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7581B1 - 듀얼 레인 컨베이어 듀얼 폭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듀얼 레인 컨베이어 듀얼 폭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7581B1
KR101287581B1 KR1020080060988A KR20080060988A KR101287581B1 KR 101287581 B1 KR101287581 B1 KR 101287581B1 KR 1020080060988 A KR1020080060988 A KR 1020080060988A KR 20080060988 A KR20080060988 A KR 20080060988A KR 101287581 B1 KR101287581 B1 KR 1012875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e
movable rail
dual
rail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0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1174A (ko
Inventor
최부관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60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7581B1/ko
Publication of KR20100001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11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7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75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 Framework For Endless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듀얼 레인 컨베이어 듀얼 폭 조절장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방에 설치되어 고정되는 프런트 고정레일과, 프런트 고정레일에 나란하게 설치되어 가변되는 프런트 가동레일로 구성되는 프런트 레인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후방에 설치되어 고정되는 리어 고정레일과, 리어 고정레일에 나란하게 설치되어 가변되는 리어 가동레일로 구성되는 리어 레인과, 상기 프런트 가동레일과 리어 가동레일을 동시에 가변시켜 프런트 레인과, 리어 레인의 폭을 동시에 조절하는 작동부재와, 상기 작동부재를 구동하는 구동부재를 포함한다.
Figure R1020080060988
조절장치, 부품실장기, 듀얼 컨베이어, 가동레일, 고정 레일, 듀얼 레인, 폭 조절

Description

듀얼 레인 컨베이어 듀얼 폭 조절장치{APPARATUS FOR ADJUSTING DUEL WIDTH OF DUEL LANE CONVEYOR}
본 발명은 듀얼 레인 컨베이어 듀얼 폭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집적 회로, 고밀도 집적회로, 다이오드, 콘덴서, 저항 등과 같은 전자부품을 인쇄회로기판에 장착하는 부품실장기 등에 설치되어, 인쇄회로기판을 정해진 위치로 이송시키는 듀얼 레인 컨베이어의 듀얼 레인 폭을 동시에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듀얼 레인 컨베이어 듀얼 폭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쇄회로기판에 부품을 장착할 수 있는 표면 실장장치는 베이스프레임, X-Y 갠트리(gantry), 부품흡착장치, 컨베이어, 및 부품공급장치 등으로 구성된다. X-Y 갠트리는 베이스 플레이트 위에 조립되어 부품흡착장치의 X-Y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부품흡착장치는 X-Y 갠트리에 조립되며, 이동하여 부품공급장치를 통해 공급되는 부품을 기판에 실장 한다. 부품이 실장되는 기판은 컨베이어에 의해 부품실 장 작업위치로 이송된다.
그리고 인쇄회로기판에 전자부품을 실장하는 실장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한 대의 부품실장기에 2매 이상의 인쇄회로기판을 이송하는 듀얼 레인 컨베이어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듀얼 레인으로 구성되는 프런트 레인, 리어 레인의 폭을 기판의 크기에 따라 조절하기 위하여, 프런트 레인 및 리어 레인의 폭을 각각 조절하기 위한 레인 폭 조절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듀얼 레인 컨베이어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프런트 쪽에는 프런트 고정레일과, 프런트 가동레일로 되는 프런트 레인과, 리어 고정레일과 리어 가동레일로 되는 리어 레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프런트 레인과 리어 레인의 폭을 기판의 크기에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프런트 레인에는 프런트용 리드 스크류와, 프런트용 리드 스크류를 구동하는 프런트용 구동모터, 그리고 프런트용 구동드라이버 및 컨트롤러가 마련되고, 리어에도 마찬가지로 리어용 리드 스크류와, 리어용 리드 스크류를 구동하는 리어용 구동모터, 그리고 리어용 구동드라이버 및 컨트롤러가 마련된다.
그러나 듀얼 레인 컨베이어는 프런트 레인과 리어 레인 모두 동일한 크기의 기판이 이송되므로 이송되는 기판스펙이 변경되면 동일한 폭으로 조절되어야 한다.
하지만 프런트 레인과 리어 레인을 각각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종래의 레인 폭 조절장치로는 각 레인을 각각 조절하여야 하므로 동일한 폭으로 조절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프런트 레인과 리어 레인에 각각 폭 조절을 위해 두 개의 구동모터와 두개의 리드 스크류 및 두 개의 구동드라이버 및 컨트롤러가 설치되어야 하므로 구성이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인쇄회로기판을 정해진 위치로 이송시키는 듀얼 레인 컨베이어의 듀얼 레인 폭을 동시에 동일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면서 폭 조절에 따른 구성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듀얼 레인 컨베이어 듀얼 폭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듀얼 레인 컨베이어 듀얼 폭 조절장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방에 설치되어 고정되는 프런트 고정레일과, 프런트 고정레일에 나란하게 설치되어 가변되는 프런트 가동레일로 구성되는 프런트 레인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후방에 설치되어 고정되는 리어 고정레일과, 리어 고정레일에 나란하게 설치되어 가변되는 리어 가동레일로 구성되는 리어 레인과, 상기 프런트 가동레일과 리어 가동레일을 동시에 가변시켜 프런트 레인과, 리어 레인의 폭을 동시에 조절하는 작동부재와, 상기 작동부재를 구동하는 구동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프런트 가동레일과 상기 리어 가동레일에 결합되며, 상기 구동부재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프런트 가동레일과 상기 리어 가동레일 을 가변시키는 리드 스크류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작동부재는 오른 나선 또는 왼 나선 중에 하나로 되는 단 방향의 스크류이며, 상기 프런트 가동레일 및 리어 가동레일은 프런트 고정레일, 리어 고정레일의 전방 또는 후방 중 하나의 방향에 각각 설치되어 동시에 동일방향으로 가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작동부재는 일단에 오른 나선부와, 타단에 왼 나선부를 각각 형성하며, 상기 프런트 레인과, 리어 레인은 프런트 고정레일, 프런트 가동레일, 리어 가동레일, 리어고정레일 순으로 배치되어, 제1스크류에 고정되는 프런트 가동레일과, 제2스크류에 고정되는 리어 가동레일을 가변시켜 폭을 동시에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작동부재는 프런트 가동레일에 결합되는 제1스크류와, 상기 리어 가동레일에 결합되는 제2스크류와, 상기 제1스크류의 회전력을 제2스크류의 회전력으로 전환하는 전환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스크류와 제2스크류는 동일방향의 나선을 갖도록 마련되며, 상기 전환부재는 상기 제1스크류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2스크류를 역회전 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프런트 가동레일과 상기 리어 가동레일은 각각 상기 작동부재에 직접 결합될 수 있게 나선 홀이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프런트 가동레일과 상기 리어 가동레일은 각각 상기 작동부재에 맞물릴 수 있게 나선 홀이 형성된 프런트 너트와 리어 너트가 각각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런트 가동레일 및 리어 가동레인은 각각 프런트 레인 및 리어 레인의 폭 가변이 일치될 수 있게 미세 조절하는 미세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어, 베어링을 통해 상기 작동부재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동부재는 전원인가에 따라 구동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작동부재로 전달하는 전달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전달부재는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구동풀리와, 상기 작동부재에 결합되는 종동풀리와, 상기 구동풀의 구동력을 종동풀리에 전달하는 전달벨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작동부재는 랙과 피니언, 및 작동벨트와 풀리 중에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상기 작동부재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프런트 레인과 리어 레인의 양측 폭을 일정한 폭으로 동기화 시키는 동기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동기부재는 상기 작동부재와 연동될 수 있게 작동부재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연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나의 구동부재 및 작동부재를 이용하여 프런트 레인 및 리어 레인을 동일한 폭으로 동시에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폭 조절에 따른 시간을 줄여 기판 스펙 변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고, 하나의 구동부재 및 작동부재 만으로도 프런트 레인과 리어 레인의 폭을 동시에 조절할 수 있어 조절장치의 구성이 간단해 지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듀얼 레인 컨베이어 듀얼 폭 조절장치를 보인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듀얼 레인 컨베이어 듀얼 폭 조절장치의 너트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듀얼 레인 컨베이어 듀얼 폭 조절장치(100)는 인쇄회로기판(P)에 전자부품을 실장하는 실장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한 대의 부품실장기 내에 2매 이상의 인쇄회로기판(P)을 이송하는 듀얼 레인 타입 컨베이어가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면상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의 하부를 전방(Front)으로 정의하고, 상부를 후방(Rear)으로 정의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듀얼 레인 컨베이어 듀얼 폭 조절장치(100)는 베이스 플레이트(130), 베이스 플레이트(130)의 상부 전방에 설치되는 프런트 레인(110)과, 상부 후방에 설치되는 리어 레인(120)과, 프런트 레인(110) 및 리어 레인(120)의 폭을 동시에 조절하는 작동부재(140) 그리고 작동부재(140)를 구동하는 구동부재(150)를 포함한다.
베이스 플레이트(130)는 프런트 레인(110) 및 리어 레인(120)을 하부에서 지지한다. 이때 베이스 플레이트(130)는 일정한 길이를 갖도록 마련되어 도면상의 좌우로 설치되는 프런트 레인(110) 및 리어 레인(120)에 교차되게 전, 후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며, 복수개로 설치될 경우 일정한 간격으로 평행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베이스 플레이트(130)에 설치되는 프런트 레인(110)은 베이스 플레이트(130)에 고정되는 프런트 고정레일(111)과, 프런트 고정레일(111)과 나란하게 설치되어 프런트 고정레일(111)과의 폭이 가변되는 프런트 가동레일(112)로 구성되며, 리어 레인(120)은 베이스 플레이트(130)에 고정되는 리어 고정레일(121)과, 리어 고정레일(121)과 나란하게 설치되어 리어 고정레일(121)과의 폭이 가변되는 리어 가동레일(122)로 구성된다.
이때 전, 후 방향으로 설치된 베이스 플레이트(130)에는 나란하게 설치되는 프런트 가동레일(112) 및 리어 가동레일(122)의 가변을 폭 방향으로 가이드 할 수 있도록 일정한 길이를 갖는 가이더(131)를 포함한다.
따라서 프런트 레인(110)은 인쇄회로기판(P)의 폭에 따라 인쇄회로기판(P)을 이송할 수 있는 정도의 폭으로 가이더(131)를 따라 조절될 수 있도록 마련되며, 리어 레인(120)의 또한 인쇄회로기판(P)을 이송할 수 있는 정도의 폭으로 가이 더(131)를 따라 조절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또한, 작동부재(140)는 프런트 가동레일(112)과 리어 가동레일(122)에 결합되어 프런트 가동레일(112)과 리어 가동레일(122)을 가변시킬 수 있도록 리드 스크류로 마련된다.
이때 작동부재(140)는 프런트 레인(110) 및 리어 레인(120)의 폭 방향으로 길게 베이스 플레이트(13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필요에 따라 프런트 고정레일(111) 또는 리어 고정레일(121)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작동부재(140)가 베이스 플레이트(13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게 지지 브래킷(132)이 마련된다. 여기서 지지 브래킷(132)은 베어링을 갖는 것으로 베이스 플레이트(130)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된다. 또한, 지지 브래킷(132)은 프런트 고정레일(111) 또는 리어 고정레일(121)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프런트 가동레일(112)과 리어 가동레일(122)에는 작동부재(140)에 체결되어 작동부재(140)의 회전에 따라 폭 방향으로 가변될 수 있도록 하는 프런트 너트(113)와 리어 너트(123)가 각각 마련된다. 이때 프런트 가동레일(112)과 리어 가동레일(122)은 작동부재(140)에 직접 체결될 수 있게 미 도시한 나선 홀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작동부재(140)는 리드 스크류로 마련하되, 전방에 오른 나사를 갖는 오른 나선부(140a)가 형성되고, 후방에 왼 나선부(140b)가 형성되어 2중 나선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프런트 레인(110)과 리어 레인(120)은 상호 대칭이 되게 베이스 플레이트(130)에 배치된다.
즉, 프런트 레인(110)이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프런트 고정레일(111), 프런트 가동레일(112) 순으로 배치되고, 리어 레인(120)은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리어 고정레일(121) 및 리어 가동레일(122) 순으로 배치되어 프런트 가동레일(112)과 리어 가동레일(122)이 프런트 고정레일(111)과 리어 고정레일(121)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작동부재(140)가 회전하게 되면 프런트 가동레일(112)과 리어 가동레일(122)은 2중 나선 구조에 의해 상호 전후 대칭되게 가변되어 프런트 레인(110)과 리어 레인(120)의 폭을 동시에 조절한다.
그리고 구동부재(150)는 리드 스크류로 된 작동부재(140)를 회전시킬 수 있게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모터(151)와, 모터(151)의 구동력을 작동부재(140)로 전달하는 전달부재(152)가 마련된다.
여기서 모터(151)는 베이스 플레이트(130)에 고정되며, 전달부재(152)는 베이스 플레이트(130)에 결합된 작동부재(140)로 모터(151)의 회전력을 전달한다. 따라서 전달부재(152)는 모터(151)에 의해 전달될 수 있도록 모터(151)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구동풀리(152a)와 작동부재(140)에 결합되는 종동풀리(152b)와 구동풀리(152a)와 종동풀리(152b)를 연결하는 전달벨트(152c)로 구성된다. 또한, 전달부재(152)는 풀리와 벨트로 한정하지 않고, 맞물림에 의해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어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모터(151)는 작동부재(140)로 회전력이 전달 될 수 있도록 베이스 플레이트(130)에 고정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여기에 한정하지 않고 프런트 고정레일(111) 또는 리어 고정레일(121)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작동부재(140)는 프런트 레인(110) 및 리어 레인(120)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게 작동부재(140)와 나란하게 설치되어 상기 작동부재(140)에 의한 프런트 레인(110) 및 리어 레인(120)의 폭 가변시 프런트 레인(110) 및 리어 레인(120) 각각의 일측과 타측의 가변 폭이 동기화 될 수 있도록 하는 동기부재(160)가 마련되며, 동기부재(160)와 작동부재(140) 사이에는 작동부재(140)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연동부재(164)가 마련된다.
여기서 동기부재(160)는 작동부재(140)와 동일한 리드 스크류로 전방에 오른 나사를 갖는 오른 나선부(160a)가 형성되고, 후방에 왼 나선부(160b)가 형성되는 2중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회전력을 전달하는 연동부재(164)는 작동부재(140)의 종동풀리(152b)에서 동기부재(160)로 연동벨트(164c)에 의해 전달될 수 있게 연동벨트(164c)가 연결되는 연동풀리(164a)로 구성하되, 동일한 회전각을 갖도록 동일한 직경으로 마련된다.
이때 연동벨트(164c)에는 일정한 장력(텐션)을 갖도록 하는 텐션롤러(164b)가 베이스 플레이트(130)에 결합된다. 그리고 연동부재(164)는 작동부재(140)와 동기부재(160)의 전방과 후방에 모두 설치된다.
상기 프런트 가동레일(112)과, 리어 가동레일(122)에는 프런트 레인(110)의 폭이 리어 레인(120)의 폭과 동일한 상태로 설정될 수 있게 미세조절부재(170)가 각각 결합된다. 여기서 미세조절부재(17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런트 가동레일(112)과 프런트 너트(113) 사이 또는 리어 가동레일(122)과 리어 너트(123) 사 이에 끼워져 조절에 필요한 간격으로 두께를 갖는 심 플레이트(Sim Plate)로 마련된다.
따라서 프런트 너트(113) 및 리어 너트(123)에는 심 플레이트의 두께 만큼 회전된 상태에서 고정이 가능하게 장공(113a)(123a)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 미세 조절부재는 별도의 미 도시한 볼트를 이용하여 프런트 가동레일(112)과 프런트 너트(113) 사이 또는 리어 가동레일(122)과 리어 너트(123) 사이의 간극을 조절함으로서 미세 조절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듀얼 레인 컨베이어 듀얼 폭 조절장치(100)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듀얼 레인 컨베이어 듀얼 폭 조절장치(100)에서는 하나의 구동부재(150)에 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구동부재(150)는 인가되어 프런트 레인(110)과, 리어 레인(120)의 폭(W)을 동시에 조절한다.
즉, 인쇄회로기판(P)의 사이즈에 따라 레인의 폭(W)을 조절하기 위해 신호가 인가되면, 구동부재(150)의 구동모터(151)가 구동한다. 구동모터(151)가 구동하면, 모터(151)의 회전축에 고정된 전달부재(152)의 구동풀리(152a)가 회전하고, 전달벨트(152c)와 종동풀리(152b)에 의해 리드 스크류로 된 작동부재(140)가 회전한다.
이와 동시에 연동벨트(164c)에 의해 종동풀리(152b)에서 회전력을 전달받아 연동풀리(164a)를 통해 작동부재(140)와 동일 한 리드 스크류로 된 동기부 재(160)가 회전한다. 이때 텐션롤러(164b)는 연동벨트(164c)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동기부재(160)가 작동부재(140)와 동일한 회전 속도 및 각도로 회전되도록 한다.
그리고 동기부재(160)와 작동부재(140)의 회전으로 동기부재(160)와 작동부재(140)에 각각 전, 후 대칭으로 형성된 오른 나선부(140a)(160a)와 왼 나선부(140b)(160b)에 의해 프런트 가동레일(112)과 리어 가동레일(122)은 전, 후 대칭으로 가변된다. 따라서 프런트 레인(110)과 리어 레인(120)의 폭을 동시에 조절하게 된다.
이때 프런트 레인(110)과 리어 레인(120)의 폭이 다를 경우에는 미세조절부재(170)를 이용하여 그 폭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듀얼 레인 컨베이어 듀얼 폭 조절장치를 보인 평면도이다. 제1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며, 제1실시 예와 다른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듀얼 레인 컨베이어 듀얼 폭 조절장치는 작동부재(140)를 리드 스크류로 구성하되, 리드 스크류를 분리되게 구성하여 구동부재(150)에 연결되는 제1스크류(141)와, 제1스크류(141)에 연동되는 제2스크류(142)로 구성되고, 제1스크류(141)에서 제2스크류(142)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전환부재(143)가 마련된다.
여기서 작동부재(140)의 제1스크류(141)와 제2스크류(142)가 오른 나선 또 는 왼 나선 중에 선택된 하나의 방향으로 나선이 형성되며, 제1스크류(141)와 제2스크류(142)가 서로 반대로 회전될 수 있게 전환부재(143)는 적어도 둘 이상의 기어 맞물림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한다.
또한, 동기부재(160)는 작동부재(140)과 동일하게 리드 스크류로 구성하되, 리드 스크류를 분리되게 구성하여 작동부재(140)와 연동되는 제1스크류(161)와, 제1스크류(161)에 연동되는 제2스크류(162)로 구성되고, 제1스크류(161)에서 제2스크류(162)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전환부재(163)가 마련된다.
여기서 작동부재(140)와 동기부재(160)의 제1스크류(141)(161)와 제2스크류(142)(162)가 오른 나선 또는 왼 나선 중에 선택된 하나의 방향으로 나선이 형성되며, 제1스크류(141)(161)와 제2스크류(142)(162)가 역 회전될 수 있게 전환부재(143)(163)는 적어도 둘 이상의 기어 맞물림에 의해 회전력을 전환한다.
따라서 제1스크류(161)(141)는 프런트 가동레일(112)에 설치되어 제1스크류(141)(161)의 회전에 따라 가이더(131)에 가이드 되는 상태로 전, 후 가변되고, 제2스크류(142)(162)는 리어 가동레일(122)에 설치되어 제2스크류(142)(162)의 회전에 따라 가이더(131)에 가이드 되는 상태로 후, 전 가변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듀얼 레인 컨베이어 듀얼 폭 조절장치(100)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듀얼 레인 컨베이어 듀얼 폭 조절장치(100)에서는 하나의 구동부재(150)에 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구동부재(150)는 인가되어 프런트 레인(110)과, 리어 레인(120)의 폭(W)을 동시에 조절한다.
즉, 인쇄회로기판(P)의 사이즈에 따라 레인의 폭(W)을 조절하기 위해 신호가 인가되면, 구동부재(150)의 구동모터(151)가 구동한다. 구동모터(151)가 구동하면, 모터(151)의 회전축에 고정된 전달부재(152)의 구동풀리(152a)가 회전하고, 전달벨트(152c)와 종동풀리(152b)에 의해 리드 스크류로 된 작동부재(140)가 회전한다.
이와 동시에 연동벨트(164c)에 의해 종동풀리(152b)에서 회전력을 전달받아 연동풀리(164a)를 통해 작동부재(140)와 동일 한 리드 스크류로 된 동기부재(160)가 회전한다. 이때 텐션롤러(164b)는 동기 벨트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동기부재(160)가 작동부재(140)와 동일한 회전 속도 및 각도로 회전되도록 한다.
그리고 작동부재(140)의 제1스크류(141)와 동기부재(160)의 제1스크류(161)의 회전으로 작동부재(140)와, 동기부재(160)에 마련된 각각 전환부재(143)(163)에 의해 작동부재(140)의 제2스크류(142)와, 동기부재(160)의 제2스크류(142)는 역회전 한다.
이후, 작동부재(140)와, 동기부재(160)의 제1스크류(141)(161)와 제2스크류(142)(162)에 각각 결합된 프런트 가동레일(112)과 리어 가동레일(122)은 전, 후 대칭으로 가변되어 프런트 레인(110)과 리어 레인(120)의 폭을 동시에 조절하게 된다.
한편,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듀얼 레인 컨베이어 듀얼 폭 조절장치를 보인 평면도이다. 제1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며, 제1실시 예와 다른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작동부재(140)는 오른 나선 또는 왼 나선 중에 하나의 방향으로 된 리드 스크류가 적용된다. 그리고 단 방향으로 나선이 형성된 작동부재(140)에 프런트 가동레일(112)과, 리어 가동레일(122)이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작동부재(140)가 회전되면 프런트 가동레일(112)과 리어 가동레일(122)이 동시에 동일한 방향으로 가변된다.
그리고 동기부재(160)는 작동부재(140)와 동일하게 단 방향의 나선이 형성된 리드 스크류로 마련되며, 프런트 가동레일(112)과, 리어 가동레일(122)이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작동부재(140)와 작동부재에 동기되는 동기부재(160)가 회전되면, 프런트 가동레일(112)과 리어 가동레일(122)이 동시에 동일한 방향으로 가변된다.
따라서 전방에 프런트 레인(110)이 배치되고 후방에 리어 레인(120)이 배치되되, 프런트 레인(110)은 전방에 프런트 고정레일(111)이 배치되고, 후방에 프런트 가동레일(112)이 배치되며, 리어 레인(120)도 마찬가지로 전방에 리어 고정레일(121)이 배치되고, 후방에 리어 가동레일(122)이 배치된다. 또한, 다르게는 프런트 가동레일(112), 프런트 고정레일(111), 리어 가동레일(122), 리어 고정레일(121) 순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듀얼 레인 컨베이어 듀 얼 폭 조절장치(100)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듀얼 레인 컨베이어 듀얼 폭 조절장치(100)에서는 하나의 구동부재(150)에 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구동부재(150)는 인가되어 프런트 레인(110)과, 리어 레인(120)의 폭(W)을 동시에 조절한다.
즉, 인쇄회로기판(P)의 사이즈에 따라 레인의 폭(W)을 조절하기 위해 신호가 인가되면, 구동부재(150)의 구동모터(151)가 구동한다. 구동모터(151)가 구동하면, 모터(151)의 회전축에 고정된 전달부재(152)의 구동풀리(152a)가 회전하고, 전달벨트(152c)와 종동풀리(152b)에 의해 리드 스크류로 된 작동부재(140)가 회전한다.
이와 동시에 연동벨트(164c)에 의해 종동풀리(152b)에서 회전력을 전달받아 연동풀리(164a)를 통해 작동부재(140)와 동일 한 리드 스크류로 된 동기부재(160)가 회전한다. 이때 텐션롤러(164b)는 동기 벨트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동기부재(160)가 작동부재(140)와 동일한 회전 속도 및 각도로 회전되도록 한다.
그리고 작동부재(140)와 동기부재(160)의 각각 결합된 프런트 가동레일(112)과 리어 가동레일(122)은 일정한 간격을 갖는 상태로 동일한 방향으로 가변되어 프런트 레인(110)과 리어 레인(120)의 폭을 동시에 조절하게 된다.
한편, 제1 내지 제3실시 예에서 설명되지 않았지만 작동부재(140)는 리드스크류로 한정하지 않고, 회전력을 직선왕복운동으로 전환할 수 있는 랙과 피니언 이 적용될 수 있고, 전방과 후방에 벨트와 풀리가 적용될 수 있다.
즉, 랙과 피니언은 프런트 가동레일(112)과, 리어 가동레일(122)에 각각 랙이 결합되어 피니언에 의해 가변되거나, 프런트 가동레일(112)과, 리어 가동레일(122)이 하나의 랙에 결합되어 피니언에 의해 가변될 수 있다.
그리고 벨트는 벨트의 상부와 하부에 가각 프런트 가동레일(112)과 리어 가동레일(122)이 각각 결합되거나, 프런트 가동레일(112)과 리어 가동레일(122)이 벨트의 상부 또는 하부에 일정 간격으로 결합되어 벨트의 구동에 의해 프런트 레인(110)과 리어 레인(120)의 폭이 가변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듀얼 레인 컨베이어 듀얼 폭 조절장치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수 및 모양 그리고 구조 등의 다양한 변형 및 모방할 수 있음은 명백한 사실이며 이러한 변형 및 모방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에 포함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듀얼 레인 컨베이어 듀얼 폭 조절장치를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듀얼 레인 컨베이어 듀얼 폭 조절장치의 너트를 보인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듀얼 레인 컨베이어 듀얼 폭 조절장치를 보인 평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듀얼 레인 컨베이어 듀얼 폭 조절장치를 보인 평면도
*주요부분에 대한 도면 설명
100: 조절장치 110: 프런트 레인
111: 프런트 고정레인 112: 프런트 가동레인
113: 프런트 너트 120: 리어 레인
121: 리어 고정레인 122: 리어 가동레인
123: 리어 너트 113a, 123a: 장공
130: 베이스 플레이트 131: 가이더
132: 지지 브래킷 140: 작동부재
141, 142: 제1,2스크류
150: 구동부재 151: 모터
152: 전달부재 152a: 구동풀리
152b: 종동풀리 152c: 전달벨트
160: 동기부재 140a, 160a: 오른 나선부
140b, 160b: 왼 나선부 161, 162: 제1,2스크류
143, 163: 전환부재 164: 연동부재
164a: 연동풀리 164b: 텐션롤러
164c: 연동벨트

Claims (14)

  1.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방에 설치되어 고정되는 프런트 고정레일과, 프런트 고정레일에 나란하게 설치되어 가변되는 프런트 가동레일로 구성되는 프런트 레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후방에 설치되어 고정되는 리어 고정레일과, 리어 고정레일에 나란하게 설치되어 가변되는 리어 가동레일로 구성되는 리어 레인;
    상기 프런트 가동레일과 리어 가동레일을 동시에 가변시켜 프런트 레인과, 리어 레인의 폭을 동시에 조절하는 작동부재;
    상기 작동부재를 구동하는 구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레인 컨베이어 듀얼 폭 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프런트 가동레일과 상기 리어 가동레일에 결합되며, 상기 구동부재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프런트 가동레일과 상기 리어 가동레일을 가변시키는 리드 스크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레인 컨베이어 듀얼 폭 조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는 오른 나선 또는 왼 나선 중에 하나로 되는 단 방향의 스크류이며,
    상기 프런트 가동레일 및 리어 가동레일은 프런트 고정레일, 리어 고정레일의 전방 또는 후방 중 하나의 방향에 각각 설치되어 동시에 동일방향으로 가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레인 컨베이어 듀얼 폭 조절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는 일단에 오른 나선부와, 타단에 왼 나선부를 각각 형성하며,
    상기 프런트 레인과, 리어 레인은 프런트 고정레일, 프런트 가동레일, 리어 가동레일, 리어고정레일 순으로 배치되어, 제1스크류에 고정되는 프런트 가동레일과, 제2스크류에 고정되는 리어 가동레일을 가변시켜 폭을 동시에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레인 컨베이어 듀얼 폭 조절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는 프런트 가동레일에 결합되는 제1스크류;
    상기 리어 가동레일에 결합되는 제2스크류;
    상기 제1스크류의 회전력을 제2스크류의 회전력으로 전환하는 전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레인 컨베이어 듀얼 폭 조절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크류와 제2스크류는 동일방향의 나선을 갖도록 마련되며,
    상기 전환부재는 상기 제1스크류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2스크류를 역회전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레인 컨베이어 듀얼 폭 조절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 가동레일과 상기 리어 가동레일은 각각 상기 작동부재에 직접 결합될 수 있게 나선 홀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레인 컨베이어 듀얼 폭 조절장치.
  8.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 가동레일과 상기 리어 가동레일은 각각 상기 작동부재에 맞물릴 수 있게 나선 홀이 형성된 프런트 너트와 리어 너트가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레인 컨베이어 듀얼 폭 조절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 가동레일 및 리어 가동레인은 각각 프런트 레인 및 리어 레인의 폭 가변이 일치될 수 있게 미세 조절하는 미세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레인 컨베이어 듀얼 폭 조절장치.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어, 베어링을 통해 상기 작동부재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레인 컨베이어 듀얼 폭 조절장치.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는 전원인가에 따라 구동하는 모터;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작동부재로 전달하는 전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레인 컨베이어 듀얼 폭 조절장치.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부재는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구동풀리;
    상기 작동부재에 결합되는 종동풀리;
    상기 구동풀의 구동력을 종동풀리에 전달하는 전달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레인 컨베이어 듀얼 폭 조절장치.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는 랙과 피니언, 및 작동벨트와 풀리 중에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레인 컨베이어 듀얼 폭 조절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상기 작동부재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프런트 레인과 리어 레인의 양측 폭을 일정한 폭으로 동기화 시키는 동기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동기부재는 상기 작동부재와 연동될 수 있게 작동부재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연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레인 컨베이어 듀얼 폭 조절장치.
KR1020080060988A 2008-06-26 2008-06-26 듀얼 레인 컨베이어 듀얼 폭 조절장치 KR1012875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0988A KR101287581B1 (ko) 2008-06-26 2008-06-26 듀얼 레인 컨베이어 듀얼 폭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0988A KR101287581B1 (ko) 2008-06-26 2008-06-26 듀얼 레인 컨베이어 듀얼 폭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1174A KR20100001174A (ko) 2010-01-06
KR101287581B1 true KR101287581B1 (ko) 2013-07-19

Family

ID=41811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0988A KR101287581B1 (ko) 2008-06-26 2008-06-26 듀얼 레인 컨베이어 듀얼 폭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75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9245A (ko) 2021-08-24 2023-03-03 (주) 에스에스피 폭 조절기능을 갖는 다중 레인 컨베이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7994B1 (ko) * 2013-07-01 2017-11-15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컨베이어
KR102433592B1 (ko) * 2016-01-12 2022-08-17 한화정밀기계 주식회사 듀얼 레인 컨베이어의 폭 조절 장치
KR101959293B1 (ko) * 2016-10-18 2019-03-18 주식회사 본텍 듀얼 컨베어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2054A (ko) * 2007-04-11 2008-10-15 엘지전자 주식회사 홀로그램 기록 및 재생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2054A (ko) * 2007-04-11 2008-10-15 엘지전자 주식회사 홀로그램 기록 및 재생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9245A (ko) 2021-08-24 2023-03-03 (주) 에스에스피 폭 조절기능을 갖는 다중 레인 컨베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1174A (ko) 2010-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8705B1 (ko) 기판이송장치
KR101287581B1 (ko) 듀얼 레인 컨베이어 듀얼 폭 조절장치
US20080159833A1 (en) Printed circuit board transferring apparatus for chip mounter and printed circuit board transferring method using the same
CN108601219A (zh) 一种童车用pcb板翻转装置
CN110900197A (zh) 一种电路板激光打标装置
CN112357523A (zh) 一种pcb板自动翻板装置
CN102686038B (zh) 一种直驱式高速高效贴片机
KR101190872B1 (ko) 기판 이송장치
KR101156063B1 (ko) 듀얼 레인 컨베이어의 폭 조절 구조
CN103831191A (zh) 一种三防漆喷涂的pcb传输系统的轨道调宽装置
CN216917577U (zh) 一种用于pcb板平稳翻转的机构
JP4648257B2 (ja) 被搬送部材の搬送装置及び電子部品の実装装置
CN213801466U (zh) 一种运输宽度可调节的贴片机传送装置
CN100461999C (zh) 用于提供电气组件的晶片工作台和用于为基底配备电气组件的装置
CN220596524U (zh) 薄膜放卷纠偏调整机构
KR200390725Y1 (ko) 엘씨디 글라스의 이송장치
CN1162601C (zh) 带式电动推拉窗
JP2001315942A (ja) プリント基板組み立て装置の基板搬送用コンベアの間隔変更機器
CN212064766U (zh) 摆动机构及同步传送驱动装置
CN220578315U (zh) 一种电路板转角输送机构
CN208016244U (zh) 贴片机元器件角度调节机构
CN218656919U (zh) 一种基于机电一体化生产的板材钻孔装置
CN217397708U (zh) Pcb输送机构
CN208217805U (zh) 一种pcb上板机
CN215751011U (zh) 一种碰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7