방식으로 다른 패널들에 부착된다. 구체적으로, 제2 측부 패널(140)의 일 측부는 하측 후방면(126)의 측부(제1 측부 패널(130)이 하측 후방면(126)에 부착되는 측부의 반대쪽)를 따라서 후방 패널(120)에 부착된다. 유사하게, 제2 측부 패널(140)의 다른 측부는 상측 후방면(124)의 측부를 따라서 후방 패널(120)에 부착되고, 제2 측부 패널(140)의 제3 측부는 전방 패널 측면(116)의 측부를 따라서 전방 패널(110)에 부착된다. 후방 패널 최상면(122)은 전방면(112), 측면(114), 및 측면(116)의 최상측부들을 따라서 전방 패널에 부착된다. 유사하게, 하측면(118)은 측면(114), 측면(116), 및하측 후방면(126)의 최하측부들을 따라서 부착된다. 하측면(118)은 전방면(112)으로부터 접혀지거나 또는 그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다양한 패널들/면들이 재봉, 접착, 용착, 스테이플(staple) 또는 다른 유사한 연결 솔기(connection seam) 방법론 및/또는 두 개의 패널들을 함께 부착시키기 위한 구조물과 같은 다양한 방식으로 서로에 대해 부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2 에는 자동차에 설치되어 팽창된 상태에 있는 에어백 쿠션(100)이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에서 가장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에어백은 두 개의 기능성 체적(functional volume)들로 이루어져 있다. 억제 체적(restraint volume; 210)은 후방 패널(120)의 최상면(122)과 접혀진 전방 패널(110)에 의하여 한정된다. 상기 억제 체적(210)은 착석자(10)와 상호작용하고, 억제성의 부피를 제공한다. 공간-충전 체적(space-filling volume; 220)은 착석자(10)에 대해 상대적으로 억제 체적(210)의 뒤에 배치되고, 상측 및 하측 후방면들(124, 126)(하측 후방면(126)은 도 2 에 보이지 않음) 각각과, 두 개의 삼각형 측부 패널들(130, 140)에 의하여 한정된다. 공간-충전 체적(220)은 실질적으로 쐐기(wedge)와 같이 형상화되었고, 이것은 차량 앞유리(windshield; 20)와 장치 패널(30) 사이의 공간을 차지한다. 이 방식으로 공간-충전 체적(220)은 억제 체적(210)을 위한 지지체(support)로서 작용할 수 있고, 팽창 및 억제 중에 차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의 안정성(cross-car stability)을 형성할 수 있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패널(110)은 두 개의 모서리부(corner)들이 제거된 실질적인 사각형의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변형적으로, 전방 패널(110)은 전방 패널(110)의 일 측부의 대략적인 중앙으로부터 연장되고 실질적으로 사각형인 (그리고 완성된 에어백 쿠션에서 하측면(118)을 형성하는) 플랩(flap)을 구비한 실질적으로 사각형인 (그리고 완성된 에어백 쿠션에서 전방면(112) 및 측면들(114, 116)(측면(116)은 도 3 에 도시되지 않음)을 형성하는) 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측면들(114, 116)과 하측면(118)은 각각 세 위치에서의 직선들(두 개는 평행하고 하나는 다른 두 개에 수직임)을 따라 전방 패널(110)을 접음으로서 형성된다. 후방 패널(120)은 두 위치에서의 직선들을 따라 접혀져서 최상면(122), 상측 후방면(124), 및 하측 후방면(126)을 형성하는 실질적으로 사각형인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측부 패널들(130, 140)은 각각 실질적으로 삼각형 인 형상을 가지며, 그들이 함께 위치배정되어 실질적으로 사각형의 형상으로 될 수 있도록 서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3 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 쿠션(100)은 하나 이상의 통풍구 강화부재(vent reinforcement; 152)를 포함할 수도 있는데, 이것은 통상적으로 통풍구 개구(들)(131) 주위에 배치된다. 하나 이상의 제한기(tether)가 다양한 패널들의 임의의 것의 내부에 부착될 수도 있다. 에어백 쿠션(100)에서, 제한기(160)는 후방 패널(120)의 하측 후방면(126)에 부착된다. 제한기(160)는 연장되어 전방 패널(110)에 부착될 수 있는데, 이로써 에어백 쿠션(100)의 팽창 크기를 구속하는 것을 보조할 수 있다. 에어백 쿠션(100)은 추가적인 강화를 제공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이중부재들(doublers; 164)와 함께, 열 차폐부재(heat shield; 1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 차폐부재(162) 및 이중부재들(164)은 팽창기 개구(127) 주위에 배치된다. 차량 내의 저장을 위하여 에어백 쿠션(100)을 접힌 형태(folded configuration) 및/또는 말린 형태(rolled configuration)로 제한하기 위하여 싸개(wrapper; 80)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들은 패널들이 직조된(woven) 소재로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들에서는, 도 1 내지 도 3 의 음영진 부분에 의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및/또는 후방 직조(woven) 패널들에 있는 제1 실(yarn)들은 에어백 쿠션의 팽창에 뒤이어 착석자에 대해 대략적으로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고, 제2 실들은 에어백 쿠션의 팽창에 뒤이어 착석자에 대해 대략적으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들에서는, 측부 패널들 각각 이, 에어백 쿠션의 팽창에 뒤이어 전방 및/또는 후방 패널들의 제1 및 제2 실들 모두에 대해 각도를 이루어 연장되는 제1 실들을 갖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전술된 실시예들의 사각형 패널들의 실들은 차에 대하여 길이방향으로, 즉 부착 지점에서 직접 착석자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이로써, 이 실시예들은 전방 및/또는 후방 패널들에 있는 실들의 제1 세트와 에어백의 전개(deployment) 방향 간에 각도가 없거나 또는 작은 각도 만이 있는 전개 구성(deployment configuration)을 제공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전방 및/또는 후방 패널들의 실들에 신장이 발생할 수는 있어도 실들의 서로에 대한 현저한 이동은 없을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상기 삼각형의 측부 패널들은 착석자에 대하여 (그리고 전개 방향에 대하여)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측부 패널들에 있는 실들은 서로에 대하여 이동 또는 움직일 수 있도록 허용된다.
상기 측부 패널들의 실들이 전방 및/또는 후방 패널들의 실들로부터 연장되는 각도는 변경될 수 있다. 그러나, 일 실시예에서, 전방 및/또는 후방 패널들의 제1 실들이 에어백 쿠션의 팽창에 뒤이어 측부 패널들의 제1 및 제2 실들로부터 연장되는 각도는 적어도 대략 30도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방 및/또는 후방 패널들의 제1 실들이 에어백 쿠션의 팽창에 뒤이어 측부 패널들의 제1 및 제2 실들로부터 연장되는 각도는 대략 45도이다.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들에서, 다양한 패널들/면들은, 팽창기 개구로부터 패널들/면들 간의 연결 솔기까지의 최소거리가 실질적으로 번쓰루(burn-through)와 팽창기에 가까운 영역에서 통상적으로 발생하는 다른 유사한 문제점들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팽창기 개구의 중앙부로부터 연결 솔기까지의 최소 거리는 적어도 대략 140mm 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팽창기 개구의 중앙부로부터 연결 솔기까지의 최소 거리는 적어도 대략 150mm 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팽창기 개구의 중앙부로부터 연결 솔기까지의 최소 거리는 적어도 대략 160mm 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팽창기 개구의 중앙부로부터 연결 솔기까지의 최소 거리는 적어도 대략 170mm 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팽창기 개구의 중앙부로부터 연결 솔기까지의 최소 거리는 적어도 대략 200mm 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팽창기 개구의 중앙부로부터 연결 솔기까지의 최소 거리는 적어도 대략 220mm 이다. 위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예들 중의 임의의 것을 포함하는 어떤 실시예들에서, 상기 전방면은 후방 패널의 폭과 대략적으로 같은 폭을 가질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서는, 팽창 중에 제1 및 제2 측부 패널들이 전방 및 후방 패널들보다 현저히 많은 정도로 펴지도록(stretch) 에어백 쿠션이 구성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에어백 쿠션은 전개 중에 착석자의 둘레로 만곡되는 경향을 가질 수 있다. 이것은 일부 실시예들에서 에어백 쿠션의 측부들에 배치된 패널들만이 현저하게 펴지고 에어백의 최상측 및 최하측 부분들은 팽창 중에 꽤 유연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할 것이라는 사실에 기인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측부 패널들에 있는 실들이 전방 및/또는 후방 패널들에 있는 실들에 대해 상대적으로 각도를 이루거나 또는 오프셋(offset)되어 있는 실시예들은, 이 구성을 제공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도 4a 및 4b 에는 여기에 설명된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을 제조하는 데에 사용되는 직물롤들이 도시되어 있고, 대량-생산되는 에어백 쿠션들에서의 직물 소재의 낭비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사용되는 형상들의 일부가 어떻게 효율적인 위치배정 패턴들(nesting patterns)을 가능하게 하는가를 나타낸다. 도 4a 에 위치배정 패턴이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에서 측부 패널들(130, 140)은 함께 위치배정되어 실질적으로 사각형의 형상을 형성한다. 도시된 실시예들에서, 후방 패널(120)들은 상기 측부 패널들에 인접하여 수직으로 위치배정되고, 측부 패널들을 함께 위치배정함에 의하여 형성되는 사각형들과 대략적으로 동일한 폭을 갖는 사각형의 형상들로 구성된다.
또한, 제1 행(224)에 있고 서로에 대해 맞닿는 복수의 전방 패널(110)들과 제2 행(226)에 있고 서로에 대해 맞닿는 복수의 전방 패널(110)들은 함께 위치배정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행(226)에 있는 전방 패널(110)들은 제1 행(224)에 있는 전방 패널(110)들에 대해 상대적으로 위아래가 뒤바뀌어 있고 오프셋되어 있는데, 상기 오프셋은 제1 행(224)에 있는 전방 패널(110)들로부터의 플랩들(하측면(118)을 형성하도록 사용됨) 각각이 제2 행(226)에 있는 전방 패널(110)들로부터의 플랩(118)들 사이의 간극 내에 들어 맞도록, 그리고 그 역으로 된 것이다. 또한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한기(160)들, 열 차폐부재(162)들, 이중부재(164)들, 및 통풍구 강화부재(152)들과 같은 다양한 다른 요소들이 패널 요소들의 위, 아래, 사이, 옆, 또는 다른 곳에 위치배정될 수 있다.
도 4b 에 도시된 직물롤에서, 변형적인 위치배정 패턴이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는, 전방 패널(110)들이 서로로부터 오프셋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도 4a 에 도시된 것과 상이하다. 그 대신에, 전방 패널(110)들은 서로를 대면하도록 배치되는데, 이 때 플랩(flap; 118)들은 서로에 대해 엇갈려 맞물려져 있기보다는 서로로부터 직접 반대쪽으로 배치된다. 열 차폐부재(162)들은 플랩(118)들 사이의 간극 내에 배치된다.
추가적인 수고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앞선 설명들을 이용하여 본 발명을 최대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믿어진다. 여기에서 개시된 예들과 실시예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어떠한 방식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바탕에 깔린 원리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의 상세 사항들에 변형을 가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서 상기 설명에 구체적으로 개시된 실시예들의 다양한 변형과 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하기의 청구항들에 의하여 한정된다.
본 발명은 자동차용 에어백에 이용될 수 있다.

Claims (42)

  1. 에어백 쿠션으로서, 팽창시:
    실질적으로 사각형인 전방면, 실질적으로 사각형인 제1 전방 패널 측면, 및 상기 제1 전방 패널 측면의 반대측에 위치되고 실질적으로 사각형인 제2 전방 패널 측면을 포함하는, 전방 패널;
    상기 전방 패널과 연결되고 실질적으로 삼각형인 제1 측부 패널;
    상기 제1 측부 패널의 반대측에 위치되고 상기 전방 패널과 연결되며 실질적으로 삼각형인 제2 측부 패널; 및
    상측 후방면과 하측 후방면을 포함하는 후방 패널;을 포함하고,
    상측 후방면은 제1 및 제2 측부 패널들 둘 다의 제2 측부에 연결되며, 하측 후방면은 제1 및 제2 측부 패널들 둘 다의 제1 측부에 연결되는, 에어백 쿠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패널은 제1 실들의 세트와 제2 실들의 세트를 갖는 직조된 소재의 제1 조각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부 패널은 제1 실들의 세트를 포함하는 직조된 소재의 제2 조각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측부 패널은 제1 실들의 세트를 포함하는 직조된 소재의 제3 조각을 포함하고, 제1 측부 패널 및 제2 측부 패널 각각의 제1 실들은 상기 전방 패널의 제1 실들 및 제2 실들 둘 다에 대해 각도를 이루어 연장되는, 에어백 쿠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패널의 제1 실들은 측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전방 패널의 제2 실들은 에어백 쿠션의 팽창에 뒤이어 착석자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며, 상기 전방 패널은 부분적으로 억제 체적(restraint volume)을 한정하고, 상기 제1 및 제2 측부 패널들은 차량의 착석자에 대해서 상기 억체 체적 뒤에 위치되는 공간-충전 체적(space-filling volume)을 부분적으로 한정하며, 상기 공간-충전 체적은 억제 체적을 위한 지지체(support)로서 작용하고, 상기 제1 및 제2 측부 패널들은 팽창 중에 상기 전방 패널이 펴지는 것보다 더 많이 펴지는, 에어백 쿠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패널은 상기 전방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실질적으로 사각형인 플랩(flap)을 더 포함하는, 에어백 쿠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패널은 단일한 소재 조각을 포함하는, 에어백 쿠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패널을 포함하는 소재 조각은 에어백 쿠션으로의 결합 전에 실질적으로 사각형인, 에어백 쿠션.
  7. 실질적으로 사각형인 전방면, 실질적으로 사각형인 제1 전방 패널 측면, 및 상기 제1 전방 패널 측면의 반대측에 위치되고 실질적으로 사각형인 제2 전방 패널 측면을 포함하는, 전방 패널;
    상기 전방 패널과 연결되고 실질적으로 삼각형인 제1 측부 패널;
    상기 전방 패널과 연결되고 제1 측부 패널의 반대측에 위치되며 실질적으로 삼각형인 제2 측부 패널; 및
    후방 패널;을 포함하는 에어백 쿠션으로서,
    팽창 중에 제1 및 제2 측부 패널들이 전방 및 후방 패널들보다 현저히 많이 펴지도록 구성된, 에어백 쿠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측부 패널들은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갖는, 에어백 쿠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패널은 제1 실들의 세트와 제2 실들의 세트를 갖는 직조된 소재의 제1 조각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부 패널은 제1 실들의 세트를 포함하는 직조된 소재의 제2 조각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측부 패널은 제1 실들의 세트를 포함하는 직조된 소재의 제3 조각을 포함하고, 제1 측부 패널 및 제2 측부 패널 각각의 제1 실들은 상기 전방 패널의 제1 실들 및 제2 실들 둘 다에 대해 각도를 이루어 연장되는, 에어백 쿠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패널의 제1 실들은 측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전방 패널의 제2 실들은 에어백 쿠션의 팽창에 뒤이어 착석자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며, 상기 전방 패널은 부분적으로 억제 체적을 한정하고, 상기 제1 및 제2 측부 패널들은 차량의 착석자에 대해서 상기 억체 체적 뒤에 위치되는 공간-충전 체적을 부분적으로 한정하며, 팽창 중에 상기 제1 및 제2 측부 패널들이 상기 전방 패널보다 더 많이 펴짐에 따라서 상기 공간-충전 체적이 억제 체적을 위한 지지체로서 작용하는, 에어백 쿠션.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널은 제1 전방 패널 측면과 연결되고, 상기 제2 패널은 제2 전방 패널 측면과 연결되는, 에어백 쿠션.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패널은 상기 전방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실질적으로 사각형인 플랩을 더 포함하는, 에어백 쿠션.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패널은 상측 후방면 및 하측 후방면을 포함하고, 상기 상측 후방면은 제1 및 제2 측부 패널들 둘 다의 제2 측부에 연결되며, 상기 하측 후방면은 제1 및 제2 측부 패널들 둘 다의 제1 측부에 연결된, 에어백 쿠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패널은 최상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최상면은 전방 패널에 연결된, 에어백 쿠션.
  15. 에어백 쿠션의 팽창에 뒤이어 착석자에 대해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실들, 및 에어백 쿠션의 팽창에 뒤이어 착석자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실들을 갖는 제1 직조 패널로서, 제1 직조 패널은 실질적으로 사각형인 전방면, 실질적으로 사각형인 제1 전방 패널 측면, 및 상기 제1 전방 패널 측면의 반대측에 위치되고 실질적으로 사각형인 제2 전방 패널 측면을 포함하는, 제1 직조 패널;
    상기 제1 직조 패널에 연결되고, 실질적으로 삼각형의 형상을 가지며, 에어백 쿠션의 팽창에 뒤이어 제1 직조 패널의 제1 및 제2 실들 둘 다에 대해 각도를 이루면서 연장되는 제1 실들을 갖는, 제2 직조 패널; 및
    상기 제1 직조 패널에 연결되고, 실질적으로 삼각형의 형상을 가지며, 에어백 쿠션의 팽창에 뒤이어 제1 직조 패널의 제1 및 제2 실들 둘 다에 대해 각도를 이루도록 연장되는 제1 실들을 갖는, 제3 직조 패널;을 포함하는, 에어백 쿠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직조 패널은 제2 직조 패널과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갖는, 에어백 쿠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제2 및 제3 직조 패널들과 연결된 제4 직조 패널을 더 포함하고, 제4 직조 패널은 후방 패널을 포함하며, 제1 직조 패널은 전방 패널을 포함하는, 에어백 쿠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패널은, 상기 전방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실질적으로 사각형인 플랩을 포함하는, 에어백 쿠션.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패널은 세 개의 실질적으로 사각형인 면들을 포함하는, 에어백 쿠션.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및 제3 직조 패널들은 측부 패널들을 포함하고, 에어백 쿠션의 팽창에 뒤이어 상기 측부 패널들은 서로로부터 반대측에 위치되는, 에어백 쿠션.
  21. 제 15 항에 있어서,
    에어백 쿠션의 팽창에 뒤이어 제2 직조 패널의 제1 실들이 제1 직조 패널의 제1 및 제2 실들로부터 연장되는 각도는 적어도 30도인, 에어백 쿠션.
  22.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직조 패널은 부분적으로 억제 체적을 한정하고, 상기 제2 및 제3 직조 패널들은 차량의 착석자에 대해서 상기 억체 체적 뒤에 위치되는 공간-충전 체적을 부분적으로 한정하며, 팽창 중에 상기 제2 및 제3 직조 패널들이 상기 제1 직조 패널보다 더 많이 펴지는, 에어백 쿠션.
  23. 팽창기 개구가 형성된 후방 패널;
    실질적으로 사각형인 전방면, 실질적으로 사각형인 제1 전방 패널 측면, 및 상기 제1 전방 패널 측면의 반대측에 위치되고 실질적으로 사각형인 제2 전방 패널 측면을 포함하는 전방 패널로서, 상기 전방 패널은 제1 선을 따라 접혀져서 상기 제1 전방 패널 측면을 형성하고, 제2 선을 따라 접혀져서 상기 제2 전방 패널 측면을 형성하며, 후방 패널의 폭과 동등한 폭을 갖는 전방면 부분을 포함하는, 전방 패널;
    후방 패널 및 전방 패널 둘 다에 연결된 제1 측부 패널; 및
    후방 패널 및 전방 패널 둘 다에 연결되고, 제1 측부 패널의 반대측에 위치된 제2 측부 패널;을 포함하는, 에어백 쿠션.
  24. 제 23 항에 있어서,
    팽창시, 상기 팽창기 개구의 중앙으로부터 연결 솔기까지의 최소 거리는 적어도 140 mm인, 에어백 쿠션.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패널은 제1 실들의 세트와 제2 실들의 세트를 갖는 직조된 소재의 제1 조각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부 패널은 제1 실들의 세트를 포함하는 직조된 소재의 제2 조각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측부 패널은 제1 실들의 세트를 포함하는 직조된 소재의 제3 조각을 포함하고, 제1 측부 패널 및 제2 측부 패널 각각의 제1 실들은 상기 전방 패널의 제1 실들 및 제2 실들 둘 다에 대해 각도를 이루어 연장되는, 에어백 쿠션.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패널의 제1 실들은 측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전방 패널의 제2 실들은 에어백 쿠션의 팽창에 뒤이어 착석자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며, 상기 전방 패널은 부분적으로 억제 체적을 한정하고, 상기 제1 및 제2 측부 패널들은 차량의 착석자에 대해서 상기 억체 체적 뒤에 위치되는 공간-충전 체적을 부분적으로 한정하며, 상기 공간-충전 체적은 억제 체적을 위한 지지체로서 작용하고, 상기 제1 및 제2 측부 패널들은 팽창 중에 상기 전방 패널보다 더 많이 펴지는, 에어백 쿠션.
  27.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측부 패널들은 삼각형의 형상을 갖는, 에어백 쿠션.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측부 패널들은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갖는, 에어백 쿠션.
  29.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패널은 전방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실질적으로 사각형인 플랩을 더 포함하는, 에어백 쿠션.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랩은 접혀지고 상기 후방 패널, 상기 제1 전방 패널 측면, 및 상기 제2 전방 패널 측면에 연결된, 에어백 쿠션.
  31. 에어백 쿠션으로서,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실들의 세트, 및 상기 에어백 쿠션의 팽창에 뒤이어 착석자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2 실들을 갖는 직조된 소재의 제1 조각을 포함하는 접혀진 전방 패널로서, 상기 전방 패널은 실질적으로 사각형인 전방면, 실질적으로 사각형인 제1 전방 패널 측면, 상기 제1 전방 패널 측면의 반대측에 위치되고 실질적으로 사각형인 제2 전방 패널 측면, 및 상기 전방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실질적으로 사각형인 플랩을 더 포함하는, 전방 패널;
    상기 전방 패널과 연결되는 제1 측부 패널로서, 제1 측부 패널은 제1 실들의 세트를 포함하는 직조된 소재의 제2 조각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부 패널의 제1 실들은 상기 전방 패널의 제1 실들 및 제2 실들 둘 다에 대해 각도를 이루어 연장되는, 제1 측부 패널; 및
    상기 전방 패널과 연결되는 제2 측부 패널로서, 제2 측부 패널은 제1 실들의 세트를 포함하는 직조된 소재의 제2 조각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측부 패널의 제1 실들은 상기 전방 패널의 제1 실들 및 제2 실들 둘 다에 대해 각도를 이루어 연장되는, 제2 측부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전방 패널은 부분적으로 억제 체적을 한정하고, 상기 제1 및 제2 측부 패널들은 차량의 착석자에 대해서 상기 억체 체적 뒤에 위치되는 공간-충전 체적을 부분적으로 한정하며, 상기 제1 및 제2 측부 패널들은 팽창 중에 상기 전방 패널보다 더 많이 펴지는, 에어백 쿠션.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부 패널 및 제2 측부 패널과 상기 플랩에 연결된 후방 패널을 더 포함하는, 에어백 쿠션.
  33. 제 32 항에 있어서,
    사각형인 상기 플랩은 상기 제1 전방 패널 측면 및 제2 전방 패널 측면 각각에 연결된, 에어백 쿠션.
  34. 제 31 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측부 패널들은 삼각형의 형상을 갖는, 에어백 쿠션.
  35. 제 34 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측부 패널들은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갖는, 에어백 쿠션.
  36. 실질적으로 삼각형인 제1 측부 패널을 제공함;
    실질적으로 삼각형인 제2 측부 패널을 제공하되, 제1 및 제2 측부 패널들이 실질적으로 사각형인 형상을 이루도록 함께 위치배정될 수 있게 제1 측부 패널과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갖는 제2 측부 패널을 제공함;
    실질적으로 사각형인 후방 패널을 제공함;
    전방 패널을 제공함;
    후방 패널이 적어도 두 개의 면들을 갖도록 후방 패널을 재구성(reconfiguring)함;
    제1 측부 패널을 후방 패널 및 전방 패널에 연결함; 및
    제1 측부 패널이 제2 측부 패널의 반대측에 위치되도록, 제2 측부 패널을 후방 패널 및 전방 패널에 연결함;을 포함하는 에어백 쿠션의 제조방법.
  37.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패널을 재구성함은, 후방 패널을 부분적으로 접음에 의하여 수행되는, 에어백 쿠션의 제조방법.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패널은 적어도 세 개의 면들을 갖도록 재구성되고, 상기 후방 패널을 재구성함은, 두 개의 개별적인 선들을 따라서 후방 패널을 부분적으로 접음에 의하여 수행되는, 에어백 쿠션의 제조방법.
  39.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패널은, 실질적으로 사각형인 소재 조각의 일 측의 중앙으로부터 연장되고 실질적으로 사각형인 플랩을 갖는 실질적으로 사각형인 소재 조각을 포함하고, 상기 플랩은 상기 전방면, 상기 제1 전방 패널 측면, 및 제2 전방 패널 측면으로부터 구분되는 것인, 에어백 쿠션의 제조방법.
  40. 제 39 항에 있어서,
    제1 행에 있는 복수의 전방 패널들을 서로에 대해 맞닿도록 위치시키고 제2 행에 있는 복수의 전방 패널들을 서로에 대해 맞닿도록 위치시킴으로써 다중의(multiple) 전방 패널들이 함께 위치배정될 수 있도록 전방 패널이 형상화되고, 상기 제2 행에 있는 전방 패널들이 제1 행에 있는 전방 패널들에 대해 상대적으로 위아래가 바뀌어 있고 오프셋(offset)되어 있어서, 제1 행에 있는 전방 패널들로부터의 플랩들 각각이 제2 행에 있는 전방 패널들로부터의 플랩들 사이의 간극 내에 들어맞으며, 제2 행에 있는 전방 패널들로부터의 플랩들 각각이 제1 행에 있는 전방 패널들로부터의 플랩들 사이의 간극 내에 들어맞는, 에어백 쿠션의 제조방법.
  41. 제 36 항에 있어서,
    제1 측부 부분, 제2 측부 부분, 및 전방면 부분을 형성하도록 전방 패널을 재구성함을 더 포함하는, 에어백 쿠션의 제조방법.
  42.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패널을 재구성함은, 전방면 부분이 제1 선 및 제2 선에 의하여 한정되도록 전방 패널을 제1 선 및 제2 선을 따라 접음에 의하여 수행되는, 에어백 쿠션의 제조방법.
KR1020077017951A 2005-03-24 2006-01-30 에어백 쿠션 구조 KR1012878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089,100 2005-03-24
US11/089,100 US7407186B2 (en) 2005-03-24 2005-03-24 Airbag cushion construction
PCT/US2006/003225 WO2006104558A2 (en) 2005-03-24 2006-01-30 Airbag cushion constru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4715A KR20070114715A (ko) 2007-12-04
KR101287869B1 true KR101287869B1 (ko) 2013-07-19

Family

ID=37034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7951A KR101287869B1 (ko) 2005-03-24 2006-01-30 에어백 쿠션 구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407186B2 (ko)
EP (1) EP1868855B1 (ko)
JP (1) JP5038291B2 (ko)
KR (1) KR101287869B1 (ko)
WO (1) WO200610455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60194B2 (ja) * 2005-07-29 2011-08-31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装置
US7866693B2 (en) * 2005-07-29 2011-01-11 Takata Corporation Airbag and airbag system
EP2137031B1 (en) * 2007-04-20 2015-12-09 Autoliv Development AB Airbag
DE102008057968A1 (de) * 2008-11-19 2010-05-20 Trw Automotive Gmbh Gassack
US8474866B1 (en) 2012-03-08 2013-07-02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Airbag with zones of less elastic material
WO2017177236A1 (en) * 2016-04-08 2017-10-12 Tk Holdings Inc. Rear seat airbag module
US20190039556A1 (en) * 2017-08-04 2019-02-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olded Airbag For Consistent Infla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2992A (ja) * 1993-01-27 1994-09-20 Toyo Tire & Rubber Co Ltd 助手席用エアバッグ
JPH07117599A (ja) * 1993-10-27 1995-05-09 Tokai Rika Co Ltd エアバッグ装置の袋体
JP2000016210A (ja) 1998-06-30 2000-01-18 Nippon Plast Co Ltd エアバッグ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88504A (en) * 1970-03-25 1975-06-10 Irvin Industries Inc Vehicle safety device
US5316337A (en) * 1992-03-30 1994-05-31 Toyo Tire & Rubber Co., Ltd. Inflatable bags for airbag passive restraint systems for front seat passenger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thereof
JPH06239191A (ja) * 1993-02-18 1994-08-30 Toyoda Gosei Co Ltd 助手席用エアバッグ
DE4314347A1 (de) * 1993-04-30 1994-11-03 Trw Repa Gmbh Aufblasbarer Gassack für Rückhaltesysteme in Fahrzeugen
US5482317A (en) * 1993-06-28 1996-01-09 Sandia Corporation Structurally efficient inflatable protective device
US5423273A (en) * 1994-02-01 1995-06-13 General Motors Corporation Single seam cube shaped restraint cushion
US5520414A (en) * 1994-11-23 1996-05-28 Milliken Research Corporation Inflatable restraint cushion
GB9509622D0 (en) * 1995-05-12 1995-07-05 Alliedsignal Deutschland Gmbh Airbag
US5931498A (en) * 1997-08-21 1999-08-03 Milliken & Company Simplified air bag configuration
US6299204B1 (en) * 1998-08-18 2001-10-09 Milliken & Company Vehicle restraint system comprising an airbag having an integrated mouth
JP2000085506A (ja) * 1998-09-18 2000-03-28 Takata Kk エアバッグ
US6494484B2 (en) * 1999-04-23 2002-12-17 Milliken & Company Polygon-shaped air bag
US6472033B1 (en) * 1999-07-30 2002-10-29 Milliken & Company Airbag cushion exhibiting low seam usage and simultaneously high available inflation volume
US6375219B2 (en) * 1999-07-30 2002-04-23 Milliken & Company Airbag cushion exhibiting low fabric usage and simultaneously high available inflation volume
US6666477B1 (en) * 1999-08-25 2003-12-23 Milliken & Company Inflatable restraint system and method
US6439606B2 (en) * 1999-12-07 2002-08-27 Toyoda Gosei Co., Ltd. Three-dimensional air bags for vehicles
US6962363B2 (en) * 2000-07-07 2005-11-08 Milliken & Company Multiple chamber airbags and methods
US7048304B1 (en) * 2000-08-18 2006-05-23 Milliken & Company Multiple panel airbag and method
US6832779B2 (en) * 2000-12-28 2004-12-21 Toyoda Gosei Co., Ltd. Airbag device for passenger's seats
JP4826869B2 (ja) * 2001-08-10 2011-11-30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装置
DE20206888U1 (de) * 2002-04-30 2002-09-05 Trw Repa Gmbh Gassack für ein Fahrzeuginsassen-Rückhaltesystem
GB2390574A (en) 2002-07-10 2004-01-14 Autoliv Dev An air bag with two elements having angularly offset warp and weft yarns
US7461861B2 (en) * 2002-07-22 2008-12-09 Ramesh Keshavaraj Profile tuner panel for inflatable cushions
US7201397B2 (en) * 2003-06-30 2007-04-10 Milliken & Company Airbag with irregularly shaped panels and segments
US7354063B2 (en) * 2004-03-09 2008-04-08 Milliken & Company Airbag structure
US7648167B2 (en) * 2006-10-06 2010-01-19 Zodiac Automotive Us Inc. Airbags formed with efficient use of materials and methods of forming such airbag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2992A (ja) * 1993-01-27 1994-09-20 Toyo Tire & Rubber Co Ltd 助手席用エアバッグ
JPH07117599A (ja) * 1993-10-27 1995-05-09 Tokai Rika Co Ltd エアバッグ装置の袋体
JP2000016210A (ja) 1998-06-30 2000-01-18 Nippon Plast Co Ltd エアバッグ
US6129382A (en) * 1998-06-30 2000-10-10 Nihon Plast Co., Ltd. Air ba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214405A1 (en) 2006-09-28
EP1868855B1 (en) 2015-03-04
EP1868855A4 (en) 2009-04-29
US7407186B2 (en) 2008-08-05
JP5038291B2 (ja) 2012-10-03
KR20070114715A (ko) 2007-12-04
JP2008537525A (ja) 2008-09-18
WO2006104558A3 (en) 2008-05-02
WO2006104558A2 (en) 2006-10-05
EP1868855A2 (en) 2007-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7869B1 (ko) 에어백 쿠션 구조
US6481743B1 (en) Side curtain air bag
US7798523B2 (en) Side impact airbag apparatus
EP1927517B1 (en) Occupant restraint device
US6672618B2 (en) Multiple panel airbag and method
JP5196530B2 (ja) 膝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DE102018129852B4 (de) Verschachteltes Überkopf-Airbagsystem
JP2009196502A (ja) カーテンエアバッグ及びその製造方法
DE102012007110A1 (de) Airbag mit nicht aufgeblasener Tasche
US7708306B2 (en) Occupant restraining device
US6910713B2 (en) Airbag cushion exhibiting low fabric usage and simultaneously high available inflation volume
JP6759792B2 (ja) 後席用エアバッグ
DE102018120450A1 (de) Fernseitenairbagvorrichtung
KR20010039764A (ko) 적은 시임 사용 및 큰 이용가능한 팽창 체적을 나타내는에어백 쿠션
JP4909556B2 (ja) エアバッグ
KR100973035B1 (ko) 에어백
JP5309156B2 (ja) 膨張可能エアバッグ
JP7327244B2 (ja)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JP6427307B2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6545606B2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US9340174B1 (en) Flat panel pleated airbag cushions and related methods and systems
JP5852847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7294211B2 (ja)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US20090127832A1 (en) Occupant Restraining Device
JP5494440B2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